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717B1 - 리본직기 - Google Patents

리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717B1
KR100385717B1 KR1019970703745A KR19970703745A KR100385717B1 KR 100385717 B1 KR100385717 B1 KR 100385717B1 KR 1019970703745 A KR1019970703745 A KR 1019970703745A KR 19970703745 A KR19970703745 A KR 19970703745A KR 100385717 B1 KR100385717 B1 KR 10038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ribbon
needle
yar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시스코 스페이흐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7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oms (AREA)

Abstract

리본직기는 위사의 고리(4)를 직물구획(8)내에 삽입하기 위한 위사삽입침(12)을 포함하고 있다. 위사고리는 위사삽입침(12)에서 원격한 직물(16)측에서 편침(18)에 의해 결착된다. 삽입침(12)은 송풍장치(36) 및/또는 흡입장치(38)형으로 된 공압작동 보상장치(32)를 포함하는 위사(20)용 공급장치(22)에 의해 지원된다. 삽입침(12)은 또한 위사를 위한 별도의 안내눈구멍(34)을 갖고 있다. 이렇게 하여 리본직기가 고속으로 운전될 때 위사의 정확한 제어를 확실하게 하는 특히 효과적인 보상장치가 얻어진다. 직물가장자리는 항상 설정폭에 인장되어 일정폭에 유지된다.

Description

리본 직기
상기한 종류의 리본직기는 다양한 형태로, 예컨대 GB-B-2 039 547로 알려져있다. 리본직기는 위사공급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위사삽입침을 포함하고 있고, 위사공급장치는 위사주행방향으로 보아 위사원, 위사브레이크, 위사이송장치 및 위사보상장치를 갖고 있다. 위사보상장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왕복진동하는 분지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위치에서는 분지스프링은 위사삽입침에 의해 위사고리가 직물구획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사를 해방시킨다. 위사삽입침이 직물구획으로부터 배출할 때에는 분지스프링은 제 2 위치를 취하며, 이 위치에서는 분지스프링은 위사준비물을 받고 이어서 그 위사를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간극내에 고정시켜 더 이상의 진행을 방지한다. 위사가 새로이 직물구획내에 삽입될 때는 위사는 다시 긴장되고 분지스프링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되고, 그와 동시에 위사는 고정되었던 판스프링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보상장치는 작동이 비교적 완만하고 따라서 이 장치가 구비된 리본직기는 그 작동회전수에 제한을 받고, 특히 위사의 제동(고정) 판스프링내 진입배출이 리본직기의 성능을 제한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와 같은 기계적 보상장치를 가진 리본직기는, 그 성능, 즉 최대 회전수가 2,500 RPM으로 제한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이상의 회전속도를 가진 그런 리본직기를 작동시키면, 중력문제가 발생한다. 분지스프링들은 파괴될 수도 있고 및/또는 그것들은 임계진동범위에 이를 수 있고 이런 진동범위에서는 더 이상 위사의 장력이 제어될 수 없다. 고유진동과 관성력으로 인해 처리하려는 위사의 파열력보다 클 수 있는 큰 탄성력이 요구된다. 큰 분지스프링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텅형 편침의 내구수명은 1/2시간으로 강하된다. 그 위에 과도하게 높은 위사장력의 결과로 제조하려는 리본의 심한 직조수축이 일어나서 리본은 일정한 폭에 유지될 수 없고 특히 리본직기의 정지시에 폭이 좁다. 그 위에 과도히 높은 위사장력이 요구되는 결과로 가장자리 사의 파단이 일어난다.
관례적 리본직기의 경우 오늘날 모든 편물코 가장자리 제품종류는 텅 니이들이라고도 지칭되는 텅형 편침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그런 텅형 편침은 단지 회전수 2,500 RPM 이하에만 적합하다. 그 이상의 회전속도에서는 후크와 텅에 파단이 생기는데, 이것은 텅이 감쌀 때의 높은 속도의 결과이다. 텅형 편침의 내구수명은 회전속도 2,500 내지 4,000 RPM의 경우 대략 1 내지 4 시간인데, 이것은 실용상 용납될 수 없다.
