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921B1 -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921B1
KR102438921B1 KR1020200001932A KR20200001932A KR102438921B1 KR 102438921 B1 KR102438921 B1 KR 102438921B1 KR 1020200001932 A KR1020200001932 A KR 1020200001932A KR 20200001932 A KR20200001932 A KR 20200001932A KR 102438921 B1 KR102438921 B1 KR 10243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ember
knitted
sewn
connection part
safet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893A (ko
Inventor
정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0000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등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제공되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는,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1 연결부를 형성한 제1 밴드부재; 상기 제1 밴드부재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2 연결부를 형성한 제2 밴드부재; 상기 제1 밴드부재 및 상기 제2 밴드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띠가 서로 편직된 편직부와 편직되지 않은 비편직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일측의 상기 비편직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밴드부재와 재봉되고, 타측의 상기 비편직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밴드부재와 재봉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소정 이상의 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편직부가 절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부재 및 상기 제2 밴드부재의 양단부는 서로 편직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서 재봉부의 불량에 충분히 대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Shock absorber for safety belt}
본 발명은 건설현장 등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제공되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다. 안전대는 고정지지대에 고정된 안전로프와 연결되고, 안전대와 안전로프 사이에는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가 연결되어 추락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안전대와 안전로프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0)와, 이러한 연결부(10)와 연결되는 밴드(20)와, 밴드(20) 내측에 위치하고 재봉부(11, 21)에 의해 밴드(20)와 재봉되는 충격흡수부(30)를 포함한다.
충격흡수부(30)는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양쪽으로 절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할 경우, 충격흡수부(30)가 추락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양쪽으로 절개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부(30)가 완전히 절개된 후에는 밴드(20)에 의해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밴드(20)의 반대쪽에는 연결부(10)의 단부(10a)가 재봉부(11)에 의해 충격흡수부(30)와 재봉되어 있다.
작업자가 추락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충격흡수부(30)와 재봉부(11)에 함께 가해진다. 불량 등의 원인으로 인해 재봉부(11)가 충격흡수부(30)와 충분히 재봉되어 있지 않다면, 추락시의 하중으로 인해 재봉부(11)가 뜯어지면서 작업자는 무방비로 추락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0)의 단부(10a)가 재봉되는 재봉부(11)의 불량에 충분히 대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005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서 재봉부의 불량에 충분히 대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는,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1 연결부를 형성한 제1 밴드부재; 상기 제1 밴드부재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2 연결부를 형성한 제2 밴드부재; 상기 제1 밴드부재 및 상기 제2 밴드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띠가 서로 편직된 편직부와 편직되지 않은 비편직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일측의 상기 비편직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밴드부재와 재봉되고, 타측의 상기 비편직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밴드부재와 재봉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소정 이상의 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편직부가 절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밴드부재 및 상기 제2 밴드부재의 양단부는 서로 편직된다.
또한, 소정 범위에서 상기 제1 밴드부재와 상기 편직부가 서로 재봉되어 제1 재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재봉부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소정 범위에서 상기 제2 밴드부재와 상기 편직부가 서로 재봉되어 제2 재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재봉부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서 재봉부의 불량에 충분히 대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각각 안전대와 안전고리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 제2 밴드부재와 충격흡수부의 비편직부가 재봉된 부분이 뜯겨지면서 고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각각 안전대와 안전고리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 제2 밴드부재와 충격흡수부의 비편직부가 재봉된 부분이 뜯겨지면서 고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이하, 충격흡수장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와 건물에 고정되는 안전로프에 각각 연결되어 건설현장 등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제1 밴드부재(110), 제2 밴드부재(120), 충격흡수부(130)를 포함한다.
제1 밴드부재(110)는 긴 형상의 띠로서,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1 연결부(111)를 형성한다. 제1 연결부(111)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 고리(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밴드부재(120)는 긴 형상의 띠로서 제1 밴드부재(110)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2 연결부(121)를 형성한다. 제2 연결부(121)는 건물에 고정되는 안전로프 고리(20)에 연결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0)는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의 사이에 위치된다. 충격흡수부(130)는 마주보는 한 쌍의 띠가 서로 편직된 편직부(133)와, 편직되지 않은 비편직부(131, 13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편직은 여러 개의 실에 의해 만들어진 루프(loop)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짜여지면서 만들어지는 원단을 말하고, 편직부(133)는 한 쌍의 띠가 서로 짜여진 상태가 된다.
일측의 비편직부(131)는 제1 연결부(111)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밴드부재(110)와 재봉되어 재봉된 부분(112)을 형성하고, 타측의 비편직부(132)는 제2 연결부(121)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밴드부재(120)와 재봉되어 재봉된 부분(122)을 형성한다. 작업자가 추락하는 상황에서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21)에 소정 이상의 장력이 가해질 때, 편직부(133)가 양쪽으로 절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의 양단부는 서로 편직되어 편직된 부분(115, 116)을 형성한다. 충격흡수부(130)의 편직부(133)는 소정의 장력에 의해 절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편직되지만, 편직된 부분(115, 116)은 강한 장력에도 절개되지 않도록 편직된다.
그에 따라, 편직부(133)가 완전히 절개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21)에 장력이 추가로 가해지더라도, 편직된 부분(115, 116)에서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는 분리되지 않고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밴드부재(120)와 비편직부(132)가 재봉되는 재봉된 부분(122)에서 불량이 발생된 경우, 작업자가 추락할 때의 장력에 의해 재봉된 부분(122)에서 뜯겨지는 부분(122a)이 생길 수 있다.
재봉된 부분(122)이 한번 뜯겨지기 시작하면 계속 진행되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봉된 부분(122)이 완전히 뜯겨져 제2 연결부(121)가 펴지면서 안전로프 고리(20)가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안전로프 고리(20)가 편직된 부분(116)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멈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의 종래기술에서는 충격흡수부(30)가 있는 반대편에서 불량 등에 의해 재봉부(11)가 뜯겨질 경우 작업자가 바로 추락하는 상황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직부(133)의 반대편에도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가 연장되어 편직된 부분(116)에 의해 폐루프를 형성하므로 재봉된 부분(112, 122)이 뜯겨지는 경우에도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충격흡수부(130)와 같이 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 작업자에게 충격이 가해질 수는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는 제1 밴드부재(110), 제2 밴드부재(120), 충격흡수부(130)를 포함하고, 제1 밴드부재(110), 제2 밴드부재(120), 충격흡수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대응되는 부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 밴드부재(110)와 편직부(133)는 소정 범위에서 서로 재봉되어 제1 재봉부(117)를 형성한다. 제1 재봉부(117)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2 밴드부재(120)와 편직부(133)는 소정 범위에서 서로 재봉되어 제2 재봉부(127)를 형성한다. 제2 재봉부(127)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 재봉부(117)와 제2 재봉부(127)는 서로 재봉되지 않는다. 제1 재봉부(117)와 제2 재봉부(127)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재봉부(117)와 제2 재봉부(127)는 서로 재봉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편직부(133)가 절개되는 상황에서, 제1 재봉부(117)와 제2 재봉부(127)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 재봉부(117)와 제2 재봉부(127)는 재봉된 부분(112, 122)이 뜯겨지는 상황에서 편직부(133)에서 차례로 뜯겨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제1 재봉부(117)와 제2 재봉부(127)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상황에서 장력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편직부(133)에서 뜯겨질 수 있도록 재봉된다.
편직부(13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는 소정 범위에서 서로 재봉되어 제3 재봉부(125)를 형성한다. 제3 재봉부(125)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편직부(133)의 반대편에서 재봉된 부분(112, 122)이 뜯겨지는 상황에서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는 제3 재봉부(125)에서 차례로 뜯겨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제3 재봉부(125)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상황에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제1 밴드부재(110)와 제2 밴드부재(120)가 차례로 분리될 수 있도록 재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추락시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재봉된 부분(112, 122)이 뜯겨지는 상황에서도 제1 내지 제3 재봉부(117, 127, 125)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안전대 고리
20 : 안전로프 고리
110 : 제1 밴드부재
111 : 제1 연결부
112 : 재봉된 부분
115, 116 : 편직되는 부분
117 : 제1 재봉부
120 : 제2 밴드부재
121 : 제2 연결부
122 : 재봉된 부분
122a : 뜯겨지는 부분
125 : 제3 재봉부
127 : 제2 재봉부
130 : 충격흡수부
131, 132 : 비편직부
133 : 편직부

