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210B1 -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210B1
KR102610210B1 KR1020230046987A KR20230046987A KR102610210B1 KR 102610210 B1 KR102610210 B1 KR 102610210B1 KR 1020230046987 A KR1020230046987 A KR 1020230046987A KR 20230046987 A KR20230046987 A KR 20230046987A KR 102610210 B1 KR102610210 B1 KR 10261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insertion device
needle
medical
thread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유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주식회사 엠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주식회사 엠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4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선단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바늘;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 주변에서 절곡되어 U 형상을 가지면서 양 갈래로 연장된 제 1 실; 상기 제 1 실의 절곡 부위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접으면서 발생한 양 갈래를 모아 상기 바늘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싼 제 2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에 의하면, 제 1 실이 바늘 내에서 U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로 인하여 볼륨이나 체적을 확실히 유지하여 신체 조직 내에서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2가닥의 실을 감아 각 1개 가닥의 피치를 증가하여 조밀한 감김으로 탄성이 강화되어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완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Medical thread insertion device that relieves pain caused by elasticity}
본 발명은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단일 실이 아니라 2개의 실을 특수한 구조로 엮어 실의 볼륨과 체적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조밀한 피치로 인해 신체 조직 내에서 팽창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탄성이 강해져 환자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의료용 실을 포함한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체에 무해한 생체 친화 재질로 제작된 의료용 실을 피부 내에 삽입하여 피부 조직에 자극을 주거나 당김으로써, 피부 수축는 물론 재생을 촉진하고 나아가 봉합사의 장력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과 유착된 부분을 위쪽으로 당겨 고정함으로써 늘어진 피부 조직을 리프팅하는 이른바 '실 리프팅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실 리프팅 시술은 기존의 수술적 시술에 비해 시술이 간단하고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아 현재 상당히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실 리프팅 시술은 의료용 실을 신체 조직에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에 수용한 상태에서 시술이 이루어지는데, 이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일반적으로 바늘과 허브를 포함한 구조를 취한다.
도 6은 공지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른 종래 기술은 한국 특허 제 1811208호인 실 삽입기의 기본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첨예한 선단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선단에서 개방되는 구멍을 내부에 갖는 바늘(1)과, 상기 바늘(1)의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바늘(1)의 구멍 외부에서 상기 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늘의 둘레에 감기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묶이는 매듭부를 형성하는 제 2 연장부를 갖는 실(2)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1)에 의해 상기 실(2)이 인체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권선부는 상기 바늘(1)의 둘레에 조밀하게 감긴 형상으로 인체 내부로 유도되고 잔류되고, 상기 매듭부는 상기 바늘의 둘레에서 엇갈리도록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따른 공지 기술은 바늘의 외주 면을 감싼 실이 1가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1가닥의 샛길이, 즉 피치(pitch)가 짧아 전체적으로 조밀한 피치를 가진다. 이로 인해 신체 조직 내에서 팽창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탄성이 강해져 시술 시에 환자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바늘을 감싼 실이 정작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신체 조직 내에서 납작하게 눌리는 치명적인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인의 특허인 한국 특허 제 2223778호인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 장치로서, 중공과 개방부를 구비한 바늘에 제 1,2 실을 결합하되, 제 1 실은 바늘(100) 내부에 위치한 부위와 바늘(10) 외부에 위치한 부위로 이루어지고, 제 2 실(20)은 제 1 실(10)을 감싸면서 제 1 실(10)과 함께 피부 조직으로 주입되는 것으로, 특히 나선형 형상으로 바늘(10)의 외주 면과 이 외주 면에 안착된 제 1 실(10)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 기술은 도 6의 공지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는 하나, 제 1 실(10)이 바늘의 내외에 각각 걸쳐 있는 2 가닥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1가닥에만 제 2 실이 감기는 구조를 취하므로 제 1 실이 볼륨이나 체적을 유지할 수 있는 기둥이나 베이스로써의 충실한 역할을 하기에 부족한 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은 2개의 실을 제공하되 제 1 실의 독특한 구조로 인하여 볼륨이나 체적을 확실히 