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542Y1 -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 Google Patents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42Y1
KR200354542Y1 KR20-2004-0010219U KR20040010219U KR200354542Y1 KR 200354542 Y1 KR200354542 Y1 KR 200354542Y1 KR 20040010219 U KR20040010219 U KR 20040010219U KR 200354542 Y1 KR200354542 Y1 KR 200354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nd
rope
industrial
safety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to KR20-2004-0010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05Elongation or elast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안전대용 안전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추락 시 발생하는 충격을 로프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해 완충·흡수시켜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 한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산업안전대(2)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지지대(3) 상간에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한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1)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신축안전로프(1)는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된 신축밴드(4)가 외측으로 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중공형태로 직조된 추락방지용 밴드(5) 내로 관통되도록 내외 2중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추락방지용 밴드(5)는 신축밴드(4)가 장력에 의해 최대로 늘어났을 때의 길이와 추락방지용 밴드(5)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신축밴드(4)의 외측에 주름지게 구성하며, 상기 신축안전로프(1)의 양단은 신축밴드(4)가 추락방지용 밴드(5)에 내입된 상태에서 접어 재봉한 후 외측으로 수축튜브(7)를 밀착하여 연결공(6)을 형성하며, 안전대(2)와 고정지지대(3)에 걸림되는 걸고리(8)를 상기 연결공(6)에 연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구성과 같이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1)만으로 추락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함으로써, 종래의 안전로프에 별도로 구비되던 충격흡수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동일 내지는 그 이상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제조단가와 제조공정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하중과 부피를 월등히 감소시켜 포장 시 포장대의 비용 역시 감소시키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An extension safety­rope for industrial safety zone}
본 고안은 산업안전대용 안전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대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부착물 등과 같은 고정지지대의 상간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추락 시 발생하는 충격을 로프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해 완충·흡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양단이 걸고리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안전로프 상에는 별도로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설치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로프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안전로프 상에 설치하여 추락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해야하고, 스프링에 의해 안전로프 자체의 하중이 높아지며,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되어 산화작용에 의해 탄성력을 잃음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근자에 들어 상기 안전로프 상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를 상기 문제점에서 착안하여 합성수지제 덮개와 그 내측에 지그재그로 적층된 충격흡수용 밴드와 추락방지용 밴드로 구성되고,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는각각 독립된 하나의 밴드부재로 절개되며, 추락방지용 밴드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형성된 것이 다수 안출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충격흡수장치의 양 측 체결공을 각각 안전대와 안전로프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할 경우 덮개가 파열된 후 충격흡수용 밴드가 추락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각각 하나의 밴드부재로 절개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용 밴드가 완전히 절개된 후에는 추락방지용 밴드에 의해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안전로프 역시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단점을 일소하지 못하였고, 상기한 충격흡수장치의 경우 추락방지용 밴드와 충격흡수용 밴드의 2중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가 커서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과 제작 시 원자재가 많이 소모되어 제조단가가 높아지므로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안전로프가 갖는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산업안전대용 안전로프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전로프 상에서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한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로프 자체를 내외 2중구조의 밴드로 구성하되, 내측의 밴드는 신축성을 갖도록 하고, 외측의 밴드는 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하여 별도의충격흡수장치 없이도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흡수토록 하고,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2:안전대
3:고정지지대 4:신축밴드
5:추락방지용 밴드 6:연결공
7:수축튜브 8:걸고리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이며, 도 4, 5는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처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산업안전대(2)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지지대(3) 상간에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한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축안전로프(1)는 내외측 2중구조로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자체가 신축성을 갖도록 고무사(絲)와 합성수지사(絲)를 합사하여 직조된 신축밴드(4)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장력에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합성수지사로 직조된 추락방지용 밴드(5)를 형성하며, 상기 추락방지용 밴드(5)를 중공(中空)형태로 직조하여 그 내측으로 신축밴드(4)가 관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신축밴드(4)가 장력에 의해 최대로 늘어났을 때의 길이와 추락방지용 밴드(5)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신축안전로프(1)를 구성할 시 신축밴드(4)의 외측으로 추락방지용 밴드(5)를 주름지게 구성한다.
