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612A -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 Google Patents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612A
KR20080082612A KR1020087012382A KR20087012382A KR20080082612A KR 20080082612 A KR20080082612 A KR 20080082612A KR 1020087012382 A KR1020087012382 A KR 1020087012382A KR 20087012382 A KR20087012382 A KR 20087012382A KR 20080082612 A KR20080082612 A KR 2008008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free ends
splint
inflatable member
va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458B1 (ko
Inventor
아이다 아스타니
부룩하드 페터스
마르쿠스 피. 카레이
Original Assignee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아이다 아스타니
부룩하드 페터스
마르쿠스 피. 카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258,441 external-priority patent/US7628156B2/en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아이다 아스타니, 부룩하드 페터스, 마르쿠스 피. 카레이 filed Critical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31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 A61F2/005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with pressure applied to urethra by an element placed in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31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 A61F2/0036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implantable
    • A61F2/0045Support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61F2250/0064Sets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sthetic parts of different siz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25Artificial sphincter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urinary incontin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질 부목 조립체 및 다양한 골반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그 사용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질 부목 조립체의 일 실시예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이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 섹션을 더 포함한다. 제1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의 제1 자유 단부를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고, 제2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의 제2 자유 단부를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2 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Figure P1020087012382
질 부목 조립체, 연결부, 측부, 베이스 부분을 첨단 섹션

Description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05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258,441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다양한 골반저 탈출증(pelvic floor prolapse condition)을 교정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런 용도를 위한 질 임플란트(vaginal implant)에 관한 것이다.
미국 내에서 각 해마다 약 200,000 여성이 골반 기관 탈출(organ proplapse) 수술을 받는다. 골반 기관 탈출은 일반적으로 입구를 향한(또는, 극단적 경우에 입구를 넘어 돌출하는) 질을 따른, 자궁, 방광 또는 직장 중 하나 이상의 하강을 수반한다. 나이든 여성 또는 다수의 자녀를 출산한 여성들은 골반 기관 탈출이 보다 빈번히 발생한다. 이들 증세를 치료하기 위한 전형적인 질 수술은 30-40% 사이의 높은 실패율과 연계되어 있다. 복부 천골 질고정술 같은 복잡하고 정교한 복부, 질 및 복강경 절차가 탈출 재발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불 행하게, 이들 절차는 높은 수준의 수술 숙련을 필요로 하며, 단지 소수의 전문 의사에게만 가능하며, 따라서, 소수의 환자들에게만 가능하다. 현재 사용 중인 다양한 절차의 세부사항은 Boyles SH, Weber AM, Meyn L.의 "미국내 골반 기관 탈출을 위한 절차(procedures for pelvic organ prolapse in the United States)(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2003, 188; 108=115)"에 기술되어 있다.
최근, 탈출에 의해 손상된 질벽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 재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도너 대퇴 근막, 돼지 진피 및 다양한 유형의 합성 메시 같은 보철 재료가 각양 각색의 성공과 함께 사용되어 왔다. 이들 재료는 일반적으로 질벽 또는 벽들 아래에 배치되며 적소에 봉합된다.
WO 2004/045457은 손상된 질벽을 치료하는데 보철 재료를 사용하고, 후속하여 질내 부목을 삽입하는 다른 접근법을 개시한다. 부목(splint)은 질 내에 배치되며, 질 벽의 이동성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치료는 통상적으로, 질의 후방벽, 질의 전방벽 또는 양자 모두 중 어느 하나를 절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폴리프로필렌 메시 또는 기타 직물 같은 합성 재료나 오토로그(autologous) 또는 아날로그 재료의 그라프트(graft)가 질벽과 탈출 기관 사이의 절개된 영역에 배치된다. 그후, 질 절개부는 봉합 또는 다른 조직 폐쇄 수단에 의해 폐쇄되며, 이 때, 질 부목이 질 내에 삽입되고 각 벽에 고정된다. 부목은 질을 안정화하고, 이를 신장된 상태로 유지하며, 그라프트가 미끄러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라프트를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결국, 그라프트의 각 측부의 띠 형상 조직은 그 안으로 침투하고 그에 의해서 인체 내에 합체된다.
