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896B1 - 충격 흡수벨트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896B1
KR102639896B1 KR1020230108830A KR20230108830A KR102639896B1 KR 102639896 B1 KR102639896 B1 KR 102639896B1 KR 1020230108830 A KR1020230108830 A KR 1020230108830A KR 20230108830 A KR20230108830 A KR 20230108830A KR 102639896 B1 KR102639896 B1 KR 10263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eft
joints
pair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Priority to KR102023010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Abstract

충격 흡수벨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벨트는, 상부벨트와, 상부벨트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벨트를 구비하며, 상부벨트와 하부벨트가 상호 결합된 충격 흡수영역과 상부벨트와 하부벨트가 분리된 분리영역을 가지는 충격 흡수벨트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2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3 이음사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이음체를 이루고, 복수의 이음체들이 충격 흡수벨트의 폭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이음체들이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상호 제직하여 충격 흡수영역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벨트{Shock absorbing belts}
본 발명은 충격 흡수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교량 등과 같은 고층 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설현장,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전신주나 철탑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현장 등과 같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추락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추락방지용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추락방지용 기구 중 추락방지용 충격 흡수벨트는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한다.
종래의 충격 흡수벨트는 충격 흡수영역과 상기 충격 흡수영역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분리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과 분리영역 각각은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구비하며, 상부벨트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로 구성되고, 하부벨트는 제3 벨트 및 제4 벨트로 구성된다.
충격 흡수영역은 상부벨트와 하부벨트가 이음사들에 의해 제직되어 상호 결합되며, 분리영역은 상부벨트와 하부벨트가 이음사들에 의해 제직되지 않는다.
충격 흡수벨트는 분리영역에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고, 충격 흡수영역에서 이음사들이 제1 내지 제4 벨트의 위사가 지나가는 사이마다 순차적으로 파단됨으로써, 작업자가 고소에서 낙하하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종래의 충격 흡수벨트는 이음사들의 굵기를 조절하거나 밀도를 높게 하거나 낮게 조절하여 충격하중을 조절하였으나, 현재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자국 작업자의 신체조건의 변화, 다양한 장비의 착용에 따른 질량 증가를 고려하여 종래에 비해 증가된 질량과 증가된 추락높이 등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또한 각국 마다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기준이 상이하다.
예를들어, 세계 각국은 충격 흡수벨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첫번째로, 작업자가 추락시 작용하는 충격에너지 값, 즉 충격하중을 제한하고 있다. 미국은 282 lbs의 질량이 6ft의 높이에서 추락할 경우 받게 되는 충격하중을 평균 4KN이하로 제한한다. 유럽은 100kg의 질량이 4m의 높이에서 추락할 경우 받게 되는 충격하중을 최대 6KN이하가 되도록 제한한다. 또한 대한민국은 100kg의 질량이 2m의 높이에서 추락할 경우 받게 되는 충격하중을 평균 6KN이하로 제한한다.
두번째로, 작업자의 추락시 추락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서 충격 흡수벨트가 제동이 되어야 하는 거리, 즉 제동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미국은 60 inch, 유럽은 1.75m, 한국은 1.2m 이내로 제공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충격 흡수벨트에 요구되는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에 대한 제한은 서로 상충되게 작동하며, 충격하중을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 제동거리가 길어져야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거나(미국 등록특허 US 7,815,013 B2 참조), 한 쌍의 제1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2 이음사들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1:1 및 2:2 구조를 혼합하여 교차 제직하는 것(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89039호 참조)만으로, 각국이 제한하고 있는 다양한 질량에 따른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7,815,013 B2(2010.10.19.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89039호(2023.01.17.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국의 다양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에 대한 제한에 대응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벨트와, 상기 상부벨트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가 상호 결합된 충격 흡수영역과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가 분리된 분리영역을 가지는 충격 흡수벨트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2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3 이음사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이음체를 이루고, 복수의 상기 이음체들이 상기 충격 흡수벨트의 폭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이음체들이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를 상호 제직하여 상기 충격 흡수영역을 형성하는 충격 흡수벨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은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를 상호 교차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은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를 상호 교차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은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를 상호 교차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상부벨트는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의 하부에 적층되게 배치된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벨트는 제3 벨트와 상기 제3 벨트의 하부에 적층되게 배치된 제4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와 상기 제3 벨트를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4 벨트를 제직하며,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와 상기 제3 벨트를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4 벨트를 제직하며,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각각은 상기 제1 벨트 및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및 상기 제4 벨트를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각각이 엮여 들어가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이웃하는 위사의 수는 1이고,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각각이 엮여 들어가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이웃하는 위사의 수는 1이고,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각각이 엮여들어가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이웃하는 위사의 수는 2일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며,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쌍의 