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669B1 -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 Google Patents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669B1
KR100339669B1 KR1020010017519A KR20010017519A KR100339669B1 KR 100339669 B1 KR100339669 B1 KR 100339669B1 KR 1020010017519 A KR1020010017519 A KR 1020010017519A KR 20010017519 A KR20010017519 A KR 20010017519A KR 100339669 B1 KR100339669 B1 KR 10033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ing
safety
safety net
mesh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849A (ko
Inventor
강백구
Original Assignee
자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6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가설재로 설치되는 안전망으로서, 고소작업중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고소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작업중 추락 또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망사를 구비하는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망사가 중량평균분자량 200,000∼450,000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다수개의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제조된 강도가 5.0g/de이상의 고강력사인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라셀편직물이고, 상기 라셀편직물의 그물코의 길이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안전망은 경량이면서도 우수한 인장강도와 신축성 등으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가설재로 설치되어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고소에서의 낙하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고소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설치가 용이하며 생산원가가 저렴한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Safty net for protecting from falling}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고소 작업중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고소에서의 낙하물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공사 현장의 외벽 외측으로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설치하는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현장에서 고소작업중 각재·판재·공구류 등과 같은 낙하물로부터 행인을 보호하고, 또한 고소작업자의 추락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가설재로서, 건물의 외벽 외측으로 비스듬히 또는 수평으로 안전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망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은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이 찢어지지 아니하여야 하고 그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신축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전망의 소재로는 주로 나일론 섬유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섬유가 이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섬유가 이용되고 있고, 외국에서는 주로 나일론 섬유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일론 섬유는 자외선에 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나일론 섬유로 제작된 안전망은 자외선 노출에 따른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염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염색공정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을 떨어뜨려 처지게 되므로 안전망의 품질 및 안전성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따라서, 나일론 섬유로 제작된 안전망을 설치할 때에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처짐제어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나일론 섬유는 그 가격이 고가이므로 생산원가가 높은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또한, 염색이 불가능해 제품을 오래 사용할 경우 먼지가 많이 붙어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단점도 있다.폴리에틸렌 섬유는 인장강도가 나일론 섬유에 비해 낮으나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국내 건설공사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은 충격을 흡수하는 성능이 매우 불량하여 고소작업자의 추락과 같이 안전망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인장강도가 약하여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인명사고를 야기할 가능성이 큰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종래 고밀도폴리에틸렌 안전망으로 검정기준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 검정신청된 것들중 유일하게 검정을 통과한 제품은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한 310합/360데니어 개구리매듭 제품이다.그러나, 이러한 개구리매듭 안전망은 설치후에 각종 장애물에 엉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제품이 굵고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건설현장에서 이를 설치하는 것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또한, 개구리매듭 안전망을 제조하는 장치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낮아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전성이 대폭 향상되고 경량이며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저렴한 새로운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을 상상하지 못했던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를 소재로 안전망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라셀편직한 안전망이 경량이면서도 인장강도와 신축성 등이 우수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생산원가가 저렴한 등의 장점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도1a와 도1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망의 바람직한 망사조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a는 망사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b는 망사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안전망이 낙하물 방지를 위하여 건물공사현장의 외벽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안전망이 고소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하여 건물공사현장의 외벽 외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망사를 구비하며, 추락 또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망사가 중량평균분자량 200,000∼ 450,000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다수개의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제조된 강도가 5.0g/de이상의 고강력사인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라셀편직물이고, 상기 라셀편직물의 그물코의 길이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안전망의 망사 소재로 중량평균분자량 200,000∼450,000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다수개의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제조된 강도가 5.0g/de이상의 고강력사인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한다는 것과, 망사가 1∼5㎝의 그물코의 길이를 갖는 라셀망 구조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망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는 강도가 5.0g/de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g/de이상인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가 특히 효과적이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적합한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는 중량평균분자량 바람직하게는 200,00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450,000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다수개의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원료 폴리머인 