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059A -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059A
KR20190105059A KR1020197023390A KR20197023390A KR20190105059A KR 20190105059 A KR20190105059 A KR 20190105059A KR 1020197023390 A KR1020197023390 A KR 1020197023390A KR 20197023390 A KR20197023390 A KR 20197023390A KR 20190105059 A KR20190105059 A KR 20190105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woven
fabric
longitudinal
g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886B1 (ko
Inventor
훌 폴 반
콜린 카이저
스테파니 부즈 노리스
Original Assignee
아텍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텍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아텍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0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07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for artificial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2Encapsulated stents, e.g. wire or whole stent embedded in l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5Stent-grafts the stent being loosely attached to the graft material, e.g.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adsorbability or resorbability, i.e. in adsorption or resorptio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3One surface including hollow piping or integrated straps, e.g. for inserts or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t least one baggy or puckered pl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1Piped openings (pock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6Vascular grafts; st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8Hernia repair me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이식편의 경우, 베이스 직물 층을 갖는 관형 이식편 또는 시트와 같은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 일체로 직조된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또는 플랩을 가진다.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5,908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파우치, 플랩 및/또는 탭 내의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슬릿 개구 또는 개구들을 갖는 의료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 플랩 및/또는 탭은 임의의 형상 또는 치수일 수 있고, 요소(element)는 슬릿 개구를 통해 파우치 내로 스레딩(thread)될 수 있다.
인간 또는 생체 내의 배치를 위한 의료 장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의료 장치는 스텐트(stents), 이식편(graft), 필터, 코일, 폐색 바스켓(occlusion baskets), 밸브 등과 같은 관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관강내 벽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길이가 긴 장치이다. 예를 들어, 협착의 경우, 스텐트는 협착 부위의 신체 내강을 통해 방해받지 않는 도관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스텐트는 패브릭(fabric)으로 이루어진 보철 이식편 층 또는 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커버를 가질 수 있다. 이식편 층을 갖는 스텐트는 통상적으로 관강내 보철물, 관내 또는 혈관내 이식편(EVG), 스텐트-이식편, 또는 내부 이식편으로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된다.
공지된 이식편은 직조, 편성 또는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둘 이상의 다른 유형의 재료, 전형적으로는 비금속성 중합체의 이식편 재료 및 와이어의 형태일 수 있는 니티놀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이식편(20)에는 방사선 불투과성 와이어(22)를 이식편(20)에 직조하거나 봉합선(24)을 사용하여 패브릭에 재봉함으로써 방사선 불투과성 와이어(22)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식편은 또한 그 자체를 말아서 커프를 형성하고 이식편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포켓을 한정하도록 재봉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이식편에 와이어를 재봉하기 위해 추가 시간을 요구하거나 전체 와이어를 스레딩하여야 하므로 제작 시간을 늘려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공지된 이식편의 단점 없이 일체로 직조되거나 편성된 파우치, 플랩 및/또는 탭을 갖는 의료용 직물에 대한 기술이 당업계에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직물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직물부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부를 포함한다. 직물은 플랫, 관형, 테이퍼형, 두 갈래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실 세트(스테이플 섬유, 연속 필라멘트, 멀티 필라멘트,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 또는 편성 또는 직조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는 동일한 세트의 연속 필라멘트 또는 직물과 같이 동일한 세트의 날실 엔드의 일부로부터 직조되거나 편성되고 직물과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다. 파우치는 직물의 한면 또는 여러면 및 파우치의 한면 또는 여러면에서 직물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파우치는 직선형, 만곡형, 교차형 또는 나선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형상 또는 치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는 연속적일 수 있고 전체 원주 방향, 수평 또는 종방향의 직물 세그먼트 또는 직물상의 선택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파우치는 선택적으로 파우치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슬릿 개구를 포함 할 수 있다. 슬릿 개구는 이식편부의 종방향, 원주 방향 또는 대각선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직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슬릿 개구는 파우치의 내부 또는 외부 관형 벽상에 위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서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80도만큼 오프셋될 수 있지만,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지 않거나 예를 들어 45도 또는 90도와 같이 임의의 유용한 각도만큼 오프셋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우치는 개방 슬릿 섹션 및 폐쇄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니티놀 와이어와 같은 요소는 슬릿 개구 또는 폐쇄 섹션의 세공을 사용하여 파우치 내로 스레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직조된 이식편은 엔드(end) 방향으로 배향된 제1 세트의 실 및 픽(pick) 방향으로 배향된 제2 세트의 실을 포함하며, 세트들은 함께 직조되어 보철 직물을 형성한다. 직물 직조 기술 분야에서, "엔드" 실["날실 엔드(warp ends)" 또는 "날실 엔드 실(warp end yarns)"으로도 지칭 됨]은 축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직조 프로세스 중에 상승 및 하강되어 패턴이 직조될 때 "픽" 실["씨실(weft yarns)"이라고도 지칭됨]가 위아래로 교차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측방향으로 엔드 실에 직각으로 배향된 픽 실은, 예를 들어 셔틀, 레이피어, 프로젝타일, 에어 제트 또는 워터 제트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메커니즘에 의해 엔드의 폭을 가로질러 제공된 공간에서 픽 방향으로 운반되며, 그것에 의해 보철 직물을 직조한다.
보철 직물로부터 이식편을 구성할 때, 엔드 및 픽 방향의 실은 예를 들어 평직, 능직(twill), 새틴(satin), 벨벳(velour), 더블 벨벳, 바스켓(basket) 직조 또는 다양한 주문 제작된 구조와 같은 임의의 직조 구조로 함께 직조될 수 있다. 직조된 보철 재료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루멘을 한정하는 트렁크 벽을 가지며 이식편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 이상의 가지로 분지된(예를 들어, 두 갈래 또는 세 갈래로 나누어질 수 있음) 이음매없는 관형 구조로 직접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음매없는 구조는 예를 들어 셔틀 직조기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직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관형 구조의 엔드 실은 튜브 또는 가지의 종방향 축을 따라 배향되고, 픽 실은 튜브 또는 가지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배향된다.
동일한 세트의 실(스테이플 섬유, 연속 필라멘트, 멀티 필라멘트,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 또는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부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직물은 플랫, 관형, 테이퍼형, 두 갈래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직물부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1 직물부와 일체로 제1 파우치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 상기 실 세트로부터 제1 직물부 및 제1 파우치와 일체로 제2 직물부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 실 세트의 적어도 제2 일부로부터 제1 직물부, 제1 파우치 및 제2 직물부와 일체로 제2 파우치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 세트로부터 제1 직물부, 제1 파우치, 제2 직물부 및 제2 파우치와 일체로 제3 직물부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한다. 직조된 직물의 경우, 실은 적어도 하나의 날실 엔드 실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씨실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부 및 파우치는 동일한 날실 세트로부터 직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셔틀 또는 씨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셔틀 또는 씨실이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물부 및 파우치는 둘 이상의 가이드 바(guide bar), 바람직하게는 이중 바늘 바로부터 편성될 수 있다. 파우치는 직물과 동일한 밀도 또는 상이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방법은 파우치의 외부 또는 내부 관형 벽에 슬릿 개구를 일체로 형성, 즉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 및 슬릿 개구로 파우치를 통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또는 니티놀 스텐트와 같은 요소를 선택적으로 스레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체로 직조되거나 편성된 직물은 파우치 또는 슬릿 개구를 형성하도록 절단, 재봉 또는 바느질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읽혀질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대응하는 참조 요소 번호 또는 문자는 도면의 여러 시점에서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니티놀 와이어가 관형 이식편의 상부 및 하부에서 둘레를 따라 및 와이어 스파인(spine)을 따라 바느질되어 제 위치에 유지되는 종래의 관형 이식편을 도시한다.
도 2는 3차원 1x1 관형 이식편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평직(plain weave) 반복 패턴(101)의 2차원 표현이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 개구를 갖는 3차원 원주 방향 파우치를 직조하기 위해 개발된 직조 패턴(102)의 2차원 도면이다. 도 3은 직조를 위한 실 픽 및 실 엔드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슬릿 개구를 갖는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하는 다중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을 도시한다.
도 5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배면과 정면에 슬릿 개구를 갖는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다.
도 6은 그 안에 도시된 5i-5i 축을 따라 취해진 도 5의 원주 방향 파우치의 단면도이며 직조된 재료의 4개의 층을 도시한다. 외부 관형 벽(또한 외부 측면으로도 지칭 됨), 내부 관형 벽 및 개방 내부 관형 공간이 도시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이식편 길이 전체에 걸쳐 다수의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그림 및 2차원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3 개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이식편의 상단 부근에 원주 방향 파우치를 및 하단 부근에 원주 방향 파우치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을 도시하며, 두 개의 파우치 모두는 내부에 개구를 갖는다. 도 7b에서, 니티놀 와이어 링은 각각의 파우치 내의 슬릿 개구를 통해 스레딩될 수 있고 니티놀 와이어의 노출된 스파인은 이식편 측면의 아래에서 가시적일 수 있다. 도 7a 내지 7d의 각각의 원주 방향 파우치는 직조된 가장자리에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도 7c는 이식편 길이 전체에 걸쳐 원주 방향 파우치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을 도시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의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는 도 3의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된다.
도 8a 및 8b는 각각의 직조된 가장자리에 하나의 슬릿 개구와 함께 2개의 슬릿 개구를 갖는 원주 방향 파우치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다. 도 8a는 이식편의 완전한 외부 둘레에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하고, 도 8b는 이식편 주위에서 연속적이지 않은 단축된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한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되고, 파우치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된다.
도 9a는 슬릿 개구가 없는 연속 원주 방향 파우치에 대한 직조 패턴(103)을 도시한다. 도 9b는 내부에 직조된 슬릿 개구가 없는 연속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는 도 9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3)에 따라 직조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이식편 길이 전체에 걸쳐 다수의 원주 방향, 종방향 및 대각선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직조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0a는 변형된 1x1 관형 이식편을 위한 직조 패턴(104)이다. 도 10b는 내부에 직조된 2 개의 슬릿 개구를 각각 갖는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 및 이식편 길이를 따라 원주 방향 파우치에 연결된 대각선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0c는 스파인 및 원주 방향 파우치가 직조된 가장자리에 슬릿 개구를 포함하고 파우치들이 연결되지 않은, 이식편부의 직조된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 파우치 및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를 함유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3차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10d는 이식편의 각각의 직조된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의 종방향 파우치를 갖는,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 및 2개의 종방향 파우치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다이어그램이다. 각각의 파우치는 그 안에 직조된 하나의 슬릿 개구를 가지며 다른 파우치에 연결되지 않는다. 도 10b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및 도 10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4)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및 대각선 파우치는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5 및 106)에 따라 직조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직조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1a는 종방향 파우치의 좌측에 대한 직조 패턴(105)이고, 도 11b는 종방향 파우치의 우측에 대한 직조 패턴(106)이다. 도 11c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에 연결된 직조된 가장자리에 개구를 갖는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 및 도 10a에서와 같이 각각 직조 패턴(101 및 104)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되고,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 직조 패턴(106)에 따라 직조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슬릿 개구를 갖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직조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2a는 슬릿 개구를 갖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의 좌측을 위한 직조 패턴(107)을 도시한다. 도 12b는 슬릿 개구를 갖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의 우측을 위한 직조 패턴(108)을 도시한다. 도 12c는 슬릿 개구를 갖는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 및 슬릿 개구를 갖는 2개의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며, 종방향 파우치는 직조된 가장자리에 대해 이식편의 대향 측면상에 직조되고, 즉, 종방향 파우치는 직조된 가장자리를 감싸지 않는다. 도 12d는 이식편의 상부 및 하부의 원주 방향 파우치에 연결된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며, 각각의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는 직조된 가장자리에 대해 이식편의 대향 측면상에 직조되어 있다. 각각의 종방향 파우치는 일체로 직조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직조된 가장자리에 슬릿 개구를 갖는 하나의 원주 방향 파우치에 연결된다. 도 12c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 및 도 10a에서와 같이 각각 직조 패턴(101 및 104)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되고,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는 직조 패턴(107 및 108)에 따라 직조된다.
