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11B1 -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 Google Patents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11B1
KR102001411B1 KR1020180115667A KR20180115667A KR102001411B1 KR 102001411 B1 KR102001411 B1 KR 102001411B1 KR 1020180115667 A KR1020180115667 A KR 1020180115667A KR 20180115667 A KR20180115667 A KR 20180115667A KR 102001411 B1 KR102001411 B1 KR 10200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warp
yarn
polyest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김세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to KR102018011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직조한 후에 경사를 서로 엇갈리도록 꼬아주는 구조를 반복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제직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품의 생산성과 경제성이 향상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위사와 경사를 제조하는 위사/경사 제조단계;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기 위한 직조단계; 상기 경사를 서로 엇갈리도록 꼬으기 위한 꼬음단계; 및 상기 직조 단계와 꼬음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Flared shieldin manufacturing method and flared shieldi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하물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근로자, 통행인 및 통행차량 등의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제직 공정이 단순화되어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향상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목재, 판재, 공구류 등과 같은 낙하물은 공사현장을 보행하는 행인들에게 커다란 위험을 제공함으로 이러한 행인들을 낙하물로부터 보호하고, 건축현장에서 일하는 인부들의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모든 건설 현장에서는 공사시 반드시 안전 보호망을 설치하게 되어 있는데, 이런 보호망은 건축물의 외벽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공사장 내부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행인과 작업 인부들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이렇게 수직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호망은 건설공사 현장 중량물 자재의 낙하와 작업인부의 추락에 견뎌야 하는 특성 때문에 강한 충격에 견디는 내충격성과, 충격을 흡수해야 하는 신축성이 동시에 요구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보호망에 사용되는 원사가 일반 원사와 달리 강도가 높은 고강력사로 제조하며,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호망의 조직이 인장 강도가 높은 평직물 조직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런 원사 특성과 평직물 조직 특성을 갖는 보호망은 낙하물이나 인부의 추락 등에 대해 망사가 찢어지지 않고, 충격 흡수를 통해 신축성을 갖는 조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7542호(2017.07.25. 등록)은 안전사고와 화재 및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며,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은,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섬유사를 갈지자(之) 형태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가로연결사와, 상기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섬유사를 상기 제1 세로연결사와 대치되면서 교차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제2 가로연결사와, 상기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섬유사를 상기 제1세로연결사와 및 제2 세로연결사에 세로방향으로 엮음되는 다수의 세로연결사로 하여 편직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섬유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재료를 용융하는 과정에서 방염안료를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재료에 대해 2% 내지 5%로 혼합하고, 방사기의 실린더 온도를 190도 내지 220도로 하여 용융한 용융재료를 방사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36774호(2001.05.07. 공개)는 수직보호망과 수평보호망을 일체식으로 설치하는 수직 및 수평보호망의 일체식 시공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수직 및 수평보호망의 일체식 시공방법은, 힁연결재를 지그재그로 연속배치하여 필라멘트사로 엮음실로 엮어지게 하고, 멀티 필라멘트사가 엮음실 간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엮어지게 짜고, b) 그 둘레를 연결 구멍을 갖는 보호지(101)로 피복한 후, 내향으로 접을 수있는 접힘부를 만들거나, 보호망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 및 수평 보호망을 형성하고, c) 형성된 수직 및 수평 보호망을 비계틀과 비계틀 바닥에 걸쳐 비계틀 및 비계틀 바닥 안전 구멍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또는, 수직 및 수평 보호망)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중량이 다소 높을 뿐만 아니라 제직 공정이 복잡하여 단가가 증가하여,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또는, 수직 및 수평 보호망)은, 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차단시켜 주는 효과는 미비하여, 작업자에게 분진이 가해지거나 시공 장소 이외의 장소로 분진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아주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754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3677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사와 경사의 제직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써, 제직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분진을 차단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어, 작업자에게 분진이 가해지거나 시공 장소 이외의 장소로 분진이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낙하물방지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들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위사와 경사를 제조하는 위사/경사 제조단계;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기 위한 직조단계; 상기 경사를 서로 엇갈리도록 꼬으기 위한 꼬음단계; 및 상기 직조 단계와 꼬음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사/경사 제조 단계는,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에 방염안료를 혼합하여 용융하는 방염안료 혼합 용융과정; 상기 방염안료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원재료를 폴리에스테르사로 방사하는 폴리에스테르사 방사과정;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를 복수 가닥 합사하여 위사 또는 경사를 제조하는 