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376B1 - 실 삽입기 - Google Patents

실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376B1
KR102606376B1 KR1020200167032A KR20200167032A KR102606376B1 KR 102606376 B1 KR102606376 B1 KR 102606376B1 KR 1020200167032 A KR1020200167032 A KR 1020200167032A KR 20200167032 A KR20200167032 A KR 20200167032A KR 102606376 B1 KR102606376 B1 KR 10260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insertion needle
human body
medical
medical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771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닥터
Priority to KR102020016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3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둘레면이 매끈한 원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코일형상의 의료용 실을 제작함으로써, 매듭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정 간소화가 가능하고 인체에 시술시 걸림 현상 없이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는 실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바늘과, 상기 삽입바늘 둘레에 끼워지며 둘레면이 매끈한 원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코일형상을 이루는 의료용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 삽입기{THREAD INSERTION DEVICE}
본 발명은 실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둘레면이 평탄한 원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코일형상의 의료용 실을 제작함으로써, 매듭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정 간소화가 가능하고 인체에 시술시 걸림 현상 없이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는 실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의료용 실을 삽입하여 피부의 처짐 또는 주름을 개선하는 매선 요법(Thread-Embedding Theraphy)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삽입되는 의료용 실은 보통 피부층에 매선되며, 의료용 실 주변의 피부 조직을 자극하고 당겨주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피부의 처짐이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매선요법에 사용하는 실 삽입기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의 삽입바늘과, 일단은 상기 삽입바늘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실과, 이 실의 단부를 잡아주기 위해 삽입바늘 외부에 결합되는 스폰지 재질의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바늘은 시술시 발생되는 통증을 줄이고 시술 후 남을 수 있는 상처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름이 매우 작은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실삽입기 및 시술방법은 등록특허 10-047310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이 인체에 실을 삽입하여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조직을 탄력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삽입되는 실의 지름이 클수록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통증 및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삽입바늘의 지름은 제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지름이 작은 실을 이용하여 피하 조직에 충분한 매입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술을 통해 여러 개의 실을 삽입하여야 함으로, 시술시간이 길어지고, 피시술자가 느끼는 고통도 커질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과 같이, 실(40)을 삽입바늘(10) 둘레에 나선형으로 조밀하게 감아서 피하로 삽입할 경우 실(40)의 스프링 작용과 좀 더 많은 실(40)의 채움 효과를 통해 탄력증대 및 주름개선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실 삽입기가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10-1811208호와 10-2139509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기존 실삽입기와 같이 삽입바늘(10)에 실(40)을 감을 경우 마지막에 매듭을 지어야만 하는데, 이 매듭을 짓는 작업과정은 매우 미세한 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손에 신경을 집중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무리를 주게 되고, 따라서 생산성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인의 기존 실삽입기는 통상 원형 단면을 갖는 수술용 실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조하기 때문에, 아무리 실을 조밀하게 감더라도 삽입바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해보면 원형의 실이 서로 접해져서 반복적으로 감겨진 상태이므로, 그 둘레면은 울퉁불퉁한 외곽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외곽이 울퉁불퉁한 실삽입기로 시술하게 되면, 울퉁불퉁한 둘레면이 인체 조직을 뚫고 들어가면서 인체조직과 걸렸다 들어가고 다시 걸렸다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인체에 삽입되기 때문에 통증이 커지고, 시술이 매끄럽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실삽입기는 매듭부위로 인하여 피부 조직 내 삽입 시 저항이 발생해 시술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늘에 감긴 실의 구조에 따라 사용하는 바늘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12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95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의료용 실의 재료를 이용하여 둘레면이 매끈한 원형 파이프를 제작한 후 이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코일형상의 의료용 실을 제작함으로써, 매듭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정 간소화가 가능하고 인체에 시술시 걸림 현상 없이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는 실 삽입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 삽입기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바늘과, 상기 삽입바늘 외부에 끼워지며 둘레면이 매끈한 원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코일형상을 이루는 의료용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의 선단에는 삽입바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헤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헤드의 선단은 인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 후방의 삽입바늘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의료용 실을 인체 내부에 삽입 시 의료용 실이 삽입바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관을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의 선단에는 상기 의료용 실과 맞닿는 부분에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으로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 삽입기에 의하면, 둘레면이 평탄한 원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코일형상을 이룸으로써, 매듭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정 간소화가 가능하고 인체에 시술시 걸림 현상 없이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의료용 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의 늘어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걸림헤드를 포함한 실 삽입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의 일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사용한 매선 시술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의료용 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의 늘어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걸림헤드를 포함한 실 삽입기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의 일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사용한 매선 시술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 삽입기(100)는 삽입바늘(110)과, 의료용 실(120)를 포함하게 된다.
삽입바늘(110)은 가늘고 긴 관의 형상이며,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바늘(110)의 선단은 보통 첨예하게 형성된다.