도 13a 내지 13d는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파우치를 함유하는 일체로 직조된 직물의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e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및 전체적으로 스레딩된 편성된 직물의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4a는 종래의 루프 구조 또는 래핑 움직임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스레딩된 및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편성 표기 패턴을 나타낸다. 도 14b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편성된 직물 단면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4c는 편성된 직물 및 파우치에 대한 소정 각도에서의 단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4d 및 도 14e는 각각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함유하는 편성된 직물의 정면 및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편성된 직물의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5a는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편성 표기 패턴을 나타낸다. 도 15b는 일체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 단면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5c는 편성된 직물 및 파우치에 대한 소정 각도의 단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5d 및 도 15e는 각각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의 정면 및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스레딩된 편성된 직물의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6a는 전체적으로 스레딩된 편성 표기 패턴을 나타낸다. 도 16b는 일체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 단면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6c는 편성된 직물 및 파우치에 대한 소정 각도의 단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6d 및 16e는 각각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의 정면도 및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파우치의 중앙에 슬릿 개구를 갖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플랫 직물의 도면이다. 도 17b 및 17c는 각각 17B-17B 축 및 17C-17C 축을 통하여 취해진 도 17a의 원주 방향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도 17b는 직조 또는 편성된 재료의 한 층을 도시하는 반면, 도 17c는 슬릿 개구를 갖는 파우치를 위한 직조 또는 편성된 재료의 2개의 층 및 파우치 주변의 플랫 직물을 위한 직조 또는 편성된 재료의 한 층을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플랫 직물상의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8a는 플랫 직물에 1개의 면이 연결된 탭 또는 플랩을 포함하는 플랫 직물이고, 도 18b는 직물에 2개의 면이 연결된 탭 또는 플랩을 포함하는 플랫 직물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원주 방향 파우치를 직조할 때 사용되는 4개 세트의 날실 엔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를 의료용 직물 내에 일체화시키기 위해 이식편 또는 메쉬와 같은 의료용 직물에 이음매를 절단, 재봉 및 생성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당업계에 공지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파우치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radiopaque marker), 장치, 약물, 필름 또는 임의의 다른 양립 가능한 대상물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관형의 이식 가능한 이식편일 수 있는 의료 직물상의 하나 이상의 외부 파우치,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를 일체로 직조, 편성 또는 직조 및 편성의 조합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파우치, 탭, 플랩 또는 직물 세그먼트는 기본 직물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 세트를 사용하여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어서, 이식 가능한 직물과 함께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를 일체로 형성한다. 각각의 파우치는 슬릿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슬릿 개구는 또한 직물로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거나, 절단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슬릿 개구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장치, 약물, 필름 또는 임의의 다른 양립 가능한 대상물과 같은 요소를 파우치에 출입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직물이 관형 이식편인 경우, 파우치는 관형일 수도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기본 관형 이식편을 둘러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는 기본 관형 이식편 주위에서 도넛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예를 들어, 와이어)와 같은 요소는 파우치 내의 하나의 슬릿 개구를 통해 배치되거나 스레딩될 수 있다. 요소를 이식편에 재봉해야하는 단계를 없앰으로써 제조 시간 및 관련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파우치 및 이식편의 이음매 없는 일체 성형으로 인해, 중합 이식편 재료의 천공 및 이음매가 없다. "이음매"는 두 개의 재료가 함께 결합되는 선이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이식편을 제조하기 위해,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이식편에 대한 파우치는 인터위빙 또는 인터니팅(interweaving or interknitting)에 의해 결합되어,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가 이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즉, 세그먼트가 별도로 제작되어서 이음매에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이음매 없는 구성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이음매를 포함하는 직물 구성은 본 발명과 함께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994,724호는 다양한 형상 및 이식편 구성을 생성하기 위한 단부의 탈락을 포함하고 그 구성의 일부로서 이음매를 또한 포함하는 직물 구성을 사용한다. 이음매를 사용하는 이러한 구성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도 본 발명과 조합하여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또는 직조 및 편성된 직물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직물은 날실 엔드의 세트 및/또는 씨실 세트를 포함하는 실 세트로 직조 또는 편성된 베이스 직물 층; 및 베이스 직물 층에 형성된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는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직조 또는 편성된다.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는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 또는 실의 서브세트로부터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직물은 이식편, 튜브, 덮개, 테더, 패치, 테이프, 메쉬, 밸브 등과 같이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직물일 수 있다. 직물은 두 갈래형, 세 갈래형, 테이퍼형, 판넬 및 시트를 포함하여 임의의 알려진 형태나 디자인 및 임의의 높이와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은 2차원 평면 직사각형 또는 관형 이식편일 수 있다.
"일체로 직조된" 및 "일체로 편성된"이라는 용어는 전체 직물을 만들기 위해 직물의 부분 또는 세그먼트가 함께 직조 또는 편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직물의 부분 또는 세그먼트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공통의 실을 공유한다.
파우치는 직조 또는 편성되어 있고 베이스 직물 층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직물 층의 추가 패브릭 층일 수 있다. 파우치는 직조 또는 편성되어 베이스 층에 연결되는 모든 면에서 닫히거나 1면 또는 2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파우치의 경우 2, 3 또는 4면에서 닫히도록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또는 타원형 파우치에 대해, 그것은 전체 직경 주위로 완전히 닫히거나 또는 직경 세그먼트 주위에서 부분적으로 닫히도록 직조될 수 있다. 임의의 파우치 형태, 크기 또는 치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는 직물 또는 편성되어 있고 베이스 직물 층에 일체로 연결된 추가 패브릭 층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베이스 직물 층에 일체로 부착되도록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탭의 경우 4면 중 1개 또는 2개 또는 1개 이상의 면의 일부에서 닫히도록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에서, 임의의 적절한 실시예에서 직조 또는 편성된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 또는 낭은 직조 또는 편성된 파우치로 대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파우치는 임의의 적합한 직조 또는 편성 패턴에 따라 평직 또는 편성 반복 패턴을 변형시킴으로써 베이스 직물 층에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각각의 탭 또는 파우치는 직물상에 선형으로, 곡선으로, 교차하여, 나선형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 또는 형태로 위치되도록 직조되거나 편성될 수 있다. 각각의 탭 또는 파우치는 직물의 전체 길이 또는 높이 또는 그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직물상에 선형으로, 곡선으로, 교차하여, 나선형으로, 대각선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파우치는 이음매, 재봉 또는 절단 없이 베이스 직물 층과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다.
직물은 하나의 원주 방향 파우치, 탭, 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물은 2개, 3개 또는 4개의 파우치와 같이 둘 이상의 직물에 직조 또는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우치 위치의 조합, 예를 들어, 선형 파우치 및 대각선 파우치가 동일한 직물상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파우치, 탭 및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의 조합이 동일한 직물에 사용될 수 있다.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의 위치, 폭 및 길이는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의 적용 및 용도에 의존된다. 파우치 또는 탭의 크기 및 배치의 정밀도는 직조 또는 편성 밀도 및 패턴 반복에 비례한다. 직조 또는 편성 밀도는 파우치 또는 탭의 적용 및 사용에 맞게 조율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탭 또는 파우치의 밀도는 평방센티미터당 약 3개 내지 약 250개 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직물의 주어진 영역에서의 실의 밀도는 한 방향의 실, 예를 들어 직조를 위한 씨실 또는 픽 및 편성을 위한 코스 실(course yarns)의 수와 직각 방향의 실, 예를 들어 직조를 위한 날실 엔드 및 편성을 위한 웨일 실(wale yarns)의 수의 합을 의미한다.
각 파우치,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는 임의의 폭 및 길이로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의 최대 폭은 직조 또는 편성 기계의 폭에 비례한다. 둘 이상의 탭 또는 파우치가 직물에 포함되는 경우, 탭 또는 파우치는 동일한 치수일 필요가 없고, 다양한 용도를 수용하기 위해 크기가 다양할 수 있고 다양한 요소에 대한 하우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파우치는 약 0.5mm 내지 약 200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약 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mm 내지 약 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mm 내지 약 6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mm 내지 약 4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mm이다.
각각의 파우치,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의 폭 및 길이는 스레딩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된 요소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소는 최소한의 마찰 및 움직임으로 파우치 내에서 견고하고 딱딱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을 줄이고 직물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이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의 베이스 직물 층은 실 세트로부터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고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는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직조 또는 편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실은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직물 섬유의 스트랜드(strand)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사용된 실은 단일 필라멘트(모노 필라멘트), 다중 필라멘트(멀티 필라멘트), 스테이플 섬유, 와이어 또는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실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임의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비틀어지거나 섞여 짜여짐으로써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실은 질감이 있거나 플랫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밝은, 반 흐린 및 완전 흐린과 같이 임의의 불투명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철 직물 장치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데 사용되는 실은 예를 들어 실크 및 면과 같은 천연 재료, 및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다른 생체 적합성 중합체인 중합체와 같은 합성 재료를 포함한다. 면과 같은 생물학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실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생성된 보철은 적절한 생체 적합성 재료로 코팅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어 신체에 의한 수용력을 높이고 신체에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실은 재흡수성, 비흡수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실은 천연 재료, 합성 재료, 금속(예를 들어, 금, 백금, 니켈, 주석, 니티놀, 코발트, 크롬, 스테인리스 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실은 폴리에스테르, 니티놀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실은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직물은 하나 이상의 재료의 실로 제작될 수 있다. 용어 실은 날실 엔드 실 및 씨실(또는 픽) 실을 모두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날실 엔드 실(또는 날실 엔드) 및 씨실(또는 픽)은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PET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날실 엔드는 하나의 재료이고 씨실은 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날실 엔드 실은 PET이고,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씨실은 PET이고, 파우치의 씨실은 PET 및 니티놀과 같은 금속이다. 그 실시예에서, 파우치의 내부 관형 벽에 사용되는 씨실은 PET이고,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에 사용되는 씨실은 니티놀이다. 예를 들어, 보강 목적으로, 많은 상이한 적용을 위해 씨실을 통해 파우치 내로 상이한 재료를 직조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강한 실 또는 생분해성 또는 흡수성 재료가 씨실에 사용될 수 있다. 날실 엔드 및 씨실을 변화시키는 임의의 수의 변경이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예상된다.
