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373B1 -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 Google Patents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373B1
KR101269373B1 KR1020110060943A KR20110060943A KR101269373B1 KR 101269373 B1 KR101269373 B1 KR 101269373B1 KR 1020110060943 A KR1020110060943 A KR 1020110060943A KR 20110060943 A KR20110060943 A KR 20110060943A KR 101269373 B1 KR101269373 B1 KR 10126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yarn
fiber
yarn
bent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670A (ko
Inventor
이양종
Original Assignee
이양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종 filed Critical 이양종
Publication of KR2011013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편직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의 섬유와, 고무실을 편직하여 탄성력이 뛰어난 한편 인장강도가 뛰어나며, 시간에 따른 열화의 가능성이 없는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기본 섬유사와 고무사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단일 섬유사를 이용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은 세 개의 섬유사들의 반복된 상호 결속에 의해 형성되고, 세 개의 섬유사들이 결합하는 부분은 묶음끈의 길이방향으로 섬유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Description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Elastic band and Binding mea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적재한 화물들이 차량의 운행중에 화물칸에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이, 운동시에 머리에 착용하는 머리띠, 또는 군복의 바지 아랫단에 착용하는 탄성링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물자동차는 그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여 목적 장소까지 이동하게 된다. 화물자동차에 화물을 적재하게 되면 차량의 운행중 진동에 의해 화물이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여 도로상에 떨어져 교통사고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소정의 도구로 고정하게 된다.
화물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의 한 예로서 고무로 이루어진 묶음끈이 있다. 상기 고무로 된 묶음끈은 통상적으로 폐타이어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폐타이어를 사용하여 만든 고무끈의 경우에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다수의 화물자동차 운전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물자동차의 적재칸에 적재한 화물의 전체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고무끈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칸에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화물의 양이 많고 특히 화물의 무게가 상당히 무거울 때 고무끈을 사용하여 화물을 적재칸에 결속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화물차가 곡선구간을 주행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고무끈에 많은 부하가 걸려 고무끈이 파손되어 화물이 적재함에서부터 도로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공기중에 오래 노출되어 열화가 된 고무끈의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더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화학섬유재를 적층하여 제조한 묶음끈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묶음끈은 공기중에 오래 노출되어도 열화되어 강도가 떨어지는 일은 없지만 고무끈과 같이 늘어나는 성질이 없기 때문에 화물의 부피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묶음끈을 준비해야 하거나 또는 아주 긴 길이의 묶음끈을 준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묶음끈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무끈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고무끈에 비해 그 부피도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고무끈과 같이 신축이 좋지만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어도 열화가 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한 제작이 간편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상적으로 운동시에 머리에 착용하는 머리띠는 탄성력이 없는 섬유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스판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그렇지만, 탄성력이 없는 섬유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스판과 같은 탄성력이 소재로 머리띠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그 부피가 작아 땀의 흡수율이 낮고, 또한 스판과 같은 경우에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피가 커 땀흡수율이 높은 한편 탄성력 저하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머리띠를 제공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군대에서 군인들의 하의 아랫단을 결속하여 정리하기 위하여 고무링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무링은 대부분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다리가 굵은 사람이 오랜 시간 동안 착용하게 되면 고무링의 압박에 의해 다리에 무리가 오게 되고, 다리가 가는 사람이 착용하게 되면 바지 아랫단이 제대로 결속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리 굵기에 상관없이 착용감이 한층 더 