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76U -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176U
KR20080005176U KR2020070007225U KR20070007225U KR20080005176U KR 20080005176 U KR20080005176 U KR 20080005176U KR 2020070007225 U KR2020070007225 U KR 2020070007225U KR 20070007225 U KR20070007225 U KR 20070007225U KR 20080005176 U KR20080005176 U KR 200800051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afety rope
safety
shock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2020070007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176U/ko
Publication of KR20080005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락사고 시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평상 시 안전로프가 거추장스럽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중직으로 엮어진 한겹으로 제직되어 튜브(1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로 내장되는 완충벨트(20)와, 주름진 직물튜브(31)의 내부에 탄성체(32)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안전로프(30)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를 구성하되, 상기 완충벨트(20)의 일측 연결부(21)에는 작업자의 허리벨트(W)에 연결되는 걸고리(40)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벨트(20)의 타측 연결부(22)에는 안전로프(30)의 일측 연결부(33)를 연결하고, 상기 안전로프(30)의 타측 연결부(34)에는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연결되는 훅(50)을 연결한 것이다.
충격흡수, 안전벨트, 안전로프, 신축성, 직물튜브, 탄성체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안전벨트{safety belt for shock absorption}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종래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안전벨트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충격흡수용 벨트와 추락방지용 벨트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충격흡수용 벨트가 절개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11b는 본 고안을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벨트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벨트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를 보인 사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11a,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튜브 20 : 완충벨트
21,22 : 연결부 30 : 안전로프
31 : 직물튜브 32 : 탄성체
33,34 : 연결부 40 : 걸고리
50 : 훅 B : 안전벨트
W : 허리벨트
본 고안은 고공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상처를 최소화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추락사고 시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착용감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는 고층건물 또는 고가시설을 축조하거나 시공하는 등의 고소작업 중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충격력을 최대한 흡수,완화시켜 작업자의 허리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A)는 합성수지제 튜브(1)와 튜브(1)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로 내장된 벨트(2)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2)는 충격흡수용 벨트(2a)와 추락방지용 벨트(2b)를 구비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2)의 양단에는 체결공(2c)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양측 체결공(2c)은 튜브(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충격흡수용 벨트(2a)는 일정 하중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독립된 하나의 벨트로 절개될 수 있도록 이중직으로 엮어져 한겹으로 제직된 이중직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체결공(2c)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허리벨트(3)에 연결되는 걸고리(4)가 고정되고, 타측 체결공(2c)에는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훅(5)을 통해 연결되는 안전로프(6)가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소작업 중 추락할 경우 튜브(1)가 파열된 후 충격흡수용 벨트(2a)가 추락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하나의 벨트로 절개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용 벨트(2a)가 완전히 절개된 후에 추락방지용 벨트(2b)에 의해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A)에 있어서는, 추락사고 시 하나의 충격흡수용 벨트(2a)에서만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켰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완충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A)에 있어서는, 훅(5)을 통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연결되는 안전로프(6)가 탄성이 없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평상 시 거추장스럽게 밑으로 축 늘어지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고소작업 시 밑으로 축 늘어진 안전로프(6)가 거추장스럽게 거치적거리기 때문에 오히려 작업에 방해가 되어 결과적으로 작업성과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추락사고 시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완충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평상 시 안전로프가 거추장스럽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중직으로 엮어져 한겹으로 제직되는 완충벨트를 지그재그로 접어 튜브에 내장하고, 상기 완충벨트에 주름진 직물튜브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안전로프를 연결하여, 추락사고 시 상기 완충벨트와 안전로프가 동시에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5 내지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중직으로 엮어진 한겹으로 제직되어 튜브(1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로 내장되는 완충벨트(20)와, 주름진 직물튜브(31)의 내부에 탄성체(32)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안전로프(30)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를 구성하되, 상기 완충벨트(20)의 일측 연결부(21)에는 작업자의 허리벨트(W)에 연결되는 걸고리(40)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벨트(20)의 타측 연결부(22)에는 안전로프(30)의 일측 연결 부(33)를 연결하고, 상기 안전로프(30)의 타측 연결부(34)에는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연결되는 훅(50)을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10),완충벨트(20),안전로프(30),걸고리(40) 및 훅(50)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로프(30)가 도 11a,11b에서와 같이 주름진 직물튜브(31)의 내부에 탄성체(32)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추락사고 시 안전로프(30)가 탄성체(32)의 신축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늘어나면서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상기 튜브(1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평상 시 완충벨트(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튜브(10)의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접혀진 완충벨트(20)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튜브(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충격발생 시 파열된다.
