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724A -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724A
KR20170090724A KR1020160011419A KR20160011419A KR20170090724A KR 20170090724 A KR20170090724 A KR 20170090724A KR 1020160011419 A KR1020160011419 A KR 1020160011419A KR 20160011419 A KR20160011419 A KR 20160011419A KR 20170090724 A KR20170090724 A KR 20170090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cutting
mold
protrusion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605B1 (ko
Inventor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이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숙 filed Critical 이인숙
Priority to KR102016001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6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724A/ko
Priority to KR1020190112126A priority patent/KR102389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4Su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나 동물의 외과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 등에서 사람의 근육이나 피부 등을 봉합할 때 사용되는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실을 납작한 몸체로 가공한 후 몸체의 양측변에 돌기를 커팅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 두께의 봉합사 제조를 쉽게 하면서, 봉합사 제조 공저을 모두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SUTURE, SU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UTURE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사람이나 동물의 외과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 등에서 사람의 근육이나 피부 등을 봉합할 때 사용되는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실을 납작한 몸체로 가공한 후 몸체의 양측변에 돌기를 커팅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 두께의 봉합사 제조를 쉽게 하면서, 봉합사 제조 공저을 모두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에서 돌기가 없는 매끈한 형태의 일반 봉합사(와이어, 실)를 사용하여 봉합할 경우, 성형의 효과가 반감되고, 피부조직 등을 고정, 즉 잡아주지 못하여 수술 후 외관상 미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래 들어 동안을 유지하거나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많은 기타의 방법(화장품, 마사지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를 직접적으로 기대할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이 피부 주름 제거 수술을 받는 실정이다.
이에 봉합 수술, 특히 주름 제거 성형 수술 등에 있어서 종래에 사용되어지던 수술용 봉합사를 대신하여 봉합사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미늘)를 구비하여, 봉합사 자체가 피부 조직 등을 고정,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잡아당겨줌(리프팅)으로써, 주름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봉합사 관련 기술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8494호(2005.11.17) "돌기를 가지는 성형외과용 수술실"이 있는데,
상기 발명은 주름 제거 수술 등에 사용되는 성형외과용 수술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의 표면에 원추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고 그 돌기가 정해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수술효과를 높이고, 또한 상기 실의 원추형 돌기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 중앙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끝단을 향하여 뾰족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과 같은 수술실(이하 봉합사로 통칭함.)의 외주면에 자동으로 돌기(이하 미늘로 통칭함.)를 형성, 성형하기 위해선 제조장치의 구조 및 구동이 매우 정밀하고, 미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수술용 봉합사는 일반 실과 달리, 그 두께가 매우 얇고, 따라서 이러한 얇은 두께의 봉합사에 미세한 미늘들을 균일한 높이, 두께로 형성하기 위해선 그 성형작업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 수술용 봉합사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성형장치는 성형의 정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미세 봉합사의 경우 자동화된 성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미늘을 성형하여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16-0000923호(2016.01.06.)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이용해 캐비티에서 다수의 돌출미늘(이하 돌기로 통칭함.)이 마련된 봉합사가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봉합사의 형상에 맞는 캐비티를 이용한 일반적인 사출 성형 금형장치에 불과한 것으로, 매우 얇은 두께(대략 0.mm ~ 1mm)를 갖는 봉합사를 사출 성형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기술에 해당하며, 이를 구현하더라도 돌기의 돌출 구조로 인해 캐비티에서 봉합사를 취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성형된 돌기들 중 일부가 캐비티의 성형홈에서 빠지지 않게 되면 불량품이 대량 생산될 위험성이 커 상업화하지 못하는 기술에 속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봉합사의 돌기를 이용한 본래의 고정 기능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얇은 두께의 봉합사 제조를 쉽게 하고, 봉합사 제조에 필요한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종래의 수작업 또는 봉합사 제조장치보다 획기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좆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의 일부를 컷팅하여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기준,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에서,
상기 돌기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가, 서로 대칭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에서,
상기 돌기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가, 서로 비대칭하도록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에서,
상기 돌기는, 외측변의 길이가 내측 연결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제조 방법은,
A) 원형의 실을 성형하는 단계;
B) 원형의 실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를 가공하는 프레싱 단계;