뛰어나며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머리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편직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의 섬유와, 고무실로 편직하여 탄성력이 뛰어난 한편 인장강도가 뛰어나며, 시간에 따른 열화의 가능성이 없는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는 스판덱스와 같은 섬유사와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복합섬유사를 이용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탄성밴드는 세 개의 섬유사들의 반복된 상호 결속에 의해 형성되고, 세 개의 섬유사들이 결합하는 부분은 묶음끈의 길이방향으로 섬유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섬유사는 기본 섬유사와 고무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사는 고무재와 보조 섬유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사는 고무재 둘레에 보조 섬유사를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세 개의 섬유사들의 결합은,
제1섬유사의 제1하단부가 제2섬유사의 제1상단부 아래를 지나 다시 제2섬유사의 제1상단부 위를 지나고 다시 제3섬유사의 제1하단부 위를 지난 다음 제3섬유사의 제1하단부 아래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여 제3섬유사의 제2하단부 아래를 지난 다음 다시 제3섬유사의 제2하단부 위쪽으로 휘어져 제2섬유사의 제2상단부 위를 지난 다음 다시 제2섬유사의 제2상단부 아래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여 제2섬유사의 제3상단부 위를 지난 다음 다시 제2섬유사의 제3상단부 아래에서 위로 휘어져 제3섬유사의 제3하단부 아래를 지난 다음 제3섬유사의 제3하단부 위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연장하여 제3섬유사의 제4하단부의 위를 지난 다음 아래로 휘어져 제3섬유사의 제4하단부의 제2섬유사의 제4상단부 아래를 지난 다음 제2섬유사의 제4상단부 위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도록 하고,
제2섬유사의 제1하단부가 제3섬유사의 제1상단부 아래를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3섬유사의 제1상단부와 제1섬유사의 제1하단부 위를 지나고, 그런 다음 제1섬유사의 제1하단부의 아래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제1섬유사의 제2하단부 아래를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1섬유사의 제2하단부와 제3섬유사의 제2상단부 위를 지나고, 다시 제3섬유사의 제2상단부 아래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3섬유사의 제3상단부 아래에서 위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3섬유사의 제3상단부와 제1섬유사의 제3하단부 아래로 연장한 다음 우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1섬유사의 제3하단부와 제4하단부 위를 연장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1섬유사의 제4하단부와 제3섬유사의 제4상단부 아래로 연장한 다음 우측으로 휘어져 제3섬유사의 제4상단부 위로 연장하도록 하고,
제3섬유사의 제1하단부가 제1섬유사의 제1상단부 아래를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1섬유사의 제1상단부와 제2섬유사의 제1하단부 위를 지나 연장한 다음 제2섬유사의 제1하단부의 아래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제2섬유사의 제2하단부 아래를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2섬유사의 제2하단부와 제1섬유사의 제2상단부 위를 지나고, 다시 제1섬유사의 제2상단부 아래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1섬유사의 제3상단부 위를 지난 다음 다시 위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1섬유사의 제3상단부와 제2섬유사의 제3하단부 아래로 연장한 다음 다시 우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2섬유사의 제3하단부와 제4하단부 위를 연장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2섬유사의 제4하단부와 제1섬유사의 제4상단부 아래로 연장한 다음 우측으로 휘어져 제1섬유사의 제4상단부 위로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세 개의 섬유사들의 결속을 X 및 Y방향으로 반복함으로써 탄성밴드가 제작된다.
탄성밴드를 이용한 묶음수단은 화물자동차용 묶음끈, 운동용 머리띠 또는 군복바지 아랫단의 정리를 위한 고무링이고, 상기 탄성밴드를 길게 제작함으로써 형성되고, 운동용 머리띠의 경우에는 양단에 벨크로 접착수단과 같은 접착수단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고무링의 경우에는 탄성밴드를 폭이 좁도록 제작한 다음 양단을 재봉함으로써 원형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는 하나의 단일 섬유사로 제작하되 세 개의 섬유사들이 상호결합하는 기본 결속구조를 가지고, 이들 기본 결속구조를 X 및 Y방향으로 반복함으로써 최종 묶음끈이 완성되고, 상기 섬유사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의 기본 섬유사와 고무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사는 끈 형태의 고무재 둘레에 보조 섬유사를 감음으로써 형성되고, 고무사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기본 섬유사와 함께 단일 섬유사를 제조하기 때문에, 높은 팽창력을 가지게 되고, 또한 팽창시킨 상태에서 고무사와 함께 기본 섬유사가 단일 섬유사로 제작되기 때문에 기본 섬유사와 고무사의 고무재 둘레에 감긴 보조 섬유사가 고무재의 팽창을 제한하기 때문에 섬유사의 지나친 팽창을 방지하는 한편 고무사의 우수한 복원력에 의해 단일 섬유사는 장기간에 사용에 걸쳐서 항상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묶음수단의 하나로서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은 통상적인 편직기를 통해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저렴한 한편 보조 섬유사가 감긴 고무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묶음수단의 하나로서 고무링은 착용자의 다리 굵기에 상관없이 착용감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묶음수단의 하나로서 운동용 머리띠의 경우에는 비교적 두꺼운 탄성밴드를 이용하는 관계로 땀흡수율이 높으며 또한 충격에도 강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의 평면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의 (b)의 도 1의 (a)의 탄성밴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의 사용상태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면.
