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815B1 -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 Google Patents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815B1
KR101162815B1 KR1020100016023A KR20100016023A KR101162815B1 KR 101162815 B1 KR101162815 B1 KR 101162815B1 KR 1020100016023 A KR1020100016023 A KR 1020100016023A KR 20100016023 A KR20100016023 A KR 20100016023A KR 101162815 B1 KR101162815 B1 KR 10116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ube
yarn
woven
p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665A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10001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8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7/00Woven fabrics designed to be resilient, i.e. to recover from compressive stre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와 같이 사용한 튜브직물로 튜브직물을 poy사를 이용해 튜브직물의 생산시에 이면에 사용하여 함께 이중직을 제조하고 가공단계에서 poy사를, 공지의 가열기에서, 열가열하고 열가열시에 열을 받아 튜브 내부에 있는 poy사가 직선 수축하는 수축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축하고 poy사의 수축된 길이만큼 주름진 튜브직물로 되고 이로인해 신축성이 있는 튜브형 직물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튜브형관 형상의 직물을 생산하여 poy사를 이면직물의 재료로 사용하고 튜브형 직물의 가열시에 이면직물의 재료인 poy사의 수축으로 인해 튜브형 직물의 수축이 poy사의 수축 길이만큼 수축이 생긴다. 주름진 튜브형 직물을 끈에 필요한 용도의 신축성을 이용, 절벽, 해변의 낚시, 건물, 고공작업시 등으로 사용되며 이 제품은 파도에 쓸려가거나 높은 곳에서 추락할 시에 신축성 즉 탄력으로 인해 몸에 충격이 적은 장비 대용으로 로프(rope)등과 같이 사용하는 완충대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고공에서 작업시에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는 신축성이 있는 안전장구용에 필요한 것이다.
제품구성상의 표면직물인 탄성튜브와 poy사를 재료로 한 이면직물을 동시에 이중직으로 제직하여 사용한 신축성 있는 튜브관 형상의 직물은 추락시에 신체에 미치는 충격을 완충작용으로 완화하고 무게를 줄여 이러한 기능의 극대화와 제조단가를 줄이고 제조공정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double cloth tube fabric}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가미한 세폭 튜브직물에 관한 것으로 튜브 직물과 일정길이의 직물의 양측에 링(ring)등을 부착하여 로프(rope)등과 같이 사용하는 완충대의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 완충대의 부품인 세폭튜브 직물의 재질은 고무사, 합성수지사, 나이론사, 비닐론사, 폴리에스터사 및 이들의 가공사 등을 사용한다.
이 완충대의 부품인 세폭튜브 직물은 사용 용도에 따라, 충격을 가할시에 고무사의 신축을 이용하던가 충격하중을 흡수완화 하던가 하는 작업자의 신체 안전보호의 기능에 주로 이용한다.
이 완충대 부품인 세폭튜브 직물의 제조에 있어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을 위해 중공형태의 직조의 내측에 관통된 심사의 개량변경이나 벨트(帶)와 제직부를 일체로 제직한다는 것과 그의 가공처리와 봉제 부착하는 공정에서 공업용 미싱 부분의 노력과 완성품 조립시의 시간의 절약 등으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세폭관형 튜브직물을 이용하여 생산한 완충밴드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것으로 실용신안 20-0354542호와 특허 10-0626420호에 의하면 로프 상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를 합성수지제 덮개와 그 내측에 지그재그로 적층된 충격흡수용 튜브직물로 구성되고,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상기 충격흡수용 튜브직물은 각각 독립된 하나의 튜브직물을 사용한 밴드부재로서 절개되는 이러한 기존의 안전로프에 사용하는 부품인 로프와 안전벨트 부품으로 착용한 튜브직물의 제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추락시에 작업자가 추락하여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탄성을 흡수하는 안전을 위한 벨트의 부품인 세폭튜브 직물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제품은 고처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신업안전대의 부품으로 사용하는 세폭튜브직물 제품은 내외측 2중구조로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자체가 신축성을 갖도록 고무사(絲)와 합성수지사(絲)를 합사하여 직조된 신축직물을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장력에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합성수지사등으로 직조된 직물을 형성하며, 내측과 외측의 2중 구조직물은 외측만 직조된 중공(中空)형태로 직조하여 그 내측으로 신축 다수겹친 사가 관통되도록 구성하며, 신축 다수겹의 사가 장력에 의해 최대로 늘어났을 때의 길이와 튜브직물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신축튜브직물을 구성할 시 탄성체의의 외측의 튜브직물을 주름지게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을 보면 외부는 직물로 제직된 튜브직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튜브직물에 보호되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① 튜브직물은 하중을 가할시에 늘어나는 탄성부와 제직부로 이루어진다.