C)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의 일부를 컷팅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를 가공하는 컷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는,
원형의 실을 공급하는 실 공급부;
공급된 원형의 실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를 프레싱 가공하는 제1 가공부;
상기 몸체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의 일부를 컷팅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제1 가공부는,
원형의 실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대응하여 형개 및 형폐가 이루어지며, 형폐 시 상기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안착홈의 실을 가압하는 가압돌부를 갖는 상금형 및
상기 하금형 또는 상기 상금형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싱 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제1 가공부는,
원형의 실이 압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하로 설치된 하롤러와 상롤러,
상기 하롤러 또는 상기 상롤러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싱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몸체가 안착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대응하여 형개 및 형폐가 이루어지며, 형폐 시 상기 몸체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커팅수단을 구비한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커팅 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에서 작동하는 칼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에서 작동하는 커팅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몸체가 통과되도록 상하로 설치된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 또는 상기 하부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며, 롤러들의 회전 시 서로 치합되는 암수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몸체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커팅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상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며, 롤러들의 회전 시 서로 치합되는 암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팅가압부와 커팅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는, 기존의 봉합사 본래의 피부 고정(리프팅) 기능이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얇은 두께의 봉합사 제조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경하여 제조가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봉합사 제조 공정을 모두 자동화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실시예별 평면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제1 가공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서, 제2 가공부를 도시한 개념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봉합사의 경우, 도 2에서 돌기가 형성된 방향을 좌우 측방향으로 하여 봉합사의 단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의 경우, 도 3에서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S)는, 크게 몸체(10)와, 다수개의 돌기(11)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일반적인 원형의 단면을 갖는 실(10a)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가공한 것으로,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지지만, 금, 스테인리스 및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과 같은 용해성 재질도 포함한다.
또한 수술 사용 부위와 목적 등에 따라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재질에 의해 다양한 등급과 두께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돌기(11)는 상기 몸체(10)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하여 돌출 형성된 것으로, 몸체(10)의 일부를 커팅하고 제거하여 형성된 절개부(12)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 기준,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몸체(10)와 돌기(11)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일체화되어 가공되는 것으로,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10)의 양측변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함으로써 절개부(12)를 형성하고, 이렇게 절개부(1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돌기(11)로 기능한다.
도면에서는 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돌출되어 각이진 한 쌍의 돌기(11)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돌기(11)들 중 어느 하나가 없는 경우라도 돌기(11)의 돌출 방향을 고려하여 봉합사(S)를 사용하면 피부 조직 등의 고정 및 리프팅 기능이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사용상의 편의성을 감안할 때 도면과 같이 돌기(11)가 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의 [A]에 도시된 돌기(11)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11A)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11A)가, 서로 비대칭하도록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되, 각 측변의 절개부(12)가 반대 측변의 돌기(11) 영역까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양측변의 돌기(11A)들을 연결하는 몸체(10)의 형상이 거의 남지 않고, 양측 돌기(11A)들만이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도 1의 [B]에 도시된 돌기(11)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11B)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11B)가, 서로 대칭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몸체(10)의 양측변에 양측 돌기(11B)가 동일 위치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또 도 1의 [C]에 도시된 돌기(11)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11C)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11C)가, 서로 비대칭하도록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1의 [B]에 도시된 몸체(10)의 형태와 동일하나, 다만 몸체(10)의 양측변에 양측 돌기(11C)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양측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1)가 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돌기(11)는, 외측변의 길이가 내측 연결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 된다.
