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007A - 성형용 리프팅 부재 - Google Patents

성형용 리프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007A
KR20220091007A KR1020200182088A KR20200182088A KR20220091007A KR 20220091007 A KR20220091007 A KR 20220091007A KR 1020200182088 A KR1020200182088 A KR 1020200182088A KR 20200182088 A KR20200182088 A KR 20200182088A KR 20220091007 A KR20220091007 A KR 20220091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lifting member
cannula
hollow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명
송주동
장일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007A/ko
Publication of KR2022009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61B17/3496Protecting sleeves or inner probes; Retractable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 A61B2017/3456Details of tips blu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리프팅 실이 수용되는 중공 형상의 캐뉼라; 및 피부를 천공하는 중공 형상의 천공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캐뉼라와 동축 정렬되도록 상기 캐뉼라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캐뉼라는, 중공의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중공의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고정되며 뾰족하게 형성되는 중공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용 리프팅 부재{LIFTING DEVICE FOR PLASTIC SURGERY}
본 발명은 성형용 리프팅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흉터 발생을저감할 수 있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남녀노소 외모를 중시 여기는 경향에 따라 젊게 보이기 위한 성형 시술이 성행하고 있다. 외모가 젊게 보이기 위한 간단한 시술로는, 피부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펴는 시술이 있다.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법은, 피부를 크게 절개한 후, 처진 조직을 제거하는 절개식 방법과, 큰 절개가 필요치 않고 단순하게 해당 부위에 돌기 혹은 미늘 형태의 실을 걸어 리프팅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는 최소침습 수술법(Minimally Invasive Surgery)이 있으며, 최근에는 빠른 회복과 일상생활이 가능한 최소침습 수술법이 성형시장에서 선호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최소침습 수술법은 피부를 절개하지 않는 대신에 흡수성 실을 이용하여, 겉으로 나타난 노화된 피부와 피부 속에 노화된 연부조직 및 섬유근막층(SMAS: 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을 함께 끌어 올려 주름을 제거하고 팽팽하게 되살려주는 수술 방법이다.
이는 간단한 부분 마취를 통해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메스로 수술하는 방법의 단점으로 흉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수술 받은 부위의 자극이나 손상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그로 인한 부기가 적어 수술 후 자연스러운 긴장도를 주어 피부가 탄력 있고 젊어 보이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피부처짐의 증상에 따라 바늘과 실의 두께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한편, 실리프팅 시술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18G(지름 1.28mm)의 경우 끝단이 무딘 캐뉼라(Cannula)를 사용한다. 이 때, 시술자는 통상적으로 끝단이 무딘 캐뉼라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 속에 깊이 삽입하게 된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2943호 (2014년12월16일 공고) 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가 형성되고, 피부 주름 성형을 위하여 피부층에 매선되며 외표면에 가시부가 형성되는 약실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피부층에 삽입되는 단부로부터 스테인리스(Stainless)용접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턱이 형성된 단부로부터 니들의 후단측 길이방향으로 2.0mm 내지 5.0mm로 상부가 개구되어 약실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끝단이 무딘 캐뉼라를 피부에 삽입하는 경우, 피부에 창상이 만들어져 얼굴 부위에 흉터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2943호 (2014년12월16일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천공수단과 리프팅 실을 함유한 캐뉼라를 포함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에 리프팅 실이 수용되는 중공 형상의 캐뉼라; 및 피부를 천공하는 중공 형상의 천공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캐뉼라와 동축정렬되도록 상기 캐뉼라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캐뉼라는, 중공의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중공의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고정되며 뾰족하게 형성되는 중공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니들을 덮도록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제 2 연결부는, 형상결합, 나사결합, 자석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외경과 상기 니들의 내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 내주면에는, 그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내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돌출부간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둘레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둘레홈에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둘레홈은 복수개 마련되며, 각각의 둘레홈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둘레홈 내주면에는 탄성이 있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공수단을 통해 피부에 구멍을 생성함과 함께, 중공관이 피부에 삽입되는 바, 사용자가 별도로 중공관을 삽입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얼굴 부위에 흉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시술자 동작을 중려줌으로써, 사용 시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니들 선단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중공관이 천공수단 내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니들 선단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중공관이 천공수단 내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형용 리프팅 부재는 성형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실을 피부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리프팅 실은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 또는 미늘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돌기 또는 미늘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형성되며, 몸체가 피부 내에 삽입되었을 때 몸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앵커링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리프팅 실이 피부 내에 삽입되면, 자연적으로 녹아서 없어질 때까지 시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리프팅 실은 생분해성을 가지고, 강력한 유지율 기간이 우수한 PDO(Polydioxanone) 로 제조될 수 있다. PDO 성분은 콜라겐 재형성을 촉진하므로, 리프팅 실이 녹아 사라진 후에도 리프팅 지속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팅 실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모노크릴(Monocryl), PCL(polycarprolactone), PGA(Poly(glycol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등의 단일사 생분해성 고분자(Monofilment Biodegradable Polymer)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 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1000)는 캐뉼라(1100) 및 천공수단(1200)으로 이루어진다.
