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394B1 - 충격흡수용 밴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394B1
KR101534394B1 KR1020130089225A KR20130089225A KR101534394B1 KR 101534394 B1 KR101534394 B1 KR 101534394B1 KR 1020130089225 A KR1020130089225 A KR 1020130089225A KR 20130089225 A KR20130089225 A KR 20130089225A KR 101534394 B1 KR101534394 B1 KR 10153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webbing
strands
yarn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738A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ublication of KR2014009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하부웨빙을 5:1, 1:5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사(28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0d)를 1:1의 간격으로 제직되며, 제2연결사(300)는 상부웨빙(120)의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위사(24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밴드{A band for impact absor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이나 교량과 같은 고층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축공사장,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및 전신주나 철탑의 보수작업과 같은 전기설비를 행하는 공사현장에서는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러한 높은 장소에서 작업시 추락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불의의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산업안전용구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지지대에 연결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사용되어 추락시 충격하중에 의해서 밴드가 절반으로 양분되게 절개 즉, 찢어짐으로써 충격하중을 1차로 완충시켜주고 추락을 방지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 충격하중의 흡수성이 매우 우수하며 충격하중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절개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특허출원 제2010-52617호는 고공에서 작업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많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충격하중에 의해서 그 두께가 절반으로 양분되게 절개됨으로써 충격하중을 1차로 완충시켜주는 추락방지용 밴드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일정 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질시 파열되는 접합부분과 미접합부분이 충격흡수용 밴드의 전체 길이에서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인데 이는 접합과 미접합을 반복하는 것이어서 원활하게 절개되지 않거나 갑자기 큰 힘이 밴드에 가해질시에는 미쳐 파열되지 못하고 추락방지용 밴드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미합중국 특허 제7,815,013호에 개시되어 있는 개인추락제동장치용 에너지 흡수기는 상부와 하부의 웨빙이 각각 표면가닥(face ply)와 이면가닥(back ply)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가닥과 이면가닥은 위사와 경사가 1:1로 제직되어 이루어져 있고, 외부절개요소(exterior tear element)는 상부웨빙의 표면가닥과 상부웨빙의 이면가닥에 사인곡선으로 제직되어 있으며, 내부절개요소(interior tear element)는 상부웨빙의 이면가닥과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에 사인곡선으로 제직된 것이어서 충격하중에 의해서 외부절개요소와 내부절개요소가 찢어지면서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분리되지 못하고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충격하중에 의하여 밀려 나가면서 분리되는 것이므로 충격흡수성이 미흡하고 신뢰성도 미흡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특허 10-2010-0052617호 U.S.A.특허등록 78150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시 충격흡수용 밴드에 충격하중이 작용될 때 절개요소로 연결된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충격흡수성과 신뢰성을 발휘함으로써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충격흡수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흡수용 밴드에 추락으로 인하여 충격하중이 작용될 때 절개요소로 연결된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처음에는 약한 충격하중에 의해 분리되고 나중에는 큰 충격하중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순차적으로 분리됨으로써 매우 우수한 충격흡수성과 신뢰성을 발휘함으로써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충격흡수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에 사용되어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서, 상.하부웨빙의 표면가닥 및 내부가닥을 각각의 와 경사로 제직되고 상기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제1연결사와 제2연결사의 절개요소로 상.하웨빙을 일체로 만드는데, 상기 절개요소인 각각의 제1연결사는 상부웨빙의 표면가닥을 제직하는 위사와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을 제직하는 위사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상호 교차되고, 각각의 제2연결사는 상부웨빙의 표면가닥을 제직하는 위사와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쪽 위사를 2가닥:2가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제직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부웨빙의 표면가닥 및 내부가닥은 위사와 경사를 위사5가닥:경사1가닥,위사1가닥:경사5가닥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웨빙은 위사와 경사를 구비하고, 하부웨빙은 위사와 경사를 구비하여 각각의 상.하웨빙은 각각의 위사와 경사로 3가닥:3가닥:1가닥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연결사는 두가닥의 제1연결사를 구비하여 각각의 제1연결사는 상.하부웨빙을 만드는 표면가닥을 제직하는 위사 사이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상호 교차되게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사는 충격하중을 처음으로 받는 부분에서는 1가닥의 제2연결사로 사용되고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2가닥의 제2연결사로 교차하여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에 사용되어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서,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는 상.하부웨빙의 표면가닥. 내부가닥을 각각의 위사와 경사가 3가닥:1가닥, 1가닥:3가닥으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인 상기 제1연결사는 상부웨빙을 만드는 내부가닥의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을 만드는 내부가닥의 위사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제직되며 상기 제2연결사는 상기 상부웨빙의 표면가닥를 만드는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을 만드는 위사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제직되고 상기 제3연결사는 상부웨빙을 만드는 표면가닥의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의 표면가닥만드는 위사와 2가닥:2가닥으로 상호 교차제직되어 상.하부웨빙을 일체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사는 한 가닦의 실 또는 두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서로 교차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사와 제2연결사의 각각 1가닥, 1가닥은 최대위치점 또는 최소위치점이 상하로 제1연결사 1가닥과 제2연결사 2가닥이 교차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연결사는 추락시 충격흡수용벨트에 가장 먼저 충격이 받는 부분에는 하나의 제3연결사를 사용하고 거리를 두고 동시에 2가닥의 제3연결사를 사용하여 교차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일정충격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상,하부 웨빙의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이 제직되는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여 이루어지고 절개요소를 이루는 연결사들을 서로 다른 간격으로 상기 상,하부 웨빙의 위사 및 경사와 제직된 것이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사들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개되고 상,하부 웨빙의 밀림현상이 방지되어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한다.
