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699B1 -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 Google Patents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699B1
KR101362699B1 KR1020120052197A KR20120052197A KR101362699B1 KR 101362699 B1 KR101362699 B1 KR 101362699B1 KR 1020120052197 A KR1020120052197 A KR 1020120052197A KR 20120052197 A KR20120052197 A KR 20120052197A KR 101362699 B1 KR101362699 B1 KR 10136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pulling
skin
tissue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270A (ko
Inventor
임종학
Original Assignee
임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학 filed Critical 임종학
Priority to KR102012005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6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실이 삽입되는 실 삽입관 표면에 고정링을 설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실을 고정시킴에 따라 실과 주입기가 일체화된 장치를 생산 할 수 있게 되고, 동일한 길이로 실이 실 삽입관에 삽입되어 생산됨에 따라 시술 속도와 정확성이 높아지고, 동일한 방향으로 여러 돌기가 형성된 실을 삽입함에 따라 실이 삽입된 피부를 손으로 직접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은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선형태의 제1 성형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삽입부;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1 성형 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 형태의 제2 성형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U자 형태로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성형돌기 및 상기 제2 성형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성형 돌기의 사선방향과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주입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실의 일부가 삽입되는 실 삽입관; 상기 실 삽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실의 삽입되지 않는 부분을 눌러 고정하되, 상기 실 삽입관이 피부내로 삽입되면 상기 실 삽입관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실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Stitching fiber and Stitching fiber insertion device for lengthening and pulling tissue}
본 발명은 조직을 모으거나 당기기 위한 실 및 상기 실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가 형성된 실을 피부에 삽입하여 피부조직을 모으거나 당기도록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나이가 들게 되면 피부의 탄력이 감소되면서 점점 처지게 되고 얼굴에 주름이 생기는 바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즉, 보톡스 등과 같이 약물을 피부에 주입하여 처진 부분을 탄력성 있게 만들거나 또는 성형외과적인 시술로 주름을 당겨서 팽팽하게 만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성형외과적인 시술로 주름을 당겨서 팽팽하게 하는 소위 매몰식 안면 거상술은 주름이 있는 부분의 근처에서 얼굴에 작은 절개부를 형성한 후, 여기에 후크 형태의 실을 삽입하여 피부 밑 부분을 팽팽하게 당기게 되는 것이다. 즉, 주름진 부분의 근처에서 피부를 작게 절개하고 여기에 후크가 형성된 실(압토스실)을 삽입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된 삽입관을 피부 속으로 투입한 후, 상기한 삽입관으로 실을 넣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실과 실 삽입관이 서로 따로 생산되어 판매되므로, 시술자가 따로 실을 구매하고, 삽입되는 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실 삽입관에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 핀셋으로 실을 실 삽입관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늦어지게 된다. 또한, 실은 실 삽입관의 내부에 적절한 길이로 삽입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의 길이가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이 실 주입기에 삽입된 채로 일체로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조직 신전 및 담김용 실을 일정 길이만큼 일일이 절단하여 실 삽입관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생산 능률이 떨어지고 실의 길이가 일정하지 못하거나 작업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실을 삽입한 뒤 피부조직이 경직됨에 따라 팽팽하게 당기게 되는 효과만 생기게 되고, 실이 삽입된 피부를 의사의 시술을 통해 직접 손으로 당기거나 모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실 주입기에 삽입되는 U자형 실에 사선 형태의 성형돌기를 형성하되 일부는 실 주입방향과 동일 방향이고 다른 일부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실 주입기에 삽입되는 실이 U자 형태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실의 재질로 인해 상기 실이 U자 형태로 유지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정링을 통해 실과 실 삽입관이 일체화된 실 주입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돌기가 형성된 U자 형태의 실을 피부에 삽입함으로써 직접 손으로 피부조직을 당기거나 모을 수 있는 실을 제안함에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은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선형태의 제1 성형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삽입부;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1 성형 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 형태의 제2 성형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U자 형태로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성형돌기 및 상기 제2 성형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성형 돌기의 사선방향과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주입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이 접혀지는 경우 상기 실의 재질로 인해 U자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노출부 사이에는 성형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실의 일부가 삽입되는 실 삽입관; 상기 실 삽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실의 삽입되지 않는 부분을 눌러 고정하되, 상기 실 삽입관이 피부내로 삽입되면 상기 실 삽입관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실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이 접혀지는 경우 상기 실의 재질로 인해 U자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이 접히는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과 상기 실 삽입관을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에 따르면, 돌기가 형성된 U자 형태로 실이 제작되므로 실 주입기 생산과정에서 실 삽입관에 실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되어 실 주입기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성 향상에 따라 실 주입기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실을 직접 일일이 절단하지 않고 U자 형태의 완성된 실이 제작되므로 제작과정에서 실의 오염이 최소화되고, 동일한 실의 길이로 인해 반복된 시술 속에서도 동일한 치료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동일한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 실을 삽입함에 따라 직접 손으로 피부조직을 당기거나 모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에 있어서 보호 튜브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10)에 있어서 보호 튜브(13)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10)는 실 삽입관(11), 손잡이(12), 보호튜브(13), 고정링(14) 및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관(11)은 통상의 주사바늘처럼 피부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는 손잡이(12)와 연결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7)은 실 삽입관(11)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므로 실 삽입관(11) 내부는 비어 있게 된다.