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가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안정성을 부여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자외선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을 용융방사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용융방사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전망에서, 망사는 매듭이 없는 라셀구조의 망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1a 및 도1b에 예시되는 망사조직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를 위하여 지지재 및 연결재 등에 의해 시공중인 건물의 외벽에 가설재로 비스듬히 설치하는데 적합하고,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층에서 작업자 또는 어린이 등이 추락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공사현장에서 수평하게 설치하는데 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망은 추락 방지망이나 낙하물 방지망으로 구성시킬 경우 인장강도를 50㎏f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f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감속도를 1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도1a 및 도1b의 라셀망은 라셀경편기(raschel warp knitting machine) 또는 후렌치기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도1a 및 도1b의 라셀망에서, 그물코의 길이(망목 한변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3㎝로 그물코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물코의 길이가 너무 길면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가 불충분하게 되고 너무 짧으면 제조단가가 비싸져 그 효용성이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안전망은 망사의 테두리에 지지재 또는 연결재에 설치고정하기 위한 결합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결합부는 망사의 테두리에 로우프를 결착시켜 형성시키거나 또는 망사의 테두리 양면에 길다란 섬유보강 합성수지 필름을 결합시키고 테두리의 소정 위치에 로우프를 연결하기 위한 아일렛을 부여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안전망에 사용하기 위한 로우프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를 꼬아서 만들 수 있으며, 합성섬유로 제조된 로우프의 경우에는 소재가 폴리에틸렌 섬유·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이 적당하다. 특히 망사의 소재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제조된 로우프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망에는 방염성을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안전망에 방염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난연제를 함유하는 방염조성물을 망사를 편성하기 전에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에 부여하거나 또는 편성된 망사에 부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방염조성물에 함유되는 난연제로는, 인계 난연제·안티모니계 난연제·브롬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방염조성물중 인계난연제는 2∼10부피%의 함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적당하며, 안티모니계 난연제는 인계난연제에 대해 0.5∼2중량%의 함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인계난연제의 예로는, 트리스-[(2-클로로-1-클로로메틸)에틸]포스페이트·테트라키스(히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디암모늄 하이드로겐 오르토포스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트리스-[(2-클로로-1-클로로메틸)에틸]포스페이트이다.트리스-[(2-클로로-1-클로로메틸)에틸]포스페이트의 시중구입가능한 예로는 안티블레이저 티디시피(ANTIBLAZER TDCP, Wilson사 제품)가 있다. 안티모니계 난연제로는,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안티모니 테트라옥사이드·안티모니텐톡사이드·안티모니 할라이드 및 소다 안티모네이트 등이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망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충격흡수에 효과적이고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고소에서의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편리한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 300,000∼450,000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한 후 노즐수가 130개인 방사장치에서 방사하여 얻은 강도 6g/de, 단사섬도 10데니아의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필라멘트수 130개)를 라셀경편기의 9개의 바에 각각 공급하여 도1a 및 도1b에 도시하는 망사조직으로 라셀편직하였다. 얻어진 라셀망은 그물코 길이가 19㎜이었으며, 그물코 한변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수는 1,170개이었다.
제조된 안전망의 인장강도 및 낙추성능 시험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인장시험조건: 인장시험속도 15㎝/분∼30㎝/분 범위내에서 수행하였다.
* 낙추성능시험조건: 달기로우프를 이용하여 시험 안전망의 4모서리 및 각변 중앙부를 낙추시험설비의 달기도구에 연결하고, 90㎏의 추를 안전망으로부터 2.25m의 높이에서 안전망의 중앙부로 낙하시켜 추의 감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필라멘트수 130개)를 라셀경편기의 9개의 바에 각각 공급하여 도1a 및 도1b에 도시하는 망사조직으로 라셀편직하였다. 얻어진 라셀망은 그물코의 길이가 22㎜이었으며, 그물코 한변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수는 1,300개이었다.
제조된 안전망의 인장강도 및 낙추성능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품목 검정항목 기준치 판정
실시예 1 낙하물 방지망 인장강도 최소치: 44.3㎏f이상평균치: 49.3㎏f이상 64㎏f
낙추성능시험 감속도 15 이하 11.7
실시예 2 추락 방지망 인장강도 최소치: 44.3㎏f이상평균치: 49.3㎏f이상 77㎏f
낙추성능시험 감속도 15 이하 11.7
[실시예 3]
실시예 1의 라셀 안전망에 3부피%의 우레탄수지와 4부피%의 인계난연제인 안티블레이저 티디시피(ANTIBLAZER TDCP, Wilson사 제품)를 유기용제인 DMF에 용해시켜 제조한 방염조성물을 분무하고, 최초온도 70℃의 전열기를 통과시켜 열건조하였다.열건조된 섬유를 60∼80℃의 공기로 건조한 후 10∼20℃의 찬 공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방염처리된 라셀 안전망을 한국소방검정공사에 검사의뢰한 결과, 표 2와 같은 평가결과를 받았다.
평가항목 평가기준 평가결과
위험기계·기구방호장치 성능검정 잔염시간 3초이내 0.0
잔신시간 5초이내 0.0
탄화면적 30㎠이내 6.3㎠
탄화길이 10㎝이내 3.1㎝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강력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한 라셀조직의 망사를 구비하는 안전망은 경량이면서도 우수한 인장강도와 신축성 등을 보유하여, 건설공사 현장에서 고소작업자의 추락 또는 고소에서의 낙하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고소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며 생산원가가 저렴한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고소작업중 추락 또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망사를 구비하는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망사가 중량평균분자량 200,000∼450,000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다수개의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제조된 강도가 5.0g/de이상의 고강력사인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라셀편직물이고, 상기 라셀편직물의 그물코의 길이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가 강도 6.0g/de이상의 고강력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사가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을 용융방사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용융방사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가 조성물의 부피기준으로 2∼10부피%의 인계난연제와 인계난연제의 중량기준으로 0.5∼2중량%의 안티모니계 난연제를 함유하는 방염조성물로 방염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KR1020010017519A 2000-04-07 2001-04-03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KR10033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519A KR100339669B1 (ko) 2000-04-07 2001-04-03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8350 2000-04-07
KR1020000018350 2000-04-07
KR1020010017519A KR100339669B1 (ko) 2000-04-07 2001-04-03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49A KR20010067849A (ko) 2001-07-13
KR100339669B1 true KR100339669B1 (ko) 2002-06-07