또 다른 효과는 연결사를 처음에는 작은 가닥수로 제직하고 거리를 두고 연결사를 조밀하게 제직하므로써 처음 충격을 받을 부분에는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개되어 나중에는 큰 힘으로 절개되는 순차적으로 절개되게 되어 안전벨트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고 작업자가 추락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충격하중에 의해서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을 보인 것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도3a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 상.하웨빙의 위사 경사를 5:1 1:5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f는 본 발명의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g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밴드를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로 제직된 것을보인 조직도
도 3h는 본 발명 상.하웨빙의 다른 실시예인 위사 경사를 3:3:1 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i는 본 발명 충격흡수용 밴드의 상.하웨빙을 3:3:1로 제직한 것을 보인 조직도
도3j는 본 발명 상.하웨빙을 3:3:1의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4a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하웨빙의 위사 경사를 3:1 1:3 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1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의 다른 실시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h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직도이고
도 4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4h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 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용 밴드(100)에 일정충격하중 이상의 충격하중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추락방지용 밴드(16)와 충격흡수용 밴드(10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훅(9)을 타측에는 연결간(8)을 봉재하여 만드는 추락방지하는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100)는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가닥(121,141)과 내부가닥(122,142)을 각각 위사(240)와 경사(260)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결합해 일체로 만들고 충격흡수용 밴드(100)에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를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사(28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을 제직하는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을 제직하는 위사(240d)를 1가닥:1가닥으로 교차제직되며, 제2연결사(30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을 제직하는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을 제직하는 위사(240d)를 2가닥:2가닥으로 교차제직되어 상.하부웨빙(120,140)을 일체로 만든다.
먼저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가닥(121,141)과 내부가닥(122,142)은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되면서 안전벨트에 충격을 가해졌을시 낙하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장력을 갖도록 제직되는데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내부가닥(121,122,141,142)은 각각 1가닥, 1가닥의 위사(240)와 경사(260)가 위사5가닥:경사1가닥,위사1가닥:경사5가닥으로 제직한다.
상기 상.하부웨빙의 다른 실시예는 도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1가닥, 1가닥의 상.하웨빙(520,540)을 위사(500)와 경사(510)로 3:3:1로 제직한다.
상기 제1연결사(280)는 도3d와 같이 경사(260)와 위사(240)로 제직한 상.하웨빙(120,140)을 하나의 밴드로 만든 충격흡수용밴드(100)에 충격이 가해질시에는 실이 끊어져 상.하웨빙(120.140)으로 분리되는데 두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상,하부웨빙(120,140)을 만드는 표면가닥(121,141)의 위사(240a,240d)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하여 제직한다.
상기 제2연결사(300)는 도3e와 같이 2가닥의 제2연결사(300,300a)를 사용하여 상,하부웨빙(120,140)의 각각 표면가닥(121,141)을 구성하는 위사(240a,240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한다.
