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693B1 - 수직보호망 - Google Patents

수직보호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693B1
KR102207693B1 KR1020200093839A KR20200093839A KR102207693B1 KR 102207693 B1 KR102207693 B1 KR 102207693B1 KR 1020200093839 A KR1020200093839 A KR 1020200093839A KR 20200093839 A KR20200093839 A KR 20200093839A KR 102207693 B1 KR102207693 B1 KR 10220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vertical protection
warp
fineness
protectio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만
이동호
송원철
Original Assignee
이성만
이동호
송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만, 이동호, 송원철 filed Critical 이성만
Priority to KR102020009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93B1/ko
Priority to JP2021123364A priority patent/JP726060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7UV radiation protec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수직보호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보호망{Vertical protection net}
본 발명은 수직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수직보호망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현장에서는 작업자의 낙하 및 추락, 각종 공구 등의 낙하물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 및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건물 축조 시 보호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보호망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방염성이 우수하며, 모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건축 공사 시 수직보호망의 경우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빛을 받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우수한 일광견뢰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직보호망의 경우 소정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하더라도 방염성이 좋지 않거나, 방염성이 우수하더라도 일관견뢰도가 좋지 않은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수직보호망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2001-0090349 A (공개일: 2001.1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수직보호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사; 위사; 및 상기 경사 및 위사를 엮도록 배치되고, 심사 및 상기 심사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상기 경사, 위사 및 심사 보다 융점이 낮은 피복부를 포함하는 가융착사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되어 형성된 그라운드사;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하는 수직보호망을 제공한다.
(1)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1
(2)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2
이때, 상기 a는 경사 또는 위사의 섬도(De), b는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탄화길이(cm) 및, c는 ISO 105 B02 : 2014 제논아크법으로 측정한 일광견뢰도(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1)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3
(2)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4
임.
또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50 ~ 3000 D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호망은 탄화길이가 2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호망은 일광견뢰도가 7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호망은 경사 배설방향의 양끝단 및 위사 배설방향의 양끝단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평균 값이 0.5 ~ 2.5 KN일 수 있다.
또한, KS F 8081 : 2018, C.R.E, 스트립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및 위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평균 값이 0.4 ~ 2.4 KN일 수 있다.
또한,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잔염시간이 4초 이하이고, 잔진시간이 6초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보호망에서 그라운드사의 배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보호망에서 그라운드사의 배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보호망에서 그라운드사의 배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은, 경사(10); 위사(20); 및 상기 경사(10) 및 위사(20)를 엮도록 배치되고, 심사 및 상기 심사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상기 경사(10), 위사(20) 및 심사 보다 융점이 낮은 피복부를 포함하는 가융착사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되어 형성된 그라운드사(3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직보호망(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이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사 및 위사의 섬도가 낮을 경우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가 저하될 수 있고, 경사 및 위사의 섬도가 높을 경우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탄화길이가 길 경우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일광견뢰도가 낮을 경우 기계적 물성,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은 하기 조건 (1) 및 (2)를 모두 만족한다.
조건 (1)로써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5
이고,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6
일 수 있으며, 조건 (2)로써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7
이고,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8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a는 경사 또는 위사의 섬도(De), b는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탄화길이(cm) 및, c는 ISO 105 B02 : 2014 제논아크법으로 측정한 일광견뢰도(급)이다.
만일 상기 조건 (1)에서
Figure 112020078994014-pat00009
가 11.1을 초과하면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조건 (2)에서
Figure 112020078994014-pat00010
가 6.1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직보호망(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경사(1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아크릴레이트계 섬유 등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10)는 멀티필라멘트 및 모노필라멘트를 혼재해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노필라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물성과 일광견뢰도 측면에서 모노필라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10)는 상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하도록 섬도가 250 ~ 3000 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 ~ 2200 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경사의 섬도가 250 De 미만이면 수직보호망의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가 저하될 수 있고, 섬도가 3000 De를 초과하면 수직보호망의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위사(2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아크릴레이트계 섬유 등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사(20)는 멀티필라멘트 및 모노필라멘트를 