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624B1 -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624B1
KR100461624B1 KR10-2002-0024358A KR20020024358A KR100461624B1 KR 100461624 B1 KR100461624 B1 KR 100461624B1 KR 20020024358 A KR20020024358 A KR 20020024358A KR 100461624 B1 KR100461624 B1 KR 10046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warp knitting
retaining member
machine according
tension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517A (ko
Inventor
크레시미르미스타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의해 변위 방향(6)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는 다수의 얀 가이드(4)가 마련된 패턴 가이드 바(1)를 구비하고, 구동 장치가 인장 요소(7)를 경유하여 얀 가이드(4)에 작용하는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얀 가이드(4)의 이동을 신뢰성이 있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를 위해, 각각의 얀 가이드(4)는 대략 변위 방향(6)으로 연장되는 유지 부재(17)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17)는 샤프트(14)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그 샤프트(14)와 강성 결합되되, 유지 부재(17)가 인장 요소(7)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A PATTERN GUIDE BAR}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의해 변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는 다수의 얀 가이드(yarn guide)가 마련된 패턴 가이드 바(pattern guide bar)를 구비하고, 구동 장치가 인장 요소를 경유하여 얀 가이드에 작용하는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유형의 경편기는 DE 41 14 012 C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 경편기에서는 얀 가이드가 인장 케이블에 의해 구동 모터와 연결된다. 얀 가이드는 힌지에 의해 바 캐리지(bar carriage)에 매달린다. 따라서, 인장 케이블의 이동은 얀 가이드의 선회 이동으로 전환된다. 추가로, 얀 가이드의 단부의 선회 각을 한정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데, 얀 가이드의 단부에는 가이드 루프(guide loop)가 배치된다. 그 단부가 스토퍼에 맞닿게 되면, 얀 가이드의 제2 레버가 변형될 수 있다.
DE 24 36 452 B1은 위사 공급 장치(weft thread feeding apparatus)를 구비한 경편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 경편기에서는 중공 니들(hollow needle)로서 형성된 얀 가이드가 서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블록에 고정된다. 블록이 서로 슬라이딩되면, 얀 가이드의 군(group)도 역시 서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후자의 특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동작이 둔한 구조를 감수해야 하기는 하지만 얀 가이드의 이동을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있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에, 전자의 특허의 경우에는 얀 가이드가 진동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얀 가이드의 이동을 신뢰성이 있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구동 측 및 텐션 측을 구비한 패턴 가이드 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8개의 얀 가이드를 구비한 패턴 가이드 바의 확대도,
도 3은 얀 가이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이중 바의 횡단면도,
도 6은 구동 장치와 인장 요소간의 커플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8개의 얀 가이드로 된 얀 가이드 군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얀 가이드의 선택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a는 유지 부재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9는 경편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얀 가이드
5, 5a, 5b : 바 캐리지
6 : 변위 방향
7 : 인장 요소
14, 14a, 14b, 114 : 샤프트
17, 17a, 17b, 117 : 유지 부재
18 : 클램핑 장치
19, 20 : 슬라이딩 슈
21 : 홈
22 : 커버
25 : 나사부
26 : 구동 요소
28 : 고정 물질
29 : 리세스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경편기에서 각각의 얀 가이드가 대략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가 샤프트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그 샤프트와 강성 결합되되, 유지 부재가 인장 요소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횡단면이 상대적으로 작은 인장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한 인장 요소는 단지 인장 하중만을 받으면 되고, 압축력을 견딜 필요는 없다. 그와 더불어, 얀 가이드의 이동, 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얀가이드의 가이드 루프(얀 가이드 루프)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얀 가이드는 T형으로 형성된다. 즉, 얀 가이드는 그 하단에 얀 가이드 루프가 배치되는 샤프트를 구비한다. 그 샤프트의 상단은 유지 부재와 강성 결합된다. 그와 같이 강성 결합된다는 것은 요컨대 얀 가이드가 신속하게 이동되더라도 샤프트와 유지 부재간의 힌지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지 부재의 이동이 직접 얀 가이드 루프의 이동에 전달된다. 유지 부재는 일정 정도는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길이에 걸쳐 인장 요소에 지지된다. 즉, 유지 부재와 인장 요소와의 결합에 의해, 샤프트에 작용하는 힘을 통해 전달되는 토크를 일정 한도 내에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얀 가이드가 매우 안정되게 인장 요소에 고정되게 된다. 다시, 그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가 상대적으로 작은 중량의 치수로 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럼으로써, 이동 질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경편기의 작업 속도가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인장 요소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또는 케이블은 대체로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반면에, 압축력은 사실상 전달될 수 없다. 그를 위해, 특히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양단에서 유지시키거나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힘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장 요소를 양측으로부터 당길 수 있는 이동 제어 시스템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이동 제어 시스템에서는 일 단부에 복귀 장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전향 풀리를 경유하여 구동 장치 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사용할 때의 보다 더 큰 장점은 그러한 유형의 인장 요소가 작은 중량으로 되고 단지 적은 공간만을 요하며, 그에 따라 다수의 인장 요소를 서로 나란히 배치하여 그에 상응하는 다수의 얀 가이드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샤프트의 횡단면은 유지 부재의 횡단면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얀 가이드가 안정화되는데, 그것은 특히 이동 속도가 높을 때에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지 부재의 횡단면이 보다 더 큼으로 인해, 인장 요소와 얀 가이드간의 배속된 배치가, 특히 얀 가이드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맞서서도 매우 신뢰성이 있게 유지되게 된다.
