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554A -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 Google Patents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554A
KR20150087554A KR1020140007647A KR20140007647A KR20150087554A KR 20150087554 A KR20150087554 A KR 20150087554A KR 1020140007647 A KR1020140007647 A KR 1020140007647A KR 20140007647 A KR20140007647 A KR 20140007647A KR 20150087554 A KR20150087554 A KR 2015008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edical
medical room
insertion body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965B1 (ko
Inventor
강윤규
강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Priority to KR102014000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49Needle-like instruments having hook or barb-like gripping means, e.g. for grasping suture or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 A61B2017/0043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knur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1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by means of a suture-receiving lateral eyelet machined 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의료용실을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의료용실이 삽입될 때 삽입기구의 단부와 삽입기구에 의료용실이 장착되는 부위가 피부조직과 접촉되면서 손상될 때 이를 방지하여 부작용 발생률을 낮추고 회복율은 상승시킬 수 있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Medical suture material equipped with Medical suture material insertion tool}
본 발명은 인체에 의료용실을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의료용실이 삽입될 때 삽입기구의 단부와 삽입기구에 의료용실이 장착되는 부위가 피부조직과 접촉되면서 손상될 때 이를 방지하여 부작용 발생률을 낮추고 회복율은 상승시킬 수 있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개발에 따라 봉합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미늘이 형성된 의료용실이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의료용실은 일반적으로 수술 후 절개된 수술 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의료용실의 개발에 의해 외과적 봉합이외에도 다양한 시술법이 시도되었다. 그 중 얼굴이나 목 팔 등의 주름진 피부에 의료용실을 삽입하여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당긴 후 고정시켜 피부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방법이 각광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시술방법에 사용되는 의료용실은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시 및 나뭇잎 같이 돌출된 미늘이 피부조직에 삽입된 후 피부조직과 유착되며 의료용실의 유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미늘이 돌출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미늘이 형성되는 위치 및 간격이 변경되는 등의 의료용실의 기술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의료용실을 이용한 시술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먼저 피부에 의료용실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로를 형성시킨 후 삽입로에 의료용실을 삽입시키는 순서로 시술되는 시술법과, 의료용실을 삽입바늘에 걸리도록 부착한 후 삽입바늘과 의료용실을 동시에 피부에 삽입하는 시술법 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의 시술법은 피부에 삽입로를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시술 행위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으며, 두 번째의 시술법은 한 번에 바늘과 의료용실이 삽입되어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첫 번째의 시술법보다는 두 번째의 시술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된 두 번째의 시술법은 삽입바늘에 의료용실을 부착시키는 부위가 피부조직과 접촉되면서 피부조직이 손상되어 시술 후 시술된 부위가 붓고 회복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료용실이 다수개 삽입될수록 손상되는 피부조직이 증가하여 회복기간이 늘어나고, 손상된 피부조직 때문에 2차적 감염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의료용실을 삽입하는 횟수의 제약이 발생하고, 발생한 상처부위가 감염되어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료용실을 피부에 삽입하는 시술법이 간단하여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피부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시술 후 회복기간이 빨라지고, 부작용이 발생하는 횟수가 감소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4665호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공개일자 2003.12.18)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443호 '다줄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및 다줄의 의료용 봉합사가 장착된 튜브형 바늘 유닛' (공개일자 2012.11.27) 3. 등록특허공보 제10-1038073호 '의료용 튜브형 바늘 유닛 및 다수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등록일자 2011.05.24) 4.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0081호 '미늘 봉합사' (공개일자 2005.06.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료용실이 피부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조직과 의료용실 상호간에 고정되는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실을 피부에 삽입하는 시술법이 간단하여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부작용이 발생하는 빈도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후 회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는 손잡이(100); 일측이 상기 손잡이(100)와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몸체(200); 상기 삽입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몸체(2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바늘(300); 상기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입 형성되는 걸림부(400); 및 외측면에 다수개의 유착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400)에 체결되는 의료용실(500);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바늘(300)이 