상기 완충벨트(20)는 도 7에서와 같이 튜브(1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로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벨트(20)는 일정 하중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도 8a,8b에서와 같이 각각 독립된 하나의 벨트로 절개될 수 있도록 이중직으로 엮어져 한겹으로 제직된 이중직벨트로 이루어지고, 완충벨트(20)의 양측에는 튜브(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21)(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완충벨트(20)의 일측 연결부(21)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허리벨트(W)에 연결되는 걸고리(40)가 연결되고, 상기 완충벨트(20)의 타측 연결부(22)에는 안전로프(30)의 일측 연결부(33)가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소작업 중 추 락할 경우 튜브(10)가 파열된 후, 완충벨트(20)가 추락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도 8b에서와 같이 각각 하나의 벨트로 뜯어지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상기 안전로프(30)는 추락사고 시 완충벨트(20)와 동시에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로프(30)는 도 11a,11b에서와 같이 주름진 직물튜브(31)의 내부에 탄성체(32)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안전로프(30)의 양측에는 연결부(33)(34)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전로프(30)는 평상 시 도 10a와 도 11a에서와 같이 탄성체(32)에 의해 직물튜브(31)의 주름부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즉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 시 안전로프(30)가 거추장스럽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로프(30)의 일측 연결부(33)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완충벨트(20)의 타측 연결부(22)가 연결되고, 상기 안전로프(30)의 타측 연결부(34)에는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연결되는 훅(50)이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안전로프(30)가 도 11a,11b에서와 같이 주름진 직물튜브(31)의 내부에 탄성체(32)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소작업 중 추락할 경우 안전로프(30)가 탄성체(32)의 신축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늘어나면서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상기 걸고리(4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허리벨트(W)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걸고리(40)는 도 5에서와 같이 완충벨트(20)의 일측 연결부(21)에 연결 된다.
상기 훅(5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훅(50)은 도 5와 도 9에서와 같이 안전로프(30)의 타측 연결부(34)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도 고층건물 또는 고가시설을 축조하거나 시공하는 등의 고소작업 중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충격력을 최대한 흡수,완화시켜 작업자의 허리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는 고소작업 중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한 추락사고 시,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10)가 파열된 후 완충벨트(20)가 도 8b에서와 같이 뜯어지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고, 이와 동시에 안전로프(30)가 탄성체(32)의 신축성에 의해 도 10b와 도 11b에서와 같이 자체적으로 늘어나면서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구조적으로 완충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는 평상 시 도 10a와 도 11a에서와 같이 탄성체(32)에 의해 직물튜브(31)의 주름부가 수축되어 안전로프(30)가 거추장스럽게 늘어지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는 추락사고 시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안전로프를 통해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완충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평상 시 안전로프가 거추장스럽게 늘어지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이중직으로 엮어진 한겹으로 제직되어 튜브(1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로 내장되는 완충벨트(20)와, 주름진 직물튜브(31)의 내부에 탄성체(32)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안전로프(30)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B)를 구성하되, 상기 완충벨트(20)의 일측 연결부(21)에는 작업자의 허리벨트(W)에 연결되는 걸고리(40)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벨트(20)의 타측 연결부(22)에는 안전로프(30)의 일측 연결부(33)를 연결하고, 상기 안전로프(30)의 타측 연결부(34)에는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연결되는 훅(50)을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2020070007225U 2007-05-02 2007-05-02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200800051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25U KR20080005176U (ko) 2007-05-02 2007-05-02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25U KR20080005176U (ko) 2007-05-02 2007-05-02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76U true KR20080005176U (ko) 2008-11-06

Family

ID=4150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225U KR20080005176U (ko) 2007-05-02 2007-05-02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17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382A (zh) * 2019-03-27 2019-07-12 浙江省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移动自锁式的安全防护系统
KR102009187B1 (ko) * 2019-06-18 2019-08-09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케이블 설치 작업자 보호장치
CN110975189A (zh) * 2019-11-25 2020-04-10 秦向东 一种复合加强型安全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382A (zh) * 2019-03-27 2019-07-12 浙江省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移动自锁式的安全防护系统
CN109999382B (zh) * 2019-03-27 2024-02-20 浙江省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移动自锁式的安全防护系统
KR102009187B1 (ko) * 2019-06-18 2019-08-09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케이블 설치 작업자 보호장치
CN110975189A (zh) * 2019-11-25 2020-04-10 秦向东 一种复合加强型安全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826B2 (en) Shock absorbing lanyard
ES2743805T3 (es) Absorbente de energía
JP2009529454A (ja) エネルギー吸収領域を有する子供用拘束装置
US6193272B1 (en) Knee protector with load distribution cage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20080005176U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KR20150136555A (ko) 안전대 죔줄
KR200392781Y1 (ko) 안전구명줄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200354542Y1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50100330A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KR200281844Y1 (ko) 안전 벨트의 하부 고정 구조
KR100915948B1 (ko) 에어백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0193883B1 (ko) 안전벨트의 완충장치
KR102438921B1 (ko)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KR20180000411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0129275Y1 (ko) 안전띠 압박하중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