FR-A-2 368 561 및 US-A-3 502 253로부터 각각 북(Shuttle) 없는 직기를 위한 위사용 공압식 보상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서는 위사가 위사준비물로부터 그때 그때 공급장치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유출되어 공압식 보정장치에 공급된다.보상장치에서는 계속적으로 공급된 위사가 고리준비물로 형성되고 그것으로부터 위사삽입에 필요한 길이의 위사가 매 위사삽입을 위해 주기적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보상장치로부터 나오는 위사는 제어된 고정장치를 통하여 송풍노즐에 안내되며 이 송풍노즐은 적당한 순간에 위사섹션을 개방된 직물구획내에 분출된다. 분출된 위사섹션의 길이는 고정장치의 개방시간에 의해 정해진다. 위사삽입은 고정장치의 폐쇄에 의해 중단되고 삽입된 위사섹션(개별위사)은 절단장치에 의해 공급된 위사로부터 절단된다. 고정장치는 삽입시키려는 위사섹션을 조절하고 또한 인접하는 두 삽입과정 사이에 위사가 송풍노즐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 위사공급은 위사삽입침을 가진 기본직기에는 분명히 전혀 적합하지 않다. 그런 니이들 리본 직기에서는 위사는 어떤 시간에도 섹션들로 절단되지 않고 중단없이 제조하려는 직물과 연결되어 있고 위사고리(이중위사)의 형태로 직물구획내에 삽입되어 한 직물측면에서 편침에 의해 결착된다. 고정장치는 실제로 중단없이 위사가 직물에 이송되는 것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고 완벽한 직물가장자리의 형성에 필요한 위사의 후퇴를 또한 방해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1의 대개념에 의한 리본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본직기의 실시예를 이하 개략적인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위사배출신호 발신시 리본직기의 위사공급장치의 블록도식 표시도이고,
도 2는 위사삽입 개시시 변동된 편침을 가진 도 1의 위사공급장치도이고,
도 3은 위사삽입시 도 2의 위사공급장치의 표시도이고,
도 4는 제 1 위사보상장치의 약시도이고,
도 5는 제 2 위사보상장치의 약시도이고,
도 6는 위사의 주행방향으로 절단된 제 3 위사보상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는 도 6의 Ⅶ-Ⅶ선을 따른 도 6의 위사보상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는 슬라이더 니이들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9는 슬라이더를 따른 개방상태의 슬라이더 니이들의 헤드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폐쇄상태의 도 9에 의한 슬라이더 니이들의 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도 9의 슬라이더 니이들의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바디, 4:위사고리, 6:경사, 8:직물구획, 10:직물가장자리, 12:위사삽입칩,
14:축선, 16:직물, 18:편침, 18a:슬라이더 니이들, 20;위사, 22:공급장치,
24:위사원, 26:위사브레이크, 28:이송장치, 30:위사감시기, 32:보상장치,
32a:보상장치, 34:안내눈구멍, 36:송풍장치, 38:흡입장치, 40:송풍노즐,
42:도관, 44:송풍기, 45:고압공기, 46:흡입노즐, 48:관, 49:흡입공기,
50:송풍장치, 51:주위공기, 52:직물가장자리, 54:후퇴고리, 56:직조고리,
58:위사경로, 60:위사공급물, 62:다리, 64:다리, 66:위사흡입부,
68:위사공급부, 70:채널섹션, 72:송풍노즐, 74:송풍류, 76:진행방향,
78:위사준비물, 80:안내, 82:챔버, 84:소변측, 86:위사공급부,
88:위사흡입부, 90:위사감시기, 91:감시광, 92:흐름방향/흡입공기,
94:니이들헤드, 96:후크, 98:침축, 100:후크레버, 102:중공축,
104:슬라이더, 106:슬라이더 레버, 108:축, 110:축선, 112:운동평면.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류의 리본직기의 고성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본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보상장치를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송풍장치 및/또는 흡입장치로 형성시킴으로써 그 위사 보상장치가 실직적으로 질량이 없고 또는 처리하려는 위사의 질량에 한정되는 가벼운 리본직기가 얻어진다. 그리하여 위사의 장력은 절대적으로 일정하게 또한 가장 깊은 값(큰값)에 유지될 수 있는데, 이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조절 가능한 공급장치의 성분들에 의해 위사재료 및/또는 직조조건에 의해 주어지는 관계에 실질적으로 적합화될 수 있다. 따라서 완벽한 리본직기를 위해, 삽입되는 위사고리를 위해 요구되는 후퇴장력이 정히 제어될 수 있고 장력의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조절 가능한 안내눈구멍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리하여 이제 공지의 리본직기에 비해 훨씬 높은 회전속도인 3,000 내지 6,000 RPM 으로 작동될 수 있는 리본직기의 성능에 대한 새로운 장이 열리는 것이다.