샤프트의 길이가 유지 부재의 길이의 2배보다 더 짧은 것도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유지 부재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지지될 수 있는 범위로 유지되게 된다.
유지 부재는 얀 가이드를 인장 요소에 클램핑 고정시키는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은 예컨대 새로운 반복 모티프 또는 새로운 패턴을 세팅하기 위해 인장 요소 상에서의 얀 가이드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그러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은 단지 클램핑 장치를 해제하여 인장 요소와 유지 부재를 서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뿐이다. 클램핑 장치를 다시 록킹하면, 얀 가이드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유지 부재와 인장 요소가 서로 접착된다. 그럼으로써, 특히 인장 요소와 유지 부재가 거의 분리가 불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접착 후에는 인장 요소에서의 유지 부재의 위치를 더 이상 변경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인장 요소에서의 유지 부재의 위치를 예컨대 반복 모티프의 교체로 인해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인장 요소와 얀 가이드를 사용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그러한 구성에는 얀 가이드의 제작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클램핑 요소, 예컨대 나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중량을 줄여서 경편기의 작업 속도를 상승시키거나 제어 부재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유지 부재는 인장 요소가 끼워 넣어지는 리세스(recess)를 구비하되, 그 리세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물질로 채워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장 요소를 개방된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리세스 내에 끼워 넣은 후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예컨대 자외선 방사의 사용 하에 그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가 개방될 수 있어 유지 부재에 드는 재료가 절감되게 된다. 접착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상대적으로 가벼울 수 있다. 여기에서, "접착"이란 용어는 유지 부재와 인장 요소간의 영구 결합을 제공하는 모든 결합 유형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한 결합은 보조 재료에 의해 또는 보조 재료를 동반함이 없이 이뤄질 수 있다.
그 유지 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샤프트 쪽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되, 샤프트의 길이가 상이하게 되는 다수의 얀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의 길이가 상이하게 됨으로써, 모든 얀 가이드의 가이드 루프를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개의 얀 가이드를 일정 한도 내에서 개별적으로 제어 작동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더 긴 샤프트는 유지 부재와 결합된 단부에서 그 폭이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보다 더 긴 얀 가이드에서도 보다 더 짧은 얀 가이드에서와 동일한 강도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이 폭을 확장시킴으로 인해, 보다 더 긴 얀 가이드를 인장 요소에 고정시키는데 많은 공간이 소요될 수 있기는 하지만, 필요하다면 그 확장부를 얀 가이드의 군을 넘어 삼각형으로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다.
유지 부재는 바 캐리지에 있는 홈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내부에 얀 가이드가 매우 좁은 갭(gap)을 둔 채로 유지될 수 있는 홈은 얀 가이드의 이동 시에 안정화를 구현하는 추가의 역할을 한다. 요컨대, 이동은 홈의 연장에 평행하게 취해진 채로만 가능하게 된다. 그것은 샤프트를 경유하여 유지 부재에 가해질 수 있는 모멘트를 흡수하기 위한 또 다른 조치이다. 예컨대, 샤프트를 유지 부재에 용접 또는 납땜하거나 그 2개의 부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는 샤프트와 유지 부재간의 강성 결합으로 인해, 샤프트가 유지 부재와 동일한 운동학으로 이동되는 것이 구현되게 된다.
