KR101678630B1 -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 Google Patents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630B1
KR101678630B1 KR1020150130200A KR20150130200A KR101678630B1 KR 101678630 B1 KR101678630 B1 KR 101678630B1 KR 1020150130200 A KR1020150130200 A KR 1020150130200A KR 20150130200 A KR20150130200 A KR 20150130200A KR 101678630 B1 KR101678630 B1 KR 10167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warp
yarn
yarns
wef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우 filed Critical 이병우
Priority to KR102015013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낙하물의 낙하방지와 공사장 인부와 공사장 주변의 인도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축물 벽에서 일정거리를 띄워 수직으로 설치하는 안전보호망의 위사와 경사를 연결하는 엮음사를 마련하여 안전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위사와 경사를 동일한 선상으로 서로 지그재그로 연속배치시켜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의 상기 위사와 다수개의 경사를 연결하는 부위에 엮음사로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제직하여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굵은 위사와 경사에 의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직시 제직량을 증가시키게 하여 안전망 제조시 종래의 랏셀편직물로 제직시 발생되는 굵은 위사에 가는 엮음사로 연결하도록 하여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위사로만 하중을 견뎌야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과 굵은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에 의해 엮음사가 쉽께 끊어지는 현상을 줄이는 이점과 위사와 경사를 사용하여 제직시 수축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Secunty a protection net for construction work place}
본 발명은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낙하물의 낙하방지와 공사장 인부와 공사장 주변의 인도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축물 벽에서 일정거리를 띄워 수직으로 설치하는 안전보호망의 위사와 경사를 연결하는 엮음사를 마련하여 안전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건축공사장용 안전보호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용 안전보호망은, 건축공사현장에서 갱폼 및 비계 등의 가설구조물에 설치하는 직물형태의 보호망으로 작업하는 쪽에서 볼트나 분진 등 기타 물체가 외부로 낙하하여 아래에서 통행하는 사람 등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안전보호망은 공사 현장의 화재 예방을 위해, 용접작업 장소, 인화성 또는 가연성 물질의 보관/적재 장소 등의 둘레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공사현장에서 고소작업중 각재, 판재, 공구류 등과 같은 낙하물로부터 행인을 보호하고, 또한 고소작업자의 추락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가설재로서, 건물의 외벽 외측으로 비스듬히 또는 수평으로 안전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망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은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이 찢어지지 아니하여야 하고 그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신축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32722호(2011. 13. 09일 공개)에는 폴리프로필렌 멀티 필라멘트사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가로연결사; 상기 제 1가로연결사와 대칭되는 구조이면서 제 1가로연결사와 교차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제2 가로연결사; 및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로연결사와 상기 제 2가로연결사의 교차 부분을 엮는 다수의 세로연결사로 편직되며, 상기 제1 가로연결사, 제2 가로연결사 및 세로연결사는 인장강도 6g/d 폴리프로필렌 멀티 필라멘트사에 방염조성물을 용융 방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을 제공하였으나,
이러한 안전망은 랏셀편직물로서 굵은 위사에 가는 엮음사로 연결하도록 하여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위사로만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엮음사가 끊어지는 현상으로 안전망이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2722호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이러한 안전망은 랏셀편직물로서 굵은 위사에 가는 엮음사로 연결하도록 하여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위사로만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엮음사가 끊어지는 현상으로 안전망이 충격에 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위사와 경사를 동일한 선상으로 서로 지그재그로 연속배치시켜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의 상기 다수개의 위사와 경사를 연결하는 부위에 엮음사로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견고한 위사와 경사를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견고한 위사와 경사에 의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직시 제직량을 증가시키게 하는 것을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경사(W1)(W2)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경사 사이로 위사(F1)를 등간격으로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2)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지(2)에 두가닥의 경사(W1)(W2) 상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고 다시 상승시켜 좌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를 거쳐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반복하는 제1엮음사(Z1)를 엮도록 하는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에 있어서,