캐뉼라(1100)는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실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제 1 연결부(1110)와 중공관(112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중공관(1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리프팅 실이나 약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이며,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제 4 실시예의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공관(4120)의 선단부(4121)는 폐쇄되고, 상기 선단부(4121)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중공관(1120) 중심축의 반경방향으로 개구하는 개방부(412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중공관(4120)의 선단부(4121)는 뭉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캐뉼라(4100)를 신체에 삽입할 때, 캐뉼라(4100)의 말단이 체내 조직 또는 혈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내 조직이 캐뉼라(41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캐뉼라(1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연결부(1110)는 중공관(1120)의 타측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중공관(1120)과 마찬가지로 리프팅 실 또는 약물이 제 1 연결부(1110)를 통해 중공관(11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부(1110)의 단부에는 상기 중공관(1120)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상의 고정부(1111)가 돌출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1111)에 상기 중공관(1120)의 타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캐뉼라(1100)는 중공관(1120)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1캡(1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캡(1130)은 중공관(112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1 연결부(1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폐쇄공간에 중공관(1120)이 수용되고, 이에 중공관(1120)이 외부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캡(1130)이 제 1 연결부(111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연결부(1110)의 상단부에는 제 1 연결부(1110)의 상면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단턱부(1112)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 1 캡(1130)의 하단 외주면이 제 1 연결부(1110)의 단턱부(1112)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캡(113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길이방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제 1 캡(1130)을 당겨 제 1 연결부(1110)의 단턱부(1112)로부터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제 1 캡(1130)을 제 1 연결부(1110)의 단턱부(1112)에 밀어넣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 1 캡(1130)과 제 1 연결부(1110)는 형상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끝단이 무딘 캐뉼라(1100)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경우, 피부에 창상이 만들어져 얼굴 부위에 흉터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1000)에서는 피부를 뚫는 천공수단(1200)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1200)과 캐뉼라(1100)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천공수단(1200)은 제 2 연결부(1210) 및 니들(1220)을 포함한다. 니들(1220)은 캐뉼라(1100)가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피부를 천공하는 수단으로 중공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은 뾰족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니들(1220)의 선단부는 단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니들(122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연결부(1210)는 니들(1220)의 타측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니들(122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연결부(1210)의 단부에는 상기 니들(1220)의 직경에 대응되는 고정부(1221)가 돌출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1221)에 니들(1220)의 타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천공수단(1200)은 니들(1220)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캡(1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캡(1230)은 니들(122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2 연결부(12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폐쇄공간에 니들(1220)이 수용되고, 이에 니들(1220)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캡(1230)이 제 2 연결부(121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연결부(1210)의 상단부에는 제 2 연결부(1210)의 상면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단턱부(1212)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 2 캡(1230)의 하단 외주면이 제 2 연결부(1210)의 단턱부(1212)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캡(123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길이방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제 2 캡(1230)을 당겨 제 2 연결부(1210)의 단턱부(1212)로부터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제 2 캡(1230)을 제 2 연결부(1210)의 단턱부(1212)에 밀어넣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 2 캡(1230)과 제 2 연결부(1210)는 형상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제 1 캡(1130)과 제 2 캡(1230)은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제 1 