리본직기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청구항 2 내지 4에 기재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에 의한 양태로, 이를 통해 청구항 12에 의한 위사의 연신이 안내눈구멍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보상장치에 관한 여러 실시 가능성이 생기는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청구항 3에 의한 것이며, 그 이유는 챔버에 의해 위사의 정확한 안내가 보장될 수 있어, 공기류의 위사에 대한 작용이 정확히 결정되고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챔버의 유리한 형상은 청구항 4에 기재되어있다. 청구항 5에 의한 추가양태는 챔버내 위사의 감시를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청구항 6은 보상장치의 실시양태의 추가가능성을 기재하고 있다.
청구항 7 내지 9에 의한 리본직기의 양태는 위사의 섬세한 제어, 따라서 한편으로는 사품질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직조조건에의 적합화에 기여한다. 위사의 공급장치는 청구항 10에 의한 이점으로 인해 위사삽입침이 배출될 때 및 진입할 때위사가 연신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위사 삽입시에 필요한 위사준비물(비축위사)이 대단히 적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 사이클 중 있을 수 있는 위사 진동도 방지되는데, 그 진동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사에 부하로 작용하고 직조과정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청구항 11에 의해 위사삽입침의 배출 및 진입시 위사의 연신은 바람직하게는 위사 이송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위사삽입침의 배출 및 진입시 위사의 연신의 조절은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2에 따라 안내눈구멍에 의해 행해지며, 그때 직물가장자리는 항상 조절된 리본 폭에 맞게 팽팽히 당겨지고 정확 일정한 폭에 유지된다.
위사고리가 직물구획내에 삽입된 뒤 위사고리를 결착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통상적인 리본직기의 회전속도(3,000 RPM 까지)까지는 여러 편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통상적인 텅형 니이들 및 크로헷 니이들(Crochettnadel)이 사용될 수 있다. 고속회전의 리본직기의 경우에는, 청구항 13에 의한 슬라이더 편침(단축해서 슬라이더 니이들)은, 실제로 완전한 기능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필요한 사용수명도 제공하는 독특한 구조를 나타낸다. 슬라이더 니이들은 텅(설상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텅형 니이들과 관련된 문제점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청구항 14에 따라 후크 부분 및 슬라이더 부분을 위한 공동의 선회축을 배치함으로써 이 두 부분의 정확한 주행이 가능해진다. 그럼으로써 마모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된다. 또한 두 부분은 상호간에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고 한 번 조절된 값은 리본직기 작동중 계속 일정히 유지된다. 위사 및 약간의 보조사의 파지확실성은 고속 회전시에 완벽하게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슬라이더 니이들이 틀림없이(필연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기 때문이다. 슬라이더 니이들이 청구항 15에 따라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하다.
