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342A - 수술용 실 - Google Patents

수술용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342A
KR20050074342A KR1020050028655A KR20050028655A KR20050074342A KR 20050074342 A KR20050074342 A KR 20050074342A KR 1020050028655 A KR1020050028655 A KR 1020050028655A KR 20050028655 A KR20050028655 A KR 20050028655A KR 20050074342 A KR20050074342 A KR 2005007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urgical
point
clear zon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105B1 (ko
Inventor
츠 리앙 우플스 우
Original Assignee
츠 리앙 우플스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 리앙 우플스 우 filed Critical 츠 리앙 우플스 우
Publication of KR2005007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수술용 실 및 상기 실을 이용한 수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실은, 클리어 존(clear zone) 및 클리어 존의 양쪽에 형성된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클리어 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클리어 존 양쪽의 돌출부들은 클리어 존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술용 실을 사용하는 수술방법은, 조직 및/또는 근육을 따라 피하(皮下)로 실을 관통시킨 다음, 실을 반으로 접어서 루프(loop) 또는 슬링(sling)을 형성하도록 한다. 원하는 리프트(lift)를 달성하기 위해, 두 개의 별개의 출구지점의 외부로 연장된 실의 양단부에서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실에 형성된 돌출부들에 의해 실이 입구지점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며, 클리어 존은 실의 접혀지는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Description

수술용 실{Surgical Thread}
본 발명은 성형외과 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실 및 상기 수술용 실을 사용하는 성형외과 수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얼굴 리프트(face lift) 기법에 의하면, 얼굴 조직과 피부의 여러 층에 광범위한 절개를 하게 되며, 이 후, 이러한 조직들은 다시 봉합되어서, 위쪽과 뒤쪽으로 재배열된다.
이러한 종래의 얼굴 리프트 기법은 필연적으로 커다란 흉터를 남기며, 피부 괴저, 신경 손상, 혈관 손상, 머리털 손실, 귀의 전위 및 얼굴의 부자연스러운 배치 등의 위험을 수반한다. 이러한 수술 기법의 가장 큰 결함은, 2주에서 6주가 걸리는 회복기간 중에 휴지기간과 함께 발생하는 상당한 종기와 멍이며, 이러한 회복기간 동안 환자들은 일을 할 수가 없으며, 사회적인 활동을 피하려고 한다.
얼굴 리프트 과정 중에 의해 발생하는 흉터와 조직 절개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기법이 개발되었다. 널리 알려진 하나의 기법은 미늘(barb)이 형성된 봉합사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미늘은 실의 장력(tension)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봉합사는 연한 조직의 하부로 완만한 커브를 이루면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연한 조직을 융기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완만한 리프트(lift)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효과는 광대뼈나 뺨 부분에서는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법은 절개를 하거나 얼굴 조직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으며, 흉터와 합병증을 없앨 수 있지만, 이마와 눈썹, 얼굴 중반부, 목의 처짐부(jowl), 얼굴 측면과 목 등과 같이 무거우면서도 연한 얼굴 조직을 올리는 경우 효과적이지 못하다. 전술한 부위들의 더 무거운 조직은 조기에 늘어지거나 떨어지기에 앞서, 수술용 실의 미늘을 상당히 당기게 된다. 또한, 융기(bunching up)효과는, 젊게 보이도록 조직이 매끄럽고 팽팽해지기를 원하는 이마, 턱, 목 및 얼굴 측면 등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피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며, 조직을 효과적으로 올려주는 수술용 실과 수술방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마와 눈썹, 얼굴 중반부, 목의 처짐부(jowl), 얼굴 측면과 목 등과 같이 무거우면서도 연한 얼굴 조직을 들어올리는데 효과적인 수술용 실과 수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며, 조직을 효과적으로 올려주는 수술용 실과 수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실은 클리어 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 존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클리어 존을 향해 경사져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방법은, 클리어 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 존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클리어 존을 향해 경사져 있는 수술용 실을 사용한 성형수술방법에 있어서, 조직 리프트의 지점으로 정의되는 입구지점에서 조직을 절개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지점과 제1 출구지점 사이를 피하(皮下)로 관통하며, 조직이 매달리게 되는 제1 통로에 캐뉼러(cannula)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일단부를 상기 입구지점에서 상기 캐뉼러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절개 부위에 인접하거나 상기 절개 부위로 들어가도록 상기 실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출구지점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단계와, 