연결부(1110)와 제 2 연결부(12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과 연결부에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캡과 연결부의 맞닿는 면에 각각 자성부재를 배치하여 자력에 의하여 캡과 연결부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 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1100)와 천공수단(1200)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1연결부(1110)와 제 2 연결부(1210)의 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제 1 연결부(1110)와 제 2 연결부(1210)는 접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캐뉼라(1100) 및 천공수단(1200)은 상기 손잡이부(13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1000)를 사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시술자는 먼저 제 2 연결부(1210)에 결합된 제 2 캡(1230)을 해제하고, 니들(1220)을 시술부위에 삽입하여 피부를 천공한다. 이어서, 성형용 리프팅 부재(1000)를 반대로 잡아, 그에 결합된 제 1 캡(1130)을 해제하고, 중공관(1120)을 상기 니들(1220)에 의해 천공된 시술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중공관(1120) 내부에 수용된 리프팅 실을 사용자의 피부 내에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1000)는, 끝단이 무딘 캐뉼라(1100)가 아닌 천공수단(1200)을 통해 피부를 천공하는 바, 얼굴 부위에 흉터가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캐뉼라(1100)와 천공수단(1200)을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어 시술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천공수단(1200)이 캐뉼라(1100)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면, 시술 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위가 연장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시술에 임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2000)에 대해,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동일한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단, 상세한 위치 관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른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2000)는, 캐뉼라(2100)와 천공수단(2200)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는, 천공수단(2200)의 제 2 캡(2230)은 캐뉼라(2100)의 제 1 연결부(211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부(2110)의 내주면은 제 2 캡(2230)의 단부(22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뉼라(2100)와 천공수단(22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캡(2230)이 제 1 연결부(2110)에 삽입되면 제 1 연결부(2110)에 수용되는 리프팅 실의 일부가 제 1 연결부(2110)의 내주면과 제 2 캡(2230)의 단부(2231)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시술자는 제 2 캡(2230)을 당겨 그 단부(2231)를 제 1 연결부(2110)로부터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제 2 캡(2230)을 밀어넣어 그 단부(2231)를 제 1 연결부(21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제 2 캡(2230)과 제 1 연결부(2110)는 형상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 경우, 리프팅 실이 체내 삽입되는 과정에서, 리프팅 실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리프팅 실의 움직임에 의한 체내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 2 캡(2230)과 제 1 연결부(2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캡(2230)과 제 1 연결부(2110)에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 2캡(2230)과 제 1 연결부(2110)의 맞닿는 면에 각각 자성부재를 배치하여 자력으로 서로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2000)를 사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시술자는 먼저 캐뉼라(2100) 및 천공수단(2200)의 결합체에서 천공수단(2200)의 제 2 연결부(2210)를 해제하여, 니들(2220)을 시술부위에 삽입하여 피부를 천공하고, 이어서, 제 1 연결부(2110)에 결합된 제 1 캡(2130)을 해제하여, 중공관(2120)을 상기 니들(2220)에 의해 천공된 시술부위에 삽입하고, 제 1 연결부(2110)에 고정된 제 2 캡(2230)을 해제하여, 리프팅 실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그 후, 리프팅 실을 사용자의 피부 내에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2000)는, 끝단이 무딘 캐뉼라(2100)가 아닌 천공수단(2200)을 통해 피부를 천공하는 바, 얼굴 부위에 흉터가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캐뉼라(2100)와 천공수단(2200)을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어 시술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제 2 캡(2230)을 제 1 연결부(2110) 내주면에 결합하여, 리프팅 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바, 리프팅 실의 움직임에 의한 체내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300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상기 제 1 실시예 및 상기 제 2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동일한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단, 상세한 위치 관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른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3000)는, 캐뉼라(3100)의 제 1 캡(3130)이 천공수단(3200)의 제 2 연결부(321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연결부(3210)의 내주면은 제 1 캡(3130)의 단부(3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뉼라(3100)와 천공수단(32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3000)를 사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시술자는 먼저 제 2 연결부(3210)에서 제 2 캡(3230)을 해제하여, 니들(3220)을 시술부위에 삽입하여 피부를 천공하고, 이어서, 제 1 연결부(3110)에 결합된 제 1 캡(3130)을 해제하여, 중공관(3120)을 상기 니들(3220)에 의해 천공된 시술부위에 삽입한다. 