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617B1 -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 Google Patents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617B1
KR100627617B1 KR1019990045718A KR19990045718A KR100627617B1 KR 100627617 B1 KR100627617 B1 KR 100627617B1 KR 1019990045718 A KR1019990045718 A KR 1019990045718A KR 19990045718 A KR19990045718 A KR 19990045718A KR 100627617 B1 KR100627617 B1 KR 10062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pin
embroidery machine
beam unit
sha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413A (ko
Inventor
레써 프란츠
Original Assignee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7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8Shuttles ; Shuttle holders; Shuttle 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는 그 피커 빔(11)이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제의 인발 형상재로 이루어지는 피커 빔 유닛(10)을 구비한다. 각각의 자수 작업 부위에는 하부 피커 핀(13) 및 상부 피커 핀(15)이 마련되고, 그 피커 핀(13, 15)은 구멍(37, 31) 속에 삽입된다. 상부 피커 핀(15)은 맞물림 스프링(35) 및 작동 패치(57)와 일체로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피커 핀(15)을 밀어 넣은 위치에서는 맞물림 스프링(35)이 홈 또는 리브(39)에 맞물릴 수 있다. 하부 피커 핀(13)을 피커 빔(11) 속에 삽입한 후에는 끼움 장착 부재(63) 또는 끼움 장착 부재(67)가 선택적으로 하부 피커 핀(13) 상에 스냅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홈(41) 속에 맞물리는 끼움 장착 부재(63)에 의해 피커 핀(13)의 이동이 차단된다. 끼움 장착 부재(67)에 의해서는 피커 핀(13)이 이동이 가능한 채로 남아 있게 되지만, 스프링에 의해 홈(40, 41) 속에 맞물려서 2개의 상이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자수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작동 요소(73)는 하부 피커 핀(13)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커 빔은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질량이 작아서 높은 자수 속도를 인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Embroidering machine with picker beam unit}
도 1은 종래의 선행 기술에 따른 피커 빔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공지의 피커 빔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피커 빔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피커 빔 유닛의 단면도,
도 5는 멈춤 스프링 수단을 구비한 끼움 장착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 및 도 4에서와 유사하지만 셔틀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하부 피커 핀이 작동 요소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커 빔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커 빔 유닛, 11 : 피커 빔,
13 : 하부 피커 핀, 15 : 상부 피커 핀,
35 : 맞물림 스프링, 39, 40, 41 : 맞물림 수단,
43 : 중공 형상부, 45, 65, 65' : 웨브,
57 : 작동 패치, 63, 67 : 끼움 장착 부재,
73 : 작동 요소, 75 : 형상재,
77 : 리브, 79 : 앵글형 레버,
81, 85 : 암.
본 발명은 각각의 자수 작업 부위를 위한 하부 피커 핀과 상부 피커 핀이 배치된 피커 빔이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피커 핀이 그 피커 빔에서 이동될 수 있는 피커 빔 유닛(picker beam unit)을 구비한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자수기는 2실 시스템에 따라, 즉 재봉실과 북실에 의해 작업을 하게 되는데, 재봉실은 각각의 바느질 코에서 북실과 서로 연결된다. 바늘귀를 구비한 바늘은 윗실을 천을 통과시켜 이송하고, 그 실은 바늘이 복귀될 때에 천에 루프를 형성한다. 이어서, 내부에 북실이 들어 있는 셔틀이 그 루프를 통과하여 안내된다. 자수기는 다수의 자수 작업 부위와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바늘 및 셔틀을 포함한다. 각각의 셔틀을 위한 하부 피커 핀과 상부 피커 핀을 구비하는 피커 빔은 셔틀을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셔틀은 하부 피커 핀과 상부 피커 핀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셔틀은 그러한 피커 핀에 의해 자수기의 소위 목구멍형 셔틀 장착부의 셔틀 트랙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피커 빔 유닛에서는 피커 빔(11)이 강관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피커 핀(13)은 나사 결합에 의해 피커 빔(11)에 고정된다. 상부 피커 핀(15)은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19)에 지지된다. 상부 피커 핀(15)의 이동에 대 항할 수 있는 힘을 조절하기 위해, 스프링(25)의 압력이 너트(23)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2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커 핀을 피커 빔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이미 열거된 부품 이외에도 다수의 추가 부품이 더 필요하다. 자연히, 그러한 모든 부품은 바람직하지 않게도 피커 빔 유닛의 질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그들 부품은 상당한 비용이 드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예비 부품의 재고 관리를 복잡하게 만든다. 특히, 피커 빔에서 피커 핀을 조정하는 작업도 노동 집약적이라는 것이 단점으로 밝혀졌다.
