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148B1 - 안전로프원단 - Google Patents

안전로프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148B1
KR100791148B1 KR1020060119027A KR20060119027A KR100791148B1 KR 100791148 B1 KR100791148 B1 KR 100791148B1 KR 1020060119027 A KR1020060119027 A KR 1020060119027A KR 20060119027 A KR20060119027 A KR 20060119027A KR 100791148 B1 KR100791148 B1 KR 10079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yarn
inclination
safety rope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06011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4Rope ba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05Elongation or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69Climbing or 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로프원단에 관한 것으로, 나이론사나 폴리에스터사와 같은 합섬사로 직조되고,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하는 안전로프를 구성하는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호하여 직조된 이중직으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의 일부는 반연신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이고, 안전로프 자체에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구비될 수 있도록 화섬사로 이루어진 위사와 화섬사와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사를 교호하여 안전로프를 형성함으로써 안전로프에 별도의 추가작업이나 완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로프에 관한 것이다.
안전로프, 반연신사

Description

안전로프원단{whole cloth of safety rope}
도 1은 종래 안전로프의 사용상태도,
도 2a는 종래 안전로프의 사시도,
도 2b는 종래 안전로프가 절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제1경사와 제1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제2경사와 제2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제3경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제4경사와 제4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제5경사와 제5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c는 제6경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안전로프원단이 인장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안전로프원단을 이용한 안전로프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격흡수장치 11 : 충격흡수용 밴드
100,200 : 안전로프원단 110 : 제1위사
111 : 제1위사a 112 : 제1위사b
120 : 제1경사 121 : 제1경사a
122 : 제1경사b 130 : 제2위사
131 : 제2위사a 132 : 제위사b
140 : 제2경사 141 : 제2경사a
142 : 제2경사b 150 : 제3경사
210 : 제4위사 211 : 제4위사a
212 : 제4위사b 213 : 제4위사c
214 : 제4위사d 220 : 제4경사
221 : 제4경사a 222 : 제4경사b
223 : 제4경사c 230 : 제5위사
231 : 제5위사a 232 : 제5위사b
233 : 제5위사c 234 : 제5위사d
240 : 제5경사 241 : 제5경사a
242 : 제5경사b 243 : 제5경사c
250 : 제6경사
본 발명은 안전로프원단에 관한 것으로,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하는 안전로프 자체에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구비될 수 있도록 화섬사로 이루어진 위사 와 화섬사와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사를 교호하여 안전로프를 형성함으로써 안전로프에 별도의 추가작업이나 완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로프를 구성하기 위한 안전로프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양단이 걸고리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안전로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설치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로프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안전로프 상에 설치하여 추락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하여야 했고, 스프링에 의해 안전로프 자체의 하중이 높아지며,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산화작용에 의해 탄성력을 상실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거나 완충효율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안전로프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안전로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a는 종래 안전로프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종래 안전로프가 절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래에는 상기 안전로프 상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10)를 합성수지제로 구비된 덮개와, 그 내측에 지그재그로 적층된 다수개의 충격흡수용 밴드(11)와, 추락방지용 밴드로 구성되고,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는 각각 독립된 하나의 밴드부재로 절개되며, 추락방지용 밴드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형성된 것이 다수 안출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충격흡수장치(10)의 양측 체결공을 각각 안전대와 안전로프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할 경우 덮개가 파열된 후 충격흡수용 밴드(11)가 추락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각각 하나의 밴드부재로 절개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용 밴드(11)가 완전히 절개된 후에는 추락방지용 밴드에 의해 작업자가 바닥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안전로프 또한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단점을 해소하지 못하였고, 상기한 충격흡수장치의 경우 추락방지용 밴드와 충격흡수용 밴드의 이중구조로 되어있어 부피가 증대되고 제작공정이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제작단가와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안전로프가 갖는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로프 자체에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구비될 수 있도록 화섬사로 이루어진 위사와 화섬사와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사를 교호하여 안전로프원단을 형성함으로써 안전로프에 별도의 추가작업이나 완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로프를 제공하기 위한 안전로프원단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안전로프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더욱 상 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제1경사와 제1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제2경사와 