그 후, 상기 중공관(3120) 내부에 수용된 리프팅 실을 사용자의 피부 내에 삽입하게 된다. 이 때, 시술자는 제 1 캡(3130)을 당겨 그 단부(3131)를 제 2 연결부(3210)로부터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제 1 캡(3130)을 밀어넣어 그 단부(3131)를 제 2 연결부(32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제 1 캡(3130)과 제 2 연결부(3210)는 형상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제 1 캡(3130)과 제 2 연결부(3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캡(3130)과 제 2 연결부(3210)에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 1캡(3130)과 제 2 연결부(3210)의 맞닿는 면에 각각 자성부재를 배치하여 자력으로 서로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3000)는, 끝단이 무딘 캐뉼라(3100)가 아닌 천공수단(3200)을 통해 피부를 천공하는 바, 얼굴 부위에 흉터가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캐뉼라(3100)와 천공수단(3200)을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어 시술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제 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동일한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단, 상세한 위치 관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른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는, 천공수단(4200)이 캐뉼라(4100)와 동축을 형성하도록 캐뉼라(4100)의 중공관(4120) 외주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는, 캐뉼라(4100)의 중공관(4120)은 속이 비어있는 제 2 연결부(4210) 및 니들(4220)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천공수단(4200)은 캐뉼라(4100)의 중공관(4120)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시술자는 니들(4200)의 선단부(4221)를 중공관(4120)의 선단부(4121)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피부에 천공을 할 수 있다. 이 때, 니들(4220) 내주면에 중공관(4120)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니들(4220)이 피부를 천공하며 삽입될 때, 캐뉼라(4100)의 중공관(4120) 선단부(4121) 및 개방부(4122)도 피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니들(4220)을 제 1 연결부(4110) 측으로 이동시키면 개방부(4122)가 피부내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에서는, 시술자가 별도로 캐뉼라(4100)의 중공관(4120)을 천공된 시술부위에 삽입시킬 필요 없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에서는, 니들(4220)이 중공관(4120)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천공수단(4200) 내주면에는 돌출부(4222)가 형성되고, 중공관(4120)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4222)에 대응되는 가이드홈(4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5 에 참조된 바와 같이, 천공수단(4200)의 니들(4220) 내주면 하단에는 중심축방향으로 배치된 돌출부(4222)가 형성된다. 이 때, 돌출부(422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니들(4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4222)는 니들(4220)의 내주면 뿐만 아니라, 니들(4220)이 고정되는 제 2 연결부(4210)의 내주면 하단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돌출부(4222)에 대응되는 가이드홈(4123)은, 캐뉼라(4100)의 중공관(4120) 외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돌출부(4222)는 가이드홈(4123)을 따라 상기 중공관(4120)의 길이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에서는, 상기 가이드홈(4123)은 중공관(4120)의 개방부(4122)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개방부(4122) 반대측면에서 중공관(4120)의 선단부(412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들(4220)의 내경은 중공관(4120)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고, 이 경우, 니들(4220)이 중공관(4120)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천공수단(4200)이 상기 중공관(4120)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천공수단(4200)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4222)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돌출부(4222)는 인접한 돌출부(4222)와 등간격을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중공관(4120)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4123)이 상기 돌출부(4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시술자는 천공수단(4200)을 중공관(4120) 선단부(4121)측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를 가압하여 피부를 천공하게 되는데, 이 때, 천공수단(4200)이 중공관(4120)에 고정되지 않으면 가이드홈(4123)을 따라 제 1 연결부(4110)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피부가 천공되지 않는다. 이에, 시술자는 캐뉼라(4100)의 제 1 연결부(4110)와 천공수단(4200)의 제 2 연결부(4210)를 각각 파지하여, 천공수단(4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캐뉼라(4100)에 힘을 가압하여 피부를 천공하게 하는데, 이 때 캐뉼라(4100)에 가해지는 힘이 과해지면, 캐뉼라(4100)가 천공수단(4200)의 선단부(4221)를 넘어 피부를 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얼굴 부위에 흉터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4123) 주변에 둘레홈(4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중공관(4120) 선단부(4121) 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4123)에는, 중공관(412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홈(4124)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홈(4123)은 천공수단(4200)에 형성되는 돌출부(4222)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둘레홈(4124)은 상기 가이드홈(4123)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천공수단(4200)을 