그러나, WO 2007/045457에 의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특성은 서로 다른 크기의 환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부목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다. 단순히 다수의 다양한 크기의 부목을 제공하는 것은 경제적 해법이 아니다.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동시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58,441호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며, 본 출원이 그러한 바와 같이, 조절성 특성을 갖는 개선된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질 부목 조립체를 제공하며, 이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apical) 섹션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제1 자유 단부를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1 결합 요소와, 베이스 부분의 제2 자유 단부를 상기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2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결합 요소로 구성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결합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각각의 원위 자유 단부로 외향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각각의 원위 자유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원위 단부는 각각의 제1 및 제2 오목부와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은 그 제1 및 제2 자유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는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원위 자유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베이스 부분에 고정될 때, 조합된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이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다.
조립체는 내부에 유체 또는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할 수 있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된 상태에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의 상부면 및/또는 저부면을 초과하여 외향 연장한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의 골반저 탈출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의 제1 자유 단부를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1 결합 요소와, 베이스 부분의 제2 자유 단부를 상기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2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결합 요소로 구성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결합 요소들을 포함하는 질 부목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환자의 질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첨단 섹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질 부목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선택된 첨단 섹션을 베이스 부분에 결합하는 단계와; 환자의 질 내로 질 부목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가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베이스 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결합 요소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부터 각각의 원위 단부로 외향 연장할 수 있고,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각각의 원위 자유 단부를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제1 및 제2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원위 단부는 각각의 제1 및 제2 오목부와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조절가능한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가 베이스 부분에 고정될 때, 부목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다.
또 다른 방법에서, 부목 조립체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삽입 단계에 이어, 팽창가능한 부재가 부목의 상부면 및/또는 저부면을 초과하여 외향 연장할 때까지 내부에 유체 또는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가능한 부재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고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벌룬(balloon)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제1 기간이 경과한 이후, 환자로부터 질 부목을 제거하는 부가적 단계를 더 포함한다. 팽창가능한 부재가 부목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이 방법은 제1 기간이 경과한 이후 팽창가능한 부재를 수축 및 제거하는 단계와, 제1 기간 보다 큰 제2 기간이 경과한 이후 부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질 부목 조립체가 제공되며, 이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 섹션을 포함한다. 이 조립체는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를 베이스 부분에 결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첨단 섹션은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가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대향 배치되도록 베이스 부분에 대하여 배치된다. 결합 수단은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첨단 섹션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제1 및 제2 원위 자유 단부를 각각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을 위해,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었을 때, 조합된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다.
이 조립체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팽창가능한 부재는 내부에 유체 또는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될 수 있고, 팽창된 상태에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의 상부면 및/또는 저부면을 초과하여 외향 연장한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목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상면도.
