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879B1 -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879B1
KR102513879B1 KR1020220071874A KR20220071874A KR102513879B1 KR 102513879 B1 KR102513879 B1 KR 102513879B1 KR 1020220071874 A KR1020220071874 A KR 1020220071874A KR 20220071874 A KR20220071874 A KR 20220071874A KR 102513879 B1 KR102513879 B1 KR 10251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safety tube
woven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박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Priority to KR102022007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879B1/ko
Priority to EP23728578.8A priority patent/EP4317555A1/en
Priority to PCT/KR2023/006508 priority patent/WO20232438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1Cut or abras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8Arched, corrugated, or lik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corrugated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2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은, (a) 튜브직물인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포이사로 구성된 심재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한 후, 상기 심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c) 상기 안전튜브밴드와 상기 심재를 상호 결합한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튜브밴드는 경사인 제1 화섬사와 경사인 고무사와 위사인 제2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일단부; 경사인 상기 제1 화섬사와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와 경사로서 상기 제2 화섬사와 제직되고 심사로서 상기 제2 화섬사와 제직되지 않은 것을 소정간격 반복하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중심부; 및 경사인 상기 제1 화섬사와 경사인 상기 고무사와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중심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와 중심부 및 타단부를 순차로 연속되게 제직한다.

Description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MPACT ABSORBTION LANYARD FOR EASY POY LENGTH ADJUSTMENT}
본 발명은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교량 등과 같은 고층 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설현장,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전신주나 철탑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현장 등과 같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추락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보호장구로써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와 안전모 등의 개인용 안전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안전대와 고정지지대에 충격흡수죔줄에 연결된 걸고리 모양의 훅을 고정하여 사용하는데, 충격흡수죔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 흡수장치가 설치되며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한다.
종래의 충격흡수죔줄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섬유, 화섬사 등과 같은 재료를 꼬아 만든 로프의 일단을 작업자에 걸고 타단을 고정지지대 등에 걸어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죔줄은 길이가 길고 느슨한 상태로 사용되므로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방해할 뿐 아니라 추락 시에 생기는 강한 하중이 작업자에게 직접 가해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0537호에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이중직물의 탄성부 및 합성섬유사로 직조된 제직부로 구성된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합성섬유사인 위사와 경사로 이중 제직하되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직물과, 튜브직물의 내부에 내장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포이사밴드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즉, 종래기술은 위사와 경사인 합성섬유사로 튜브직물을 제직하고 별도로 포이사밴드를 제직한 후, 튜브직물의 내부에 포이사밴드를 삽입하고 튜브직물과 포이사밴드를 재봉하여 상호 결합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각각의 튜브직물과 포이사밴드를 제직한 후 포이사밴드를 튜브밴드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0537호(2015.04.0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키며 아울러 다양한 안전규격에 대응하기에 용이한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튜브직물인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포이사로 구성된 심재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한 후, 상기 심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c) 상기 안전튜브밴드와 상기 심재를 상호 결합한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튜브밴드는, 경사인 제1 화섬사와 경사인 고무사와 위사인 제2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일단부; 경사인 상기 제1 화섬사와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와 경사로서 상기 제2 화섬사와 제직되고 심사로서 상기 제2 화섬사와 제직되지 않은 것을 소정간격 반복하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중심부; 및 경사인 상기 제1 화섬사와 경사인 상기 고무사와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중심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와 중심부 및 타단부를 순차로 연속되게 제직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상기 고무사는, 경사로서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소정거리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1 고무사; 및 경사로서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소정거리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2 고무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 고무사는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2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상기 제2 고무사는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2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갈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3 내지 8개의 상기 제1 화섬사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로 하며, 상기 화섬사 단위체들 사이에 1개 또는 2개의 상기 제1 고무사 또는 상기 제2 고무사가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무사는 및 상기 제2 고무사는, 심사로서 위사인 10 내지 15개의 상기 제2 화섬사의 간격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상기 상부직물과 상기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무사가 상기 상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상부로 엮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고무사가 상기 