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518B1 -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 Google Patents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518B1
KR101637518B1 KR1020140132273A KR20140132273A KR101637518B1 KR 101637518 B1 KR101637518 B1 KR 101637518B1 KR 1020140132273 A KR1020140132273 A KR 1020140132273A KR 20140132273 A KR20140132273 A KR 20140132273A KR 101637518 B1 KR101637518 B1 KR 10163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ube
medical room
movement restric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350A (ko
Inventor
강윤규
강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Priority to KR102014013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5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의료용실을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의료용실이 삽입될 때 의료용실의 단부에 의해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삽입된 의료용실이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요통 시술시 디스크 내측으로 삽입된 의료용실이 이동되어 부작용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Medical suture material equipped with Medical suture material insertion tool}
본 발명은 인체에 의료용실을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의료용실이 삽입될 때 의료용실의 단부에 의해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삽입된 의료용실이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요통 시술시 디스크 내측으로 삽입된 의료용실이 이동되어 부작용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실은 수술 후 절개된 수술 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후 의료기술의 개발에 따라 봉합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미늘이 형성된 의료용실이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의료용실의 개발에 의해 외과적 봉합이외에도 다양한 시술법이 시도되었는데, 그 중 얼굴이나 목 팔 등의 주름진 피부에 의료용실을 삽입하여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당긴 후 고정시켜 피부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방법이 각광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시술방법에 사용되는 의료용실은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시 및 나뭇잎 같이 돌출된 미늘이 피부조직에 삽입되어 피부조직과 유착되며 의료용실의 유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미늘이 돌출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미늘이 형성되는 위치 및 간격이 변경되는 등의 의료용실의 기술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의료용실을 이용한 시술방법은 먼저 피부에 의료용 실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로를 형성시킨 후 삽입로에 의료용실을 삽입시키는 순서로 시술된다. 이때 삽입로에 의료용실이 삽입되면 의료용실이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부에 의해 피부조직이 손상되어 시술 후 시술된 부위가 붓고 회복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의료용실이 다수개 삽입될수록 손상되는 피부조직이 증가하여 회복기간이 늘어나고, 손상된 피부조직 때문에 2차적 감염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의료용실을 삽입하는 횟수의 제약이 발생하였다.
도 8 을 참조하면 의료용실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인체의 피부조직 내에서 점차적으로 녹아 흡수되는 재질로 제조되는데, 일정한 길이로 삽입된 의료용실이 점차적으로 녹아 일부분이 끊어지면 끊어진 부분이 피부 내에서 이동하다가 피부를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피부를 관통하며 발생한 상처부위가 감염되어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료용실이 삽입되면서 발생하는 피부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시술 후 회복기간이 빨라지고, 삽입된 의료용실이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의료용실 및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443호 '다줄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및 다줄의 의료용 봉합사가 장착된 튜브형 바늘 유닛' (공개일자 2012.11.27) 2. 등록특허공보 제10-1038073호 '의료용 튜브형 바늘 유닛 및 다수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등록일자 2011.05.24)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0081호 '미늘 봉합사' (공개일자 2005.06.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료용실이 피부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피부 내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조직과 의료용실 상호간에 고정되는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실을 피부 내측으로 삽입하는 시술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삽입된 의료용실이 피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불필요한 시술을 하여야 하는 등 2차 적인 부작용 발생율을 저하 시킬 수 있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통 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허리 측에 삽입된 의료용실이 이동되어 오히려 통증이 악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는 내부가 중공되도록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손잡이(100); 일측단이 상기 손잡이(100)와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110)과 연통되는 안내홀(210)이 형성되는 유도관(200); 외측면에 다수개의 유착돌기(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210)에 삽입되는 의료용실(300); 상기 의료용실(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200)의 타측 외부에 노출되는 이동제한부(400)를 포함하며, 피부(S)에 삽입로(10)가 형성되되, 상기 유도관(200)의 타측단은 상기 이동제한부(400)를 가압하며 상기 이동제한부(400)와 함께 상기 삽입로(10)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제한부(400)가 상기 삽입로(10)의 끝단에 위치하면 상기 유도관(200)을 상기 삽입로(10)에서 인출한 후 상기 이동제한부(400)와 상기 유착돌기(310)가 피부(S)에 유착되도록 상기 의료용실(300)의 타측을 상기 삽입로(1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착돌기(310)는 상기 의료용실(3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순형돌기(311)와 상기 순형돌기(311)와 대칭을 이루되, 상기 순형돌기(3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역형돌기(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형돌기(311)와 상기 역형돌기(312)는 상호 번갈아가며 상기 의료용실(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400)는 일측이 상기 의료용실(300)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이동제한부(400)가 상기 삽입로(10)에 삽입되면 타측이 상기 삽입로(1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유도관(200)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타측이 상기 절곡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10); 상기 절곡부(4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일체로 