상기 제1.2연결사(280,300)들은 상.하부웨빙(120,140)을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충격흡수용밴드(100)로 만들고 하나의 밴드로 만들어진 충격흡수용 밴드(100)가 낙하충격을 받는 순간에 제1.2연결사(280,300)들이 끊어져 상.하웨빙(120,140)으로 분리됨으로서 충격하중을 감소시켜 충격흡수용밴드(10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충격흡수용밴드(100)에 갑자기 큰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흡수용밴드(100)을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웨빙(120,140)을 일체로 만든 제1.2연결사(280,300)가 끊어지기 전에 충격흡수용밴드(100)에 낙하하중이 가해져 충격흡수용 밴드(100)를 제직하고 있는 위사(240)가 후방으로 밀려 충격흡수용 밴드(100)의 조직이 조밀하게 되면서 충격흡수용밴드(100)가 부드럽지 않고 딱딱하게 되므로 인하여 경사(260)가 절단되어 충격흡수용밴드(100)가 끊어지는 경우가 있게 되는데 충격하중에 의하여 충격흡수용밴드(100)를 구성하는 경사(260)가 절단되기 이전에 상.하부웨빙(120,140)을 일체로 만든 제1.2연결사(280,300)가 끊어져 상.하웨빙(120,140)으로 분리됨으로 낙하충격을 흡수하여 딱딱한 부분이 해지되어 경사(26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흡수용 밴드(100)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은 각각의 위사(240)와 경사(260)가 5가닥:1가닥으로 제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위사(240)를 1가닥:1가닥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제1연결사(280)와, 상기 위사(240)와 2가닥:2가닥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제2연결사(300)와 함꼐 제직되어서 예를 들면 제직상태가 상대적으로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교대로 배열된 것이다.
즉 상기 상.하부웨빙(120,140)은 상기 상하웨빙(120,140)을 구성하는 표면가닥(121.141)의 위사(240a,240d)를 1가닥:1가닥으로 교차 제직되는 제1연결사(280)와, 상기 표면가닥(121.141)의 위사(240a,240d)와 2가닥:2가닥으로 교차 제직되는 제2연결사(300)에 의해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일체로 만드는데 상.하웨빙(120,140)을 구성하는 내부가닥(122.142)의 동일한 위사(240b,240c)사이에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이 동시에 만나는 교차 제직되어 상대적으로 강하게 연결되는 부분과 내부가닥(122.142)의 동일한 위사(240b,240c)사이에서 동시에 만나지 않고 제1연결사(280)만 있으로 제직되어 상대적으로 약하게 연결된 부분이 교호적으로 만들어져 강하게 연결된 상태와 약하게 연결된 상태가 반복되는 형태로 일체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연결된 부분과 강하게 연결된 상태가 연속반복되는 방식으로 상.하웨빙(120,140)을 일체로 만든 충격흡수용밴드(100)에 낙하되는 충격하중에 의한 장력이 작용될 때 상기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가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끊어지게 되고,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의 위사가 뒤로 밀려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리드미컬하게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2연결사(300)의 다른 실시예는 도3f와 같이 추락시 충격하중을 처음으로 받는 부분에서는 1가닥의 제2연결사(300a)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제직하고 다른 제2연결사(300b)는 상하웨빙의 사이에서 미스되다가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2가닥의 제2연결사(300a,300b)로 사인곡선이 교차되게 제직한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제2연결사(300)를 하나의 제2연결사(300a)를 사용하고 연속하여 2가닥의 제2연결사(300a,300b)를 사용하는 것은 추락시 충격하중을 처음으로 전달받는 충격흡수용 밴드(100)의 첫부분에는 하나의 제2연결사(300a)로 제직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도 제2연결사(300a)가 끊어져 추락사고시 추락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제2연결사(300a)를 하나의 실로 결합 후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제2연결사(300a,300b)를 2가닥의 실로 결합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다른 발명은 도4와 같이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어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400)에 있어서,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는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면가닥(421,441). 내부가닥(422,442)을 각각1가닥, 1가닥의 위사(430)와 경사(480)가 3가닥:1가닥, 1가닥:3가닥으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420)과 하부웨빙(4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인 제1연결사(450)는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내부가닥(422)의 위사(430b)와 상기 하부웨빙(440)을 만드는 내부가닥(442)의 위사(430c)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되며, 제2연결사(460)는 상기 상부웨빙(420)의 표면가닥(421)를 만드는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을 만드는 위사(430d)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되고, 제3연결사(470)는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만드는 위사(430d)와 2가닥:2가닥으로 교차되어 상.하부웨빙(420,440)을 일체로 만든다.
상기 제3연결사(470)는 2가닥의 실(470a,470b)을 사용하여 처음에는 1가닥의 실(470a)로 제직하고 거리에는 2가닥의 실(470a,470b)로 교차되게 제직한다
먼저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면.내부가닥(421,441)은 낙하되면서 충격흡수용벨트(400)에 충격을 가해졌을시 낙하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장력을 갖도록 제직되는데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면.내부가닥(421,441)은 각각 위사(240)와 경사(260)가 3가닥:1가닥, 1가닥:3가닥으로 제직한다.