유지 부재는 슬라이딩 슈(sliding shoe)의 개재 하에 홈 내에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특성을 개선시키는데는 얀 가이드 또는 그 유지 부재가 홈의 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한 접촉은 유지 부재와 홈간에 작은 간격을 생성하고 바 캐리지의 재료와 가능한 한 마찰이 없이 연동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통상, 그에 매우 적합한 것은 플라스틱이다. 또한, 슬라이딩 슈는 소모성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그 슬라이딩 슈의 교체에 의해 얀 가이드 및 그것이 속한 바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슈는 인장 요소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은 2가지 장점을 수반한다. 그 하나는 유지 부재가 최대한으로 큰 간격을 둔 채로 홈 내에 지지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장 요소가 홈의 벽에 마찰되는 것까지 방지된다는 것이다.
슬라이딩 슈는 U형으로 형성되어 인장 요소 상에 클립핑 및/또는 접착되는 것이 좋다. 그 경우, 슬라이딩 슈의 위치 설정은 전술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밀접하게 되도록 이뤄진다. 클립핑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결합이다. 그러나, 접착과 같은 영구 결합에 의해 추가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바 캐리지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커버는 홈뿐만 아니라, 얀 가이드의 샤프트가 연장되는 구역을 덮는다. 즉, 커버는 횡 방향으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커버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재료로서 이뤄지거나 그러한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바 캐리지가 커버의 개재 하에 홈을 구비한 측으로써 서로 접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 경우, 커버는 슬라이딩 특성이 우수한 상대적으로 얇은 이격 판(distance plate)으로도 충분한데, 왜냐하면 얀 가이드가 서로 지지되기 때문에, 즉 그 이동이 저지되지 않을뿐더러 횡 방향으로의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인장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 구동 요소에 맞물릴 수 있는 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복 모티프의 조정 시에 새로운 얀 가이드를 공급하거나 여분의 얀 가이드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장 요소, 즉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그 단부에 더 이상 홈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없는 두꺼운 부위 또는 루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측 이상에서 인장 요소에 나사부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나사부는 인장 요소의 구동 장치(또는 타측으로 그에 대응되는 텐션 장치)와의 공간 절감적인 고정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그러한 나사부는 구동 장치 또는 텐션 장치의 제거 후에는 인장 요소가 홈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나사부 대신에 인장 요소의 횡단면을 전혀 또는 거의 확대시키지 않는 다른 고정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바요네트식 장착구(bayonet mount)의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관련지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얀 가이드(4)의 다수의 군(2, 3)을 구비한 패턴 가이드 바(1)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군(2, 3)의 서로 대응되는 얀 가이드(4), 즉 각각의 군(2, 3)의 각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의 얀 가이드(4)는 공동으로 구동된다. 즉, 그 각각의 얀 가이드(4)는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변위 방향(6)으로 바 캐리지(5)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는데, 아울러 바 캐리지(5)까지도 이동시킬 수 있는 도시를 생략한 수단이 마련된다.
얀 가이드(4)의 구동을 위해,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서 형성된, 즉 상대적으로 횡단면이 작은 인장 요소(7)가 마련된다. 도 2 및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후술될 인장 요소(7)는 변위 방향(6)을 가로질러 서로 상하로 배치된다. 각각의 인장 요소(7)는 구동 벨트(8)를 경유하여 구동 모터(9)와 결합되는데, 구동 벨트(8)는 타단에서 텐션 요소(10)에 고정되고, 그 텐션 요소(10)는 간단하게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텐션 요소(10)에는 압력 원(P)에 의해 압력이 추진된다.
인장 요소(7)의 타단은 전향 풀리(12)를 경유하여 안내되고 역시 텐션 요소(13)에 고정되는 텐션 벨트(11)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로서 형성된 텐션 요소(13)는 압력 원(P1)으로부터 공압을 공급받는다. 압력 원(P, P1)의 압력 및 텐션 요소(10, 13)의 유효 압력 작용 면은 인장 요소의 양단에 동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서로 맞춰져 조정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9)는 단지 인장 요소(7)의 이동에 필요한 힘만을 인가하면 된다. 그러나, 구동 모터(9)는 스프링 또는 기타의 텐션 장치에 텐션을 주는데 필요한 힘을 인가할 필요는 없다.