하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하부로 엮이는 제2 위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상부직물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고무사가 상기 상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어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직물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고무사가 연장되어 상기 하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일단부와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를 상호 제직하고, 순차로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및 타단부를 연속되게 제직하되 복수의 상기 포이사를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및 타단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며,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 끝단을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 끝단을 당겨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 외측으로 빼낸 후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길이가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총 신장길이보다 길어지도록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와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를 재봉하여 상기 결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함과 동시에 안전튜브밴드의 내부에 복수의 포이사로 구성된 심재를 배치함으로서, 별도로 안전튜브밴드와 심재를 제직하고 심재를 안전튜브밴드의 내부에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공정의 편리성 등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심재를 구성하는 포이사의 길이를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어 세계 각국의 다양한 안전규격을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100)은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되어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심재(130)와 충격에 의해 심재(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튜브밴드(110)를 상호 결합한 결합체와, 결합체의 일단부(F1)가 결속되는 카라비너와, 결합체의 타단부(F2)에 결속되는 훅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시에 작업자는 산업안전그네를 착용하며, 산업안전그네에는 충격흡수죔줄(1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추락 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심재(130)가 신장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튜브밴드(110)는 심재(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심재(130)의 양단부와 안전튜브밴드(110)의 양단부가 상호 결합된 결합체의 일단부(F1)가 접철되고 재봉(B)되어 카라비너(150)에 결속되는 카라비너 고리(H1)를 형성한다. 카라비너(150)는 산업안전그네의 허리벨트에 체결되거나 작업자의 등에 배치되는 그네걸이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체의 일단부(F1)에 카라비너 고리(H1)가 형성되고 결합체의 타단부(F2)에 훅 고리(H2)가 형성되게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결합체의 일단부(F1)에 훅 고리(H2)가 형성되고 결합체의 타단부(F2)에 카라비너 고리(H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체의 타단부(F2)가 접철되고 재봉(B)되어 훅(160)에 결속되는 훅 고리(H2)를 형성한다. 훅(160)은 고정지지대 등에 체결되어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한다.
그리고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를 카라비너(150)와 훅(160)에 결속한 경우에 카라비너 고리(H1)와 훅 고리(H2)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보호커버(170)를 씌운다(도 1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고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심재(130)와 안전튜브밴드(110)가 상호 결합된 하나의 결합체를 형성한다(도 2 및 도 3 참조). 심재(130)는 안전튜브밴드(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심재(130)의 양단부와 안전튜브밴드(110)의 양단부가 상호 결합된다.
심재(130)는 상호 제직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된다. 포이사(Partially Oriented Yarn: POY, 미연신사,131)는 큰 힘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신장된다. 심재(130)를 구성하는 포이사(131)는 약 100%의 신율을 가질 수 있다. 즉 충격하중에 의해 심재(130)의 총 신장길이는 최초길이의 약 2배의 길이로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추락시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의해 심재(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이사(131)가 늘어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안전튜브밴드(110)는 화섬사와 고무사(115,117)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된 고강력 직물이며, 충격하중에 의해 심재(130)가 파단되는 경우에도 파단되지 않고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화섬사는 폴리에스테르, 고밀도 폴리에틸렌, 아라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생산된 합성섬유사이다.
안전튜브밴드(110)는 경사인 화섬사 및 고무사(115,117)와 위사인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일단부(F1)와, 경사 및 위사인 화섬사와 화섬사와 제직되는 경사와 화섬사와 제직되지 않은 심사를 소정간격 반복하는 고무사(115,117)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일단부(F1)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중심부(C)와, 경사인 화섬사 및 고무사(115,117)와 위사인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중심부(C)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타단부(F2)를 포함한다. 안전튜브밴드(110)는 일단부(F1)와 중심부(C) 및 타단부(F2)가 순차로 연속되게 튜브직물로 제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는 길이방향으로 주름지게 제직된 튜브직물이고,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의 양측에서 연장된 일단부(F1) 및 타단부(F2)는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제직된 튜브직물이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가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안전튜브밴드(110)의 내부에 배치된 심재(130)의 중심부(C)도 주름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는 충격하중에 의한 심재(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는 심재(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약 10%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안전튜브밴드(110)를 제직함과 동시에 안전튜브밴드(110)의 내부에 심재(130)를 배치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등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안전튜브밴드(110)와 심재(130)가 상호 결합된 결합체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된 심재(130)의 일단부(F1)를 상호 제직한다. 이는 심재(130)를 구성하는 포이사(131)들이 안전튜브밴드(11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심재(130)를 구성하는 포이사(131)들의 일단부(F1)를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가 상호 제직되는 제직영역(W)은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 및 심재(130)의 일단부(F1) 전체일 수 있으나,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직영역(W)을 가질 수 있다(도 6 참조).