제1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2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3 이음사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이음체들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상호 제직하여 충격 흡수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세계 각국의 다양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에 대한 제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음체를 이루는 한 쌍의 제3 이음사들이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을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큰 질량에 대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을 조절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굵은 이음사들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다양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에 대한 제한에 대응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벨트의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음사들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음사들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이음사들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벨트의 조직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음사들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음사들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이음사들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벨트(100)는 상부벨트(110)와, 상부벨트(110)의 하부에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하부벨트(120)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벨트(100)는 일정 충격하중 이상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분리되어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부벨트(110)는 제1 벨트(111)와, 제1 벨트(111)의 하부에 높이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된 제2 벨트(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벨트(120)는 제3 벨트(121)와, 제3 벨트(121)의 하부에 높이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된 제4 벨트(125)를 포함한다. 제1 벨트(111) 내지 제4 벨트(125)는 평직, 능직 및 이중직 등으로 제직된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벨트(111,115,121,125) 각각은 제1 내지 제4 위사(112,116,122,126)와 경사(W)로 제직된다. 제1 내지 제4 위사(112,116,122,126) 및 경사(W)는 화학섬유로서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초고분자 폴리 에틸렌 섬유,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 아릴레이트 섬유 등 및 이들을 조합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충격 흡수벨트(100)는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후술할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이 나란하게 배치된 이음체(C)들에 의해 제직되어 상호 결합된 충격 흡수영역(A)과,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이음체(C)들에 의해 제직되지 않고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상호 분리된 분리영역(B)을 가진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영역(A)은 분리영역(B)의 양측에 연속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영역(B)은 충격 흡수영역(A)의 양측에 연속되게 마련될 수 있다.
충격 흡수벨트(100)는 분리영역(B)에서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고, 충격 흡수영역(A)에서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로 구성된 이음체(C)들이 길이방향으로 순차로 파단됨으로써 작업자가 고소에서 낙하하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영역(A)의 제직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과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과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이 나란하게 배치된 이음체(C)를 이루고, 복수의 이음체(C)들이 충격 흡수벨트(100)의 폭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충격 흡수영역(A)에서 복수의 이음체(C)들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상호 제직한다.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상호 교차 제직하고,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상호 교차 제직하고,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들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상호 교차 제직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하나(130)는 제1 벨트(111)와 제3 벨트(121)를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130,135) 중 다른 하나(135)는 제2 벨트(115)와 제4 벨트(125)를 제직한다. 즉, 제1 이음사들(130,135) 중 하나(130)는 이웃하는 제1 벨트(111)와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1 및 제3 위사들(112,12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반복하여 엮여들어가고, 제1 이음사들(130,135) 중 다른 하나(135)는 이웃하는 제2 벨트(115)와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2 및 제4 위사들(116,126)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반복하여 엮여 들어간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하나(140)는 제1 벨트(111)와 제3 벨트(121)를 제직하고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다른 하나(145)는 제2 벨트(115)와 제4 벨트(125)를 제직한다. 즉, 제2 이음사들(140,145) 중 하나(140)는 이웃하는 제1 벨트(111)와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1 및 제3 위사들(112,12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반복하여 엮여들어가고, 제2 이음사들(140,145) 중 다른 하나(145)는 이웃하는 제2 벨트(115)와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2 및 제4 위사들(116,126)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반복하여 엮여 들어간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각각은 제1 벨트(111) 및 제2 벨트(115)와 제3 벨트(121) 및 제4 벨트(125)를 제직한다. 즉 제3 이음사들(150,155)은 이웃하는 제1 벨트(111) 및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1 및 제2 위사들(112,116)과 제3 벨트(121) 및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3 및 제4 위사들(122,126)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반복하여 엮여들어간다.
충격 흡수영역(A)에서 제1 이음사들(130,135)이 엮여 들어가는 제1 내지 제4 벨트(111,115,121,125)에 배치된 이웃하는 위사의 수를 a라고 하고, 제2 이음사들(140,145)이 엮여 들어가는 제1 내지 제4 벨트(111,115,121,125)에 배치된 이웃하는 위사의 수를 b라고 할 때, a와 b는 동일하고, 바람직하게 a와 b는 1일 수 있다. 또한 제3 이음사들(150,155)이 엮여 들어가는 제1 내지 제4 벨트(111,115,121,125)에 배치된 이웃하는 위사의 수를 c라고 할 때, c는 a 또는 b 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c는 2일 수 있다.
도 4는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의 1:1 제직은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각각이 이웃하는 하나의 위사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엮여들어가면서 제직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하나(130)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다른 하나(135)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은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여 충격 흡수벨트(100)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있는 힘이 커지도록 한다.