도 2는 패턴 가이드 바(1)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로부터, 얀 가이드 군(2, 3)에 8개의 얀 가이드(4)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얀 가이드(4)는 변위 방향(6)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변위 방향(6)을 가로질러 서로 상하로 배치된 인장 요소(7)에 의해 구동된다. 이후로, 도 3과 관련지어 얀 가이드(4)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얀 가이드(4)는 샤프트(14)를 구비하고, 샤프트(14)의 하단에는 펀치 니들(16)에 위치된 얀 가이드 루프(15)가 배치되는데, 펀치 니들(16)은 샤프트(14)에 고정된다.
샤프트(14)의 상부는 유지 부재(17)에 고정 결합된다. 즉, 그 상부가 유지 부재(17)에 용접 또는 납땜되거나, 샤프트(14)가 유지 부재(17)와 일체로 형성된다. 유지 부재(17)는 종 방향 홀을 구비하여 그 종 방향 홀을 통해 인장 요소(7)가 안내된다. 유지 부재(17)에 있는 클램핑 나사(18)는 유지 부재(17)를 인장 요소(7)에 클램핑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램핑 나사(18)를 풀면, 유지 부재(17)를 인장 요소(7) 상에서 변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른 위치에서 클램핑 나사의 조임에 의해 다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유지 부재(17)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슈(19, 20)가 배치된다. 슬라이딩 슈(19, 20)는 U형의 횡단면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슈(19, 20)는 인장 요소(7) 상에 클립핑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에 의해 인장 요소(7)에 고정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접착제의 사용 목적은 주로 작업 중에 슬라이딩 슈(19, 20)를 유지 부재(17)의 양단에 고정시키는데 있다. 인장 요소(7) 상에서 얀 가이드(4)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면, 간단히 슬라이딩 슈(19, 20)를 벌려서 슬라이딩 슈(19, 20)를 인장 요소(7)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얀 가이드(4)를 새로운 위치로 옮길 수 있게 된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7)는 바 캐리지(5)에 있는 홈(21) 내에 배치되고, 그것도 상대적으로 작은 갭을 둔 채로 홈(21) 내에 배치된다. 그 경우, 슬라이딩 슈(19, 20)가 홈(21)에 꼭 끼워 맞춰지므로, 결국 유지 부재(17)와 바 캐리지(5)간의 접촉은 이뤄지지 않는다. 그와 동시에, 슬라이딩 슈(19, 20)는 인장 요소(7)가 바 캐리지와 접촉되어 그에 마찰되는 것까지도 방지한다.
바 캐리지(5)에는 다수의 홈(21)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얀 가이드(4)의 군(2, 3) 당 그에 대응하는 수의 얀 가이드(4)를 수납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는 8개의 얀 가이드(4)가 도시되어 있다. 시험 결과, 그러한 유형의 패턴 가이드 바는 군 당 12개까지의 얀 가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홈(21)이 개방되는 바 캐리지(5)의 측은 커버(22)에 의해 덮여진다. 그 경우, 커버(22)는 샤프트(14)의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함께 덮을 정도로 얀 가이드 루프(15) 쪽으로 끌어내어진다. 커버(22)는 예컨대 나사(23)에 의해 바 캐리지(5)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개개의 얀 가이드(4)를 정비, 교체, 제거, 또는 보충해야 할 때에 커버(22)를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도 5는 2개의 바 캐리지(5a, 5b)가 마련되는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2개의 바 캐리지(5a, 5b)는 커버(22)의 개재 하에 홈(21)이 개방된 측으로써 서로 접한다. 그 경우, 커버(22)는 상대적으로 가요적으로 된다. 즉, 커버(22)는 상대적으로 얇게 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2개의 바 캐리지(5a, 5b)에 있는 개개의 얀 가이드(4)가 변위 방향(6)으로 서로 상대 이동됨에도 불구하고 횡 방향으로 서로 안정화되게 된다. 그 경우, 커버(22)는 바 캐리지(5a)의 얀 가이드가 바 캐리지(5b)의 얀 가이드와 충돌할 수 없도록 하려고 제공된 것이다.
