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372B1 -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 Google Patents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372B1
KR101548372B1 KR1020140153429A KR20140153429A KR101548372B1 KR 101548372 B1 KR101548372 B1 KR 101548372B1 KR 1020140153429 A KR1020140153429 A KR 1020140153429A KR 20140153429 A KR20140153429 A KR 20140153429A KR 101548372 B1 KR101548372 B1 KR 10154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body
blunt end
blun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웅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4015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런트엔드니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하며, 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봉합사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둔단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돌출둔단봉합사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에 지지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BLUNT END NEEDLE INCLUDING PROTRUDING BLUNT END BARBED SUTURE}
본 발명은 돌출둔단봉합사 및 이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그리고 돌출둔단봉합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둔단봉합사에 구비된 돌출부를 통해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에 지지되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피부에 삽입 가능한, 돌출둔단봉합사 및 이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그리고 돌출둔단봉합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연령 증가와 함께 찾아오는 노화를 절대 피할 수 없다. 외관적 노화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피부탄력의 저하와 그로 인한 피부 처짐(주름)이다.
안면주름 제거술의 경우, 보톡스, 필러 등과 같이 약물을 피부에 주입하여 처진 부위를 보다 탄력 있게 만드는 시술과, 성형외과적인 시술로 주름을 당겨 팽팽하게 만드는 시술이 있다. 이 중, 보톡스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효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여해야하며, 얼굴 근육이 경직되어 표정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단점이 있다.
성형외과적인 시술 중에서, 체내에서 분해되는 봉합사, 일명 ‘생체분해성 봉합사;bio-degradable suture material’(또는 리프팅 봉합사;lifting suture)를 진피층(SMAS;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에 삽입하는 시술법과 기구가 알려져 있다. 생체분해성 봉합사를 원하는 시술부위에 이식하면, 보통 8~10개월 후, 가수분해에 의해 체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생체분해성 봉합사가 진피층에 삽입되면, 가수분해(hydrolysis)로 완전히 소멸되기 전까지의 약 8 내지 10개월간 체내에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에 의해 세포형태신호변환(mechanotransduction) 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물리적인 자극이 인체 세포를 자극하면 세포가 여러 가지 반응을 하여 조직 구성을 바꾸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진피층에 삽입된 생체분해성 봉합사에 의해 세포형태신호변환이 촉발되어 콜라겐 생성 증가, 피부탄력 및 혈액순환 개선을 동반한 피부 리프팅 효과가 나타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7399호. 2013. 02. 27.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둔단봉합사를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둔단부(blunt end))에 고정하여 진피층(표재근건막층(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 SMAS)) 내에 삽입 가능한 블런트엔드니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피층 시술부위로 침투하는 돌출둔단봉합사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만족스러운 수술결과를 유도하고, 피시술자의 통증, 출혈 및 수술 후 부작용 등을 최소화하여 리프팅 효과를 증대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둔단봉합사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제1 코그들과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제2 코그를 구비하는 코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봉합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코그들의 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런트엔드니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하며, 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봉합사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둔단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돌출둔단봉합사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에 지지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둔단봉합사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방에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개방영역; 및 상기 개방영역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후단 또는 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코그들을 구비하는 폐쇄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후방을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둔단봉합사의 전단부를 겹치도록 매듭 처리하여 상기 매듭의 최대 직경이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블런트엔드니들은,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가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절개형성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의 후단부를 고정 가능한 후방지지부; 및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절개형성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의 전단부를 지지 가능한 전방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상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둔단봉합사 제조방법은, 오목한 반구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히팅플레이트에 동일 직경을 가지는 봉합사의 전단부를 삽입한 후 가열하는 단계;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용융된 상기 봉합사의 돌출부를 