Claims (4)

  1.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1 연결부를 형성한 제1 밴드부재;
    상기 제1 밴드부재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고리 모양으로 중앙부를 접어 제2 연결부를 형성한 제2 밴드부재;
    상기 제1 밴드부재 및 상기 제2 밴드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띠가 서로 편직된 편직부와 편직되지 않은 비편직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일측의 상기 비편직부(131)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밴드부재와 재봉되어 재봉된 부분(112)을 형성하고, 타측의 상기 비편직부(132)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밴드부재와 재봉되어 재봉된 부분(12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소정 이상의 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편직부가 절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부재 및 상기 제2 밴드부재의 양단부는 서로 편직되어 편직된 부분(115, 116)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고리가 연결되고,
    상기 재봉된 부분(112, 122)에서 불량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의 장력에 의해 상기 재봉된 부분(112, 122)이 상기 비편직부(131, 132)에서 완전히 뜯겨질 경우에도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된 고리는 상기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에서 분리되지 않고 상기 편직된 부분(115, 116)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소정 범위에서 상기 제1 밴드부재와 상기 편직부가 서로 재봉되어 제1 재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재봉부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소정 범위에서 상기 제2 밴드부재와 상기 편직부가 서로 재봉되어 제2 재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재봉부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KR1020200001932A 2020-01-07 2020-01-07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KR10243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932A KR102438921B1 (ko) 2020-01-07 2020-01-07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932A KR102438921B1 (ko) 2020-01-07 2020-01-07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893A KR20210088893A (ko) 2021-07-15
KR102438921B1 true KR102438921B1 (ko) 2022-09-01

Family

ID=7688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932A KR102438921B1 (ko) 2020-01-07 2020-01-07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45Y1 (ko) * 2006-12-29 2008-03-13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058Y1 (ko) 2004-02-28 2004-05-12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20170089358A (ko) * 2016-01-26 2017-08-03 김수규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45Y1 (ko) * 2006-12-29 2008-03-13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893A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3805T3 (es) Absorbente de energía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438921B1 (ko)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US11511141B2 (en) Shock absorption device including dual fall prevention band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3269B1 (ko)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US20150231424A1 (en) Band for impact absorption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KR101928383B1 (ko) 수직형 추락 방지망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KR20050100330A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080005176U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200354542Y1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102000570B1 (ko)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KR20180000411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