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406B1 -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406B1
KR102588406B1 KR1020230013319A KR20230013319A KR102588406B1 KR 102588406 B1 KR102588406 B1 KR 102588406B1 KR 1020230013319 A KR1020230013319 A KR 1020230013319A KR 20230013319 A KR20230013319 A KR 20230013319A KR 102588406 B1 KR102588406 B1 KR 10258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section
medical thread
thread
circula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찬
김숙연
조재모
Original Assignee
조현찬
김숙연
조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찬, 김숙연, 조재모 filed Critical 조현찬
Priority to KR102023001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주사되어 성형 등의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실이 진피층과의 접촉 면적 및 피부 저항을 증가시켜서 주사바늘을 뺄 때에 함께 딸려나오지 않도록 한 갈고리 형상의 돌기 등이 없이 매끄러운 표면과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따르면, 의료용 실은 갈고리 형상의 돌기가 없는 매끈한 표면을 구비하여 제조과정, 운반과정 및 시술과정에서 제조가 용이하고 보플 등이 생성되지 않고 의료용 실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갈고리 형상의 돌기가 떨어져 나가거나 변형되지 않고 피부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sergical procedure apparatus using medical thread with non-circular cross-section}
본 발명은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무해하여 주사바늘에 감긴 상태로 피부에 주사되어 성형 시술 등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실이 진피층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면서 피부의 저항을 크게 하여 주사바늘을 뺄 때에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과 함께 딸려나오지 않도록 한 비원형 단면을 갖는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의료 시술이 행해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의료용 실 등을 이용한 리프팅 시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리프팅 시술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되어 체내에 흡수되도록 특수 제작된 녹는 실(Polydioxanone, PDO) 등을 바늘을 사용하여 피부 조직에 삽입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고 피부를 팽팽하게 되살려주는 방법이다. 종래의 의료용 시술장치인 도 1은 원형 단면을 갖는 PDO 봉합사를 감은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PDO 재질의 갈고리 형상을 갖는 의료용 실(20)이 주사바늘(20)에 채로 그 일단은 주사바늘(10)의 선단을 통해 주사바늘(10) 내부에 삽입되고 그 타단은 주사바늘(10)의 후방의 외부에 삽입된 스펀지(30)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주사바늘(10)을 인체의 피부에 주사한 후 빼내면 의료용 실(20)이 피부에 고정되어 피부를 팽팽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종래 의료용 실(10)은 녹는 재질의 PDO이기 때문에 6개월 정도면 PDO 재질의 의료용 실은 전부 녹아서 피부에 흡수되어 남아있지 않으므로 다시 시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실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마찰력이 감소하고 피부 표면의 저항력이 작아서 의료용 실을 피부에 시술할 때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체의 피부에 의료용 실을 주사바늘로 이식한 후 바로 주사바늘을 빼면 의료용 실이 함께 피부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의료용 실이 피부에 고착될 때까지 장시간, 예를 들어 10분 이상을 기다린 후 주사기를 피부에서 빼고 그 다음에 다른 주사기로 다른 의료용 실을 피부에 시술하여야 하는 것이다, 장시간의 시술은 환자에게 큰 고통을 주는 것이고 심지어 마취가 풀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단면이 원형인 의료용 실의 경우 시술 후 곧바로 주사바늘을 뺄 때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과 함께 피부에서 빠져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사바늘 외면에 의료용 실을 나선형으로 감는 경우도 있는데, 단면이 원형인 의료용 실은 나선형으로 감겨 있더라도 피부에 시술하면서 나선형이 펴지거나 주사바늘과 함께 의료용 실이 빠져나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술 전에는 주사바늘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지만 피부에 시술하면서 피부의 저항으로 나선형이 거의 직선형으로 펴져서 결국 시술 후에는 도 2와 같이 의료용 실이 직선형이거나 약간 구부러져서 의료용 실을 직선형으로 시술한 경우와 큰 차이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료용 실을 나선형으로 제조한 또 다른 이유는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재생물질이 많이 나오게 하려는 목적인데 원형 단면의 의료용 실은 시술 과정 또는 시술 후 피부조직의 저항으로 직선형에 가깝게 펴지기 때문에 나선형으로 감아서 의료용 실이 피부와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재생물질을 많이 생성되게 하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과 함께 피부에서 빠져나오거나 나선형이 직선형으로 풀리거나 장시간 시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원형 단면의 의료용 실에 갈고리 형상을 갖게 하는 경우도 많다.
