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496B1 - 봉합사 삽입키트 - Google Patents

봉합사 삽입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96B1
KR101393496B1 KR1020140021911A KR20140021911A KR101393496B1 KR 101393496 B1 KR101393496 B1 KR 101393496B1 KR 1020140021911 A KR1020140021911 A KR 1020140021911A KR 20140021911 A KR20140021911 A KR 20140021911A KR 101393496 B1 KR101393496 B1 KR 10139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groove
suture thread
protectiv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유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석 filed Critical 유원석
Priority to KR102014002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00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14Packages or dispensers for needles or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14Packages or dispensers for needles or sutures
    • A61B2017/06142Packages or dispensers for needles or sutures having needle- or suture- retaining members, e.g. holding tabs or needle parks
    • A61B2017/06147Foam blocks, e.g. slit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봉합사 삽입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바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이 형성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복수개의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 및 사용 등의 과정에서 고정된 봉합사가 고정 설계한 위치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봉합사 삽입키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봉합사 삽입키트는 주사침과 손잡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삽입내재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주사침 및 봉합사가 파손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주사침 및 봉합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봉합사 삽입키트{Suture thread insertion kit}
본 발명은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봉합사 삽입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바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이 형성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복수개의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 및 사용 등의 과정에서 고정된 봉합사가 고정 설계한 위치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봉합사 삽입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실크(Silk),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다 편리한 봉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담아서 사용하는 사상과 설계가 1990년대부터 개시되어 왔다. 또한, 2000년대 이후로 다양한 봉합사의 개발과 더불어 봉합사를 활용한 조식 거상술(擧上術)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를 밑바탕으로 봉합사는 단순한 봉합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계기로 상기에 기술한 봉합사를 주사바늘과 같은 담지체(擔持體)에 담지시켜 사용하는 방법은 봉합사를 활용한 조직 거상술과 같은 분야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여러모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때, 봉합사의 체내 삽입은 주사침의 내부에 봉합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장시켜 주사침의 체내 삽입과 동시에 봉합사가 체내에 삽입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봉합사를 주사침에 고정하지 않은 설계의 발명들은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특히, 주사침의 보호뚜껑을 제거하는 과정), 사용 등의 과정에서 주사침의 중공 내부로 삽입해 놓은 봉합사가 주사침에서 분리되거나 설정된 봉합사 삽입 위치상의 변위가 발생한다. 또한, 주사침의 중공에 삽입한 봉합사의 위치상의 변위가 일단 발생하면, 주사침의 체내 삽입과 같은 사용 과정에서 주사침 외부로 노출된 봉합사와 인체 조직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내장시킨 봉합사의 위치상에 변위가 더욱 발생하므로 봉합사를 시술자가 설계한 위치까지 삽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61175호(2013년04월29일)에는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에 있어서, 주사바늘에 의해 성형용 실을 인체의 근육 내에 삽입시켜 성형용 실 주위에 몸속 자생물질이 모여들게 유도하므로 자생물질에 의해 근육을 강화하는 실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 구멍으로 성형용 실 삽입을 위한 실 삽입공을 갖는 관 형태의 실 삽입용 내관을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실 삽입용 내관의 후방이 주사바늘의 후방에서 돌출하도록 실 삽입용 내관의 길이를 주사바늘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실 삽입용 내관 선단의 실 삽입공에 성형용 실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로 주사바늘과 실 삽입용 내관을 인체의 근육 내에 삽입한 후 뽑아 성형용 실을 근육 내에 삽입하여서 근육을 강화하는 것에 의해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을 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는 봉합사를 시술자가 설계한 위치까지 