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374Y1 - 개방형 클램프 - Google Patents

개방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374Y1
KR200282374Y1 KR2020020012134U KR20020012134U KR200282374Y1 KR 200282374 Y1 KR200282374 Y1 KR 200282374Y1 KR 2020020012134 U KR2020020012134 U KR 2020020012134U KR 20020012134 U KR20020012134 U KR 20020012134U KR 200282374 Y1 KR200282374 Y1 KR 200282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eald
fastened
fixing frame
ope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20020012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374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분사직기에서 직물을 짤 때 경사(날실)가 끼워져 있는 종광을 지탱하는 종광틀(heald frame)을 개구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개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속운전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된 클램프를 공기분사직기의 운전을 장시간 정지시키지 않고 손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효율저하와 품질의 결함은 물론 주변부품의 보수비용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즉, 종광틀에 구비되며 클램프가 체결, 고정되도록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11)이 구비된 고정틀(10)과,
탄성을 가지며 일측에 각각 상기 고정틀(10)에 형성된 요홈(11)에 체결 가능하도록 돌기(21a)(21b)가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가 체결되어 지고 일측에 너트부(22a)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22)와 잭레버가 삽입 결합되는 공간부(23)로 된 클램프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형 클램프{Open type cramper}
본 고안은 개방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분사직기에서 직물을 짤 때 경사(날실)가 끼워져 있는 종광을 지탱하는 종광틀(heald frame)을 개구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개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속운전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된 클램프를 공기분사직기의 운전을 장시간 정지시키지 않고 손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효율저하와 품질의 결함은 물론 주변부품의 보수비용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분사직기는 도 1에서 도 4까지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에 형성된 캠(1)에 의하여 캠레버(2)를 작동시키면 일측은 캠레버(2)에 일측은 스프링(4)이 체결되어 있는 잭레버(5)에 체결되어 있는 종광틀(6)에 클램프(7)로 연결되는 로프(3)가 캠레버(2)의 작동에 따라 장치중 하나인 개구장치에 형성된 종광에 경사(날실)를 한올 한올 끼운 후 종광을 지탱하고 있는 종광틀(6)을 조직에 맞추어 상,하운동시 킨 후 상,하운동하는 종광틀(6) 사이로 위사(씨실)를 집어넣어서 종광틀(6)을 서로 교차시키면서 직물을 짜게 되는 것이다.
공기분사직기는 연중무휴로 계속하여 고속운전(약600~800rpm)으로 하중이 있는 종광틀을 상하로 운동하면서 가동되어 진다.
이때, 상,하운동하는 종광틀 사이로 위사(씨실)를 삽입시켜 종광틀을 서로교차시켜 직물을 짤 때 인접된 종광틀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하운동을 하면서 종광틀이 마찰되면서 종광틀에서 가장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가 마모되거나 변형되어 파손된다.
상기와 같이 파손된 클램프를 교환할 때 종래에는 가동 중에 있는 직기를 정지시 킨 후 개구장치와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과 로프를 분리한 다음 클램프를 떼어내고 새로운 클램프로 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클램프를 교환하고자 하면 스프링과 로프 등의 기기를 전체적으로 분해한 후 클램프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교체기간동안 기기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함으로 클램프가 마모 또는 변형 파손되어 있음을 발견하고서도 곧바로 교환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로 기기를 무리하게 작동시키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기기를 무리하게 작동시키면 기기에 많은 응력이 발생되어 기기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생산되는 제품의 불량률 또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고안 개방형 클램프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기분사직기에서 직물을 짤 때 경사(날실)가 끼워져 있는 종광을 지탱하는 종광틀(heald frame)을 개구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개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속운전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된 클램프를 공기분사직기의 운전을 장시간 정지시키지 않고 손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효율저하와 품질의 결함은 물론 주변부품의 보수비용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있는 개방형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공기분사직기를 나타낸 계략도,
도 2는 종래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클램프가 종광틀 및 잭레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 는 잭레버에 체결되는 스프링이 결합됨을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클램플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 2 : 캠레버
3 : 로프 4 : 스프링
5 : 잭레버 6 : 종광틀
7 : 클램프
10 : 고정틀 11 : 요홈
20 : 클램프부 21 : 몸체
21a,21b : 돌기 22 : 결합부재
22a : 너트부 23 : 공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개방형 클램프는 종광틀에 구비되며 클램프가 체결, 고정되도록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이 구비된 고정틀과, 탄성을 가지며 일측에 각각 상기 고정틀에 형성된 요홈에 체결 가능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체결되어 지고 일측에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잭레버가 삽입 결합되는 공간부로 된 클램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 개방형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클램프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두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우선 종광틀에 구비되며 클램프가 체결되는 고정틀(10)과, 상기 고정틀(10)에 체결되어 종광틀과 잭레버를 연결하는 클램프부(2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고정틀(10)은 클램프가 체결 고정되도록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부(20)는 탄성이 있으며 일측에 각각 상기 고정틀(10)에 형성된 요홈(11)에 체결 가능하도록 돌기(21a)(21b)가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가 체결되어 지고 일측에 너트부(22a)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22)와 잭레버가 삽입 결합되는 공간부(23)로 구성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 개방형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광틀에 구비된 고정틀(10)에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하여 우선 탄성을 갖되, 결합부재(22)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돌기(21a)(21b)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21)를 고정틀(10)의 폭보다 조금 넓게 늘린 후 상기 고정틀(10)에 끼워서 체결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21)의 일측에 구비된 돌기(21a)(21b)는 상기 고정틀(10)의 일측에 구비된 요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21)의 또 다른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22)와 고정틀(10) 사이의 공간부(23)에 잭레버(5)의 하부를 삽입한 후 상기 결합부재(22) 일측에 형성된 너트부(22a)를 통하여 볼트로서 체결하여 종광틀(5)과 잭레버(5)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개방형 클램프는 공기분사직기에서 직물을 짤 때 경사(날실)가 끼워져 있는 종광을 지탱하는 종광틀(heald frame)을 개구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개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속운전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된 클램프를 공기분사직기의 운전을 장시간 정지시키지 않고 손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효율저하와 품질의 결함은 물론 주변부품의 보수비용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것이다.

