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356B1 -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356B1
KR101888356B1 KR1020150077928A KR20150077928A KR101888356B1 KR 101888356 B1 KR101888356 B1 KR 101888356B1 KR 1020150077928 A KR1020150077928 A KR 1020150077928A KR 20150077928 A KR20150077928 A KR 20150077928A KR 101888356 B1 KR101888356 B1 KR 10188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ral
urethra
path securing
length
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061A (ko
Inventor
박상현
박명찬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3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7Urethr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 성기의 음경 요도부에 내시경, 요도협착치료 카테터, 기타 요도 삽입장치를 삽입하기 전에 남성 성기의 음경 요도부에 삽입하여 요도 삽입장치에 의한 음경 요도부의 손상, 요도 삽입 장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요도염 및 요도협착을 방지하고, 환자가 요도협착증 시술을 받은 후 효율적인 자가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HYUN'S RING Ⅱ}
본 발명은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 성기의 음경 요도부에 내시경, 요도협착치료 카테터, 기타 요도 삽입장치를 삽입하기 전에 남성 성기의 음경 요도부에 삽입하여 요도 삽입장치에 의한 음경 요도부의 손상, 요도 삽입 장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요도염 및 요도협착을 방지하고, 환자가 요도협착증 시술을 받은 후 효율적인 자가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요도협착은 요도벽에 반흔(瘢痕)이 생겨 요도내강이 좁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선천적으로 내강이 좁아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후천적으로 발생된 경우를 의미한다.  염증 후에 생길 수도, 외상 후에 생길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대부분 임질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므로 이를 임질성 요도협착이라고 하며, 후자의 경우를 외상성 요도협착이라고 지칭한다. 임질성인 경우 일반적으로 요도의 전방 부위에서 임질이 발생한 후 수 년 후에 발생한다. 외상성인 경우 일반적으로 요도의 후방 부위에서 발생하며, 외상 후 즉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후천성 요도협착은 여자에게 보다는 남자에게 주로 발생한다. 남성 요도의 평균길이는 약 21cm 이며 방광쪽으로부터 전립선 요도, 막양부, 구부, 음경부로 구성된다. 요도 협착의 원인이 외상성인 경우 골반 골절시 막양부 요도에, 말안장형 손상(Straddle injury)시 구부 요도에 협착을 일으키게 된다.
요도 협착의 원인인 염증성인 경우는 요도 카테터를 장기간 유치했을 때 많이 발생하며, 드물게는 임균성 요도염의 합병증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수술의 중요한 합병증의 하나로 염증성 요도협착이 발생할 수 있다. 굵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장시간의 수술을 하다 보면 요도의 특정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혈액의 공급이 악화되어 요도가 좁아지게 되는데, 이는 요도염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염증으로 발생한 요도 협착은 특히 음경부 요도에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요도는 매우 부드러운 조직이기 때문에 섬세하고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한다. 일단 요도 협착증이 발생하면 수술이나 내시경적 치료, 또는 확장을 하더라도 재발율이 높고, 손상 전과 같은 기능을 회복하기는 어렵다. 또한 협착이 발병하고도 계속 방치하게 되면, 방광이 좁아진 요도로 오줌을 내보내기 위해 배출압력을 높이면서 방광벽이 점차 두꺼워지고 탄력도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방광용량의 감소뿐만 아니라 신장 기능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배뇨장애 뿐 아니라 각종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에 삽입 장치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삽입 장치의 지름을 줄이는 등의 시도가 있었으나 여전히 요도염, 요도 협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요도 협착증 시술을 위해 요도 확장에 쓰이는 사운드 다일레이터로 요도 협착 부위를 시술했을 경우에도, 사용자의 실수로 요도가 찢겨지고 요도를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사용할 경우(특허문헌 1) 요도삽입장치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이탈되어 시술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요도협착증 시술의 경우 재발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퇴원 후 환자의 자가 치료 또는 관리가 필요하나, 유착방지제 등을 스스로 주입하더라도 협착 부위에 약물이 잘 접촉되지 못하거나 요도 밖으로 대부분이 새어 나와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911호 (2012.11.28.)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153호 (2010.12.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남성 성기의 음경 요도부에 요도삽입장치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이탈되지 않고, 요도 부분에 마취제 등이 충분한 양으로 필요한 시간 동안 접촉될 수 있으며, 환자가 요도협착증 시술을 받고 퇴원 후 효율적으로 자가 치료 또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귀두형상으로 형성되어 귀두부를 감싸는 외피보호부; 상기 외피보호부의 표면과 연결되며 남성 성기 귀두의 턱에 맞추어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외피보호부의 상단 중앙부에서 하단으로 관통하는 요도통로확보부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보호부의 길이(H1)가 2cm 내지 5cm이고, 상기 외피보호부의 길이(H1)가 상기 이탈방지부의 길이(H2) 및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H3)와 하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관계식 1>
H1 ≤ H2 ≤ 1.6H1
<관계식 2>
1.4H1 ≤ H3 ≤ 3H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직선 형태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도록 곡률진 형태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상기 외피보호부와 연결된 직선 형태의 제1요도통로확보부;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와 연결되고 볼록하게 라운딩된 제2요도통로확보부; 및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와 연결되고 직선 형태인 제3요도통로확보부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의 지름(D2)은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의 지름(D1)과 하기 관계식 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관계식 3>
