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275B1 -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 Google Patents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275B1
KR101551275B1 KR1020150050755A KR20150050755A KR101551275B1 KR 101551275 B1 KR101551275 B1 KR 101551275B1 KR 1020150050755 A KR1020150050755 A KR 1020150050755A KR 20150050755 A KR20150050755 A KR 20150050755A KR 101551275 B1 KR101551275 B1 KR 10155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yarn
yarns
knitting yarn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최종인
김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주산업
김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주산업, 김진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주산업
Priority to KR102015005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방망(2)으로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제1,제2 엮음경사(6)(8)를 함께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경사 2가닥이 상호간 고리연결에 미관여한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존재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둘 이상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엮임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제1,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안전방망의 중량이 기존의 동일 인장강도를 갖는 방망에 비해서 적게 나가게 해주어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또 현장설치시 작업성도 용이하다.

Description

건축공사용 안전망방{SAFETY NET}
본 발명은 망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락방지와 분진 등의 미세먼지로부터 보호, 방음 및 보온을 위해 건설공사현장에 설치되는 안전방망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현장에서는 작업자의 낙하 및 추락, 각종 공구등의 낙하물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 및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건물 축조시 안전방망이 설치된다.
안전사고에 대비하려면 안전방망의 강도가 높아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신축성도 뛰어나며 모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안전망방의 구조는 끊어짐, 풀림, 뒤틀림, 얼룩, 벗겨짐, 일그러짐 등이 없는 구조라야 한다.
이러한 안전망방의 구현 일예로서는 아래 언급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0934호 "다중구조 안전망"(특허문헌1)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소재를 사용하고 이중겹으로 제작하여 강도 및 신축성을 향상시키며, 실이 더욱 굵어지고 조밀하게 꼬이므로 소음을 방지하고 미세먼지를 흡착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안전방망을 제공하고 있다.
또 안전방망의 다른 구현 예시로는 아래에 함께 언급된 등록특허공보 제10-0965159호 "공사장용 보호망의 구조"(특허문헌2)가 있다. 특허문헌2는 제1경편사와 제2경편사를 등간격으로 중첩하면서 각각의 상부고리와 하부고리를 서로 번갈아 인접시키고, 위편사를 이용하여 상부고리와 하부고리를 서로 엇갈리게 엮되, 제1경편사의 상부고리는 제2경편사의 상부고리와 인접하고, 제1경편사의 하부고리는 제2경편사의 하부고리와 인접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결합력 강화로 설치 강도를 증대하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와 같은 구조의 종래기술은 경사가 고리형태 구조를 가져야 방망을 제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의 고리형태 구조는 분당 천개 이상의 고리가 형성되는 제편과정에서 마찰열과 꼬임 그리고 꺽임이 반복되면서 고유의 경사 인장강도를 상당히 손실시킨다.
고리형태의 구조에 의해서 경사의 인장강도 손실이 고유의 인장강도에서 30%의 손실을 많게는 40%의 손실을 야기시키게 되고, 이러한 인장강도의 저하는 결국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단위면적당 인장강도의 유지를 위한 실굵기를 크게 하게끔 작용한다.
이는 안전방망의 전체 중량을 높혀서 생산원가를 높히게 되고 또한 현장에 안전방망을 설치시에 그 무게로 인해 작업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0934호 "다중구조 안전망" 등록특허공보 제10-0965159호 "공사장용 보호망의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방망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안전방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성이 용이한 구조의 안전방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안전방망에 있어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제1,제2 엮음경사(6)(8)를 함께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경사 2가닥이 상호간 고리연결에 미관여한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존재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둘 이상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엮임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제1,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이다.