가이드홈(4123)을 따라 중공관(4120) 선단부(4121) 측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돌출부(4222)를 상기 둘레홈(4124)에 고정시켜 천공수단(4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둘레홈(4124)은 상기 가이드홈(4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며, 각각의 둘레홈(4124)은 중공관(4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리프팅 실의 종류, 시술의 방법 등을 고려하여, 니들(4220)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6 에서는 둘레홈(4124)이 중공관(41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에 대응되는 호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둘레홈(4124)은 중공관(4120)의 원주전체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둘레홈(4124) 내주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고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돌출부(4222)가 둘레홈(4124)에 보다 단단히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천공수단(4200)에 의한 천공이 끝나면, 천공수단(4200)은 제 1 연결부(411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1 연결부(411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2 연결부(4210)가 제 1 연결부(4110)에 완전히 안착되었을 때의 돌출부(4222) 위치에 대응되는 중공관(4120) 외주면에 전술한 둘레홈(4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가 천공수단(4200)을 슬라이딩하여 제 1 연결부(4110) 상에 안착시키고 나서,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4222)가 상기 둘레홈(4124)에 걸려 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의 천공 이후 중공관(4120)에 수용된 리프팅 실을 피부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천공수단(4200)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연결부(4210)의 저면과 제 2 연결부(4210)의 상측면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 2 연결부(4210)가 제 1 연결부(4110)에 결합되어 그 움직임이 제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는, 중공관(4120) 및 니들(4220)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제 2 캡(4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캡(4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제 2 연결부(4210) 상측에 결합되어 폐쇄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폐쇄공간에 니들(4220) 및 중공관(4120)이 수용되고, 이에 니들(4220) 및 중공관(4120)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를 사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시술자는 먼저 제 2 연결부(4210)에서 제 2 캡(4230)을 해제하고, 천공수단(4200)의 돌출부(4222)가 가이드홈(4123)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한다. 이어서, 천공수단(4200)을 중공관(4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4123)을 따라 중공관(4120) 선단부(4121)측으로 이동시키고, 복수개의 둘레홈(4124) 중 한곳에 천공수단(4200)을 위치시키고 나서, 회전시켜 결합시킨다. 이어서, 니들(4220)을 시술부위에 삽입하여 피부를 천공하고, 천공수단(4200)을 둘레홈(4124)에서 해제하여, 가이드홈(4123)을 따라 제 1 연결부(4110)측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제 1 연결부(4110) 측에 위치하는 둘레홈(4124)에 천공수단(4200)을 결합한다. 그 후, 중공관(4120) 내부에 수용된 리프팅 실을 사용자의 피부 내에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4000)는, 천공수단(4200)을 통해 피부에 구멍을 생성함과 함께, 중공관(4120)이 피부에 삽입되는 바, 사용자가 별도로 중공관(4120)을 삽입시킬 필요 없고, 이에 얼굴 부위에 흉터가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시술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제 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5000)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동일한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단, 상세한 위치 관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른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5000)는, 천공수단(5200)의 니들(5220)에 관통홈(5223)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4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는, 도 7 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니들(5220)의 외주면에는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홈(5223)이 니들(5220)의 선단부(5221)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니들(5220)의 내주면과 중공관(512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시술자가 천공수단(5200)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시술자는, 상기 관통홈(5223)을 통해 중공관(5120) 외주면에 형성되는 둘레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니들(5220)의 돌출부를 상기 둘레홈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홈(5223)은 제 2 연결부(5210)의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천공수단(5200)의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관통홈(5223)이 형성되는 바, 도 10 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중공관(5120)은 천공수단(5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연결부(5210) 및 니들(5220)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중공관(5120)이 관통홈(5223)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될 때, 제 2 연결부(5210) 및 니들(5220)의 양 자유단은 벌어지고 다시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연결부(5210) 및 니들(5220)의 양 자유단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면 중공관(5120)의 삽입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천공수단(5200)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방식이외에도, 니들(5220)과 중공관(5120)에 자성부재를 마련하여, 자력으로 서로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5000)에서는 중공관(51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천공수단(5200)의 축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관통홈(5223)을 통해 천공수단(5200)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 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리프팅 부재(5000)의 니들(5220)은 단부의 원주 절반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선단부(5221)가 형성되고, 이에 선단부(5221)가 첨예해져 피부의 천공이 보다 용이하다. 