혼재해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노필라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물성과 일광견뢰도 측면에서 모노필라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사(20)는 상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하도록 섬도가 250 ~ 3000 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 ~ 2200 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경사의 섬도가 250 De 미만이면 수직보호망의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가 저하될 수 있고, 섬도가 3000 De를 초과하면 수직보호망의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10) 및 위사(20)를 엮도록 배치되고, 심사 및 상기 심사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상기 경사(10), 위사(20) 및 심사 보다 융점이 낮은 피복부를 포함하는 가융착사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라운드사(30)의 심사 및 피복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아크릴레이트계 섬유 등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의 융점은 상기 경사(10), 위사(20) 및 심사 보다 낮고,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피복부의 융점이 190℃를 초과하면 소정의 열처리를 통해 가융착사의 적어도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융착시킬 수 없고, 경사, 위사 및 심사가 먼저 용융될 수 있음에 따라 기계적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사(3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도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30 ~ 350 De,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50 ~ 300 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그라운드사의 섬도가 30 De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를 발현할 수 없고, 섬도가 350 De를 초과하면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운드사는 상술한 가융착사가 융착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보호망에 구비되는 경사, 위사 및 그라운드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가 상호 엮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경사 및 위사를 엮도록 그라운드사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직물조직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보호망에 구비되는 경사, 위사 및 그라운드사는, 성가 경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사가 배치되고, 상기 경사 및 위사를 엮도록 그라운드사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보호망에 구비되는 경사 및 위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1인치당 9 ~ 28 가닥의 배치폭으로, 바람직하게는 1인치당 10 ~ 26 가닥의 배치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경사 및 위사의 배치폭이 1 인치당 9 가닥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없고, 1인치당 28 가닥을 초과하면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보호망(100)은 경사 배설방향의 양끝단 및 위사 배설방향의 양끝단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보호망을 건설공사 현장에 적용 시, 수직보호망의 설치를 위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수직보호망은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평균 값이 0.5 ~ 2.5 K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2.2 KN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연결부의 인장하중이 0.5 KN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를 발현할 수 없고, 인장하중이 2.5 KN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은 상술한 조건 (1)을 만족하도록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21℃ 및 상대습도 52%의 조건에서 측정한 탄화길이(cm)가 2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탄화길이가 22㎝를 초과하면 수직보호망의 방염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은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21℃ 및 상대습도 52%의 조건에서 측정한 잔염시간이 4초 이하이고, 잔진시간이 6초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잔염시간이 3초 이하이고, 잔진시간이 5초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잔염시간이 1초 이하이고, 잔진시간이 1초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잔염시간이 4초를 초과하고 잔진시간이 6초를 초과하면 수직보호망의 방염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은 상술한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하도록 ISO 105 B02 : 2014 제논아크법으로 측정한 일광견뢰도가 7급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급 이상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일광견뢰도가 7급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를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100)은 KS F 8081 : 2018, C.R.E, 스트립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및 위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평균 값이 0.4 ~ 2.4 K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 2.1 KN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경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및 위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평균 값이 0.4 KN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 및 일광견뢰도를 발현할 수 없고, 인장강도가 2.4 KN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방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호망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다. 이때, 하기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직보호망의 제조>
먼저, 경사로 섬도가 1300 De인 PET 섬유를 공급하고, 위사로 섬도가 1300 De인 PET 섬유를 공급하되, 상기 경사 하부로 위사가 지나가도록 공급하고, 심사로 PET 섬유 표면에 융점이 17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피복부를 포함하는 섬도가 170De인 가융착사를 공급하여, 상기 경사 및 위사를 도 3과 같이 엮도록 원단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온도 200℃ 및 분당 30m 속도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가융착사를 융착시켜서 그라운드사를 형성하고, 경사 배설방향의 양끝단 및 위사 배설방향의 양끝단에 알루미늄과 동으로 이루어진 아일렛으로 연결부를 형성시켜서 수직보호망을 제조하였다. 이때, 경사 및 위사는 각각 1인치당 18 가닥의 배치폭으로 구비되었다. 또한, 이때 연결부는 아일렛 간의 간격이 300㎜, 아일렛의 안지름이 15㎜ 및 수직보호망 가장자리에서 아일렛 중심까지의 거리는 25㎜였다.
<실시예 2 ~ 19 및 비교예 1 ~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경사의 섬도, 위사의 섬도, 경사와 위사의 배치폭, 합사여부 및 그라운드사 섬도 등을 변경하여 표 1 내지 표 4와 같은 수직보호망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수직보호망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수직보호망에 대하여 KS F 8081 : 2018, C.R.E, 스트립법에 의거하여 경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및 위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2. 연결부의 인장하중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수직보호망에 대하여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20℃ 및 상대습도 65%의 조건에서 경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3. 방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수직보호망에 대하여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21℃ 및 상대습도 52%의 조건에서 잔염시간, 잔진시간, 탄화길이를 측정하여 방염성을 평가하였다.