제2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제3경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제4경사와 제4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제5경사와 제5위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c는 제6경사가 교호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안전로프원단이 인장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안전로프원단을 이용한 안전로프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이론사나 폴리에스터사와 같은 합섬사로 직조되고,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하는 안전로프를 구성하는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호하여 직조된 이중직으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의 일부는 반연신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100,2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사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로 구비되는 제1위사(110),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로 구비되는 제2위사(13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a(121)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b(122)로 구비되는 제1경사(120),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a(14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b(142)로 구비되는 제2경사(140),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3경 사(150)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경사a(121)와 제1경사b(122)를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로 교차시켜 연결하고,
상기 제2경사a(141)와 제2경사b(142)를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 사이로 교차시켜 연결하며,
상기 제3경사(150)는 제1위사a(111)와 제2위사b(132) 사이를 절곡하여 교차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경사(120), 제2경사(140), 제3경사(150)는 다수의 세사를 꼬임하여 구비되는 연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위사a(131)는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의 삼등분한 지점에서 제1위사a(111)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원단(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사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위사a(211), 제4위사b(212), 제4위사c(213), 제4위사d(214)로 구비되는 제4위사(210)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위사a(231), 제5위사b(232), 제5위사c(233), 제5위사d(234)로 구비되는 제5위사(23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a(221)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b(222), 제4경사c(223)로 구비되는 제4경사(220)와,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a(24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b(242), 제5경사c(243)로 구비되는 제5경 사(240)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6경사(250)로 구성되고,
상기 제4경사a(221)는 제4위사a(211) 상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상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4경사b(222)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4경사c(223)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a(241)는 제5위사a(231) 하단과, 제5위사b(232) 상단과, 제5위사c(23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b(242)는 제5위사a(231) 상단과, 제5위사b(232) 하단과, 제5위사c(233) 상단과, 제5위사d(23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c(243)는 제5위사a(231) 상단과, 제5위사b(232) 상단과, 제5위사c(233) 상단과, 제5위사d(23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6경사(250)는 제5위사a(23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5위사c(23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2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4경사(220), 제5경사(240), 제6경사(250)는 다수의 세사를 꼬임하여 구비되는 연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2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5위사a(231)는 제4위사a(211)와 제4위사b(212) 사이의 삼등분 한 지점에서 제5위사a(231)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원단(200)을 제공한다.
안전로프는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양단이 걸고리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안전로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설치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 안전로프원단(100)은 제1위사(110), 제1경사(120), 제2위사(130), 제2경사(140), 제3경사(1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제1위사(110)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위사a(11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위사b(112)로 구비된다.
화섬사는 화학 섬유로 만든 실을 의미하고, 원료를 가열 처리하여 가늘고 긴 화섬사를 제조하는 공지의 화섬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97중량% ∼ 99.9중량%와 나노실버 0.1중량% ∼ 3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화섬사를 비롯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화섬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경사(120)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a(12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b(122)로 구비된다.
반연신사는 POY(Partially Oriented Yarn)사 라고도 하며, 예비 배향사, 부분 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라고도 불리워 진다. 보통의 방사속도로 방사된 것은 3~4 배로 연신을 해주어야 사용할 수 있으나 방사속도가 3,500m/min 전후가 되면 자연적으로 상당한 연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POY라고 부른다. 이 POY는 약 1.5배만 연신해도 종래의 사와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어, 주로 가공사의 모사(母絲)로 사용된다. 가공사(Texturized Yarn)를 만드는 보통방법은 방사-연신-가공의 세 공정을 거치지만, POY를 사용하게 되면 연신과 가공을 한 공정에서 할 수 있어(Draw Texturizing), 생산원가를 낮추는 등의 이점이 있다. POY와 가공사는 이렇게 상호연관되어 있어서, 보통 POY-DTY(Draw Texturized Yarn)라 표기하기도 한다.