도 2,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수축된 상태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갖는 도 1의 실시예의 상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팽창된 상태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갖는 도 1의 실시예의 상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골반저 치료를 위해 부목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메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탈출증 치료를 위한 골반 내의 예시적 메시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환자 내에 본 발명의 부목의 배치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7은 팽창된 상태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갖는, 환자 내부의 도 2의 부목을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그 용례 및 용도가 첨부 도면 및 설명에 예시된 구조 및 부품의 배열의 세부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은 발명은 다른 실시예, 변형예 및 변용으로 구현되거나 통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서, 질내 부목 조립체(100)는 단일 베이스 부분(102)과 둘 이상의 첨단 섹션(즉, 104a, 104b, 104c)을 포함하며, 이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는 추가로 후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하나의 첨단 섹션이 베이스 부분에 결합될 때, 부목(101)이 형성되며, 부목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연결부(106, 108)(그 중 하나는 나머지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함)과, 제1 및 제2 측부 부재(107, 109)에 의해 형성되는 실질적 사다리꼴 전체 구조(도 2 참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측부 부재(107, 109)는 제1 연결부(106)의 제1 및 제2 단부(114, 116)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110, 112)와, 첨단 섹션(104a)의 제2 연결부(108)의 제1 및 제2 단부(122, 124)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118, 120)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측부는 각 측부에서 각각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 소(126, 128)를 통해 단부끼리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결합 요소(126, 128) 각각에 대하여, 그 제1(130, 132) 및 제2(134, 136) 단부는 각각 베이스 부분과 조절가능한 첨단 섹션 내의 대응 공동 또는 오목부(138, 140; 142, 144) 내에 수용된다. 결합 요소 및 대응 오목부는 두 부재를 함께 고정하는 꼭 맞 는 억지끼워맞춤을 달성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지정된 힘의 인가는 두 부재를 분리시키도록 억지끼워맞춤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는 실질적으로, 격자, 로드형 요소이며, 그 각 단부 상에 구근형 부분(146)을 갖는다. 제1 단부(130, 132)는 첨단 섹션 중 임의의 것의 오목부(142, 144) 내에 제2 단부(134, 136)가 제거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상태로 베이스 부분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첨단 섹션은 그에 고정된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제1 단부가 베이스 부분 내의 대응 오목부 내에 수용가능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질 부목 조립체는 둘 이상의 첨단 섹션을 포함하며,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04a), 제2(104b) 및 제3(104c) 첨단 섹션을 포함한다. 각 첨단 섹션은 크기 및 형상이 유사하지만, 각각 서로 다른 길이(l1, 12, 13)를 갖는다. 각각은 제1 첨단 섹션(104a)에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유사한 오목부(142a, 142b; 144a, 144b)를 더 구비한다. 질 부목 조립체의 첨단 섹션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지만, 나머지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상태에서, 첨단 섹션은 베이스 부분과 상호교체가능하여, 개별 환자에 보다 양호하게 부합하는 부목(101)을 보증한다.
상술된 부목은 의료 등급의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라텍스 또는 SantopreneTM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천연 고무 및 전술한 재료의 혼 합물 또는 조합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생체친화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부목은 액체 사출 성형, 열가소성 성형, 다이 커팅, 기계가공, 인서트 성형 또는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진 임의의 다른 제조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부목은 탄성적이며, 그 종축(X-X)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는 질내로의 부목의 용이하게 삽입을 촉진시킨다. 측부 부재(107, 109) 또는 그 부분들은 보다 강성적인 프레임을 얻기 위해 로드, 두꺼운 벽, 모다 고 경도(durometer)의 플라스틱, 굴곡에 저항하기 위한 측부 아암의 윤곽형성 또는 성형 또는 부분 등의 선택적 열처리에 의해 보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부목은 또한 제1 및 제2 연결부(106, 108)와 제1 및 제2 측부 부재(107, 109) 사이의 영역을 실질적으로 덮도록 부목의 상부 및/또는 저부 측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얇은 멤브레인(150)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목은 벌룬 같은 팽창가능한 부재(152)가 통과하여 제1 및 제2 연결부와 제1 및 제2 측부 부재 및 만약 존재한다면, 상부 및 저부 멤브레인의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제1 연결부(106)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 구멍 등(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에 제거가능하게 또는 제거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런 팽창가능한 부재의 다른 세부사항은 도 2 내지 도 2b와 도 3 내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한 부재(152)에는 팽창가능한 부재의 내부 중공부와 소통하면서, 유체가 그를 통해 주입될 수 있는 도관을 갖는 팽창가능한 튜브(154)가 부착된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도 2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로 상술한 바와 같은 부목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합된 부목 및 팽창가능한 부재는 질 내로 도입되고, 도 3 내지 도 3b에 도시된 것 같은 적절히 팽창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유체 주입(예로서, 식염수, 공기 등)에 의해 가압된다. 팽창가능한 부재의 추가로, 부목은 측부 질벽 및 질의 상위 형상부(superior aspect)와, 질의 상부 및 하부벽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부목은 삽입된 질의 중공부를 보다 완전하게 충전하고, 종래 기술에 비해 더 많은 표면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팽창가능한 부재가 단지 일 단부에서만 헐겁게 부목에 바람직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팽창가능한 부재 상의 압력은 부목 상의 압력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부목은 그 원하는 위치에 남아있고, 벌룬과 질벽 사이의 비균등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력을 받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부목은 지혈 효과를 가지며, 그에 의해, 환부 치유 및 강도를 향상시키고, 질 근막 조직 내로 통합되어 있는 동안 망(mesh)의 변위 및 이동을 감소시키며, 천골극 인대, 자궁천골 인대 또는 질옆 조직 같은 구조체 내에 지지 봉합부를 사용할 필요성을 회피한다. 이런 봉합부는 종종 설치가 곤란하고, 현저한 통증 및 환자 질병율과 연계되어 있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조직 관류를 방해하지 않도록 낮은 압력하에 큰 직경으로 팽창하도록 최소로 연장가능한 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든 접촉점에서 팽창가능한 부재와 조직 사이에 균등한 압력을 제공한다. 