도 5는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의 1:1 제직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각각이 이웃하는 하나의 위사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엮여들어가면서 제직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하나(140)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다른 하나(145)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은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여 충격 흡수벨트(100)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있는 힘이 커지도록 한다.
도 6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2:2로 상호 교차 제직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의 2:2 제직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각각이 이웃하는 두개의 위사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면서 제직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하나(150)는 하부벨트(120)의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와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와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와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150,155) 중 다른 하나(155)는 상부벨트(110)의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와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와 이웃하는 하부벨트(120)의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와 이웃하는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은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을 2:2로 상호 교차 제직하여 충격 흡수벨트(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준다.
도 3은 하나의 이음체(C)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에 의해 제직된 충격 흡수벨트(100)의 조직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충격 흡수영역(A)에서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에 의해 제직된 상태를 나타낸다.
종래에 충격 흡수영역(A)에서 이음사들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1:1로 교차 제직하는 경우에 큰 질량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이음사들에 의해 연결된 위사들이 크게 손상되거나 추락 이후 견디어 내는 힘을 측정하는 정하중에서 충격 흡수벨트의 장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충격 흡수영역에서 이음사들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1:1 및 2:2 구조를 혼합하여 교차 제직하는 경우에 큰 질량에 대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을 조절하기 위해 이음사의 굵기를 굵게하거나 더 많은 이음사를 투입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 충격 흡수벨트의 밀도가 높아지고 딱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큰 질량에 대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을 조절하기 위해, 충격 흡수영역(A)에서 제1 및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에 제3 이음사들(150,155)를 추가한 이음체(C)들로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상호 교차 제직한다.
제1 및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는 경우에 다양한 큰 질량에 대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를 만족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벨트(100)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커지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이 동일한 패턴으로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므로 제1 및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에 의해 엮이는 제1 내지 제4 위사들(112,116,122,126)이 같은 시점에 파단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상호 교차 제직하는 경우에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분리함에 필요한 힘이 매우 커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분리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에 연결된 제1 내지 제4 위사들(112,116,121,126)이 손상 또는 파단되어 구조시까지 충격 흡수벨트(100)가 견디기 힘들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제3 이음사들(150,155)을 이용하여 상부벨트(110)의 바깥쪽에 위치한 제1 벨트(111)와 하부벨트(120)의 바깥쪽에 위치한 제4 벨트(125)를 포함하여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2:2로 상호 교차 제직하여, 충격 흡수벨트(100)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 및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보호하여 충격 흡수벨트(100)의 파단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음사들(150,155)은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2:2로 상호 교차 제직하므로 내측의 강한 충격을 완충하여 충격 흡수벨트(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충격 흡수영역(A)에서 제1 내지 제2 이음사들(130,135,140,145)로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1:1로 교차 제직하고 추가로 제3 이음사들(150,155)로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2:2로 교차 제직함으로써, 특히 추락하는 질량이 커지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이음사의 굵기를 굵게 하거나 더 많은 이음사들을 투입하지 않고도,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로 구성된 이음체(C)들을 이용하여 각국의 다양한 충격하중 및 제동거리 등에 대한 제한에 적극적으로 대응가능하며, 추락 시 받게되는 충격에너지의 진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영역(B)의 제직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영역(B)은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상호 제직되지 않고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가 분리된 영역이다. 분리영역(B)에서 하나의 이음체(C)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은 상부벨트(110)와 하부벨트(120)를 상호 제직하지 않고, 상부벨트(110)의 제1 벨트(111)와 제2 벨트(115)를 상호 제직하거나 하부벨트(120)의 제3 벨트(121)와 제4 벨트(125)를 상호 제직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이음사들(130,135,140,145,150,155)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한다면, 충격 흡수영역(A)의 좌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하나(130)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하나(140)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하나(150)는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여 제1 벨트(111)와 제2 벨트(115)를 제직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A)의 좌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다른 하나(135)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다른 하나(145)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다른 하나(155)는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여 제3 벨트(121)와 제4 벨트(125)를 제직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A)을 거친 후 충격 흡수영역(A)의 우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하나(130)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하나(140)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하나(150)는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제3 벨트(121)에 배치된 제3 위사(12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제4 벨트(125)에 배치된 제4 위사(12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여 제3 벨트(121)와 제4 벨트(125)를 제직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영역(A)의 우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다른 하나(135)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다른 하나(145)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다른 하나(155)는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제2 벨트(115)에 배치된 제2 위사(116)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제1 벨트(111)에 배치된 제1 위사(112)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여 제1 벨트(111)와 제2 벨트(115)를 제직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하나(130)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하나(140)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하나(150)는 충격 흡수영역(A)의 좌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제1 벨트(111)와 제2 벨트(115)를 제직하고 충격 흡수영역(A)의 우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제1 벨트(111)와 제2 벨트(115)를 제직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이음사들(130,135) 중 다른 하나(135)와 한 쌍의 제2 이음사들(140,145) 중 다른 하나(145)와 한 쌍의 제3 이음사들(150,155) 중 다른 하나(155)는 충격 흡수영역(A)의 좌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제3 벨트(121)와 제4 벨트(125)를 제직하고 충격 흡수영역(A)의 우측에 마련된 분리영역(B)에서 제3 벨트(121)와 제4 벨트(125)를 제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충격 흡수벨트 110: 상부벨트