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제직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결합체의 일단부(F1)가 접철되고 재봉(B)되는 영역에 제직영역(W)을 가질 수 있다. 즉,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 끝단에 인접한 영역과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가 시작되기 전(前)에 제직영역(W)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 및 타단부(F2)를 순차로 연속되게 튜브직물로 제직한다. 이때 심재(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이사(131)는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 및 타단부(F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 및 타단부(F2)를 순차로 제직한 경우에 심재(130)의 타단부(F2)는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가 복수의 포이사(131)의 총 신장길이보다 길어지도록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 끝단을 당겨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를 당겨 소정길이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외측으로 빼낸다(도 7 참조). 그리고 세계 각국의 다양한 안전규격을 충족하도록 포이사(131)들의 길이를 조절한 후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를 절단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와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를 재봉(B)하여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와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를 상호 결합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산업안전그네에 충격흡수죔줄(100)을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충격흡수죔줄(100)의 길이가 길면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방해할 수 있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주름지게 제직한다. 즉,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길이의 변형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반경의 편리성을 높이고, 작업을 하지 않을 때 또는 고소작업 중 결합체가 불필요하게 길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화섬사와 고무사(115,117)를 사용하여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 제직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인 제1 화섬사(111)와 위사인 제2 화섬사(113)가 사용된다. 또한 경사인 제1 화섬사(111)들 사이에 고무사(115,117)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3 내지 8개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는 경우에, 1개 또는 2개의 고무사(115,117)를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여 1개의 고무사(115,117)를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는 3개 미만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고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고무사(115,117)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튜브직물에 주름이 과하게 생길 수 있으며, 8개 초과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고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고무사(115,117)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튜브직물의 주름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인 제1 화섬사(111) 및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함께 고무사(115,117)를 제직하여 형성된다. 이때 고무사(115,117)는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제직되거나 제직되지 않는 것을 반복한다. 즉 고무사(115,117)가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제직되는 경우에는 경사로서 기능하고 제2 화섬사(113)와 제직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사로서 기능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형성하는 고무사(115,117)는 경사로서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2 내지 4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들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1 고무사(115)와, 경사로서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2 내지 4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들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소정거리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2 고무사(117)를 포함한다.
제1 고무사(115)와 제2 고무사(117)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경사인 제1 화섬사(111)와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함께 제직되어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주름지게 형성한다.
제1 고무사(115) 또는 제2 고무사(117)가 1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경우에 안전튜브밴드(110)를 주름지게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1 고무사(115) 또는 제2 고무사(117)가 5개 이상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경우에 안전튜브밴드(110)의 바깥으로 제1 고무사(115) 또는 제2 고무사(117)가 들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와의 마찰, 외부 구조물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 제1 고무사(115) 또는 제2 고무사(117)가 끊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고무사(115) 및 제2 고무사(117)는 심사로서 10 내지 15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무사(115) 및 제2 고무사(117)가 심사로서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 사이에 배치되는 소정거리는 충격흡수죔줄(10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고려한 충격흡수죔줄(100) 길이의 최소화, 주름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무사(115)는 상부직물(U)에 위치한 3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심사로서 12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고무사(117)는 하부직물(D)에 위치한 3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심사로서 12개의 위사인 제2 화섬사(11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안전튜브밴드(110)의 주름의 균일성 및 미려함 등을 고려하여 제1 고무사(115)가 상부직물(U)에 위치한 위사인 복수의 제2 화섬사(113)의 상부로 엮이는 제1 위치(P1)와, 제2 고무사(117)가 하부직물(D)에 위치한 위사인 복수의 제2 화섬사(113)의 하부로 엮이는 제2 위치(P2)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 반복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제1 위치(P1)들 사이에 제2 위치(P2)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제1 위치(P1)들의 중간 위치에 제2 위치(P2)가 배치된다. 한편, 제1 고무사(115) 및 제2 고무사(117)는 총 신장길이의 70~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된다.