상기 캐뉼러를 제거하고, 상기 입구지점 및 상기 제1 출구지점과 이격된 제2 출구지점 사이의 제2 통로에 상기 캐뉼러를 재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타단부를 상기 캐뉼러를 통해 삽입하고 제2 출구지점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상기 실을 반으로 접는 단계와, 상기 캐뉼러를 제거하고, 원하는 리프트를 달성하도록 상기 실의 양단부에서 상기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실이 입구지점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실의 접혀진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실의 양단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지점의 절개부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술방법은, 클리어 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 존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클리어 존을 향해 경사져 있는 수술용 실을 사용한 성형수술방법에 있어서, 조직 리프트의 지점으로 정의되는 입구지점에서 조직을 절개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일단부를 조직 및/또는 근육을 따라 상기 입구지점에서 피하로 삽입하고, 조직이 매달리게 되는 제1 출구지점에서 상기 실의 일단부를 빠져나오게 하며,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절개 부위에 인접하거나 상기 절개 부위에 들어갈때까지 상기 실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타단부를 조직 및/또는 근육을 따라 상기 입구지점에서 피하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출구지점에서 이격된 제2 출구지점으로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상기 실을 반으로 접는 단계와, 원하는 리프트를 달성하도록 상기 실의 양단부에서 상기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실이 입구지점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실의 접혀진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실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상기 입구지점의 절개부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면들은, 종래의 수술용 실과 얼굴 리프트 방법에 의해 실시되었던 것보다, 부드러운 조직을 더 길게 리프트할 수 있는 개선된 리프트를 행하는 수술용 실과 상기 수술용 실을 사용한 수술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 실시예들은 사람의 얼굴에 대한 주름 제거 수술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슴 리프트(breast lifting), 엉덩이 리프트(buttock lifting) 및 사람의 신체 중에 리프트되기를 원하는 어느 부위에도 사용될 수 있다.
비록, 후술하는 설명은 사람에 대해서 행해지는 수술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언급하지만, 사람이 아닌 것, 특히 동물에 대한 수의학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1은 수술과정, 특히 성형 수술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실(10)의 일부를 나타낸다. 수술용 실(10)은 소프트하고, 탄력이 있으며, 생물 친화성(bio compatible)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술용 실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지지만, 금, 스테인레스 및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과 같은 용해성 봉합사 재질도 포함한다. 또한, 리프트되는 부위와 희망하는 효과에 따라서, 실(10)은 상기 재질에 의해 다양한 등급과 두께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10)은 3.0 게이지(gauge)(0.3㎜ 지름)와 2.0 게이지(0.35㎜ 지름) 사이의 두께를 갖는 봉합사로 이루어진다.
수술용 실(10)의 표면에는 미늘(barb)(12)로 알려진, 양방향의 예리한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된다. 수술용 실(10)은 섹션(section) 또는 존(zone)으로 구분되며, 미늘(12)은 이러한 존 중에 두개의 존에 형성된다. 특별히, 클리어 존(clear zone) 또는 클리어 섹션(clear section)(14)은 실질적으로 수술용 실(1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미늘(12)을 포함하지 않는다. 클리어 존(14)의 수술용 실(10)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매끄럽다.
클리어 존(14)의 양쪽은, 표면에 미늘(12)을 포함한 미늘 존(barb zone)(16)으로 이루어진다. 미늘(12)은 실(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어서, 실(10)이 연한 조직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실(10)은 한방향으로 조직을 따라 쉽게 끌어당겨진다.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실(10)을 뽑거나 당기는 경우에는 미늘(12)의 예리한 단부가 주변의 연한 조직 속으로 박히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클리어 존(14)의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미늘 존(16)에서 미늘(12)의 경사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도 2는 클리어 존(14)의 양쪽에 위치한 미늘 존(16)과 클리어 존(14)의 확대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클리어 존(14)의 왼쪽에 위치한 미늘(12)은 도면의 오른쪽을 향해 있으며, 반면에 클리어 존(14)의 오른쪽에 위치한 미늘(12)은 도면의 왼쪽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두 개의 미늘 존(16)의 미늘(12)은 모두 클리어 존(14)을 향하고 있다.
수술용 실(10)의 표면에 커팅(cutting)하거나 에칭(etching)함으로써 미늘(12)이 만들어지며, 미늘(12)의 예리한 단부(sharp tip)(18)도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 진다.