도 2의 (a)는 도 1의 (a)의 탄성밴드를 X 및 Y방향으로 팽창시켰을 때 섬유사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의 (b)는 섬유사의 구성과 제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섬유골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묶음수단으로서 적용한 운동용 머리띠의 전개도이고, (b)는 운동용 머리띠를 사용상태로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묶음수단으로서 적용한 고무링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의 (b)는 단성밴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 사용상태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a)에 도시된 탄성밴드를 X방향과 Y방향으로 팽창시켰을 때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탄성밴드를 구성하는 섬유사의 제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서는 눌려져 직사각형의 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100)는 인장강도가 뛰어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기본 섬유사와, 고무로 이루어진 고무사로 제작된다. 상기 고무사의 경우에는, 실형태의 고무재 둘레에 섬유사를 감아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는 편직기를 통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섬유사와 팽창시킨 상태의 고무사로 이루어지는 단일 섬유사를 편직함으로써 제작이 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X 및 Y방향으로 팽창시킨 상태에서 섬유사의 편직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섬유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100)는 하나의 섬유사를 통해 편직되지만, 편직되었을 때 기본적인 편직구조는 제1 , 제2 및 제3섬유사로 이루어진 세 개의 섬유사들(10, 20, 30)의 결합이고, 이들 세 개의 섬유사들의 결합을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가 완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구간 A-A'와 B-B'에서 세 개의 섬유사들 각각은 편직된 상태에서 하나의 "U"자와 두 개의 역 "U"자 형태를 가지고서 서로 결속되는 기본 결속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간 A-A'와 구간 B-B'에서의 기본 결속구조가 X과 Y방향으로 반복되어 최종적인 탄성밴드를 형성하게 된다.
구간 A-A'와 구간 B-B'에서 세 개의 섬유사들의 기본 결속구조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섬유사(10)가 제2 및 제3섬유사(20 및 30)와 결속하는 것을 살펴보면, 제1섬유사(10)의 제1하단부(11)는 제2섬유사(20)의 제1상단부(22) 안쪽을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2섬유사(20))와 제3섬유사(30)의 바깥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3섬유사(30)의 제1하단부(31)의 안쪽에서 수평(도면에서는 우측)으로 휘어져 제3섬유사(30)의 제2하단부(34)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3섬유사와 제2섬유사(20)의 바깥쪽을 지나고, 다시 제2섬유사(20)의 제2상단부(23)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2섬유사(20)의 제3상단부(26)의 안쪽에서 위로 휘어져 상기 제2섬유사(20)와 제3섬유사(30)의 안쪽을 지나가고, 그럼 다음 상기 제3섬유사(30)의 제3하단부(35)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3섬유사의 제4하단부(38)의 바깥쪽을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3섬유사(30)와 제2섬유사(20)의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2섬유사(20)의 제4상단부(27)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한 싸이클의 주기로 제1섬유사(20)가 도면의 수평방향으로 제2 및 제3섬유사(20, 30)와 결속된다.
다음으로, 제2섬유사(10)가 제1 및 제3섬유사(10 및 30)와 결속하는 것을 살펴보면, 제2섬유사(20)의 제1하단부(21)는 제3섬유사(30)의 제1상단부(32) 안쪽을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3섬유사(30))와 제1섬유사(10)의 바깥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1섬유사(10)의 제1하단부(11)의 안쪽에서 수평(도면에서는 우측)으로 휘어져 제1섬유사(10)의 제2하단부(14)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1섬유사(10)와 제3섬유사(30)의 바깥쪽을 지나고, 다시 제3섬유사(30)의 제2상단부(33)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3섬유사(30)의 제3상단부(36)의 안쪽에서 위로 휘어져 상기 제3섬유사(30)와 제1섬유사(10)의 안쪽을 지나가고, 그럼 다음 상기 제1섬유사(10)의 제3하단부(15)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1섬유사의 제4하단부(18)의 바깥쪽을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1섬유사(10)와 제3섬유사(30)의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3섬유사(30)의 제4상단부(37)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한 싸이클의 주기로 제2섬유사(10)가 도면의 수평방향으로 제1 및 제3섬유사(10, 30)와 결속된다.