제2위사(130)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위사a(13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위사b(132)로 구비되고, 제2경사(140)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a(14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b(142)로 구비되며, 제3경사(150)는 화섬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제1경사a(121)와 제1경사b(122)는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로 교차시켜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를 제1경사a(121)와 제1경사b(122)가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것이고,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는 계속해서 반복하여 제1경사a(121)와 제1경사b(122)가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경사a(141)와 제2경사b(142)는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 사이로 교차시켜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 사이를 제2경사a(141)와 제2경사b(142)가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것이고,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는 계속해서 반복하여 제2경사a(141)와 제2경사b(142) 가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2위사a(131)는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의 삼등분한 지점의 제1위사a(111)방향으로 처음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 하단에 위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경사(150)는 제1위사a(111)와 제2위사b(132) 사이를 절곡하여 교차하므로써,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제1경사a(121)와 제1경사b(122)가 교호하여 직조된 직물과 제2경사a(141)와 제2경사b(142),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가 교호하여 직조된 직물을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직조된 안전로프(100)는 반연신사의 작용으로 안전로프(100)에 별도의 추가작업이나 완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연사는 연속된 섬유의 실 또는 방적사에 꼬임을 더 주거나 두 올 이상의 실을 합하여 꼬임을 주는 일 또는 꼬임을 준 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꼬임 방법으로는 제연(諸撚), 편연(片撚)과 같은 평범한 것이 있고, 특수한 효과를 내기 위한 특수연 또는 장식연(裝飾撚)이 있다. 꼬임의 방향을 구분하여 왼쪽으로 꼰 것을 좌연(左撚) 또는 Z꼬임이라 하고, 오른쪽으로 꼰 것을 우연(右撚) 또는 S꼬임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연사는 다수의 세사가 꼬임되어 있으므로 세사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여 반연신사가 인장됨과 동시에 세사 사이 공극이 좁아져 전체적인 연사의 두께가 얇아짐과 동시에 인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4위사(210)는 각각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위사a(211), 제4위사b(212), 제4위사c(213), 제4위사d(214)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화섬사는 화학 섬유로 만든 실을 의미하고, 원료를 가열 처리하여 가늘고 긴 화섬사를 제조하는 공지의 화섬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97중량% ∼ 99.9중량%와 나노실버 0.1중량% ∼ 3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화섬사를 비롯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화섬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경사(220)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a(22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b(222),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c(223)로 구비되는 것으로, 반연신사는 POY(Partially Oriented Yarn)사 라고도 하며, 예비 배향사, 부분 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라고도 불리워 진다. 보통의 방사속도로 방사된 것은 3~4배로 연신을 해주어야 사용할 수 있으나 방사속도가 3,500m/min 전후가 되면 자연적으로 상당한 연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POY사라고 부른다. 이 POY사는 약 1.5배만 연신해도 종래의 사와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어, 주로 가공사의 모사(母絲)로 사용된다. 가공사(Texturized Yarn)를 만드는 보통방법은 방사-연신-가공의 세 공정을 거치지만, POY사를 사용하게 되면 연신과 가공을 한 공정에서 할 수 있어(Draw Texturizing), 생산원가를 낮추는 등의 이점이 있다. POY사와 가공사는 이렇게 상호연관되어 있어서, 보통 POY-DTY(Draw Texturized Yarn)라 표기하기도 한다.
제 5위사는 각각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위사a(231), 제5위사b(232), 제5위사c(233), 제5위사d(234)로 구비되는 것이고, 제5경사(240)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a(24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b(242),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c(243)로 구비되며, 제6경사(250)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6경사(250)로 구비된다.
상기 제4경사a(221)는 제4위사a(211) 상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상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4경사b(222)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며, 상기 제4경사c(223)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킴에 따라 직조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5경사a(241)는 제5위사a(231) 하단과, 제5위사b(232) 상단과, 제5위사c(23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b(242)는 제5위사a(231) 상단과, 제5위사b(232) 하단과, 제5위사c(233) 상단과, 제5위사d(23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c(243)는 제5위사a(231) 상단과, 제5위사b(232) 상단과, 제5위사c(233) 상단과, 제5위사d(23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켜, 상기 제4경사a(221)를 제4위사a(211) 상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상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4경사b(222)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며, 상기 제4경사c(223)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킴에 따라 직조시킨 것과 상하 대응이 되도록 직조한다.
또한, 상기 제5위사a(231)는 제4위사a(211)와 제4위사b(212) 사이의 삼등분한 지점의 제1위사a(111)방향으로 처음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 하단에 위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경사(250)는 제5위사a(23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5위사c(23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제 6경사의 구성으로 상하로 대응하도록 직조된 직물을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연사는 다수의 세사가 꼬임되어 있으므로 세사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여 반연신사가 인장됨과 동시에 각각 세사 사이 공극이 좁아져 전체적인 연사의 두께가 얇아짐과 동시에 인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직조된 안전로프(200)는 반연신사의 작용으로 안전로프에 별도의 추가작업이나 완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안전로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영역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로프원단은 자체에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구비될 수 있도록 화섬사로 이루어진 위사와 화섬사와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사를 교호하여 안전로프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안전로프에 별도의 추가작업이나 완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그 이상의 충격흡수 및 완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작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제작단가를 현저히 