자수기의 작업 속도는 근년에 들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대형 기계에서는 분당 185코가, 그리고 소형 기계에서는 분당 250코가 바느질의 상한으로서 통용되었지만, 현재에는 분당 600코 이상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의 요인이 기계의 회전 속도의 대폭적인 상승을 방해하고 있다. 즉, 피커 빔 유닛의 질량을 임의로 줄이면 그 안정성이 저해될 수밖에 없다. 또한, 피커 빔 유닛의 질량을 줄이는 새로운 구조도 역시 적절한 비용 범위 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회전 속도에 의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자수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피커 빔이 형상재로 이루어지고, 피커 핀이 형상재의 구멍 속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형상재는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형상재와 그 형상재에 있는 구멍은 높은 정밀도로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피커 핀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복잡한 조정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그것은 상당한 비용 절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종래에 필요로 하였던 피커 핀용 고정 수단의 중량까지도 추가로 절감시킨다.
형상재는 예컨대 홈 또는 리브와 같은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맞물림 수단은 피커 핀의 대응 맞물림 수단과 협력하여 피커 핀을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다. 피커 빔의 형상재는 중공 형상부와 그 중공 형상부의 아래에 배치된 2개의 웨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피커 핀은 중공 형상부에, 그리고 하부 피커 핀은 웨브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피커 빔은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고, 하부 피커 핀을 웨브에 배치함으로써 그 하부 피커 핀이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피커 핀은 형상재의 맞물림 수단과 협력할 수 있는 맞물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커 핀은 작동 패치를 구비할 수 있다. 피커 핀을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특히 형상재에서 이동될 수 있는 부분에 걸쳐 중공으로 형성할 경우에 질량의 감소와 양호한 힘의 배분 및 형상 안정성이 획득된다. 피커 핀, 예컨대 상부 피커 핀은 맞물림 스프링 및/또는 작동 패치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그에 의해, 높은 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피커 핀에는 맞물림 스프링 수단 및 작동 패치를 구비한 끼움 장착 부재 또는 멈춤 수단을 구비한 끼움 장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것은 제반 사용 분야의 하부 피커 핀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각종의 사용을 위해 하부 피커 핀을 단지 해당 끼움 장착 부재만에 의해 개조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하부 피커 핀은 끼움 장착 부재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 예컨대 서로 대향된 2개의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고, 끼움 장착 부재는 피커 핀에 스냅식으로 고정되기 위한 2개의 탄성 웨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매우 간단한 구조가 제공된다. 맞물림 스프링 수단은 웨브의 단부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렴한 비용으로의 제조를 위해, 끼움 장착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피커 핀에는 자수기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작동 요소, 예컨대 공압 실린더가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셔틀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의 작동 중지는 색상 또는 반복 문양을 변경할 경우에 북실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요망된다. 작동 요소는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형상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가 실현된다. 형상재는 각도 조절 레버의 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경우에 각각의 각도 조절 레버는 작동 요소와 결합되는 제 1암 및 하부 피커 핀에 결합될 수 있는 제 2암을 구비한다. 앵글형 레버는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제작될 수 있고, 리브에 스냅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경우, 피커 빔 유닛(10)의 피커 빔(11)은 형상재,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제 인발 형상재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자수 작업 부위에 대해 하부 피커 핀(13) 및 상부 피커 핀(15)이 마련된다. 상부 피커 핀(15)을 수납하기 위해, 소위 반복 문양의 간격으로 구멍(31)이 마련된다. 각각의 구멍(31)의 하부에는 상부 피커 핀(15)의 맞물림 스프링(35)을 위한 추가의 구멍(33)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피커 핀(13)을 위한 구멍(37)도 마련된다. 예컨대 리브(39)의 형태의 맞물림 수단은 상부 피커 핀(15)을 밀어 넣어진 위치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홈의 형태의 맞물림 수단(40, 41)은 하부 피커 핀(13)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형상재는 기본적으로 중공 형상부(43)로 이루어지고, 그 중공 형상부(43)로부터 아래쪽으로 2개의 웨브(45)가 연장된다. 돌출부(47, 48)는 피커 빔을 피커 빔 구동부(53)(도 6을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51)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피커 빔의 상부에는 예컨대 GB-1,063,070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피커 핀(15)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새들을 위한 가이드(55)가 배치된다.