한편, 미늘(12)은 수술용 실(10)을 따라 나선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도 2에 나타나 있다. 수술용 실(10)이 연한 조직을 따라 피하(皮下)에서 꿰매지는 경우에, 미늘(12)의 나선형 배치에 의해, 수술용 실(10)은 모든 방향에서 주변의 조직을 더욱 용이하게 지탱하게 된다.
엔드 존(end zone)(20)은 미늘 존(16) 다음에, 수술용 실(10)의 단부에 위치하며, 미늘(12)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술용 실(10)은 60 ~ 65㎝의 길이를 갖는다. 클리어 존(14)은 약 4㎝이고, 두 개의 미늘 존(16)은 각각 약 20㎝이고, 두 개의 엔드 존(20)은 각각 약 10 ~ 15㎝의 길이를 갖는다.
미늘(12)들은 약 1 ~ 2㎜정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미늘(12)들이 수술용 실(10)의 표면에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배치되어 360ㅀ를 돌아서 제자리로 돌아오는 경우, 하나의 360ㅀ나선형 회전은 약 35 ~ 45 ㎜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하나의 나선형 회전에는 약 18 ~ 22개의 미늘(12)이 포함된다. 따라서, 20㎝의 길이를 갖는 미늘 존(16)에는 약 5개의 나선형 회전이 포함된다.
각 미늘(12)은 1 ~ 2㎜의 길이를 가지며, 수술용 실(10)의 두께의 1/6 ~ 1/4 을 차지한다.
전술한 치수는 수술용 실(10)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술용 실의 길이는 리프트시키려는 연한 조직의 양과 부위에 따라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다. 즉, 짧은 리프트(예를 들어, 눈썹 리프트)는 더 긴 리프트(예를 들어 턱선 리프트)보다 더 짧은 수술용 실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실의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늘의 나선형 회전은 하나의 나선형 회전에 오직 4 ~ 6개의 미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미늘 사이의 간격을 변형할 수 있으며, 미늘의 길이도 수술용 실의 정확한 용도와 제조장치의 한계에 의해 더 짧거나 길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술용 실(10)은 수술에 의해 리프트시키려는 조직의 부위에 이른바 "슬링(sling)"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수술용 실(10)은, 접힘부에 해당하는 클리어 존(14)에서 두 개로 접혀지며, 리프트되는 조직 부위를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방법에 따라 수술용 실의 단부에 해당하는 하나의 포인트에서 리프트되는 조직에 비해, 본 발명의 수술용 실은 조직을 리프트하는 고리로 된 접힘부(looped fold)에 의해 형성되는 '슬링'을 이용하여 조직을 리프트하고 지탱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안전하게 조직을 리프트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리프트는, 조직이나 근육속에서 고중력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지탱되는 엔드 존(20)(실의 길이가 짧다면 미늘 존(16))에서 고정된다. 그러나, 리프트에 의해 작용하는 모든 하중이 엔드 존(20)에 집중되지는 않는다. 수술용 실(10)의 삽입된 길이를 따라 배치된 경사진 미늘(12)에 의해, 상기 실(10)을 따라 자기 지탱방식(self retaining manner)으로 상기 하중을 견디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용 실(10)이 사용되는 방식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 3a 내지 도 3c에서 리프트 수술 과정에 대한 단계를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사람의 얼굴에서, 얼굴 중앙부의 써스펜션(suspension), 눈썹 리프트(brow lift)에 대한 수술 기법을 설명한다.
우선, 의사는 수술에 앞서 수술 전 얼굴의 처짐 정도를 먼저 평가하고, 볼이나 얼굴 중앙부의 원하는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그 후, 의사는 환자의 피부에서 리프트하려는 지점과 상기 리프트를 지탱하는 얼굴 위쪽의 두개의 고정(anchor) 포인트를 표시한다.