4. 일광견뢰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수직보호망에 대하여 제논아크법(ISO 105 B02 : 2014, 방법 3 준용, 노출사이클 A1)에 의거하여 일광견뢰도 측정장치(ATLAS Weather Ometer)를 통해 일광견뢰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경사 섬도(De) 1300 300 2200 3500 1300 1300
위사 섬도(De) 1300 1300 1300 1300 300 2200
경사 및 위사 합사여부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배치폭(1인치당 가닥수) 18 18 18 18 18 18
그라운드사 섬도(De) 170 170 170 170 170 170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인장강도 평균(KN) 1.81 0.98 1.84 1.83 0.82 1.82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평균(KN) 1.85 1.43 1.88 1.85 1.43 1.99
방염성 잔염시간(초) 0 0 0 5 0 0
잔진시간(초) 0 0 0 7 0 0
탄화길이(cm) 4.2 3.9 6.5 11.3 3.9 6.6
일광견뢰도(급) 8 8 8 8 8 8
조건 (1) 경사 섬도 적용 5.03 2.65 6.67 8.81 4.99 5.33
위사 섬도 적용 5.03 4.99 5.32 5.92 2.65 6.69
조건 (2) 경사 섬도 적용 10.1 6.99 11.51 12.93 10.1 10.1
위사 섬도 적용 10.1 10.1 10.1 10.1 6.99 11.51
구분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경사 섬도(De) 1300 300 2200 3500 1300 1300
위사 섬도(De) 3500 300 2200 3500 1300 1300
경사 및 위사 합사여부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배치폭(1인치당 가닥수) 18 18 18 18 7 10
그라운드사 섬도(De) 170 170 170 170 170 170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인장강도 평균(KN) 2.27 0.65 1.96 2.55 0.48 1.08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평균(KN) 2.37 1.19 2.18 2.52 1.08 1.43
방염성 잔염시간(초) 5 0 0 7 0 0
잔진시간(초) 7 0 0 9 0 0
탄화길이(cm) 11.1 3.3 6.8 13.9 3.9 4.1
일광견뢰도(급) 8 8 8 8 8 8
조건 (1) 경사 섬도 적용 5.89 3.01 6.71 9.13 4.99 5.02
위사 섬도 적용 8.78 3.01 6.71 9.13 4.99 5.02
조건 (2) 경사 섬도 적용 10.1 6.99 11.51 12.93 10.1 10.1
위사 섬도 적용 12.93 6.99 11.51 12.93 10.1 10.1
구분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경사 섬도(De)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위사 섬도(De)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경사 및 위사 합사여부 모노사 모노사 12가닥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배치폭(1인치당 가닥수) 26 30 18 18 18 18
그라운드사 섬도(De) 170 170 170 15 50 300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인장강도 평균(KN) 1.86 2.23 1.15 0.37 1.12 1.98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평균(KN) 1.89 2.29 1.47 0.44 1.46 1.92
방염성 잔염시간(초) 0 5 0 0 0 0
잔진시간(초) 0 7 0 0 0 0
탄화길이(cm) 6.7 10.9 10.9 3.9 4.0 5.9
일광견뢰도(급) 8 8 6 8 8 8
조건 (1) 경사 섬도 적용 5.34 5.87 7.83 4.99 5.01 5.24
위사 섬도 적용 5.34 5.87 7.83 4.99 5.01 5.24
조건 (2) 경사 섬도 적용 10.1 10.01 9.40 10.01 10.1 10.1
위사 섬도 적용 10.1 10.01 9.40 10.1 10.1 10.1
구분 실시예19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경사 섬도(De) 1300 200 1300 200
위사 섬도(De) 1300 1300 200 200
경사 및 위사 합사여부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모노사
배치폭(1인치당 가닥수) 18 18 18 18
그라운드사 섬도(De) 400 170 170 170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인장강도 평균(KN) 2.13 0.44 0.44 0.34
경사 배설방향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평균(KN) 2.26 1.02 1.04 0.39
방염성 잔염시간(초) 3 0 0 0
잔진시간(초) 7 0 0 0
탄화길이(cm) 10.4 3.3 3.3 3.2
일광견뢰도(급) 8 6 6 5
조건 (1) 경사 섬도 적용 5.81 2.90 6.56 3.46
위사 섬도 적용 5.81 6.56 2.90 3.46
조건 (2) 경사 섬도 적용 10.1 5.88 9.40 5.62
위사 섬도 적용 10.1 9.40 5.88 5.62
상기 표 1 내지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의 섬도, 위사의 섬도, 경사와 위사의 배치폭, 합사여부 및 그라운드사 섬도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 7, 9, 10, 13 및 14가, 이 중에서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8, 11, 12, 15 및 비교예 1 ~ 7에 비하여 기계적 물성, 방염성 및 일광견뢰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수직보호망
10: 경사
20: 위사
30: 그라운드사

Claims (9)

  1. 경사;
    위사; 및
    상기 경사 및 위사를 엮도록 배치되고, 심사 및 상기 심사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상기 경사, 위사 및 심사 보다 융점이 낮은 피복부를 포함하는 가융착사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되어 형성된 그라운드사;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하며,
    상기 경사 및 위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300 ~ 2200 De인 수직보호망:
    (1)
    Figure 112020120634327-pat00011

    (2)
    Figure 112020120634327-pat00012

    이때, 상기 a는 경사 또는 위사의 섬도(De), b는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탄화길이(cm) 및, c는 ISO 105 B02 : 2014 제논아크법으로 측정한 일광견뢰도(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하는 수직보호망:
    (1)
    Figure 112020078994014-pat00013

    (2)
    Figure 112020078994014-pat00014
    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호망은 탄화길이가 22㎝ 이하인 수직보호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호망은 일광견뢰도가 7급 이상인 수직보호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호망은 경사 배설방향의 양끝단 및 위사 배설방향의 양끝단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수직보호망.