다음 제3섬유사(30)가 제1 및 제2섬유사(10 및 20)와 결속하는 것을 살펴보면, 제3섬유사(30)의 제1하단부(31)는 제1섬유사(10)의 제1상단부(12) 안쪽을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1섬유사(10))와 제2섬유사(20)의 바깥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2섬유사(20)의 제1하단부(21)의 안쪽에서 수평(도면에서는 우측)으로 휘어져 제2섬유사(20)의 제2하단부(24)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2섬유사(20)와 제1섬유사(10)의 바깥쪽을 지나고, 다시 제1섬유사(10)의 제2상단부(13)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1섬유사(10)의 제3상단부(16)의 안쪽에서 위로 휘어져 상기 제1섬유사(10)와 제2섬유사(20)의 안쪽을 지나가고, 그런 다음 상기 제2섬유사(20)의 제3하단부(25)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2섬유사의 제4하단부(28)의 바깥쪽을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2섬유사(20)와 제1섬유사(10)의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1섬유사(10)의 제4상단부(17)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한 싸이클의 주기로 제3섬유사(30)가 도면의 수평방향으로 제2 및 제3섬유사(20, 30)와 결속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제2 및 제3섬유사들의 결속구조는 Y방향으로 동일하게 반복된다.
따라서, 상기 구간 A-A'와 구간 B-B'의 기본 결속구조를 X방향과 Y방향으로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섬유사(10, 20 및 30)들은 하나의 단일 섬유사(S)를 직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섬유사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무사 형성장치(200)에서 고무재(S2'1)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고무재 둘레로 보조 섬유사(S2'2)를 감아 고무사(S2)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섬유사 형성장치(300)에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의 섬유사(S1)와 팽창시킨 상태의 고무사(S2)를 하나의 섬유사(S) 형태로 배출하고, 이 섬유사(S)를 이용하여 편직하게 되면, 이 섬유사가 본 발명의 화물자동차용 묶음끈(100)의 기본 구성인 제1, 제2 및 제3섬유사(10, 20, 30)를 형성하게 되고, 팽창시킨 상태의 고무사가 원위치로 복원하기 때문에, 도 1의 (a)와 같이 치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사(S)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의 기본 섬유사(S1)와 팽창시킨 상태의 고무사(S2)로 제작되기 때문에 섬유사(S)로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을 제작하는 경우에 높은 신축성을 가지게 되고, 또한 기본 섬유사와 고무사의 고무재(S2'1) 둘레에 감긴 섬유사(S2'2)가 고무재의 팽창을 제한하기 때문에 섬유사(S)의 지나친 팽창을 방지하는 한편 고무재(S2'1)의 우수한 복원력에 의해 섬유사(S)는 장기간에 사용에 걸쳐서 항상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스판덱스만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판텍스의 반복된 팽창과 복원에 의해 스판덱스의 열화가 발생하여 스판덱스의 초기의 원형을 유지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무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초기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팽창된 상태의 고무사(S2)로 묶음끈을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된 묶음끈은 고무사의 복원력에 의해 도 1의 (a)와 같이 치밀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고무사는 고무사의 복원력에 의해 뭉쳐진 기본 섬유사(s1)에 의해 외부의 햇빛 등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고무사가 햇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에서, 세 개의 섬유사들이 결합하는 부분들은 묶음끈의 길이방향으로 섬유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2의 (a)에서, 하나의 섬유사 아래로 두 개의 섬유사가 지나가는 부분(50)들은 도면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1섬유골격을 형성하게 되고, 두 개의 섬유사 아래로 하나의 섬유사가 지나가는 부분(60)들은 도면 밑쪽으로 돌출하는 제2섬유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섬유골격(50, 6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100)를 묶음수단에 적용하게 되면 종래 묶음수단에 비해 높은 인장력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도 1의 (a)에 도시된 묶음끈을 X방향으로만 팽창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탄성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제1섬유골격(50)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섬유골격(50)들 사이로, 도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제1섬유골격과 반대방향으로 제2섬유골격(60)이 돌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탄성밴드는 묶음수단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묶음수단의 예는, 화물자동차의 화물칸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묶음끈이나, 운동시에 땀의 흡수를 위해 사용하는 운동용 머리띠, 또는 군복 바지 아랫단을 정리하는데 사용하는 고무링 등이다.
화물자동차의 화물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묶음끈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밴드를 필요한 길이만큼 제조하여 사용하면 된다.
운동용 머리띠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를 직사각형으로 제작한 다음에, 양단에 벨크로 접착수단과 같은 접착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군복 바지 아랫단을 정리하는데 사용하는 고무링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를 원통형으로 제작한 다음에 양단을 봉재작업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고무링이 완성되게 된다.