상기 두가닥의 경사(W1)(W2) 하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고 다시 하강시켜 우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반복하는 제2엮음사(Z1-1)를 제1엮음사(Z1)와 지그재그로 엮도록 하며,
상기 위사(F1)는 1500 ~ 168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사(W1)(W2)는 750 ~ 84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으로 사용하며,
제1,2엮음사(Z1)(Z1-1)는 150D의 폴리에스테르의 저융점사로 600 ~ 800TM으로 연사하여 위사(F1)와 경사(W1)(W2)를 지그재그로 엮은 제1,2엮음사(Z1)(Z1-1)를 180 ~ 200℃ 사이의 낮은 온도에서 위사와 경사에 용융되어 접착시켜 위사(F1)와 경사(W1)(W2)를 견고하게 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위사와 경사를 동일한 선상으로 서로 지그재그로 연속배치시켜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의 상기 위사와 다수개의 경사를 연결하는 부위에 엮음사로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제직하여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굵은 위사와 경사에 의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직시 제직량을 증가시키게 하여,
안전망 제조시 종래의 랏셀편직물로 제직시 발생되는 굵은 위사에 가는 엮음사로 연결하도록 하여 무거운 하중으로 인한 충격시 위사로만 하중을 견뎌야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과 굵은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에 의해 엮음사가 쉽께 끊어지는 현상을 줄이는 이점과 위사와 경사를 사용하여 제직시 수축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과 친환경적이라 재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지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3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5,6,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3의 실시예를 제직한 사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경사(W1)(W2)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경사 사이로 위사(F1)를 등간격으로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2)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지(2)에 두가닥의 경사(W1)(W2) 상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고 다시 상승시켜 좌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를 거쳐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반복하는 제1엮음사(Z1)를 엮도록 하는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에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두가닥의 경사(W1)(W2) 하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고 다시 하강시켜 우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반복하는 제2엮음사(Z1-1)를 제1엮음사(Z1)와 지그재그로 엮도록 하며,
상기 위사(F1)는 1500 ~ 168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사(W1)(W2)는 750 ~ 84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으로 사용하며,
제1,2엮음사(Z1)(Z1-1)는 150D의 폴리에스테르의 저융점사로 600 ~ 800TM으로 연사하여 위사(F1)와 경사(W1)(W2)를 지그재그로 엮은 제1,2엮음사(Z1)(Z1-1)를 180 ~ 200℃ 사이의 낮은 온도에서 위사와 경사에 용융되어 접착시켜 위사(F1)와 경사(W1)(W2)를 견고하게 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엮음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가닥의 경사(W1)(W2)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상기 두가닥의 경사(W1)(W2) 사이로 한가닥의 위사(F1)를 위입하여 제직한 바닥지(2)에 두가닥의 경사(W1)(W2) 상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고 다시 상승시켜 좌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를 거쳐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엮음사의 또 다른 제2 실시예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가닥의 경사(W1)(W2)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상기 두가닥의 경사(W1)(W2) 사이로 한가닥의 위사(F1)를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며,
제1엮음사(Z1)는 두가닥의 경사(W1)(W2) 상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고 다시 상승시켜 좌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 반복하며,