그 실시예에서, 베이스 직물 층 및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파우치는 동일한 세트의 날실 엔드로부터 직조 또는 편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우치는 내부 관형 벽을 일체로 직조함에 있어서 날실 엔드의 절반을 사용하여 직조될 수 있고, 날실 엔드의 다른 절반은 외부 관형 벽에 일체로 직조된다. 날실 엔드는 아무리 많은 파우치가 직물에 직조되더라도 계속하여 임의의 추가적인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직조하기 위해 다시 사용된다.
실은 전체로 약 40데니어(44데시텍스) 이상, 약 40데니어(44데시텍스) 미만, 약 30데니어(33데시텍스) 또는 약 30데니어(33데시텍스) 미만의 선밀도를 가질 수 있다. 데니어는 9,000미터 실의 그램 단위 무게이다. 직조된 직물의 두께는 약 7밀(0.18mm) 이하, 약 6밀(0.15mm) 내지 약 3밀(0.076mm), 약 4밀(0.10mm) 이하, 약 4.3밀(0.11mm) 내지 약 5.5밀(0.14mm), 약 4.0밀(0.10mm) 또는 약 3.2밀(0.08mm) 이하일 수 있다. 밀은 1밀이 0.001인치(0.0254mm)와 같은 길이의 단위이다. 직물의 두께는 표준 시험(ISO 7198)으로 측정될 수 있다. 직물은 평방센티미터당 약 10개 이상, 약 100개 이상, 약 150개 이상, 약 177개 이상, 약 250개 이상 실의 단위 면적당 다수의 실을 가질 수 있다. 실의 개수는 단위 면적의 날실의 개수와 씨실의 개수를 더하여 계산된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은 본 명세서에 그 전체로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8,911,8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총 약 30데니어(33데시텍스) 미만 및 필라멘트당 약 10데니어(11데시텍스) 미만의 실; 평방센티미터당 약 177개 실보다 큰 단위 면적당 다수의 실; 약 3.2밀(0.08mm) 미만의 두께를 포함하는 초박형, 고밀도, 낮은 데니어의 패브릭일 수 있다. 패브릭의 무게는 약 60g/m2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물은 총 약 30데니어(33데시텍스) 미만 및 필라멘트당 약10 데니어(11데시텍스) 미만의 실; 평방센티미터당 약 177개 실보다 적은 단위 면적당 다수의 실; 약 3.2밀(0.08mm) 미만의 두께를 포함하는 저밀도 플랫 시트 또는 튜브일 수 있다. 저밀도 직물은 직물의 세공이 예를 들어, 파우치, 탭 또는 플랩 내로 약제를 도입하기 위한 접근 지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곳에서 직조되거나 편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브릭의 무게는 표준 시험(ISO 7198)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직조된 직물은120mmHg(16kPa) 압력 및/또는 약 20파운드(89뉴턴) 이상의 프로브 파열 강도에서 약 400cc/min/cm2 미만의 투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프로브 파열 강도는 3/8인치(9.5mm) 프로브를 패브릭의 1인치(25.4mm) 직경 부분에 분당 0.5인치(12.7mm)의 속도로 누르고 프로브가 패브릭을 통해 파열되는 힘을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ISO 7198에 따르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직조된 직물은 약 25lbs/in(170kPa)보다 큰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 세그먼트는 내부에 직조 또는 편성된 슬릿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슬릿 개구는 수동으로 절단되거나, 사후에 절단되지 않고 탭 또는 파우치의 직조 또는 편성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밀도 직조 또는 편성의 세공 또는 세공들이 파우치에 대한 접근 지점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탭 또는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또는 외부 측면)에 슬릿을 생성하는 것은 탭 또는 파우치의 기본 내부 벽과 외부 벽 사이의 공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일체로 직조되거나 편성될 때, 슬릿 개구는 직물 재료를 절단할 것 없이 형성되어서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가장자리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슬릿 개구가 탭 또는 파우치의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릿 개구는 절단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은 레이저, 블레이드, 워터 제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릿 개구는 탭 또는 파우치 내로 일체로 직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릿 개구는 직물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지만, 직물의 종방향 축에 직각이거나 직물의 종방향 축에 대해 다른 각도인 것과 같은 슬릿의 다른 위치가 고려된다.
슬릿 개구는 탭 또는 파우치상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내부 또는 외부 관형 벽)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릿 개구는 파우치의 외부 벽에 있고 파우치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릿 개구는 그후에, 예를 들어 파우치에 배치된 요소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바느질, 접착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소는 하나 이상의 슬릿 개구를 스레딩하거나 그 내부에 배치된다. 요소는 당업계에서 치료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대상물 또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요소는 파우치에 배치하기 적합한 임의의 형태의 의약품일 수 있다. 요소는 선택적으로 방사선 불투과성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마커(예를 들어, 와이어, 디스크, 필름) 또는 스텐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요소는 밀봉 장치, 팽창 장치, 고정 장치 또는 미늘을 갖는 부착 링, 약물 방출 구조, 생분해성 대상물 또는 액체를 함유하는 튜브이다.
일 실시예에서, 요소는 선택적으로 금속(예를 들어, 금, 백금, 니켈, 주석, 니티놀, 코발트, 크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와이어일 수 있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이지만, 적합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재료가 본 개시 내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와이어, 바람직하게는 니티놀 와이어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에 관한 것이다.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은 실 세트로부터 직조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직조되고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와 일체로 직조된 적어도 하나의 탭 또는 파우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식편은 다중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이식편은 직선형 종방향 이식편, 테이퍼형 이식편, 플레어 이식편, 계단형 이식편, 두 갈래 또는 여러 갈래 이식편, 구멍이 있는 이식편 또는 이러한 형태 및 구조의 조합, 예를 들어 테이퍼형 및/또는 계단형 부분을 갖는 두 갈래의 이식편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형태 또는 디자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이식편의 다중 세그먼트는 단일 제품 내에서 형태 및 구조가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식편은 하나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또는 그 사이에 직조된 하나 이상의 일체로 직조된 파우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다중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내부 벽 및 외부 벽과 관통하는 루멘을 갖는다. 종방향 부분은 전체 제품의 일부로서 테이퍼형, 플레어형, 계단형, 플랜지형 또는 여러 갈래 부분을 또한 포함하는 이식편 디자인의 일부일 수 있다.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이라는 용어는 이식편의 부품 또는 세그먼트가 함께 직조되어 이식편 전체를 구성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가 와이어 또는 다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그후에 이식편의 단부에 소정의 방식으로 접착 또는 부착, 예를 들면 재봉되는 포켓 또는 파우치 부분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이식편 또는 그 단부에 포켓을 만들기 위해 접혀진 다른 공지된 이식편과 대조된다.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은 일반적으로 플랫 직조되어 있어서, 중간에 빈 공간이 있는 팽창된 상태가 아닌 2차원적으로 직사각형으로서 이를 볼 때 비기능적이고 비영구적인 직조된 가장자리가 2개의 관형 부분의 측면을 따라 생성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 형성된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은 임의의 길이 및 임의의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은 성인 또는 유아 동물에게 이식하기 위해 임의의 길이 및 임의의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편은 길이가 약 0.5mm 내지 약 60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편은 길이가 약 15mm 내지 약 250mm, 약 20mm 내지 약 140mm, 바람직하게는 약 20mm 내지 약 6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mm 내지 약 40mm일 수 있다. 외부 이식편 벽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직경은 약 0.1mm 내지 약 150mm, 약 5mm 내지 약45 mm, 바람직하게는 약 8mm 내지 약 4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mm 내지 약 3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이식편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직조된 이식편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관형 본체를 포함한다.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직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직 반복 패턴(예를 들어, 하나 위, 하나 아래로 반복되는) 및 바람직하게는 관형 직조 반복 패턴(101)에 따라 직조된다. 다른 직조 패턴이 유용하다.
도 2 및 이와 함께 직조 패턴을 도시하는 다른 도면은 상징적 표기를 사용하여 특정 직조 패턴을 나타낸다. 격자 위 정사각형의 세로 열은 날실 엔드를 나타내며 정사각형의 가로 행은 픽을 나타낸다. 격자에 표시된 또는 채워진 정사각형은 특정 열에 의해 표현되는 날실 엔드가 특정 수평 행에 의해 표현되는 픽 위로 올려짐을 상징한다. 정사각형이 표시되지 않거나 공백으로 남겨진 것은 직조시 픽의 아래로 날실 엔드가 내려짐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직 관형 이식편의 픽 및 엔드를 나타낸다. 픽 1, 2, 3 및 5는 이식편의 아래 부분 또는 하단부를 직조하는 데 사용되고, 픽 4, 6, 7 및 8 번 픽은 이식편의 윗 부분 또는 상단부를 직조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패턴 반복은 4개의 날실 엔드의 정상 패턴에 대하여 8개의 날실 엔드의 코스에 걸쳐진다. 반복 패턴으로 직조된 엔드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각각의 내부 및 외부 관형 벽이 설명되고 직조된다. 일정한 관형 평직 패턴에 따라 이식편의 상단과 하단에 관형 평직을 생성하기 위해 총 4 개의 픽(상부에 2개 및 하부에 2개)이 필요하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파우치에 4개의 층이 직조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반복을 수행하기 위해 8개의 픽이 사용된다: 내부 관형 벽의 상부/하부에 4개 픽 및 외부 관형 벽의 상부/하부에 4개 픽.
다른 실시예에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씨실 세트로부터 직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파우치는 동일한 씨실 세트의 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씨실 세트로부터 직조된다. 이식편이 2개의 파우치 및 다중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포함할 때,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제1 세트의 씨실로부터 일체로 직조될 수 있고, 제1 파우치는 제1 세트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세트의 씨실로부터 일체로 직조될 수 있고, 제2 파우치는 제1 세트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세트의 씨실 또는 제3 세트의 씨실로부터 일체로 직조될 수 있다.