② 재료면에서 보면, 탄성부의 튜브직물에 넣어 보호되는 탄성체인 사는 추락시 발생하는 추락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탄성체인 사가 늘어나 추락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가 러버(rubber)로 된 고무사 또는 고무사의 외면을 실로 감싸 만든 고무사를 다수개 사용한다.
③ 구성면에서 보면, 또 탄성부는 직물로 짠 튜브직물내에 탄성체인 사를 넣어 만든 탄성부의 길이는 탄성체인 사의 길이로 짧게 만들어 제직부에 연결된다.
④ 작용(기능)면에서 보면, 탄성부에 추락하중이 가해지면 일차적으로 탄성체인 사가 늘어나면서 추락하는 낙하중력을 일차로 흡수하고 탄성체인 사가 늘어나 튜브직물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되면 탄성이 미미한 튜브직물에 의하여 사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제품에서 고무사등의 재료 가격의 문제와 섬유사와 고무사의 물성의 차이(팽창, 신축, 구성, 비율)로 신축성 재료의 사용에 의한 제직의 단점과 정확도 문제, 원료에 의한 길이의 한계, 생산성(불량율 등)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상기 문제의 개선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모양의 결점을 제거하여 개선하여 품질이 우수하며 튜브직물과 탄성체의 재질이 유사하며 성능이 안정된 제품과 이 탄성부는 값싸게 다량으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을 첨부도면에 표시한 실시예로 상세히 기재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표시와 같이 탄성부(20)의 튜브직물은 재질에 있어 튜브직물(50)은 나일론, 폴리에스터, 비니론 등의 합성섬유로 이중직으로 제직하고, 탄성체인 포이사(220)는 물성이 같은 합성섬유인 poy사로 대체하며 이중직으로 제직한다. poy사는 특허 10-735204호와 공개 특허 2000-37734호에 의한 방법으로 생산된 고수축 특성이 있는 재질의 합성섬유사이다.
탄성부(20)는 상기의 튜브직물(50)과 탄성체를 이루는 재질의 사를 poy사로 대체하고 동시에 제직하여 관형상의 이중직물을 생산한다.
이중직 튜브직물은 튜브직물(50)과 poy사(220)인 탄성체가 제직부(30)와 일체로하여 제직한다.