111: 제1 벨트 112: 제1 위사
115: 제2 벨트 116: 제2 위사
120: 하부벨트 121: 제3 벨트
122: 제3 위사 125: 제4 벨트
126: 제4 위사 130, 135: 제1 이음사
140, 145: 제2 이음사 150, 155: 제3 이음사

Claims (5)

  1.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의 하부에 적층되게 배치된 제2 벨트를 포함하는 상부벨트와, 상기 상부벨트의 하부에 적층되되 제3 벨트와 상기 제3 벨트의 하부에 적층되게 배치된 제4 벨트를 포함하는 하부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가 상호 결합된 충격 흡수영역과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가 분리된 분리영역을 가지는 충격 흡수벨트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2 이음사들과 한 쌍의 제3 이음사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이음체를 이루고, 복수의 상기 이음체들이 상기 충격 흡수벨트의 폭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이음체들이 상기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를 상호 제직하여 상기 충격 흡수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를 1:1로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를 1:1로 제직하되,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은 상호 교차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를 1:1로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를 1:1로 제직하되,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은 상호 교차되며,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 및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 및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를 2:2로 제직하고,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 및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 및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를 2:2로 제직하되,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은 상호 교차되는 충격 흡수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기 충격 흡수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중 하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며, 한 쌍의 상기 제3 이음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이웃하는 상기 제3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4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다시 이웃하는 상기 제2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와 이웃하는 상기 제1 벨트에 배치된 하나의 위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는 충격 흡수벨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08830A 2023-08-21 2023-08-21 충격 흡수벨트 KR10263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830A KR102639896B1 (ko) 2023-08-21 2023-08-21 충격 흡수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830A KR102639896B1 (ko) 2023-08-21 2023-08-21 충격 흡수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896B1 true KR102639896B1 (ko) 2024-02-27

Family

ID=9005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830A KR102639896B1 (ko) 2023-08-21 2023-08-21 충격 흡수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89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7277A1 (en) * 2004-08-03 2006-02-09 Jennings John E Energy absorbing webbings
KR100791148B1 (ko) *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US7815013B2 (en) 2005-09-28 2010-10-19 Sturges Manufacturing Co.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KR101012951B1 (ko) *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20110096665A (ko) * 2010-02-23 2011-08-31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2738A (ko) * 2012-12-31 2014-07-24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20180040401A (ko) * 2016-10-12 2018-04-20 김도연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101893009B1 (ko) * 2017-09-18 2018-08-30 박준영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KR20220095111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대흥섬유 충격 흡수 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7277A1 (en) * 2004-08-03 2006-02-09 Jennings John E Energy absorbing webbings
US7815013B2 (en) 2005-09-28 2010-10-19 Sturges Manufacturing Co.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KR100791148B1 (ko) *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KR20110096665A (ko) * 2010-02-23 2011-08-31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2951B1 (ko) *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20140092738A (ko) * 2012-12-31 2014-07-24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20180040401A (ko) * 2016-10-12 2018-04-20 김도연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101893009B1 (ko) * 2017-09-18 2018-08-30 박준영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KR20220095111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대흥섬유 충격 흡수 기구
KR102489039B1 (ko) 2020-12-29 2023-01-17 주식회사 대흥섬유 충격 흡수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0039A2 (en) Fabric form consisting of multilayer fabric and composite structure made by using fabric form
EP2423359B1 (en) Industrial fabric
CA2738987A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CN101268295A (zh) 吸能织带
US20150367807A1 (en) One-piece woven airbag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2639896B1 (ko) 충격 흡수벨트
HK1038045A1 (en) Improved temporary surface covering
FI72881C (fi) Daempningsanordning foer dynamisk belastning.
KR100791148B1 (ko) 안전로프원단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US3463202A (en) Woven tapes
KR101636831B1 (ko) 내충격 및 방폭 성능이 강화된 직조 섬유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복합 구조체
US20060029759A1 (en) Bi-directional substrate design for aircraft escape slide airbeams
KR20220095111A (ko) 충격 흡수 기구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JP3651336B2 (ja) 補強用繊維シート
KR100324502B1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US6918412B2 (en) Grid mat
JP2018068915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678630B1 (ko)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EP0366375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CN217459729U (zh) 一种喷水工艺双层高密度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