유지하여 신체 조직 내에서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2가닥의 실을 감아 각 1개 가닥의 피치를 증가하여 조밀한 감김으로 탄성이 강화되어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의료용 실 삽입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 특허 제 1811208호 한국 특허 제 2223778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개의 실을 제공하되 제 1 실의 독특한 구조로 인하여 볼륨이나 체적을 확실히 유지하여 신체 조직 내에서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2가닥의 실을 감아 각 1개 가닥의 피치를 증가하여 조밀한 감김으로 탄성이 강화되어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실이 U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실의 양 갈래를 테이퍼 처리하여 절곡 부위에 작용하는 외력을 양 갈래로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제 1 실의 양 갈래를 잇는 브릿지를 제공하여 제 1 실의 확실한 형상 유지 기능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선단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바늘;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 주변에서 절곡되어 U 형상을 가지면서 양 갈래로 연장된 제 1 실; 상기 제 1 실의 절곡 부위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접으면서 발생한 양 갈래를 모아 상기 바늘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싼 제 2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 삽입장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실이 위치한 상기 바늘의 외주 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테이퍼(taper) 처리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에 의하면,
1) 제 1 실이 바늘 내에서 U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로 인하여 볼륨이나 체적을 확실히 유지하여 신체 조직 내에서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2가닥의 실을 감아 각 1개 가닥의 피치를 증가하여 조밀한 감김으로 탄성이 강화되어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완화하고,
2) 제 1 실이 U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인하여 신체 조직 내에서 제 1,2 실이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3) 제 1 실의 절곡 부위를 강화하기 위한 돌부를 2차에 걸친 도포와 건조 단계를 거쳐 공지의 성형 공정에 비하여 다양한 체적과 형상을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브릿지를 통해 제 1 실의 형상 유지를 더욱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의 결합 관계를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3은 테이퍼 처리된 제 1 실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익스텐션 돌부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제 1 실에 브릿지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실 삽입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에서 제 1,2 실과 바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2 실(10,20)의 결합 관계를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기본적으로 바늘(100)과, 이 바늘(100)에 결합되되 상호 분리된 구성인 제 1,2 실(10,20)로 이루어져 있다.
바늘(100)은 공지의 의료용 바늘(100)과 같이 내부가 뚫린 중공(110)을 가진 상태에서 적어도 일단, 즉 선단이 중공(110)과 내통되도록 개방된 개방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바늘(100)의 선단은 피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거나, 아니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 널리 사용되는 캐뉼라 타입의 바늘(100)과 같이 상대적으로 뭉뚝한 선단을 가진 상태에서 선단 측 개방부(120)를 캐뉼라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절개하여 연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공지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상술한 바늘(100)과 더불어 허브에 결합된 손잡이(또는 밀대)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삽입 장치는 밀대를 사용하지 않고 시술자가 바늘(100)에 결합한 공지의 허브(미도시)만 한 손으로 잡고 시술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과 실 이탈에 의한 시술 실패에 대한 개연성을 줄일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10,20), 즉 제 1 실(10)과 제 2 실(20)은 공지의 봉합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피부 조직에 삽입되어 노화되거나 처진 피부를 리프팅 처리함으로써 주름 및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력을 향상하는 피부 미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제 1,2 실(10,20)은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피부 조직에서 녹아 부작용과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PDO(polydioxanone)로 이루어지거나 더 나아가 콜라겐 형성 촉진 물질로 알려진 PLLA(Poly L Lactic Acid) 또는 PCL(Polycaprolacton)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DO는 다른 녹는 봉합사에 비해 반감기가 상대적으로 길고 조직 반응이 적다는 장점이 있고, PCL의 경우에는 피부 속에 더욱더 오래 남아 있을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이때, 제 1,2 실(10,20)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실(10)은 PDO, 제 2 실(20)은 PCL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10)은 중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부(120) 주변, 즉 바늘(100)의 선단 측 중공(110)에서 절곡되어 U 형상을 가지고, 이같이 절곡된 부위를 '절곡 부위(12)'라 한다.
