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551B1 - 경사 직기 - Google Patents

경사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551B1
KR100514551B1 KR10-2003-0053590A KR20030053590A KR100514551B1 KR 100514551 B1 KR100514551 B1 KR 100514551B1 KR 20030053590 A KR20030053590 A KR 20030053590A KR 100514551 B1 KR100514551 B1 KR 10051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ension spring
warp loom
loom accord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387A (ko
Inventor
회네한스-위르겐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1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16Warp beams; Bearings therefor
    • D04B27/20Warp beam dri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직조영역, 방적사 공급영역, 상기 직조영역과, 각각의 방적사에 대해 인장 스프링(15)이 안내부(17)와 함께 배치된 상기 방적사 공급영역 사이의 방적사 인장부를 구비한 경사(經絲) 직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경사 직기는 고속에서도 개선된 패턴뜨기를 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경사 직기{Warp 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직조영역, 방적사 공급영역, 상기 직조영역과, 각각의 방적사에 대해 인장 스프링이 안내부와 함께 배치된 상기 방적사 공급영역 사이의 방적사 인장부를 구비한 경사(經絲) 직기에 관한 것이다.
경사 직기에서, 방적사 소비는 동작시간 동안 동일하지 않다. 이러한 직기의 운동에 기초하여, 방적사 수요는 각각의 직조주기에서 변동하여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방적사가 풀리는 경사빔(warp beam)은 가능한한 균일하게 회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적사 수요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방적사 공급영역과 상기 직조영역 사이의 경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조준선이 존재한다. 이와같이, 상기 방적사 소비의 변동이 균등해진다.
패턴을 뜰 수 있는 경사 직기에서, 상기 해결안은 반드시 적합한 것만은 아니다. 여기서, 모든 방적사는 더 이상 동일한 소비변동에 기초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방적사는 더 이상 동일한 형태로 취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각각의 방적사에 대해 단일의 인장 스프링이 안내부와 함께 배치됨으로써, 방적사 소비의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서 각각의 방적사는 개별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은 강철로 이루어진 엽상(葉狀)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경사 직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에 문제점을 유발한다.
현재 사용되는 강철로 이루어진 엽상 스프링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유주파수를 갖는 0.6㎟의 횡단면으로 구비됨으로써, 직기의 운동을 제어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8㎟의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갖는 엽상 스프링을 선택할 경우, 상기 엽상 스프링의 고유 주파수는 충분히 높다. 이러한 종류의 스프링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경로에서의 방적사 인장은 매우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제어불가한 운동 및, 매우 높은 방적사 인장으로 인해, 깨끗하지 않은 편물 형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높은 동작속도로 패턴뜨기를 할 수 있는 경사 직기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경사 직기에 의해 달성되며, 인장 스프링은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동작속도에서 상기 경사 직기의 구동에 필요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고유 주파수는 충분히 높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프링은 상대적으로 높은 감쇠부를 구비한다. 이는, 패턴 또는 물질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진동이 최종적으로 발생했을 경우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기 스프링을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때, 상기 스프링의 고유 주파수와 감쇠작용을 제어하기 위해서 플라스틱을 선택하고 섬유보강재를 선택함으로써, 부가적인 파라미터(parameter)들을 확보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스프링의 치수 파라미터들도 존재한다.