1.1D1 ≤ D2 ≤ 1.3D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의 높이(H4)는 0.5cm 내지 5cm이고, 제2요도통로확보부의 높이(H5)는 0.1cm 내지 5cm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처리되고 폐쇄된 형태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H6)는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H3)와 하기 관계식 4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관계식 4>
0.05H3 ≤ H6 ≤ 0.5H3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표면에 유착방지제, 항생제, 조제약제, 윤활제, 마취제, 진통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치료제제가 코팅 또는 함침된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보호부와 상기 요도통로확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볼록하게 라운딩되어 귀두의 요도가 시작되는 부분과 상기 외피보호부 사이에 공간(空間)을 형성하는 약제담지부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 표면에 탈착이 가능한 벨크로를 더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는 일 측면에 제1결착부를 포함하고, 타 측면에 제2결착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이며, 상기 제1결착부 또는 제2결착부는 후크(hook)부 또는 루프(loop)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의 면적 방향 길이(H7)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길이(H2)와 하기 관계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관계식 5>
0.5H2 ≤ H7 ≤ H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는 신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귀두 및 남성 성기에 대한 고정력이 높기 때문에 요도삽입장치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의하면 요도 부분에 마취제, 진통제, 항생제 등이 충분히 접촉될 수 있고, 시술 과정 동안 접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의하면 환자가 요도협착증 시술을 받고 퇴원 후 유착방지제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가 치료 또는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가 포함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에 신축성부재가 포함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사용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1) 요도삽입장치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빈번하게 이탈되어 의료진이 시술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2) 요도 부분에 항생제 또는 마취제 등이 충분히 접촉되지 못하여 시술 중에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거나 시술 후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3) 요도협착증 시술을 받고 퇴원한 환자가 유착방지제 등을 사용하여 자가 치료 또는 관리를 하고자 하여도, 약제가 요도 밖으로 새어 나와 협착 부위에 약물이 잘 스며들지 못하여, 요도협착증을 완치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남성 성기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요도 부분에 항생제 또는 마취제 등이 충분히 접촉될 수 있도록 하며, 환자가 요도협착증 시술을 받고 유착방지제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가 치료 또는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조하였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귀두형상으로 형성되어 귀두부를 감싸는 외피보호부(100);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표면과 연결되며 남성 성기 귀두의 턱에 맞추어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200); 및 상기 외피보호부의 상단 중앙부에서 하단으로 관통하는 요도통로확보부(300)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최외단부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길이(H1)가 2cm 내지 5cm이고,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길이(H1)가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길이(H2) 및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00)의 길이(H3)와 하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H1 ≤ H2 ≤ 1.6H1
<관계식 2>
1.4H1 ≤ H3 ≤ 3H1
상기 외피보호부(100)는 귀두부를 감싸면서 요도 내부에 삽입되는 요도통로확보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부학적인 귀두부의 길이를 고려하여 2cm 내지 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길이(H1)가 2cm 내지 5cm이고,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길이(H2)가 H1 ≤ H2 ≤ 1.6H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길이가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길이 보다 작으면 고정력이 약화되고, 지나치게 길면 오히려 시술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8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00)의 길이(H3)가 1.4H1 ≤ H3 ≤ 4H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남성의 요도 길이가 20cm인 것을 고려할때,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00)의 길이(H3)가 7cm 미만이면 요도협착 부위에 대한 자가 치료가 어려울 수 있고, 20cm를 초과하면 환자가 필요 이상의 고통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피보호부(100)의 길이(H1),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길이(H2), 및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00)의 길이(H3)는 개별 남성의 성기 길이의 차이를 감안하여,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되는 것 보다 상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00)는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00)가 직선 형태인 경우 제조 단가가 낮아 의료진 및 환자 모두에게 경제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10)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도록 곡률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10)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도록 곡률진 형태인 경우, 의료진 또는 환자가 요도 내부로 주입한 유착방지제(예를 들어, Guardix, 한미약품) 등이 환부에 충분히 접촉되거나 접촉되는 시간이 길어 상기 유착방지제 등이 환부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다. 