실 삽입관(11)의 굵기나 길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시술하는 부위에 따라 굵기나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 삽입관(11)이 주사통과 결합되어 일반적인 주사기처럼 쓰이는 경우에는 주사바늘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2)는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있으며, 그 형상이나 재질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 삽입관(11) 일단에 연결된 손잡이(12)를 일반적인 주사통에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 주입기(10)를 일반적인 주사기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튜브(13)는 실 삽입관(11), 고정링(14) 및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보호 튜브(13)는 외부에서 실 삽입관(11), 고정링(14) 및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상태를 볼 수 있게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한다. 보호 튜브(13) 일단은 손잡이(12)에 대해 끼움결합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14)은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되지 않은 다른 일부를 눌러 고정하되 실 삽입관(11)이 피부내로 삽입되면 실 삽입관(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실 삽입관(11)의 형태에 따라 고정링(14)의 형태가 결정되며, 스폰지,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료로 제조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링(14)은 탄성력을 가진 원형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을 가하면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고정위치에서 바로 이탈이 된다. 고정링(14)은 실 주입기를 생산할 때 실 삽입관(11)과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에 결합된 상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고정링(14)으로 인해 동일한 형태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삽입된 주입기를 생산할 수 있고, 직접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실 삽입관(11)에 넣는 기존 방식에 비해 시술자의 작업 능률이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 직접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넣지 않아도 되므로, 시술에 쓰이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오염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은 실 삽입관(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선형태의 제1 성형 돌기(16-a)가 표면에 형성된 삽입부(19); 실 삽입관(11)의 외부에 노출되며, 제1 성형 돌기(16-a)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 형태의 제2 성형 돌기(16-b)가 표면에 형성된 노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U자 형태로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성형돌기(16-a) 및 제2 성형 돌기(16-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성형 돌기(16-b)의 사선방향과 실 삽입관(11)의 주입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면 3 (b)의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U자 형태로 접혀 절반이 실 삽입관(11)의 구멍(17)내에 삽입되며, 나머지 절반은 실 삽입관(11의 외부에 위치한다. 실 삽입관(11)에 삽입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부분을 삽입부(19)라 하고, 실 삽입관(11) 외부에 실 삽입관(11)과 평행하게 노출되는 실의 부분을 노출부(18)라 한다.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는 내부에 위치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고, 실 삽입관(1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의 길이와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의 길이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더 길게 제작될 수 있고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동일하게 제작되지 않을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와 노출부(18)의 길이가 서로 달라서, 두 부분이 서로 마주 보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두 부분이 겹치는 경우에는 결국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와 노출부(18) 둘다 피부조직을 당기거나 모으게 되지만, 겹치지 않고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 또는 노출부(18)만으로 피부조직을 당기거나 모으게 되는 경우가 생기므로 시술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부분은 길이가 동일해야 한다. 또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재질로 인해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U자 형태가 유지된다.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재질은 통상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등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U자 형태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유지된다.