상기 플라스틱은 전도성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의 전도성은 무엇보다도, 상기 방적사를 상기 안내부를 통해 순환할 때 형성할 수 있거나 상기 방적사와 함께 유입되는 정전하를 유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에도 유도 가능성이 존재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은 탄소섬유로 보강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는 두 가지 과제를 갖는다. 즉, 상기 탄소섬유는, 한편으로는, 상기 스프링의 보강에 기계적으로 작용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탄소섬유는 전기부하를 유도하기 위한 전도체로 사용된다. 탄소섬유 보강된 플라스틱(CFK)으로 이루어진 인장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경사 직기에서 CFK로 이루어진 인장 스프링이 개선된 패턴뜨기를 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안내부는, 전도성을 띠면서 상기 인장 스프링에 연결된 아일릿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전기를 상기 방적사로부터 상기 아일릿을 지나 상기 인장 스프링으로 이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전기의 유출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아일릿과 상기 인장 스프링은 플라스틱과 공동으로 분사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아일릿을 상기 인장 스프링에 고정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아일릿이,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접착하여, 상기 인장 스프링에 고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라스틱은 매우 얇아서 상기 인장 스프링의 기계적 특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아무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원하는 고유 주파수와 상기 원하는 감쇠작용과 관련하여 치수 및 사용된 물질에 의해 전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경사 직기의 구동 주파수의 적어도 1.8배에 해당하는 고유 주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0 분당 회전수(r.p.m.)의 동작속도를 갖는 경사 직기의 경우, 이는 20Hz의 주파수에 해당한다. 물론, 경사 직기의 중심 회전축이 회전할 때, 직기에서 서로 다른 속도가 발생하며 방적사 운동 및 방적사 인장 스프링에서도 서로 다른 속도가 발생한다. 전술한 예에서 20Hz인 상기 경사 직기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고유 주파수가 일치되어야하는 조건을 전제로 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의 고유 주파수가 상기 구동 주파수의 적어도 1.8배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인장 스프링은 만족할만한 특성을 얻게 된다. 상기 전술한 예에서, 이는 적어도 36Hz가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장 스프링은 100% 진동의 활성화 후 5초 이내에 상기 진동보다 10% 적은 감쇠작용이 발생하는 감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5초 후에 상대적으로 미약한 잔여 진동이 존재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이 진동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감쇠된다. 지금까지 사용된 강철로 이루어진 인장 스프링에서, 이외의 동일한 조건하에서, 일반적으로, 30% 이상의 잔여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은 적어도 30㎜의 저장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적사 소비시 상기 경사빔으로부터 방적사가 균일하게 풀리도록, 방적사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경로는 훨씬 더 큰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장 스프링은 35cN 이하의 저장경로에 대한 가동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을 적어도 30mm의 상기 저장경로를 경유하여 조종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동력이 반드시 35cN 이상이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힘은 0.6㎟의 횡단면을 구비한 강철 스프링의 힘의 크기 배치에 따라 좌우되며, 0.8㎟의 횡단면을 구비한 강철 스프링에서의 해당 스프링 힘과 같은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상기 인장 스프링의 충분히 높은 고유 주파수가 미약한 가동력과 결합된다.
다수의 인장 스프링은 세그먼트(segment)로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직기에서, 일반적으로, 수천 개의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인장 스프링의 상기 세그먼트로의 통합은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다수의 인장 스프링이 나란히 끼워지는 두 개의 인장 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세그먼트는 단일의 인장 스프링을 교체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한다. 인장 스프링이 파손될 경우, 상기 전체 세그먼트의 상태에는 결함이 없다. 오히려, 상기 세그먼트를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인장 턱 사이에 끼워진 단부 영역에 쿠션(cushion)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단일 인장 스프링의 고정력이 상기 세그먼트에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쿠션은 나란히 세그먼트에 배치된 다수의 인장 스프링에서 소정의 공차 보상(tolerance compensation)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고정력으로 인해, 상기 각각의 인장 스프링을 상기 세그먼트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인장 턱 사이에서 고정위치로 이전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파손 위험은 적어진다.
상기 쿠션은 상기 인장 턱 내부에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양방향에서 상기 인장 턱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진동한다. 이러한 접촉은, 상기 인장 스프링이 작동하지 않는 측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은, 인장 턱 내의 돌출부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장 스프링을 상기 인장 턱에 고정하는 고정력이 향상된다. 상기 고정력은 순수한 고정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인장 스프링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턱 사이의 형태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인장 턱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나란히 맞춰진 삽입 형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인장 턱은 고정력에 의해 서로 맞대어 위치될 뿐만 아니라 형태단부에 의해 이동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서로 보호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인장 스프링과 함께 주형으로 만들어지는 고정체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한편으로는 상기 인장 스프링용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체용으로 서로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세번째 대안으로서, 상기 세그먼트는 기본 본체 및 다수의 인장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우선, 상기 기본 본체 영역의 횡단면은 추후 형성될 인장 스프링 영역에서보다 큰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인장 스프링은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톱질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부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경사 직기는 직조-동작영역(1)을 구비한다. 상기 직조-동작영역(1)에는 방적사(2, 3)가 경사빔(warp beam)(4, 5)으로부터 공급되고, 완성된 편물(6)이 상기 직조-동작영역(1)으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경사 직기는 바늘(8)을 구비한 바(bar)(7)와, 바늘(10)을 구비한 바(9)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빔(4)과 상기 바늘(8) 사이에서 상기 방적사(2)는, 고정설치된 편향 로드(11)를 지나고, 상기 방적사가 마찬가지로 편향되는 방적사 인장부(12)를 지나서 안내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경사빔(5)과 상기 바(10) 사이에는 고정설치된 편향 로드(13)가 배치되며, 상기 편향 로드(13)에는 방적사 인장부(14)가 수반된다. 상기 두 개의 방적사 인장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 상기 방적사 인장부(12)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방적사 인장부(12)는 방적사(2) 각각에 대해 인장 스프링(15)을 구비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튜브(16)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16)는 상기 경사 직기의 폭으로 신장된다. 기계적 조건으로서, 상기 인장 스프링이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로드는 포개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방적사의 정점에는, 안내부로 사용되는 아일릿(eyelet)(17)이 배치된다. 상기 아일릿(17)에 의해 방적사(2)의 뭉치의 방적사가 안내된다.