절감하도록 하며, 안전로프의 부피와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킴에 따라 안전로프의 착용감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나이론사나 폴리에스터사와 같은 합섬사로 직조되고,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하는 안전로프를 구성하는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호하여 직조된 이중직으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의 일부는 반연신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로 구비되는 제1위사(110),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로 구비되는 제2위사(13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a(121)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b(122)로 구비되는 제1경사(120),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a(14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b(142)로 구비되는 제2경사(140),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3경사(150)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경사a(121)와 제1경사b(122)를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로 교차시켜 연결하고,
    상기 제2경사a(141)와 제2경사b(142)를 제2위사a(131)와 제2위사b(132) 사이로 교차시켜 연결하며,
    상기 제3경사(150)는 제1위사a(111)와 제2위사b(132) 사이를 절곡하여 교차 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120), 제2경사(140), 제3경사(150)는 다수의 세사를 꼬임하여 구비되는 연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사a(131)는 제1위사a(111)와 제1위사b(112) 사이의 삼등분한 지점에서 제1위사a(111)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위사a(211), 제4위사b(212), 제4위사c(213), 제4위사d(214)로 구비되는 제4위사(210)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위사a(231), 제5위사b(232), 제5위사c(233), 제5위사d(234)로 구비되는 제5위사(23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는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a(221)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4경사b(222), 제4경사c(223)로 구비되는 제4경사(220)와, 반연신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a(241),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5경사b(242), 제5경사c(243)로 구비되는 제5경사(240)와, 화섬사로 이루어진 제6경사(250)로 구성되고,
    상기 제4경사a(221)는 제4위사a(211) 상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상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4경사b(222)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4위 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4경사c(223)는 제4위사a(211) 하단과, 제4위사b(212) 하단과, 제4위사c(21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a(241)는 제5위사a(231) 하단과, 제5위사b(232) 상단과, 제5위사c(23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b(242)는 제5위사a(231) 상단과, 제5위사b(232) 하단과, 제5위사c(233) 상단과, 제5위사d(23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5경사c(243)는 제5위사a(231) 상단과, 제5위사b(232) 상단과, 제5위사c(233) 상단과, 제5위사d(234) 하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키고,
    상기 제6경사(250)는 제5위사a(231) 하단과, 제4위사b(212) 상단과, 제5위사c(233) 하단과, 제4위사d(214) 상단을 지나도록 절곡하여 교차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경사(220), 제5경사(240), 제6경사(250)는 다수의 세사를 꼬임하여 구비되는 연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5위사a(231)는 제4위사a(211)와 제4위사b(212) 사이의 삼등분한 지점에서 제5위사a(231)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원단.
KR1020060119027A 2006-11-29 2006-11-29 안전로프원단 KR10079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27A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6-11-29 안전로프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27A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6-11-29 안전로프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148B1 true KR100791148B1 (ko) 2008-01-03

Family

ID=3921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27A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6-11-29 안전로프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1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162815B1 (ko) 2010-02-23 2012-07-05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KR101534394B1 (ko) * 2012-12-31 2015-07-09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102219222B1 (ko) 2020-07-10 2021-02-23 김태수 충격흡수용 안전대
KR102639896B1 (ko) * 2023-08-21 2024-02-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충격 흡수벨트
KR20240031880A (ko) 2022-09-01 2024-03-08 김태수 프리 사이즈 안전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008A (ja) 1997-06-05 1998-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滑り止め装置の締付用ベルト
KR20040099690A (ko) * 2003-05-20 2004-12-02 (주)풍전티.티 이중직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008A (ja) 1997-06-05 1998-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滑り止め装置の締付用ベルト
KR20040099690A (ko) * 2003-05-20 2004-12-02 (주)풍전티.티 이중직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815B1 (ko) 2010-02-23 2012-07-05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534394B1 (ko) * 2012-12-31 2015-07-09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102219222B1 (ko) 2020-07-10 2021-02-23 김태수 충격흡수용 안전대
KR20240031880A (ko) 2022-09-01 2024-03-08 김태수 프리 사이즈 안전대
KR102639896B1 (ko) * 2023-08-21 2024-02-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충격 흡수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48B1 (ko) 안전로프원단
US10358748B2 (en) Protective 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2058415B1 (ko) 조절사 시스템을 갖는 신장성 직조물
US7341076B2 (en) Woven fabric comprising leno weave bound metal
US4018960A (en) Belting for safety belts
KR20150016593A (ko) 합성 섬유 로프
JP4927821B2 (ja) 帯紐ベルト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US3249128A (en) Mechanical belting
JP6925679B1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6377866B1 (ja) 伸縮自在織物構造体
JP4896167B2 (ja) エネルギー吸収ベルト
JP3613796B2 (ja) 高所作業用の安全帯
KR2016006194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PL164155B1 (pl) Tasma pasowa do pasów bezpieczenstwa PL PL PL PL PL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JP3239463U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0343431C (zh) 一种高强高伸缓冲绳带的制造方法
JPS6041983Y2 (ja) 墜落防止用緩衝帯
JPS6026014Y2 (ja) コンベヤベルト
KR101825806B1 (ko) 엘라스틱 일체형 충격흡수밴드
KR20140027785A (ko) 고리식 제직방법
CN215737112U (zh) 一种便于进行清洗抗拉扯的纺织面料
CN206635493U (zh) 一种和服绞边绞综驱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