폴리에스테르사 합사과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염안료 혼합 용융과정에서, 상기 방염안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에 대하여 3 중량% 내지 6 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직조단계 이후에, 상기 경사를 각각 나선 형상으로 꼬으기 위한 나선 꼬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직조단계 이후에, 상기 경사를 각각 고리를 형성하도록 꼬으기 위한 고리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와 위사를 직조한 후에 경사를 서로 엇갈리도록 꼬아주는 구조를 반복 형성하는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직 방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은 중량이 낮고 인장 강도는 높아 상품성이 우수하며, 운송 시 또는 현장에 설치 작업 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의 나선 구조와 고리 구조를 구현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함으로써,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분진을 차단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어, 작업자에게 분진이 가해지거나 시공 장소 이외의 장소로 분진이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위사/ 경사 제조 단계의 세부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낙하물 방지망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낙하물 방지망의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은, 낙하물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근로자, 통행인 및 통행차량 등의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나, 다른 망(網)구조물에 설계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낙하물 방지망의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낙하물 방지망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방사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위사와 경사를 제조한다(S100).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1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사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polyester)는, 에스터기(基)가 연결기가 된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이다. 도료용 폴리에스터수지나 다이알리프탈레이트라는 도장판도 폴리에스터의 일종이다. 특히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그 수지를 유리섬유 등과 합하여, 스키나 장대높이뛰기용 폴로 만들 수도 있을정도로 인장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에스터계 합성섬유는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주요 부분이 말레산과 에틸렌글리콜로 되어 있다. 이 이중결합이 스타이렌과 중합하여 복잡한 구조가 되는데, 그 수지를 유리섬유나 합성섬유와 합하여 매우 강력한 복잡재로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1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사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합성 수지 및 합성 섬유로서 이용되는 고분자량의 고체 중합체로서, 인장강도와 충격강도, 표면강도가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1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에 방염안료가 혼합되어, 폴리에스테르사로 방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1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상기 폴리 에스테르사가 복수 개로 합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100 단계에서 복수 개의 위사와 경사가 제조되면,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기로 공급하여,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한다(S200).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2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각각 위사 공급부 및 경사 공급부로 공급되며, 직조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위사 공급부 또는 경사 공급부에서 각각 소정의 장력을 주면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2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직조기는, 상기 위사의 층이 적어도 2층 이상이 되도록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사의 층이 3층을 이루도록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S200 단계에서 상기 위사와 경사가 직조되면, 상기 경사의 연장된 부분을 서로 엇갈리도록 꼬은다(S300).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3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인접한 경사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한 쌍의 경사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엇갈리게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시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엇갈리게 꼬여진 부분에 흡착되며, 분진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3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인접한 경사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한 쌍의 경사가 ‘X’ 자 형상을 복수 번 배치한 형상으로 복수 회 서로 엇갈리게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300 단계에서 상기 경사가 서로 엇갈리게 꼬여지면, 상기 경사를 연장된 부위에 위사를 공급하고, 상기 S200 단계와 상기 S300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기 설정된 크기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을 완성한다(S400).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위사/경사 제조 단계의 세부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와 방염안료 방사기의 실린더에 투입한 후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와 방염안료를 혼합 용융시킨다(S110).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110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방염안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에 대하여 3 중량% 내지 6 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110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방사기는, 용융온도 200℃ 내지 250℃의 온도범위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와 방염안료가 혼합되어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110 단계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와 방염안료가 혼합 용융되면, 상기 방염안료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원재료를 폴리에스테르사로 방사한다(S120).
