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738A - 충격흡수용 밴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2738A KR20140092738A KR1020130089225A KR20130089225A KR20140092738A KR 20140092738 A KR20140092738 A KR 20140092738A KR 1020130089225 A KR1020130089225 A KR 1020130089225A KR 20130089225 A KR20130089225 A KR 20130089225A KR 20140092738 A KR20140092738 A KR 201400927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bbing
- weft
- woven
- yarn
- connecting yar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하부웨빙을 5:1, 1:5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사(28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0d)를 1:1의 간격으로 제직되며, 제2연결사(300)는 상부웨빙(120)의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위사(24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임에 관한 것이다.
상.하부웨빙을 5:1, 1:5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사(28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0d)를 1:1의 간격으로 제직되며, 제2연결사(300)는 상부웨빙(120)의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위사(24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이나 교량과 같은 고층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축공사장,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및 전신주나 철탑의 보수작업과 같은 전기설비를 행하는 공사현장에서는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러한 높은 장소에서 작업시 추락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불의의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산업안전용구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지지대에 연결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사용되어 추락시 충격하중에 의해서 밴드가 절반으로 양분되게 절개 즉, 찢어짐으로써 충격하중을 1차로 완충시켜주고 추락을 방지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 충격하중의 흡수성이 매우 우수하며 충격하중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원할하게 절개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특허출원 제2010-52617호는 고공에서 작업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많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충격하중에 의해서 그 두께가 절반으로 양분되게 절개됨으로써 충격하중을 1차로 완충시켜주는 추락방지용 밴드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일정 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질시 파열되는 접합부분과 미접합부분이 충격흡수용 밴드의 전체 길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인데 이는 접합과 미접합을 반복하는 것이어서 원활하게 절개되지 않거나 갑자기 큰 힘이 밴드에 가해질시에는 미쳐 파열되지 못하고 추락방지용 밴드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미합중국 특허 제7,815,013호에 개시되어 있는 개인추락제동장치용 에너지 흡수기는 상부와 하부의 웨빙이 각각 표면가닥(face ply)와 이면가닥(back ply)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가닥과 이면가닥은 위사와 경사가 1:1로 제직되어 이루어져 있고, 외부절개요소(exterior tear element)는 상부웨빙의 표면가닥과 상부웨빙의 이면가닥에 사인곡선으로 제직되어 있으며, 내부절개요소(interior tear element)는 상부웨빙의 이면가닥과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에 사인곡선으로 제직된 것이어서 충격하중에 의해서 외부절개요소와 내부절개요소가 찢어지면서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분리되지 못하고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충격하중에 의하여 밀려 나가면서 분리되는 것이므로 충격흡수성이 미흡하고 신뢰성도 미흡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시 충격흡수용 밴드에 충격하중이 작용될 때 절개요소로 연결된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충격흡수성과 신뢰성을 발휘함으로써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충격 흡수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흡수용 밴드에 추락으로 인하여 충격하중이 작용될 때 절개요소로 연결된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처음에는 약한 충격하중에 의해 분리되고 나중에는 큰 충격하중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순차적으로 분리됨으로써 매우 우수한 충격흡수성과 신뢰성을 발휘함으로써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충격 흡수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고 충격시 끊어지지 않도록 제직되는 상.하부웨빙의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을 각각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고, 상기 절개요소를 이루는 제1연결사는 각각 상기 상부웨빙을 구성하는 표면가닥의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을 구성하는 내부가닥 위사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고, 제2연결사는 상기 상부웨빙의 표면가닥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의 표면가닥 위사를 2:2로 교차되게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웨빙의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을 위사와 경사 5:1 1:5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웨빙의 다른 실시는 위사와 경사로 3:3:1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는 처음으로 충격을 가해지는 부분은 하나의 연결사로 접합되게 제직하고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두개의 연결사를 사용하여 교차하게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발명은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고 충격시 끊어지지 않도록 제직되는 상.하부웨빙의 각각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을 각각 위사와 경사가 3:1, 1:3로 제직하며, 상기 절개요소를 이루는 제1연결사는 상부웨빙을 이루는 내부가닥의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의 내부가닥쪽 위사를 1:1의 간격으로 제직하고, 제2연결사를 각각 상기 상부웨빙을 만드는 표면가닥의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에 있는 위사를 1:1의 간격으로 제직하되 상기 제1연결사와 교차되도록 제직하고, 상기 제3연결사는 상부웨빙의 표면가닥쪽 위사와 상기 하부웨빙의 표면가닥쪽 위사와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연결사는 처음 충격을 가해지는 시작부분에는 제3연결사를 하나의 실로 제직하고 시작점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두개의 제3연결사를 사용하여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충격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상,하부 웨빙의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이 제직되는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여 이루어지고 절개요소를 이루는 연결사 들을 서로 다른 간격으로 상기 상,하부 웨빙의 위사 및 경사와 제직된 것이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사들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개되고 상,하부 웨빙의 밀림현상이 방지되어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한다.