상부 피커 핀(15)은 손 또는 새들에 의한 이동을 위해 작동 패치(57)를 구비한다. 중량을 최대한으로 작게 유지시키기 위해, 피커 핀(13, 15)은 형상재에서 이동될 수 있는 부분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중공 공간(59)을 구비한다. 상부 피커 핀(15)은 맞물림 스프링(35)과 작동 패치(57)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그것은 비용상으로 매우 저렴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금속제 피커 핀에 비해 질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그러나, 피커 핀을 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재료, 예컨대 금속으 로 제작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도 역시 고려될 수 있다.
하부 피커 핀(13)은 공간 사정이 허용하는 한 상부 피커 핀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부 피커 핀(13)은 서로 대향된 양 측면에 절결부(61)를 구비한 핀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피커 핀(13)을 피커 빔(11) 속에 삽입한 후에는 끼움 장착 부재(63)가 절결부(61)의 구역에 끼워지는데, 그 끼움 장착 부재(63)는 형상재의 홈(41) 속에 맞물려서 피커 핀(13)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킨다(도 4를 참조). 끼움 장착 부재(63)는 피커 핀(13)에 스냅식으로 고정되기 위한 2개의 탄성 웨브(65)를 구비한다.
도 6에 의한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커 빔 유닛(10')은 하부 피커 핀(13)이 피커 빔(11)에서 셔틀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구별된다. 그것은 도 3에 도시된 끼움 장착 부재(63)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끼움 장착 부재(67)를 하부 피커 핀(13) 상에 끼움으로써 실현된다. 끼움 장착 부재(67)는 탄성 웨브(65')를 구비하고, 그 탄성 웨브(65')의 단부에는 맞물림 수단(69)으로서의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러한 끼움 장착 부재(67)를 구비한 피커 핀(13)은 피커 빔(11)에서 이동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스프링은 홈(40, 41) 속에 맞물려서 피커 핀(13)을 해당 맞물림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작동 패치(71)는 피커 핀(13)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복 문양 또는 색상을 변경할 경우에 하부 피커 핀(13)을 잡아 빼면, 셔틀이 셔틀 트랙(72) 속에서 아래쪽으로 미끄러져서 피커 빔 유닛(10')에 의해 더 이 상 왕복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하부 피커 핀(13)을 다시 밀어 넣으면, 셔틀이 다시 들어 올려져서 상부 피커 핀과 하부 피커 핀과의 사이에 놓이게 된다. 그러한 형식으로 셔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CH 677 805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피커 핀(13)에는 자수기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작동 요소(73), 예컨대 공압 실린더가 각각 마련된다. 그러한 실린더는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제의 형상재(75) 속에 배치된다. 그러한 형상재(75)는 앵글형 레버(79)의 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리브(77)를 구비한다. 앵글형 레버(79)는 실린더의 피스톤(83)과 결합되는 제 1암(81)을 구비한다. 제 2암(85)은 일측 또는 타측에서 하부 피커 핀(13)의 패치(71)에 작용을 미쳐서 셔틀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술된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의 성능 시험에서 심한 진동을 발생시킴이 없이 매우 높은 속도로 운전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바람직하게도 피커 빔 유닛에 소요되는 비용이 종래의 피커 빔 유닛에 소요되던 비용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확인한다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자수기는 그 피커 빔(11)이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제의 인발 형상재로 이루어지는 피커 빔 유닛(10)을 구비한다. 각각의 자수 작업 부위에는 하부 피커 핀(13) 및 상부 피커 핀(15)이 마련되고, 그 피커 핀(13, 15)은 구멍(37, 31) 속에 삽입된다. 상부 피커 핀(15)은 맞물림 스프링(35) 및 작동 패치(57)와 일체로 예컨대 플 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피커 핀(15)을 밀어 넣은 위치에서는 맞물림 스프링(35)이 홈 또는 리브(39)에 맞물릴 수 있다. 하부 피커 핀(13)을 피커 빔(11) 속에 삽입한 후에는 끼움 장착 부재(63) 또는 끼움 장착 부재(67)가 선택적으로 하부 피커 핀(13) 상에 스냅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홈(41) 속에 맞물리는 끼움 장착 부재(63)에 의해 피커 핀(13)의 이동이 차단된다. 