갈고리 형상의 하나의 의료용 실로서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87554호(공개일자 2015. 7. 30.)에 개시된 리프팅 실은 삽입바늘에 의료용실을 부착시키는 부위가 피부조직과 접촉되면서 피부조직이 손상되어 시술 후 시술된 부위가 붓고 회복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종래 의료용 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유착돌기(510)가 피부에 유착되도록 의료용 실(500)에 형성되되 유착돌기(510)는 의료용실(5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순형돌기(511)와 순형돌기(511)와 대칭을 이루되, 상기 순형돌기(5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역형돌기(512)를 형성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의료용실이 장착되는 부위가 피부조직과 접촉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갈고리 형상의 또 다른 형태의 의료용 실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2952호와 같이, 표면에 가시 모양의 돌기(C)가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리프팅 실의 표면에 제공되는 가시 모양의 돌기(C)는 통상적으로 실 표면에 칼집을 내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가시 모양의 돌기는 녹는 실에 고정력을 부여하여, 피부 조직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다만, 가시 모양의 돌기는 칼집을 내는 방식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형성되므로, 본래의 녹는 실 소재가 갖는 기계적 특성이 일정 비율 감소되는 되거나 끊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녹는 실의 가수분해를 가속화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따른 고정력 감소로 인해, 리프팅 효과의 지속시간이 저하되는 바, 시술 주기가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갈고리 형상을 갖는 의료용 실은 실의 표면에 순형돌기(511) 및 순형돌기(5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역형돌기(512)(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7554호)를 형성하거나 가시 모양의 돌기(제20-2018-0002952호)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의료용 실이 금 재질인 경우에는 사실상 제조가 불가능하고, 주로 PDO인 경우인데, PDO 재질의 의료용 실 제조공정에서 열 성형 또는 압착을 통한 성형과정 중 실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미세한 모양의 성형이 제한적이고, 돌기 주변에 보풀이 생기거나 PDO(Polydioxane) 재질의 특성상 열 성형 시 변형이 생기며,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순형돌기 및 역형돌기 또는 가시 모양의 돌기의 또 다른 문제점은 주사기에 감는 과정 또는 제조사에서 시술 병원으로 운반과정에서 충격으로 돌기가 의료용 실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돌기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시술과정에서 피부와의 마찰 및 저항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PDO 재질로 강도가 매우 약한 돌기가 떨어져 나갈 뿐만 아니라 시술 후에 그 돌기의 형상이 원형대로 유지되는 것은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7554호(발명의 명칭: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선행문헌 2: 공개실용신안공보제20-2018-0002952(고안의 명칭: 평면부를 갖는 의료용 실)
선행문헌 3: 등록특허공보제10-1368481호(발명의 명칭: 매선시술용 도구)
선행문헌 4: 등록특허공보제10-0679160호(발명의 명칭: 성형시술용 수술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사바늘에 나선형으로 감긴 상태로 피부에 주사되는 의료용 실의 표면에 갈고리 형상의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고 매끈하면서 그 단면은 비원형 형상을 취함에 따라 주사기를 뺄 때 의료용 실이 피부에서 주사바늘과 함께 빠져 나오지 않는 의료용 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실의 표면은 갈고리 형상 등의 돌기가 없는 비원형 단면을 형성하여 제조과정, 운반과정 및 시술과정에서 그 돌기가 떨어져 나가거나 돌기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실은 신속하게 의료용 실을 피부에 시술하여 시술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실은 금을 재질로 하여 그 표면에 갈고리 형상 등의 돌기가 없는 매끈한 형태이면서 그 단면은 비원형 단면을 취하여 제작이 용이한 하고, 단 한 번의 시술로 영구적인 미용 및 성형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는 비원형 단면이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형상의 의료용 실; 및 상기 의료용 실의 일단이 선단을 통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의료용 실을 고정 및 피부에 시술하기 위한 주사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비원형 단면은 ①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또는 ② 직사각형 또는 ③ 서로 대향하는 두 면(A)을 구비하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A) 사이에는 원호 형상을 갖는 두 면(B)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의 가로 길이(A)는 세로 길이(B)보다 길다.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의 가로 길이(A)는 0.07㎜ ~ 0.085㎜이다.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의 세로 길이(B)는 0.06㎜ ~ 0.078㎜이다.
