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951B1 -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951B1
KR101012951B1 KR1020100052617A KR20100052617A KR101012951B1 KR 101012951 B1 KR101012951 B1 KR 101012951B1 KR 1020100052617 A KR1020100052617 A KR 1020100052617A KR 20100052617 A KR20100052617 A KR 20100052617A KR 101012951 B1 KR101012951 B1 KR 10101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ock absorbing
absorbing band
cu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10005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장치에서 추락방지용 밴드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를 감소, 지연시켜서 충격흡수장치의 완충성, 안전성 및 신뢰성을 모두 크게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파열되는 접합부분과 미접합부분이 충격흡수용 밴드의 전체 길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Description

충격흡수용 밴드직물{A band woven fabrics for impact absor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밴드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많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적용되며 작용하는 충격하중에 의해서 그 두께가 절반으로 양분되게 절개됨으로써 충격하중을 1차로 완충시켜주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에 있어서 충격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불균일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완충성과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양단이 걸고리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안전로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설치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로프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안전로프 상에 설치하여 추락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하여야 했고, 스프링에 의해 안전로프 자체의 하중에 높아지며,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산화작용에 의해 탄성력을 상실함에 다라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거나 완충효율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안전로프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안전로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a는 종래 안전로프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종래 안전로프가 절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래에는 상기 안전로프 상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10)를 합성수지제로 구비된 덮개와, 그 내측에 지그재그로 적층된 다수개의 충격흡수용 밴드(11)와, 추락방지용 밴드(12)로 구성되고,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11)는 각각 독립된 하나의 밴드부재(11-1, 11-2)로 절개되며, 추락방지용 밴드(12)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형성된 것이 다수 안출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충격흡수장치(10)의 양측 체결공을 각각 안전대와 안전로프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할 경우 덮개가 파열된 후 충격흡수용 밴드(11)가 추락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각각 하나의 밴드부재(11-1, 11-2)로 절개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용 밴드(11)가 완전히 절개된 후에는 추락방지용 밴드(12)에 의해 작업자가 바닥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추락사고 발생시 충격흡수용 밴드(11)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항상 연직방향으로 작용되는 것이 아니고 추락방향, 각도 등에 의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불균일하게 작용되기 마련인 까닭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용 밴드(11)가 사선을 가지면서 각각 분리되는 밴드부재(11-1, 11-2)로 절개된다.
따라서, 충격흡수용 밴드(11)가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절개되지 못하고 충격흡수용 밴드(11)의 일부만이 밴드부재(11-1, 11-2)로 절개되는 까닭에 충격흡수용 밴드(11) 쪽에서의 1차 완충효과가 미약하게 되어서 추락방지용 밴드(12)쪽에 과도한 충격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충격흡수장치(10) 전체의 완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낮아지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이상의 충격하중에 의해서 그 두께가 절반으로 양분되게 절개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충격하중이 불균일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균일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유도해줌으로써 매우 우수한 완충성과 안전성 그리고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밴드직물에 관한 것으로,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2개의 밴드부재로 박리, 절개되는 표, 이면을 가진 이중직을 포함하는 다중직으로 된 충격흡수용 밴드에 있어서,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파열되는 접합부분과 미접합부분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파열되는 접합부분과 미접합부분이 소정의 간격으로 충격흡수용 밴드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것이어서 한 쌍의 밴드부재로 박리, 절개되는 충격흡수용 밴드에 충격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하중 분포가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체 작용하더라도 여러개의 미접합부분들이 그 충격하중을 축차적으로 감소시켜줌과 동시에 분산시켜주게 되어서 충격흡수용 밴드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한 쌍의 밴드부재로 박리, 절개될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것이므로 충격흡수장치에 적용해주었을 때 추락방지용 밴드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를 모두 감소, 지연시켜주게 되어서 충격흡수장치의 완충성, 안전성 및 신뢰성을 모두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용 밴드를 사용하는 충격흡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a는 종래의 충격흡수용 밴드와 추락방지용 밴드의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충격흡수용 밴드가 한 쌍의 밴드부재로 박리, 절개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충격흡수용 밴드의 조직예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되는 표, 이면을 가진 이중직을 포함하는 다중직으로 된 충격흡수용 밴드(30)에 있어서,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파열되는 접합부분(31)과 미접합분(32)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 미접합부분(32)은 충격흡수용 밴드(30)의 길이방향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전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접합부분(32)은 예를 들어 양쪽 밴드부재(30-1, 30-2) 중 어느 한쪽 밴드부재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용 밴드(30)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추락방지용 밴드(33)와 함께 충격흡수장치(34)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써,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접합부분(31)이 파열되면서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되며, 미접합부분(32)에서는 상기 접합부분(31)과의 조직강도의 현저한 차이로 말미암아 작용하는 장력의 세기가 크게 감소됨과 아울러서 작용하는 장력을 폭방향으로 분산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충격흡수용 밴드(30)에 충격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사선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여러개의 미접합부분(32)들이 충격하중을 축차적으로 감소시켜줌과 동시에 폭방향쪽으로 분산시켜주게 되어서 충격흡수용 밴드(30)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 될 수 있도록 유도해주게 된다.
다시말해서, 충격흡수용 밴드(30)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충격하중이 과도하게 집중적으로 작용하더라도 충격흡수용 밴드(30)의 일부만이 사선방향으로 박리, 절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서 충격하중을 축차적으로 감소시켜줌으로서 충격흡수용 밴드(30)의 단부(35)에 이르러서는 작용되었던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가 크게 감소되고 느려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30)가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된 후 추락방지용 밴드(33)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를 모두 감소시켜주고 지연시켜주게 되어서 충격흡수장치(34)의 완충성, 안전성 및 신뢰성을 모두 크게 향상시켜주게 되는 특징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도 5와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되는 표, 이면을 가진 이중직을 포함하는 다중직으로 된 충격흡수용 밴드(30)에 있어서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파열되는 접합부분(31)과 미접합부분(32)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되,
접합부분(31)과 미접합부분(30)을 충격흡수용 밴드(30)의 폭방향쪽에서 교호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용 밴드(30)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추락방지용 밴드(33)와 함께 충격흡수장치(34)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접합부분(31)이 파열되면서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되며, 미접합부분(32)에서는 상기 접합부분(31)과의 조직강도의 현저한 차이로 말미암아 작용하는 장력의 세기가 감소됨과 아울러서 작용하는 장력의 세기가 크게 감소됨과 아울러서 작용하는 장력을 접합부분(31)과 교호로 분산시켜주게 된다.
즉, 충격흡수용 밴드(30)에 충격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사선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30)의 폭방향쪽에서 접합부분(31)과 미접합부분(32)이 교호로 형성된 것이어서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에이비에스(ABS) 브레이크를 밟아주었을 때와 흡사하게 충격흡수용 밴드(30)가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되는 것을 무수히 축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해주게 되어서 충격흡수용 밴드(30)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30)가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된 후 추락방지용 밴드(33)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의 세기와 진행속도를 모두 감소시켜주고 지연시켜 주게 되어서 충격흡수장치(34)의 완충성, 안전성 및 신뢰성을 모두 크게 향상시켜 주게 되는 특징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미접합부분(32)은 접합부분(31)의 연결조직과는 다른 여러가지 형태의 미연결조직이나 상기 접합부분(31)의 연결조직보다 상대적으로 조직강도가 낮은 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타공조직이나 미스캠에 의한 조직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30 : 충격흡수용 밴드 30-1, 30-2 : 밴드부재
31 : 접합부분 32 : 미접합부분
33 : 추락방지용 밴드 34 : 충격흡수장치