이어서, 환자에게 국부 마취제를 투여하여 국부적으로 마취시킨 후, 의사는 도 3a에서 입구지점(entry point)(30)으로 표시된 리프트 포인트의 연한 조직을 소정부분 찌름 절개(stab incision)한다. 찌름 절개를 하고 난 후, 의사는 찌름 절개된 부위의 주변에 반경 약 0.5㎝ 정도로 입구지점(30)의 피하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기법에 의한 수술시간에서 딤플링(dimpling)을 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어서, 캐뉼러(cannula), 또는 삽입 바늘(insertion needle)(32)을 입구지점(30)로 삽입시켜, 피부에 표시한 마킹(marking)을 따라 피부 아래의 연한 조직 및/또는 근육을 따라 제1 통로(25)로 관통시키게 된다. 캐뉼러(32)는 얼굴 상부를 향해 미끄러지면서, 헤어라인(hair line) 하부의 두피(scalp)(35), 즉 두피를 덮고 있는 머리털부위에 형성된 제1 출구지점(exit point)(34)으로 나오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실(10)의 일단부는 캐뉼러(32)에 의해 입구지점(30)을 통해 제1 출구지점(34)으로 나오게 된다. 상기 실(10)의 클리어 존(14)이 절개부위의 입구지점(30)의 캐뉼러(30)에 근접하거나, 캐뉼러(30) 내부로 들어가기 시작할 때까지, 수술용 실(10)을 캐뉼러(30)를 통해 관통시킨다. 이러한 경우, 수술용 실(10)의 절반은 캐뉼러(30)를 관통해 있으며, 나머지 절반은 입구지점(30)에서 캐뉼러(32)에 매달려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 수술용 실(10)의 중앙부는 입구지점(30)의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캐뉼러(32)가 제거되고, 출혈부위에 압박(compression)을 가하게 된다.
도 3b는 다음 단계를 도시하며, 제1 출구지점(34)에 인접하도록 헤어라인 하부의 두피에 위치한 제2 출구지점(36)에서 시작되는, 캐뉼러의 제2 통로(26)를 나타낸다. 제2 출구지점(36)은 제1 출구지점(34)에서 약 0.5 ~ 1㎝ 정도 이격되어 있다. 캐뉼러(32)를 제2 출구지점(36)을 통해 아래쪽으로 삽입시켜, 근육과 연한 조직의 하부를 통해 절개부위의 입구지점(30)으로 나오게 한다. 캐뉼러(32)의 이러한 제2 경로는 실질적으로 제1 경로와 평행하게 된다.
얼굴 조직을 관통하여 경로를 형성하는 캐뉼러(32)에 의해, 수술용 실(10)의 삽입되지 않은 타단부를 입구지점(30)에서 캐뉼러(32)를 통해, 제2 출구지점(32)으로 나오게 한다. 이러한 단계가 도 3c에 도시된다.
이어서, 캐뉼러(32)는 제거되고, 출혈부위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수술용 실(10)은 두피(35)로부터 아래쪽으로 리프트하려는 조직의 입구지점(3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고리로 되어(또는 반으로 접혀서) 피부 아래에서 연조직과 근육을 지탱하고, 두피(35)로 나오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수술용 실(10)의 루프(38)는 본 단계에서 얼굴의 표면에 위치한다. 수술용 실(10)이 제대로 삽입되었다면, 루프(38)는 수술용 실(10)의 클리어 존(14)에 형성된다. 또한, 수술용 실(10)의 삽입된 부분에는 미늘 존(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늘(12)들은 클리어 존(14)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향해있게 된다. 즉, 미늘(12)들은 리프트 지점을 향하게 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출구지점(34)(36)에 위치한 실의 단부(22)를 잡아당김으로써, 수술용 실(10)에 장력(tension)을 가하게 된다. 미늘은 수술용 실(10)의 단부(22)와 반대방향을 향해 있으므로, 수술용 실(10)은 용이하게 당겨지며, 루프(38)는 하부의 조직을 지탱하면서 입구지점(30) 절개부위를 통해 당겨진다. 이러한 경우, 클리어 존(14)이 실질적으로 루프(18)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실의 단부(22)를 세심하게 조정한다. 삽입된 실의 미늘에 의해 수술용 실(10)이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거나, 조직 내부의 자연적인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단, 루프(38)를 입구지점(30)의 피하에 형성된 공간 내부로 당기게 되면, 원하는 수준의 얼굴 중앙부의 리프트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실의 단부(22)에 장력을 가한다.
이어서, 바늘(미도시)을 피하를 통해 두피(35)의 제1 및 제2 출구지점(34)(36)을 관통시키고, 수술용 실(10)의 일단부를 바늘을 따라 관통시킴으로써, 수술용 실(10)의 양단부가 동일한 출구지점으로 나오게 한다.
이어서, 수술용 실(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재조정하고, 3 ~ 4개의 매듭을 형성하여 마지막 위치를 고정한다. 이어서, 수술용 실(10)을 매듭에 접하도록 자르고, 피부 하부로 밀어넣게 된다. 입구지점(30)의 절개된 조직은 스티칭(stitching)이나 압박과 같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봉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술용 실의 양단부를 각 출구지점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출구지점에 접하도록 자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술용 실은, 미끄러짐 없이 하부의 피부를 지탱하며, 조직의 안정된 올림(elevation)을 보장하는 경사진 미늘에 의해 지지된다.