임의의 씨실 및 날실 엔드 실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실질적으로 도시된 직조 패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셔틀 직조기에서 직조될 때 하나 이상의 셔틀에서 사용되는 또는 직조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직조 기계에서 수행될 때 다른 씨실 삽입 장치에서 사용되는 씨실을 변경하여 착색 패턴(만약 실이 상이한 색상이라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식편에 더 많은 형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강한 실 또는 와이어가 파우치를 직조하는 데 사용되는 셔틀 또는 다른 씨실 삽입 장치의 퀼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파우치는 임의의 적합한 직조 패턴에 따라 평직 반복 패턴을 변형시킴으로써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로 직조될 수 있다. 파우치 또는 탭은 이식편의 윤곽을 따르도록 직조될 수 있으며, 이식편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선형으로, 나선형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 또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파우치가 원주 방향으로 위치될 때, 원주 방향 파우치(포켓 또는 낭이라고도 함)는 이식편의 전체 원주 또는 그 일부 주위로 연장된다. 파우치가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면 원형 튜브를 형성한다. 이식편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선형으로, 나선형으로, 대각선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우치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와 그 어느 한 쪽 측면에 선택적으로 이음매, 재봉 또는 절단 없이 일체로 직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파우치는 이식편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된다. 도 3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반복되는 8 x 8 패턴(8개의 날실 엔드 및 8개의 픽)을 도시한다. 수평 방향으로 더 많은 반복이 가해질수록, 이식편이 더 넓어지고(즉, 직경이 커짐), 더 나아가 이식편의 원주 둘레에서 파우치가 연장될 것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많은 반복이 가해질수록, 파우치는 이식편의 종(길이) 방향을 따라 더 연장될 것이다. 패턴에서 각각의 열은 개별 날실 엔드의 직조 패턴을 나타내고 각각의 행은 개별 픽의 직조 패턴을 나타낸다. 패턴은 하부에서 상부로 읽혀진다(하부 행이 처음 직조된 픽이다). 픽 3 내지 6은 내부 관형 벽이다. 픽 1, 2 및 7, 8은 외부 관형 벽이다. 파우치의 각각의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2개의 픽이 사용된다. 파우치의 경우, 엔드의 각각의 열은 단일 층, 즉 관형 벽으로만 직조될 수 있다. 정사각형이 검은색이거나 착색되어 있으면 엔드가 올려진다. 정사각형이 흰색이면 엔드가 내려진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엔드(1)에 대한 패턴을 보면:
ㆍ 픽(1) 및 픽(2)은 하부 외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사각형은 검은색이다; 따라서, 엔드는 올려지고 직조되지 않는다;
ㆍ 픽(3)은 하부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사각형은 흰색이다; 따라서, 엔드는 내려지고 직조된다;
ㆍ 픽(4)은 상부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사각형은 흰색이다; 따라서, 엔드는 내려지고 직조된다;
ㆍ 픽(5)은 하부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사각형은 흰색이다; 따라서, 엔드는 내려지고 직조된다;
ㆍ 픽(6)은 상부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사각형은 검은색이다; 따라서, 엔드는 올려지고 직조된다;
ㆍ 픽(7) 및 픽(8)은 상부 외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사각형은 흰색이다; 따라서, 엔드는 내려지고 직조되지 않는다.
그 실시예에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하나 이상의 파우치는 동일한 세트의 날실 엔드로부터 직조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파우치는 내부 관형 벽을 일체로 직조할 때 날실 엔드의 절반을 사용하여 직조되고, 나머지 절반의 날실 엔드는 외부 관형 벽에 일체로 직조된다. 기능성 내부 개방 영역을 유지하기 위해 파우치가 직조되었음을 확실히 하기 위해,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된 날실 엔드는 외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된 날실 엔드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날실 엔드는, 아무리 많은 파우치가 이식편에 직조되더라도 계속하여 임의의 추가적인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직조하기 위해 다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편은 하나의 원주 방향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식편은 그 안에 직조된 2개, 3개 또는 4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와 같이 둘 이상의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우치 위치의 조합, 예를 들어, 동일한 이식편상의 원주 방향 파우치 및 대각선 파우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는 직물 또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의 외부 또는 내부 벽에 자리하거나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식편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관련하여, 2개의 단부(122 및 124)를 갖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26), 원주 방향 파우치(128) 및 이식편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슬릿 개구(130)를 포함한다. 2개의 단부(122 및 124)는 대향하는 개방 단부일 수 있다.
슬릿 개구(130)는 파우치상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내부 또는 외부 관형 또는 직물 벽)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슬릿 개구는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에 있고 파우치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종방향 축에 직각 또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종방향 축에 대한 또 다른 각도와 같이 슬릿 개구(130)의 다른 위치가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62, 164, 166), 원주 방향 파우치(168, 170), 이식편(160)의 뒤쪽 또는 후방의 슬릿 개구(172), 및 이식편(160)의 전방 또는 측면의 슬릿 개구(174)를 포함하는 도 7a의 것과 같은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160)의 측면 사시도이다. 이식편 내에 2개의 파우치가 있을 때, 제1 파우치의 슬릿 개구는 제2 파우치의 슬릿 개구와 일직선을 이루거나 또는 오프셋될 수 있다. 그 실시예에서, 제1 파우치의 슬릿 개구는 제2 파우치의 슬릿 개구로부터 45도, 90도 또는 바람직하게는 180도와 같은 임의의 유용한 각도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180도 오프셋되었을 때, 슬릿은 이식편의 반대편에 있을 것이다. 이식편(160)은 대향하는 개방 단부(176, 178)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62, 164, 166) 및 원주 방향 파우치(168, 170)는 동일한 세트의 날실 엔드로부터 직조된다.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62, 164, 166)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101)을 사용하여 직조되는 반면, 원주 방향 파우치(168, 170)는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102)을 사용하여 직조된다.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62, 164, 166)는 한 세트의 씨실로부터 직조되고 각각의 원주 방향 파우치(168, 170)는 한 세트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씨실 세트로부터 직조된다. 종방향 이식편부(162, 166)는 종방향 길이가 약 2mm이고, 원주 방향 파우치(168, 170)는 종방향 길이가 약 2.5mm이고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64)는 종방향 길이가 약 16mm이다. 직조된 슬릿 개구(172)는 원주 방향 파우치(168)의 후방(예를 들어, 3:00 위치)에서 길이가 약 2.5mm이고, 직조된 슬릿 개구(174)는 원주 방향 파우치(170)의 정면(예를 들어, 9:00 위치)에서 길이가 약 2.5m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이식편의 제1 단부로부터 이식편의 대향 단부까지 연장되는 연속적인 내부 관형 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우치는 분리된 영역에서 내부 관형 벽 주위에 외부 관형 벽으로 직조된다. 각각의 파우치는 내부 관형 벽, 외부 측면(또는 외부 관형 벽) 및 개방 내부 관형 공간을 갖는다. 도 6은 외부 측면(188)(또는 외부 관형 벽), 내부 관형 벽(192) 및 개방 내부 관형 공간(190)을 갖는 도 5의 원주 방향 파우치(17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62, 164, 166) 및 원주 방향 파우치(170)의 내부 관형 벽(192)은 이식편(16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이며, 개방 내부 관형 공간(190)은 내부 관형 벽(192)의 외부에 있다.
도 6은 도 5의 이식편(160)의 5i-5i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원주 방향 파우치(170)에 따른 이식편(160)의 단면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층의 직조된 재료를 갖는 반면,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단면도는 2개 층의 직조된 재료, 즉 외부 벽 및 내부 벽(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이들 4개의 층은 하부 외부 관형 벽(180), 하부 내부 관형 벽(182), 상부 내부 관형 벽(184) 및 상부 외부 관형 벽(186)으로서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의 파우치를 직조하기 위해, 하부 외부 관형 벽(180) 또는 상부 외부 관형 벽(186)이 먼저 직조되어야 한다. 하부 외부 관형 벽(180)이 먼저 직조된 경우, 하부 내부 관형 벽(182)은 상부 내부 관형 벽(184)을 직조하기 전에 직조된다. 일단 상부 내부 관형 벽(184)이 직조되면, 파우치(170)의 상부 외부 관형 벽(186)이 직조될 수 있다. 올바른 순서를 따르는 한, 이것의 정확한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식편이 2개 이상의 파우치를 포함할 때, 임의의 수의 파우치가 이식편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전혀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각각은 "원주 방향 파우치"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식편(144)은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148, 150)를 포함하고, 하나는 이식편의 제1 단부 근처에(즉, 근위에) 있고 제2 파우치는 이식편의 대향 단부 근처에(즉, 근위에) 있거나 이식편의 제1 단부에서 멀어지도록(즉, 원위에) 있다. 단부 근처라는 것은 원주 방향 파우치가 이식편의 중간 지점보다 이식편의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편의 길이가 약 25mm인 경우, 각각의 파우치는 이식편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약 2mm 내지 약 4mm, 바람직하게는 약 2mm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우치의 폭은 약 2mm 내지 약 4mm, 바람직하게는 약 2mm 내지 약 3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mm이다. 원주 방향 파우치는 임의의 폭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이식편에 둘 이상의 파우치가 포함되는 경우, 파우치는 동일한 치수일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용도에 맞게 크기와 위치가 다를 수 있으며 다양한 요소의 하우징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편이 하나 이상의 파우치를 포함할 때, 하나 이상의 와이어(방사선 불투과성 또는 투과성)가 슬릿 개구 또는 각각의 파우치 내의 둘 이상의 슬릿 개구를 통해 배치, 예를 들어 스레딩될 수 있거나, 2개의 와이어(방사선 불투과성 또는 투과성)가 사용될 수 있고, 이 때 하나의 와이어는 제1 파우치의 슬릿 개구를 통해 스레딩되고, 제2 와이어는 제2 파우치의 슬릿 개구를 통해 스레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7a 및 도 7b는 3개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146), 상부 근처의 원주 방향 파우치(148), 및 이식편의 하부 근처의 원주 방향 파우치(150)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부(140)를 도시하며, 파우치(148, 150) 모두는 내부에 개구(154)를 갖는다. 도 5b에서, 니티놀 와이어(152)의 링(158)은 각각의 파우치(148, 150) 내의 슬릿 개구(154)를 통해 스레딩될 수 있고, 니티놀 와이어(152)의 노출된 스파인(156)은 이식편(140)의 측면 아래로 보여질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니티놀 와이어(152)는 이식편(140)에 직조된 각각의 원주 방향 파우치(148, 150) 내의 각각의 슬릿 개구(154)를 통해 스레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7b에 도시된 니티놀 와이어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52)는 니티놀 와이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합한 와이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c 내지 도 7d는 이식편 길이 전체에 걸쳐 다중 원주 방향 파우치를 함유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2차원 도면이다. 이들 파우치는 이식편의 길이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거나 이식편의 임의의 길이에 위치되도록 직조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의 각각의 원주 방향 파우치는 직조된 가장자리에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200)은 다중 원주 방향 파우치(202)를 포함한다. 각각의 파우치(202)는 파우치 개구(206)를 통해 그 내부에 배치된 원주 방향 와이어(204)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된 이식편(220)은 대향 개방 단부(222, 224); 원주 방향 파우치(226, 230);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243)를 포함한다. 도 7d의 직조된 이식편(220)의 원주 방향 파우치(226)는 직조된 가장자리(236)에 하나의 개구(228)를 가지며; 도 5의 직조된 이식편(220)의 원주 방향 파우치(230)는 직조된 가장자리(238)에 하나의 개구(232)를 갖는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파우치(226 및 246)는 2개의 슬릿 개구(228, 240)를 갖는다. 파우치 슬릿 개구(228)는 각각의 직조된 가장자리(236)에 있고, 파우치 개구(240)는 직조된 가장자리(238)에 있다. 도 8b는 이식편(244) 주위에서 연속적이지 않은 단축 원주 방향 파우치(246)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244)의 2차원 도면이다. 직조된 이식편(244)은 대향하는 개방 단부(250, 254); 및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248)를 포함한다. 각각의 파우치 또는 낭의 적용은 각각의 파우치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234 및 244)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되고, 파우치(226 및 246)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된다.
도 9a 내지 도 9b 및 도 10a 내지 도 10d는 이식편 길이 전체에 걸쳐 다중 원주 방향, 종방향 및 대각선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직조 패턴 및 도면이다. 도 9a는 슬릿 개구가 없는 연속 원주 방향 파우치에 대한 직조 패턴(103)이다. 도 9b는 내부에 직조된 슬릿 개구가 없는 원주 방향 파우치(262)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260)의 2차원 도면이다. 직조된 이식편(260)은 대향하는 개방 단부(266, 268); 및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264)를 포함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264)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262)는 도 9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3)에 따라 직조된다.