상기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를 제직하는 동안 심재(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이사(131)는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과 하부직물(D)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심재(130)를 구성하는 포이사(131)들이 안전튜브밴드(11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를 제직하는 동안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된 심재(130)의 일단부(F1)를 상호 제직하여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에 포이사(131)들의 일단부(F1)를 고정한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는 튜브직물로 제직되고 편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는 경사로서 제1 화섬사(111)가 사용되며, 위사로서 제2 화섬사(113)가 사용된다. 또한 경사인 제1 화섬사(111)들 사이에 고무사(115,117)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와 일단부(F1)를 이루는 제1 화섬사(111)와 고무사(115,117)는 일체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배치된 3 내지 8개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는 경우에, 1개 또는 2개의 고무사(115,117)를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여 1개의 고무사(115,117)를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인 제1 화섬사(111)와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함께 고무사(115,117)를 제직하여 형성된다. 이때 고무사(115,117)는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제직되는 경사로서 기능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 제직상태를 살펴보면,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를 형성하는 고무사(115,117)는 경사로서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는 제1 고무사(115)와, 경사로서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는 제2 고무사(11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제1 고무사(115)와 제2 고무사(117)는 제1 화섬사(111)와 제2 화섬사(113)와 함께 제직되어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를 편평하게 형성한다. 즉,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을 형성하는 제1 고무사(115)가 연장되어 상부직물(U)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고,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을 형성하는 제2 고무사(117)가 연장되어 하부직물(D)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된다. 한편, 제1 고무사(115) 및 제2 고무사(117)는 총 신장길이의 70~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를 제직하는 동안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된 심재(130)는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 내부에 배치되고,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된 심재(130)의 일단부(F1)는 상호 제직된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가 상호 제직되는 경우에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직영역(W)을 가질 수 있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가 제직되는 경우에 경사인 제1 화섬사(111)가 경사 및 약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화섬사(111)가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와 하부직물(D)을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하여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와 심재(130)의 일단부(F1)를 상호 제직할 수 있다.
한편, 결합체의 제직을 완료한 경우, 안전튜브밴드(110)의 일단부(F1) 및 심재(130)의 일단부(F1)가 상호 결합된 결합체의 일단부(F1)를 접철하고 재봉(B)하여 카라비너(150)에 결속되는 카라비너 고리(H1)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계 각국의 다양한 안전규격을 충족하도록 안전튜브밴드(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이사(131)들로 구성된 심재(13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제직하는 동안 심재(130)는 안전튜브밴드(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제직 완료한 경우에 심재(130)의 타단부(F2)는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안전튜브밴드(110) 타단부(F2)는 튜브직물로 제직되고 편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는 경사로서 제1 화섬사(111)가 사용되며, 위사로서 제2 화섬사(113)가 사용된다. 또한 경사인 제1 화섬사(111)들 사이에 고무사(115,117)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와 타단부(F2)를 이루는 제1 화섬사(111)와 고무사(115,117)는 일체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배치된 3 내지 8개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는 경우에, 1개 또는 2개의 고무사(115,117)를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제1 화섬사(111)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S)로 하여 1개의 고무사(115,117)를 화섬사 단위체(S)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인 제1 화섬사(111)와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함께 고무사(115,117)를 제직하여 형성된다. 이때 고무사(115,117)는 위사인 제2 화섬사(113)와 제직되는 경사로서 기능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제직상태를 살펴보면,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형성하는 고무사(115,117)는 경사로서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는 제1 고무사(115)와, 경사로서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는 제2 고무사(11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제1 고무사(115)와 제2 고무사(117)는 제1 화섬사(111)와 제2 화섬사(113)와 함께 제직되어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편평하게 형성한다. 즉,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을 형성하는 제1 고무사(115)가 연장되어 상부직물(U)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고, 안전튜브밴드(11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을 형성하는 제2 고무사(117)가 연장되어 하부직물(D)에 위치한 위사인 제2 화섬사(113)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된다. 한편, 제1 고무사(115) 및 제2 고무사(117)는 총 신장길이의 70~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제직하는 동안 복수의 포이사(131)로 구성된 심재(130)는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제직 완료한 경우에 심재(130)의 타단부(F2)는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가 복수의 포이사(131)의 총 신장길이보다 길어지도록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 끝단을 도 7의 화살표방향으로 당기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를 안전튜브밴드(110)의 중심부(C)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 끝단을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외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빼낸다.
그리고 세계 각국의 다양한 안전규격을 충족하도록 포이사(131)들의 길이를 조절한 후 복수의 포이사(131)의 타단부(F2)를 절단하고,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와 심재(130)의 타단부(F2)를 재봉(B)하여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와 심재(130)의 타단부(F2)를 상호 결합한다.