이때 상기 돌기(11)의 각이진 각도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봉합사(S)는 종래의 봉합사(S)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는 몸체(10)를 통해 수술 후 미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10)의 일부를 커팅하여 돌기(11)를 형성함으로써 돌기(11)가 파손되거나 꺽이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후술하는 제조 방법 및 자동 제조 장치를 통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제조 방법은,
A) 원형의 실(10a)을 준비하는 단계;
B) 원형의 실(10a)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10)를 가공하는 프레싱 단계;
C)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10)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10)의 일부를 커팅하여,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11)를 가공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 단계는 돌기(11)가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원형의 실(10a)을 준비하는 단계로, 후술하는 자동 제조 장치(M; 도 3 참고)에, 원형의 실(10a)을 압출 성형하는 실 압출부(미도시)를 도입하여 실(10a)의 성형 및 몸체(10)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또는 기존에 판매되는 원형의 실(10a)을 구매하여 몸체(10)만을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B) 단계는 프레싱 금형 또는 프레싱 롤러를 이용해, 열과 압력을 가하여 원형의 실(10a)을, 납작한 몸체(10)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C) 단계는, 커팅 금형 또는 커팅 롤러를 이용해, 납작한 몸체(10)의 양측변을 따라 절개부(12)를 커팅, 제거하여, 상기 돌기(11)가 가공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제조 방법은, 얇은 두께의 봉합사(S)를 납작하게 가공하여 상대적으로 좌우 두께가 넓게 형성한 다음, 이를 이용해 돌기(11)를 커팅 가공하므로 기존의 제조 방식에 비해 제조가 쉽고,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6(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실(10a)을 포함한 각 구성을 과장되게 확대하여 도시하였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는,
원형의 실(10a)을 공급하는 실 공급부(20);
공급된 원형의 실(10a)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10)를 프레싱 가공하는 제1 가공부(30);
상기 몸체(10)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10)의 일부를 커팅하여,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11)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 공급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한 원형의 실(10a)이 롤 형태 등으로 권취되어 자동 공급하거나, 또는 실 압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실(10a)의 생산과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10a)이 소정 길이로 커팅되지 않은 형태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실 공급부(20)에는 실(10a)을 일정한 길이로 커팅하는 절단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공부(30)는, 공급되는 원형의 실(10a)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한 형태의 몸체(10)로 프레싱 가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공부(30)는,
원형의 실(10a)이 안착되는 안착홈(31a)을 갖는 하금형(31)과,
상기 하금형(31)에 대응하여 형개 및 형폐가 이루어지며, 형폐 시 상기 안착홈(31a)으로 삽입되어 안착홈(31a)의 실(10a)을 가압하여 압착하는 가압돌부(32a)를 갖는 상금형(32) 및
상기 하금형(31) 또는 상기 상금형(32)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가열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프레싱 금형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열수단은, 하금형(31) 또는 상금형(32) 또는 이들 모두에 온수나 온유를 순환시키는 방식, 또는 하금형(31)이나 상금형(32)에 히팅코일을 매립하여 가열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열수단은 후술하는 프레싱 롤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가공부(30)는,
원형의 실(10a)이 압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롤러와 상롤러,
상기 하롤러 또는 상기 상롤러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싱 롤러로 구성되어,
플레싱 롤러 사이로 원형의 실(10a)을 통과시켜 납작하게 프레싱 가공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제2 가공부(40)는, 납작한 형태의 몸체(10)의 양측변 일부를 커팅하여 상기 돌기(11)를 형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공부(40)는,
상기 몸체(10)가 안착되는 하부 금형(41)과,
상기 하부 금형(41)에 대응하여 형개 및 형폐가 이루어지며, 형폐 시 상기 몸체(10)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제1 커팅수단(C1)을 구비한 상부 금형(42)을 포함하는, 커팅 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가공부(40)를 구성하는 커팅 금형은, 상기 제1 가공부(30)의 프레싱 금형과 유사한 구조로, 다만 상부 금형(42)에 제1 커팅수단(C1)이 구비되어 형폐 시, 몸체(10)의 양측변에 제1 커팅수단(C1)이 작동하여 절개부(12)를 형성함으로써 돌기(11)가 가공되도록 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제1 커팅수단(C1)은, 상기 상부 금형(42)에서 작동하는 커팅부(42a)와, 상기 하부 금형(41)에서 상기 커팅부(42a)에 대응하도록 오목 형성되어 커팅된 몸체의 일부가 배출되는 배출홈(41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부(42a)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상부 금형(42)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금형(42)에서 커팅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모든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즉, 상기 커팅부(42a)는, 상기 상부 금형(42)에서 작동하는 칼날(미도시)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상기 상부 금형(42)에서 작동하는 커팅코어(미도시)를 이용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공부(40)는,
상기 몸체(10)가 통과되도록 상하로 설치된 하부 롤러(43)와 상부 롤러(44),