응고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상기 봉합사의 전단부를 상기 히팅플레이트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런트엔드니들몸체 전단에 돌출둔단봉합사 를 지지한 상태에서 간편한 리프팅 시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곡되지 않은 일자형의 돌출둔단봉합사를 진피층에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어 만족스러운 수술결과를 유도하고 통증, 출혈, 수술 후 부작용 등을 최소화하여 리프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비교적 굵은 봉합사가 절곡된 형상으로 시술에 적용될 경우, 수술 후 환부 피부표면이 볼록해지는 딤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밖에, 돌출둔단봉합사의 전단부에 삽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표피에 삽입할 경우, 돌출둔단봉합사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진피층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표피로부터 뽑을 경우, 돌출둔단봉합사는 진피층에 걸려 시술부위에 잔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체분해성 재질의 돌출둔단봉합사를 사용함에 따라 돌출둔단봉합사의 제거 시술이 필요치 않으므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프팅용 캐뉼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리프팅용 캐뉼라를 통해 진피층에 리프팅용 봉합사를 삽입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런트엔드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의 제1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의 제2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의 제3 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런트엔드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블런트엔드니들의 변형예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블런트엔드니들을 통해 진피층에 삽입된 돌출둔단봉합사의 삽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일반적으로 봉합사 리프팅이라 함은 리프팅용 봉합사를 인체의 진피층(SMAS;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에 삽입하여 처진 피부를 당겨주고 주름을 개선하는 수술법이다. 이와 같이, 피부에 삽입된 리프팅용 봉합사는 생체분해성 물질이므로, 체내 삽입 후 약 8 내지 10개월간의 시간경과에 함께 CO2, H20 등으로 가수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체내 잔존기간 중 생체분해성 물질의 삽입에 의한 상처부위 치유과정으로 면역반응이 나타나고, 동시에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진피층 상처부로 이동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혈관생성이 유도되고 새롭게 콜라겐이 생성되어 피부탄력이 발생한다. 이때, 섬유아세포는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로 분화되어 진피층의 수축을 촉진시킨다. 위와 같은 일련 과정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피부의 탄력과 리프팅 효과를 지향하는 시술법이 바로 봉합사 리프팅 시술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프팅용 캐뉼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리프팅용 캐뉼라를 통해 진피층에 리프팅용 봉합사를 삽입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팅용 캐뉼라(100a)는 관(管) 형상의 캐뉼라몸체(20a)를 가지며, 캐뉼라몸체(20a)의 선단은 굴곡된 형상을 가져 진피층(K)에 삽입시 진피층(K)의 원치 않는 손상으로 인한 출혈, 멍, 붓기, 통증 등을 최소화하여 빠른 리프팅 및 타이트닝 효과를 유도한다.
캐뉼라몸체(20a)는 선단부 측면에 형성된 개구(25a)를 가지며, 개구(25a)를 통해 리프팅용 봉합사(10a)의 일부를 캐뉼라몸체(20a)의 내부에 삽입하여 리프팅용 봉합사(10a)의 전단이 개구(25a)에 놓이도록 배치한다. 이후, 피부표피(epidermis)(S) 주름(L)의 하부에 위치하는 진피층(K)에 리프팅용 캐뉼라(100a)를 비스듬하게 필요부위까지 찔러넣으며, 이를 통해 리프팅용 봉합사(10a)는 시술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리프팅용 봉합사(10a)가 시술부위에 도달할 경우, 캐뉼라몸체(20a)를 진피층(K)으로부터 제거하며, 리프팅용 봉합사(10a)는 진피층(K)에 잔류한다. 시술자는 피부표피(S)의 외부로 노출된 리프팅용 봉합사(10a)를 피부표피(S) 주름(L)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주름(L)을 제거할 수 있으며, 돌출된 리프팅용 봉합사(10a)를 절단함으로써 시술이 완료된다. 진피층(K) 내에 잔류한 리프팅용 봉합사(10a)는 진피층(K)을 당긴 상태로 고정되어 주름개선효과를 유지하며, 리프팅용 봉합사(10a)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가수분해되면서 배뇨(H2O)와 호흡(CO2)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뉼라몸체(20a)를 피부표피(S)에 삽입할 경우, 개구(25a)에 놓여진 리프팅용 봉합사(10a)는 캐뉼라몸체(20a)로부터 이탈되고, 그로 인해 캐뉼라몸체(20a)의 외부로 절곡된 상태로 피부표피(S)에 삽입됨으로써 'V'자로 꺾인 2가닥 형태의 리프팅용 봉합사(10a)가 진피층(K) 내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일자형 1가닥의 리프팅용 봉합사(10a)가 삽입되는 경우에 비해 진피층(K) 자체의 손상부위가 확대되어 통증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피부표피(S)가 필요 이상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딤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시술 후 회복지연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런트엔드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런트엔드니들(100)은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에 삽입되는 돌출둔단봉합사(10)를 포함한다. 또한, 블런트엔드니들(100)는 보호튜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튜브(5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 및 돌출둔단봉합사(10)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손잡이부(30)에 결합되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 및 돌출둔단봉합사(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25)을 구비하며,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는 내부중공형의 원기둥일 수 있으며,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과 후단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손잡이부(3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개방된 후단에 연결되며, 돌출둔단봉합사(1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개방된 전단을 통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삽입홀(25)을 통과하고 삽입홀(25)과 연통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는 삽입홀(25)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40)가 구비되며,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개방된 전단 전방에 위치한다.