한편, 결합체의 제직을 완료한 경우, 안전튜브밴드(110)의 타단부(F2) 및 심재(130)의 타단부(F2)가 상호 결합된 결합체의 타단부(F2)를 접철하고 재봉(B)하여 훅(160)에 결속되는 훅 고리(H2)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100)에 의한 충격 완화 및 흡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추락사고 시 작업자의 체중 및 그 가속도에 의해 충격하중이 충격흡수죔줄(100)에 전달되는 경우에 충격흡수죔줄(100)은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하중이 충격흡수죔줄(100)에 전달되면 안전튜브밴드(110)를 이루는 고무사(115.117)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그리고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안전튜브밴드(110)의 길이 변형이 자유자재로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반경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하중이 더 가해지는 경우에 순차로 심재(130)를 이루는 포이사(131)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과도한 충격하중에 의해 심재(130)를 이루는 포이사(131)들이 파단되는 경우에도 안전튜브밴드(110)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충격흡수죔줄 110: 안전튜브밴드
111: 제1 화섬사 113: 제2 화섬사
115: 제1 고무사 117: 제2 고무사
130: 심재 131: 포이사
150: 카라비너 160: 훅
170: 보호커버

Claims (11)

  1. (a) 튜브직물인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포이사로 구성된 심재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제직한 후, 상기 심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c) 상기 안전튜브밴드와 상기 심재를 상호 결합한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튜브밴드는,
    경사인 제1 화섬사와 경사인 고무사와 위사인 제2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일단부;
    경사인 상기 제1 화섬사와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와 경사로서 상기 제2 화섬사와 제직되고 심사로서 상기 제2 화섬사와 제직되지 않은 것을 소정간격 반복하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중심부; 및
    경사인 상기 제1 화섬사와 경사인 상기 고무사와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중심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와 중심부 및 타단부를 순차로 연속되게 제직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상기 고무사는,
    경사로서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소정거리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1 고무사; 및
    경사로서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소정거리 상기 안전튜브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2 고무사를 포함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사는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2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상기 제2 고무사는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2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3 내지 8개의 상기 제1 화섬사들을 하나의 화섬사 단위체로 하며,
    상기 화섬사 단위체들 사이에 1개 또는 2개의 상기 제1 고무사 또는 상기 제2 고무사가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사는 및 상기 제2 고무사는,
    심사로서 위사인 10 내지 15개의 상기 제2 화섬사의 간격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상기 상부직물과 상기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사가 상기 상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상부로 엮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고무사가 상기 하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2 화섬사의 하부로 엮이는 제2 위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 반복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상부직물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고무사가 상기 상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어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직물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고무사가 연장되어 상기 하부직물에 위치한 위사인 상기 제2 화섬사에 반복하여 번갈아 제직되어 편평하게 형성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일단부와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일단부를 상호 제직하고, 순차로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및 타단부를 연속되게 제직하되 복수의 상기 포이사를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중심부 및 타단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며,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 끝단을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의 외측에 배치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 끝단을 당겨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 외측으로 빼낸 후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길이가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총 신장길이보다 길어지도록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를 절단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안전튜브밴드의 타단부와 복수의 상기 포이사의 타단부를 재봉하여 상기 결합체를 형성하는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KR1020220071874A 2022-06-14 2022-06-14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KR10251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874A KR102513879B1 (ko) 2022-06-14 2022-06-14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EP23728578.8A EP4317555A1 (en) 2022-06-14 2023-05-12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PCT/KR2023/006508 WO2023243872A1 (ko) 2022-06-14 2023-05-12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874A KR102513879B1 (ko) 2022-06-14 2022-06-14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879B1 true KR102513879B1 (ko) 2023-03-27

Family

ID=8579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874A KR102513879B1 (ko) 2022-06-14 2022-06-14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17555A1 (ko)
KR (1) KR102513879B1 (ko)
WO (1) WO20232438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872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665A (ko) * 2010-02-23 2011-08-31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7196B1 (ko) * 2012-02-09 2013-02-25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510537B1 (ko) 2013-10-08 2015-04-08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7672B1 (ko) * 2017-07-24 2017-11-15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233281B1 (ko) * 2020-10-21 2021-03-29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879B1 (ko) * 2022-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665A (ko) * 2010-02-23 2011-08-31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7196B1 (ko) * 2012-02-09 2013-02-25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510537B1 (ko) 2013-10-08 2015-04-08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7672B1 (ko) * 2017-07-24 2017-11-15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233281B1 (ko) * 2020-10-21 2021-03-29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872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72A1 (ko) 2023-12-21
EP4317555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0851B2 (en) Lanyard with integral fall arrest energy absorber
JP5091348B2 (ja) 衝撃吸収繊維構造体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US7677360B2 (en) Shock absorbing fabric structures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2513879B1 (ko)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JP2005281923A (ja) 衝撃吸収ロープ
US20110072621A1 (en) Connector for fall protection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20110096665A (ko)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FI72881C (fi) Daempningsanordning foer dynamisk belastning.
KR101883269B1 (ko)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KR100791148B1 (ko) 안전로프원단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KR10163714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8004779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7179381B2 (ja) 安全ランヤードのバンド
NO162180B (no) Innretning for demping av stoetbelastninger.
KR20220095111A (ko) 충격 흡수 기구
KR20160023031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JP2018145572A (ja) 織物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