특히, Guardix(한미약품)는 액상으로 주입되나 요도 내에서 젤 형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의료진 또는 환자가 카테터를 이용하여 요도협착부위를 늘리는 자극을 가하면서 동시에 유착방지제가 환부에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20)는 상기 외피보호부(120)와 연결된 직선 형태의 제1요도통로확보부(321);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321)와 연결되고 볼록하게 라운딩된 제2요도통로확보부(322); 및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와 연결되고 직선 형태인 제3요도통로확보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는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의 지름(D2)은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321)의 지름(D1)과 하기 관계식 3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
1.1D1 ≤ D2 ≤ 1.3D1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321)의 지름(D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mm 내지 1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의 지름(D2)이 1.1D1 미만인 경우, 요도삽입장치의 고정력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3D1 초과인 경우 갑작스러운 직경 변화로 요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321)의 지름(D1)과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의 지름(D2)은 개별 남성의 요도 직경의 차이를 감안하여,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되는 것 보다 상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321)의 높이(H4)는 0.5cm 내지 5cm이고,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의 높이(H5)는 0.1cm 내지 5cm 일 수 있다.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321)의 높이(H4)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에 의한 고정력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의 높이(H5)가 0.1cm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322)에 의한 고정력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5cm 초과인 경우 요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100)는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처리되고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요도통로확보부(100)의 말단이 폐쇄된 형태를 갖음으로써 환자가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자가 치료용으로 사용시 요도삽입 카테터에 의한 요도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요도통로확보부(100)의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처리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요도 내부로 삽입 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30)는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30)의 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요도 내부로 삽입 될 때 요도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요도 내부에서 응고된 유착방지제 등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의 길이(H6)는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30)의 길이(H3)와 하기 관계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4>
0.05H3 ≤ H6 ≤ 0.5H3
상기 절개부의 길이(H6)가 0.05H3 미만인 경우 요도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0.5H3 초과인 경우 절개부가 요도 내부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기술한 요도통로확보부(300)의 표면에 유착방지제, 항생제, 조제약제, 윤활제, 마취제, 진통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치료제제가 코팅 또는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치료제제는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요도 내부로 삽입 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요도협착증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경제적인 이유로 상기 치료제제를 코팅 또는 함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치료제제를 먼저 요도 내부에 주입 후,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를 요도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외피보호부(140)와 상기 요도통로확보부(34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볼록하게 라운딩되어 귀두의 요도가 시작되는 부분과 상기 외피보호부 사이에 공간(空間)을 형성하는 약제담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사용되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외피보호부(140)가 귀두 부위에 꽉 끼도록 제작된 점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귀두 부위에 마취제 또는 항생제를 충분히 접촉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약제담지부(440)를 포함하여, 의료진이 시술하는 동안 환자의 귀두 부위에 마취제 또는 항생제를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감소시키거나 요도 부위의 염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피보호부(100), 이탈방지부(200), 및 요도통로확보부(300)의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리콘, 천연고분자인 라텍스, 생체분해성 고분자인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산, 폴리젖산, 폴리디옥산원,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소 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로), 폴리(포스파젠), 폴리(아미노산), 셀루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싸카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부틸레이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분자인 라텍스로 제조한다.