이동하되, 상기 절곡부(410)가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면 상기 피부(S)에 유착된 상기 의료용실(3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의료용실(3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삽입로(1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유착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510)과 상기 절곡부(410)가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유착부(420)를 상기 유도관(200)의 외측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유착부(42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520)이 형성되는 고정부(50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유도관(200)이 상기 삽입로(1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500)가 피부(S)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2 삽입홀(520)에서 상기 유착부(420)가 탈착되어 상기 유착부(420)가 의료용실(3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삽입로(1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400)는 상기 유도관(200)의 끝단부에 걸려 유도관(2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적의 직경이 상기 유도관(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파지한 후 상기 유도관(200)을 상기 삽입로(10)에 안내하기 위한 파지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2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안내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20)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실의 끝단에 이동제한부가 형성되며 의료용실이 피부에 삽입될 때 이동제한부가 피부조직에 먼저 삽입되어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에 삽입된 이동제한부가 의료용실 보다 그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피부에 유착됨으로써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피부에 삽입된 의료용실이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부작용 발생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제한부가 절곡부 및 유착부로 형성될 수 있어 의료용실이 피부에 삽입된 후 절곡부의 탄성력에 의해 유착부가 의료용실과 교차되도록 세워져 의료용실을 견고하게 피부에 유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동제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이동제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이동제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시술된 모습을 나타낸 인체의 개략도.
도 8 은 종래의 의료용실의 부작용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동제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이동제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이동제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시술된 모습을 나타낸 인체의 개략도, 도 8 은 종래의 의료용실의 부작용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는 손잡이(100)를 갖는다. 손잡이(10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일측이 손잡이(100)와 연결되는 유도관(200)이 형성된다. 유도관(200)은 관통홀(110)과 연통되는 안내홀(210)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도관(2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외측면에 유착돌기(310)가 다수개 형성되는 의료용실(300)이 형성된다. 의료용실(300)은 안내홀(210)에 삽입된 후 안내홀(210)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유도관(200)에 장착된다. 이때 의료용실(300)의 일측은 유도관(200)의 끝단에 일부분 노출되어 있고, 타측은 손잡이(100)의 관통홀(110)의 끝단에 일부분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의료용실(300)의 일측에는 이동제한부(400)가 형성된다. 이동제한부(400)는 유도관(200)의 타측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동제한부(400)는 의료용실(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의료용실(30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피부(S)에 바늘 등을 삽입한 후 인출하여 바늘의 직경만큼 벌어진 삽입로(10)를 형성시킨다. 이후 먼저 이동제한부(400)를 삽입로(10)에 삽입한 후 유도관(200)의 타측단이 이동제한부(400)를 가압함과 동시에 이동제한부(400)와 유도관(200)은 삽입로(10)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로(10)가 형성된 길이만큼 유도관(200)을 삽입하고 이동제한부(400)가 삽입로(10)의 끝단에 위치하면 유도관(200)을 삽입로(10)에서 인출시킨다. 유도관(200)이 삽입로(10)에서 인출되면 이동제한부(400)와 유착돌기(310)는 피부(S)의 내부의 피부조직과 접촉되면서 유착된다. 이때 의료용실(300)의 타측을 사용자가 파지한 후 삽입로(1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면 유착돌기(310) 및 이동제한부(400)는 더욱 견고하게 피부조직에 유착될 수 있다.
한편 유도관(200)의 타측단의 외측면에는 가압돌기(220)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돌기(220)는 유도관(200)이 이동제한부(400)와 접촉되면서 이동제한부(400)를 가압할 때 이동제한부(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압돌기(220)로 인해 유도관(200의 끝단과 이동제한부(400)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제한부(40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유착돌기(310)는 그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피부조직에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유착돌기(310)는 순형돌기(311)와 역형돌기(312)를 포함한다.
먼저 순형돌기(311)는 의료용실(3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의료용실(300)이 견인될 때 순형돌기(311)가 피부조직에 걸리도록 하여 의료용실(300)을 피부(S)에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역형돌기(312)는 의료용실(300)을 기준으로 순형돌기(311)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순형돌기(3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의료용실(300)의 견인이 해제되어 의료용실(300)이 견인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역형돌기(312)가 피부조직에 걸려 의료용실(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형돌기(311)와 역형돌기(312)에 의해 의료용실(300)을 피부조직 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순형돌기(311)와 역형돌기(312)는 상호 번갈아가며 의료용실(3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불규칙적으로 상호 일정한 간격을 이루거나 특정한 패턴(나선형 원형 등)을 그리며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이동제한부(400)는 절곡부(410)와 유착부(420)를 포함한다. 먼저 절곡부(410)는 일측이 의료용실(300)의 일측단과 연결된다. 절곡부(410)는 의료용실(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410)는 이동제한부(400)가 삽입로(10)에 삽입될 때 타측이 삽입로(1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이동제한부(400) 및 유도관(200)이 인출되는 방향(이동제한부(400) 및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절곡부(410)는 절곡되면서 절곡부(410)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절곡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다.