돌출둔단봉합사(10)는 진피층(K)에 흡수 가능한 재료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락틱산(Lactic Acid),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은 생체분해성 폴리머(고분자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둔단봉합사(10)를 사용하여 진피층(K)에 시술된 후 약 8 내지 10개월 동안 서서히 가수분해되어 배뇨(H2O)와 호흡(CO2)을 통해 체외 배출된다.
돌출둔단봉합사(1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영역(T1)과 개방영역(T1)의 후단에 연결되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폐쇄영역(T2)을 구비할 수 있다. 개방영역(T1)에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40)를 구비하며, 돌출부(40)는 삽입홀(25)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폐쇄영역(T2)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기울어진 형태의 코그(가시)들(15)을 포함하며, 코그들(15)은 상부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40)는 후방을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반구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에 삽입홀(25)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40)를 가짐으로써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에 삽입할 경우, 돌출둔단봉합사(1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로부터 뽑을 경우, 돌출둔단봉합사(10)는 진피층(K)에 걸려 시술부위에 잔류될 수 있다.
코그들(15)은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후단(또는 손잡이부(30))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정방향 코그(15a) 또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역방향 코그(15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둔단봉합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방향 코그(15a)와 역방향 코그(15b)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정방향 코그(15a) 및 역방향 코그(15b)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으나 돌출둔단봉합사(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그들(15)이 추가로 나열될 수 있다.
따라서,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가 피부표피(S)에 삽입될 경우,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에 지지되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로부터 뽑을 경우, 돌출부(40)는 진피층(K)에 걸려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돌출둔단봉합사(10)를 시술부위에 잔류시킬 수 있다.
진피층(K)에 잔류된 돌출둔단봉합사(10)는 시술자에 의해 당겨지며, 정방향 코그(15a)와 역방향 코그(15b)는 진피층(K)에 걸려 돌출둔단봉합사(10)의 양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를 통해, 진피층(K)의 당김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진피층(K)의 당김이 지나칠 경우, 딤플형태와 같이 피부의 굴곡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반복적으로 교대 배치된 정방향 코그(15a)와 역방향 코그(15b)의 당김 정도를 잘 조절하여 피부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둔단봉합사(10)는 코그들(15)이 구비되는 후방영역(T2)과 후방영역(T2)의 전단에 연결되어 코그들(15)이 구비되지 않는 전방영역(T1)을 가질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또는 열성형기)(80)는 오목한 반구형의 삽입홈(85)이 형성되며,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방영역(T1) 전단부를 삽입홈(85)에 삽입하여 히팅플레이트(80)를 가열함으로써 돌출둔단봉합사(10)는 용융된다.
용융된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는 삽입홈(85)과 대응되는 오목한 반구형의 돌출부(40)가 형성되며, 용융된 돌출부(40)를 응고시키고 삽입홈(85)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전단부에 돌출부(40)가 형성되는 돌출둔단봉합사(10)를 제조할 수 있다. 삽입홈(85)의 내경은 용융 전의 돌출둔단봉합사(10)보다 큰 외경을 형성함으로써 돌출부(40)는 용융 전의 돌출둔단봉합사(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의 제1 변형예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둔단봉합사(10)는 돌출부(4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출돌기(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돌기(45)는 돌출부(40)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로부터 뽑을 경우, 돌출돌기(40)는 진피층(K)에 걸려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돌출둔단봉합사(10)를 시술부위에 잔류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의 제2 변형예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0)는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를 겹치도록 매듭 처리함으로써 삽입홀(25)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며, 매듭 처리된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듭은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 자체를 되돌려 단순한 고리를 만들어 묶는 다목적 기본 매듭인 옭매듭(오버핸드 노트)일 수 있다.