한편, 상기 천연고분자인 라텍스를 사용할 때, 1차 및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천연고무 라텍스가 고분자 화합물과 물이 혼합된 불균일계의 현탁액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알칼리성으로 안정화시켜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사용되는 천연고무 라텍스를 기준으로 0.04 내지 0.08 중량%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화제의 사용량이 0.04 중량% 미만인 경우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이 충분히 알칼리화되지 않아 용액이 응고될 염려가 있으며, 0.08 중량% 초과인 경우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pH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고유 점성을 잃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알칼리화제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이나 사출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고분자인 라텍스를 사용할 때, 사용되는 천연고무 라텍스의 사용 함량은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경우 85.0 내지 94.3 중량%,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경우에는 83.0 내지 92.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및 2차 천연고무 라텍스의 사용 함량이 각각 상기 사용 함량의 하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천연고무 라텍스의 함량 부족으로 인해 고무 물성의 고유 특성인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부드러운 촉감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사용 함량의 상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천연고무 라텍스의 과량 사용으로 성형성이 감소하거나, 충분한 가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고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유황은 천연고무 라텍스를 가황시키기 위한 가황제로서 그 사용 함량은 4.7 내지 6.0 중량%가 바람직하며, 사용 함량이 4.7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가황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가황 후에 고무장갑의 고무 물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 수 있고, 6.0 중량% 초과인 경우 과가황이 되어 고무가 필요 이상으로 단단해지므로 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가 포함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이탈방지부(200) 표면에 탈착이 가능한 벨크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사용되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의료진의 시술시 또는 환자의 자가 치료시 요도삽입장치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는 상기 벨크로(500)를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고정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벨크로(500)는 일 측면에 제1결착부(600)를 포함하고, 타 측면에 제2결착부(700)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일 수 있고, 상기 제1결착부(600) 또는 제2결착부(700)는 후크(hook)부 또는 루프(loop)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벨크로(500)는 암수로 구별되는 후크(hook)부와 루프(loop)부가 한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파스너(fastner)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단추, 스냅 또는 지퍼 등을 대체하여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상기 제1결착부(600)와 제2결착부(700)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고정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벨크로(500)의 면적 방향 길이(H7)는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길이(H2)와 하기 관계식 5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5>
0.5H2 ≤ H7 ≤ H2
상기 벨크로(500)의 면적 방향 길이(H7)가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길이(H2)의 절반 미만이거나 상기 벨크로(500)의 면적 방향 길이(H7)보다 길 경우 상기 벨크로(50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고통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벨크로(5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화불소(PVDF),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또는 실리콘, 천연고분자인 라텍스, 생체분해성 고분자인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산, 폴리젖산, 폴리디옥산원,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소 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로), 폴리(포스파젠), 폴리(아미노산), 셀루로오스 유도체, 폴리(싸카라이드), 및 폴리(하이드록시 부틸레이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벨크로(500)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기계적인 제조방법에 의할 수 있고,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68132호 “벨크로 제조방법”을 참조할 수 있고, 기계적인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45584호 “특성이 다른 부분을 구비한 터치 파스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에 신축성부재가 포함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벨크로(510)는 신축성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상기 벨크로(510)를 사용시, 손가락을 남성 성기와 상기 벨크로(510) 사이에 끼운 후 상기 제1결착부(600)와 제2결착부(700)가 서로 맞물리도록 외력을 가한 후 손가락을 빼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 두께 만큼의 고정력이 손실되거나, 상기 벨크로(51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벨크로(510)가 신축성부재(800)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상기 신축성부재(800)는 라텍스나 천연고무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벨크로(510)에 상기 신축성부재(800)가 포함될 경우, 상기 신축성부재(800) 외의 부분은 비신축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벨크로(510)에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신축성부재(800)만 인장되고 그 외의 부분은 인장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벨크로(510)에 의한 본 발명의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의 고정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130, 140: 외피보호부
200, 210, 220, 230, 240: 이탈방지부
300, 310, 320, 330, 340: 요도통로확보부
321: 제1요도통로확보부 322: 제2요도통로확보부
323: 제3요도통로확보부 400: 약제담지부
500, 510: 벨크로 600: 제1결착부
700: 제2결착부 800: 신축성부재

Claims (16)

  1. 내시경와 요도협착치료 카테터를 포함한 요도 삽입장치를 삽입하기 전에 남성 성기의 음경 요도부에 삽입하여, 상기 요도 삽입장치에 의한 음경 요도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에 있어서,