상기 아일릿(17)은 아일릿부(18)에 형성된다. 상기 아일릿부(18)는 접착에 의해 상기 스프링(15)에 고정된다. 상기 아일릿부(18)와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공동의 플라스틱 덮개(cover)를 구비할 수도 있어서, 상기 아일릿부(18)는 상기 인장 스프링(15)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아일릿부(18)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므로 전도성을 띤다. 상기 아일릿부(18)와 상기 인장 스프링(15)간의 연결도 전도성을 띤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탄소섬유 보강된 플라스틱(CFK)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그에 상응하여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띤다.
화살표(1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장 스프링(12, 14)에 배치된 아일릿(17)은 부분적으로 상승된 경로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15)이 변형된다. "저장경로"로 특징지워지는 경로는 반드시 40mm 크기의 길이를 구비한다.
상기 탄소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을 상기 인장 스프링(15)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 사용함으로써, 가동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의 0.96㎟의 횡단면에서, 상기 아일릿(17)을 40mm의 상기 저장경로를 경유하여 운동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힘은 대략 30cN이다.
탄소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상대적으로 높은 고유 진동수를 갖는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이 0.96㎟의 횡단면을 구비하는 예에서, 상기 고유 진동수는 대략 41Hz이다. 또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상대적으로 큰 고유 감쇠부를 구비한다. 활성화된 진동의 감쇠부가 동작시간 동안 사용될 경우, 100% (전술한 경우에서는 ±4mm) 진동의 활성화후 5초 이내에 6.5% 잔여 진동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활성화후 상대적으로 빨리 진동하는 것을 중지한다.
상기 값을 강철로 이루어진 인장 스프링과 비교할 경우, 0.6㎟의 횡단면을 구비한, 강철로 이루어진 인장 스프링은 매우 낮은 고유 진동수를 갖는다. 상기 고유 진동수는 대략 23Hz이다. 5초 후에 이러한 종류의 스프링은 여전히 40% 잔여 진동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가동력은 상기 인장로를 지나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상기 가동력은 탄소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의 가동력 이하이며, 대략 27cN이다. 예를 들어, 0.8㎟의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구비한 강철 스프링을 선택할 경우, 상기 고유 진동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즉, 33Hz일 것이다. 상기 감쇠부는 또한, 보다 강해질 것이다. 5초 후에 단지 31% 잔여 진동이 발생한다. 물론, 상기 저장경로를 경유한 가동력은 매우 높다. 상기 가동력은 대략 60cN이다. 이는, 매우 높은 방적사 인장과 동시에 방적사 지연을 유발할 수 있다.
탄소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을 상기 인장 스프링(15)의 물질로 선택함으로써, 매우 높은 고유 진동수가 발생하고, 매우 미약한 잔여 진동으로 유도하는 매우 강한 감쇠작용이 유발된다. 상기 저장경로를 경유한 가동력은, 지금까지 사용된 바와 같은 0.6㎟의 횡단면을 구비한 강철 스프링의 크기 배치에 따라 좌우된다.