유착부(420)는 절곡부(4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절곡부(4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유착부(420)는 절곡부(410)의 절곡방향에 따라 의료용실(300)과 수평 또는 교차되도록 세워질 수 있다. 즉, 유착부(420)는 절곡부(410)가 삽입로(10)에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력에 의해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의료용실(3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세워지며 삽입로(10)의 내측면을 가압한다. 이로써 유착부(420)는 피부(S)의 피부조직 내에 유착된 의료용실(300)의 이동을 제한하며 의료용실(300)이 피부(S)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유도관(200)의 외측면에는 고정부(500)가 구비된다. 고정부(500)는 유도관(200)의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유도관(20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51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유도관(200)에는 유착부(420)를 유도관(200)의 외측면에 접촉시켜 절곡부(410)가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착부(420)가 끼워지는 제2 삽입홀(520)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500)에 유착부(420)가 끼워져 있으면 절곡부(410)는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부(500)가 유도관(20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유착부(420)가 제2 삽입홀(520)에서 탈착되면 유착부(420)는 절곡부(410)의 탄성력에 의해 의료용실(300)과 교차되도록 세워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 을 참조하면 유도관(200)이 삽입로(10)에 삽입되면 고정부(500)는 피부(S)의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2 삽입홀(520)에서 유착부(420)가 탈착되면서 유도관(200)과 이동제한부(400)는 삽입로(10)에 삽입된다. 이후 유도관(200) 및 이동제한부(4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한 내용과 같이 유착부(420)가 삽입로(10)의 내측벽면을 가압하도록 세워지므로 의료용실(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피부는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올 경우 이를 피부 밖으로 내보내려는 성격이 있으며, 피부에 삽입된 의료용실(300)도 마찬가지이다. 의료용실(300)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인체의 피부조직 내에서 점차적으로 녹는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녹지 않아 삽입된 의료용실(300)의 일부분이 약화되면서 끊어지게 된다. 이때 끊어진 의료용실(300)의 첫바디가 특히 피부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제한부(400)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이동제한부(4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제한부(400)는 의료용실(300)의 일측으로부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제한부(400)는 의료용실(300)이 유도관(200)의 안내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분이 유도관(200)의 끝단부에 걸리도록 유도관(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제한부(400)는 의료용실(300)의 일측에 구(球)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된 이동제한부(400)의 목적 및 효과와 동일한 내용을 갖는다.
도 6 을 참조하면 피부조직과 접촉되는 이동제한부(400) 끝단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동제한부(400)가 유도관(200)과 삽입로(10)에 삽입될 때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입이 완료된 후 이동제한부(400)의 끝단이 의료용실(30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의료용실(300)이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이동제한부(400)는 의료용실(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제한부(400)는 의료용실(30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제한부(400)의 형상을 변형시킬 때는 의료용실(300)의 일측단부를 가열한 후 별도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가공하거나, 가공기구를 통해 가압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손잡이(100)의 외측면에는 유도관(200)을 삽입로(10)로 안내하기 위한 파지부(120)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파지부(120)를 파지하면 유도관(200)을 삽입로(10)에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안내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파지부(120)를 구획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내돌기(130)에 지지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손잡이(100)를 파지하여 유도관(200)을 삽입로(1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 을 참고하면 의료용실(300)을 피부(S) 뿐만 아니라 요통이 있는 경우 척추와 인접합 부분에 의료용실(300)을 다양한 각도로 다수개 삽입하여 견인함으로써 요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의료용실(300)은 이동제한부(400)에 의해 척추의 디스크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의료용실(300)이 디스크를 가압하여 발생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는 의료용실(300)이 피부(S)에 삽입될 때 이동제한부(400)가 피부조직에 먼저 삽입되어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곡부(410) 및 유착부(420)를 포함하는 이동제한부(400)에 의해 삽입로(10)에 삽입된 의료용실(300)이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피부(S)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부작용 발생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삽입로
100 : 손잡이 110 : 삽입홀
120 : 파지부 130 : 안내돌기
200 : 유도관 210 : 안내홀
300 : 의료용실 310 : 유착돌기
311 : 순형돌기 312 : 역형돌기
400 : 이동제한부 410 : 절곡부
420 : 유착부 500 : 고정부
510 : 제1 삽입홀 520 : 제2 삽입홀
S : 피부

Claims (7)

  1. 내부가 중공 되도록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손잡이(100);
    일측단이 상기 손잡이(100)와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110)과 연통되는 안내홀(210)이 형성되는 유도관(200);
    외측면에 다수개의 유착돌기(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210)에 삽입되는 의료용실(300);
    상기 의료용실(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200)의 타측 외부에 노출되며, 일측이 상기 의료용실(30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절곡부(410) 및 상기 절곡부(4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일체로 이동되는 유착부(420)를 포함하는 이동제한부(400); 및