상기 상부 롤러(44) 또는 상기 하부 롤러(4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롤러 회전 시 상기 몸체(10)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제2 커팅수단(C2)을 포함하는, 커팅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가공부(40)를 구성하는 커팅 롤러는, 상기 제1 가공부(30)의 프레싱 롤러와 유사한 구조로, 다만 제1 가공부(30)의 프레싱 롤러는 외주면이 평탄한게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지는 반해, 제2 가공부(40)의 커팅 롤러는 각 롤러의 외주면에 제2 커팅수단(C2)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 커팅수단(C2)은, 상기 상부 롤러(44) 및 상기 하부 롤러(43)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며, 롤러들의 회전 시 서로 치합되는 암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팅가압부(44a)와 커팅수용부(4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롤러에 1개의 커팅가압부(44a)와 커팅수용부(44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커팅가압부(44a)와 커팅수용부(44b)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커팅가압부(44a)들과 커팅수용부(44b)들이 각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또한 도면과 반대로 커팅가압부(44a)와 커팅수용부(44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커팅수단(C1)과, 상기 제2 커팅수단(C2)의 형태는 한 쌍의 돌기(11)가 사다리꼴 형태인 것과 대칭하는 역사다리꼴 형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봉합사 M :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C1, C2 : 커팅수단
10 : 몸체 10a : 원형의 실
11, 11A, 11B, 11C : 돌기 12 : 절개부
20 : 실 공급부 30 : 제1 가공부
31 : 하금형 31a : 안착홈
32 : 상금형 32a : 가압돌부
40 : 제2 가공부 41 : 하부 금형
41a : 배출홈 42 : 상부 금형
42a : 커팅부 43 : 하부 롤러
43a : 커팅수용부 44 : 상부 롤러
44a : 커팅가압부

Claims (13)

  1.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의 일부를 컷팅하여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기준,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가, 서로 대칭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일측변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변에 형성된 돌기가, 서로 비대칭하도록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외측변의 길이가 내측 연결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5. A) 원형의 실을 성형하는 단계;
    B) 원형의 실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를 가공하는 프레싱 단계;
    C)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의 일부를 컷팅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를 가공하는 컷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6. 원형의 실을 공급하는 실 공급부;
    공급된 원형의 실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몸체를 프레싱 가공하는 제1 가공부;
    상기 몸체의 양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몸체의 일부를 컷팅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각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기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부는,
    원형의 실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대응하여 형개 및 형폐가 이루어지며, 형폐 시 상기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안착홈의 실을 가압하는 가압돌부를 갖는 상금형 및
    상기 하금형 또는 상기 상금형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싱 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부는,
    원형의 실이 압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하로 설치된 하롤러와 상롤러,
    상기 하롤러 또는 상기 상롤러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싱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몸체가 안착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대응하여 형개 및 형폐가 이루어지며, 형폐 시 상기 몸체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커팅수단을 구비한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커팅 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에서 작동하는 칼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에서 작동하는 커팅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몸체가 통과되도록 상하로 설치된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 또는 상기 하부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며, 롤러들의 회전 시 서로 치합되는 암수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몸체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커팅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상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며, 롤러들의 회전 시 서로 치합되는 암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팅가압부와 커팅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KR1020160011419A 2016-01-29 2016-01-29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KR10205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419A KR102051605B1 (ko) 2016-01-29 2016-01-29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KR1020190112126A KR102389834B1 (ko) 2016-01-29 2019-09-10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419A KR102051605B1 (ko) 2016-01-29 2016-01-29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126A Division KR102389834B1 (ko) 2016-01-29 2019-09-10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24A true KR20170090724A (ko) 2017-08-08
KR102051605B1 KR102051605B1 (ko) 2019-12-03

Family

ID=5965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419A KR102051605B1 (ko) 2016-01-29 2016-01-29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0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92B1 (ko) * 2018-02-28 2019-03-29 김수미 의료용 매선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36719B1 (ko) * 2017-09-12 2019-04-10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101974330B1 (ko) * 2019-03-22 2019-09-02 정홍우 시술용 매선