도 1 내지 도 3은 위사삽입침의 여러 동작상태에 있어 블록도식으로 도시된 리본직기의 중요성분들을 표시한다. 리본직기는 바디(2)를 갖고 있고, 이 바디는 경사(6)로 구성된 직물구획내에 삽입된 위사고리(4)를 직물가장자리(10)에 밀착시킨다. 위사고리(4)를 삽입시키는 데는 위사삽입침(12)이 사용되며, 이 위사삽입침은 낫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14)주위로 왕복 선회될 수 있다. 위사삽입침(12)이 배치된 삽입측 반대편 직물(16)측, 즉 제조된 리본측에는 위사고리(4)를 결착하는역할을 하는 편침(18)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편침이 텅니이들로 형성되어있고 도 2 및 3에서는 슬라이더 니이들(18a)로 되어 있는데 도 8 내지 도 11에 따라 이것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위사(20)는 공급장치(22)에 의해 위사삽입침(12)에 공급된다. 이 공급장치는 위사의 진행방향으로 보아 다음 성분들을 갖는다. 위사원(24)으로서는 예컨대 위사스풀이 사용되고, 이 스풀로부터 위사(20)가 예컨대 조절 가능한 사브레이크(26)를 통해 이송장치(28)에 도달하고 이 장치가 위사(20)를 조절 가능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거기서부터 위사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형성된 위사감시기(30)를 통해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보상장치(32)에 도달하고 다시 위치조절 가능한 안내 눈구멍(34)을 통해 위사삽입침(12)에 이른다. 사감시기는 도시된 것 같은 전단위치 대신에 보상장치의 후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공압작동 보상장치(32)는 위사와 공동작용하는 송풍장치(36) 및/또는 흡입장치(38)를 갖고 있다. 송풍장치(36)는 송풍노즐(40)을 갖고 있고, 이 노즐은 관(42)을 통해 송풍기(44)과 연결되어있으며 이 송풍기는 고압공기(45)를 발생한다. 이와 유사하게 흡입장치(38)에는 흡입노즐(46)이 장비되어 있고, 이 노즐은 관(48)을 통해 송풍장치(50)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있어 흡입공기를 발생한다. 도 1에 있어 보상장치(32)는 송풍장치(36) 및 흡입장치(38)로 표시되어 있고(이루어져 있고), 흡입공기(49)는 흡입된 주위공기(51)에 의해 형성된다. 도 2 및 3에서는 단지 흡입장치(38)만이 사용되는데 이 장치는 도 6 및 7에 따라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공압식 보상장치(32)는 한편으로는, 위사고리가 직물구획내로 도입될 때 위사의 중간유출에 의해 조건지어지는 위사준비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상장치는 또한 위사고리를 직물구획내로 도입하는데 필요한 장력을 위사에게 부여하는 역할도 한다.
도 1에는 위사삽입침이 배출위치에 있는데, 이 위치에서는 위사가 직물가장자리(52)와 안내눈구멍(34) 사이에서 직조고리(56)세트를 위한 후퇴고리(후퇴형태의 고리)(5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또한 직물구획(8)에 삽입된 위사고리(4)가 직물가장자리(10)에 밀착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바디(2)의 후퇴와 동시에 위사삽입침(12)의 삽입동작이 시작된다. 도 2에는 위사고리 삽입 전 위사삽입침이 안내눈구멍(34)앞을 통과할 때의 위사삽입침의 상태를 보여주는데, 이 상태에서 공급장치 특히 보상장치(32)의 성분들은, 보상장치(32)로부터의 잉여길이의 위사가 흡수되어 위사가 안내눈구멍(34)과 직물가장자리(52)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충분한 위사장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위사경로(58)가 어떠할 것인가는 점선으로 표시되어있다. 이송장치(28)는, 이 상태에 있어 도 3에 표시된 위사고리의 직물구획내 삽입중에는 부상하는 위사공급물(60)이 보상장치내에서 형성되도록, 조절된다. 도 3에 도시된 단계에서는 위사삽입침에 의해 위사고리(4)가 직물구획(8)내에 삽입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위사가 위사고리 결착시 편물코를 형성하도록 편침(18a)내에 도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도 성분들, 특히 공급장치(22)의 보상장치(32)는 위사고리가 양다리(62, 64)를 연신한 채 직물구획(8)내에 도입되도록 조절된다. 위사삽입침(12)이 배출할 때에는 직물구획(8)으로부터는 아무 위사(20)도 요구되지 않는다. 그 때는 일정히 동작하는 이송장치(28)가 연속적으로 위사를 공급하고 그 위사를 보상장치가 위사공급물(60)로서 수취하여 다음 위사 사이클을 위해 준비 유지한다.