반대로, 높은 팽창 압력 및 크게 연장가능한 측벽을 갖는 팽창가능한 부재는 신체 공동에 쉽게 부합될 수 없다. 부가적으로, 비교적 얇은 벽을 갖는 것은 질벽 상에 압력점을 생성하지 않 고 질의 내부 경사부에 대한 팽창가능한 부재의 양호한 부합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팽창가능한 부재에 질이 부합되는 대신, 질의 형성에 팽창가능한 부재가 부합된다. 팽창가능한 부재를 위한 적절한 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또는 유사한 연장 특성을 갖도록 조성될 수 있는 기타 유사 재료를 포함한다. 특히, 폴리우레탄은 양호한 인열, 절단 및 천공 내성 같은 이상적인 기계적 및 형상적 특성을 갖는 이런 팽창가능한 부재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블로우 성형, 딥 몰딩,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가지 양호한 방법에 따라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예비 압출된 배관 상에 블로우 성형되며, 예비 압출된 배관은 블로우 성형 프로세스에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신장되고, 중합 사슬은 펼쳐져서 평행하게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목 조립체를 사용하여 골반저 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이제 설명된다. 배경 참조를 위해, 이들 도면 각각은 방광(195), 질(196), 경부(199) 및 직장(197)을 포함하는 골반 해부학구조의 다양한 양태를 예시한다. 질벽을 덮는 질 상피에 먼저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피는 근막으로부터 박리되어 원거리에 유지된다. 그후, 측방향 해부가 양 측부 상에서 골반 건 궁 근막(arcus tentinous fascia pelvic)으로, 그리고, 그를 통해, 질옆 공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근막은 상피가 근막 벽 밖으로 결집된 이후에 주름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 같은 적절한 임플란트가 노출된 근막의 결손부 위에 배치된다. 전방 치료를 위한 메시의 한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메시는 미국 뉴저지주 서머빌에 소재하는 에티콘 인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며,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메시(189)는 형상이 실질적 난형 형상이면서 측방향 연장 아암(192)을 갖는 중앙 본체부(190)를 구비한다. 결손부 위에 적절히 배치되고 나면, 메시의 측방향 연장 아암(192)은 측방향 연장 아암이 골반 뼈의 내부 특징부와 접촉하도록 동측 질옆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시는 그후 절차의 나머지 동안 이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봉합에 의해 근막에 부착될 수 있다. 잉여 질 상피는 그후 정돈되고, 전방 질벽이 봉합에 의해 폐쇄된다. 골반 내의 메시의 위치는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의사는 질의 크기를 결정한다. 질내 부목을 위한 정확한 크기가 결정되고, 적절한 크기의 첨단 섹션(104a, 104b, 104c)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고 나면, 부목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 내로 삽입된다. 부목은 하나 이상의 봉합사 또는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전방, 후방 또는 측부 벽의 질의 상피에 대해 질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후, 팽창가능한 부재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어 치유 기간 동안 부목이 그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팽창가능한 부재(152)는 근위 단부(212)에서 보다 원위 단부(210)에서 직경이 크도록 성형 및 크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위 단부는 경부 부근의 질의 첨단에 배치되며, 이는 질의 입구 개구 보다 직경이 자체적으로 더 크며, 보다 쉽게 팽창할 수 있다. 팽창가능한 부재는 1-2일의 기간 동안 질 내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시 더 긴 기간 동안 남아있을 수 있 다. 그후, 팽창가능한 부재는 수축되고, 부목 및 신체로부터 제거된다. 질내 부목은 바람직하게는 4주의 기간 동안 질 내에 유지되고, 그후, 합성 메시는 각 질벽 각각의 조직 내에 통합되고, 부목이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가능한 부재는 거즈로 질을 포장하는 일반적 실시에서 그러한 것처럼 탐폰삽입체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는 지혈을 위한 보다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질강에 보다 쉽게 부합되며, 보다 매끄럽고, 따라서, 덜 아프고, 조절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수의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부목이 혈액 또는 기타 유체를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잉여 또는 비일반적 출혈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 형태를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한 바를 제외하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4)

  1.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의 제1 자유 단부를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1 결합 요소와, 베이스 부분의 제2 자유 단부를 상기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2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결합 요소로 구성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결합 요소들을 포함하는, 질 부목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각각의 원위 자유 단부로 외향 연장하는, 질 부목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각각의 원위 자유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질 부목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원위 단부는 각각의 제1 및 제2 오목부와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하는, 질 부목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은 그 제1 및 제2 자유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구비하는, 질 부목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는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원위 자유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질 부목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은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베이스 부분에 고정될 때, 조합된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이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 질 부목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고, 팽창가능한 부재는 내부에 유체 또는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될 수 있고, 팽창된 상태에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의 상부면 및/또는 저부면을 초과하여 외향 연장하는, 질 부목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질 부목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된 벌룬인, 질 부목 조립체.