탄성부의 튜브직물에 함께 제직한 poy사의 탄성체는 전체가 러버(rubber)로 된 고무사 또는 고무사의 외면을 실로 감싸 만든 고무사를 화학섬유사로 대체하며, 즉 나이론,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섬유를 원료로 한 대량생산이 가능한 poy사를 사용하여 탄성체 부분의 재료를 대체하므로 대체에 의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직물로 짠 튜브직물내에 poy사인 탄성체를 넣어 만든 탄성부의 길이에서 종래의 생산공정에서는 탄성부의 길이를 양 끝을 잡고 늘여(신장하여) 신장된 길이가 튜브직물의 길이가 되게 길이를 맞추어서 제조하여야 되는 생산 공정의 단계에서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같은 분야의 합성섬유를 표면의 튜브직물과 탄성체인 포이사에 튜브직물과 유사한 물성의 사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강도, 신도, 제직성 등에서 연속생산과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고 생산이 편리하며 조악한 제품생산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체를 poy사로 대체하며 이 면에 탄성체인 이중직물을 제조하고 공지의 가열기에서 가열하여, 이면 poy사 직물을 수축하여 표면 튜브직물에 효과적으로 주름이 생기며, 이 발명에 의한 생산으로 생산공정의 단순화, 연속생산 등으로 탄성튜브 직물의 생산성 향상에 지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무사나 고무사의 외면을 실로 감싸 만든 고무사의 다수개 사용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여 생산된 제품보다 무게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직의 제직구성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표면직물과 이면직물(poy사 제직)이 구성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표면 튜브직물에 poy사를 이면사로하여 이중직을 제직하고 도 4는 이중직을 공지의 가열기에서 가열하여 poy사의 수축으로 튜브직물이 poy사의 수축만큼 직선으로 당겨져 수축하며 주름지게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튜브직물과 가열되어 수축된 poy사의 이중직인 탄성부의 구성에 제직부를 더한 일체화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탄성부와 가열하기 전의 poy사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튜브직물의 표면사에 이면사인 poy사와 같이 제직한 이중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탄성부를 사용한 허리벨트 보조부품을 나타내고 있는 제품도면이다.
도시된 내용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7도에서와 같이 탄성튜브직물(50)은 하중을 가할시에 늘어나는 탄성부의 포이사(220)와 튼튼하게 인장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20)의 길이방향의 양끝의 제직부(30)와 일체로 제직한다.
먼저 탄성부(20)와 제직부(30)는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비니론 등의 합성섬유사로 제직한다.
제2도는 상하에 제직되고 측면좌우가 접결된 이중직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면은 직물 조직도에서 보면 겉경사(50)와 안경사(220)의 구성으로 튜브직물(50)과 탄성체의 포이사(220)에 해당하며, 단면의 좌우측은 겉경사 접결(505), 안경사 접결(506)로 이루어진 이중직의 접결된 구성으로 튜브직물(50)과 탄성체의 포이사(220)의 접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poy사의 기술적인 특징중에 특허등록 10-0735204호 내용은
「강도 5.0~5.5g/d, 신도 17~20% 및 비수수축률 12~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재 PET POY 가연복합사가 제공된다.」이고 또,
공개특허 2000-0037734호 내용인 나일론에 의한 포이사(poy사)는 물성을 보면 견디는 가열히터온도(300℃), 수축율 (12~15%)과 신도(163%)가 탁월한 사인 특징이 있다.
제 3도, 4도는 본 발명의 구성과 제조공정을 보인 것이며 상기 탄성부(20)는 외측과 내측의 이중직으로 내측에서는 신축성을 갖도록 poy사(220)의 신축직물을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장력과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합성수지사로 직조된 튜브직물(50)을 형성하며,
탄성부(20)는 부분접결있는 이중직의 중공형태로 제직하되, 외부는 튜브직물(50)과 내부의 이면은 poy사(220)를 동시에 준비하여 이중직으로 직조하며 또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튜브직물과 poy사가 서로 접결하면서 이중직물을 형성하고,
튜브직물(50)과 poy사(220)로 이루어진 탄성부(20)의 제품에서 겉면인 튜브직물(50)을 공지의 가열기에서 가열하여 탄성체인 poy사(220)가 수축이 되며, 이 poy사(220)의 직선 수축에의해 일정부분 수축되고 수축된 길이만큼 튜브직물(50)과 poy사(220)가 서로 접결된 접결사(505, 506)에 의해 축소된 만큼 축소시켜, 제직된 상태에 있는 튜브직물(50)을 수축과 동시에 수축방향으로 당겨 당긴 길이만큼 수축으로 인해 튜브직물(50)을 주름지게 하며 탄성부(20)를 구성한다.
poy사와 튜브직물에 사용되는 경사와 위사는 1개의 사가 아닌 다겹(많이 겹친) 형태의 다겹사이다.