피부(S)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400)에 체결된 상기 의료용실(500)과 상기 삽입몸체(200)가 상기 삽입바늘(300)을 따라 상기 피부(S)에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어 상기 의료용실(500)의 유착돌기(510)가 피부(S)에 걸리면 상기 삽입몸체(200)와 상기 삽입바늘(300)을 인출한 후 상기 유착돌기(510)가 피부(S)에 유착되도록 상기 의료용실(500)을 상기 삽입바늘(30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으로부터 함입 형성되어 상기 의료용실(500)이 안착되는 안착부(410);와 상기 안착부(4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바늘(300)이 상기 피부(S)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걸림돌기(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몸체(2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610)과 상기 의료용실(500)을 상기 삽입몸체(200)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의료용실(5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620)이 형성되는 고정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600)는 상기 삽입몸체(200)가 상기 피부(S)에 삽입될 때 상기 의료용실(500)이 상기 삽입몸체(2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부(S)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삽입몸체(2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잡이(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안내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10)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융기(310)가 상기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착돌기(510)는 상기 의료용실(5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순형돌기(511)와 상기 순형돌기(511)와 대칭을 이루되, 상기 순형돌기(5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역형돌기(5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삽입되는 삽입바늘과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몸체에 의료용실이 체결되고, 삽입바늘 및 삽입몸체가 피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의료용실도 함께 삽입되어 의료용실을 피부에 삽입할 때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실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유착돌기를 형성하여 피부조직에 의료용실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어 유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바늘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융기로 인해 걸림부 및 유착돌기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부작용이 발생하는 빈도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후 회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고정부가 삽입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삽입바늘에 돌출융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부가 삽입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삽입바늘에 돌출융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는 손잡이(100)를 갖는다. 손잡이(100)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의료용실 삽입기구를 인체의 피부(S)에 삽입한다. 손잡이(10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일측이 손잡이(100)와 연결되는 삽입몸체(200)가 형성된다. 삽입몸체(20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되는 원통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의료용실(500)의 두께보다 적어도 같거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몸체(200)의 직경이 크면 삽입몸체(200)가 인출되면서 피부(S)에 형성된 공백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3mm이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삽입몸체(200)를 기준으로 손잡이(100)와 대칭을 이루며 마주보는 삽입몸체(200)의 타측에는 삽입바늘(300)이 형성된다. 즉, 삽입바늘(300)이 먼저 피부(S)을 관통하고 삽입몸체(200)는 삽입바늘(300)을 따라 피부(S)로 삽입된다. 삽입바늘(300)은 삽입몸체(2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며 삽입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바늘(300)은 그 끝단이 뾰족하거나 날카롭게 형성되어 작은 압력으로도 피부(S)를 관통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에는 걸림부(400)가 형성된다. 걸림부(400)는 삽입몸체(200)의 타측, 즉 삽입바늘(300)이 형성된 삽입몸체(200)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400)는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 함입되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걸림부(400)에 체결되는 의료용실(500)이 형성된다. 의료용실(500)은 'V','U' 형상으로 접힌 후 접힌 부분이 걸림부(400)에 체결되어 삽입바늘(300) 및 삽입몸체(200)와 함께 피부(S)에 삽입된다. 이때 의료용실(50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유착돌기(510)가 형성되며 유착돌기(510)는 삽입바늘(300) 및 삽입몸체(200)가 피부(S)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면서 끝단이 날카로우며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걸림부(400)에 의료용실(500)을 'V','U' 형상으로 접은 후 체결한다. 이후 삽입바늘(300)이 피부(S)에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몸체(200)와 의료용실(500)이 삽입바늘(300)을 따라 피부(S)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피부(S)에 삽입을 완료하면 손잡이(100)을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여 삽입몸체(200) 및 삽입바늘(300)을 피부(S)에서 인출한다. 이때 의료용실(500)의 유착돌기(510)가 피부(S) 내측의 피부조직에 걸리면서 의료용실(500)은 피부(S)의 내측에 남아 있고 삽입몸체(200) 및 삽입바늘(300)만 피부(S)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후 의료용실(500)의 유착돌기(510)가 피부(S) 내측의 피부조직에 유착되도록 피부(S)에 삽입되지 않은 의료용실(500)의 일측을 사용자가 파지한 후 삽입몸체(200) 및 삽입바늘(30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견인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걸림부(400)는 안착부(410)와 걸림돌기(420)를 포함한다. 안착부(410)는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입 형성되며, 의료용실(500)이 안착된다.