제2엮음사(Z1-1)는 두가닥의 경사(W1)(W2) 하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고 다시 하강시켜 우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지(2)의 경사(W1)(W2)와 위사(F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2)의 경사(W1)(W2)와 위사(F1)는 두가닥의 경사(W1)(W2)를 3개 내지 4개까지 배열한 경사(W1)(W2)(W3)(W4)를 사용하고 상기 위사(F1)는 2개 내지 4개까지 배열한 위사(F1-1)(F1-2)(F1-3)(F1-4)를 사용하되,
상기 위사(F1-1)(F1-2)(F1-3)(F1-4)는 1500 ~ 168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사(W1)(W2)(W3)(W4)는 750 ~ 84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으로 사용하며,
제1,2엮음사(Z1)(Z1-1)는 150D의 폴리에스테르의 저융점사로 600 ~ 800TM으로 연사하여 위사(F1)와 경사(W1)(W2)를 지그재그로 엮은 제1,2엮음사(Z1)(Z1-1)를 180 ~ 200℃ 사이의 낮은 온도에서 위사와 경사에 용융되어 접착시켜 위사(F1)와 경사(W1)(W2)를 견고하게 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가닥의 경사(W1)(W2)(W3)(W4)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상기 네가닥의 경사(W1)(W2)(W3)(W4) 사이로 네가닥의 위사(F1-1)(F1-2)(F1-3)(F1-4)를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며,
제1엮음사(Z1)는 네가닥의 경사(W1)(W2)(W3)(W4) 상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W3)(W4)와 만나는 네가닥의 위사(F1-1)(F1-2)(F1-3)(F1-4)를 거쳐 위사(F1-1)(F1-2)(F1-3)(F1-4)의 하부로 연결하고 다시 상승시켜 좌측으로 네가닥의 경사(W1)(W2)(W3)(W4)를 거쳐 네가닥의 위사(F1-1)(F1-2)(F1-3)(F1-4)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엮음사(Z1)로 네가닥의 경사(W1)(W2)(W3)(W4)와 위사(F1-1)(F1-2)(F1-3)(F1-4)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엮음사(Z1)의 대칭되는 제2엮음사(Z1-1)를 마련하여 네가닥의 경사(W1)(W2)(W3)(W4) 하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W3)(W4)와 만나는 네가닥의 위사(F1-1)(F1-2)(F1-3)(F1-4)를 거쳐 네가닥의 위사(F1-1)(F1-2)(F1-3)(F1-4)의 상부로 연결하고 다시 하강시켜 우측으로 네가닥의 경사(W1)(W2)(W3)(W4)와 만나는 위사(F1-1)(F1-2)(F1-3)(F1-4)를 거쳐 위사(F1-1)(F1-2)(F1-3)(F1-4)의 상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보호망(1)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위사(F1-1)(F1-2)(F1-3)(F1-4)와 경사(W1)(W2)(W3)(W4)를 원하는 갯수로 사용한 평직의 바닥지(2)를 제직하여 제1엮음사(Z1) 또는 제1,2엮음사(Z1)(Z1-1)로 연결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바닥지(2)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제직으로 된 제직은 본 발명의 안전보호망(1) 이외에도 커튼에 사용되는 롤스크린지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위사(F1-1)(F1-2)(F1-3)(F1-4)는 1500 ~ 168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 또는 PP고강력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경사(W1)(W2)(W3)(W4)는 750 ~ 84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 또는 PP고강력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제1,2엮음사(Z1)(Z1-1)는 150D의 폴리에스테르의 저융점사로 600 ~ 800TM으로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엮음사(Z1)(Z1-1)의 폴리에스테르의 저융점사는 180 ~ 200 사이에서 위사와 경사에 용융되어 접착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제1,2엮음사(Z1)(Z1-1)는 폴리에스테르의 재질로 저용점사로 위사(F1)와 경사(W1)(W2)를 지그재그로 엮은 제1,2엮음사(Z1)(Z1-1)를 낮은 온도에서 용융시켜 위사(F1)와 경사(W1)(W2)를 견고하게 엮을 수 있도록 융착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두개의 경사(W1)(W2)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두개의 경사(W1)(W2) 사이로 하나의 위사(F1)를 등간격으로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2)에 두개의 경사(W1)(W2)와 하나의 위사(F1)를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엮음사(Z1)로 두개의 경사(W1)(W2)와 하나의 위사(F1)를 지그재그로 엮도록 하여 저온도에 제1엮음사(Z1) 또는 제1,2엮음사(Z1)(Z1-1)를 융착시켜 두개의 경사(W1)(W2)와 하나의 위사(F1)로 제직한 평직상태의 바닥지(2)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경사(W1)(W2)(W3)(W4)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다수의 경사(W1)(W2)(W3)(W4) 사이로 다수개의 위사(F1-1)(F1-2)(F1-3)(F1-4)를 등간격으로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2)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지(2)를 구성하는 다수의 경사(W1)(W2)(W3)(W4)와 위사(F1-1)(F1-2)(F1-3)(F1-4)를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엮음사로 다수개의 경사(W1)(W2)(W3)(W4)와 다수개의 위사(F1-1)(F1-2)(F1-3)(F1-4)를 지그재그로 엮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건축공사장용 안전보호망(1)의 제직시 충격에 강한 위사(F1-1)(F1-2)(F1-3)(F1-4)와 경사(W1)(W2)(W3)(W4)를 평직으로 제직한 평직의 바닥지(2) 구조에서 상기 위사(F1-1)(F1-2)(F1-3)(F1-4)와 경사(W1)(W2)(W3)(W4)는 각각 적어도 폴리에틸렌 고강력사 또는 PP고강력사를 사용하여 충격에 강하게 하여 안전보호망으로 낙하하는 낙하물에 의해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 안전보호망 2 : 바닥지