10 : 제1섬유사 11 : 제1섬유사의 제1하단부
12 : 제1섬유사의 제1상단부 13 : 제1섬유사의 제2상단부
14 : 제1섬유사의 제2하단부 15 : 제1섬유사의 제3하단부
16 : 제1섬유사의 제3상단부 17 : 제1섬유사의 제4상단부
18 : 제1섬유사의 제4하단부
20 : 제2섬유사 21 : 제2섬유사의 제1하단부
22 : 제2섬유사의 제1상단부 23 : 제2섬유사의 제2상단부
24 : 제2섬유사의 제2하단부 25 : 제2섬유사의 제3하단부
26 : 제2섬유사의 제3상단부 27 : 제2섬유사의 제4상단부
28 : 제2섬유사의 제4하단부
30 : 제3섬유사 31 : 제3섬유사의 제1하단부
32 : 제3섬유사의 제1상단부 33 : 제3섬유사의 제2상단부
34 : 제3섬유사의 제2하단부 35 : 제3섬유사의 제3하단부
36 : 제3섬유사의 제3상단부 37 : 제3섬유사의 제4상단부
38 : 제3섬유사의 제4하단부
50 : 제1섬유골격 60 : 제2섬유골격
100 : 화물자동차용 묶음끈 200 : 고무사 형성장치
300 : 섬유사 형성장치 S : 섬유사
S1 : 기본 섬유사 S2 : 고무사
S2'1 : 고무재 S2'2 : 보조 섬유사

Claims (7)

  1.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제작되었을 때 하나의 "U"자 옆에 두 개의 역 "U"가 결합한 구조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및 제3섬유사(10, 20, 30)들이 상호 결속되어 기본 결속구조를 형성하고, 이들 기본 결속구조를 반복시킴으로써 하나의 끈을 형성하는 탄성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섬유사(10, 20 및 30)들은 하나의 단일 섬유사(S)로 구성되고,
    상기 섬유사(S) 먼저 고무사 형성장치(200)에서 끈 형태의 고무재(S2'1) 팽창시킨 상태에서 고무재 둘레로 보조 섬유사(S2'2)를 감아 고무사(S2)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섬유사 형성장치(300)에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섬유사(S1)와 팽창시킨 상태의 고무사(S2)를 하나의 섬유사(S)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사(10)의 제1하단부(11)는 제2섬유사(20)의 제1상단부(22) 안쪽을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2섬유사(20))와 제3섬유사(30)의 바깥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3섬유사(30)의 제1하단부(31)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3섬유사(30)의 제2하단부(34)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3섬유사와 제2섬유사(20)의 바깥쪽을 지나고, 다시 제2섬유사(20)의 제2상단부(23)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2섬유사(20)의 제3상단부(26)의 안쪽에서 위로 휘어져 상기 제2섬유사(20)와 제3섬유사(30)의 안쪽을 지나가고, 그럼 다음 상기 제3섬유사(30)의 제3하단부(35)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3섬유사의 제4하단부(38)의 바깥쪽을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3섬유사(30)와 제2섬유사(20)의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2섬유사(20)의 제4상단부(27)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섬유사(20)의 제1하단부(21)는 제3섬유사(30)의 제1상단부(32) 안쪽을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3섬유사(30))와 제1섬유사(10)의 바깥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1섬유사(10)의 제1하단부(11)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1섬유사(10)의 제2하단부(14)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1섬유사(10)와 제3섬유사(30)의 바깥쪽을 지나고, 다시 제3섬유사(30)의 제2상단부(33)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3섬유사(30)의 제3상단부(36)의 안쪽에서 위로 휘어져 상기 제3섬유사(30)와 제1섬유사(10)의 안쪽을 지나가고, 그럼 다음 상기 제1섬유사(10)의 제3하단부(15)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1섬유사의 제4하단부(18)의 바깥쪽을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1섬유사(10)와 제3섬유사(30)의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3섬유사(30)의 제4상단부(37)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3섬유사(30)의 제1하단부(31)는 제1섬유사(10)의 제1상단부(12) 안쪽을 지나 위로 휘어져서 제1섬유사(10))와 제2섬유사(20)의 바깥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2섬유사(20)의 제1하단부(21)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2섬유사(20)의 제2하단부(24)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2섬유사(20)와 제1섬유사(10)의 바깥쪽을 지나고, 다시 제1섬유사(10)의 제2상단부(13)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한 다음 제1섬유사(10)의 제3상단부(16)의 안쪽에서 위로 휘어져 상기 제1섬유사(10)와 제2섬유사(20)의 안쪽을 지나가고, 그런 다음 상기 제2섬유사(20)의 제3하단부(25)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제2섬유사의 제4하단부(28)의 바깥쪽을 지난 다음 다시 아래로 휘어져 제2섬유사(20)와 제1섬유사(10)의 안쪽을 지나고, 그런 다음 제1섬유사(10)의 제4상단부(17)의 바깥쪽에서 수평으로 휘어져 연장하는 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섬유사들(10, 20 및 30)들의 기본 결속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사(10)의 결속단계와, 제2섬유사(20)의 결속단계와, 제3섬유사(30)의 결속단계로 이루어지는 기본 결속구조를 X 및 Y방향으로 반복함으로써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섬유사 아래로 두 개의 섬유사가 지나가는 부분들은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섬유골격(50)을 형성하게 되고, 두 개의 섬유사 아래로 하나의 섬유사가 지나가는 부분들은 상기 화물자동차용 묶음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일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섬유골격(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