Claims (1)

  1. 공기분사직기에서 경사(날실)가 끼워져 있는 종광을 지탱하는 종광틀(heald frame)을 개구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종광틀에 구비되며 클램프가 체결, 고정되도록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11)이 구비된 고정틀(10)과,
    탄성력을 가지며 일측에 각각 상기 고정틀(10)에 형성된 요홈(11)에 체결 가능하도록 돌기(21a)(21b)가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가 체결되어 지고 일측에 너트부(22a)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22)와 잭레버가 삽입 결합되는 공간부(23)로 된 클램프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클램프.
KR2020020012134U 2002-04-22 2002-04-22 개방형 클램프 KR200282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34U KR200282374Y1 (ko) 2002-04-22 2002-04-22 개방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34U KR200282374Y1 (ko) 2002-04-22 2002-04-22 개방형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374Y1 true KR200282374Y1 (ko) 2002-07-22

Family

ID=7312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34U KR200282374Y1 (ko) 2002-04-22 2002-04-22 개방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3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554B2 (en) Heddle damping system
KR200282374Y1 (ko) 개방형 클램프
RU2071514C1 (ru) Бесчелноч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EP0792961B1 (en) Giver gripper for a gripper loom
EP0072449B1 (en) Heald assembly of loom
KR200444432Y1 (ko) 바이어스 직물 제직용 에어제트직기
KR100514551B1 (ko) 경사 직기
KR200204929Y1 (ko) 직기의 종광틀 사이드 프레임
US4076053A (en) Means guiding the straps of the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US6039087A (en) Reed assembly
US6167918B1 (en) Gripper system for gripper loom
KR20090037727A (ko) 자카드 직기용 종광
US4635685A (en) Detachable bifurcated center brace loom harness
CN211339878U (zh) 一种塑料篷布编织机打纬机构
CN211471718U (zh) 一种用于综框的止退型中间支撑装置
JPH0223612B2 (ko)
CN215103789U (zh) 一种剑杆织机综框的侧挡结构
CN111350004A (zh) 可拆式综框
CN214529479U (zh) 一种新型剑杆筘
CN218203285U (zh) 一种喷气织机综框结构
KR200282388Y1 (ko) 직기용 바템플
CN206858731U (zh) 织机综框侧档机构
KR200244714Y1 (ko) 고속직기용 판형종광의 눈
CN204939760U (zh) 一种纱织物的张力机构
JPH01146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