이러한 절곡 부위(12)에 의해 제 1 실(10)은 2갈래로 나뉘어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실(10)은 후술할 제 2 실(20)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여 '가이드 실' 또는 '가이드사'라고 명명할 수 있다.
제 2 실(20)은 일 단을 제 1 실(10)의 절곡 부위(12)로 삽입시킨 다음 접으면서 발생한 양 가닥 양 갈래(11)를 모아 상기 바늘(10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싼 실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2 실(10,20)은 모두 절곡되거나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양자의 절곡 부위(12)가 서로 걸리도록 연결된 구조를 취하면서 제 1 실(10)은 U 형상을 유지하며 2 갈래가 바늘(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실(20)은 개방부(120) 바깥으로 나온 다음 바늘(100)의 외주면을 감싼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 1,2 실(10,20) 각각의 절곡 부위(12)가 고리 역할을 하면서 상호 걸리는 구조를 가지면서 제 2 실(20)의 양 가닥을 모으거나 일정한 틈을 확보한 상태에서 바늘(10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둘러 감싼 구조이다.
이때, 제 2 실(20)의 양 갈래(11)의 길이 역시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고 한쪽이 더 길거나 짧을 수 있으나, 양 갈래(11)가 균형을 가지면서 바늘(10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제 2 실(20)의 양 갈래(11)의 길이는 같거나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실(10) 역시 양 갈래(11)의 길이가 같거나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한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의 기능 및 작용을 도 6,7에 도시한 공지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따른 공지 기술은 바늘(100)의 외주 면을 감싼 실이 1가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1가닥의 샛길이, 즉 피치(pitch)가 짧아 촘촘함으로 불필요하게 신체 조직 내에서 탄성력이 커지면서 시술 시에 환자에 통증을 유발한다.
게다가, 바늘(100)을 감싼 실이 정작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신체 조직 내에서 납작하게 눌리는 치명적인 문제가 따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제 1 실(10)이 U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한 체적을 보유한 일종의 코어 역할을 하면서 이 둘레를 제 2 실(20)이 감싸고 있으므로 제 1,2 실(10,20)이 신체 조직에 삽입되어도 제 1 실(10)의 체적 보유 기능으로 제 2 실(20)이 쉽사리 눌리지 않고 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큰 차이점이 있다.
더불어, 제 2 실(20)을 접어 양 갈래(11)를 모은 상태에서 바늘(100)의 외주면을 감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갈래 단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도 6에 따른 실보다 피치가 길고 인근에 접한 다른 하나의 갈래와 독립적으로 유동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도 6의 실보다 불필요하게 증가한 탄성을 완화하면서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특허인 도 7에 따른 공지 기술은 제 1,2 실(10,20)을 접어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 2 실(20)의 양 갈래(11)를 바늘(100)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 탄성을 완화하는 효과는 있으나, 제 1 실(10)의 양 갈래(11) 중 한 갈래만이 바늘(100)의 내부에 있고 결과적으로 다른 갈래를 제 2 실(20)이 감싸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 1,2 실(10,20)이 신체 조직에 삽입되었을 때 제 1 실(10)이 체적 유지를 위한 코어 역할을 하지 못하고 이 역시 납작해질 개연성이 존재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제 1 실(10)의 양 갈래(11)가 바늘(100)의 내부에서 U 형상으로 체적 유지를 하면서 이 둘레를 제 2 실(20)이 감싸므로 제 1,2 실(10,20)이 신체 조직 내에서 납작해지지 않고 원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본연의 리프팅 기능에 더욱 충실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연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허브가 없어 시술자가 한 손으로 시술할 수 있으므로 시술의 용이성을 담보할 수 있는 특성도 겸비한다.