  11. 환자의 골반저 탈출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의 제1 자유 단부를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의 제1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1 결합 요소와, 베이스 부분의 제2 자유 단부를 상기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2 자유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결합 요소로 구성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결합 요소들을 포함하는 질 부목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환자의 질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첨단 섹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질 부목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선택된 첨단 섹션을 베이스 부분에 결합하는 단계와,
    환자의 질 내로 질 부목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고,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가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베이스 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 요소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부터 각각의 원위 단부로 외향 연장하고,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각각의 원위 자유 단부를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제1 및 제2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원위 단부는 각각의 제1 및 제2 오목부와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절가능한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가 베이스 부분에 고정될 때, 부목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부목 조립체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삽입 단계에 이어, 팽창가능한 부재가 부목의 상부면 및/또는 저부면을 초과하여 외향 연장할 때까지 내부에 유체 또는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가능한 부재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고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벌룬인,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1 기간이 경과한 이후, 환자로부터 질 부목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거 단계는 제1 기간이 경과한 이후 팽창가능한 부재를 수축 및 제거하는 단계와, 제1 기간 보다 큰 제2 기간이 경과한 이후 부목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반저 탈출증 치료 방법.
  20.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부와, 연결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각각 외 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첨단 섹션과;
    한번에 하나씩, 복수의 첨단 섹션 중 임의의 하나를 베이스 부분에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첨단 섹션은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가 하나의 첨단 섹션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대향 배치되도록 베이스 부분에 대하여 배치되는, 질 부목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결합 수단은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자유 단부로 외향 연장하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고, 첨단 섹션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제1 및 제2 원위 자유 단부를 각각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질 부목 조립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첨단 섹션 각각을 위해, 적어도 제1 및 제2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었을 때, 조합된 첨단 섹션과 베이스 부분은 전체적으로 실질적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 질 부목 조립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고, 팽창가능한 부재는 내부에 유체 또는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될 수 있고, 팽창된 상태에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부목의 상부면 및/또는 저부면을 초과하여 외향 연장하는, 질 부목 조립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고무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된 벌룬인, 질 부목 조립체.
KR1020087012382A 2005-10-25 2006-10-24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KR101301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58,441 US7628156B2 (en) 2005-10-25 2005-10-25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US11/258,441 2005-10-25
US11/334,966 US7673631B2 (en) 2005-10-25 2006-01-19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US11/334,966 2006-01-19
PCT/IB2006/003625 WO2007049154A1 (en) 2005-10-25 2006-10-24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612A true KR20080082612A (ko) 2008-09-11
KR101301458B1 KR101301458B1 (ko) 2013-08-29

Family

ID=3783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382A KR101301458B1 (ko) 2005-10-25 2006-10-24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73631B2 (ko)