상기의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편사(10)들 간은 서로 평행 배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안전방망에 있어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제1,제2 엮음경사(6)(8)를 함께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경사 2가닥이 상호간 고리연결에 미관여한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존재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1개 열 내지 3개 열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엮임 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연결편사(10)들끼리는 서로 평행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제2 엮음경사(6)(8) 및 연결편사(10)의 섬도는 1000~14000데니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방망에 있어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엮음경사(16)와 스트레이트 연장경사(18)를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1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상호간 고리형성에 관여한 엮음경사(16) 이외의 스트레이트 연장경사(18)가 인접 고리링의 위와 아래를 차례로 통과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1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1개열 내지 3개열의 경편사(14)를 타넘어서 엮임 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경편사(14)의 엮음경사(16)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다른 경편사(14)의 엮음경사(16)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연결편사(10)들끼리는 서로 평행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이다.
본 발명은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안전방망의 중량이 동일 인장강도를 갖는 기존의 안전방망에 비해서 적게 나가는 관계로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함과 아울러 그 안전방망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관계로 현장에서의 설치시 작업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방망의 조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방망을 경편사와 연결편사의 엮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안전방망의 조직 확대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정방망을 찍은 전면 및 이면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방망의 조직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안전방망의 조직 확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방망의 조직 편성 구성은 이해를 편의를 돕기 위해 다소 엉성하게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도 4a 및 도 4b에 찍은 사진예시와 같이 촘촘하게 형성되고 한가닥의 굵기도 다수의 필라멘트사들로 되어서 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방망(2)의 조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방망(2)을 경편사(4)와 연결편사(10)의 엮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에서는 두개의 엮음경사(6)(8)로 된 경편사(4)와, 경편사(4) 두개 열 이상을 타넘어서 좌우측의 경편사(4)간을 엮어주는 연결편사(1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에서는 지그재그로 엮이는 연결편사(10)들의 배치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안전방망(2)의 조직 확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방망(2)은 추락방지와 분진 등의 미세먼지로부터 보호, 방음 및 보온을 위해 건설공사현장에 설치되는 안전방망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경편기(랏셀편기나 트리코트 경편기)에 의해 편직되는 모든 망원단에 망조직으로서 적용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방망(2)은 두개의 엮음경사(6)(8)로 된 경편사(4)와 연결편사(10)로 편직함으로써 직조된다.
안전방망(2)의 경편사(4)를 형성함에 있어 제1,제2 엮음경사(6)(8)를 이용하며 교대적인 고리형성을 통해서 4가닥을 구성한다. 이때의 1가닥은 수많은 필라멘트사들로 구성하며, 1000~1400데니어 섬도(굵기)를 갖는다. 또 다수열로 배열된 경편사(4)들에 엮임되는 연결편사(10)는 적어도 하나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좌우 열의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와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안전방망(2)에 사용되는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와 제1,제2 엮음경사(6)(8)와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연결편사(10)는 폴리프로필렌사나 폴리에틸렌사가 단독이나 복합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사가 인장강도 측면과 단가측면 또는 방염처리 측면을 함께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사는 폴리에틸렌사에 비해서는 가격측면에서는 다소 비싸나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원사의 방염처리에도 문제가 없다. 나일론사는 폴리에틸렌사에 비해서 월등히 비싸고 원사 방염처리도 힘들어서 본 발명의 안전방망(2)의 소재로는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안전방망(2)에 적용된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와 연결편사(10)를 형성함에 있어 각 섬도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따른 안전망방(2)용으로서의 두께와 인장강도 유지에 적합하도록 1000~1400데니어를 가진다.
종래기술로서 선행문헌2에서 위편사로 언급된 경편사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사의 왕복 접힘으로 대개가 3가닥이고 고리형태로 엮어져 연속배열됨에 의해 인장강도가 향상된 경사 조직을 구성한다. 그런데 경사의 왕복 접힘 형성은 경사의 접힘전 스트레이트 형태의 고유 인장강도에 비해서 그 인장강도가 30∼40%나 저하되게 한다.