삽입하기 위한 개량이나 봉합사를 삽입장치 상에 고정하지 않은 설계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발명품은 운반, 보관, 조작, 사용 등의 과정에서 주사침의 중공 내부로 삽입해 놓은 봉합사가 주사침에서 분리되거나 설정된 봉합사 삽입 위치상의 변위가 발생하므로 봉합사를 시술자가 설계한 위치까지 삽입하기 어려운 단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07308호(2013년09월03일)에는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주사침이 연결되는 주사침부재; 상기 몸체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일부는 상기 주사침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주사침 외부에 노출되는 봉합사부재; 및 상기 주사침 상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부에 노출된 상기 봉합사부재가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홀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침 내부에 삽입되는 봉합사부재 상에는 주사침부재 내에 삽입된 봉합사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는 봉합사와 주사침과의 고정 역할을 수행하는 홀드부재의 역할로 인하여 봉합사의 삽입 과정 또는 조작상에 있어서 주사침에 삽입된 봉합사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봉합사를 원하는 위치까지 체내 삽입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는 봉합사의 체내 삽입 과정에 있어서, 봉합사와 홀드부재의 마찰로 인하여 봉합사가 파손되어 봉합사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홀드부재가 파손되어 생체적합하지 않은 홀드 부재의 파편들이 체내로 유입될 수 있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또한, 봉합사 상에 형성된 돌기부재를 길게 형성하면, 돌기부재와 홀드부재의 마찰로 인하여 봉합사 또는 봉합사의 돌기부재가 파손되어 봉합사 또는 돌기부재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또한, 홀드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은 봉합사의 일부가 홀드부재로 강하게 밀착됨으로, 해당 제품에 있어서 상업상의 통상적 멸균 방식인 E.O 가스 멸균을 수행함에 있어서 해당 부위의 봉합사 부분에 멸균가스의 침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체내에 삽입되는 봉합사의 일부분이 완전한 멸균 상태를 이루어지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5632호(2013년09월27일)에는 인체 내로 실을 삽입하는 실 삽입기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주사 바늘; 상기 주사 바늘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지지하는 주사 바늘 고정부; 상기 주사 바늘의 타단에서 상기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주사바늘의 외부로 노출되는 실; 상기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 상기 주사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노출된 상기 실을 내장하여 상기 주사바늘의 외부 면에 지지하는 실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실 삽입기는 봉합사와 주사침과의 고정 역할을 수행하는 봉합사 지지링의 역할로 인하여 봉합사의 삽입 과정 또는 조작상에 있어서 주사침에 삽입된 봉합사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봉합사를 원하는 위치까지 체내 삽입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상기한 실 삽입기 또한 봉합사의 체내 삽입 과정에 있어서, 봉합사와 봉합사 지지링의 마찰로 인하여 봉합사가 파손되어 봉합사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봉합사 지지링이 파손되어 생체적합하지 않은 봉합사 지지링의 파편들이 체내로 유입될 수 있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봉합사 지지링을 느슨하게 설계하여 봉합사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줄이면 봉합사가 주사침 상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봉합사 지지링이 위치하는 부분은 봉합사의 일부가 봉합사 지지링으로 밀착됨으로, 해당 제품에 있어서 상업상의 통상적 멸균 방식인 E.O 가스 멸균을 수행함에 있어서 해당 부위의 봉합사 부분에 멸균가스의 침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체내에 삽입되는 봉합사의 일부분이 완전한 멸균 상태를 이루어지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 및 사용 등의 과정에서 고정된 봉합사가 고정 설계한 위치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봉합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봉합사 삽입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봉합사의 삽입 과정에서 봉합사와 홀드부재 간의 마찰을 제거하여 봉합사 또는 홀드부재의 손상 방지, 봉합사 물성저하 방지, 홀드부재 파편들의 체내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봉합사 삽입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봉합사에 미늘이 형성된 미늘형 봉합사의 고정 및 사용에 있어서도 봉합사와 홀드부재 간의 마찰을 제거하여 미늘 및 봉합사의 손상 방지, 홀드부재의 손상 방지, 봉합사 물성저하 방지, 미늘 기능성 상실 방지 및 홀드부재 파편들의 체내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봉합사 삽입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체내에 삽입되는 봉합사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멸균을 수행함이 수월한 봉합사 삽입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봉합사 삽입키트는 주사침과 손잡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삽입내재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주사침 및 봉합사가 파손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주사침 및 봉합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바늘은 손잡이 후단부에 봉합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개 이상의 슬릿홈을 형성한다.