EP (1) EP1951146B1 (ko)
JP (1) JP4824090B2 (ko)
KR (1) KR101301458B1 (ko)
AT (1) ATE442820T1 (ko)
AU (1) AU2006307601B2 (ko)
BR (1) BRPI0617886A2 (ko)
CA (1) CA2627383C (ko)
DE (1) DE602006009295D1 (ko)
ES (1) ES2331026T3 (ko)
IL (1) IL190655A (ko)
NZ (1) NZ567213A (ko)
RU (1) RU2375014C1 (ko)
WO (1) WO2007049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173A1 (ko) * 2021-08-05 2023-02-09 서울대학교병원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1218B1 (fr) 2000-07-05 2003-02-28 Patrice Suslian Dispositif implantable destine a corriger l'incontinence urinaire
US8167785B2 (en) 2000-10-12 2012-05-01 Coloplast A/S Urethral support system
GB0025068D0 (en) 2000-10-12 2000-11-29 Browning Healthca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US20060205995A1 (en) 2000-10-12 2006-09-14 Gyne Idea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GB0108088D0 (en) 2001-03-30 2001-05-23 Browning Healthcare Ltd Surgical implant
WO2004012579A2 (en) 2002-08-02 2004-02-12 C.R. Bard, Inc. Self anchoring sling and introducer system
GB0307082D0 (en) 2003-03-27 2003-04-30 Gyne Ideas Ltd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411360D0 (en) 2004-05-21 2004-06-23 Mpathy Medical Devices Ltd Implant
EP1909703A4 (en) 2005-08-04 2011-01-12 Bard Inc C R SYSTEMS AND METHOD FOR BASE IMPLANTS
US8092366B2 (en) 2005-11-14 2012-01-10 C. R. Bard, Inc. Sling anchor system
US8480559B2 (en) 2006-09-13 2013-07-09 C. R. Bard, Inc. Urethral support system
US8206280B2 (en) 2007-11-13 2012-06-26 C. R. Bard, Inc. Adjustable tissue support member
US8720446B2 (en) 2010-06-04 2014-05-13 Coloplast A/S Sacrocolpopexy suppor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20100261956A1 (en) * 2009-04-09 2010-10-14 Minnesota Medical Developm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lvic Floor Repair in the Human Female
US20110011407A1 (en) * 2009-04-09 2011-01-20 Minnesota Medical Developm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lvic floor repair in the human female
JP5525043B2 (ja) * 2009-05-28 2014-06-18 コンタイン コーポレーション 腹圧性尿失禁の矯正
DK200900718A (en) * 2009-06-08 2010-12-09 Coloplast As Anatomical augmentation device
US20110077456A1 (en) * 2009-09-30 2011-03-31 Bruce Drummond Prolapse repair device and methods of use
US9289278B2 (en) 2010-03-16 2016-03-22 Pelvalon, Inc. Intra-vaginal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ecal incontinence
JP5778242B2 (ja) 2010-03-16 2015-09-16 ペルベイ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便失禁のための膣内デバイス
EP2627284B1 (en) * 2010-10-13 2017-07-05 ConTIPI Medical Ltd. An intravaginal support apparatus
WO2012054985A1 (en) * 2010-10-29 2012-05-03 Carey Tasca Pty Ltd Method and devices for repair of vaginal wall or uterus
CN103702639A (zh) * 2010-12-22 2014-04-02 南佛罗里达大学 外展的阴道支架
AU2012312033A1 (en) 2011-09-22 2014-04-03 Pelvalon, Inc. Intra-vaginal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ecal incontinence
US9597222B2 (en) 2012-10-10 2017-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tra-vaginal device withdrawal assembly
US9339364B2 (en) 2012-10-10 2016-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travaginal device withdrawal assembly
US9974635B2 (en) 2013-02-14 2018-05-22 Pelvalon, Inc. Intra-vaginal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ecal incontinence
WO2014162363A1 (ja) * 2013-04-05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膣内部支持具及び流体注入デバイス
WO2014162362A1 (ja) * 2013-04-05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膣内部支持具及び流体注入デバイス
WO2014162364A1 (ja) * 2013-04-05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膣内部支持具及び流体注入デバイス
US9480546B2 (en) 2013-08-05 2016-11-01 Coloplast A/S Hysteropexy mesh apparatuses and methods
EP3348231B1 (en) 2017-01-16 2022-05-11 Coloplast A/S Sacrocolpopexy support
AU2017395751B2 (en) 2017-01-24 2023-11-02 Liv Labs Inc.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device
US11865032B2 (en) * 2019-11-18 2024-01-09 JSP Innovations LLC Device for alleviating dyspareunia