이 때, 선단부(5221)는 도 8 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니들(5220) 단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5221)가 니들(5220) 단부의 원주 절반 미만의 영역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선단부(5221)를 보다 첨예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2000, 3000, 4000, 5000 성형용 리프팅 부재
1100, 2100, 3100, 4100, 5100 캐뉼라
1110, 2110, 3110, 4110, 5110 제 1 연결부
1111, 2111, 3111, 4111, 5111 고정부
1112, 2112, 3112, 4112, 5112 단턱부
1120, 2120, 3120, 4120, 5120 중공관
1130, 2130, 3130 제 1 캡
1200, 2200, 3200, 4200, 5200 천공수단
1210, 2210, 3210, 4210, 5210 제 2 연결부
1211, 2211, 3211, 4211, 5211 고정부
1212, 2212, 3212 단턱부
1220, 2220, 3220, 4220, 5220 니들
1230, 2230, 3230, 4230, 5230 제 2 캡
4123 가이드홈
4124 둘레홈
4222 돌출부
5223 관통홈

Claims (12)

  1. 내부에 리프팅 실이 수용되는 중공 형상의 캐뉼라; 및
    피부를 천공하는 중공 형상의 천공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캐뉼라와 동축 정렬되도록 상기 캐뉼라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캐뉼라는, 중공의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중공의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고정되며 뾰족하게 형성되는 중공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니들을 덮도록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제 2 연결부는, 형상결합, 나사결합, 자석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외경과 상기 니들의 내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 내주면에는, 그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내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돌출부간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둘레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둘레홈에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홈은 복수개 마련되며,
    각각의 둘레홈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홈 내주면에는 탄성이 있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리프팅 부재.
KR1020200182088A 2020-12-23 2020-12-23 성형용 리프팅 부재 KR20220091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88A KR20220091007A (ko) 2020-12-23 2020-12-23 성형용 리프팅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88A KR20220091007A (ko) 2020-12-23 2020-12-23 성형용 리프팅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007A true KR20220091007A (ko) 2022-06-30

Family

ID=8221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88A KR20220091007A (ko) 2020-12-23 2020-12-23 성형용 리프팅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0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43B1 (ko)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43B1 (ko)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9849B1 (en)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JP4338521B2 (ja) 医療用縫合装置
JP5377944B2 (ja) 胃瘻用シース、シース付きダイレータ、挿入補助具付き胃瘻用シース、胃瘻カテーテルキット
US9351721B2 (en) Suture passers and related methods
KR101326763B1 (ko) 의료용 실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
JPH11504234A (ja) 側方拡張自在バネ片を備えた収縮自在安全挿通具
CN108261227B (zh) 一种穿刺芯组件及具有其的穿刺器
JP7477876B2 (ja) 医療用糸挿入器具
US20210045736A1 (en) Thread insertion devices
CN106419992B (zh) 一种夹持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643904B1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EP3476428B1 (en) Drainage tube introducer
KR10138412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US10178990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KR101392766B1 (ko) 의료용 관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관 삽입 시술 키트
CN108261228B (zh) 一种穿刺器
KR20220091007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KR20220091008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KR20220091006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CN111374722A (zh) 一种缝合组件及具有其的穿刺芯组件及穿刺器
KR20190078769A (ko)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삽입기 및 리프팅 실 삽입 유니트
CN108261229B (zh) 一种穿刺芯组件及具有其的穿刺器
CN111374739B (zh) 一种穿刺芯组件及穿刺器
KR10139349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US20150374359A1 (en) Sutur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