상술한 S120 단계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가 방사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를 복수 가닥 합사하여 위사 또는 경사를 제조한다(S130). 여기서,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각각 상기 위사 공급부 또는 경사 공급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120 단계에서, 상기 합사되는 폴리에스테르사의 개수는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사의 개수에 따라 상기 위사 또는 경사의 굵기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폴리에스테르사가 합사된 위사 또는 경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탄탄한 위사와 경사를 적용하여, 간단한 제직 구조로 제직하여도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은, 경사와 위사를 직조한 후에 경사를 서로 엇갈리도록 꼬아줌으로써, 제직 방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S200 단계 이후에, 상기 경사를 각각 나선 형상으로 꼬은다(S500). 상기 경사를 나선 형상으로 꼬음으로써, 상기 경사가 일방향으로 길이를 신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5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적어도 2회 이상 나선 형상으로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5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인접한 다른 경사와 중첩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5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사의 나선 형상으로 꼬여진 부분은,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나선 형상을 유지하며 꼬인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기 경사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제공되면 상기 나선 형상이 풀어지면서 길이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200 단계 이후에, 상기 경사를 각각 고리를 형성하도록 꼬으기 위한 고리 형성한다(S600). 상기 경사에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리에 시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고리에 흡착되며, 분진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6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적어도 1회 이상 고리를 형성하도록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400 단계와 상술한 S500 단계의 순서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300 단계 이후에, 상기 S200 내지 S300 단계를 반복하여, 기 설정된 크기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을 완성한다(S40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은, 경사의 나선 구조와 고리 구조를 구현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함으로써,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분진을 차단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어, 작업자에게 분진이 가해지거나 시공 장소 이외의 장소로 분진이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0: 위사/ 경사 제조단계
S110: 방염안료 혼합용융과정
S120: 폴리에스테르사 방사과정
S130: 폴리에스테르사 합사과정
S200: 직조 단계
S300: 꼬음 단계
S400: 반복 단계
S500: 나선 꼬음단계
S600: 고리 형성단계

Claims (5)

  1. 복수 개의 위사와 경사를 제조하는 위사/경사 제조단계;
    상기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기 위한 직조단계;
    상기 경사를 서로 엇갈리도록 꼬으기 위한 꼬음단계; 및
    상기 직조 단계와 꼬음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사/경사 제조 단계는,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에 방염안료를 혼합하여 용융하는 방염안료 혼합 용융과정;
    상기 방염안료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원재료를 폴리에스테르사로 방사하는 폴리에스테르사 방사과정;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를 복수 가닥 합사하여 위사 또는 경사를 제조하는 폴리에스테르사 합사과정를 포함하며,
    상기 직조단계 이후에,
    상기 경사를 인접한 다른 경사와 중첩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꼬으기 위한 나선 꼬음단계;
    상기 경사를 각각 고리를 형성하도록 꼬으기 위한 고리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 형성단계에서,
    상기 경사는 적어도 1회 이상 고리를 형성하도록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안료 혼합 용융과정에서, 상기 방염안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재료에 대하여 3 중량% 내지 6 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KR1020180115667A 2018-09-28 2018-09-28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KR10200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67A KR102001411B1 (ko) 2018-09-28 2018-09-28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67A KR102001411B1 (ko) 2018-09-28 2018-09-28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11B1 true KR102001411B1 (ko) 2019-07-18

Family

ID=674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667A KR102001411B1 (ko) 2018-09-28 2018-09-28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541A (ja) * 1995-10-05 1996-04-30 Toray Ind Inc 建築工事用メッシュ織物
KR20010036774A (ko) 1999-10-11 2001-05-07 강백구 수직 및 수평보호망의 일체식 시공법
KR100947542B1 (ko) 2007-12-26 2010-03-12 주식회사 이앤에쓰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이용한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과 그 제직공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541A (ja) * 1995-10-05 1996-04-30 Toray Ind Inc 建築工事用メッシュ織物
KR20010036774A (ko) 1999-10-11 2001-05-07 강백구 수직 및 수평보호망의 일체식 시공법
KR100947542B1 (ko) 2007-12-26 2010-03-12 주식회사 이앤에쓰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이용한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과 그 제직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5025A (en) Fabric form consisting of multilayer fabric and composite structure made by using fabric form
KR100947542B1 (ko)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이용한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과 그 제직공정
KR101729954B1 (ko) 산업용 pet사 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1229800B1 (ko)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KR102001411B1 (ko)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EP2900776B1 (en) Flame retardant pigment paste composition
KR101728305B1 (ko) 친환경 수직 및 수평보호망
JP2007146342A (ja) 養生メッシュシート
KR100339669B1 (ko)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KR100324502B1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KR101701605B1 (ko) 건축용 낙하물방지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방지망
JPH05287666A (ja) メッシュシート
KR20020027162A (ko) 추락 또는 낙하방지용 안전 방망
KR101031213B1 (ko) 건설공사 가설용 안전망
JP7260600B2 (ja) 垂直保護網
KR102415881B1 (ko) 방염성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염성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사
KR102282709B1 (ko) 마찰성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EP098921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eogrid
KR102519926B1 (ko) 재생폴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 합연사(合撚絲)를 경사와 위사로 하는 방충망 제조방법
KR102207693B1 (ko) 수직보호망
KR102213136B1 (ko) 수직보호망
CN106988547A (zh) 一种经编建筑安全防护网
JPH02229263A (ja) 格子状合成繊維編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93931A (ko) 폴리에틸렌 방염 안전보호망
JPH10311036A (ja) 土木建築用シ−ト及び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