걸림돌기(420)는 삽입바늘(300)이 피부(S)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안착부(4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걸림돌기(420)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면, 의료용실(500)과 삽입몸체(200)가 피부(S)에 삽입될 때 의료용실(500)이 걸림돌기(420)에 걸려 안착부(41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삽입몸체(200)가 피부(S)에서 인출될 때 삽입몸체(200)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걸림돌기(4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료용실(500)은 원활하게 안착부(410)에서 이탈되어 피부(S)의 내측에 존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에 체결되는 고정부(600)가 구비된다. 고정부(600)에는 삽입바늘(300)이 관통한 후 삽입몸체(2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610)이 형성되며, 걸림부(400)에 체결된 의료용실(5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620)이 형성된다. 고정부(600)가 삽입몸체(200)에 삽입되면서 의료용실(50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의료용실(500)을 삽입몸체(200)에 밀착시키면 부주의로 인해 의료용실(500)이 걸림부(4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실(500)이 삽입몸체(20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삽입몸체(200)와 의료용실(500)이 함께 삽입될 때 삽입바늘(300)이 관통한 피부(S)의 입구 주변과 의료용실(500) 상호간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피부(S)의 입구 주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고정부(600)는 삽입몸체(200)가 피부(S)에 삽입될 때 일측면에 피부(S)의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삽입몸체(2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는 상기된 고정부(600)가 가지고 있는 이점으로 인해 의료용실(500)이 삽입몸체(20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부(S)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손잡이(100)이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잡이(100)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부(110)가 형성된다. 파지부(110)에는 상기 손잡이(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10)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삽입바늘(300)이 관통할 피부(S)의 위치를 확인하고 삽입바늘(300)을 피부(S)에 삽입한다.
또한 파지부(1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안내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파지부(110)를 구획한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내돌기(120)에 지지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손잡이(100)를 파지하여 삽입바늘(300)을 피부(S)에 삽입시킬 수 있다.
도 5 의 (a)를 참조하면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에는 돌출융기(310)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융기(310)는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5 의 (b)를 참조하면 돌출융기(310)는 적어도 삽입몸체(200)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된 거리(t)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는 걸림부(400) 및 의료용실(500)이 피부(S)에 삽입될 때 걸림부(400)의 걸림돌기(410)나 의료용실(510)의 유착돌기(510)와 피부(S) 조직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해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삽입바늘(300)이 피부(S)에 삽입될 때 돌출융기(310)가 돌출된 거리(t)만큼의 넓은 직경을 갖는 이동로를 피부(S) 내측에 형성하고, 형성된 이동로를 따라 걸림부(400) 및 의료용실(500)이 삽입된다. 따라서 걸림돌기(410) 및 유착돌기(510)와 피부(S) 조직 상호 간 마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의료용실(500)에 형성된 유착돌기(510)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 의 (a)를 참조하면 유착돌기(510)는 의료용실(5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순형돌기(511)와 순형돌기(511)와 대칭을 이루며 순형돌기(5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는 역형돌기(512)가 형성된다.
도 6 의 (b)를 참조하면 순형돌기(511)는 의료용실(500)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c)를 참조하면 순형돌기(511)와 역형돌기(512)는 상호 번갈아가며 의료용실(500)의 외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 외에도 의료용실(500)의 외측면을 따라 다양한 패턴을 그리며 순형돌기(511) 및 역형돌기(512)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는 삽입바늘(300) 및 삽입몸체(200)가 피부(S)에 삽입됨과 동시에 의료용실(500)도 함께 삽입되어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의료용실(500)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유착돌기(510)를 형성하여 피부조직에 의료용실(50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 및 유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에 돌출융기(310)가 형성되어 걸림부(400) 및 의료용실(500)의 유착돌기(510)와 피부조직 상호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감염 등의 2차적인 부작용 발생률을 저하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술 후 회복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100 : 손잡이 110 : 파지부
120 : 안내돌기 200 : 삽입몸체
300 : 삽입바늘 310 : 돌출융기
400 : 걸림부 410 : 안착부
420 : 걸림돌기 500 : 의료용실
510 : 유착돌기 511 : 순형돌기
512 : 역형돌기 600 : 고정부
610 : 제1 삽입홀 620 : 제2 삽입홀
S : 피부

Claims (6)

  1. 손잡이(100);
    일측이 상기 손잡이(100)와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몸체(200);
    상기 삽입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몸체(2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바늘(300);
    상기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입 형성되는 걸림부(400); 및
    외측면에 다수개의 유착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400)에 체결되는 의료용실(500);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바늘(300)이 피부(S)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400)에 체결된 상기 의료용실(500)과 상기 삽입몸체(200)가 상기 삽입바늘(300)을 따라 상기 피부(S)에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어 상기 의료용실(500)의 유착돌기(510)가 피부(S)에 걸리면 상기 삽입몸체(200)와 상기 삽입바늘(300)을 인출한 후 상기 유착돌기(510)가 피부(S)에 유착되도록 상기 의료용실(500)을 상기 삽입바늘(30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으로부터 함입 형성되어 상기 의료용실(500)이 안착되는 안착부(410);와