  7. 제6항에 있어서,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 및 위사 배설방향 연결부의 인장하중의 평균 값이 0.5 ~ 2.5 KN인 수직보호망.
  8. 제1항에 있어서,
    KS F 8081 : 2018, C.R.E, 스트립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및 위사 배설방향의 인장강도 평균 값이 0.4 ~ 2.4 KN인 수직보호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호망은,
    KS F 8081 : 2014에 의거하여 측정한 잔염시간이 4초 이하이고, 잔진시간이 6초 이하인 수직보호망.
KR1020200093839A 2020-07-28 2020-07-28 수직보호망 KR10220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39A KR102207693B1 (ko) 2020-07-28 2020-07-28 수직보호망
JP2021123364A JP7260600B2 (ja) 2020-07-28 2021-07-28 垂直保護網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39A KR102207693B1 (ko) 2020-07-28 2020-07-28 수직보호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693B1 true KR102207693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39A KR102207693B1 (ko) 2020-07-28 2020-07-28 수직보호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6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31Y1 (ko) * 1987-01-26 1990-05-12 송기정 몰드 금형의 성형품 공기 주입구 밀폐장치
KR920009553U (ko) * 1990-11-28 1992-06-16 설경수 필름을 기재롤 하는 가열용착형 망지
KR20010090349A (ko) 2000-03-24 2001-10-18 김종권 가이드 후레임과 윈치를 이용한 수직보호망 설치장치
KR101797525B1 (ko) * 2017-05-24 2017-11-15 정일환 저융점사로 엣지를 형성한 루핑시트용 원단
KR20180040750A (ko) * 2016-10-12 2018-04-23 대코시스템(주) 황사청정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31Y1 (ko) * 1987-01-26 1990-05-12 송기정 몰드 금형의 성형품 공기 주입구 밀폐장치
KR920009553U (ko) * 1990-11-28 1992-06-16 설경수 필름을 기재롤 하는 가열용착형 망지
KR20010090349A (ko) 2000-03-24 2001-10-18 김종권 가이드 후레임과 윈치를 이용한 수직보호망 설치장치
KR20180040750A (ko) * 2016-10-12 2018-04-23 대코시스템(주) 황사청정망
KR101797525B1 (ko) * 2017-05-24 2017-11-15 정일환 저융점사로 엣지를 형성한 루핑시트용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167A (zh) 稳定且加固的土建结构及其制造方法
JPWO2016152814A1 (ja) 布帛および衣料
EP2981656A1 (en) A structure for the reinforcement of pavements comprising assemblies of grouped metal filaments in a parallel position
KR102207693B1 (ko) 수직보호망
KR102213136B1 (ko) 수직보호망
DE60216062T2 (de) Verstärktes gewebe
KR102220072B1 (ko) 실크융착사와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를 혼합한 구조물 보강용 직물
JP4319627B2 (ja) 縦糸伸縮性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10222B2 (ja) メッシュ及び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材
EP2900776B1 (en) Flame retardant pigment paste composition
JP7260600B2 (ja) 垂直保護網
CN105970441A (zh) 一种高强度耐磨帆布
US20230028366A1 (en) Heating fabric for curing inner wall concrete, and method for curing inner wall concrete by using same
US20230332422A1 (en) Heat generating fabric for curing outer wall concrete and outer wall concrete curing method using same
CN214522455U (zh) 一种功能面料
KR102589612B1 (ko) 동절기용 복합 수직보호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9669B1 (ko)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용 안전망
JPH05287666A (ja) メッシュシート
KR102148946B1 (ko) 권취성이 향상된 원단 및 이를 포함하여 구현된 물품
KR101358394B1 (ko)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KR102079198B1 (ko) 권취성이 향상된 원단 및 이를 포함하여 구현된 물품
KR102238119B1 (ko) 내마모성 원단용 심초형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원단
CN216972772U (zh) 一种功能面料用纱线
KR20240045128A (ko) 리사이클 가능한 광고용 원단,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강재 및 섬유 강화 콘크리트
CN214458590U (zh) 一种超轻超阻燃遮阳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