수술을 하는 도중에 추후에 실을 재조정할 필요성이 예상된다면, 수술용 실(10)을 한번만 매듭짓고, 실의 단부에 충분한 길이를 남겨놓아서, 추후에 장력을 가하고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얼굴 중앙부 리프트 과정은, 첫번째 리프트된 지점과 대칭되는 얼굴 반대편의 처짐 부위에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수술 과정은 수술용 실이 삽입되어야 하는 경로를 따라 캐뉼러의 피하 삽입과정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입구지점과 출구지점사이로 실을 관통하기 위해 다른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캐뉼러는 적절한 도구이기는 하지만, 다른 적절한 도구, 예를 들어 고체 바늘 형식의 도구와 유사한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실(10)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전술한 실(10)의 양단부에 바늘(55)들을 구비한다. 바늘(55)은, 연한 조직 및/또는 근육의 피하를 따라 수술용 실(10)을 관통시키는 캐뉼러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바늘을 입구지점(30)을 통해 삽입시켜, 피하를 통해 제1 출구지점(34)으로 나오게 한다. 중공이 형성된 캐뉼러를 사용하는 대신에,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실을 삽입할 수 있으며, 연한 조직과 근육을 바로 관통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바늘(55)을 관통시킴으로써, 바늘(55)에 연결된 수술용 실(10)을 바늘(55)을 따라 연한 조직을 관통시켜 제2 출구지점(34)으로 나오게 한다. 또한, 실(10)의 타단부에 연결된 다른 바늘(55)을 입구지점(30)으로 삽입시켜, 피하를 통해 제2 출구지점(36)으로 나오게 하는데, 제2 출구지점(36)은 제1 출구지점(34)에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출구지점(36)에 있는 수술용 실(10)의 단부를 잡아당기는 대신, 제2 출구지점(36)의 바늘(55)을 당기게 된다. 본 단계에서, 양바늘(55)은 동일한 출구지점, 또는 서로 다른 출구지점(34)(36)을 관통하게 되며, 클리어 존(14)은 입구지점(30)에서 루프(38)를 형성하게 된다. 도 5에 이러한 단계가 도시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늘(55)들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며, 고제로 되어 뾰족한 형태를 갖는다. 헤어라인 리프트와 같이 짧은 리프트의 경우에, 바늘들의 길이를 더 짧게 한다. 다른 리프트의 경우, 휘어진 바늘을 필요로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실의 단부에 연결된 바늘들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또는 휘어진 짧은 바늘로 제작할 수 있다. 바늘들은 강철이나 다른 적합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두번째 실시예에서, 실의 미늘 부분이 연한 조직에 삽입되는 지역에는 수술용 실에 의해 슬링(sling)이 형성되며, 클리어 존은 입구지점에서 조직 다리(tissue bridge)에 바싹 붙어 위치한다.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서, 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수술용 실의 단부들을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미늘들에 의해 연한 조직을 끌어당겨서 조직을 올리게 된다. 이어서, 수술용 실들을 두피에 접하게 자르거나, 또는 바늘을 실로부터 분리하고, 실의 단부를 피하에서 묶는다. 한편, 하나의 바늘을 대응하는 출구지점에서 다른 출구지점으로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실의 양단부가 동일한 출구지점으로 나오도록 하고, 실을 잘라서 묶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수술용 실의 단부에는 제조과정에서 긴 바늘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늘에는 실의 단부가 연결되는 바늘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얼굴 리프트 과정은, 전술한 캐뉼러를 사용한 방법, 또는 바늘들이 연결된 실을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얼굴 중앙부의 광대뼈의 돌출부(mound)의 써스펜션(suspension)의 경우에는, 각 광대뼈의 돌출부에 두 개의 리프트 지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포인트들은 도 6에서, 광대뼈 돌출부의 중앙 직하부의 제1 지점(40)과 자연적으로 보조개가 형성되는 광대뼈 돌출부의 최하부 제2 지점(42)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및 제2 출구지점(34)(36)으로 빠져나오는 두 쌍의 네가닥의 실들을 동시에 조정하여, 기대하는 얼굴 중앙부의 리프트를 형성한다.
도 6에 헤어라인 안쪽의 리프트의 예가 도시되는데, 헤어라인(46) 상에서 참조부호 44 지점에서 발생하는 리프트로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더 짧은 수술용 실(10)을 필요로 하지만, 실제적으로, 보통 길이의 실을 사용하며, 적당한 길이에서 자르게 된다.