커버(22)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뤄지거나 그러한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간단한 가이드 바의 경우에는 커버(22)가 어느 정도 기계적 안정성을 보여야 횡 방향으로의 안정성이 구현된다. 반복 모티프의 조정 시에 새로운 얀 가이드를 공급하거나 여분의 얀 가이드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장 요소(7)가 그 단부에 두꺼운 부위 또는 루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장 요소(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부에 수나사부(25)를 구비하고, 그 수나사부(25) 상에는 구동 벨트 (8) 또는 텐션 벨트(11)를 걸 수 있는 인장 루프(26)가 나사 결합된다.
도 7은 전체의 얀 가이드(4)가 변위 방향(6)으로 서로 접해있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그로부터, 그 유지 부재(17a)가 가장 하단의 홈에 배치되는 얀 가이드(4)는 그 유지 부재(17b)가 가장 상단의 홈에 배치되는 얀 가이드(4)보다 더 짧은 샤프트(14a)를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상단의 홈에 배치된 그러한 얀 가이드의 샤프트(14b)는 훨씬 더 길다.
보다 더 긴 샤프트(14b)를 구비한 얀 가이드(4b)에서 보다 더 짧은 샤프트(14a)를 구비한 얀 가이드(4a)에서와 동일한 기계적 안정성을 구현하기 위해, 보다 더 긴 샤프트(14b)에는 유지 부재(17b) 쪽으로 샤프트(14b)의 확장부(27)가 마련된다.
그러한 확장부(27)는 변위 방향으로 약간 더 많은 구조 공간을 필요로 하기는 하지만, 확장부(27)를 샤프트(14b)에 대해 만곡시켜 그 확장부(27)가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로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다.
얀 가이드(4)를 유지 부재(17)에 의해 인장 요소(7)에 고정시키고, 유지 부재(7)를 인장 요소(7)에 지지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슈(19, 20)에 의해 홈(21)에 지지함으로써, 바 캐리지(5)에서 얀 가이드(4)의 위치를 매우 안정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얀 가이드 루프(15)의 구역에서의 힘에 의해 얀 가이드(4)에 인가되는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유지 부재(7)에 의해 흡수되게 된다.
또한, 치수 설정에 있어서도 다소 유리하다. 즉, 샤프트(14)의 길이(H)는 유지 부재(17)의 길이(L)의 2배 이하로 되게 된다. 아울러, 확장부(27) 이외의 샤프트(14)의 횡단면이 유지 부재(17)의 횡단면보다 더 작은 것도 유리하다.
구동 벨트(8) 및 텐션 벨트(11)로서는 구동 모터(9) 또는 전향 풀리(12)에 양호하게 맞물릴 수 있는 톱니 벨트 또는 평 벨트가 사용된다. 텐션 요소(10, 13)는 흑연 피스톤을 구비한 유리 관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흑연 피스톤은 유리에서는 적어도 거의 마모가 없이 주행한다. 유리 관은 팽윤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공기를 덜 소모한다. 텐션 요소를 간단하게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로서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텐션 장치로서 스프링을 사용할 때에 그러한 바와 같이 프리텐션 특성이 길이에 의존하는 일이 없게 된다. 그에 상응하여, 구동 모터(9)는 단지 얀 가이드(4)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힘만을 인가하면 되고, 복귀 장치에 텐션을 주는데 필요한 힘을 인가할 필요는 없게 된다.
얀 가이드의 구동에 사용되는 요소, 즉 인장 요소(7), 구동 벨트(8), 텐션 벨트(11), 및 슬라이딩 슈(19, 20)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질량의 것이므로, 도시된 구조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속도 및 그에 따른 높은 작업 빈도 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얀 가이드의 선택적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도면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100만큼 더 높은 도면 부호로 지시되어 있다.