또 다른 효과는 연결사를 처음에는 작은 개수로 제직하고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결사를 조밀하게 제직하므로써 처음 충격을 받을 부분에는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개되어 나중에는 큰 힘으로 절개되는 순차적으로 절개되게 되어 안전벨트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고 작업자가 추락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충격하중에 의해서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을 보인 것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도3a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 상.하웨빙의 위사 경사를 5:1 1:5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f는 본 발명의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g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밴드를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로 제직된 것을보인 조직도
도 3h는 본 발명 상.하웨빙의 다른 실시예인 위사 경사를 3:3:1 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i는 본 발명 충격흡수용 밴드의 상.하웨빙을 3:3:1로 제직한 것을 보인 조직도
도3j는 본 발명 상.하웨빙을 3:3:1의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4a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하웨빙의 위사 경사를 3:1 1:3 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1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의 다른 실시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h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직도이고
도 4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4h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상부웨빙과 하부웨빙이 충격하중에 의해서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을 보인 것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도3a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 상.하웨빙의 위사 경사를 5:1 1:5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f는 본 발명의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g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밴드를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로 제직된 것을보인 조직도
도 3h는 본 발명 상.하웨빙의 다른 실시예인 위사 경사를 3:3:1 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i는 본 발명 충격흡수용 밴드의 상.하웨빙을 3:3:1로 제직한 것을 보인 조직도
도3j는 본 발명 상.하웨빙을 3:3:1의 제2연결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4a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하웨빙의 위사 경사를 3:1 1:3 조직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1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의 다른 실시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h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제3연결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직도이고
도 4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4h의 일부를 확대한 조직도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 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충격흡수용 밴드는 도1,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100)는 일정충격하중 이상의 충격하중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추락방지용 밴드(16)와 충격흡수장치를 이루는 것으로 일측에는 훅(9)을 타측에는 연결간(8)을 봉재하여 만드는 추락방지하는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는 충격흡수 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10)는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가닥(121,141)과 내부가닥(122,142)을 각각 위사(240)와 경사(260)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연결사(28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0d)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어 있으며, 제2연결사(30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어 있다.
먼저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내부가닥(120,140)은 낙하되면서 안전벨트에 충격을 가해졌을시 낙하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장력을 갖도록 제직되는데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내부가닥(120,140)은 각각 위사(240)와 경사(260)가 5:1, 1:5로 제직한다.
상기 상.하부웨빙(520,540)의 다른 실시예는 도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사(500)와 경사(510)로 3:3:1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사(280)는 도3d와 같이 경사와 위사로 제직한 상.하웨빙(120,140)을 하나로 가닥으로 만들고 밴드에 충격이 가해질시에는 실이 끊어져 상.하웨빙(120.140)이 분리되는데 두개의 실을 사용하여 상,하부웨빙(120,140)의 위사(240a,240d)를 1:1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되게 제직한다.
상기 제2연결사(300)는 도3e와 같이 2개의 제2연결사(300,300a)를 사용하여 상,하부웨빙(120,140)의 각각 표면가닥(121,141)을 구성하는 위사(240a,240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한다.
상기 연결사(280,300)는 상.하부웨빙(120,140)을 제직하여 하나의 밴드(10)로 만들고 하나의 밴드로 만들어진 충격흡수용 밴가 낙하충격을 받는 순간에 연결사(280,300)가 끊어져 상.하웨빙(120,140)으로 분리됨으로서 충격하중을 감소시켜 충격흡수용 밴드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충격흡수용 밴드에 갑자기 큰 충격을 가해지면 연결사들(280,300)이 끊어지기 전에 충격흡수용 밴드에 낙하하중이 가해져 제직된 밴드의 위사가 뒤로 밀리면서 충격흡수용 밴드원단가 부드럽지 않고 딱딱하게 되므로 인하여 경사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게 되는데 충격하중에 의하여 먼저 연결사가 절단되어 상하웨빙으로 분리됨으로 낙하충격을 흡수하여 충격흡수용 밴드원단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도 각각의 위사(240)와 경사(260)가 5:1의 간격으로 제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위사(240)와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제1연결사(280)와, 상기 위사(240)와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제2연결사(300)와 함께 제직되어서 예를 들면 제직상태가 상대적으로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교대로 배열된 것이다.