도 10a는 변형된 1x1 관형 이식편을 위한 직조 패턴(104)이다. 일반 1x1 평직 패턴은 이식편을 닫고, 변형된 직조 패턴은 이식편을 닫지 않는다. 도 10b는 대향 개방 단부(272, 274)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270)의 2차원 도면이다. 이식편(270)은 내부에 직조된 2개의 개구(278, 282)를 각각 갖는 것처럼 도시된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276)를 포함한다. 파우치 개구(278)는 직조된 이식편 가장자리(280)에 배치될 수 있고, 파우치 개구(282)는 직조된 이식편 가장자리(284)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파우치 개구(278, 282)는 직조된 이식편(270)의 다른 위치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개구의 수는 변화될 수 있어서, 개구부 갖지 않는 것을 포함하여 2개보다 많거나 2 개보다 작을 수 있다. 직조된 이식편(270)은 이식편(270)의 종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대각선 파우치(286)를 포함할 수 있다. 대각선 파우치(286)는 그 개방 단부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파우치(276)의 일부와 일치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그러나, 대각선 파우치(286)는 이식편(270)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식편(270)의 종방향 연장에 대하여 대각선 파우치(286)의 각도는 일정하거나 변화될 수 있다. 적절한 각도는 약 30도 내지 약 60도 또는 약 45도를 포함하여 약 10도 내지 약 80도까지 변할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 파우치(276)는 이식편(270)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방향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원주 방향 파우치 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 파우치(276)는 이식편(270)의 종방향 연장으로부터 직각을 약간 벗어나, 예를 들어 약 10도 또는 10도 미만의 예각일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288)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에 따라 직조될 수 있고 관형 이식편부(290)는 도 10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4)으로 직조될 수 있다. 원주 방향 파우치(276) 및 대각선 파우치(286)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될 수 있다.
도 10c는 원주 방향 파우치(306) 및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310)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300)의 사시도이다. 관형 이식편(300)은 대향하는 개방 단부(302, 304)를 갖는다. 원주 방향 파우치(306)는 개구(308)를 가질 수 있고,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310)는 개구(312)를 가질 수 있다. 개구(308, 312)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이식편(300)의 직조된 가장자리(316)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파인 파우치(310) 및 원주 방향 파우치(306)는 각각 직조된 가장자리(316)에 슬릿 개구(312, 308)를 포함하고 연결되지 않는다. 이식편(300)은 또한 이식편(300)의 파우치가 아닌 부분(314)을 포함한다.
도 10d는 대향하는 개방 단부(322, 324);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326, 332); 및 2개의 종방향 파우치(338, 342)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320)의 2차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파우치(326)는 이식편(320)의 직조된 가장자리(330)를 따라 파우치 슬릿 개구(328)를 가지고; 원주 방향 파우치(332)는 이식편(320)의 직조된 가장자리(336)를 따라 파우치 슬릿 개구(334)를 가지고; 종방향 파우치(338)는 직조된 가장자리(330)를 따라 파우치 슬릿 개구(340)를 가지며; 종방향 파우치(342)는 직조된 가장자리(336)를 따라 파우치 슬릿 개구(344)를 갖는다. 각각의 파우치(326, 332, 338, 342)는 각각 내부에 직조된 하나의 개구(328, 332, 340, 344)를 가지며 임의의 다른 파우치에 연결되지 않는다. 파우치가 아닌 관형 이식편부(346)는 도 2 및 도 10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 및 104)에 따라 직조될 수 있다. 원주 방향 파우치(326, 332) 및 종방향 파우치(338, 342)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11c 및 도 12a 내지 도 12d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의 직조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1a는 종방향 파우치(368)의 좌측면에 대한 직조 패턴(105)을 도시한다. 도 11b는 종방향 파우치(370)의 우측면에 대한 직조 패턴(106)을 도시한다. 도 11c는 대향하는 개방 단부(352, 354)를 가지며 직조된 가장자리(360, 366)에 각각 개구(358, 364)를 갖는 원주 방향 파우치(356, 362)를 포함하고 종방향의 스파인 파우치(368, 370)에 연결된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350)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가 아닌 관형 이식편부(372)는 각각 도 2 및 도 10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 및 104)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356, 362)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슬릿 개구를 갖는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의 직조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2a는 슬릿 개구(402)를 갖는 종방향 파우치(398)의 좌측면에 대한 직조 패턴(107)을 도시한다. 도 12b는 개구(404)를 갖는 종방향 파우치(400)의 우측면에 대한 직조 패턴(108)을 도시한다. 도 12c는 대향 개방 단부(382, 384)를 가지며 개구(388, 394)를 갖는 2개의 원주 방향 파우치(386, 392)를 각각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380)의 2차원 도면이다. 이식편(380)은 각각 개구(402, 404)를 갖는 2개의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398, 400)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파우치(398, 400)는 직조된 가장자리에 대해 이식편의 대향하는 측면 또는 가장자리(390, 396)에 직조된다, 즉, 이들은 직조된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지 않는다.
도 12d는 도 12d의 이식편(420)의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원주 방향 파우치(386)에 연결된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398) 및 도 12d의 이식편(420)의 하부 근접하여 위치된 원주 방향 파우치(392)에 연결된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400)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관형 이식편(420)의 2차원 도면이다. 각각의 종방향의 스파인 파우치(398, 400)는 직조된 가장자리(390, 396)에 대해 이식편(420)의 대향 측면 또는 가장자리(390, 396)에 직조된다. 각각의 종방향 파우치(398, 400)는 일체로 직조된 종방향 관형 이식편(420)의 직조된 가장자리(390, 396)에 각각 개구(388, 394)를 갖는 하나의 원주 방향 파우치(386, 392)와 각각 연결된다. 도 12c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이식편부는 도 2 및 도 10a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1 및 104)에 따라 직조되고, 원주 방향 파우치는 도 3에서와 같이 직조 패턴(102)에 따라 직조되고, 종방향 스파인 파우치는 직조 패턴(107 및 108)에 따라 직조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직물의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a에서,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440)은 대향하는 개방 단부(442, 444) 및 파우치가 아닌 이식편부(452)가 배치된 연장되거나 확장된 원주 방향 파우치(446)를 갖는다. 원주 방향 파우치(446)는 이식편(440)의 대응하는 직조된 가장자리(460, 458)에 2개의 일체로 직조된 파우치 슬릿 개구(448, 450)를 가질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직조된 파우치 개구(454, 456)는 직조된 가장자리(458, 460)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480)은 개방 단부(482) 근처의 제1 부분(486)에서의 제1 직경 및 제1 직경과 상이한 개방 단부(484) 근처의 제2 이식편부(488)에서의 제2 직경, 및 그 사이에 일체로 직조된 플레어부(490)를 가질 수 있다. 부분(486, 488, 490)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개구(494)를 갖는 하나 이상의 원주 방향 파우치(4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직조된 두 갈래형 이식편(500)은 개방 단부(504)를 갖는 주 본체(502) 및 개방 단부(510, 512)를 각각 갖는 대향하는 다리(506, 508)를 포함한다. 이식편부(502, 506, 509)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파우치 개구(516)를 갖는 하나 이상의 원주 방향 파우치(514)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를 포함하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 세트를 사용하여 종방향 직물부를 직조하는 단계(a);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종방향 직물부와 일체로 그 내부에 슬릿 개구를 갖는 제1 파우치를 직조하는 단계(b); 선택적으로 단계(a) 및/또는 단계(b)를 1회 내지 3회 반복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세그먼트를 종방향 직물부 및 제1 파우치와 일체로 직조하는 단계(c); 및 파우치의 슬릿 개구를 통해 요소를 스레딩하는 단계(d)를 포함한다. 그 실시예에서, 요소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요소는 니티놀 와이어이다.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 직물 층 및 적어도 하나의 플랩 또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실 세트를 사용하여 베이스 직물 층을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베이스 직물 층과 일체로 파우치를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은 적어도 하나의 씨실 세트와 적어도 하나의 날실 엔드 세트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는 내부 벽, 외부 벽 및 그을 통하여 루멘을 가지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한정하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으로서, 상기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직조된 실 세트, 및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루멘의 외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파우치를 포함한다.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파우치는 공통 벽을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그에 의해 이식편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속적인 튜브를 형성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편성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체로 편성된 직물은 실 세트로부터 편성된 종방향 직물부, 및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편성되고 종방향 직물부와 일체로 편성된 적어도 하나의 탭 또는 파우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직물은 다중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물은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 또는 그 사이에 편성된 하나 이상의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직물부의 다중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 또는 테이프는 단일 층 또는 이중 층 재료의 구성으로 편성될 수 있다. 직물은 더 두껍거나 더 얇고 밀도가 높거나 낮은 직물을 위해 함께 편성된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형 파우치로 직물을 편성하는 프로세스는 패브릭 층을 위한 단일 가이드 바, 또는 패브릭 층을 위한 2개의 가이드 바, 또는 패브릭 층을 위한 3개의 가이드 바, 또는 패브릭 층을 위한 4개의 가이드 바, 또는 패브릭 층 또는 파우치를 편성하기 위한 수의 만큼의 가이드 바를 사용할 수 있다. 기계 매개변수 또는 기계 유형은 일체형 파우치로 직물을 편성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최대 가이드 바의 수를 제한한다.
아래에 기술된 도면에서의 편성된 구조에 대한 간략하지만 비-한정적인 요약이 아래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도면 파우치가 아닌 부분의 패브릭 층 가이드 바 스레딩 패브릭 층 당 가이드 바 수*
14 a, b, c 2개(가이드 바가 완전히 스레딩되어 있기 때문에 직물 테이프 또는 시트의 단일 층이 도시되지 않음) 완전히 2
14 d, e 1개(요소 참조 번호 672 및 674)(요소 참조 번호 682 및 684) 테이프 또는 시트는 완전히, 파우치는 부분적(가운데 영역) 2
15 a-e 1개(요소 참조 번호 720 및 724 또는 792 및 786) 테이프 또는 시트는 완전히, 파우치는 부분적 1
16 a-e 2개(가이드 바가 완전히 스레딩되어 있기 때문에 직물 테이프 또는 시트의 단일 층이 도시되지 않음) 완전히 1
* 선택적으로 추가 가이드 바를 사용하여 개구 파우치를 닫거나 중앙 슬릿을 만들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직물 전체에 걸쳐 일체형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의 편성 패턴 및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a는 일체로 편성된 튜브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 또는 플랫 시트에 대한 하나의 반복 섹션(601)에 대한 래핑 및 스레딩 다이어그램의 편성 패턴이다. 편성 패턴(601)은 루프 및 바느질 패턴(602) 및 가이드 바(604)에 대한 스레딩 다이어그램을 포함한다. 도 14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4개의 가이드 바(패브릭 층당 2개의 가이드 바)는 완전히 및 부분적으로 스레딩되며, 2개의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가이드 바는 파우치를 구성하는 데 이용되고 완전히 스레딩된 가이드 바는 테이프를 구성하는 데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 튜브-테이프(tube to tape) 편성 프로세스 동안 이용되는 4개의 가이드 바는 아래의 바느질 표기법을 가지는 가이드 바 4(GB4)(610), 가이드 바 5(GB5)(612), 가이드 바 12(GB12)(614), 가이드 바 13(GB13)(616)이다:
가이드 바 4
1-2 / 1-1 / 1-0 / 1-1 // *6
가이드 바 5
1-0 / 1-1 / 1-2 / 1-1// *6
가이드 바 12
1-0/1-2//*4 +
1-1/ 1-0 / 1-1 / 1-2 //*4
가이드 바 13
1-0/1-2//*4 +
1-0/1-2 / 1-1 / 1-0 //*4
도 14b 및 도 14c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 테이프 또는 시트의 측 단면도 및 각 단면도의 도면이다. 도 14b는 14a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4b는 대향하는 단부 층(622, 624)을 가지며 3개의 관형 파우치(630, 632, 634)를 각각 포함하는 일체 편성된 이중 층 플랫 테이프(620)를 도시한다. 관형 파우치(630, 632, 및 634)는 이중 층 플랫 테이프(620)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622, 624) 사이에 일체로 편성되고 일체로 편성된 날실(640, 642, 644, 및 646)의 일부에 의해 분리된다. 도 14c는 테이프의 대향하는 측면(622, 624) 사이에 편성된 3개의 일체형 파우치(630, 632, 634)를 포함하는 편성된 이중 층 테이프(620)의 각 단면의 3차원 도면이다. 3개의 관형 파우치(630, 632, 634)로 테이프(620)를 구성하거나 편성하는 편성 기계는 편성 패턴(601)의 중앙 섹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스레딩된다.