이번에는, 유지 부재(117)가 일측으로 개방된 채로 변위 방향(6)으로 연장되는 홈(29)을 구비한다. 도 8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홈(29) 내에는인장 요소(7)가 끼워 넣어져서 예컨대 접착제와 같은 고정 물질(28)에 의해 고정된다. 즉, 유지 부재(117)를 인장 요소에 고정시키는 것은 인장 요소(7)를 홈(29)에 끼워 넣고서 고정 물질(28)을 분사한 후에 예컨대 자외선 방사의 사용 하에 그 고정 물질을 경화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이뤄지게 된다. 그 경우, 고정 물질(28)을 전체의 홈(29)에 채워 넣을 필요는 없다. 인장 요소(7)와 유지 부재(17)간의 접착 결합은 전체의 길이의 일정 부분으로 한정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인장 요소(7)에서의 얀 가이드의 위치 변경이 즉각적으로 가능하지는 않다. 따라서, 인장 요소에서 얀 가이드를 새로이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장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은 제조하기가 극히 간단하다. 또한, 그러한 유형의 얀 가이드는 통상적으로 보다 더 작은 중량으로 된다.
도 8에 도시된 얀 가이드에서도 역시 예컨대, 슬라이딩 슈(19, 20)와 같은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사용된다.
도 9에는 레일(39)을 구비한 니팅 니들(knitting needle)(38), 트레이스 콤(trace comb)(40), 및 스토퍼 콤(stopper comb)(41)이 속한 경편기의 작업 구역(37)이 도시되어 있다. 직물은 인출 롤러(42)로부터 인출된다. 가이드 바(43)는 그라운드 얀(ground yarn)을 공급하고, 가이드 바(44)는 피코 얀(picot yarn)을 공급한다. 그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와 관련지어 설명된 구조의 형태로 된 4 내지 12개씩의 패턴 가이드 바를 포함한 6개의 바 캐리지(45, 46, 47, 48, 49, 50)가 뒤따른다. 이어서, 2개의 자카드 가이드 바(51, 52) 및 그라운드 얀용의 추가의 가이드 바(53)가 뒤따른다. 가이드 바(45 내지 50)의 바 캐리지는 짝을 이뤄 배치되고, 홈(21)이 배치된 측으로써 서로 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에서는 각각의 얀 가이드가 대략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가 샤프트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그 샤프트와 강성 결합되되, 유지 부재가 인장 요소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얀 가이드의 이동을 신뢰성이 있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횡단면이 상대적으로 작은 인장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지 부재와 인장 요소와의 결합에 의해 샤프트에 작용하는 힘을 통해 전달되는 토크를 일정 한도 내에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얀 가이드가 매우 안정되게 인장 요소에 고정되고, 경편기의 작업 속도가 상승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구동 장치에 의해 변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는 다수의 얀 가이드가 마련된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하고, 구동 장치가 인장 요소를 경유하여 얀 가이드에 작용하는 경편기에 있어서,
    각각의 얀 가이드(4)는 대략 변위 방향(6)으로 연장되는 유지 부재(17, 117)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17, 117)는 샤프트(14, 114)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그 샤프트(14, 114)와 강성 결합되되, 유지 부재(17, 117)가 인장 요소(7)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4, 114)의 길이(H)는 유지 부재(17, 117)의 길이(L)의 2배보다도 짧으며, 상기 얀 가이드(4)는 T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 요소(7)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14, 114)는 유지 부재(17, 117)의 횡단면보다 더 작은 횡단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7)는 얀 가이드(4)를 인장 요소(7)에 클램핑 고정시키는 클램핑 장치(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6. 제1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17)와 인장 요소(7)는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7. 제6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17)는 인장 요소(7)가 끼워 넣어지는 리세스(29)를 구비하되, 리세스(2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8. 제1항에 있어서, 그 유지 부재(17)가 서로 평행하게 그 샤프트(14) 쪽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되, 샤프트(14)의 길이가 상이하게 된 다수의 얀 가이드(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9. 제8항에 있어서, 길이가 보다 더 긴 샤프트(14b)는 유지 부재(17b)와 결합된 단부에서 그 폭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7)는 바 캐리지(5)에 있는 홈(2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7, 117)는 슬라이딩 슈(19, 20)의 개재 하에홈 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슈(19, 20)는 인장 요소(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슈(19, 20)는 U형으로 형성되고, 인장 요소(7) 상에 클립핑 및/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4. 제11항에 있어서, 바 캐리지(5)는 커버(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5. 제14항에 있어서, 2개의 바 캐리지(5a, 5b)가 커버(22)의 개재 하에 홈(21)을 구비한 측으로써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6. 제1항에 있어서, 인장 요소(7)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 구동 요소(26)에 맞물릴 수 있는 나사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KR10-2002-0024358A 2001-08-01 2002-05-03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KR100461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7601A DE10137601B4 (de) 2001-08-01 2001-08-01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Musterlegebarre
