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106B1 -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 Google Patents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106B1
KR102523106B1 KR1020210041185A KR20210041185A KR102523106B1 KR 102523106 B1 KR102523106 B1 KR 102523106B1 KR 1020210041185 A KR1020210041185 A KR 1020210041185A KR 20210041185 A KR20210041185 A KR 20210041185A KR 102523106 B1 KR102523106 B1 KR 10252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le
close contact
weft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473A (ko
Inventor
안희호
Original Assignee
(주)위브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브넥스 filed Critical (주)위브넥스
Priority to KR102021004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03D47/23Thread gripp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하는 이동부재(100); 상기 이동부재(100) 일측부에 구비되어 위사(W)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 밀착부(200); 상기 제1 밀착부(200)와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며, 위사(W)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 밀착부(300); 및 상기 이동부재(100) 타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100)를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Omitted}
본 발명은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사를 파지하는 한 쌍의 밀착부재와 이동부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베어링을 세라믹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 관한 것이다.
직기란 준비된 경사와 위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장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위사를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직기의 일종인 워터제트직기는 수압에 의한 물의 추진력으로 위사와 경사를 운반하는 직기로서, 한쪽 끝에 설치된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고 위사는 물에 실려 물의 속도를 따라 공급된다.
한편 투입된 위사는 직물의 폭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잘라 주어야 하는데, 이때 이동하는 위사를 순간적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그리퍼가 사용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하다 보면 마찰 저항에 의해 그리퍼가 마모되어 위사 파지 시 위사가 미끄러지거나 파지하는 부분이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빈번한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5708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쉬운 구조를 갖는 위사 공급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는,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하는 이동부재(100); 상기 이동부재(100) 일측부에 구비되어 위사(W)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 밀착부(200); 상기 제1 밀착부(200)와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며, 위사(W)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 밀착부(300); 및 상기 이동부재(100) 타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100)를 소정 각도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축(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서, 상기 이동부재(1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는 제1 홀(111),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 홀(112),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3 홀(113)이 형성된 이동부 몸체(110); 일측 단부에는 다각형 머리부가 구비된 채 상기 제1 홀(111)을 상부에서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지지축(120); 상기 지지축(120) 외측면과 상기 제1홀(111)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베어링(130); 일측면은 상기 베어링(130)의 일측 단면과 밀착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축(120)의 머리부와 밀착하는 제1 와셔(140); 상기 지지축(120)을 감싸면서 상기 이동부 몸체(110) 저면에 위치하는 제2 와셔(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부(200)는, 볼트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부 몸체(110)의 제2 홀(112)에 결합되는 제1 수평지지부(210); 상기 제1 수평지지부(210)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1 수직지지부(220); 및 상기 제1 수직지지부(2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위사(W)의 일측면과 밀착하는 제1 밀착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착부(300)는 제2 수평지지부(310); 상기 제2 수평지지부(310)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2 수직지지부(320); 및 상기 제2 수직지지부(3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위사(W)의 타측면과 밀착하는 제2 밀착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500)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서, 상기 베어링(130)은 세라믹 소재이고, 상기 제1 홀(111)의 내측면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부재(111(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서, 상기 제1 밀착부재(230)와 제2 밀착부재(330)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서, 상기 제1 밀착부재(230)와 제2 밀착부재(3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 모서리는 소정 각도로 라운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서, 상기 베어링(130)과 제2 와셔(150) 사이에는 제3 와셔(1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와셔(15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축(1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4 홀(151)이 마련되되, 상기 제4 홀(151)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 와셔(160)와 밀착하기 위한 소정 높이 돌출한 제2 돌기부(1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서, 상기 제1 수직지지부(220)와 제1 밀착부재(230)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2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지지부(320)와 제2 밀착부재(330)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3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사 공급 그리퍼에 의하면, 위사를 파지하는 한 쌍의 밀착부재가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나아가 내구성이 우수하여 교체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사 공급 그리퍼에 의하면, 이동부 몸체의 왕복 운동시 원통형상의 세라믹 소재 베어링을 채용하고 있어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그리퍼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이동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2 와셔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밀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제1 밀착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제2 밀착부의 확대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직기용 위사 그리퍼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사 그리퍼는, 이동부재(100), 제1 밀착부(200), 제2 밀착부(300), 구동축(400), 가이드부(500) 및 베이스 플레이트(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부재(100)는 구동축(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소정 각도로 왕복 운동하게 되고, 이때 이동부재(100) 일측부에 구비되어 제1 밀착부(200)는 도면에서 좌우로 움직여 위사(W)의 일측면과 접하게 된다.