그러므로 안전망방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더 많은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사나 폴리에틸렌사를 사용해야 하며, 이는 안전망방의 단가를 높이는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엮음경사(6)(8)를 이용해 경편사(4)의 꺽임이 가능한 한 적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연결편사(10)의 적절한 조직 편성으로 안전망방(2)의 요구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실의 중량을 떨어뜨려서 안전방망(2)의 단가를 낮춰준다. 또 그와 동시에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추락방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안전방망(2)의 두께도 충분히 확보하고 현장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의 미세먼지로부터 보호와 아울러 방음성 및 보온성도 갖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인접한 경편사(4)들 간에 연결편사(10)를 엮어서 조직 형성하는 안전방망(2)에서 다수 가닥을 갖는 경편사(4)를 조직 형성함에 있어 하나의 엮음경사를 두번 접어서 고리 형성하는 일반적인 방식과를 달리, 두개의 엮음경사(6)(8)를 사용한다. 그리고 두개의 엮음경사(6)(8)를 사용해 경편사(4)의 가닥수를 4가닥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엮음경사(6)(8) 상호간 고리연결과 스트레이트사 형태의 조합으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4) 조직을 구성한다.
경편사(4)의 조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엮음경사(6)(8)가 서로 교대되면서 연결편사(10)를 위한 좌우의 엮임마디를 갖는다. 즉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제1,제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가 경편사(4)상에서 교대 형성되며, 제1 엮음경사(6)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는 지그재그로 연장되는 연결편사(10)의 좌측절곡부가 엮임되고 제2 엮음경사(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 다른 연결편사(10)의 우측절곡부가 엮임되는 것이다.
경편사(4)를 구성하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 사이를 본 발명에서는 고리 링구간(S)으로 정의하며, 고리 링구간(S)에는 제1 엮음경사(6)와 제2 엮음경사(8) 상호간의 고리 연결로 고리 링이 형성된다.
고리 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제1,2 엮음경사(6)(8)는 둘중 하나의 경사가 고리 링구간(S)을 한번 반을 왕복하여 접히고 그 다음의 고리 링구간(S)에서는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통과하는 형태를 서로가 교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임의의 고리 링구간(S)에서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4가닥중 2가닥이 상호간 고리링 형성에 관여하고 나머지 2가닥은 상호간 고리연결에 미관여한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존재되게 되는 것이다.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공히 연장되는 2가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고리 링구간(S)까지 각기 연장되지만, 서로는 한구간씩 어긋나서 연장되는 형태를 취한다.
고리형성을 위한 제1,제2 엮음경사(6)(8)의 접힘은 스트레이트사 형태에 비해 30∼40%나 손실되는 인장강도를 갖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경편사(4)중 고리형성에 필요에 의해 접어진 2가닥을 제외한 나머지 2가닥(스트레이트사 연장형태 가닥)에는 인강강도의 손실이 전혀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위무게당 경편사(4)의 해당 고리 링구간(S)에서의 인장강도를 높이는데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무게당 경편사(4)의 인장강도를 높이는 것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중 특허문헌2으로 언급된 것과 비교해서 후술되어진 것이다.
한편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1개열 내지 3개열의 경편사(4)를 이면측으로 타넘어서 엮임 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편사(10)들끼리는 '<<<' 및 '>>>'와 같은 형태로 서로 평행 배치되게 구성한다.
연결편사(10)가 1개열의 경편사(4)를 타넘어가서 좌우측 절곡부에서 연결되면 각 경편사(4)의 링고리구간(S) 위로도 1가닥의 연결편사(10)가 넘어가는 형태가 되며, 연결편사(10)가 3개열의 경편사(4)를 타넘어가서 좌우측 절곡부에서 연결되면 각 경편사(4)의 링고리구간(S) 위로도 3가닥의 연결편사(10)가 넘어가는 형태가 된다. 연결편사(10)가 1개열의 경편사(4)도 타넘어가지 못하게 되면 연결편사(10)의 인장강도를 떨어뜨리게 되고, 연결편사(10)가 타넘어가는 경편사(4)를 3개열을 초과하게 되면 안전방망의 두께를 두껍게 하며 안전방망의 중량이 증가되어서 작업성이 좋지 못하게 되고 생산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편사(1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열의 경편사(4)를 타넘어가서 좌우측 절곡부에서 연결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의 예시에서는 연결편사(10)는 2개 열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좌우의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과 엮임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참조부호 r1,r2,r3,...은 행(row)의 구성이고 참조부호 c1,c2,c3,...은 열(collum)의 구성이다.