상술한 내용 중 고무사와 합성수지사의 합사나 직조 방법은 통상의 직조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상세한 기술은 더 이상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신축안전로프(1)의 양단은 신축밴드(4)가 추락방지용 밴드(5)에 내입된 상태에서 U형으로 접은 후 재봉하고, 재봉부 외측으로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수축튜브(7)를 밀착하여 연결공(6)을 형성하며, 안전대(2)와 고정지지대(3)에 걸림되는 걸고리(8)를 상기 연결공(6)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안전로프(1)는 고정지지대(3)에 일측의 걸고리(8)를 연결하고, 타 측으로 산업용 안전대(2)를 연결하되,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대(2)로는 일명 그네식안전대나 안전벨트 등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9는 신축안전로프(1)의 걸고리(8)를 안전대(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불의의 사고로 추락할 시 신체에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2)와 건축물 등과 같은 고정지지대(3)에 고정된 신축안전로프(1)에 낙하중력으로 인한 상당한 장력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엄청난 충격을 받게 되는바, 이때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도록 안전대(2)와 고정지지대(3) 상간에 연결되는 신축안전로프(1)를 내외 2중구조로 형성하되, 내측의 신축성 신축밴드(4)를 외측의 강성을 갖는 추락방지용 밴드(5) 내로 관통되게 형성한 산업안전대용신축안전로프(1)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처에서 작업 중이던 작업자의 추락사고 발생 시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던 안전대(2)의 연결고리(9)와 고정지지대(3) 상간에 연결된 신축안전로프(1)에 장력이 발생하면, 먼저 신축밴드(4)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일부 완충·흡수되고, 강한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된 신축밴드(4)가 일차적으로 일정한 길이 이상 늘어나면서 충격을 일부 완충·흡수한 다음 단계적으로 절단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흡수하며, 신축밴드(4)가 완전히 절단되었을 시 신축밴드(4)가 늘어나면서 주름이 펴진 외측의 추락방지용 밴드(5)에 의해서 작업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안전로프에 부착되던 별도의 충격흡수장치의 작용을 신축안전로프(1)만으로 대체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안전성이 보장되고, 신축안전로프(1) 자체의 하중과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1)는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된 신축밴드(4)가 외측으로 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중공형태로 직조된 추락방지용 밴드(5) 내로 관통되도록 내외 2중구조로 구성하여 신축안전로프(1)만으로 추락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 함으로써, 종래의안전로프에 완충·흡수를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던 충격흡수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동일 내지는 그 이상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제조단가와 제조공정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 안전로프에 비하여 그 하중과 부피를 월등히 감소시켜 포장 시 포장대의 비용 역시 감소시키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산업안전대(2)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지지대(3) 상간에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토록하면서 추락을 방지토록 한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1)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신축안전로프(1)는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된 신축밴드(4)가 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중공형태로 직조된 추락방지용 밴드(5) 내로 관통되도록 내외 2중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추락방지용 밴드(5)는 신축밴드(4)가 장력에 의해 최대로 늘어났을 때의 길이와 추락방지용 밴드(5)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신축밴드(4)의 외측에 주름지게 구성하며,
    상기 신축안전로프(1)의 양단은 신축밴드(4)가 추락방지용 밴드(5)에 내입된 상태에서 접어 재봉한 후 외측으로 수축튜브(7)를 밀착하여 연결공(6)을 형성하고, 안전대(2)와 고정지지대(3)에 걸림되는 걸고리(8)를 상기 연결공(6)에 연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2004-0010219U 2004-04-13 2004-04-13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354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19U KR200354542Y1 (ko) 2004-04-13 2004-04-13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19U KR200354542Y1 (ko) 2004-04-13 2004-04-13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27A Division KR20050100330A (ko) 2004-10-18 2004-10-18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42Y1 true KR200354542Y1 (ko) 2004-06-30

Family

ID=4943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219U KR200354542Y1 (ko) 2004-04-13 2004-04-13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20B1 (ko) 2005-08-26 2006-09-20 김정석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CN112921496A (zh) * 2021-01-27 2021-06-08 鲁普耐特集团有限公司 一种树上作业耐磨耐高温挽索及其制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20B1 (ko) 2005-08-26 2006-09-20 김정석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CN112921496A (zh) * 2021-01-27 2021-06-08 鲁普耐特集团有限公司 一种树上作业耐磨耐高温挽索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826B2 (en) Shock absorbing lanyard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200354542Y1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50100330A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CN112654400A (zh) 一种用于安全带的盘绕式能量吸收器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KR20150136555A (ko) 안전대 죔줄
KR101933198B1 (ko) 승강기의 추락 완충장치
KR20080005176U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2513879B1 (ko)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KR10163714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JP4227494B2 (ja) 衝撃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帯用ロープ
KR20110005916U (ko) 산업용 안전그네 및 충격흡수장치
KR102428779B1 (ko) 추락 방지용 안전대
US20120024640A1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nchoring a lifeline or the like
US20070107984A1 (en) Fall arrest system
JP2023007620A (ja) ランヤ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