제 5도와 제 6도의 도시는 탄성부(20)를 구성하고 있는 튜브직물(50)과 탄성체인 poy사(220)는 하중을 가할 경우에는 양쪽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기능을 가진다. 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중을 가할 경우에 탄성부(20)의 늘어나는 기능에 더해 튜브직물과 poy사가 제직부(30)와 일체로 제직되어 이로 인해 가능한 최대의 인장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탄성부(20)의 구성요소인 튜브직물(50)과 탄성체인 poy사(220)는 힘을 가하거나 추락하는 물체의 매다는 기구의 부품으로 사용되어 힘을 받을 때, poy사(220)는 탄성체의 기능인 신축기능을 하고 탄성튜브는 인장강도를 갖고 poy사(220)가 어느 정도 늘어날 경우, poy사(220)와 같이 늘어난 상태의 형태를 유지하는 두 요소(튜브직물, poy사)의 물성의 보완적인 기능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먼저 탄성부(20)의 외측은 화섬사 등의 탄성이 없는 합성섬유 실로 제직하여 직물지로 된 튜브직물(50)을 만들어 작업자가 추락할 시에 생기는 큰 충격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인장강도를 갖는 튜브직물(50)로 제조하며 또 튜브직물(50)의 내측에는 poy사(220)인 탄성체를 사용하며 튜브직물(50)과 포이사(220)를 동시에 이중직으로 제직한다.
제직된 이중직의 튜브직물(50)과 탄성체의 poy사(220)를 겉과 이면으로 분리하면 도면(도7의 우측면 도시), 겉경사(50), 안경사(220), (도7의 이면경사 도면 하면의 도시), 겉위사(50), 안위사(220)(이면위사)로 도시하고,
탄성부(20)의 단면의 도시는, 외부는 튜브직물(50), 내면(이면)은 탄성체인 poy사(220)로 이루어지고 이중직의 좌우 양측은 겉경사접결(505) 안(이면)경사접결(506)(도2에 표시)을 부가하여 제직, 접결하였다.
탄성부(20)의 튜브직물(50) 이면에 있는 탄성체인 포이사(220)는 추락시 발생하는 추락하중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poy사(220)인 탄성체가 늘어나 추락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직부(30)와 포이사(220)인 탄성체는 포이사(220)인 탄성체의 수축으로 제직부에 비해 폭이 좁은 길이 방향의 포이사(220)인 탄성체의 양끝 부분이 약간 벌어져 제직부(30)에 연결하는 길이로 벌려진 poy사탄성체부분(800)(도5에 도시)를 이루면서 견고하게되고 일체로 제직되며 공지의 가열기에서 가열하며 탄성체인 poy사(220)의 직선 수축의 길이만큼 직선방향으로 튜브직물(50)의 수축, 경사 접결된 경사의 직선 방향으로 당김으로 탄성부(20)의 겉면인 튜브직물(50)이 주름지게 이루어져 구성된다.