상기 모든 수술들은 보통 길이의 수술용 실을 가지고 이루질 수도 있지만, 절개되는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리프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길이의 실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클리어 존(14)이 반드시 실의 중앙부에 위치하지 않고, 실을 사용하는 부위의 목적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눈 리프트(eye lift)(48), 눈썹 리프트(brow lift)(50) 및 써스펜션(suspension)에 대한 절개가 목근 밴드(platysmal bands)(52)(53)에서 형성되는 목선 리프트(neck lift)를 또한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턱끝 목(mentocervical)의 높이에서 각 밴드의 정중앙의 중앙선을 따라 절개가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목의 써스펜션(suspension)에 대한 수술 기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상기 수술과정은 목 돌출부(mound)를 관통하여 아래턱(mandible) 각도의 높이에서 행해지는 두 번의 찌름 절개와 광대 주름(marionette line)의 높이에서 행해질 수 있는 세번째 찌름 절개에 의해 시작된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수술용 실은, 도 3a 내지 3c, 또는 도 4 및 5에서 설명한 방법과 유사하게 꿰매진다.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가슴이나 엉덩이와 같이 얼굴이 아닌 늘어진 조직에 대해서는, 캐뉼러의 삽입에 의한 수술용 실의 이상적인 입구지점과 출구지점을 세심하게 측정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슬링(sling)에서 수술용 실을 관통시키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의 클리어 존(14)은, 연한 조직에 대한 붙들기(purchase), 즉, 연한 조직에 대한 루프(38)의 지지를 늘리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실의 가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수술용 실은 가끔씩 조직을 자르게 되는데, 도 7a 및 7b는 이러한 조직을 자르는 효과를 방지하며, 조직에 대한 실의 지지력을 늘려주는 클리어 존(14)의 두 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a에 도시된 클리어 존(14)은 평평하게 되어 리본과 같은 형상을 하게 되며, 평평부는 조직 리프트의 입구지점에서 조직 다리(tissue bridge)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7b는 클리어 존(14)을 둘러싼 쉬스(sheath) 또는 슬리브(sleeve)(57)를 나타낸다. 이러한 슬리브(57)의 표면은 거칠게 처리되거나, 주름형상을 하거나, 또는 "모피(furry)" 표면으로 이루어져서, 클리어 존(14)의 유효 두께를 증가시키며, 슬리브(57)를 조직에 달라붙게 하여 조직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57)는 실라스틱(silastic)이나, 폴리락틱 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과 같이 생물 분해성이 있는 재질이나, 다른 적합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클리어 존(14)의 세번째 변형예에서, 클리어 존(14)은 하나 이상의 실을 꼬아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클리어 존의 효과적인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일 실에 의할 경우 조직을 예리하게 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용 실에 의한 "슬링(sling)"기법에 의하면, 조직과 근육의 강력한 리프트를 달성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실이 겹쳐져서 실의 두 부분이 조직을 올리기 때문에 리프트는 두 배의 효과를 갖는다. 양방향 원주배치 미늘들은 조직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실이 조기에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의 클리어 존에 의해, 일단 피하로 삽입된 실을 조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며, 리프트를 지지하는 실의 '슬링(sling)' 부위에 대한 충분한 강도와 신뢰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실과 수술방법은 내부가 꽉 차면서 연한 조직을 리프트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실의 길이를 따라 피부를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팽팽한 피부와 부드러운 인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수년간 사용하게 될 반침습성이며,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드러운 얼굴 리프트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실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 리프트 과정(face lift procedure)의 첫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수술과정의 두번째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수술과정의 세번째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수술용 실이 사람의 얼굴에 꿰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람의 얼굴에서 수술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실의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실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술용 실 12...미늘(barb)
14...클리어 존(clear zone) 16...미늘 존(barb zone)
20...엔드 존(end zone) 25...제1 통로
26...제2 통로 30...입구지점(entry point)
32...캐뉼러(cannula) 34...제1 출구지점(exit point)
36...제2 출구지점 38...루프(loop)
55...바늘 57...슬리브

Claims (44)

  1. 클리어 존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 존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클리어 존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은 실질적으로 상기 실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은 상기 실의 표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실은 그 단부에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은 엔드 존(end z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은 상기 실을 깍거나, 에칭하여 형성된 미늘(barb)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6. 제3항에 있어서,
    예리한 돌출부들의 일회 나선형 회전에는 실질적으로 18 ~ 22 개의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7. 제6항에 있어서,
    예리한 돌출부들의 일회 나선형 회전은 실질적으로 35 ~ 45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은 실질적으로 1 ~ 2 ㎜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은 1 ~ 2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돌출부가 상기 실 두께의 1/6 ~ 1/4 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실은 실질적으로 60 ~ 65 ㎝의 길이와 0.30 ~ 0.35 ㎜의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은 실질적으로 4㎝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예리한 돌출부들은 상기 클리어 존의 양쪽에서 실질적으로 20㎝의 길이에 형성되며, 상기 엔드 존들은 실질적으로 10 ~ 15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실은 60 ~ 65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실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실의 양단부에 각각 바늘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들의 길이가 짧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들이 직선형이거나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들이 강철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이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은 거친 표면이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실라스틱 재질, 또는 생물 분해성(biodegradable)의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분해성의 재질은 폴리락틱 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이 하나 이상의 실을 꼬아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실.