  5. 삭제
  6. 제4항에 따른 탄성밴드를 사용하는 묶음수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수단은 화물자동차용 묶음끈, 운동용 머리띠 또는 군복바지 아랫단을 정리하는데 사용하는 고무링이고, 상기 운동용 머리띠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한 다음 양단에 벨크로 접착수단을 부착하고, 상기 고무링은 원통형으로 제작한 다음 양단을 봉재작업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를 사용하는 묶음수단.
KR1020110060943A 2010-06-23 2011-06-23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KR10126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9507 2010-06-23
KR1020100059507 201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70A KR20110139670A (ko) 2011-12-29
KR101269373B1 true KR101269373B1 (ko) 2013-05-29

Family

ID=4550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943A KR101269373B1 (ko) 2010-06-23 2011-06-23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733B1 (ko) 2014-02-04 2015-09-21 이양종 탄성밴드 제작방법
KR20190018806A (ko) 2017-08-16 2019-02-26 김소형 군인용 고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78B1 (ko) * 2012-10-29 2013-10-04 이양종 탄성밴드
KR101340711B1 (ko) * 2012-10-30 2013-12-12 이진희 편직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머리끈용 탄성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400A (en) 1976-09-13 1977-09-13 Thorneburg Hosiery Mill, Inc. Moisture absorbent band
US5823012A (en) 1996-11-20 1998-10-20 Pine Hosiery Mills, Inc. Jacquard knit patterned wristband and headband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1173755A (ja) * 1999-12-20 2001-06-2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樹脂歯車用補強繊維基材及び樹脂歯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400A (en) 1976-09-13 1977-09-13 Thorneburg Hosiery Mill, Inc. Moisture absorbent band
US5823012A (en) 1996-11-20 1998-10-20 Pine Hosiery Mills, Inc. Jacquard knit patterned wristband and headband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1173755A (ja) * 1999-12-20 2001-06-2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樹脂歯車用補強繊維基材及び樹脂歯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733B1 (ko) 2014-02-04 2015-09-21 이양종 탄성밴드 제작방법
KR20190018806A (ko) 2017-08-16 2019-02-26 김소형 군인용 고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70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373B1 (ko)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US10132015B2 (en) Non-kinking wrappable knit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EP3080368B1 (en) Security devices and straps therefor
JPS608537A (ja) 落下保護装置用緩衝器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JP2005281923A (ja) 衝撃吸収ロープ
JP4927821B2 (ja) 帯紐ベルト
WO2019012971A1 (ja) マスク用耳ゴム及びマスク
US4515254A (en) Device for damping impact load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008547A1 (ja) タイヤ用補強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KR101554733B1 (ko) 탄성밴드 제작방법
JP2016539303A5 (ko)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US9644700B2 (en) Energy-absorbing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JP2018020833A (ja) 土嚢袋
KR2016006194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WO2014200015A1 (ja) 繊維強化樹脂部材
JP3613796B2 (ja) 高所作業用の安全帯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WO2018061734A1 (ja) 防舷材用保護部材及び空気式防舷材
US20120125473A1 (en) Dual layer twill fabric for conveyor belt applications
KR20180000411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825806B1 (ko) 엘라스틱 일체형 충격흡수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