상기 주사바늘은 손잡이 부분의 중공홈에서 탈착가능한 홀드부재를 구비하고, 홀드부재는 한개 이상의 슬릿홈을 형성하여 슬릿홈에 봉합사를 끼워 고정한다.
상기 보호캡은 수용홈 후단부에 봉합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확장홈을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 형성하여 보호캡과 주사바늘의 결합시 확장홈에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호캡은 수용홈 후단부에 봉합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확장홈을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방형상의 잔공을 형성하여 보호캡과 주사바늘의 결합시 확장홈에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삽입키트에 의하면,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 및 사용 등의 과정에서 고정된 봉합사가 고정 설계한 위치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봉합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봉합사의 삽입 과정에서 봉합사와 홀드부재 간의 마찰을 제거하여 봉합사 또는 홀드부재의 손상 방지, 봉합사 물성저하 방지 및 홀드부재 파편들의 체내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봉합사에 미늘이 형성된 미늘형 봉합사의 고정 및 사용에 있어서도 봉합사와 홀드부재 간의 마찰을 제거하여 미늘 및 봉합사의 손상 방지, 홀드부재의 손상 방지, 봉합사 물성저하 방지, 미늘 기능성 상실 방지, 홀드부재 파편들의 체내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슬릿홈을 형성하거나 슬릿홈을 형성한 홀드부재를 구비하여 봉합사를 슬릿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고 보호캡에 확장홈을 형성하여 주사바늘과 보호캡의 결합시 확장홈으로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체내에 삽입되는 봉합사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멸균을 수행함이 수월한 봉합사 삽입키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탈착식 홀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홀드부재에 봉합사를 끼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캡의 확장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장홈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봉합사 삽입키트에 있어서, 주사침과 손잡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삽입내재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주사침 및 봉합사가 파손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주사침 및 봉합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은 손잡이 후단부에 봉합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개 이상의 슬릿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은 손잡이 부분의 중공홈에서 탈착가능한 홀드부재를 구비하고, 홀드부재는 한개 이상의 슬릿홈을 형성하여 슬릿홈에 봉합사를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캡은 수용홈 후단부에 봉합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확장홈을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 형성하여 보호캡과 주사바늘의 결합시 확장홈에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캡은 수용홈 후단부에 봉합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확장홈을 길이방향으로 잔공 형태의 개방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호캡과 주사바늘의 결합시 확장홈에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봉합사 삽입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삽입키트의 일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바늘(10) 및 보호캡(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사바늘(10)은 인체 내에 삽입되는 주사침(13)과 주사침(13)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사침(13)의 후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손잡이(15)로 구성된다.
상기 주사바늘(10)은 주사침(13)의 선단부에서 손잡이(15)의 후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중공홈(11)을 형성하고, 중공홈(11)에 봉합사(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내재한다. 단, 손잡이(15)에 형성된 중공홈(11)은 주사침(13)에 형성된 중공홈(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주사침(13)은 통상적으로 외과적 시술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일측 선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된 주사침(13)이나 일측 선단부가 막히고 침의 일부 측면부가 개방된 캐뉼라(cannula) 형태의 주사침(13)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인체 내로 주사침(1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을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5)는 주사침(13)의 후단부에 연결고정되며, 사용자가 인체 내에 주사침(13)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15)는 손가락으로 잡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15)의 후단부에는 봉합사(20)가 주사바늘(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홈(17)을 형성한다. 슬릿홈(17)은 봉합사(2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홈(17)은 봉합사(2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봉합사(20)보다 작은 직경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홈(17)은 직선형, 꺽은 직선형 및 곡선형 등의 다양한 홈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봉합사(20)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손쉬운 직선형의 홈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홈(17)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15) 부분의 중공홈(11)에서 탈착가능한 홀드부재(16)를 구비하고, 홀드부재(16)에 한개 이상의 슬릿홈(17)을 형성한다.