공급장치(22)의 각 성분들은,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상세히 표시되지 않은 적당한 제어장치에 의해 차례로 동조된다.
도 4는 송풍장치(36)로 구성된 보상장치(32)를 표시하고 있는데, 거기에서는 송풍노즐(40)이 위사흡입부(66)와 위사공급부(68) 사이에서 안내되는 위사(20)에 작용하고, 이들 안내는 도 6 및 7에 표시된 챔버(82)와 유사한 편평(납작한) 챔버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추가의 보상장치(32a)를 보여주는데, 거기에서는 위사(20)가 채널섹션(70)내에서 안내되고, 그 채널에는 송풍노즐(72)이 연접하는데 사실 송풍류(74)가 위사의 진행방향(76)에 대해 반대로 배향되도록 하는 각도로 연접한다. 그 때에는 위사가 채널섹션(70)의 단부와 안내(80) 사이에 위사준비물(78)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된, 흡입장치(38)로 구성된 보상장치(32)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흡입장치는 편평챔버(8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편평챔버는 소변측(84)에는 위사공급부(86)를 그리고 다른 소변측에는 위사흡입부(88)를 갖고 있다. 편평챔버의 폭(B)은 바람직하게는 위사(20)의 두께(D)의 50배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도록 정해진다. 편평챔버의 길이(C)는 폭(B)보다 크다. 흡입노즐(46)의 편평챔버(82)는 관(48)으로 이행된다. 편평챔버(82)에는 개방측에 위사감시기(90)가 비치되어 있고, 이 감시기는 위사(20) 또는 위사공급물(60) 주위를 감시하기 위해 다이오드의 감시광(91)에 의해 흡입공기류의 흐름방향(92)내로 지향한다. 흡입은 미도시된 공지의 흡입펌프에의해 행해진다.
도 8 내지 도 11은 그 기본구조가 예컨대 CH-PS 644로부터 알려져 있는 슬라이더 니이들장치를 보여준다. 슬라이더 니이들(18a)은, 중공 침축(98)에 배치되어있는 후크(96)를 가진 니이들헤드(94)로 구성되어 있다. 침축은 중공축(102)에 결합된 후크레버(100)에 고정되어 있고, 중공축은 필요한 선회운동을 수행한다. 슬라이더 니이들은 중공 침축(98)을 통해 안내되는 슬라이더(104)를 포함하고 있고,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레버(106)에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더레버 자체는 축(108)에 배치되어 있고, 그 축은 중공축(102)내에 위치되어 슬라이더(104)의 왕래운동을 지원한다. 따라서 후크(96)의 중공축(102)과 슬라이더(104)의 축(108)은 공동의 축선(110) 주위에 동축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슬라이더 니이들(18a)이, 경사(6)에 의해 구성되어있는 직물구획(8), 위사삽입침(12) 및 바디(2)에 대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또한 보여준다. 도 9에는 니이들헤드(94)가 개방되어 위사고리(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테로 표시되어 있다. 편물동작을 위해서는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슬라이더 니이들(18a)이 폐쇄된다.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슬라이더 니이들(18a)의 후크(96)는 위사삽입침 또는 직물(16)의 반대편쪽에서 슬라이더 니이들(18a)의 운동평면(112)에 대해 0°내지 180°의 각도가 적당하다.