도 2의 (a)에서는, 연결편사(10)가 두개의 열(c2, c3)를 타넘어서 제1열(c1)과 제4열(c4)에 배치된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과 엮임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도 2의 (b)에서는 지그재그로 배열형성된 다수의 연결편사(10)가 서로 평행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 각 열(c1,c2,c3,...)의 링고리 구간(S) 위로도 2가닥의 연결편사(10)가 넘어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정하여서,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경사 구성을 대비하여서 안전방망의 무게를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다.
안전방망에서는 데니어당 기준 인장강도가 6.5g이다.
종래기술로서 선행문헌2에서 위편사로 언급된 경사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리 형성용 경사의 왕복 접힘으로 3가닥이 되므로, 종래기술의 안전방망의 경사조직을 3가닥 고리형으로 가정하며, 1가닥의 굵기는 1000데니어로 가정한다. 그리고, 경사의 접힘(꺽임)으로 30~40%의 인장강도 저하가 있는데, 이번 비교 예시에서는 30%의 인장강도 손실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3가닥 고리형 경사조직의 인장강도를 계산하면,
1데니어당 기준 인장강도가 6.5g이고 1가닥에 1000데니어인 3가닥이므로 먼저 고리형성 전 스트레이트 형태일 경사일 경우에는 '1000데니어 × 3가닥 × 6.5g = 19.5kg'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3가닥은 엮음경사의 접힘(꺽임)으로 인해서 30%의 인장강도 손실이 있으므로 그 인장강도 손실분은 '19.5kg × 30% = 5.85kg'이다.
그 결과, 종래기술의 3가닥 고리형 경사조직의 인장강도는 19.5kg - 5.85kg = 13.65kg가 된다.
이에 대비되는 본 발명의 안전방망(4)의 경편사(4)의 조직은 4가닥으로서, 고리형성에 필요에 의해 접힘(꺽임) 2가닥과 나머지의 스트레이트사 형태의 2가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 4가닥중 스트레이트사 형태 2가닥의 경우는 '1000데니어 × 2가닥 × 6.5g = 13kg'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그리고, 경편사(4)의 제1,제2 엮음경사(6)(8)중 나머지 접힘 2가닥의 경우는 '1000데니어 × 2가닥 × 6.5g = 13kg '이고 이로 인한 30% 인장강도의 손실은 '13kg × 30% = 3.9kg'이므로, 고리형성에 필요한 2가닥의 인장강도는 13kg - 3.9kg = 9.3kg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4가닥 경편사(4)의 인장강도는 '13kg + 9.3kg = 22.1kg'가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편사(4)의 조직은 4가닥인 바 4000데니어이고 종래기술의 경사조직은 3가닥인 바 3000데니어이므로, 본 발명의 경사조직을 종래기술의 경사조직과 동일 데니어로 환산하면 '4000데니어 : 22.1kg(인장강도) = 3000데니어 : x(인장강도)'의 관계를 통해서, 'x(인장강도) = 16.575kg'가 얻어진다.