    상기 유도관(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510)과 상기 절곡부(410)가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유착부(420)를 상기 유도관(200)의 외측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유착부(42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520)이 형성되는 고정부(500);를 포함하며,
    피부(S)에 삽입로(10)를 형성시키되, 상기 유도관(200)의 타측단은 상기 이동제한부(400)를 가압하며 상기 이동제한부(400)와 함께 상기 삽입로(10)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제한부(400)가 상기 삽입로(10)의 끝단에 위치하면 상기 유도관(200)을 상기 삽입로(10)에서 인출한 후 상기 이동제한부(400)와 상기 유착돌기(310)가 피부(S)에 유착되도록 상기 의료용실(300)의 타측을 상기 삽입로(1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돌기(310)는
    상기 의료용실(3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순형돌기(311)와
    상기 순형돌기(311)와 대칭을 이루되, 상기 순형돌기(311)와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역형돌기(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형돌기(311)와 상기 역형돌기(312)는 상호 번갈아가며 상기 의료용실(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10)는 일측이 상기 의료용실(300)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이동제한부(400)가 상기 삽입로(10)에 삽입되면 타측이 상기 삽입로(1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유도관(200)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타측이 상기 절곡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되며,
    상기 유착부(420)는 상기 절곡부(410)가 상기 유도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면 상기 피부(S)에 유착된 상기 의료용실(3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의료용실(3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삽입로(1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파지한 후 상기 유도관(200)을 상기 삽입로(10)에 안내하기 위한 파지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2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안내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20)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20140132273A 2014-10-01 2014-10-01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63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73A KR101637518B1 (ko) 2014-10-01 2014-10-01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73A KR101637518B1 (ko) 2014-10-01 2014-10-01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50A KR20160039350A (ko) 2016-04-11
KR101637518B1 true KR101637518B1 (ko) 2016-07-15

Family

ID=5580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273A KR101637518B1 (ko) 2014-10-01 2014-10-01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16017A (es) * 2016-06-30 2019-05-13 Dongbang Medical Co Ltd Miembro de levantamiento.
KR102013877B1 (ko) * 2017-12-27 2019-08-2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삽입기 및 리프팅 실 삽입 유니트
KR102311592B1 (ko) 2019-06-03 2021-10-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2606376B1 (ko) * 2020-12-02 2023-11-24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47B1 (ko) 2009-02-06 2012-01-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101362699B1 (ko) * 2012-05-16 2014-02-13 임종학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5332B2 (en) 2002-09-30 2014-08-05 Ethicon, Inc. Barbed sutures
KR20050072908A (ko) * 2004-01-08 2005-07-13 황연희 다방향 다중밀도 주름제거용 봉합사
KR100761921B1 (ko) * 2006-03-13 2007-10-04 양현진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038073B1 (ko) 2010-06-25 2011-06-01 양현진 의료용 튜브형 바늘 유닛 및 다수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KR101329267B1 (ko) 2011-05-17 2013-11-13 이희영 다줄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47B1 (ko) 2009-02-06 2012-01-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101362699B1 (ko) * 2012-05-16 2014-02-13 임종학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50A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659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US11116950B2 (en) Stent for splinting a nasal passage
US6699180B2 (en) Endoscopic hood
KR101637518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631107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548965B1 (ko) 의료용실을 포함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US20220401108A1 (en) Clip systems for treating body tissues
KR102038477B1 (ko) 실 삽입기
US7401386B2 (en) Dental bib hold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EP3531925B1 (en) Device for treatment of anal fistula
US20200330743A1 (en) Apparatus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snoring
CA2896953C (en) Fixation implant devices, systems, kits, and methods
JP2007275386A (ja) 医療用把持鉗子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US977597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acilitating the repositioning of implanted medical devices
JP5285050B2 (ja) 内視鏡用フード
KR20160066356A (ko) 캐뉼라
JP2018061673A (ja) 留置用クリップ
KR20190124010A (ko)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JP7347761B2 (ja) 手術部位内で導管を方向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S6232007Y2 (ko)
WO201509528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retention of surgical drains
KR20230106351A (ko)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KR20220091007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