IT202000005593A1 (it) * 2020-03-16 2021-09-16 Adl Farm S R L “dispositivo endovaginale per la correzione del prolasso della vescica e dell’utero che integra un sistema di autolavaggio con lavande vaginali”
WO2023041956A1 (en) * 2021-09-15 2023-03-23 Adl Farmaceutici S.R.L. Endovaginal device for the correction of bladder and uterine prolapse incorporating a self-washing system with vaginal douch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00904A (en) 1960-07-05 J. Heuboski Walter Pessary
CA331100A (en) 1933-03-21 The Daue Surgical Appliance Corp. Pessary
US2475071A (en) * 1946-11-27 1949-07-05 Durex Products Inc Pessary
FR2520228A1 (fr) 1982-01-28 1983-07-29 Alsacienne Installation Tech Pessaire de grossesse
DE3720858A1 (de) 1987-06-24 1989-01-05 Thomas Moenks Vorrichtung zur behandlung der harninkontinenz bei frauen
DE9104155U1 (ko) 1991-04-06 1991-06-06 Steiner, Manfred, Dr.Med. Dipl.Rer.Pol., 7801 Merdingen, De
US5297687A (en) * 1992-03-12 1994-03-29 Freed Anna B Virtual hinge
US5228570A (en) * 1992-05-11 1993-07-20 Donald F. Robinson Wrench socket storage rack with quick release mechanisms
US5259278A (en) * 1992-08-13 1993-11-09 Leas S Darlene Magnetic socket retainer
US5509332A (en) * 1994-02-28 1996-04-23 Three Star Enterprises, Inc. Friction clutch hand tool
US5603685A (en) 1994-07-01 1997-02-18 Tutrone, Jr.; Donald F. Inflatable vaginal pessary
US6131576A (en) * 1998-03-23 2000-10-17 Davis; Paul K. Male incontinence clamp, kit and method of use
US6216353B1 (en) * 1998-08-17 2001-04-17 Sara Lee Corporation Centerline detector for a tubular knit fabric lay cutter
US6216698B1 (en) * 1999-02-16 2001-04-17 Milex Products, Inc. Flexible pessary
US6543141B1 (en) * 2000-07-21 2003-04-08 Shirley Biehl Safety ruler and guide for rotary cutters
RU2196519C2 (ru) 2001-03-26 2003-01-20 Галичанин Иван Архипович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несостоятельности мышц тазового дна
IL146534A (en) * 2001-11-15 2007-06-17 Gynotech Ltd Adjustable vaginal pessary
RU2232562C2 (ru) 2001-11-15 2004-07-20 Давыдов 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сервативного лечения недержания мочи у женщин
US6905472B2 (en) * 2002-11-13 2005-06-14 Robert A. Welch Incompetent cervix aide
US7628155B2 (en) 2002-11-15 2009-12-08 Ethicon, Inc. Method of surgical repair of vagina damaged by pelvic organ prolapse and prosthetic materials and devices suitable for use therein
EP1684663B8 (en) * 2003-11-17 2013-09-25 Lyra Medical Ltd. Pelvic implant with anchoring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173A1 (ko) * 2021-08-05 2023-02-09 서울대학교병원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7886A2 (pt) 2011-08-09
ES2331026T3 (es) 2009-12-18
US20070089750A1 (en) 2007-04-26
AU2006307601A1 (en) 2007-05-03
EP1951146A1 (en) 2008-08-06
ATE442820T1 (de) 2009-10-15
CA2627383A1 (en) 2007-05-03
RU2375014C1 (ru) 2009-12-10
DE602006009295D1 (de) 2009-10-29
US7673631B2 (en) 2010-03-09
JP2009513215A (ja) 2009-04-02
IL190655A (en) 2014-09-30
IL190655A0 (en) 2008-11-03
EP1951146B1 (en) 2009-09-16
KR101301458B1 (ko) 2013-08-29
NZ567213A (en) 2010-05-28
CA2627383C (en) 2014-05-06
WO2007049154A1 (en) 2007-05-03
AU2006307601B2 (en) 2011-10-20
JP4824090B2 (ja)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458B1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KR101254000B1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정성 질 스플린트
WO1996001084A1 (en) Inflatable vaginal pessary
US20070175487A1 (en) Disposable Surgical Drape
US20180289489A1 (en) Penile implant with a length-adjustable tube
BRPI0408904B1 (pt) Implante para o tratamento da cistocele e dispositivo para a introdução de um implante
KR101888356B1 (ko)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EP3618770A1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reinforced members
AU2006307600B2 (en)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US11806195B1 (en) Form stable expandable s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