제2 밀착부(300)는 제1 밀착부(200)와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위사(W)의 타측면과 접하게 된다.
가이드부(500)는 제1 밀착부(200)와 제2 밀착부(300) 사이로 위사(W)는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고, 베이스 플레이트(600)는 전술한 이동부재(100), 제2 밀착부(300) 및 가이드부(500)를 저면에서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는 이동부재의 분해도이고 도 3은 제2 와셔의 확대도이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서 이동부재(1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재(100)는 이동부 몸체(110), 지지축(120), 베어링(130), 제1 와셔(140), 제2 와셔(150) 및 제3 와셔(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동부 몸체(110)는 가운데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는 제1 홀(111),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 홀(112), 그리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3 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홀(111)의 내측면에는 코팅부재(111(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팅부재(111(a))는 세라믹 소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베어링(130)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부 몸체(11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는 볼베어링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나아가 내구성이 우수하여 유지 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지지축(120)은 이동부 몸체(110)의 제1 홀(111)을 상부에서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 단부 즉, 이동부 몸체(11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위치에는 다각형 머리부가 구비되고 다각형 머리부에서부터는 제1 홀(111)에 수용되는 원기둥 축이 연결되어 있으며, 원기둥 축 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130)은 지지축(120) 외측면과 제1홀(111)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데 대략 원통형상이다. 여기서, 베어링(130)은 제1 홀(111)과 마찬가지로 교체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해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한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와셔(140)는 일측면은 베어링(130)의 일측 단면과 밀착하고 타측면은 지지축(120)의 머리부와 밀착할 수 있도록, 베어링(130)과 지지축(120) 머리부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제1 와셔(140)의 일측면 즉, 베어링(130)의 일측 단면과 밀착하는 방향으로는 소정 높이 돌출하도록 제1 돌기부(14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제1 와셔(140)가 이동부 몸체(110)와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우넛 형상의 제2 와셔(150)는 지지축(120)을 감싸면서 이동부 몸체(110) 저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2 와셔(150)는 중앙에는 지지축(1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4 홀(151)이 마련되고, 이러한 제4 홀(151) 가장자리에는 이동부 몸체(110) 저면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한 제2 돌기부(15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의 이동부재(1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지지축(120)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이동부 몸체(110)는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지축(120)과 베어링(130) 보다 상세하게는 부싱 타입의 베어링이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와셔(140)와 제2 와셔(150)가 장착되고 이후 지지축(120) 단부에 볼트를 체결하여 이들을 고정하는데, 이때 제2 돌기부(152)는 이동부 몸체(110)와는 밀착하지 않고 베어링(130) 일측 단면과 밀착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베어링(130)과 제2 와셔(150) 사이에는 도우넛 형상의 제3 와셔(160)가 추가로 구비되어도 좋다. 여기서 제3 와셔(160)는 이동부 몸체(110)와는 밀착하지 않고 베어링(130) 일측 단면과 밀착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이어야 하고, 이때 제2 와셔(150)의 제2 돌기부(152)는 제3 와셔(160)와 밀착하게 된다.
도 4는 제1 밀착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제1 밀착부재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 4 및 5를 참조하면서 제1 밀착부(200)에 관해 설명하면, 제1 수평지지부(210), 제1 수직지지부(220), 제1 밀착부재(230) 및 제1 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인 제1 수평지지부(210)는 이동부 몸체(110)에 고정되는데, 이동부 몸체(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안착된 후 제2 홀(112)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직지지부(220)는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 공지의 체결수단을 통해 제1 수평지지부(210) 일측에 연결되며, 비록 제1 수평지지부(210)와 제1 수직지지부(22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조과정에서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준비되어도 무방하다.
제1 밀착부재(230)는 제1 수직지지부(2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위사(W) 의 일측면과 밀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부 몸체(11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할 시, 순간적으로 위사(W)와 밀착하거나 이격한다.