Family

ID=2663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519A KR100339669B1 (ko) 2000-04-07 2001-04-03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800B1 (ko) * 2010-06-03 2013-02-05 강백구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KR101505919B1 (ko) 2013-10-23 2015-03-25 강백구 무 매듭형 라셀 편직 안전 그물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19A (ko) * 2000-10-04 2001-01-05 강백구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전방망
KR101443775B1 (ko) * 2014-04-14 2014-09-30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씨 친환경 고강력 건축용 안전 보호망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8241A (ko) 2017-08-14 2019-02-22 권현중 벌집형 거미줄 추락방지망
KR102000570B1 (ko) 2017-12-05 2019-07-17 김재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7297A (en) * 1975-12-22 1977-06-29 Toray Industries Production of fire retarding synthetic fiber with excelent washing fastness
JPH03137255A (ja) * 1989-10-20 1991-06-11 Toray Ind Inc 安全ネット
JPH04333612A (ja) * 1991-01-17 1992-11-20 Ube Nitto Kasei Co Ltd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繊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7297A (en) * 1975-12-22 1977-06-29 Toray Industries Production of fire retarding synthetic fiber with excelent washing fastness
JPH03137255A (ja) * 1989-10-20 1991-06-11 Toray Ind Inc 安全ネット
JPH04333612A (ja) * 1991-01-17 1992-11-20 Ube Nitto Kasei Co Ltd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繊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800B1 (ko) * 2010-06-03 2013-02-05 강백구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KR101505919B1 (ko) 2013-10-23 2015-03-25 강백구 무 매듭형 라셀 편직 안전 그물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49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542B1 (ko) 선방염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이용한건축용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과 그 제직공정
KR101229800B1 (ko)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US10544527B2 (en) Fabric and clothing having flame retardancy and high visibility
KR100339669B1 (ko)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CN107429493B (zh) 防火人造草坪
KR101443775B1 (ko) 친환경 고강력 건축용 안전 보호망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7162A (ko) 추락 또는 낙하방지용 안전 방망
EP2900776B1 (en) Flame retardant pigment paste composition
JP2007146342A (ja) 養生メッシュシート
CN108590212A (zh) 一种高强度阻燃型耐冲击可重复使用的安全防护网
KR101701605B1 (ko) 건축용 낙하물방지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방지망
KR20150113888A (ko) 친환경 수직 및 수평보호망
KR102001411B1 (ko)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낙하물 방지망
JP7260600B2 (ja) 垂直保護網
JPH03137255A (ja) 安全ネット
KR102415881B1 (ko) 방염성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염성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사
JP4622538B2 (ja) コンクリート落下防止ネット
KR101763301B1 (ko) 건설공사장 수직보호망
KR101678630B1 (ko)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KR102374371B1 (ko) 친환경 건축용 수직형 추락방지망
KR102213136B1 (ko) 수직보호망
KR102207693B1 (ko) 수직보호망
KR101505919B1 (ko) 무 매듭형 라셀 편직 안전 그물망
KR200225479Y1 (ko) 건축공사장용 수직보호망
KR100997443B1 (ko)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공사용 수직보호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423

Effective date: 200504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30000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423

Effective date: 200504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524

Effective date: 2006101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3004157;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524

Effective date: 2006101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3003373;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1030

Effective date: 200702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3003373;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1030

Effective date: 200702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6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