Claims (15)

  1. 위사(20)를 긴장시키는 위사보상장치(32,32a)와 함께 위사공급장치(22)가 할당되어 있는 위사삽입침(12), 및 직물구획(8)내에 삽입된 위사고리(4)를 결착하기 위한 편침(18,18a)을 구비한 리본직기에 있어서,
    보상장치(32,32a)는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송풍장치(36) 또는 흡입장치(38)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 주행방향으로 보아 보상장치(32,32a) 후방 및 위사삽입침(12) 전방에 별도의 위사 안내눈구멍(3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 안내눈구멍(34)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송풍장치(36) 또는 흡입장치(38)는 편평한 사각형모양의 챔버(82)를 갖고 있으며, 이 챔버는 소변측(84)에 위사공급부(68,86) 그리고 다른 소변측에 위사흡입부(66,8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챔버(82)의 폭(B)은 위사(20)의 두께의 50배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고 길이(C)는 폭(B)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5. 제 3항에 있어서, 챔버(82)내에 있어, 공기류의 흐름방향(92)으로 사의 절단 또는 유출이 위사감시기(90)에 의해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보상장치(32a)는 위사(20)를 위한 채널섹션(70)을 갖고 있고, 송풍노즐(72)이 송풍류(74)가 위사(20)의 진행방향(76)에 대해 반대로 작용하도록 예각하에 채널섹션에 연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7. 제 1항에 있어서, 위사브레이크(26)가 보상장치(32,32a)에 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8. 제 1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형성된 위사감시기(30)가 보상장치(32,32a)에 전치 또는 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공급장치(22)는, 보상장치(32,32a)에 전치된, 위사원(24) 및 위사이송장치(2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공급장치(22)는, 위사삽입침(12)의 배출시 및 진입시 위사(20)가 연신하도록, 조절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위사삽입침(12)이 배출할 때 및 진입할 때 위사(20)의 연신은 위사 이송장치(28)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위사삽입침(12)이 배출할 때 및 진입할 때 위사(20)의 연신은 위사 안내눈구멍(3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13. 제 1항에 있어서, 편침은 슬라이더 니이들(18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후크부분(96,98,100) 및 슬라이더부분(104,106,108)이 동일축(110) 주위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니이들(18a)의 후크부분의 후크(96)는 직물(16)의 위사삽입침(12) 반대쪽에서 슬라이더 니이들의 운동평면(112)에 대해 0°내지 18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직기.
KR1019970703745A 1994-12-22 1995-12-19 리본직기 KR100385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4205620 1994-12-22
DEG9420562.0U 1994-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717B1 true KR100385717B1 (ko) 2003-08-19

Family

ID=4951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745A KR100385717B1 (ko) 1994-12-22 1995-12-19 리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7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1576B2 (ko)
US5878787A (en) Ribbon loom with separate guide eye
JPS60209053A (ja) 織機
US7073399B2 (en) Yarn processing system
JP2933900B2 (ja) 織機等におけるかがり縁の形成装置
US4785856A (en) Apparatus for presenting weft threads to a gripper in shuttleless looms
KR100385717B1 (ko) 리본직기
US4540028A (en) Shuttleless weaving machine with gripper systems for the filling yarn insertion into and retraction from the shed
KR940007105B1 (ko) 공기식 직기용 급사기의 위사 발진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장치
SU1482535A3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JPH0447053B2 (ko)
US5423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stresses in weft yarn advancing towards a weft insertion mechanism
US4134435A (en) Weft storage means for fluid jet loom
KR20000071170A (ko) 위사용 원사 이송량 측정 장치
JPS63105148A (ja) 糸緊張装置
US5065796A (en) Loom temple control system to vary pick density
US5529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woven fabric by water-jet loom
US3487436A (en) Weft thread cutting arrangement
KR102047283B1 (ko) 직기용 위사 공급 장치
US4544001A (en) Weft yarn into the shed of a weaving machine
US75593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retching
US7740030B2 (en) Selvedge forming apparatus, weaving machine with a selved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elvedge
US4492174A (en)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KR100464726B1 (ko) 재봉기및기계재봉방법
GB2068422A (en) Weft patte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