여기서, 제1 밀착부재(230)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제2 밀착부재(330)와 장기간 접촉하더라도 마모나 파손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밀착부재(2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직지지부(220)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각도로 라운드진 제1 경사부(R1)가 구비되는 한편, 중앙에는 제5 홀(211)이 형성되어 있고, 또 제5 홀(211) 가장자리에는 약간 함몰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진 제2 경사부(R2)가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제1 경사부(R1)는 공급되는 위사(W)에 손상을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경사부(R2)는 나사나 볼트로 제5 홀(211)을 관통시켜 제1 수직지지부(220)에 고정할 시 나사나 볼트의 머리부가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수직지지부(220)와 제1 밀착부재(230)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2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제1 밀착부(200)와 제2 밀착부(300)는 장기간 지속적으로 밀착과 이격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제1 탄성부재(240)가 추가로 구비되면 충격을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제1 밀착부(200)와 제2 밀착부(300)의 밀착력을 한층 높여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240)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고무재질일 수 있다.
도 6은 제2 밀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서 제2 밀착부(300)에 관해 설명하면, 제2 밀착부(300)는 체결을 위해 가운데에 제7 홀(311)이 형성된 제2 수평지지부(310), 제2 수평지지부(310)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2 수직지지부(320), 제2 수직지지부(3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위사(W)의 타측면과 밀착하는 제2 밀착부재(330) 및 제2 수직지지부(320)와 제2 밀착부재(330) 사이의 제2 탄성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제2 밀착부(300)는 위치하는 방향만 상이할 뿐, 제1 밀착부(200)와 동일하다. 즉 제2 밀착부(300)의 제2 수평지지부(310), 제2 수직지지부(320), 제2 밀착부재(330) 및 제2 탄성부재(340)는 제1 밀착부(200)의 제1 수평지지부(210), 제1 수직지지부(220), 제1 밀착부재(230) 및 제1 탄성부재(240)와 각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서 구동축(4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축(400)은 이동부 몸체(110)를 소정 각도 왕복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부 몸체(110)의 제3 홀(113)에 체결된 후 소정 거리 직선 왕복운동(도 1에서는 좌우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직선 왕복운동을 위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가이드부(5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500)는 제1 밀착부(200)와 제2 밀착부(300) 사이로 위사(W)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깔때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이드부(500)로 유입되는 위사(W)의 경로가 다소 변하더라도 제1 밀착부(200)와 제2 밀착부(300) 사이로 항상 일정하게 이송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베이스 플레이트(600)는 이동부재(100), 제2 밀착부(300) 및 가이드부(500)를 저면에서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동부재(100), 제2 밀착부(300) 및 가이드부(500)를 제직기 자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체결과 분리를 위한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600)를 별도로 준비하고 여기에 이동부재(100), 제2 밀착부(300) 및 가이드부(500)를 고정시켜 두면, 베이스 플레이트(600)만 고정 내지 분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나 교체 등을 위한 작업이 훨씬 용이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이동부재
110 : 이동부 몸체
111 : 제1 홀 111(a) : 코팅부재
112 : 제2 홀 113 : 제3 홀
120 : 지지축
130 : 베어링
140 : 제1 와셔
141 : 제1 돌기부
150 : 제2 와셔
151 : 제4 홀 152 : 돌기부
160 : 제3 와셔
200 : 제1 밀착부
210 : 제1 수평지지부 211 : 제5 홀
220 : 제1 수직지지부
230 : 제1 밀착부재 231 : 제6홀
240 : 제1 탄성부재
300 : 제2 밀착부
310 : 제2 수평지지부 311 : 제7 홀
320 : 제2 수직지지부
330 : 제2 밀착부재
340 : 제2 탄성부재
400 : 구동축
500 : 가이드부
600 : 베이스 플레이트
R1 : 제1 경사부 R2 : 제2 경사부
W : 위사

Claims (7)

  1. 소정 각도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부재(100);
    상기 이동부재(100) 일측부에 구비되어 위사(W)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 밀착부(200);
    상기 제1 밀착부(200)와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며, 위사(W)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 밀착부(300);