도 14d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의 정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편성된 테이프(650)는 3개의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630, 632, 및 634) 및 2개의 파우치가 아닌 부분(672, 674)을 포함하고, 각각의 파우치는 2개의 측면(652, 654, 656, 658) 및 2개의 슬릿 개구(660 및 666, 662 및 668, 및 664 및 670)를 가진다. 각각의 파우치를 편성하기 위해, 모든 가이드 바는 파우치 측면(652, 654, 656, 658)을 편성하기 위해 함께 위치되고, 가이드 바는 패턴(601)으로 도시된 관형 파우치(630,632, 및634)를 편성하기 위해 대향하는 측면에서 분리된다.
도 14e는 단일 층 테이프 부분(682, 684) 및 이중 층 테이프 부분(686)을 갖는 편성된 직물(680)을 도시하는 저면도 또는 평면도이다. 이중 층 테이프 부분 또는 섹션은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한다. 테이프의 이중 층은 층을 구분하기 위해 스케일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 도 14a 및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느질 표기법 및 패턴(601)에 따라, 가이드 바는 단일 층 플랫 테이프(682, 684) 부분(파우치를 포함하지 않음)을 편성하기 위해 완전히 스레딩되고, 파우치(686)를 갖는 이중 층 테이프를 편성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스레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형 파우치를 갖는 테이프는 도 14a 내지 14e와 비교하여 더 적은 실을 사용하여 편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일체로 편성된 튜브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를 구성하기 위해 패브릭 층당 하나의 가이드 바가 사용된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직물 전체에 걸쳐 일체형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의 편성 패턴 및 도면이다. 도 15a는 하나의 반복 섹션(701)에 대한 래핑 및 스레딩 다이어그램 및 2개의 일체로 편성된 튜브 파우치를 포함하는 단일 층 편성된 테이프를 위한 가이드 바(702)에 대한 스레딩 다이어그램이다. 도 15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이드 바(710)는 테이프의 구성에서 완전히 스레딩되고,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가이드 바(712)는 2개의 파우치의 구성에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 튜브-테이프 편성 프로세스 동안 사용되는 2개의 가이드 바는 다음의 편성 표기법을 갖는 가이드 바 2(GB2)(710) 및 가이드 바 5(GB5)(712)이다:
가이드 바 2
1 - 2 - 1 - 1 / 1 - 0 - 1 - 1 //*N +
0 - 1 - 0 - 0 / 0 - 0 - 0 - 1 //*N
가이드 바 5
1 - 1 - 1 - 0 / 1 - 1 - 1 - 2 //*N +
1 - 1 - 1 - 0 / 1 - 0 - 1 - 1 //*N
* N = 편성 테이프 길이 대 파우치의 비율에 따라 사용되는 반복 횟수의 지정
도 15b 및 도 15c는 각각 2개의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중 층 편성된 직물 테이프의 측 단면도 및 각 단면도이다. 도 15b는 관형 파우치(730)를 포함하는 대향하는 층(722, 724)을 갖는 이중 층 편성된 플랫 테이프(720)의 2차원 도면이다. 관형 파우치(730)는 이중 층 플랫 테이프 측면(722, 724) 및 단부 부분(742, 744) 사이에서 일체로 편성된다. 도 15c는 편성 테이프의 이중 층(722, 724)과 일체로 2개의 일체형 파우치(730)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의 각 단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5d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의 정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편성 테이프(750)는 각각 2개의 측면(752, 754 및 756, 758) 및 2개의 개방 슬릿(760, 766 및 762, 764)을 각각 갖는 2개의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730 및 732)를 포함한다. 도 14e는 테이프의 2개의 층 내에서 일체로 편성된 편성된 파우치(788, 790) 및 단일 층 테이프 부분 (782, 784 및 786)을 갖는 편성된 직물 또는 테이프(780)를 도시하는 저면도 또는 평면도이다. 파우치(788, 790)는 2개의 가이드 바를 분리 또는 이격시켜 2개의 편성 층 사이에 공극 영역 또는 개방 영역을 생성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는 단일 층 플랫 테이프 부분(782, 784 및 786)을 구성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스레딩되고, 가이드 바는 파우치(788, 790)를 구성하기 위해 완전히 스레딩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파우치 및 테이프 부분의 면적, 치수 및 스케일은 층을 구분하기 위해 스케일이 맞지 않는다.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가 아닌 단일 층 플랫 테이프(782, 784 및 786) 부분 및 파우치(788, 790)는 도 15a에서와 같이 바느질 표기법(701)에 따라 편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로 편성된 튜브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가이드 바는 실 또는 패브릭으로 완전히 스레딩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핑 다이어그램(801) 및 가이드 바 스레딩 다이어그램(802)은 일체로 편성된 튜브 파우치를 포함하는 편성된 테이프에 이용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바는 이중 층 플랫 테이프 및 튜브 파우치를 편성하기 위해 완전히 스레딩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 튜브-테이프 편성 프로세스 동안 사용되는 2개의 가이드 바는 다음의 편성 표기법을 갖는 가이드 바 2(GB2)(810) 및 가이드 바 5(GB5)(812)이다:
가이드 바 2
1 - 2 - 1 - 1 / 1 - 0 - 1 - 1 //*N +
0 - 1 - 0 - 0 / 0 - 0 - 0 - 1 //*N
가이드 바 5
1 - 1 - 1 - 0 / 1 - 1 - 1 - 2 //*N +
1 - 1 - 1 - 0 / 1 - 0 - 1 - 1 //*N
* N = 편성 테이프 길이 대 파우치의 비율에 따라 사용되는 반복 횟수의 지정
도 16b 및 16c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 또는 탭을 포함하는 편성된 직물 테이프의 측 단면도 및 각 단면도이다. 도 16b는 대향하는 단부 층(822, 824)을 가지며 파우치(830) 및 탭 또는 연장된 직물부(832)를 포함하는 일체 편성된 이중 플랫 테이프(820)의 2차원 도면이다. 파우치(830) 및 플랩 또는 탭(832)은 대향하는 플랫 테이프 측면(824 또는 820)으로부터 일체로 편성된다. 파우치(830)는 4개의 측면(822, 824, 842, 및 844)[또는 측면(842 및 844)을 나타내는 일체로 편성된 날실의 부분]에서 플랫 테이프에 완전히 닫히고 일체로 연결된다. 반면, 탭 또는 연장된 직물부(832)는 하나의 측면(846)이 개방되거나 플랫 테이프와 일체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개방되거나 탭의 3개의 측면(822, 824, 및 844)[또는 측면(844)을 나타내는 일체로 편성된 날실의 부분]에서 플랫 테이프와 연결된다. 도 16c는 플랫 테이프 층(824)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체형 파우치 또는 탭(830, 832)을 포함하는 이중 층 편성된 테이프의 각 단면의 3차원 도면이다. 패널 또는 테이프(824)를 구성하거나 편성하는 편성 기계의 측면은 완전히 스레딩되고, 파우치(830) 및 탭(832)을 구성하거나 편성하는 기계는 실 또는 다른 섬유로 완전히 스레딩된다.
도 16d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중 층 편성된 테이프의 정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편성 테이프(850)는 2개의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830, 832)를 포함한다.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830)는 2 개의 닫혀 있거나 부착된 측면(852, 854)을 갖는다. 도 16a의 패턴(801)이 반복되면, 파우치(832)는 또한 2개의 닫혀 있거나 부착된 측면을 가질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파우치는 닫히도록 편성되지 않았지만, 부가적인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가이드 바가 추가되면, 이들은 4개의 측면 모두에서 닫히고 개방 슬릿을 갖지 않을 것이다. 도 16e는 일체로 편성된 파우치(파우치는 전체에 걸친 테이프의 이중 층 구조로 인해 도 16e에서 가시화 될 수 없다)를 갖는 편성된 직물(880)을 도시하는 저면도 또는 평면도이다.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파우치(880)를 갖는 이중 층 편성 테이프는, 도 16a에서와 같이 편성 패턴(801)에 따라 편성되며 모든 가이드 바가 완전히 스레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을 포함하며,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편성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실 세트를 사용하여 종방향 직물부를 편성하는 단계(a);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종방향 직물부와 일체로 그 내부에 슬릿 개구를 갖는 제1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을 편성하는 단계(b); 선택적으로 단계(a) 및/또는 단계(b)를 1회 내지 3회 반복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세그먼트를 종방향 직물부 및 제1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과 일체로 편성하는 단계(c); 및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의 슬릿 개구를 통해 요소를 스레딩하는 단계(d)를 포함한다. 그 실시예에서, 요소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요소는 니티놀 와이어이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베이스 직물 및 파우치 또는 파우치들은 종래의 루프 구조 또는 1 과 1 래핑 움직임(1 and 1 lapping movement), 2 와 1 래핑(2 and 1 lapping), 필라(pillar) 또는 트리코트(tricot), 로크닛(locknit), 새틴(satin), 아틀라스(atlas)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래핑 움직임의 조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어느 것이든 인접한 바늘 바로 이동하여 파우치를 닫거나 별도의 바늘 바에 편성하여 파우치를 열어 둔다. 종방향 또는 대각선 파우치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가이드 바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스레딩된 가이드 바를 사용하는 아틀라스 바느질은 결합 실로 스레딩되지 않는 영역에 대각선 파우치를 생성하여 파우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로서 참조되는, Raz S. (1987) Warp Knitting Production. Charlottesville, VA: Melliand Textilberichte.는 전통적인 직물 구성에 대한 편성 프로세스, 기계 방법 및 가이드 바 구성을 기재한다. 이들 방법 및 프로세스는 참고 문헌에 의해 제시된 대로 사용되거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를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제6 실시예는 베이스 직물 층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탭 또는 연장된 직물부를 포함하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직조되거나 편성된 플랫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실 세트를 사용하여 베이스 직물 층을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베이스 직물 층과 일체로 파우치 또는 탭을 직조 또는 편성한 다음, 하나 이상의 일체로 연결된 측면을 연결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은 적어도 한 세트의 씨실 및 적어도 한 세트의 날실 엔드로 구성된다.