  24. 클리어 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 존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클리어 존을 향해 경사져 있는 수술용 실을 사용한 성형수술방법에 있어서,
    조직 리프트의 지점에 해당하는 입구지점에서 조직을 절개하는 단계와,
    조직이 매달리게 되는 상기 입구지점과 제1 출구지점 사이를 피하로 관통하는 제1 통로에 캐뉼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일단부를 상기 입구지점에서 상기 캐뉼러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절개 부위에 인접하거나 상기 절개 부위로 들어가도록 상기 실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출구지점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단계와,
    상기 캐뉼러를 제거하고, 상기 입구지점 및 상기 제1 출구지점과 이격된 제2 출구지점 사이의 제2 통로에 상기 캐뉼러를 재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타단부를 상기 캐뉼러를 통해 삽입하고 제2 출구지점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상기 실을 반으로 접는 단계와,
    상기 캐뉼러를 제거하고, 원하는 리프트를 달성하도록 상기 실의 양단부에서 상기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돌출부들에 의해 상기 실이 입구지점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실의 접혀진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실의 양단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지점의 절개부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지점과 상기 제1 출구지점 사이의 제1 통로를 따라 캐뉼러를 삽입하고, 상기 제2 출구지점과 상기 입구지점 사이의 제2 통로를 따라 캐뉼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단부들에 하나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출구지점 사이로 바늘을 관통시키고, 상기 바늘에 의해 상기 실의 일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실의 양단부가 동일한 출구지점으로 나오게 하여, 상기 실의 양단부를 묶어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에 접하도록 상기 실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28. 클리어 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다수개의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 존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클리어 존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클리어 존을 향해 경사져 있는 수술용 실을 사용한 성형수술방법에 있어서,
    조직 리프트의 지점에 해당하는 입구지점에서 조직을 절개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일단부를 조직 및/또는 근육을 따라 상기 입구지점에서 피하로 삽입하고, 조직이 매달리게 되는 제1 출구지점에서 상기 실의 일단부를 빠져나오게 하며,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절개 부위에 인접하거나 상기 절개 부위에 들어갈 때까지 상기 실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용 실의 타단부를 조직 및/또는 근육을 따라 상기 입구지점에서 피하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출구지점에서 이격된 제2 출구지점으로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상기 실을 반으로 접는 단계와,
    원하는 리프트를 달성하도록 상기 실의 양단부에서 상기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돌출부들에 의해 상기 실이 입구지점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클리어 존이 상기 실의 접혀진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실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상기 입구지점의 절개부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실의 양단부에 연결된 바늘들을 상기 입구지점과 각 출구지점으로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수술용 실의 양단부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에 접하도록 상기 실의 양단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양단부에서 상기 바늘들을 제거하고, 상기 실의 양단부를 피하에서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중의 어느 하나를, 대응하는 출구지점에서 피하(皮下)를 통해 다른 출구지점으로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실의 양단부가 상기 동일한 출구지점으로 나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양단부에서 상기 바늘들을 제거하고, 상기 실의 양단부를 피하에서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헤어라인 아래의 두피 상에서 출구지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눈썹 올리기의 경우에, 상기 눈썹의 상부에 상기 입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얼굴 중앙부의 써스펜션(suspension)의 경우에, 광대뼈 돌출부의 중앙부에 상기 입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비대한 얼굴 중앙부의 써스펜션의 경우에, 상기 광대뼈 돌출부의 최하부에 제2 리프트에 대한 제2 입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8. 제28항에 있어서,
    헤어라인 내부의 써스펜션의 경우에, 헤어라인 앞쪽에 상기 입구지점을 형성하고, 관자놀이의 두피의 상부에 상기 출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39. 제28항에 있어서,
    바깥쪽 눈구석의 써스펜션의 경우에, 상기 바깥쪽 눈구석의 직하부에 상기 입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40. 제28항에 있어서,
    목 처짐부 써스펜션의 경우에, 목 돌출부를 관통하여 아래턱(mandible)의 각도의 높이에 상기 입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41. 제28항에 있어서,
    목선 올리기의 경우에, 두 개의 목근 밴드(platysmal bands)에서 두 개의 별개의 리프트에 대한 두 개의 별개의 입구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4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을 평평하게 만듦으로써, 상기 조직을 더욱 잘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4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존에 거친 표면이 형성된 슬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조직을 더욱 잘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44. 제2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실을 꼬아서 상기 클리어 존을 제작함으로써, 상기 조직을 더욱 잘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방법.