한편, 제1 성형 돌기(16-a)는 실(15)의 삽입부(19)에 형성되고, 제2 성형 돌기(16-b)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에 형성된다. 모든 성형 돌기(16)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표면에 사선형태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사선형태로 형성된 모든 성형 돌기(16)와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르게 형성한다. 모든 성형 돌기(16)가 동일한 방향으로 만들어지지 않고 서로 방향이 엇갈리게 제작되는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U자 형태로 삽입 시, 마주보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두 부분에 형성된 제1 성형 돌기(16-a)와 제2 성형 돌기(16-b)가 같은 방향으로 피부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성형 돌기(16)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피부조직이 고정되므로, 손으로 직접 피부조직을 모으거나 당기기 어렵다. 이와 달리, 모든 성형 돌기(16)가 동일한 방향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U자 형태로 삽입 시, 마주보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두 부분에 형성된 제1 성형 돌기(16-a)와 제2 성형 돌기(16-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피부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피부조직을 성형 돌기(16)가 돌출된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모으거나 당겨 고정 시킬 수 있다.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긴장으로 성형 돌기(16)가 형성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서로 반대반향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일정하고 안정되게 피부조직을 당기거나 늘릴 수 있게 된다.
도면 3(b)의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에 형성된 제1 성형 돌기(16-a)의 사선 방향이 일방향을 향하고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에 형성된 제2 성형 돌기(16-b)의 사선 방향은 일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며, 도면 3(a)와 같이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펼쳤을 때는 모든 성형 돌기(16)의 사선 방향이 동일하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에 형성된 제2 성형 돌기(16-b)의 사선방향과 실 삽입관(11)의 주입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실 삽입관(11)의 주입방향과 노출부(18)에 형성된 제2 성형 돌기(16-b)의 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야 실 삽입관(11)이 삽입될때 피부에 상처를 내지 않고 부드럽게 들어간다. 즉,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노출부(18)에 형성된 제2 성형 돌기(16-b)의 사선 방향이 피부 쪽을 향하게 되어, 피부에 삽입될 때 피부 표면에 상처를 입히게 되고, 제2 성형 돌기(16-b)도 상할 수 있다.
한편, 성형 돌기(16)가 형성되지 않고,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접히는 부분을 접힘부(20)라 한다. 성형 돌기(16)가 형성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부분은 성형 돌기(16)가 형성되지 않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부분에 비해 강도가 약해지므로, 접힘부(20)는 성형 돌기(16)를 제거하여 끊어질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 또한 접힘부(20)에 성형 돌기(16)가 없는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U자 형태로 쉽게 접을 수 있다.
한편, 시술에 사용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굵기나 길이는 몸의 부위나 시술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굵은 실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만큼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접히는 것이 어렵고 끊어지기 쉬우므로, 성형 돌기(16)가 형성되지 않는 접힘부(20)를 더 길게 잡아야 한다. 예를 들면, 전체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길이가 6.5cm인 경우,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접힘부(20)의 0.5cm 정도의 길이는 성형 돌기(16)가 형성되지 않고,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삽입부(19)과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 각각 3cm로 동일하게 제작되며 성형 돌기(16)가 상기 두 부분에 형성된다.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굵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상기 0.5cm보다 더 길게 접힘부(20)를 잡을 수 있고, 최대 1cm이면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을 접을 때 무리가 없고,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쉽게 끊어지지도 않는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10)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우선 실 주입기(10)에 결합된 보호 튜브(13)를 제거한다. 그 뒤 고정링(14)과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이 결합된 실 삽입관(11)을 인체의 피부조직(1)에 삽입시킨다. 이때,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노출부(18)에 형성된 제2 성형 돌기(16-b)의 사선 방향이 실 삽입관(11)의 주입방향과 반대이므로, 제2 성형 돌기(16-b)가 부드럽게 피부조직(1)에 들어가게 된다. 도 4(b)를 보면, 실 삽입관(11)이 접혀진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의 길이만큼 피부조직(1)을 관통하고 있다. 이 경우 고정링(14)은 실 삽입관(11)이 관통하는 피부 구멍보다 크므로 피부조직(1)에 들어가지 못하고 실 삽입관(11)에 남게 된다. 도 4(c)를 보면,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과 고정링(14)이 분리됨에 따라 피부 속에 들어간 실 삽입관(11)을 빼내는 경우, 고정링(14)은 여전히 실 삽입관(11)에 위치하고 있고,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15)은 성형 돌기(16)에 의해 피부 조직(1)에 고정되므로 피부 조직(1) 내부에 남겨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실주입기 11 : 실 삽입관
12 : 손잡이 13 : 보호 튜브
14 : 고정링 15 :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16 : 성형 돌기 16-a : 제1 성형 돌기
16-b : 제2 성형 돌기 17 : 구멍