    귀두형상으로 형성되어 귀두부를 감싸는 외피보호부; 상기 외피보호부의 표면으로부터 남성 성기 귀두를 거쳐 음경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귀두와 음경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외피보호부의 상단 중앙부에서 하단으로 관통하는 요도통로확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 표면에 탈착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력을 제공하는 벨크로를 마련하고,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외피보호부로부터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제1요도통로확보부와 제3요도통로확보부 사이에 볼록 라운딩의 제2요도통로확보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직선형태의 구간을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곡률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표면 중 곡률진 부분에 유착방지제, 항생제, 조제약제, 윤활제, 마취제, 진통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치료제제를 코팅 또는 함침시켜서 된,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보호부의 길이(H1)가 2cm 내지 5cm이고, 상기 외피보호부의 길이(H1)가 상기 이탈방지부의 길이(H2) 및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H3)와 하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관계식 1>
    H1 ≤ H2 ≤ 1.6H1
    <관계식 2>
    1.4H1 ≤ H3 ≤ 3H1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도통로확보부의 지름(D2)은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의 지름(D1)과 하기 관계식 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관계식 3>
    1.1D1 ≤ D2 ≤ 1.3D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도통로확보부의 높이(H4)는 0.5cm 내지 5cm이고, 제2요도통로확보부의 높이(H5)는 0.1cm 내지 5cm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처리되고 폐쇄된 형태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도통로확보부는 말단이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H6)는 상기 요도통로확보부의 길이(H3)와 하기 관계식 4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관계식 4>
    0.05H3 ≤ H6 ≤ 0.5H3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보호부와 상기 요도통로확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볼록하게 라운딩되어 귀두의 요도가 시작되는 부분과 상기 외피보호부 사이에 공간(空間)을 형성하는 약제담지부를 포함하는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는 일 측면에 제1결착부를 포함하고, 타 측면에 제2결착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이며, 상기 제1결착부 또는 제2결착부는 후크(hook)부 또는 루프(loop)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인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의 면적 방향 길이(H7)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길이(H2)와 하기 관계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관계식 5>
    0.5H2 ≤ H7 ≤ H2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는 신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KR1020150077928A 2015-06-02 2015-06-02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KR10188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28A KR101888356B1 (ko) 2015-06-02 2015-06-02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28A KR101888356B1 (ko) 2015-06-02 2015-06-02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61A KR20160142061A (ko) 2016-12-12
KR101888356B1 true KR101888356B1 (ko) 2018-09-20

Family

ID=5757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28A KR101888356B1 (ko) 2015-06-02 2015-06-02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0931B (zh) * 2017-11-22 2019-01-15 苏州煜水生物科技有限公司 农田内液体肥料喷洒设备
KR102404897B1 (ko) * 2020-07-24 2022-06-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및 소변누출 방지용 요도마개
KR102501173B1 (ko) * 2020-12-07 2023-02-17 정승찬 귀두 거치형 도료관
KR102558557B1 (ko) * 2021-02-03 2023-07-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돔형 약물유출 방지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32B1 (ko) * 2008-11-07 2009-05-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요도 지지용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7375A (ja) * 1990-03-27 1991-12-09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内留置具
JP2523436Y2 (ja) * 1990-08-06 1997-01-22 アルケア株式会社 伸縮式留置カテーテル
WO1994028833A1 (en) * 1993-06-16 1994-12-22 Strozer Robert Philip Loose prophylactic sack device having improved closure
KR20100133153A (ko) 2009-06-11 2010-12-21 김우근 요도 삽입형 콘돔
KR20120128911A (ko) 2011-05-18 2012-1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삽입장치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32B1 (ko) * 2008-11-07 2009-05-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요도 지지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61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458B1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KR101254000B1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정성 질 스플린트
AU202120003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choring a sheath in a tissue cavity
US7588598B2 (en) Implant for treating rectocele and a device for putting said implant into place
ES2252981T3 (es) Dispositivo de suspension distensible para incontinencia urinaria.
KR101888356B1 (ko)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US9610150B2 (en) Devices for sizing a cavity to fit an organ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06039337A2 (en) Inhibition action incontinence device and method
JP2016120323A (ja) 骨盤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細長い移植片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1531937A (ja) 組織拡張を促進する陰茎及び他のインプラント
US10213286B2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s of delivering the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200471253Y1 (ko) 요도삽입장치 보조 기구
KR20120128911A (ko) 요도삽입장치 보조 기구
US20230285202A1 (en) Umbilical forming device to aid in post-surgical umbilical formation and healing
KR101162244B1 (ko) 요실금 또는 변실금 치료를 위한 슬링용 앵커 및 이식장치
US20150351886A1 (en) Surgical vaginal support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KR20150137550A (ko) 요실금 시술용 슬링
BOLAND Immediate Repair of Perineal Tears
RO119810B1 (ro) Aparat pentru erecţia artificială a penisulu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