종래기술의 경사조직과 본 발명의 경사조직을 동일 데니어급으로 대비를 하게 되면, 종래기술의 경사조직의 인장강도는 '13.65kg'이고 본 발명의 경사조직의 인장강도는 '16.575kg'가 된다.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기준 인장강도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그 기준 인장강도에 동일하게 맞추면 본 발명의 경사조직로 인한 총 데니어값 즉 본 발명의 안전방망의 중량이 종래기술의 총 데니어값 즉 종래기술의 중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된다. 이는 1데니어가 9000m의 실의 무게로 정의되는 것이므로 총 데니어값을 중량값으로 봐도 무방한 것이다.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동일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안전방망은 종래기술에 비해서 15~20%가 적은 중량을 가지며, 편물조직에서 실의 가격은 중량단위이므로 중량이 15~20%가 적다는 것은 본 발명의 안전방망의 생산원가가 종래기술의 안전방망의 생산원가에 비해서 15% 저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방망은 기존의 안전방망에 비해서 그 중량이 15~20%가 적어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현장에 안전방망을 설치시에 작업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직한 안전방망(12)에 대한 인장강도를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험한 결과 안전방망의 시험성능기준 1.47kN을 훨씬 넘어서는 경사 1.56kN, 위사 1.61kN을 값을 나타내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방망(12)의 조직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안전방망(12)의 조직 확대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방망(14)은,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엮음경사(16)와 스트레이트 연장경사(18)를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1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상호간 고리형성에 관여한 엮음경사(16) 이외의 스트레이트 연장경사(18)가 인접 고리링의 위와 아래를 차례로 통과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1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1개열 내지 3개열의 경편사(14)를 타넘어서 엮임 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경편사(14)의 엮음경사(16)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다른 경편사(14)의 엮음경사(16)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연결편사(10)들끼리는 서로 평행 배치되게 한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방망(12)의 경편사(14)의 조직은 4가닥으로서, 고리형성에 필요에 의해 접힘(꺽임) 3가닥과 나머지의 스트레이트 형태의 1가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방망(12)은 그 인장강도가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서는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가지만 특허문헌2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인장강도에 비해서 많이 나간다. 안전방망에서 요구하는 동일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다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방망(1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중량을 가진다. 이는 안전방망(12)의 생산원가가 종래기술의 안전방망의 생산원가에 비해 저렴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안전방망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안전망, 수평보호망, 수직보호망, 수직형 추락방망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또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안전방망, 수직보호망, 수직형 추락방망, 수평보호망 등에 이용될 수 있다.
(2)-- 안전방망 (4)-- 경편사
(6)(8)-- 제1,제2 엮음경사 (10)- 연결편사
(12)-- 안전방망 (14)-- 경편사
(16)-- 엮음경사 (18)-- 스트레이트 연장경사
(S)-- 고리링 구간 (No)-- 홀수행 엮임마디
(Ne)-- 짝수행 엮임마디

Claims (5)

  1. 안전방망에 있어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제1,제2 엮음경사(6)(8)를 함께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경사 2가닥이 상호간 고리연결에 미관여한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존재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둘 이상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엮임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제1,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
  2. 제1항에 있어서,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편사(10)들 간은 서로 평행 배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
  3. 안전방망에 있어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제1,제2 엮음경사(6)(8)를 함께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경사 2가닥이 상호간 고리연결에 미관여한 스트레이트사 형태로 존재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1개 열 내지 3개 열의 경편사(4)를 타넘어서 엮임 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제1,제2 엮음경사(6)(8)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연결편사(10)들끼리는 서로 평행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제2 엮음경사(6)(8) 및 연결편사(10)의 섬도는 1000~14000데니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
  5. 안전방망에 있어서,
    홀수행(Ri, i는 홀수) 엮임마디(No) 및 짝수행(Rj, j는 짝수) 엮임마디(Ne)를 제공하는 엮음경사(16)와 스트레이트 연장경사(18)를 이용한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편사(14)를 형성하되, 홀수행 엮임마디(No)와 짝수행 엮임마디(Ne)간의 고리 링구간(S)에서 상호간 고리형성에 관여한 엮음경사(16) 이외의 스트레이트 연장경사(18)가 인접 고리링의 위와 아래를 차례로 통과되게 구성하고,
    다수 열로 배치된 경편사(14)들간을 엮임 연결하는 연결편사(10)는 1개열 내지 3개열의 경편사(14)를 타넘어서 엮임 연결하되 연결편사(10)의 일측 절곡부는 경편사(14)의 엮음경사(16)의 홀수행 엮임마디(No)에서 엮임 연결되고 연결편사(10)의 타측 절곡부는 다른 경편사(14)의 엮음경사(16)의 짝수행 엮임마디(Ne)에서 엮임 연결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연결편사(10)들끼리는 서로 평행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방망.