도 17a는 파우치 개구(528)를 갖는 파우치(526)를 갖는 직물 시트(520)를 도시한다. 직물 시트(520)는 단일로 편성 또는 직조된 직물일 수 있다. 도 17a의 17B-17B 축에서의 직물 시트의 단면도인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시트(520)는 상부 부분(522) 및 하부 부분(524)을 갖는 단일 층의 직물 시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물 시트는 단일 층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직조된 다중 층(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a의 17C-17C 축에서의 직물 시트의 단면도인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526)는 그 사이에 파우치 공동(534)을 갖는 상부 부분(530) 및 하부 부분(532)을 포함한다. 직물 시트는 파우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일체로 직조 또는 일체로 편성된, 직조된 시트 또는 편성된 시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탭, 플랩 또는 연장된 직물부를 갖는 직조 또는 편성된 플랫 직물이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다. 도 18a는 2개의 직조 또는 편성된 플랫 부분(912 및 914) 및 1개의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탭(920)을 갖는 직조 또는 편성된 플랫 직물(910)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8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직조 또는 편성된 탭은 탭(920)의 일 측면(940)에 일체로 연결된다. 탭(920)은 먼저 2개의 개방 단부 또는 슬릿(922 및 924)을 갖는 파우치(916)를 직조 또는 편성한 다음 파우치의 일 측면을 연결 해제(즉, 절단)하여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파우치(916)는 절단 선(930)에서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도 18b는 2개의 측면(964, 966)에 연결되고 2개의 측면(962, 970)에서 개방되는 탭(960)을 갖는 2차원 도면이다. 절단부는 파우치의 종방향, 원주 방향 또는 대각선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직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절단부는 직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파우치를 생성하기 위해,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직조하기 위해 사용된 패턴으로부터 직조 패턴이 변경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셔틀(1)은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파우치의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셔틀(2)은 제1 파우치의 외부 측면(또는 외부 관형 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고, 셔틀(3)은 제2 파우치의 외부 측면(또는 외부 관형 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도 2의 평직 패턴에 따라 직조되고, 다음의 변경이 평직 패턴에 이루어짐으로써 이식편에 대해 원주 방향 또는 대각선으로 배치된 파우치를 위한 직조 패턴을 만든다:
ㆍ 패턴 반복을 변경하여 8개의 날실 엔드 및 8개의 픽을 채운다. 4개의 날실 엔드 및 4개의 픽은 셔틀(1)에 해당하고, 다른 4개의 날실 엔드와 4개의 픽은 셔틀(2및 3)에 해당한다. 파우치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슬릿 개구를 생성하려면, 셔틀(2)의 반복은 셔틀(1)의 패턴을 사이에 끼워 넣으며[셔틀(1)의 4개의 픽 반복의 양쪽에 각각 2개의 픽] 반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직조 반복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i. 픽(1 내지 2) : 셔틀(2)(상부/상부);
ii. 픽(3 내지 6) : 셔틀(1)(상부/하부/상부/하부);
iii. 픽(7 내지 8) : 셔틀(2) 또는 셔틀(3)(하부/하부).
ㆍ 셔틀(1)이 직조할 때마다, 셔틀(2 및 3)의 날실 엔드는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엔드를 올리거나 내릴지 여부는 내부 또는 외부 관형 벽 중 어느 것이 생성에 사용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ㆍ 셔틀(1) 및 셔틀(3)은 직조 기구(예를 들어, 직기)의 한 측면(우측과 같은)에서 시작된다. 셔틀(2)은 직조 기구의 다른 측면(여기서, 좌측)에서 시작된다.
ㆍ 셔틀(3)은 셔틀(2)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파우치의 대향하는 측면(즉, 180도 오프셋)에 슬릿 개구를 직조하기 위해 이식편의 2개의 파우치 중 다른 하나를 직조하는 데 사용된다.
파우치의 각각의 관형 벽에서 직조할 날실 엔드를 선택함으로써, 파우치가 방사선 불투과성 와이어와 같은 요소가 스레딩되거나 하우징될 수 있는 개방 내부 관형 공간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직조 패턴을 8개의 날실 엔드/8개의 픽 반복으로 변경하는 것은 특정 엔드 및 픽이 파우치의 각각의 관형 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4개의 날실 엔드 및 픽은 파우치의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며, 4개의 날실 엔드 및 픽은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외부 측면)을 직조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패턴이 8개의 엔드 및 8개의 픽을 채우기 위해 변경되지 않으면, 엔드는 관형 벽으로 직조되어 함께 직조된 관형 벽을 갖는 촘촘하게 이격된 패브릭을 생성하게 된다. 즉, 요소가 통과하여 스레딩될 수 있는 개구가 없을 것이다.
각각의 셔틀이 직조를 시작하는 측면을 선택하면 슬릿 개구가 외부 관형 벽으로 어떤 측면에 직조될지 결정된다. 셔틀(1) 및 셔틀(2)은 씨실이 갇히지 않도록 대향하는 측면에서 시작해야 한다. 슬릿 개구가 이식편의 대향하는 측면(즉, 180도 오프셋)에 있으려면, 셔틀(3)은 셔틀(2)의 대향하는 측면에서 시작해야 한다.
파우치를 직조하는 순서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1 파우치 및 제2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은, 셔틀(1)을 사용하여 내부 관형 벽을 직조하기 전에 셔틀(2 및 3)로 직조(완성까지)될 수 없으며, 그렇지 않으면 그 안쪽 부분을 직조하기 위해서 이식편의 내부에 접근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날실 엔드가 관형 벽을 직조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때, 날실 엔드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직조 패턴이 변환되지 않으면, 파우치 또는 심지어 전체 이식편이 폐쇄되도록 직조되어 파우치 디자인의 개구를 제거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내부 관형 벽(도 6)의 날실 엔드가 직조되고, 상부 외부 관형 벽(도 6)의 날실 엔드가 직조되지 않은 경우, 이들 엔드가 우연히 튜브에 직조되지 않으려면 이들 엔드는 위로 올려져야 한다. 이 경우, 튜브는 폐쇄되도록 직조될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파우치의 4개의 관형 벽 각각이 직조될 때 날실 엔드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다음 도면 각각에 대해:
ㆍ 숫자 1은 파우치의 상부 외부 관형 벽(도 6)을 직조하는 데 사용된 날실 엔드를 나타낸다;
ㆍ 숫자 2는 파우치의 상부 내부 관형 벽(도 6)을 직조하는 데 사용된 날실 엔드를 나타낸다;
ㆍ 숫자 3은 파우치의 하부 내부 관형 벽(도 6)을 직조하는 데 사용된 날실 엔드를 나타낸다; 및
ㆍ 숫자 4는 파우치의 하부 외부 관형 벽(도 6)을 직조하는 데 사용된 날실 엔드를 나타낸다.
도 19는 하부 외부 관형 벽이 직조될 때의 날실 엔드 간격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부 관형 벽(4)을 직조하는 데 사용된 날실 엔드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올려진 다른 엔드(1 내지 3)로부터 분리된다. 도 20은 하부 내부 관형 벽이 직조될 때의 날실 엔드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엔드(1 및 2)는 올려지고 날실 엔드(4)는 날실 엔드(3)의 직조를 간섭하지 않도록 내려진다. 도 21은 상부 외부 관형 벽이 직조될 때 날실 엔드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엔드(2 내지 4)는 날실 엔드(1)의 직조를 간섭하지 않도록 내려진다. 도 22는 상부 내부 관형 벽이 직조될 때 날실 엔드의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엔드(3 및 4)는 내려지고 날실 엔드(1)는 날실 엔드(2)의 직조를 간섭하지 않도록 올려진다.
도 2 및 도 3에 실질적으로 도시된 직조 패턴을 사용하면, 이식편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위치된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의 일 측면에 슬릿 개구 없이 파우치를 직조하는 것은 파우치 내부로의 접근을 제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이 직조 패턴을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를 갖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은 또한 각각의 파우치에 슬릿 개구를 포함한다. 슬릿 개구가 이식편의 외부 관형 벽에 없다면, 파우치에 접근할 수 없으며, 픽은 대향하는 측면의 파우치를 닫히게 할 것이다.
파우치의 패브릭 밀도(즉, 인치당 픽)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의 패브릭 밀도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편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파우치의 패브릭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파우치를 직조할 때 인치당의 픽은 2배가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편의 제1 단부로부터 이식편의 제2 단부까지의 연속적인 튜브는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파우치의 내부 관형 벽의 연속적으로 섞여 짜인 실 세트를 통해 직조된다. 그 실시예에서, 날실 엔드 실 세트 및 씨실 세트 모두는 이식편의 연속 튜브 전체에 걸쳐 동일하다.
본 개시 내용의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은,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직조 또는 편성 패턴과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이식편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 밀도, 형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0)

  1.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로서,
    실 세트로 직조되거나 편성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 및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 직조 또는 편성되고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graft portion)로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또는 플랩
    을 포함하고,
    일체로 직조된 경우, 상기 실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날실(warp yarns) 또는 엔드(end) 및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씨실(weft yarns) 또는 픽(pick)을 포함하며; 일체로 편성된 경우, 상기 실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웨일 실(wale yarns) 및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코스 실(course yarns)을 포함하는,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가 외부 벽, 내부 관형 벽 및 개방 내부 공간을 가지며, 직물의 제1 단부 근처에 위치된 제1 파우치인, 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우치가 상기 직물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위치된 슬릿 개구를 갖는, 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개구가 상기 제1 파우치의 외부 벽에서 직조되고 상기 제1 파우치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직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제2 단부 근처에 외부 벽, 내부 벽 및 개방 내부 관형 공간을 갖는 제2 파우치를 포함하는, 직물.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우치가 상기 직물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슬릿 개구를 갖는, 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파우치 내의 슬릿 개구 및 제2 파우치 내의 슬릿 개구가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에서 직조되고 파우치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직물.
  8.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파우치의 슬릿 개구가 제2 파우치의 슬릿 개구로부터 180도 오프셋되어 있는, 직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종방향 관형 이식편인,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통한 상기 이식편의 단면도가 4개 층의 직조된 재료를 갖는, 직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상기 파우치와 종방향 직물부 사이에 이음매를 포함하지 않는, 직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소(element)가 상기 파우치 내에 배치되는, 직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금속 와이어인, 직물.
  14.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가 이식편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가 파우치의 내부 관형 벽과 연속하여 연속 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연속 튜브는 상기 이식편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이식편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직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재흡수성 또는 비흡수성이고, 상기 실이 천연 재료, 합성 재료, 금속,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가 동일한 세트의 날실 엔드로 직조되는, 직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부는 제1 세트의 날실 엔드로 직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는 상기 제1 세트의 날실 엔드의 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세트의 날실 엔드로 직조되는, 직물.