즉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이 분리되었을시의 분리선상에서 볼 때 충격하중을 2가닥의 제1연결사(280), 2가닥의 제1연결사(280)와 2가닥의 제2연결사(300)가 차례로 배열되어서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이 예를 들면 강하게 연결된 상태와 약하게 연결된 상태가 반복되는 형태로 제직되어 있다
따라서, 충격하중에 의한 장력이 작용될 때 상기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가 보다 신속하게 원활하게 끊어지게 되고,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이 밀려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리드미컬하게 분리된다.
또 상기 제2연결사(300)의 다른 실시예는 도3f와 같이 추락시 충격하중을 처음으로 받는 부분에서는 1개의 제2연결사(300a)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제직하고 다른 제2연결사(300b)는 상하웨빙의 사이에서 미스되다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2개의 제2연결사(300a,300b)로 사인곡선이 교차되게 제직한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제2연결사(300)를 하나의 실(300a)을 사용하여 제직 후 연속하여 2개의 제2연결사(300a,300b)를 이용하여 제직하는 것은 추락시 충격하중을 처음으로 전달받는 충격흡수용 밴드원단의 첫부분에는 하나의 제2연결사(300a)로 제직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도 제2연결사(300a)가 끊어져 추락사고시 추락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제2연결사(300a)를 하나의 실로 제직 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제2연결사(300a,300b)를 2개의 실로 제직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다른 발명은 도4와 같이 충격흡수용 밴드(400)는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는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면가닥(421,441). 내부가닥(422,442)을 각각 위사(430)와 경사(480)가 3:1, 1:3로 제직하며, 상기 절개요소를 이루는 제1연결사(450)는 상부웨빙(420)의 내부가닥(422)쪽 위사(430b)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내부가닥(442)쪽 위사(430c)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며, 제2연결사(460)는 상기 상부웨빙(420,440)의 표면가닥(421)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 위사(430d)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고, 상기 제3연결사(470)는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을 구성하는 위사(430d)와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된다.
상기 제3연결사(470)는 2개의 실(470a,470b)을 사용하여 처음에는 1개의 실(470a)로 제직하고 소정의 거리에는 2개의 실(470a,470b)로 교차되게 제직한다
먼저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내부가닥(421,441)은 낙하되면서 안전벨트에 충격을 가해졌을시 낙하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장력을 갖도록 제직되는데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내부가닥(421,441)은 각각 위사(240)와 경사(260)가 3:1, 1:3로 제직한다.
상.하웨빙(420,440)의 표,내부가닥에 사용되는 위사(430)와 경사(460)는 합성수지재(실의 종류?)를 사용하여 제직한다.
상기 상.하웨빙(420,440)을 제직하여 하나의 띠로 만들고 띠에 충격이 가해질시에는 제직된 실이 끊어지는 분리되는 요소인 연결사는 제1연결사(450) 제2연결사(460) 제3연결사(470)로 구성되고 분리요소인 연결사는 안전벨트에 낙하하중이 가해졌을시는 연결사들이 절단되어 끊어져 하나의 띠가 상.하웨빙(420,440)이 가각각 절개됨으로 인하여 안전벨트에 가해진 낙하하중을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벨트가 절단되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사(450)는 도4d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실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웨빙(420)을 구성하는 내부가닥(422)의 위사(430b)와 하부웨빙(440)을 구성하는 내부가닥(443)의 위사(430c)를 1:1의 간격으로 사인곡선을 만들면서 제직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사(460)는 도4e에 표현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하부웨빙(440)을 구성하는 표면가닥(441)의 위사(430d)를 1:1의 간격으로 파동의 형식으로 제직된다.
또 상기 제1연결사(450)가 사인곡선이 상부로 향해 제직되었을시는 제2연결사(460)는 하부로 사인곡선이 형성되도록 제직되고 상기 제1연결사(450)가 하부의 사인곡선으로 제직되었을시는 제2연결사(460)는 하부로 사인곡선이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제1연결사(250)와 제2연결사(460)의 최대소점이 상하로 서로 교차되도록 제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연결사와 제2연결사의 극점이 서로 다르게 제직함으로서 상하웨빙을 연결사 하나의 띠로 만들었을시 동하중의 장력에 잘 견디게 되는 것이다.