F1,F2,F3 : 위사 W1,W2,W3,W4 : 경사
Z1 : 제1엮음사 Z1-1 : 제2엮음사
F1-1,F1-2,F1-3,F1-4 : 위사 F2-1,F2-2,F2-3,F2-4 : 위사

Claims (4)

  1. 다수의 경사(W1)(W2)를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경사 사이로 위사(F1)를 등간격으로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바닥지(2)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지(2)에 두가닥의 경사(W1)(W2) 상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고 다시 상승시켜 좌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를 거쳐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반복하는 제1엮음사(Z1)를 엮도록 하는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에 있어서,
    상기 두가닥의 경사(W1)(W2) 하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고 다시 하강시켜 우측으로 두가닥의 경사(W1)(W2)와 만나는 위사(F1)를 거쳐 위사(F1)의 상부로 연결하는 것을 연속반복하는 제2엮음사(Z1-1)를 제1엮음사(Z1)와 지그재그로 엮도록 하며,
    상기 위사(F1)는 1500 ~ 168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사(W1)(W2)는 750 ~ 840D의 폴리에스테르 고강력사와 PP고강력사 중 하나 이상으로 사용하며,
    제1,2엮음사(Z1)(Z1-1)는 150D의 폴리에스테르의 저융점사로 600 ~ 800TM으로 연사하여 위사(F1)와 경사(W1)(W2)를 지그재그로 엮은 제1,2엮음사(Z1)(Z1-1)를 180 ~ 200℃ 사이의 낮은 온도에서 위사와 경사에 용융되어 접착시켜 위사(F1)와 경사(W1)(W2)를 견고하게 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30200A 2015-09-15 2015-09-15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KR10167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00A KR101678630B1 (ko) 2015-09-15 2015-09-15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00A KR101678630B1 (ko) 2015-09-15 2015-09-15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630B1 true KR101678630B1 (ko) 2016-11-23

Family

ID=5754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200A KR101678630B1 (ko) 2015-09-15 2015-09-15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01B1 (ko) * 2017-03-08 2017-07-31 허은정 건설공사장 수직보호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312A (ko) * 2007-09-04 2009-03-09 차용철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KR20110132722A (ko) 2010-06-03 2011-12-09 강백구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312A (ko) * 2007-09-04 2009-03-09 차용철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KR20110132722A (ko) 2010-06-03 2011-12-09 강백구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01B1 (ko) * 2017-03-08 2017-07-31 허은정 건설공사장 수직보호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2661B2 (en) Scaffolding Safety Mesh
US5076168A (en) Shielding sheet for blasting operation
EP2423359B1 (en) Industrial fabric
CN101522406B (zh) 制备包含单向排列聚合物条带的织物的方法
KR101229800B1 (ko)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CA2738987A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KR100947542B1 (ko)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이용한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과 그 제직공정
KR101678630B1 (ko)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KR101551275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WO2018074754A1 (ko) 이음부 보강된 토목용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13888A (ko) 친환경 수직 및 수평보호망
JP5057915B2 (ja) 洗掘防止マットのためのメッシュ状体、および洗掘防止マット
KR100339669B1 (ko)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JP7260600B2 (ja) 垂直保護網
US6918412B2 (en) Grid mat
KR102001411B1 (ko)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CN104073956A (zh) 阻燃加筋机织土工布及其制造工艺
KR102639896B1 (ko) 충격 흡수벨트
JP4321201B2 (ja) 土木資材用シート
EP1564319A2 (de) Untertage einsetzbare, aus dauerhaft antistatischem und dauerhaft flammhemmendem Gewebe bestehende Bahn
US20220154417A1 (en) Rib, wall, slope and roof safety system
JP3635136B2 (ja) 重層構造ジオグリッド
JP7224210B2 (ja) 防護用織布の構造
TWI793213B (zh) 保護性警示圍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