즉, 매듭 처리된 돌출부(40)는 삽입홀(25)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돌출둔단봉합사(10)는 돌출부(40)를 통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 전단에 지지되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으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며, 별도의 돌출부(40) 가공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로부터 뽑을 경우,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돌출부(40)는 진피층(K)에 걸려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돌출둔단봉합사(10)를 시술부위에 잔류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돌출둔단봉합사의 제3 변형예이다. 앞서 도 7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40)는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를 겹치도록 매듭 처리함으로써 삽입홀(25)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며, 매듭처리된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매듭 처리된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이 돌출부(40)의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 돌출된 돌출둔단봉합사(10)로 인해 진피층(K)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된 돌출둔단봉합사(10)를 삽입홀(25) 내부로 삽입한 상태로 시술을 수행함으로써 진피층(K)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앞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뉼라몸체(20a)를 피부표피(S)에 삽입할 경우, 리프팅용 봉합사(10a)가 캐뉼라몸체(20a)로부터 이탈되어 캐뉼라몸체(20a)의 외부로 절곡된 상태로 피부표피(S)에 삽입됨으로써 'V'자 2가닥의 리프팅용 봉합사(10a)가 진피층(K)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의 정확성이 증대되며, 피시술자의 통증 및 회복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런트엔드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서 설명한 블런트엔드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생략된 구성 및 효과는 도 4 및 도 6에 상술한 블런트엔드니들(100)의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런트엔드니들(100)은 손잡이부(30)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절개형성되는 후방지지부(70) 및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절개형성되는 전방지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지지부(60)와 상기 후방지지부(70)는 상기 손잡이부(30) 및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단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상각을 가질 수 있다. 전방지지부(60)는 돌출부(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돌기(45)의 후단 또는 측면을 지지하며, 돌출둔단봉합사(10)의 후단부는 후방지지부(70)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돌출둔단봉합사(10)가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전방지지부(60)에 지지되는 돌출돌기(45)를 통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내부에 위치한 코그들(15)의 위치를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며,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전방지지부(60) 및 후방지지부(70)를 통해 긴밀히 고정된 상태에서 진피층(K)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둔단봉합사(10)가 진피층(K)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그들(15)을 나란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술자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30)를 회전시켜 코그들(15)을 특정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코그들(15)의 위치는 후방지지부(70)의 위치로 확인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블런트엔드니들의 변형예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정방향 코그(15a)는 전방지지부(60) 상부로 돌출되며, 폐쇄영역(T2)에 배치되는 코그들(15)은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전방지지부(60)의 상부로 돌출된 전방향 코그들(15a)은 전방지지부(60)의 측면 또는 후단에 지지되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와 함께 삽입되며, 전방지지부(60)의 전단은 후단보다 큰 폭을 가지는 'U'자형 또는 'V'자형일 수 있다.
따라서, 전방지지부(60)에 놓여진 정방향 코그(15a)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가 피부표피(S)에 삽입될 경우,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피부표피(S)로부터 뽑을 경우, 돌출둔단봉합사(10)는 정방향 코그(15a)에 의해 진피층(K)에 걸려 시술부위에 잔류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블런트엔드니들을 통해 진피층에 삽입된 돌출둔단봉합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런트엔드니들(100)은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에 돌출둔단봉합사(10)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각각 지지한 상태로 돌출둔단봉합사(10)를 진피층(K)에 삽입하고, 돌출둔단봉합사(10)를 당겨 주름(L) 개선을 위한 국부적 시술이 가능하다. 진피층(K)에 삽입된 돌출둔단봉합사(10)는 진피층(K)을 당긴 상태로 진피층(K) 내에 잔류하여 주름개선효과를 유지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돌출둔단봉합사(10)는 인체의 신진대사에 의해 서서히 가수분해된다.
즉, 본 발명인 돌출둔단봉합사(10)는 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40)를 통해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에 지지된 상태로 진피층(K)에 1가닥의 돌출둔단봉합사(1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돌출둔단봉합사(10)의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에 배치됨으로써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삽입 깊이와 돌출둔단봉합사(10)의 삽입 깊이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불필요한 진피층(K) 손상을 방지하고 돌출둔단봉합사(10)의 삽입 깊이의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시술자의 통증 및 회복시간을 최소화하고 결과적으로 시술의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술자는 돌출둔단봉합사(10)를 원하는 부위까지 삽입한 후, 돌출둔단봉합사(10)의 후단을 후방지지부(7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를 외부로 뽑아낼 경우, 돌출부(1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돌출둔단봉합사(1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어 진피층(K)에 잔류할 수 있다. 즉, 돌출부(40)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의 전단에 지지된 상태로 진피층(K)에 삽입되므로, 돌출둔단봉합사(10)의 좌우 뒤틀림 및 블런트엔드니들몸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블런트엔드니들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 돌출둔단봉합사 15 : 코그(가시)
15a : 정방향 코그 15b : 역방향 코그
20 : 블런트엔드니들몸체 25 : 삽입홀
30 : 손잡이부 50 : 보호튜브
60 : 전방지지부 70 : 후방지지부
100 : 블런트엔드니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하며, 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코그들을 가지는 봉합사와, 상기 봉합사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반구 형상인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둔단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에 지지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되며,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상기 피부로부터 인출할 경우 상기 돌출둔단봉합사가 상기 피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블런트엔드니들.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돌기들을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둔단봉합사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방에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개방영역; 및
    상기 개방영역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후단 또는 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코그들을 구비하는 폐쇄영역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후방을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
  8.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하며, 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코그들을 가지는 봉합사와, 상기 봉합사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둔단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둔단봉합사의 전단부를 겹치도록 매듭 처리하여 상기 매듭의 최대 직경이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에 지지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되며,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상기 피부로부터 인출할 경우 상기 돌출둔단봉합사가 상기 피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블런트엔드니들.