추가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실(20)이 위치한 상기 바늘(100)의 외주 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링(30)을 포함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링(30)은 스폰지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공지 기술에서는 바늘(100)의 외주면을 감싼 실의 단부를 매듭짓기 때문에 매듭짓는 공정이 까다롭거나 실의 폭의 변화가 생겨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고, 허브를 이용해서 시술자가 두 손으로 시술하므로 신체 조직 내로 바늘(100)을 미는 과정에서 신체 조직에 걸려 매듭이 풀리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매듭 없이 고정 링(30)이 제 2 실(20)의 단부를 바늘(100)의 외주면에 고정하다가 시술 과정에서 제 1,2 실(10,20)과 함께 자연스럽게 바늘(100)의 선단으로 밀린 다음 신체 조직에 삽입되지 않고 바늘(100)을 당기는 과정에서 바늘(100)과 함께 신체 조직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제 1,2 실(10,2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것은 물론 제 2 실(20)의 직경을 불필요하게 증가함으로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10)은 제 1,2 실(10,20)의 조합체가 신체 조직에 삽입하였을 때 중심의 코어 역할을 하는데, 신체 조직의 압력으로 쉽사리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 2 실(20)보다 제 1 실(10)의 탄성계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실(10)은 제 2 실(20)보다 같은 외력이 작용하여도 쉽게 늘어나지 않는 성질을 가져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서도 제 2 실(20)보다 상대적으로 늘어나거나 찌그러지지 않는 특성을 발휘하면서, 원형 형상은 물론 원형 체적을 장시간 보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테이퍼 처리된 제 1 실(1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실(10)은 정확한 U 형상을 취하기보다는 양 갈래(11)의 끝단으로 연장될수록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사 처리, 즉 테이퍼(taper)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 1 실(10)이 기본적으로 보유한 신축성에 의해 U 형상에서 특히 제 2 실(20)이 걸리는 절곡 부위(12)에 압력이 가중되어 절곡 부위(12)부터 먼저 찌그러지거나 납작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절곡 부위(12)로 1차로 작용한 외력(제 2 실(20)과의 접촉력 및 신체 부위의 압력)을 테이퍼 처리된 양 갈래(11)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절곡 부위(12)의 절곡 형상을 가급적 오랫동안 보존하여 제 1 실(10) 자체의 체적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도 3의 부분확대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실(10)의 절곡 부위(12)와 상기 양 갈래(11) 각각에서의 외측 경계 부위에는 볼록하게 라운딩지면서 돌출된 익스텐션 돌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절곡 부위(12) 자체의 체적을 보강하되 절곡 부위(12) 전체의 직경(두께)를 증가하면 신체 조직 내에서 제 1,2 실(10,20)의 조합체가 불필요한 수준으로 체적이 커지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양 갈래(11)가 모이는 방향으로 테이퍼 처리되면서 절곡 부위(12)의 형상을 보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체적을 보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곡 부위(12)와 양 갈래(11)의 시작단과의 경계 부위의 내외 측 중에서 외측 경계 부위만을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처리되어 상술한 외력을 상대적으로 빨리 양 갈래(11)로 분산시키면서 절곡 부위(12)의 절곡 형상을 유지/보존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특히, 익스텐션 돌부(40)는 제 1 실(10)에 제 1 실(10)과 동일 재료를 효율적으로 덧붙이는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익스텐션 돌부(40)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익스텐션 돌부(40)는 1차 도포 단계, 1차 건조 단계, 2차 도포 단계 및 2차 건조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1차 도포 단계는 외측 경계 부위에 제 1 실(10)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 파우더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파우더는 생체 흡수성 재료가 원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역시 생체 흡수성 재료인 제 1 실(10)을 분쇄하여 제작한 분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파우더는 100 미크론에서 3mm 가량의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분말로서, 익스텐션 돌부(40)를 공지의 성형 장치를 통해 제작하기보다는 절곡 부위(12), 정확히는 외측 경계 부위의 형상과 탄성의 고저에 따라 더욱더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절곡 부위(12)에 파우더를 붙이는 방식으로 익스텐션 돌부(4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건조 상태의 파우더를 도포할 경우 외측 경계 부위에 잘 붙지 않을 수 있으므로 50 내지 70 중량부와 물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측 경계 부위 역시 물이 접하면서 유연한 성질을 가지게 되면서 혼합액과의 밀착성이 강화될 수 있다.