한편, 필러 주입바늘과 같은 특수 목적의 삽입바늘(110)은 끝이 둥글고 선단 측면에 필러 주입공이 형성된 경우도 있다. 즉, 삽입바늘(110)의 선단은 도 1에서와 같이 첨예한 형상일 수 있고,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삽입바늘(110)의 선단이 곡면 형상을 지님에 따라, 삽입바늘(110)이 피부에 삽입 되는 과정에서 피부 조직과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미세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바늘(110)의 후단에는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1)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11)의 후방(RD)에는 보조 손잡이(112)가 구비되어 손잡이(111)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조 손잡이(112)는 주사기 등의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삽입바늘(110)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손잡이(111) 및 보조 손잡이(112)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삽입바늘(110), 손잡이(111) 및 보조 손잡이(112)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의료용 실(120)은 삽입바늘(110) 외부에 끼워져 피부층에 인입되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노화된 피부를 재생시키거나 피부 탄력을 향상시킨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의료용 실(120)은 걸림헤드(121)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의료용 실(120)은 인체에 이식하여도 문제가 없는 재질로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둘레면이 매끈한 코일형상을 이루게 된다.
의료용 실(120)은 선단이 삽입바늘(110) 외부에 위치되며 후단(RD)방향으로 가면서 삽입바늘(110)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때, 의료용 실(120)의 선단에는 의료용 실(120)이 삽입바늘(110) 후방(RD)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헤드(121)가 형성되게 된다. 걸림헤드(121) 부분은 도 2(a)와 같이 절단될 수도 있고, 도 2 (b)와 같이 절단되지 않은 반구형태 또는 원뿔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헤드(121)는 도4와 같이 반구형태 또는 원뿔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5와 같이 선단이 완전히 막히지 않되 삽입바늘(110)의 외경보다 작은 구멍(123)이 형성됨에 따라 의료용 실(120)이 별도로 삽입바늘 내부(110)에 끼워지지 않고도 삽입바늘(110) 후방(RD)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헤드(121)는 인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커져 기울어지는 경사면(122)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의료용 실(120)은 원통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 가공 및 열처리함으로써, 탄성에 따라 별도의 매듭 없이도 감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의료용 실(120)은 원통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 가공하여 전체적으로 둘레면이 매끈한 코일 형상의 의료용 실(120)을 만들 수도 있으며, 금형 내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진 코일형 의료용 실을 성형하되 전체적인 외곽 둘레면이 매끈한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이렇게 감겨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진 의료용 실(120)은 삽입바늘(11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서 인체에 매립한 후 삽입바늘(110)만 빼내고자 할 때 원활하게 잘 빠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 삽입기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200)는 도 2에 나타낸 실 삽입기(100)와 같이 삽입바늘(110)과, 의료용 실(12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삽입바늘(1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끼워지는 지지관(210)이 더 포함된다. 
지지관(210)은 삽입바늘(110)이 내측에 끼워지는 관 형상을 가지고, 삽입바늘(110)의 외경(D3)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관(210)은 의료용 실(120)의 후방(RD)에 위치되어 삽입바늘(110)에 대해 전방(FD) 또는 후방(RD)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관(210)은 매선 시술 시 적어도 일부가 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211,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지지관(210)은 헤드부(211)에 의해 의료용 실(120)의 후단부까지 피부(S)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의료용 실(120)을 인체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관(210)은 시술 시에 지지관(210)이 후방(RD)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2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지지대(220)는 지지관(210)과 손잡이(111) 사이에 위치하여 시술 시에 지지관(210)이 후방(RD)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220)는 파이프 형상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부가 형성된“C”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삽입바늘(110) 중간에 측면에서 끼워 넣을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지지대(220)를 통해 지지관(210)이 후방(RD)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시술자는 손잡이(111)만을 잡고 정밀하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지관(210)의 헤드부(211)는 의료용 실(120)과 접촉할 수 있도록 삽입바늘(110)의 선단을 향하는 부분에 접촉면(212)을 포함한다.
접촉면(21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2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바늘(110)의 둘레면에서 돌출하는 접촉면(212)의 높이(H1)는, 의료용 실(120)의 후단부를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삽입바늘(110)의 둘레면에 감긴 실(120)의 직경(D2)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면(21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는 평면(213)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삽입바늘(110)의 반경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삽입바늘(110)의 후방(RD)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21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면(212)은 그 전체가 경사면(21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관(210)은 첨예한 형상의 헤드부(211)를 구비함으로써 그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지지관(210)은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찔러 넣을 때 의료용 실(120)을 인체 내부로 용이하게 밀어 넣기 위해서, 또한 헤드부(211)를 용이하게 잡고 의료용 실(1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부(211)로부터 삽입바늘(110)의 후방(RD)으로 연장하는 파지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술후 생활 중에 시술 부위의 인체조직이 늘어나도 의료용 실(120)이 인체조직과 함께 늘어날 수 있으므로 시술부위가 매우 자연스럽고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 삽입기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삽입바늘(110)의 후방(RD)에 손잡이(111)와 보조손잡이(112)를 끼워 사용한다. 이때, 의료용 실(120)이 삽입바늘(110)의 후방(RD)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바늘(110)과 손잡이(111)사이에 지지관(210)과 지지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바늘(110) 외부에 의료용 실(120)이 끼워져 매선 시술을 할 수 있다.
피부(S)의 처짐이나 주름(L)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술 부위(예를 들어, 도 9에서, 주름(L) 아래의 피하 조직(K))에 실 삽입기(100)의 선단을 대고 찔러 넣는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삽입기(300)를 사용한 매선 시술 시,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찔러 넣어 의료용 실(120)이 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관(210)을 삽입바늘(110)의 전방(FD)으로 이동시켜 헤드부(211)의 선단부에 의료용 실(120)이 접촉되도록 하여 의료용 실(120)이 지지관(210)의 후방(RD)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바늘(110)과 함께 지지관(210)을 인체 내부에 찔러 넣어 헤드부(211)의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찔러 넣어지도록 함으로써, 헤드부(211)에 의해 지탱되는 의료용 실(120)의 후단부까지 인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지지관(210)의 헤드부(211)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 즉 헤드부(211)에 의해 의료용 실(120)의 후단부가 인체 내부에서 인체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지탱되는 상태에서, 삽입바늘(110)을 인체로부터 빼내어 삽입바늘(110)로부터 의료용 실(120)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후 헤드부(211)를 인체로부터 빼냄으로써 인체 내부로 의료용 실(120)을 유도하여 인체 내부에 의료용 실(120)을 잔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실 삽입기 110 : 결합부시
111 : 손잡이 112 : 보조 손잡이
120 : 의료용 실 121: 걸림헤드
122 : 경사부 200 : 실 삽입기
210 : 지지관 211 : 헤드부
212 : 접촉면 213 : 평면
214 : 경사면 215 : 파지부
220 : 지지대 L : 주름
S : 피부 K : 피하조직