DE10137601.4 2001-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17A KR20030011517A (ko) 2003-02-11
KR100461624B1 true KR100461624B1 (ko) 2004-12-13

Family

ID=769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358A KR100461624B1 (ko) 2001-08-01 2002-05-03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81799B1 (ko)
JP (1) JP3889683B2 (ko)
KR (1) KR100461624B1 (ko)
CN (1) CN1304669C (ko)
DE (2) DE10137601B4 (ko)
TW (1) TWI2351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234B4 (de) * 2003-07-16 2008-05-21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CN100414014C (zh) * 2005-08-23 2008-08-27 昆山攀特电陶科技有限公司 选针器的梳栉与驱动片连接装置
CN101861420B (zh) * 2007-05-08 2011-08-31 王占洪 梳栉横移装置
DE102007047811B8 (de) * 2007-11-19 2012-05-16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orrichtung zur Kettfadenzufuhr an Strickmaschinen
JP2010053464A (ja) * 2008-08-27 2010-03-11 Nippon Mayer Ltd 経編機におけるガイドバー駆動装置
DE102009022181A1 (de) 2009-05-20 2010-11-25 W & S Management Gmbh & Co. Kg Ventilatorschaufel
DE102009022191B3 (de) * 2009-05-20 2011-06-1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Fadenführer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DE102009031614B4 (de) 2009-07-03 2012-01-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Raschelmaschine
DE102010032996B4 (de) * 2010-07-31 2012-10-0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CN102383260A (zh) * 2011-10-28 2012-03-21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多梳经编机梳栉
EP2615197A1 (de) * 2012-01-10 2013-07-1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a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EP2623654A1 (de) 2012-02-04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EP2623653A1 (de) 2012-02-04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DE202012005478U1 (de) 2012-06-02 2012-06-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Fadenführer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EP2738295B1 (de) 2012-11-28 2016-01-2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Musterlege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CN103103694A (zh) * 2013-03-01 2013-05-15 广州市霏鸿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梳栉装置
CN103147221B (zh) * 2013-03-27 2014-10-22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经编机
CN103266410B (zh) * 2013-05-14 2015-03-11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全成形服装生产的经编机
CN103320961A (zh) * 2013-07-10 2013-09-25 汕头市中绣机械有限公司 多梳经编机的镶入式活动花梳节
CN103451844B (zh) * 2013-09-09 2015-06-10 无锡福镁轻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经编机花梳用导纱板
CN104047106A (zh) * 2014-07-07 2014-09-17 郑依福 一种压纱型双贾卡经编机
EP3018244B1 (de) * 2014-11-04 2017-03-15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DE202014105280U1 (de) * 2014-11-04 2014-11-1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CN105696185A (zh) * 2016-04-14 2016-06-22 谢中秋 经编机钢板梳栉用花梳针
KR200482696Y1 (ko) * 2016-09-08 2017-03-08 최영운 경편기의 장식 원사 공급장치
CN107345338A (zh) * 2017-08-25 2017-11-14 福建省鑫港纺织机械有限公司 经编机的一种梳栉装置
CN107747162A (zh) * 2017-11-02 2018-03-02 长乐万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压纱板机台前置梳栉结构及压纱板机台
DE102017011068A1 (de) * 2017-11-30 2019-06-06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Kammfadenführer