상기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는 상기 주사바늘의 후방의 외부에 삽입되어 상기 의료용 실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펀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이 상기 주사바늘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의 재질은 금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따르면, 비원형 단면의 의료용 실은 진피층과의 접촉 면적 및 피부 저항을 증가시켜 의료용 실이 감긴 주사바늘을 피부에 주사한 후 바로 빼더라도 상기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과 함께 딸려나오지 않고, 시술 시간이 단축되어 환자의 불편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에 따르면, 의료용 실은 갈고리형 돌기가 없는 매끈한 표면을 구비하여 제조과정이 용이하고 제조과정에서 보플 등이 생성되지 않고 의료용 실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떨어져 나갈 갈고리형 돌기가 없고, 운반과정 및 시술과정에서도 의료용 실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돌기가 떨어져 나가거나 돌기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은 재질을 금으로 제조하여 오랜 동안 유지되므로 재시술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PDO 봉합사가 감겨진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원형 단면인 의료용 금실을 주사바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아서 피부에 시술 후 피부 속에는 직선에 가까운 형태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대향하는 두 면과 그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단면도.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단면도.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면은 직선이고 다른 한 면은 상기 직선의 양 끝단을 원호 형상으로 연결된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단면도.
도 9a은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시술 직후에 의료용 실을 당겨 피부에서 빠지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촬영한 사진.
두 9b는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시술 직후에 의료용 실을 당기지 않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과 돌기 없이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러가지 형상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는 크게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20), 의료용 실(20)의 일단이 선단을 통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채로 나선형으로 감기는 주사바늘(10) 및 주사바늘(10)의 후방의 외부에 삽입되어 의료용 실(20)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펀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과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는 인체의 피부에 주사한 후 곧바로 주사바늘을 빼내더라도 의료용 실(20)은 도 9a의 사진과 같이 피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도 4 및 5와 같이 의료용 실(20)의 단면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의료용 실을 비원형 단면과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하여 피부에 주사 시 근육(진피층)과의 접촉 면적 및 피부의 저항이 원형 단면의 실에 비해 증가함으로써 실이 피부에 빠르게 고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과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피부에 주사한 후 곧바로, 예를 들어 1분 내지는 2분 정도 후 주사바늘을 빼더라도, 도 9a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의료용 실이 피부에 단단히 고착됨으로써 주사바늘과 함께 딸려나오지 않는다. 도 9b는 의료용 실을 당기지 않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으로 9b와 대비하여 보면,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의 표면이 매끄러운 의료용 실은 9a와 같이 당겨지더라도 시술 후 곧바로 피부에 고착되어 피부에서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원형 단면의 매끈한 표면을 갖는 의료용 실은 시술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환자가 겪는 불편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종래의 의료용 실은 원형 단면을 갖춘 경우 나선형으로 피부에 시술 시에도 주사바늘을 피부에서 뺄 때 주사바늘도 함께 피부에서 빠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원통형 의료용 실을 피부에 고착시켜 빠져나오지 않게 하는데 약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실의 경우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과 함께 피부에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의료용 실 표면에 갈고리 형상의 돌기 등을 갖추어야 했으나, 재질인 금인 경우에는 직경 1mm 이하의 단면을 가진 의료용 금실에 갈고리 형상의 돌기를 만들기 불가능하여 보통 갈고리 등의 돌출된 돌기 형상은 PDO 등 재질의 의료용 실에 형성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갈고리 형상의 돌기 없이도 그 표면이 매끈한 형태임에도 비원형 단면을 갖추어 의료용 실이 피부에 곧바로 고착되어 시술 후 곧바로 주사바늘을 빼더라도 의료용 실은 피부 조직 내에 고착되어 빠지지 않는다.
도 4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로, 구체적으로 가로 방향(도 7 참조, A)는 평평하고, 세로 방향(B)은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된 구조의 단면을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원형 단면을 갖는 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두 면이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두 면 사이에 원호 형상을 갖는 비원형 단면일 수 있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타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은 가로 길이(A)가 세로 길이(B)보다 긴 것이 바람직한바, 가로 길이(A)는 0.070㎜ ~ 0.085㎜, 바람직하게는 0.082㎜ ~ 0.0825㎜이고, 세로 길이(B)는 0.06㎜ ~ 0.078㎜, 바람직하게는 0.073 ~ 0.078㎜이다.