    상기 안착부(4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바늘(300)이 상기 피부(S)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걸림돌기(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몸체(2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610)과 상기 의료용실(500)을 상기 삽입몸체(200)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의료용실(5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620)이 형성되는 고정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600)는 상기 삽입몸체(200)가 상기 피부(S)에 삽입될 때 상기 의료용실(500)이 상기 삽입몸체(2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부(S)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삽입몸체(2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잡이(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안내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10)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융기(310)가 상기 삽입바늘(3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돌기(510)는
    상기 의료용실(5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순형돌기(511)와
    상기 순형돌기(511)와 대칭을 이루되, 상기 순형돌기(5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역형돌기(5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20140007647A 2014-01-22 2014-01-22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54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47A KR101548965B1 (ko) 2014-01-22 2014-01-22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47A KR101548965B1 (ko) 2014-01-22 2014-01-22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54A true KR20150087554A (ko) 2015-07-30
KR101548965B1 KR101548965B1 (ko) 2015-09-01

Family

ID=5387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647A KR101548965B1 (ko) 2014-01-22 2014-01-22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9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06A1 (ko) * 2015-11-16 2017-05-26 윤상천 교체 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된 매선용 침술기
WO2018208104A1 (ko) * 2017-05-10 2018-11-15 유원석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KR20200025785A (ko) * 2018-08-31 2020-03-10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트렌치형상의 의료용 실
KR102437600B1 (ko) * 2022-03-23 2022-08-29 장두열 복합 돌기 구조의 개량형 리프팅실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10-11 조현찬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638B1 (ko) * 2018-05-18 2020-11-30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KR102259590B1 (ko) * 2019-09-04 2021-06-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가 감겨진 지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공수정체 고정장치
KR102620104B1 (ko) 2023-06-07 2024-01-03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의료용 실을 포함한 실 삽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39B1 (ko) 2009-06-19 2011-06-10 류상욱 실 자입기
KR101309474B1 (ko) 2011-10-05 2013-09-23 김근식 실 삽입기
KR101246573B1 (ko) 2011-10-13 2013-03-25 송미희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06A1 (ko) * 2015-11-16 2017-05-26 윤상천 교체 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된 매선용 침술기
WO2018208104A1 (ko) * 2017-05-10 2018-11-15 유원석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KR20200025785A (ko) * 2018-08-31 2020-03-10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트렌치형상의 의료용 실
KR102437600B1 (ko) * 2022-03-23 2022-08-29 장두열 복합 돌기 구조의 개량형 리프팅실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10-11 조현찬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965B1 (ko)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65B1 (ko)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US7792586B2 (en) Insertion device for an electrode array
EP2341841B1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EP1825803B1 (en) Cap installable on distal end portion of endoscope
US20220087669A1 (en) Cannula with cap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CN109310441A (zh) 聚合物结扎夹
AU2008200547B2 (en) Auxiliary device for a puncture needle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JP2009090105A (ja) 外科手術用トロカールアセンブリ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無刃閉塞具
KR102641343B1 (ko) 조직 보유력이 개선된 공격적인 특징의 클립
KR101454659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637518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EP3531925B1 (en) Device for treatment of anal fistula
KR101841013B1 (ko) 피부조직 거상술용 수술 도구
JP2014068654A (ja) 胃瘻カテーテル挿入補助キット
JP6210839B2 (ja) 胃壁固定器具
KR200493306Y1 (ko) 실 삽입 기구
US9320596B2 (en) Dilator for inserting a voice prosthesis
US1058327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retention of surgical drains
JP2014079351A (ja) シースダイレータ
KR20140071712A (ko) 매선시술용 니들
KR20180031490A (ko) 매몰 봉합유닛
JP5471308B2 (ja) 胃瘻用シース
KR20220091006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