끼움 장착 부재(67)에 의해서는 피커 핀(13)이 이동이 가능한 채로 남아 있게 되지만, 스프링에 의해 홈(40, 41) 속에 맞물려서 2개의 상이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자수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작동 요소(73)는 하부 피커 핀(13)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커 빔은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질량이 작아서 높은 자수 속도를 인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에 의하면, 피커 빔이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재료로 이루어지고 중공의 형상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질량이 작아서 현재 자수기의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높은 자수 속도를 인가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각각의 자수 작업 부위를 위한 하부 피커 핀(13)과 상부 피커 핀(15)이 배치된 피커 빔(11)이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피커 핀(15)이 그 피커 빔(11)에서 이동될 수 있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에 있어서,
    피커 빔(11)은 형상재로 이루어지고, 피커 핀은 형상재의 구멍(37, 31) 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형상재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홈 또는 리브와 같은 맞물림 수단(39, 40, 41)을 구비하고, 그 맞물림 수단(39, 40, 41)은 각각의 피커 핀(15,13)의 대응 맞물림 수단(35, 69)과 협력하여 피커 핀을 원하는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형상재는 중공 형상부(43) 및 그 중공 형상부(43)의 하부에 배치된 2개의 웨브(45)를 구비하고, 상부 피커 핀(15)은 중공 형상부(43)에. 그리고 하부 피커 핀(13)은 웨브(45)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피커 핀(15)은 맞물림 스프링(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피커 핀(15)은 작동 패치(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또는 하부 피커 핀(15 또는 13)은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특히 형상재에서 이동될 수 있는 부분에 걸쳐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부 피커 핀(15)은 맞물림 스프링(35) 및 작동 패치(57)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8.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피커 핀(13)에는 멈춤 수단을 구비한 끼움 장착 부재(63) 또는 맞물림 수단(69) 및 작동 패치(71)를 구비한 끼움 장착 부재(67)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하부 피커 핀(13)은 예컨대 2개의 서로 대향된 절결부와 같은 끼움 장착 부재(63, 67)의 축방향 고정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끼움 장착 부재는 피커 핀(13)에 스냅식으로 고정되기 위한 2개의 탄성 웨브(65, 65')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맞물림 수단(69)은 웨브(65, 65')의 단부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끼움 장착 부재(63, 67)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12. 각각의 자수 작업 부위를 위한 하부 피커 핀(13)과 상부 피커 핀(15)이 배치된 피커 빔(11)이 마련되어 있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에 있어서,
    하부 피커 핀(13)에는 자수기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예컨대 공압 실린더와 같은 작동 요소(73)가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셔틀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73)는 형상재(7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형상재(75)는 앵글형 레버(79)의 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리브(77)를 구비하고, 각각의 앵글형 레버(79)는 작동 요소(73)와 결합되는 제 1암(81) 및 하부 피커 핀(13)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암(8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KR1019990045718A 1999-05-28 1999-10-21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KR100627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10469A EP1055761B1 (de) 1999-05-28 1999-05-28 Schiffchenstickmaschine mit einer Treiberbalkeneinheit
EP99810469.9 1999-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13A KR20000075413A (ko) 2000-12-15
KR100627617B1 true KR100627617B1 (ko) 2006-09-25

Family

ID=824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718A KR100627617B1 (ko) 1999-05-28 1999-10-21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55761B1 (ko)
KR (1) KR100627617B1 (ko)
AT (1) ATE212080T1 (ko)
DE (1) DE5990062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4000633D1 (de) * 2004-04-29 2006-06-29 Laesser Ag Diepoldsau Schiffchenstickmaschine
TWI444516B (zh) * 2006-07-20 2014-07-11 Lasser Ag 梭車刺繡機
CH705472A1 (de) 2011-09-08 2013-03-15 Laesser Ag Stickmaschine.