상기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는 상기 주사바늘의 후방의 외부에 삽입되어 상기 의료용 실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펀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의료용 실이 PDO 등의 재질인 경우 주사바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더라도 곧바로 풀어지기 때문에 스펀지로 의료용 실을 나선형 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금 재질의 의료용 실인 경우에도, 의료용 실을 피부에 시술하기 위해서는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 외면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스펀지가 의료용 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은 도 7과 같이 서로 대향하는 두 면(A)을 구비하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A) 사이에는 원호 형상을 갖는 두 면(B)을 구비할 수 있는데 서로 대향하는 두 면(A)은 평행할 수도 있고 사선일 수도 있으며, 원호 형상의 두 면(B)은 반원형 일 수도, 타원형 일수도, 볼록형 또는 오목형 일수도 있다.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은 도 8과 같이 한 면은 직선이고 다른 한 면은 상기 직선의 양 끝단을 원호 형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료용 실의 단면이 비원형이고 그 표면이 매끄럽더라도 갈고리 형상의 돌기 없이도 진피층과 접촉 면적 및 피부 저항을 증가시켜 주사바늘을 피부에 주사한 후 바로 빼더라도 상기 의료용 실이 주사바늘과 함께 딸려나오지 않아, 시술 시간이 단축되어 환자의 불편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비원형 단면으로 표면이 매끈한 의료용 실은 돌기가 없어서 제조과정이 훨씬 쉽고, 운반과정에서 의료용 실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시술과정에서 돌기가 떨어져 나가거나 돌기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은 재질을 금인 경우, 시술 후 피부 내에 오랫동안 주사바늘에 꼬아진 나선형 형상이 유지되므로 재시술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60, 10: 주사바늘, 70, 20: 의료용 실,
80, 30: 스펀지

Claims (12)

  1. 비원형 단면이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형상의 의료용 실; 및
    상기 의료용 실의 일단이 선단을 통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의료용 실을 고정 및 피부에 시술하기 위한 주사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비원형 단면은 ①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또는 ② 직사각형 또는 ③ 서로 대향하는 두 면(A)을 구비하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A) 사이에는 원호 형상을 갖는 두 면(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의 가로 길이(A)가 세로 길이(B)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의 가로 길이(A)는 0.07㎜ ~ 0.0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의 단면의 세로 길이(B)는 0.06㎜ ~ 0.0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후방의 외부에 삽입되어 상기 의료용 실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펀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이 상기 주사바늘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의 재질은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230013319A 2023-01-31 2023-01-31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KR10258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319A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01-31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319A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01-31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406B1 true KR102588406B1 (ko) 2023-10-11

Family

ID=8829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319A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01-31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4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60B1 (ko) 2004-09-20 2007-02-05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성형수술용 수술실
KR101368481B1 (ko) 2012-06-08 2014-02-28 홍유리 매선시술용 도구
KR20140147683A (ko)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태평양제약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20150087554A (ko)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20180002952U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평면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20210002613U (ko) * 2020-05-18 2021-11-26 주식회사 온슘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의료용 금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60B1 (ko) 2004-09-20 2007-02-05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성형수술용 수술실
KR101368481B1 (ko) 2012-06-08 2014-02-28 홍유리 매선시술용 도구
KR20140147683A (ko)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태평양제약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20150087554A (ko)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20180002952U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평면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20210002613U (ko) * 2020-05-18 2021-11-26 주식회사 온슘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의료용 금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337B1 (ko) 의료용 메쉬 구조
US7686021B2 (en) Pharyngeal tissue stabilization
KR101878258B1 (ko) 의료용실 삽입기구
ES2552224T3 (es) Dispositivos para el tratamiento de la apnea del sueño obstructiva
JP2001526929A (ja) 生体吸収性の縫合糸固定具
JPH10511560A (ja) 穿孔した器官、特に手術によって傷ついた脈管の孔を一時的に閉塞する装置
KR10139667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20230107857A (ko) 색전제 및 그 준비 방법
KR102588406B1 (ko)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KR102181949B1 (ko) 트위스트 처리된 의료용 실의 제조 방법
KR20200033712A (ko) 코 시술용 실 삽입기
KR102411627B1 (ko)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1298B1 (ko) 인체 성형 시술용 도구 세트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KR200495562Y1 (ko) 의료용 금사
JP6309547B2 (ja) 閉塞性睡眠時無呼吸の治療方法及び装置
KR102601290B1 (ko)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KR102610210B1 (ko)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JP6545412B1 (ja) 脱毛治療用の金糸挿入用縫合針
JP3148065U (ja) 整形手術用整形ベルト
KR102536890B1 (ko)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5377B1 (ko) 봉합사 삽입 장치
KR102207490B1 (ko) 시술용 매선
KR102467067B1 (ko) 복원력이 최소화된 리프팅실 삽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