상.하웨빙(420,440)의 표면,내부가닥에 사용되는 위사(430)와 경사(460)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직한다.
상기 상.하웨빙(420,440)을 제직하여 하나의 띠로 만든 충격흡수용벨트(400)에 충격하중이 가해질시에는 상.하웨빙(420,440)을 일체로 만들게 제직된 실이 끊어지는 분리요소인 연결사는 제1연결사(450) 제2연결사(460) 제3연결사(470)로 구성되고 분리요소인 연결사들은 충격흡수용벨트(1)에 낙하하중이 가해졌을시는 충격흡수용밴드(400)을 구성하는 연결사들이 끊어져 하나의 띠로 만들어져 있던 충격흡수용밴드(400)의 상.하웨빙(420,440)이 각각 분리절개됨으로 인하여 충격흡수용밴드(400)에 가해진 낙하하중을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흡수용벨트(400)가 절단되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사(450)는 도4d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실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웨빙(420)을 구성하는 내부가닥(422)의 위사(430b)와 하부웨빙(440)을 구성하는 내부가닥(443)의 위사(430c)를 1:1의 간격으로 사인곡선을 만들면서 제직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사(460)는 도4e에 표현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하부웨빙(440)을 구성하는 표면가닥(441)의 위사(430d)를 1:1의 간격으로 파동의 형식으로 제직된다.
또 상기 제1연결사(450)가 사인곡선이 상부로 향해 제직되었을시는 제2연결사(460)는 하부로 사인곡선이 형성되도록 제직되고 상기 제1연결사(450)가 하부의 사인곡선으로 제직되었을시는 제2연결사(460)는 하부로 사인곡선이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제1연결사(250)와 제2연결사(460)의 최대위치점 또는 최소위치점이 상하로 제1연결사 1가닥과 제2연결사 1가닥이 교차되도록 제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연결사와 제2연결사의 극점이 서로 다르게 제직함으로서 상하웨빙을 연결사 하나의 띠로 만들었을시 동하중의 장력에 잘 견디게 되는 것이다.
또 제2연결사(460)의 다른 실시예는 두가닥의 연결사(470a,470b)을 사용하여 서로 교차하여 제직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사(460)는 두 가닥의 제2연결사(470a,470b)를 서로 교차하여 제직함으로 동하중 장력을 증대하게 되어 작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하웨빙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됨으로써 보다 더 안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에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3연결사(470)는 도4f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을 구성하는 표면가닥(441)의 위사(430d)을 2가닥:2가닥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여 상.하웨빙(420,440)을 하나의 띠로 만든다.
상기 제3연결사(470)의 다른 실시예는 도4g과 같이 제3연결사로 제직하는데 추락시 충격흡수용밴드(400)에 가장 먼저 충격이 받는 부분에는 하나의 제3연결사(470a)로 제직하고 거리를 두고 2가닥의 제3연결사(470a,470b)를 동시에 사용하여 교차제직한다.
낙하하중을 가장 먼저 받는 충격흡수용밴드(400)의 처음부분은 제3연결사(470)를 하나의 실을 사용하여 제직 후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2가닥의 제3연결사로 동일한 패턴으로 교차하여 제직함으로서 추락시 처음에는 하나의 연결사 부분이 나중에는 2가닥의 연결사 부분의 연결사가 연속되게 끊겨지도록하여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하웨빙을 제1.2.3 연결사로 일체로 만듬으로써 충격흡수용 밴드에 낙하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동하중에 장력에 잘 견디게 되는 것이고 또 낙하충격시 연결사의 절단으로 낙하충격을 흡수하여 안전밸트를 착용한 작업자를 d보다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예시된 충격흡수용 밴드는 상,하부 웨빙(120,140)의 연결강도가 예를들면 큰 부분, 중간 부분, 작은 부분, 중간 부분 및 큰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충격하중을 축차적으로 감쇄시키면서 흡수하게 된다.