KR20200000816A (ko) * 2018-06-25 2020-01-03 삼일테크(주)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KR102075782B1 (ko) * 2018-08-31 2020-02-10 이진우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
KR20210154885A (ko) * 2018-04-28 2021-12-21 아이어노베이션 머티리얼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핫 스탬핑된 구성요소, 핫 스탬핑을 위해서 이용되는 예비코팅된 강 시트, 및 핫 스탬핑 방법
KR102437600B1 (ko) * 2022-03-23 2022-08-29 장두열 복합 돌기 구조의 개량형 리프팅실
KR102461560B1 (ko) * 2022-01-12 2022-10-31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536890B1 (ko) * 2021-12-09 2023-05-26 장두열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094B1 (ko) * 2020-07-27 2021-05-21 ㈜동원메디칼 선타발 후인장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제작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의료용 실 제조방법
KR102513561B1 (ko) * 2021-06-08 2023-03-24 주식회사 필코리아 피부 수술 및 시술의 코그실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코그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9447A1 (en) * 2002-02-01 2003-08-07 Morency Steven David Barbed surgical suture
KR101581865B1 (ko) * 2014-12-26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봉합사 제조 방법
KR101581873B1 (ko) * 2015-02-17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가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9447A1 (en) * 2002-02-01 2003-08-07 Morency Steven David Barbed surgical suture
KR101581865B1 (ko) * 2014-12-26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봉합사 제조 방법
KR101581873B1 (ko) * 2015-02-17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가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719B1 (ko) * 2017-09-12 2019-04-10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101963592B1 (ko) * 2018-02-28 2019-03-29 김수미 의료용 매선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54885A (ko) * 2018-04-28 2021-12-21 아이어노베이션 머티리얼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핫 스탬핑된 구성요소, 핫 스탬핑을 위해서 이용되는 예비코팅된 강 시트, 및 핫 스탬핑 방법
KR20200000816A (ko) * 2018-06-25 2020-01-03 삼일테크(주)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KR102075782B1 (ko) * 2018-08-31 2020-02-10 이진우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
KR101974330B1 (ko) * 2019-03-22 2019-09-02 정홍우 시술용 매선
KR102536890B1 (ko) * 2021-12-09 2023-05-26 장두열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1560B1 (ko) * 2022-01-12 2022-10-31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37600B1 (ko) * 2022-03-23 2022-08-29 장두열 복합 돌기 구조의 개량형 리프팅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605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0724A (ko)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JP4071248B2 (ja) 渦巻きばね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5898411B2 (ja) インサートカラーの成形方法
RU2016144806A (ru) Ножевой бло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езания волос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6259809A (zh) 物质分配装置以及模制装置
KR101526935B1 (ko) 유체 공급용 밸브바디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공급용 밸브바디 제조방법
KR102167098B1 (ko)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CN103753608B (zh) 剃须刀及剃须刀刀网及剃须刀刀网的制造工艺
CN109093912A (zh) 一种航空用中空开孔硅橡胶密封件成型工艺
KR20120093817A (ko) 탐폰의 최종 성형 방법
MX2010014340A (es) Unidad de corte para una maquina o prensa termoformadora, y maquina termoformadora equipada con esta unidad de corte.
KR102389834B1 (ko)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TWI749330B (zh) 製造模具組
EP2483049B1 (de) Imd-form, spritzguss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imd-for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liendekorierten kunststoffteils
US2021017871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edge sealing laminate wafers containing a soft deformable inner film
US9630280B2 (en) Method for producing single-sided mold and double-sided coining mold thereof
KR101906112B1 (ko) 복합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22531675A (ja) 毛切断ユニット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ガード要素を製造する方法
WO2017138257A1 (ja) 線状刃物の製造方法及び線状刃物成形用のローラダイス装置
KR100840198B1 (ko) 리모콘의 광센서 보호실드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JPH02274525A (ja) フランジ付ブロー成形物の製造装置
KR101233658B1 (ko) 밸브 플런저 제조 방법
US2018022105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dical linear member
US20170043523A1 (en) Thermoplastic Shell Assembly Formed Integrally by Embedding and Sti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hell Assembly
EP1590151B1 (de) Verfahren zur thermischen formgebung von verkleidunstei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