약간 빨리 진행되는 직기는 1200 분당 회전수(r.p.m.)의 동작속도로 동작한다. 이는 20Hz의 진동수에 해당한다. 물론, 직기의 중심 회전축의 회전시, 직기 및 방적사 운동의 서로 다른 속도가 발생하며, 이러한 속도는 상기 인장 스프링(15)의 서로 다른 운동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의 진동수는 20Hz이 아니고 더 높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의 고유 진동수가 상기 직기의 동작 진동수의 적어도 1.8배로 정해질 경우,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술한 경우에서, 상기 고유 진동수는 상기 동작 진동수의 2배 이상에 해당한다.
경사 직기에는 수천 개의 인장 스프링(15)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인장 스프링(15)이 세그먼트로 통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세그먼트의 제1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단부에 상기 아일릿부(18)를 구비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두 개의 인장 턱(20, 21) 사이의 또다른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인장 턱(20, 21)은 고정나사(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 인장 턱(20)은, 상기 하부 인장 턱에서 리세스(33)로 삽입되는 돌기(23)을 구비한다. 상기 두 개의 인장 턱(20, 21)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23)는 상기 인장 스프링(15)의 고정부로 사용된다.
쿠션(cushion)(24)을 사용함으로써, 인접한 인장 스프링(15)간에 발생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차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쿠션(24)은 적은 범위로압축될 수 있다.
상기 쿠션(24)은, 상기 인장 턱(20)에서 보링(26)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돌기(25)를 구비한다. 이와같이, 상기 쿠션(24)은 상기 인장 턱(20)에 연결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인장 턱(20, 21)은, 도 3에 도시된 세그먼트를 사각 로드(16)에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가 안내될 수 있는 연속적인 개구부(27)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인장 스프링(15)의 파손시 상기 인장 스프링(15)이 교체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전체 세그먼트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상기 두 개의 인장 턱(20, 21)을 서로 해체할 수 있고 상기 결함있는 인장 스프링(15)을 새로운 인장 스프링(15)에 의해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15)과 상기 인장 턱(21)간의 이전은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띠므로, 방적사(2, 3)를 지나 상기 아일릿(17)과 상기 아일릿부(18)로 이전되는 정전하가 유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동일하고 서로 상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여기서, 인장 스프링(15)은, 세그먼트의 상기 방적사 인장 스프링(15)이 삽입되는 고정체(29)를 구비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체(29)는 상기 인장 스프링(15)와 함께 주형으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납으로 만들어진다. 전도성 플라스틱은 주형에 사용될 수 있어서, 연속적이고 전도성의 아일릿(17)의 경로는 직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개략적으로 볼 때, 도 6에는 아일릿부(18) 근처의 아일릿(17)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는 추후에도 확인될 수 없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세그먼트의 인장 스프링(15)은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기본 본체(30)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플레이트 단부에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후 상기 기본 본체(30)를 형성하는 경화부(31)가 구비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얇은 영역(32)으로부터 절단되는데, 예를 들어, 물줄기 분할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동작속도로 패턴뜨기를 할 수 있는 경사 직기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경사 직기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 스프링-세그먼트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측면도,
도 3은 상기 인장 스프링-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 스프링-세그먼트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해당하는 상기 인장 스프링-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장 스프링-세그먼트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해당하는 상기 인장 스프링-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Claims (17)

  1. 직조영역, 방적사 공급영역, 상기 직조영역과, 각각의 방적사에 대해 인장 스프링이 안내부와 함께 배치된 상기 방적사 공급영역 사이의 방적사 인장부를 구비한 경사(經絲) 직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인장 스프링(15)은 세그먼트(segment)로 통합되며,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다수의 인장 스프링(15)이 나란히 끼워지는 두 개의 인장 턱(20, 21)을 구비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상기 인장 턱(20, 21) 사이에 끼워진 단부 영역에 쿠션(cushion)(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전도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탄소섬유로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전도성을 띠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에 연결된 아일릿(17)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5. 