KR101299510B1 (ko) * 2011-09-20 2013-08-22 주식회사 미크로 자수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H708496A1 (de) * 2013-08-28 2015-03-13 Lässer Ag Schiffchenstickmaschine.
CH710529A1 (de) * 2014-12-16 2016-06-30 Lässer Ag Verfahren zur Aufrechterhaltung eines Abstandes zwischen dem Ende eines Schiffchens und einem Treibernagel.
CH712431A1 (de) 2016-05-03 2017-11-15 Lässer Ag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Fadenschneid- und Fadenklemmvorrichtung zum Schneiden des Schiffchenfadens an einer Grossstickmaschine sowie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7578C (ko) *
CH416286A (de) * 1964-11-03 1966-06-30 Saurer Ag Adolph Vorrichtung an Schiffchen-Stickmaschine zur Betätigung von Schiebern
ATE137539T1 (de) * 1993-08-10 1996-05-15 Laesser Franz Ag Schiffchenstic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12080T1 (de) 2002-02-15
EP1055761B1 (de) 2002-01-16
EP1055761A1 (de) 2000-11-29
DE59900627D1 (de) 2002-02-21
KR20000075413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576B2 (en) Gate apparatus for tufting loop and cut pile stitches
KR100463091B1 (ko) 재봉틀의천누름장치
KR100461624B1 (ko) 하나 이상의 패턴 가이드 바를 구비한 경편기
KR101948397B1 (ko) 편직기의 니들에 스레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KR100627617B1 (ko)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KR101845400B1 (ko) 다중-바늘 헤드 자수기 및 다중-바늘 헤드 자수기의 구동 방법
KR100768994B1 (ko) 관련 기술에 따라 작동되는 편물기용 싱커 및 상기 싱커가 구비된 편물기
US6957671B2 (en) Device for creating a gauze fabric
CN109706614B (zh) 经编机的导纱梳栉驱动装置和导纱梳栉组件
US5491989A (en) Yarn guide and yarn guide unit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EP1388600B1 (en) Needle selector for knitting machine, and needle selecting module finger
KR950012452B1 (ko) 재봉기용 바늘 구동 장치
KR20000070787A (ko)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
US4081973A (en) Multi level presser-foot device
KR100404141B1 (ko) 캠구동형 광섬유 자수기
KR100633205B1 (ko) 자수기
US5203381A (en) Spring tension relieving device for negative dobby
US4368626A (en) Crochet knitting machine with weft bar adjustment and guide assembly
KR20080068502A (ko) 자수 미싱의 실채기 구동 기구
EP1652981B1 (en) Sinker unit of weft knitting machine
KR101442880B1 (ko) 경편기
CN107938183B (zh) 一种推针机构
KR100810544B1 (ko) 자동자수기용 실채기장치
KR20220114546A (ko) 미싱
KR100495781B1 (ko) 양두 환편기 원사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