또 제2연결사(460)의 다른 실시예는 두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서로 교차하여 제직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사(460)를 두 가닥의 실을 서로 교차하여 제직함으로 동하중인장력을 증대하게 되어 작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하웨빙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됨으로써 보다 더 안전한 안전벨트에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3연결사(470)는 도4f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1a)와 상기 하부웨빙(440)을 구성하는 표면가닥(441)의 위사(430d)을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여 상.하웨빙(420,440)을 하나의 띠로 만든다.
또 상기 제3연결사(470)의 다른 실시예는 도4g과 같이 제3연결사로 제직하는데 추락시 안전벨트에 가장 먼저 충격이 받는 부분에는 하나의 제3연결사(470a)로 제직하고 소정의 거리를 두고 2개의 제3연결사(470a,470b)를 동시에 사용하여 교차하여 제직한다.
처음에는 제3연결사(470)를 하나의 실을 사용하여 제직 후 연속하여 2개의 제3연결사로 동일한 패턴으로 제직함으로서 추락시 처음에는 하나의 연결사 부분이 나중에는 2개의 연결사 부분의 연결사가 연속되게 끊겨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하웨빙을 제1.2.3 연결사로 일체로 만듬으로써 충격흡수용 밴드에 낙하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동하중에 장력에 잘 견디게 되는 것이고 또 낙하충격시 연결사의 절단으로 낙하충격을 흡수하여 안전밸트를 착용한 작업자를 d보다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에 예시된 충격흡수용 밴드(10')는 도 3에서 보인 조직을 기본조직으로 하는 제1충격흡수부분(A), 제2연결사(300)가 상,하부 웨빙(120,140)의 위사(240)와 4:1 1:4의 간격으로 제직된 제2충격흡수부분(B), 제2연결사(300)가 상,하부 웨빙(120,140)의 위사(240)와 6:1 1:6의 간격으로 제직된 제3충격흡수부분(C), 제2연결사(300)가 상,하부웨빙(120,140)의 위사(240)와 4:1 1:4 간격으로 제직된 제2충격 흡수부분(B), 그리고 제1충격흡수부분(A)으로 구분되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예시된 충격흡수용 밴드는 상,하부 웨빙(120,140)의 연결강도가 예를들면 큰 부분, 중간 부분, 작은 부분, 중간 부분 및 큰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충격하중을 축차적으로 감쇄시키면서 흡수하게 된다.
10 : 충격흡수용 밴드 10': 충격흡수용 밴드
120,420 : 상부웨빙 140,440 : 하부웨빙
121,421 : 표면가닥 122,442 : 내부가닥
240,430 : 위사 260,480 : 경사
280,450 : 제1연결사 300,460 : 제2연결사
120,420 : 상부웨빙 140,440 : 하부웨빙
121,421 : 표면가닥 122,442 : 내부가닥
240,430 : 위사 260,480 : 경사
280,450 : 제1연결사 300,460 : 제2연결사
Claims (10)
-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어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서,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가닥(121,141)과 내부가닥(122,142)을 각각 위사(240)와 경사(260)로 제직하고 상기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을 연결해 주고 충격을 가해졌을시 끊어지는 절개요소는 제1연결사(280)와 제2연결사(30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연결사(28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0d)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어 있으며, 제2연결사(300)는 상부웨빙(120)의 표면가닥(121)쪽 위사(240a)와 하부웨빙(140)의 표면가닥(141)쪽 위사(24d)를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웨빙(120,140)의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을 위사(260)와 경사(260) 5:1 1:5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충격흡수용 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웨빙(520,540)의 표면가닥과 내부가닥을 위사(500)와 경사(510)로 3:3:1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충격흡수용 밴드.