  9.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하며, 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몸체;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코그들을 가지는 봉합사와, 상기 봉합사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둔단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에 지지되어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되며,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를 상기 피부로부터 인출할 경우 상기 돌출둔단봉합사가 상기 피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블런트엔드니들은,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가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절개형성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의 후단부를 고정 가능한 후방지지부; 및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절개형성되어 상기 돌출둔단봉합사의 전단부를 지지 가능한 전방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블런트엔드니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블런트엔드니들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상각을 가지는, 블런트엔드니들.
  11. 삭제
KR1020140153429A 2014-11-06 2014-11-06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KR10154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29A KR101548372B1 (ko) 2014-11-06 2014-11-06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29A KR101548372B1 (ko) 2014-11-06 2014-11-06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372B1 true KR101548372B1 (ko) 2015-08-28

Family

ID=5406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429A KR101548372B1 (ko) 2014-11-06 2014-11-06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74B1 (ko) * 2015-12-24 2017-09-01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CN107913086A (zh) * 2016-10-06 2018-04-17 李俊成 设置有分支点的用于提升的手术器具
WO2018225899A1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08B1 (ko) 2002-06-07 2005-03-08 박영엽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US20100298637A1 (en) * 1993-05-03 2010-11-25 Quill Medical, Inc. Suture with a pointed end and an anchor end and with equally spaced tissue grasping protrusions located at successive axial locations
KR101237399B1 (ko) 2012-05-10 2013-02-27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주름 제거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8637A1 (en) * 1993-05-03 2010-11-25 Quill Medical, Inc. Suture with a pointed end and an anchor end and with equally spaced tissue grasping protrusions located at successive axial locations
KR100473108B1 (ko) 2002-06-07 2005-03-08 박영엽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KR101237399B1 (ko) 2012-05-10 2013-02-27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주름 제거 임플란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74B1 (ko) * 2015-12-24 2017-09-01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CN107913086A (zh) * 2016-10-06 2018-04-17 李俊成 设置有分支点的用于提升的手术器具
WO2018225899A1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KR20180133113A (ko)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KR102069250B1 (ko) * 2017-06-05 2020-01-22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949B2 (ja) 組織挙上用移植物
CN102481149B (zh) 具有用于在生物组织进行锚定的锚定结构的涂覆线
KR101532704B1 (ko)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BR112013024303B1 (pt) Sistema de sutura de autorretenção e método para fabricar um sistema de sutura de autorretenção
KR101237399B1 (ko) 주름 제거 임플란트
KR101548372B1 (ko)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KR101486456B1 (ko)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US20040267315A1 (en) Braided gold suture and method of use
KR101329267B1 (ko) 다줄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KR101534061B1 (ko) 폭경비가 다른 개구를 구비한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US10357349B2 (en)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KR20050074342A (ko) 수술용 실
CN207804288U (zh) 一种新型结扣式美容提拉线
KR101655943B1 (ko) 형상 기억 생체 흡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의료용 매선로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와 그 제품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KR200491562Y1 (ko) 리프팅 실
US20210361285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134483A (ko) 성형수술용 실 구조체
KR101713478B1 (ko) 봉합사
CN108607115A (zh) 一种m唇整形用缝合线
KR20080095223A (ko) 외과용 봉합바늘 및 이것을 이용한 봉합방법
US20230020956A1 (en) Twelve-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US20210346018A1 (en)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RU2669045C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
de Felipe Eyebrow Thread Lif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