상기 홀드부재(16)는 판상 또는 기둥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며, 중공홈(11)으로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홈(11)의 직경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한다. 또한, 중공홈(11)을 완전히 틀어막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여 제품 멸균을 위한 멸균 가스가 중공홈(11) 내부에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합사(20)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및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기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합사(20)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직내로 흡수되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인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흡수성 재질로는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봉합사(20)는 봉합사(20) 상에 미늘이 형성된 미늘봉합사인 것을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미늘봉합사는 통상의 외과적 시술에 있어서 무매듭 봉합이나 안면거상술과 같은 성형 외과적 시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봉합사이다.
상기 보호캡(30)은 봉합사(20) 및 주사침(13)을 내부에 수용하여 파손, 변형 및 이물질로부터 봉합사(20) 및 주사침(13)을 보호한다. 보호캡(30)은 봉합사(20) 및 주사침(13)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홈(31)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캡(30)은 주사바늘(10)과 끼움 결합으로 결합한다. 보호캡(30)은 주사바늘(10)과 결합되었을 때 봉합사(20)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수용홈(31)에 확장홈(32)을 형성한다. 확장홈(32)은 봉합사(2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길이방향에 형성한다. 확장홈(32)으로 봉합사(20)의 일부분을 끼움 수용하여 봉합사(20)의 일단은 슬릿홈(17)에 고정되어 중공홈(11)에 내재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하여 슬릿홈(17)에 고정한다.
이러한 확장홈(32)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개방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된 개방형상의 잔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삽입키트는 봉합사(20)의 일단을 손잡이(15) 후단부에 구성한 슬릿홈(17)에 끼워 고정시킨 후 봉합사(20)의 타단을 중공홈(11)으로 삽입하여 주사침(13)의 선단부로 인출한다. 인출된 봉합사(20)의 타단은 주사침(13)의 선단부에서 손잡이(15) 후단부에 형성된 또 다른 슬릿홈(17)에 끼워 고정시킨다. 보호캡(30)은 주사침(13)의 선단부부터 수용하여 손잡이(15)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주사침(13) 및 봉합사(20)를 수용하여 이물질로부터 오염 및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손잡이(15)의 선단부까지 보호캡(30)을 이동시켜 주사바늘(10)과 끼움결합한다.
상기 주사바늘(10), 봉합사(20) 및 보호캡(30)이 하나로 겹합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형태변형 없이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 및 사용 등의 과정에서 고정된 봉합사가 고정 설계한 위치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봉합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삽입키트는 사용시 보호캡(30)을 제거하고, 주사침(13)을 인체 내에 삽입한다. 슬릿홈(17)에 봉합사(2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봉합사(20)가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주사침(13)의 선단부에서 봉합사(20)는 두 가닥으로 접혀져 있으므로 한번에 봉합사(20)를 두 겹으로 인체 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합사(20)를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하였으면 슬릿홈(17)에 고정된 봉합사(20)를 탈거하고 주사침(13)을 인체 밖으로 인출한다. 봉합사(20)는 피부조직에 고정되고 남아있게 된다. 상기의 사용 과정에 있어서, 봉합사(20)와 홀드부재(16)와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봉합사 손상 방지, 봉합사상에 형성된 미늘 손상 방지, 홀드부재의 손상 방지 및 홀드부재 손상에 따른 홀드부재 파편들의 체내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체내에 삽입되는 봉합사(20)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봉합사(20)와 슬릿홈(17)의 밀착부위가 없이 봉합사(20)가 모두 노출되므로 봉합사(20)의 멸균을 수행함이 수월한 봉합사 삽입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사바늘 11 : 중공홈 13 : 주사침
15 : 손잡이 16 : 홀드부재 17 : 슬릿홈
20 : 봉합사 30 : 보호캡 31 : 수용홈
32 : 확장홈

Claims (3)

  1. 주사침과 손잡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삽입내재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주사침 및 봉합사가 파손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주사침 및 봉합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사바늘은 손잡이 부분의 중공홈에서 탈착가능한 홀드부재를 구비하고, 홀드부재는 한개 이상의 슬릿홈을 형성하여 슬릿홈에 봉합사를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수용홈 후단부에 봉합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확장홈을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 형성하여 보호캡과 주사바늘의 결합시 확장홈에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수용홈 후단부에 봉합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확장홈을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방형상의 잔공을 형성하여 보호캡과 주사바늘의 결합시 확장홈에 봉합사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봉합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키트.