KR1020150050755A 2015-04-10 2015-04-10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KR10155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55A KR101551275B1 (ko) 2015-04-10 2015-04-10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55A KR101551275B1 (ko) 2015-04-10 2015-04-10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275B1 true KR101551275B1 (ko) 2015-09-09

Family

ID=5424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55A KR101551275B1 (ko) 2015-04-10 2015-04-10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2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45B1 (ko) 2017-03-14 2018-05-14 주식회사 금별산업 낙석방지망 제조용 섬유로프 편직장치
KR101844547B1 (ko) 2017-02-16 2018-05-14 주식회사 금별산업 낙석방지망 제조장치
KR101858392B1 (ko) * 2017-03-10 2018-05-15 김수용 건축공사용 보호망
KR101988363B1 (ko) * 2018-07-23 2019-06-12 최정원 건축공사용 수직보호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94Y1 (ko) 2003-02-11 2003-08-19 최낙문 건축공사장용 안전보호망
KR101229800B1 (ko) 2010-06-03 2013-02-05 강백구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94Y1 (ko) 2003-02-11 2003-08-19 최낙문 건축공사장용 안전보호망
KR101229800B1 (ko) 2010-06-03 2013-02-05 강백구 건축용 라셀편직물 보호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47B1 (ko) 2017-02-16 2018-05-14 주식회사 금별산업 낙석방지망 제조장치
KR101858392B1 (ko) * 2017-03-10 2018-05-15 김수용 건축공사용 보호망
KR101844545B1 (ko) 2017-03-14 2018-05-14 주식회사 금별산업 낙석방지망 제조용 섬유로프 편직장치
KR101988363B1 (ko) * 2018-07-23 2019-06-12 최정원 건축공사용 수직보호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275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CA2738987A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CN102481617B (zh) 带有交织的线的保护金属网以及用于制造该网的机器和方法
JP6345495B2 (ja) 落石防護柵に用いる落石防護ネット
KR101858392B1 (ko) 건축공사용 보호망
KR100965159B1 (ko) 공사장용 보호망의 구조
US8028547B2 (en) Warp knitted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knit structure of warp knitted fabric
JP5686573B2 (ja) 角目組織経編地と、それを使用した剥落防止用ネット
KR101154902B1 (ko) 포장 결속용 망원단
CN206052261U (zh) 不易被扯坏的土工布
KR101988363B1 (ko) 건축공사용 수직보호망
CN210104191U (zh) 一种耐火抗冲击芳纶复合布料
WO2019015033A1 (zh) 一种耐久加筋滤网及其制作方法
KR101728305B1 (ko) 친환경 수직 및 수평보호망
JP4824488B2 (ja) メッシュシート
CN111101283A (zh) 一种编织网用衬经经向链编链结构及应用其的捆草网
JP4450824B2 (ja) 孔付メッシュシート
KR100524624B1 (ko) 건축용 안전보호망
JP5686463B2 (ja) 遮炎遮煙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ャッタースクリーン
JP6654026B2 (ja) 角目組織経編地の製造方法、角目組織経編地および落下物捕捉用ネット
KR102118122B1 (ko) 경량 분진망 제조방법
KR102003254B1 (ko) 경량 분진망
JP7270181B2 (ja) 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93931A (ko) 폴리에틸렌 방염 안전보호망
JP2593969B2 (ja) 編 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