CN110318153B (zh) * 2019-08-08 2024-03-22 常州市鑫辉网具有限公司 一种编织捆草网经编机
CN113756008A (zh) * 2021-09-30 2021-12-07 常州市隆龙升经编机械有限公司 大横移成圈经编机用导管横移机构、经编机及工作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1819A (ko) * 1987-10-08 1989-12-21 원본미기재 스텝모터에 의해 조절가능한 경편기 가이드 바아
JPH02131Y2 (ko) * 1985-10-01 1990-01-05
JPH0649754A (ja) * 1991-07-31 1994-02-22 Nippon Mayer Kk 経編機の導糸筬駆動装置
JPH0665847A (ja) * 1991-04-29 1994-03-08 Liba Mas Fab Gmbh ガイド支持バーに個別に可動に装着された糸ガイドを有するたて編機
JPH07292549A (ja) * 1994-04-15 1995-11-07 Nippon Mayer Kk 経編機におけるポイントガイドの駆動制御装置
JPH08296157A (ja) * 1995-04-25 1996-11-12 Nippon Mayer Kk 経編機における導糸筬装置
KR20000065131A (ko) * 1997-02-26 2000-11-06 이마이 게이스켓 경편기의가이드구동장치
KR100348690B1 (ko) * 1994-01-14 2002-11-14 니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경편기에서의무늬내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670A (en) * 1884-08-19 Sheet-metal vessel
DE1287727B (ko) * 1969-01-23
US3303670A (en) * 1964-05-04 1967-02-14 Bassist Rudolph George Multi-slide guide-bar
DE2436452B1 (de) * 1970-07-10 1976-01-29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schusseinrichtung
DE4303967C2 (de) * 1993-02-10 1995-03-30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DE4335278C1 (de) * 1993-10-15 1995-01-05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schwenkbar gelagerten Fadenführern
DE19605117C2 (de) * 1996-02-12 2001-02-01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DE19938871C1 (de) * 1999-08-17 2001-05-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1Y2 (ko) * 1985-10-01 1990-01-05
KR890701819A (ko) * 1987-10-08 1989-12-21 원본미기재 스텝모터에 의해 조절가능한 경편기 가이드 바아
JPH0665847A (ja) * 1991-04-29 1994-03-08 Liba Mas Fab Gmbh ガイド支持バーに個別に可動に装着された糸ガイドを有するたて編機
JPH0649754A (ja) * 1991-07-31 1994-02-22 Nippon Mayer Kk 経編機の導糸筬駆動装置
KR100348690B1 (ko) * 1994-01-14 2002-11-14 니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경편기에서의무늬내는장치
JPH07292549A (ja) * 1994-04-15 1995-11-07 Nippon Mayer Kk 経編機におけるポイントガイドの駆動制御装置
JPH08296157A (ja) * 1995-04-25 1996-11-12 Nippon Mayer Kk 経編機における導糸筬装置
KR20000065131A (ko) * 1997-02-26 2000-11-06 이마이 게이스켓 경편기의가이드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1799B1 (de) 2009-06-17
JP2003096651A (ja) 2003-04-03
DE10137601A1 (de) 2003-03-06
CN1304669C (zh) 2007-03-14
DE50213608D1 (de) 2009-07-30
CN1400348A (zh) 2003-03-05
KR20030011517A (ko) 2003-02-11
EP1281799A2 (de) 2003-02-05
JP3889683B2 (ja) 2007-03-07
EP1281799A3 (de) 2003-05-07
DE10137601B4 (de) 2006-09-07
TWI235189B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624B1 (ko)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CN1752315B (zh) 带状纤维束织物的织造装置
US5400834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moving weft feeders between a rest position and a feed position
US20050109253A1 (en) Gate assembly for tufting machine
JPS6331576B2 (ko)
CN104988655A (zh) 一种经编机的张力装置
CN1138114A (zh) 纺织机械,特别是经编机
US6957671B2 (en) Device for creating a gauze fabric
CN101100782A (zh) 剑杆及其制造法、含此剑杆的引纬装置及含此装置的织机
JPH0197235A (ja) ひなし織機のグリッパ移送装置
KR20090046835A (ko) 리본 바늘 직기
GB1586534A (en) Apparatus for traversing yarn or thread on winding machines
CN1339625A (zh) 带多个提花梳栉的经编机
KR100627617B1 (ko)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CN102471957A (zh) 织机的剑杆头
JPS63105148A (ja) 糸緊張装置
RU2046856C1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зажимными челноками
JP3976753B2 (ja) 経編機
CN1162030A (zh) 带提花控制的经编机
CN1131903C (zh) 纱线夹紧装置,特别是提花机的花式纬纱线的夹紧装置
EP2025784A2 (en) Support mechanism for temple
CN1480574A (zh) 用于织机的纬纱运送夹纱器及其导引装置的改进
DE19626417A1 (de) Frottierwebmaschine mit Florkettspannungskompensation
JPH06299438A (ja) 経糸開口が直列に配置された織機の挿入装置
US20040195425A1 (en) Yarn tensioning device and array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