KR1020140021911A 2014-02-25 2014-02-25 봉합사 삽입키트 KR10139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911A KR101393496B1 (ko) 2014-02-25 2014-02-25 봉합사 삽입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911A KR101393496B1 (ko) 2014-02-25 2014-02-25 봉합사 삽입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521A Division KR101384126B1 (ko) 2013-11-08 2013-11-08 봉합사 삽입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496B1 true KR101393496B1 (ko) 2014-05-13

Family

ID=5089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911A KR101393496B1 (ko) 2014-02-25 2014-02-25 봉합사 삽입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650A (ko) * 2015-03-12 2016-09-21 김동진 실 고정용 시술바늘
WO2017039265A1 (ko) * 2015-08-28 2017-03-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봉합사 고정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49B1 (ko) * 1995-03-10 1999-01-15 츠요시 우에타케 주사바늘형 봉합장치
WO2004075761A1 (ja) * 2003-02-26 2004-09-10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用器具
KR20080031805A (ko) * 2006-10-05 2008-04-11 코비디엔 아게 다수의 천공 바늘을 구비하는 의료 봉합 도구
JP2010534697A (ja) 2007-07-31 2010-11-11 フレセニウス・カビ・ドイツチユラ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悪液質予防補助食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49B1 (ko) * 1995-03-10 1999-01-15 츠요시 우에타케 주사바늘형 봉합장치
WO2004075761A1 (ja) * 2003-02-26 2004-09-10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用器具
KR20080031805A (ko) * 2006-10-05 2008-04-11 코비디엔 아게 다수의 천공 바늘을 구비하는 의료 봉합 도구
JP2010534697A (ja) 2007-07-31 2010-11-11 フレセニウス・カビ・ドイツチユラ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悪液質予防補助食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650A (ko) * 2015-03-12 2016-09-21 김동진 실 고정용 시술바늘
KR101715203B1 (ko) 2015-03-12 2017-03-13 김동진 실 고정용 시술바늘
WO2017039265A1 (ko) * 2015-08-28 2017-03-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봉합사 고정기구
KR101736054B1 (ko) * 2015-08-28 2017-05-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봉합사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499B1 (ko) 봉합사 삽입키트
US100986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KR10138412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US20180168567A1 (en)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JP5230727B2 (ja) 縫合糸アンカー装填装置
CA2701609C (en)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kit
US20110257581A1 (en)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US20120004672A1 (en) Suture Straightening Device and Method
WO2013142487A1 (en) Suture cartridg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7477876B2 (ja) 医療用糸挿入器具
US20140107671A1 (en) Handheld safety suturing device
EP2111197A2 (en) Corneal endothelial tissue inserter
KR101643904B1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139349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KR101481044B1 (ko)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KR101392766B1 (ko) 의료용 관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관 삽입 시술 키트
US20160089139A1 (en) Suture Needle Capture Devices and Methods
KR20180123273A (ko)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2092184B1 (ko)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KR101728967B1 (ko) 세균감염과 혈종 위험을 감소시키는 대요근 주사기 키트
JP2010172695A (ja) バネを含む外科用ポータル装置のための縫合糸管理システム。
TR201808209T4 (tr) Göğüs implantı yerleştirici.
JP2006296666A (ja) 使い捨て布帛挿入器
US20210290263A1 (e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detachable fixation assembly
WO2013160742A1 (es) Dispositivo para cierre de puertos de trabajo en cirugías endoscópi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