KR1020050028655A 2004-04-07 2005-04-06 수술용 실 KR100545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400090 2004-04-07
SGPCT/SG2004/000090 2004-04-07
SG200500104 2005-03-31
SGPCT/SG2005/000104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342A true KR20050074342A (ko) 2005-07-18
KR100545105B1 KR100545105B1 (ko) 2006-01-24

Family

ID=3726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655A KR100545105B1 (ko) 2004-04-07 2005-04-06 수술용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1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06B1 (ko) * 2006-03-29 2007-06-0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KR101277409B1 (ko) * 2012-11-14 2013-06-20 강윤규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KR101425752B1 (ko) * 2013-05-20 2014-08-13 이준집 매선용 로프
KR101435723B1 (ko) * 2012-11-14 2014-09-01 김일구 성형 수술용 실
WO2014157913A1 (ko) * 2013-03-27 2014-10-02 Lee Jun Jip 매선용 로프
KR101449107B1 (ko) * 2012-08-01 2014-10-13 류시대 가시가 달린 매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179B1 (ko) 2017-04-11 2020-03-23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855A (en) * 1997-05-21 1999-08-03 Frank Hoffma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RU2139734C1 (ru) * 1999-03-03 1999-10-20 Суламанидзе Марлен Андреевич Хирургическая нить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US6599310B2 (en) * 2001-06-29 2003-07-29 Quill Medical, Inc. Suture method
KR200320005Y1 (ko) * 2003-03-10 2003-07-16 이원석 실의 표면에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
KR20050072908A (ko) * 2004-01-08 2005-07-13 황연희 다방향 다중밀도 주름제거용 봉합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06B1 (ko) * 2006-03-29 2007-06-0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KR101449107B1 (ko) * 2012-08-01 2014-10-13 류시대 가시가 달린 매선
KR101277409B1 (ko) * 2012-11-14 2013-06-20 강윤규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WO2014077498A1 (ko) * 2012-11-14 2014-05-22 Kang Yun Gyu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KR101435723B1 (ko) * 2012-11-14 2014-09-01 김일구 성형 수술용 실
WO2014157913A1 (ko) * 2013-03-27 2014-10-02 Lee Jun Jip 매선용 로프
KR101425752B1 (ko) * 2013-05-20 2014-08-13 이준집 매선용 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105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1164B2 (en) Surgical thread
US8236027B2 (en) Surgical thread
WO2005096956A1 (en) Surgical thread
KR100545105B1 (ko) 수술용 실
KR101318309B1 (ko)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US7871425B2 (en) Minimally-invasive nipple-lift procedure and apparatus
WO2007111770A2 (en) Suture and method using a suture
RU24658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тяжки лица и шеи
RU24001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8606815A (zh) “双m一点通”面部埋线软组织复位技术
KR101534061B1 (ko) 폭경비가 다른 개구를 구비한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WO2007098535A1 (en) Surgical device
KR101201688B1 (ko) 봉합 방법 및 장치
US20240041450A1 (en)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US20210346018A1 (en)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KR102676702B1 (ko) 꼬인실을 이용한 피부리프팅용 스프링실 삽입기
US20230020956A1 (en) Twelve-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CN113180752A (zh) 一种用于面部逆龄年轻化软性提升铆锭结构的装置
Isse et al. Suture suspension for brow and
Isse et al. Suture suspension for brow and upper face
Ramirez et al. Barbed Thread Facelift: a Personal Journ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02

Effective date: 2007121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