    상기 이동부재(100) 타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100)를 소정 각도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축(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1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는 제1 홀(111),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 홀(112),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3 홀(113)이 형성된 이동부 몸체(110); 일측 단부에는 다각형 머리부가 구비된 채 상기 제1 홀(111)을 상부에서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지지축(120); 상기 지지축(120) 외측면과 상기 제1홀(111)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베어링(130); 일측면은 상기 베어링(130)의 일측 단면과 밀착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축(120)의 머리부와 밀착하는 제1 와셔(140); 상기 지지축(120)을 감싸면서 상기 이동부 몸체(110) 저면에 위치하는 제2 와셔(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부(200)는, 볼트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부 몸체(110)의 제2 홀(112)에 결합되는 제1 수평지지부(210); 상기 제1 수평지지부(210)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1 수직지지부(220); 및 상기 제1 수직지지부(2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위사(W)의 일측면과 밀착하는 제1 밀착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착부(300)는 제2 수평지지부(310); 상기 제2 수평지지부(310)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2 수직지지부(320); 및 상기 제2 수직지지부(3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위사(W)의 타측면과 밀착하는 제2 밀착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500)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30)은 세라믹 소재이고, 상기 제1 홀(111)의 내측면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부재(111(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재(230)와 제2 밀착부재(330)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재(230)와 제2 밀착부재(3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 모서리는 소정 각도로 라운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30)과 제2 와셔(150) 사이에는 제3 와셔(1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와셔(15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축(1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4 홀(151)이 마련되되, 상기 제4 홀(151)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 와셔(160)와 밀착하기 위한 소정 높이 돌출한 제2 돌기부(1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지지부(220)와 제1 밀착부재(230)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2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지지부(320)와 제2 밀착부재(330)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3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KR1020210041185A 2021-03-30 2021-03-30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KR10252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185A KR102523106B1 (ko) 2021-03-30 2021-03-30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185A KR102523106B1 (ko) 2021-03-30 2021-03-30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73A KR20220135473A (ko) 2022-10-07
KR102523106B1 true KR102523106B1 (ko) 2023-04-17

Family

ID=8359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185A KR102523106B1 (ko) 2021-03-30 2021-03-30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87Y1 (ko) 2001-11-19 2002-02-28 주식회사 남아 워터제트직기의 클램퍼 디스크
CN102251337A (zh) * 2011-07-25 2011-11-23 青岛铠硕纺机有限公司 纬纱夹持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223Y2 (ko) * 1985-02-20 1990-06-01
JP3366564B2 (ja) * 1997-12-26 2003-01-14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織機の緯糸把持装置
IT1304698B1 (it) 1998-12-23 2001-03-28 Somet Soc Mec Tessile Coppia di pinze portanti e traente per telai di tessitu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87Y1 (ko) 2001-11-19 2002-02-28 주식회사 남아 워터제트직기의 클램퍼 디스크
CN102251337A (zh) * 2011-07-25 2011-11-23 青岛铠硕纺机有限公司 纬纱夹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73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106B1 (ko) 제직기용 위사 공급 그리퍼
KR950031842A (ko)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KR20200138341A (ko) 2본침 로크 스티치 재봉틀
KR101364557B1 (ko) 환봉 재봉기의 재봉땀 건너뜀 장치
US10415167B2 (en) Sewing machine
CN104213324A (zh) 经编机中的重力式张力器
KR100836412B1 (ko) 리본 니들룸
KR100514551B1 (ko) 경사 직기
JP4953376B2 (ja) テンプル装置
TWI707997B (zh) 織梭
CN209759692U (zh) 一种电子选纬器
CN1517460A (zh) 流体喷射式织机的纬纱张力给予装置
KR19980083438A (ko) 환편기에 사용되어 니들에 실을 안내하는 세라믹재를 이용하는 얀가이드
CN104704152B (zh) 用于递送纬线的设备
CN220099331U (zh) 一种大圆机的导纱结构
RU21314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ударов шатуна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направляющих нитей кругловязальной машины
KR20090018583A (ko) 재봉틀 작동 중의 직물 공급을 위한 피이더
CN217948460U (zh) 缝制设备陶瓷跳线弹簧装置
CN205133928U (zh) 经编机中的纱线张紧器
KR200204929Y1 (ko) 직기의 종광틀 사이드 프레임
CN102691163A (zh) 针织输纱装置
KR0137833Y1 (ko) 레피아직기의 위사전달용 좌우측 레피아의 구조
US5462095A (en) Picking device with selected spools for a water-jet loom
US2900144A (en) Thread guide
KR200485779Y1 (ko) 실타래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