- 제1항에 있어서, 제1연결사(280)는 두개의 실을 사용하여 상,하부웨빙(120,140)의 위사(240a,240d)를 1:1로 사인곡선을 그리면서 교차되게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사(300)는 충격하중을 처음으로 받는 부분에서는 1개의 제2연결사(300a)로 제직하고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속하여 2개의 제2연결사(300a,300b)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제 1항에 있어서, 제1항의 조직을 기본조직으로 하는 제1충격흡수부분(A)과, 상기 제2연결사(300)가 상,하부 웨빙(120,140)의 위사(240)와 4:1의 간격으로 제직된 제2충격흡수부분(B)과, 상기 제2연결사(300)가 상,하부웨빙(120,140)의 위사(24)와 6:1 1:6의 간격으로 제직된 제3충격흡수수분(C)과, 상기 제2연결사(300)가 상기 상,하부 웨빙(120,140)의 위사(24)와 4:1의 간격으로 제직된 제2충격흡수부분(B) 그리고 상기 제1충격흡수부분(A)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높은 장소의 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 안전벨트(1)에 사용되어 상부웨빙(120)과 하부웨빙(140)이 절개요소로 연결된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서, 절개요소로 분리되게 연결되는 상.하부웨빙(420.440)의 표면가닥(421,441). 내부가닥(422,442)을 각각 위사(430)와 경사(480)가 3:1, 1:3로 제직하고, 상기 절개요소를 이루는 제1연결사(450)는 상부웨빙(420)의 내부가닥(422)쪽 위사(430b)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내부가닥(442)쪽 위사(430c)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며, 제2연결사(460)는 상기 상부웨빙(420,440)의 표면가닥(421)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 위사(430d)를 1:1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하고, 상기 제3연결사(470)는 상부웨빙(420)을 만드는 표면가닥(421)의 위사(430a)와 상기 하부웨빙(440)의 표면가닥(441)을 구성하는 위사(430d)와 2:2의 간격으로 교차되게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제5항에 있어서, 제2연결사(460)는 한 가닦의 실 또는 두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서로 교차하여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제 5항에 있어서, 제1연결사(450)와 제2연결사(460)의 최대소점이 상하로 서로 교차되도록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사(470)는 추락시 안전벨트에 가장 먼저 충격이 받는 부분에는 하나의 제3연결사(470a)로 제직하고 소정의 거리를 두고 2개의 제3연결사(470a,470b)를 동시에 사용하여 교차하여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158230 | 2012-12-31 | ||
KR1020120158230 | 2012-12-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2738A true KR20140092738A (ko) | 2014-07-24 |
KR101534394B1 KR101534394B1 (ko) | 2015-07-09 |
Family
ID=5173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9225A KR101534394B1 (ko) | 2012-12-31 | 2013-07-29 | 충격흡수용 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439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5111A (ko) * | 2020-12-29 | 2022-07-06 | 주식회사 대흥섬유 | 충격 흡수 기구 |
KR102639896B1 (ko) * | 2023-08-21 | 2024-02-27 |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 충격 흡수벨트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826Y1 (ko) * | 2006-03-14 | 2006-06-14 |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
KR100791148B1 (ko) * | 2006-11-29 | 2008-01-03 | 김정석 | 안전로프원단 |
KR200438945Y1 (ko) * | 2006-12-29 | 2008-03-13 |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
KR101012951B1 (ko) * | 2010-06-04 | 2011-02-08 | 김정석 |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
-
2013
- 2013-07-29 KR KR1020130089225A patent/KR10153439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5111A (ko) * | 2020-12-29 | 2022-07-06 | 주식회사 대흥섬유 | 충격 흡수 기구 |
KR102639896B1 (ko) * | 2023-08-21 | 2024-02-27 |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 충격 흡수벨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4394B1 (ko) | 2015-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19758C (en) | Energy absorbing webbings | |
EP0034458B1 (en) | An energy absorbing lanyard and a safety belt or harness comprising such a lanyard | |
CA1229100A (en) | Shock absorber for fall protection system | |
EP2971300B1 (en) | Energy absorb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US20060027277A1 (en) | Energy absorbing webbings | |
KR100626420B1 (ko) |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 |
KR101237196B1 (ko)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 |
KR20140092738A (ko) | 충격흡수용 밴드 | |
US20130105246A1 (en) | Energy absorber | |
KR101213795B1 (ko) | 신축안전로프원단 | |
US20150231424A1 (en) | Band for impact absorption | |
KR20170089358A (ko) |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 |
EP4317555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 |
CA2882219C (en) | Belt-type fall damper | |
KR101012951B1 (ko) |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 |
JP4896167B2 (ja) | エネルギー吸収ベルト | |
JP2000185624A (ja) | ウエビングの織り構造 | |
KR102000570B1 (ko) |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 |
KR200418826Y1 (ko) |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 |
JP6223689B2 (ja) | 衝撃荷重緩和ロープ及びランヤード | |
JP3613796B2 (ja) | 高所作業用の安全帯 | |
KR20150003686U (ko)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 |
RU2408401C1 (ru) | Тканый ленточ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для гашения ударной нагрузки | |
KR20180000411U (ko)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 |
JPH1033703A (ja) | 安全帯用緩衝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