도 8은 탄성부(20)를 사용한 허리벨트 보조부품을 나타내고 있는 제품도면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가 고공에서 작업시에 허리벨트나 안전그네를 몸에 착용하고 안전벨트의 연결간을 허리벨트나 안전그네에 연결하고(도 8) 훅은 작업장의 파이프나 지지간 등의 안전구조물에 연결하여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탄성부(20)와 제직부(30)가 일체로 된 제품을 사용하여 힘을 가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탄성부(20)의 길이정도의 길이로 되어 벨트의 길이가 짧아 사용이 편리하며 필요용도에 따라 작업시에 외부의 물체와 부딪치거나 움직일 때 물체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시에 작업목적에 따라 길이를 달리하며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20. 탄성부
30. 제직부
50. 튜브직물 (겉 경사와 겉위사로 구성)
220. 포이사(poy사) (안 경사와 안위사로 구성)
505. 겉경사접결
506. 안경사접결
800. 길이로 벌려진 poy사 탄성체 부분

Claims (4)

  1.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이중직물의 탄성부(20)에
    탄성부(20)는 튜브직물(50)의 제직용 합성섬유사와 탄성을 가진 탄성체포이(poy)사(220)의 두 종류의 사를 같이 이중직으로 제직하고,
    튜브직물(50)의 겉(표면)직물과 포이사(poy사)(220)로 된 속(이면)직물로 이루어진 이중직에 두 개의 안겉직물이 접결되고, 공지의 가열기에서 가열하여 속(이면)직물로 제직된 포이사(220)의 수축으로 튜브직물(50)을 수축된 길이만틈 당겨 주름지게하여 탄성부(20)를 구성한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poy)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체를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에 있어서,
    상기 튜브직물(50)과 포이사(220)를 사용한 탄성체가 이중직으로 되고 제직부(30)가 탄성부(20)와 함께 일체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poy)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튜브직물(50)과 탄성체인 포이사(220)는 길이 방향의 양쪽 끝 부분에 양쪽 두 개의 안직물과 겉직물이 접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 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KR1020100016023A 2010-02-23 2010-02-23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KR10116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23A KR101162815B1 (ko) 2010-02-23 2010-02-23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23A KR101162815B1 (ko) 2010-02-23 2010-02-23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65A KR20110096665A (ko) 2011-08-31
KR101162815B1 true KR101162815B1 (ko) 2012-07-05

Family

ID=4493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23A KR101162815B1 (ko) 2010-02-23 2010-02-23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059A (ko) * 2017-01-13 2019-09-11 아텍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9830B1 (fr) 2011-09-13 2013-11-29 Zedel Procede de fabrication d'un anneau de sangle pour activites d'escalade, a partir d'un tissu tubulaire qui est axialement debite
GB201208013D0 (en) * 2012-05-08 2012-06-20 Marathon Belting Ltd A cut-resistant protective cover for wire ropes and cables
KR102240848B1 (ko) 2014-06-23 2021-04-16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60020171A (ko) 2014-08-13 2016-02-23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637149B1 (ko) * 2016-05-20 2016-07-07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WO2018110744A1 (ko) * 2016-12-15 2018-06-21 주식회사 파비노 이중직을 이용한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389945B1 (ko) * 2021-12-21 2022-04-21 박준태 비탄성밴드와 탄성밴드로 형성된 이중이어밴드가 부착된 마스크
KR102513879B1 (ko) * 2022-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KR102639896B1 (ko) * 2023-08-21 2024-02-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충격 흡수벨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646A (ja) 2001-10-10 2003-04-23 Toyobo Co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布帛及び繊維製品
KR100468242B1 (ko) 2002-08-01 2005-01-27 오창호 다색의 주름모양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646A (ja) 2001-10-10 2003-04-23 Toyobo Co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布帛及び繊維製品
KR100468242B1 (ko) 2002-08-01 2005-01-27 오창호 다색의 주름모양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059A (ko) * 2017-01-13 2019-09-11 아텍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5886B1 (ko) 2017-01-13 2022-01-26 아텍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65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15B1 (ko)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US5564476A (en) Elasticized double wall tubular cord
US20090061712A1 (en) Three-dimensional woven hollow layer-connecting fabric
US20100000623A1 (en) Pile fabric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227232A1 (en) Textile and garment comprising a dual-weave of composite materials
US3086274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products incorporating textile fabrics
KR100791148B1 (ko) 안전로프원단
US3240656A (en) Woven fabrics
KR10163714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CN205329281U (zh) 高强度涤纶经编基布
KR102513879B1 (ko)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JP7008972B2 (ja) 織物
KR2018004779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160023031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6377866B1 (ja) 伸縮自在織物構造体
CN211138369U (zh) 一种涤纶耐撕防水面料
JP3613796B2 (ja) 高所作業用の安全帯
KR101825806B1 (ko) 엘라스틱 일체형 충격흡수밴드
CN216373630U (zh) 一种新型运动服复合面料
CN220594281U (zh) 一种尼龙松紧带
KR102311823B1 (ko) 안전 죔줄의 밴드
JP2018204135A (ja) じゃばら状に伸縮する筒状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