Claims (5)

  1.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바늘; 및
    상기 삽입바늘 외부에 끼워지며 둘레면이 매끈한 원형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단하여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실;을 포함하는 실 삽입기로서
    상기 의료용 실의 선단에는 상기 코일 형상의 실과 동일한 재료로 연속적으로 제작되어 삽입바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헤드가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헤드의 선단은 인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커져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실삽입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 후방의 삽입바늘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의료용 실을 인체 내부에 삽입 시 의료용 실이 삽입바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관이 더 형성되는 실 삽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선단에는 상기 의료용 실과 맞닿는 부분에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으로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실 삽입기.
KR1020200167032A 2020-12-02 2020-12-02 실 삽입기 KR10260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32A KR102606376B1 (ko) 2020-12-02 2020-12-02 실 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32A KR102606376B1 (ko) 2020-12-02 2020-12-02 실 삽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71A KR20220077771A (ko) 2022-06-09
KR102606376B1 true KR102606376B1 (ko) 2023-11-24

Family

ID=8198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032A KR102606376B1 (ko) 2020-12-02 2020-12-02 실 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18B1 (ko) 2013-12-31 2015-04-09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리프팅 시술 장치
KR102223778B1 (ko) 2020-10-28 2021-03-05 주식회사 엠베이스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518B1 (ko) * 2014-10-01 2016-07-15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811208B1 (ko) *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101977331B1 (ko) * 2017-06-05 2019-05-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200489893Y1 (ko) * 2017-04-06 2019-08-26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평면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102139509B1 (ko) * 2018-08-24 2020-07-2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WO202005996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네오닥터 탄성 실 삽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18B1 (ko) 2013-12-31 2015-04-09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리프팅 시술 장치
KR102223778B1 (ko) 2020-10-28 2021-03-05 주식회사 엠베이스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71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208B1 (ko) 실 삽입기
JP5005548B2 (ja) ガイドワイヤ・アドバンサー組立体
KR101600567B1 (ko) 피하 조직 및 혈관 손상 방지를 위한 매선 주입봉
KR101261175B1 (ko)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
WO2013122339A1 (ko) 의료용 메쉬 구조
KR102038477B1 (ko) 실 삽입기
KR20210000441A (ko)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KR102606376B1 (ko) 실 삽입기
KR102139509B1 (ko) 실 삽입기
KR20160054803A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2300318B1 (ko) 코 시술용 실 삽입기
KR102118164B1 (ko) 실 삽입기
KR102205020B1 (ko) 실 삽입기
US6840899B2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surgical delivery of biocompatible materials
KR200493306Y1 (ko) 실 삽입 기구
US10561413B1 (en) Suturing needle for injecting gold thread for use of hair loss treatment
KR102040842B1 (ko)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CN107582146A (zh) 一种穿刺锥针组件
KR102268903B1 (ko) 성형수술용 리프팅 주사바늘
WO2006008034A1 (e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injection of a substance into a body organ
KR20140112247A (ko) 매선용 도구
JP5789690B1 (ja) 糸及び留置部材
JP2015181802A (ja)
CN113993569A (zh) 导管
JP2013027489A (ja) 施術具及びそれを用いた施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