100, 400: 충격흡수 밴드 10': 충격흡수용 밴드
120,420 : 상부웨빙 140,440 : 하부웨빙
121,421 : 표면가닥 122,442 : 내부가닥
240,430 : 위사 260,480 : 경사
280,450 : 제1연결사 300,460 : 제2연결사

Claims (10)

  1.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어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100)에 있어서,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가닥(121,141) 및 내부가닥(122,142)을 각각1가닥, 1가닥의 위사(240)와 경사(260)로 제직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제1연결사(280a,280b)와 제2연결사(300a,300b)의 절개요소로 상.하웨빙(120,140)을 일체로 만드는데, 상기 절개요소인 각각1가닥, 1가닥은 제1연결사(280a,280b)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을 제직하는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을 제직하는 위사(240d)를 1가닥:1가닥의 간격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상호 교차되고, 각각1가닥, 1가닥의 제2연결사(300a,300b)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을 제직하는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d)를 2가닥:2가닥의 간격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웨빙(120,140)을 만드는 각각1가닥, 1가닥의 표면가닥(121,141) 및 내부가닥(122,142)은 위사(240)와 경사(260)가 위사5가닥:경사1가닥,위사1가닥:경사5가닥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충격흡수용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웨빙(520)은 위사(500a,500b)와 경사(510a,510b)를 구비하고, 하부웨빙(540)은 위사(500c,500d)와 경사(510c,510d)를 구비하여 각각1가닥, 1가닥의 상.하웨빙(520,540)는 각각1가닥, 1가닥의 위사(500)과 경사(510)로 3가닥:3가닥:1가닥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충격흡수용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연결사(280)는 두가닥의 제1연결사(280a,280b)를 구비하여 각각의 제1연결사(280a,280b)는 상.하부웨빙(120,140)을 만드는 표면가닥(121,141)의 위사(240a,240d) 사이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상호 교차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사(300)는 충격하중을 받을때에 2가닥의 제2연결사(300a)로 접합되고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2가닥의 제2연결사(300a,300b)로 교차제직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6. 삭제
  7.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어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400)에 있어서,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는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면가닥(421,441). 내부가닥(422,442)을 각각의 위사(430)와 경사(480)가 3가닥:1가닥, 1가닥:3가닥으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420)과 하부웨빙(4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 제2연결사 제3연결사를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사(450)는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내부가닥(422)의 위사(430b)와 상기 하부웨빙(440)을 만드는 내부가닥(442)의 위사(430c)를 1가닥:1가닥의 간격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제직되며, 상기 제2연결사(460)는 상기 상부웨빙(420)의 표면가닥(421)를 만드는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을 만드는 위사(430d)를 1가닥:1가닥으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제직되고, 상기 제3연결사(470)는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만드는 위사(430d)와 2:2로 제직되어 상.하부웨빙(420,440)을 일체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8. 제7항에 있어서, 제2연결사(460)는 한 가닥의 실 또는 두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9. 제 7항에 있어서, 제1연결사(450)와 제2연결사(460)의 각각1가닥, 1가닥은 최대위치점 또는 최소위치점이 상하로 제1연결사 1가닥과 제2연결사 1가닥이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사(470)는 추락시 안전벨트에 가장 먼저 충격이 받는 부분에는 한가닥의 제3연결사(470a)를 사용하고 거리를 두고 동시에 2가닥의 제3연결사(470a,470b)를 사용하여 교차되게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KR1020130089225A 2012-12-31 2013-07-29 충격흡수용 밴드 KR101534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230 2012-12-31
KR20120158230 2012-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738A KR20140092738A (ko) 2014-07-24
KR101534394B1 true KR101534394B1 (ko) 2015-07-09

Family

ID=5173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225A KR101534394B1 (ko) 2012-12-31 2013-07-29 충격흡수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5679B1 (ja) * 2020-12-29 2021-08-25 デフン テキスタイ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2639896B1 (ko) * 2023-08-21 2024-02-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충격 흡수벨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26Y1 (ko) * 2006-03-14 2006-06-1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0791148B1 (ko) *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KR200438945Y1 (ko) * 2006-12-29 2008-03-13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KR101012951B1 (ko) *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26Y1 (ko) * 2006-03-14 2006-06-1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0791148B1 (ko) *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KR200438945Y1 (ko) * 2006-12-29 2008-03-13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KR101012951B1 (ko) *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738A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4378B2 (ja) エネルギー吸収ウェビング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US20060027277A1 (en) Energy absorbing webbings
JP2005281923A (ja) 衝撃吸収ロープ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EP2670492B1 (de) Auffanggurt
US20150231424A1 (en) Band for impact absorption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CN112654400A (zh) 一种用于安全带的盘绕式能量吸收器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1893009B1 (ko)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20180000411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JP4896167B2 (ja) エネルギー吸収ベルト
NO162180B (no) Innretning for demping av stoetbelastninger.
KR102000570B1 (ko)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JP2018068915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JP6739015B2 (ja) じゃばら状に伸縮する筒状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