  19. 제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부는 제1 세트의 씨실로부터 직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는 상기 제1 세트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세트의 씨실로 직조되는, 직물.
  20.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부는 제1 세트의 씨실로 직조되고, 상기 제1 파우치는 상기 제1 세트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세트의 씨실로 직조되고, 제2 파우치는 상기 제1 세트의 씨실 및 상기 제2 세트의 씨실 또는 제3 세트의 씨실 중 하나로 직조되는, 직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씨실 재료가 상기 제2 및 제3 세트의 씨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와 다른, 직물.
  22.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실 세트를 사용하여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a); 및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종방향 직물부와 일체로 하나의 파우치를 직조 또는 편성하는 단계(b)
    를 포함하고,
    일체로 직조된 경우, 상기 실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날실 또는 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씨실 또는 픽을 포함하며; 일체로 편성된 경우, 상기 실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웨일 실 및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코스 실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직물부는 날실 엔드 세트를 사용하여 직조되고, 상기 파우치는 동일한 날실 엔드 세트로 직조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직물부는 날실 엔드 세트를 사용하여 직조되고, 상기 파우치는 동일한 날실 엔드 세트 및 추가적인 세트의 날실 엔드를 사용하여 직조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직물부는 씨실 세트를 사용하여 직조되고, 상기 파우치는 동일한 씨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 및 추가적인 세트의 씨실을 사용하여 직조되는,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외부 관형 벽에 슬릿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릿 개구는 절단 또는 재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직물부는 관형 이식편이고, 파우치는 상기 이식편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되는,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직조한 후에, 상기 실 세트를 사용하여 제2 종방향 직물부를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3개의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2개의 파우치를 포함하는 일체로 직조된 이식편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실 세트를 사용하여 제1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직조하는 단계(a);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1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와 일체로 제1 파우치를 직조하는 단계(b) -상기 제1 파우치는 외부 관형 벽, 내부 관형 벽 및 개방 내부 관형 공간을 포함함-;
    상기 실 세트로부터 제1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제1 파우치와 일체로 제2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직조하는 단계(c);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제2 일부로부터 제1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제1 파우치 및 제2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와 일체로 제2 파우치를 직조하는 단계(d) -상기 제2 파우치는 외부 관형 벽, 내부 관형 벽 및 개방 내부 관형 공간을 포함함-; 및
    상기 실 세트로부터 제1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제1 파우치, 제2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및 제2 파우치와 일체로 제3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를 직조하는 단계(e)
    를 포함하고,
    상기 실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날실 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씨실을 포함하고; 제1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제1 파우치, 제2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 제2 파우치, 및 제3 종방향 관형 이식편부는 동일한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방법.
  30.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직물부 및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을 포함하는 일체로 편성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실 세트를 사용하여 종방향 직물부를 편성하는 단계(a);
    상기 실 세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종방향 직물부와 일체로 그 내부에 슬릿 개구를 갖는 제1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을 편성하는 단계(b);
    선택적으로 단계(a) 및/또는 단계(b)를 1회 내지 3회 반복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세그먼트를 종방향 직물부 및 제1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과 일체로 편성하는 단계(c); 및
    선택적으로 파우치 또는 탭 또는 낭의 슬릿 개구를 통해 요소를 배치하는 단계(d)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23390A 2017-01-13 2018-01-16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5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5908P 2017-01-13 2017-01-13
US62/445,908 2017-01-13
PCT/US2018/013837 WO2018132820A1 (en) 2017-01-13 2018-01-16 Integrally woven or knitted textile with pouch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059A true KR20190105059A (ko) 2019-09-11
KR102355886B1 KR102355886B1 (ko) 2022-01-26

Family

ID=6183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390A KR102355886B1 (ko) 2017-01-13 2018-01-16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364518B2 (ko)
EP (2) EP3568103B1 (ko)
JP (2) JP6848070B2 (ko)
KR (1) KR102355886B1 (ko)
CN (1) CN110381885B (ko)
AU (1) AU2018207686B2 (ko)
CA (1) CA3047597C (ko)
ES (1) ES2862381T3 (ko)
WO (1) WO2018132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596A1 (ko) * 2020-06-18 2021-12-23 한국광기술원 Led 패치 결합형 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8070B2 (ja) * 2017-01-13 2021-03-24 アテ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ーチを含む一体織り又は一体編みテキスタイル及びその作製方法
US10869747B2 (en) * 2017-05-10 2020-12-2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ide branch aortic repair graft with wire lumen
US11690705B2 (en) * 2019-03-15 2023-07-0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Graft having a pocket for receiving a stent and woven graft material, forming a pocket
US11969335B2 (en) 2020-04-28 2024-04-30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Woven graft having a taper with a re-engaged warp end
US20230330308A1 (en) * 2022-04-11 2023-10-19 The Secant Group, Llc Articl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tureless impla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4155A1 (en) * 2001-08-31 2003-03-06 Maiden Janice R. Optical fiber carrier
US20070219622A1 (en) * 2006-03-17 2007-09-20 Cook Incorporated Stent-graft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stent pockets
WO2008088556A1 (en) * 2007-01-18 2008-07-24 Chosen, Llc Iv cuff
KR101162815B1 (ko) * 2010-02-23 2012-07-05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18181A (en) * 1938-08-17 1940-02-20 Harold Bestwick Hayt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nitted fabrics and their production
US2845959A (en) * 1956-03-26 1958-08-05 John B Sidebotham Bifurcated textile tubes and method of weaving the same
US3096560A (en) * 1958-11-21 1963-07-09 William J Liebig Process for synthetic vascular implants
US3095017A (en) * 1959-07-14 1963-06-25 Us Catheter & Instr Corp Woven articles
US3304557A (en) * 1965-09-28 1967-02-21 Ethicon Inc Surgical prosthesis
US4665951A (en) * 1985-03-11 1987-05-19 Ellis Julian G Prosthetic ligament
SE469432B (sv) * 1991-11-22 1993-07-05 Nordiskafilt Ab Vaevd beklaednad foer pappersmaskiner och liknande
IT1305843B1 (it) 1998-09-10 2001-05-16 Franco Sciacca Metodo o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tridimensionalie o conformati di miglieria e calzetteria tubolare,preferibilmente
US6477710B1 (en) * 2000-05-30 2002-11-12 Feyisayo Ojoyeyi Garment for concealing patient medical appliances
WO2002039928A2 (en) 2000-11-15 2002-05-23 Mcmurray Fabrics, Inc. Soft-tissue tubular prostheses with seamed transitions
US7108019B2 (en) * 2002-05-24 2006-09-19 Nippon Filcon Co. Industrial two-layer fabric
KR100975531B1 (ko) 2002-08-29 2010-08-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US20040215318A1 (en) 2003-04-24 2004-10-28 Brian Kwitkin Timed delivery of therapeutics to blood vessels
CN201021466Y (zh) * 2007-01-19 2008-02-13 瑞泰纤维工业股份有限公司 具袋状结构的织物
US8845715B2 (en) * 2008-08-18 2014-09-30 Hisham M. F. SHERIF Total aortic arch reconstruction graft
WO2010024849A1 (en) * 2008-08-29 2010-03-04 Cook Incorporated Prosthesis with moveable fenestration
US9427304B2 (en) * 2008-10-27 2016-08-30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Multi-layer device with gap for treating a target site and associated method
JP5105439B2 (ja) * 2008-10-29 2012-12-26 芦森工業株式会社 筒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31001A1 (en) 2008-11-24 2010-05-27 Medtronic Vascular, Inc. Targeted Drug Delivery for Aneurysm Treatment
US8911856B2 (en) 2009-12-18 2014-12-16 Atex Technologies, Inc. Ultra-thin fabric, devices, and methods
JP5437480B2 (ja) * 2010-03-23 2014-03-12 テルモ株式会社 生体管腔用補修材
CN103799302A (zh) * 2012-11-15 2014-05-21 吴孟涛 袖子上带口袋的透光透气衣服
EP2749252B1 (en) * 2012-12-26 2017-02-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Prosthesis system
US20140189931A1 (en) * 2013-01-04 2014-07-10 Janice Fredrickson Hospital day gown
US20150026869A1 (en) * 2013-07-24 2015-01-29 Karen Kay Groceman Undergarment with receptacle for receiving medical device
DE102014220087B4 (de) *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US9775392B2 (en) * 2014-10-04 2017-10-03 Pocket Innerwear, Inc. Innerwear pocket system and method
US20160305050A1 (en) * 2015-04-16 2016-10-20 The Secant Group, Llc Woven textile and method for making a woven textile
US9962528B2 (en) * 2015-07-22 2018-05-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Variable diameter woven medical tube texti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1008676B2 (en) * 2015-12-16 2021-05-1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extured woven fabric for use in implantable bioprostheses
CN108601647B (zh) * 2016-03-31 2020-10-02 美敦力瓦斯科尔勒公司 具有流体吸收性成分的修复脉管组织缺损用腔内假体装置
CN106109056B (zh) * 2016-07-22 2018-02-13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一种多腔型覆膜支架及其使用方法
JP6848070B2 (ja) * 2017-01-13 2021-03-24 アテ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ーチを含む一体織り又は一体編みテキスタイル及びその作製方法
US11690705B2 (en) * 2019-03-15 2023-07-0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Graft having a pocket for receiving a stent and woven graft material, forming a pock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4155A1 (en) * 2001-08-31 2003-03-06 Maiden Janice R. Optical fiber carrier
US20070219622A1 (en) * 2006-03-17 2007-09-20 Cook Incorporated Stent-graft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stent pockets
WO2008088556A1 (en) * 2007-01-18 2008-07-24 Chosen, Llc Iv cuff
KR101162815B1 (ko) * 2010-02-23 2012-07-05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596A1 (ko) * 2020-06-18 2021-12-23 한국광기술원 Led 패치 결합형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8313A1 (en) 2021-04-21
US20190301061A1 (en) 2019-10-03
JP7206307B2 (ja) 2023-01-17
CA3047597A1 (en) 2018-07-19
US10364518B2 (en) 2019-07-30
US20180202082A1 (en) 2018-07-19
JP2021098064A (ja) 2021-07-01
WO2018132820A1 (en) 2018-07-19
KR102355886B1 (ko) 2022-01-26
AU2018207686B2 (en) 2020-04-02
EP3568103A1 (en) 2019-11-20
JP2020505108A (ja) 2020-02-20
AU2018207686A1 (en) 2019-07-04
JP6848070B2 (ja) 2021-03-24
CN110381885A (zh) 2019-10-25
US11957563B2 (en) 2024-04-16
CA3047597C (en) 2021-11-02
CN110381885B (zh) 2022-02-11
ES2862381T3 (es) 2021-10-07
EP3568103B1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886B1 (ko) 파우치를 가지는 일체로 직조 또는 편성된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US6939372B2 (en) Low profile, high stretch, low dilation knit prosthetic device
US8343207B2 (en) Composite medical textile material and implantable devices made therefrom
US6554855B1 (en) Low profile, high stretch, low dilation knit prosthetic device
US6540773B2 (en) Low profile, high stretch knit prosthetic device
EP2171143B1 (en) Compressible resilient fabric,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