Claims (5)

  1.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밴드부재(30-1, 30-2)로 박리, 절개 또는 표, 이면을 가진 이중직을 포함하는 다중직으로 된 충격흡수용 밴드(30)에 있어서,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파열되는 접합부분(31)과 미접합부분(32)이 충격흡수용 밴드(30)의 전체길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부분(32)이 충격흡수용 밴드(30)의 길이방향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전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부분(32)이 양쪽 밴드부재(30-1, 30-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부분(32)이 양쪽 밴드부재(30-1, 30-2) 중 어느 한쪽 밴드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직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분(31)과 미접합부분(32)이 충격흡수용 밴드(30)의 폭방향쪽에서 교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20100052617A 2010-06-04 2010-06-04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01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617A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0-06-04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617A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0-06-04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951B1 true KR101012951B1 (ko) 2011-02-08

Family

ID=4377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617A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0-06-04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9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394B1 (ko) * 2012-12-31 2015-07-09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20180047799A (ko) * 2016-11-01 2018-05-10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899480B1 (ko) 2016-10-12 2018-09-18 김도연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102639896B1 (ko) * 2023-08-21 2024-02-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충격 흡수벨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263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30054542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슬리브와 박판 고착부 스크랩 제거장치
KR200343263Y1 (ko) 2003-11-03 2004-03-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로프
KR20040018826A (ko) * 2002-08-27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 뱅크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퓨즈 뱅크
KR200354542Y1 (ko) 2004-04-13 2004-06-30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418826Y1 (ko) 2006-03-14 2006-06-1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263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30054542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슬리브와 박판 고착부 스크랩 제거장치
KR20040018826A (ko) * 2002-08-27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 뱅크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퓨즈 뱅크
KR200343263Y1 (ko) 2003-11-03 2004-03-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로프
KR200354542Y1 (ko) 2004-04-13 2004-06-30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418826Y1 (ko) 2006-03-14 2006-06-1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0791148B1 (ko) 2006-11-29 2008-01-03 김정석 안전로프원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394B1 (ko) * 2012-12-31 2015-07-09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101899480B1 (ko) 2016-10-12 2018-09-18 김도연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20180047799A (ko) * 2016-11-01 2018-05-10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2639896B1 (ko) * 2023-08-21 2024-02-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충격 흡수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ES2655208T3 (es) Tejido absorbente de energía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ES2743805T3 (es) Absorbente de energía
US20050284694A1 (en) Energy absorber device for a life line
US20130105246A1 (en) Energy absorber
KR20150136555A (ko) 안전대 죔줄
US4515254A (en) Device for damping impact load
AU2014289529B2 (en) Belt-type fall damper
CN109914835A (zh) 一种建筑工程防护网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US20150231424A1 (en) Band for impact absorption
WO1995001815A2 (en) Energy absorbing fall arrest device
KR101269373B1 (ko)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RU128501U1 (ru) Амортизатор
EP3484591B1 (en) Device for braking the fall of a load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US8984721B2 (en) Strap shock absorber
JPS59197263A (ja) 衝撃緩和用索条体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0356618Y1 (ko) 산업안전대용 충격흡수죔줄
KR200354542Y1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