18 : 노출부 19 : 삽입부
20 : 접힘부

Claims (7)

  1.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선형태의 제1 성형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삽입부;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1 성형 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 형태의 제2 성형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U자 형태로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피부의 상기 피부조직을 당기거나 늘리기 위하여 제1 성형 돌기 및 상기 제2 성형 돌기가 성형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접힘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노출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성형 돌기의 사선방향과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주입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성형 돌기는 상기 피부 주입용 삽입관의 주입방향과 서로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접혀지는 경우 상기 실의 재질로 인해 U자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노출부 사이에는 성형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4. 제 1항의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실의 일부가 삽입되는 실 삽입관;
    상기 실 삽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실의 삽입되지 않는 부분을 눌러 고정하되, 상기 실 삽입관이 피부내로 삽입되면 상기 실 삽입관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실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주입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접혀지는 경우 상기 실의 재질로 인해 U자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주입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접히는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주입기.
  7. 제 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과 상기 실 삽입관을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주입기.
KR1020120052197A 2012-05-16 2012-05-16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KR10136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97A KR101362699B1 (ko) 2012-05-16 2012-05-16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97A KR101362699B1 (ko) 2012-05-16 2012-05-16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270A KR20130128270A (ko) 2013-11-26
KR101362699B1 true KR101362699B1 (ko) 2014-02-13

Family

ID=4985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197A KR101362699B1 (ko) 2012-05-16 2012-05-16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350A (ko) *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62B1 (ko) * 2014-02-03 2014-10-06 김태영 봉합사를 피부에 삽입하는 시술도구
KR101703305B1 (ko) * 2016-05-24 2017-02-06 송미희 약물 주입기 및 봉합사를 이용한 성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89Y1 (ko) 2007-01-29 2008-08-20 고재철 얼굴 주름 제거용 실 삽입기구
JP2008200195A (ja) * 2007-02-19 2008-09-04 Daitaro Fukuoka 形成施術用糸およびこれを用いた形成施術方法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0451570Y1 (ko) 2008-09-01 2010-12-22 김동석 주름 제거 시술용 바늘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89Y1 (ko) 2007-01-29 2008-08-20 고재철 얼굴 주름 제거용 실 삽입기구
JP2008200195A (ja) * 2007-02-19 2008-09-04 Daitaro Fukuoka 形成施術用糸およびこれを用いた形成施術方法
KR200451570Y1 (ko) 2008-09-01 2010-12-22 김동석 주름 제거 시술용 바늘 세트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350A (ko) *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637518B1 (ko) * 2014-10-01 2016-07-15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270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1175B1 (ko)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
KR101397513B1 (ko)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KR101182337B1 (ko) 의료용 메쉬 구조
ES2663100T3 (es) Cánula para terapia de implantación de catgut
RU2370243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натяжных нитей к концам протезной связки
KR101362699B1 (ko) 조직 신전 및 당김용 실 및 실 주입기
KR101502074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101502075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제조 방법
KR200451570Y1 (ko) 주름 제거 시술용 바늘 세트
JP2018500067A (ja) 歯間クリー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738507B1 (ko) 미용 보조재 저장부를 포함하는 헤어캡
KR200490989Y1 (ko)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장치
KR101368481B1 (ko) 매선시술용 도구
CN104758016A (zh) 一种张力可调式皮内手术缝线固定器
KR102071786B1 (ko) 리프팅용 주사침
KR101515075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의 봉합사 세팅방법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KR101935681B1 (ko) 수술사 및 그 수술사 제조방법
KR102046934B1 (ko) 실 삽입용 의료기기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KR20140031572A (ko) 반영구 화장미용 수동 시술기
BR112018071710B1 (pt) Auxiliar de aplicação para o tratamento de feridas
KR200481169Y1 (ko) 약물 주입용 피부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