제4항에 있어서, 아일릿(18)과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플라스틱과 공동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상기 경사 직기의 구동 진동수의 적어도 1.8배에 해당하는 고유 진동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100% 진동의 활성화(Anregung)후 5초 이내에 상기 진동보다 10% 적은 감쇠작용이 발생하는 감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적어도 30㎜의 저장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35cN 이하의 저장경로에 대한 가동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24)은 상기 인장 턱(20, 21) 내부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15)은 상기 인장 턱(20) 내의 돌출부(26)에 삽입되는 돌기(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턱(20, 21)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23)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3)를 갖는, 나란히 맞춰진 삽입 형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인장 스프링(15)과 함께 주형으로 만들어지는 고정체(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기본 본체(30) 및 다수의 인장 스프링(15)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KR10-2003-0053590A 2002-08-16 2003-08-02 경사 직기 KR100514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7510.0 2002-08-16
DE10237510 2002-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387A KR20040016387A (ko) 2004-02-21
KR100514551B1 true KR100514551B1 (ko) 2005-09-13

Family

ID=3417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590A KR100514551B1 (ko) 2002-08-16 2003-08-02 경사 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514551B1 (ko)
CN (1) CN1320187C (ko)
ES (1) ES2241452A1 (ko)
IT (1) ITTO20030637A1 (ko)
TW (1) TWI231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3802B3 (de) * 2004-05-13 2005-12-22 Liba-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Bauelementen aus Kunststoffmaterial
CN102021739B (zh) * 2009-09-17 2012-11-28 卡尔迈尔纺织机械制造有限公司 纱线张力部件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164747A (zh) * 2013-05-16 2014-11-26 蔡金成 一种新型碳纤维张力片组建装置
ES2712737T3 (es) * 2016-05-04 2019-05-14 Groz Beckert Kg Módulo de herramienta textil y máquina textil con un módulo de herramienta textil
CN107805877A (zh) * 2017-11-02 2018-03-16 长乐万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弹力片积极送纱装置及纺织机
CN110079931B (zh) * 2019-06-04 2024-06-21 泉州鹏太机械有限公司 一种经编机纱架纱路张力调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1908A1 (en) * 1970-12-16 1972-06-22 Liebrandt, Karl, 8674 Naila Warp knitting - a unit to achieve constant tension during varying stitch lengths while patterning
CN1009299B (zh) * 1985-04-17 1990-08-22 苏州试验仪器厂 可变升程的凸轮机构
DE4439907C2 (de) * 1994-11-08 1997-04-10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einem Fadenspeicher in der Wirkfadenzuführung
DE19605117C2 (de) * 1996-02-12 2001-02-01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DE19938872A1 (de) * 1999-08-17 2001-02-22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Fadenschar-Umlenkvorrichtung
DE19958352C2 (de) * 1999-12-03 2003-12-04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Fadenschar-Spannungsausgleichsvorrichtung
DE10016393B4 (de) * 2000-04-01 2004-07-15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DE20111860U1 (de) * 2001-07-18 2001-09-27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387A (ko) 2004-02-21
TWI231324B (en) 2005-04-21
ITTO20030637A1 (it) 2004-02-17
TW200407477A (en) 2004-05-16
ES2241452A1 (es) 2005-10-16
CN1487135A (zh) 2004-04-07
CN1320187C (zh)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624B1 (ko)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JP3560994B2 (ja) 織機用のよこ糸選択給送装置
JPH0319932A (ja) 導糸要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14551B1 (ko) 경사 직기
JP3568900B2 (ja) からみ織物を製造するための織機
JP4840735B2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経糸張力調整装置
US6957671B2 (en) Device for creating a gauze fabric
JPH03227429A (ja) 筬の駆動装置
ATE356236T1 (de) Nadelwebmaschine mit automatischem wechsel des schussfadens
KR200248984Y1 (ko) 직기용 종광
JP4242031B2 (ja) 補強用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102084047A (zh) 用于张紧织机绞综丝装置的纱罗线的装置
US11047074B2 (en) Weav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weaving method
CN1724732A (zh) 梭口形成机构、三位织造系统及配备该系统的织机
JP2001303384A (ja) ヘルド及び同ヘルドを使った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
US4467841A (en) Clamping jaw arrangement of a thread clamp for textile yarns or the like
KR20230078362A (ko) 편직기용 꽈배기 텐션장치
EP0808926B1 (en) Warp yarn guiding roller of composite material for looms
KR102523106B1 (ko)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Veyet et al. 3D weaving process adapted for natural and high performance fibres
CN102202995A (zh) 纱线制动器及使用纱线制动器的方法
JPH10130994A (ja) レピア織機用キャリアテープ及び繊維構造体
KR100385717B1 (ko) 리본직기
JP2004156189A (ja) 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及び強化繊維織物
SU903402A1 (ru) Тормоз уточной нити к бесчелночному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