1차 건조 단계는 상술한 외측 경계 부위를 30 내지 60분 동안 40 내지 60℃에서 건조하는 단계로서, 혼합액의 물을 건조하면서 파우더가 적절하게 외측 경계 부위에서 점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더불어, 40 내지 60℃의 건조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측 경계 부위를 멸균 처리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2차 도포 단계는 외측 경계 부위에 상기 파우더 20 내지 40 중량부와 물 6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2차 도포 단계는 1차 도포 단계보다 혼합액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파우더의 중량을 가져 1차 도포 단계에서 외측 경계 부위가 충분한 두께로 성형되지 않는 상황을 보완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2차 건조 단계는 외측 경계 부위를 10 내지 30분 동안 50 내지 70℃에서 건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2차 건조 단계는 1차 건조 단계보다 짧은 시간을 가지되 더 높은 온도에서 신속 건조를 하는 단계로서, 앞서 언급한 2차 도포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파우더의 중량을 건조하기 위해 짧은 시간으로 충분한 건조 시간을 가지되 확실하고 빠른 건조와 멸균을 위해서 1차 건조 단계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익스텐션 돌부(40) 제조 단계에 의하면, 제 1 실(10)과 같은 재질의 파우더를 적용하여 외측 경계 부위에 도포하므로 공지의 성형 단계보다 다양한 두께와 밀도를 가질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2차의 도포-건조 단계를 거치므로 더욱 정확하고 정밀한 사이즈의 익스텐션 돌부(40)를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멸균 효과까지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도 5는 제 1 실(10)에 브릿지(5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10)의 양 갈래(11)가 신체 조직의 압력으로 불필요하게 모이거나 아예 붙으면서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양 갈래(11) 사이 부위를 잇는 브릿지(50)(bridge)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브릿지(50)는 제 1 실(10)과 같은 재질은 물론 비슷한 직경 또는 제 1 실(1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양 갈래(11)가 외력으로 쉽사리 모이지 않고 제 1 실(10)의 U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브릿지(50)는 절곡 부위(12) 주변에 형성되거나 아니면 양 갈래(11)의 끝단 주변에 형성되는 등으로 양 갈래(11) 사이 부위의 특정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브릿지(50)는 제 1 실(10)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가진 필름이나 패널 형상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되어 마치 네트(net)와 같은 망상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브릿지(50)는 양 갈래(11) 사이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브릿지(50)가 2개로 설치될 때, 절곡 부위(12)에 근접한 브릿지(50)(제 1 실(10)의 선단 측 브릿지(50))가 절곡 부위(12)에서 먼 브릿지(50)(제 1 실(10)의 후단 측 브릿지(50))보다 직경이 크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브릿지(50)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서 절곡 부위(12)에 근접한 브릿지(50)가 그렇지 않은 브릿지(5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절곡 부위(12) 측부터 양 갈래(11)가 모이는 문제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 1 실 11: 양 갈래
12: 절곡 부위 20: 제 2 실
30: 고정 링 40: 익스텐션 돌부
50: 브릿지 100: 바늘
110: 중공 120: 개방부

Claims (8)

  1.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로서,
    중공과 상기 중공의 선단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바늘;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 주변에서 절곡되어 U 형상을 가지며 양 갈래로 연장된 것으로서, 양 갈래 모두가 상기 중공 내에서 연장된 제 1 실;
    상기 제 1 실의 절곡 부위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접으면서 발생한 양 갈래를 모아 상기 바늘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싼 제 2 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의 양 갈래는,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테이퍼(taper) 처리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 1 실의 절곡 부위와 상기 양 갈래 각각에서의 외측 경계 부위에는, 볼록하게 라운딩지면서 돌출된 익스텐션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 삽입장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실이 위치한 상기 바늘의 외주 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돌부는,
    상기 외측 경계 부위에 상기 제 1 실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 파우더 50 내지 70 중량부와 물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도포하는 1차 도포 단계;
    상기 외측 경계 부위를 30 내지 60분 동안 40 내지 60℃에서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상기 외측 경계 부위에 상기 파우더 20 내지 40 중량부와 물 6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도포하는 2차 도포 단계;
    상기 외측 경계 부위를 10 내지 30분 동안 50 내지 70℃에서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양 갈래로 연장된 사이 부위를 잇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절곡 부위에서 상기 양 갈래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 부위에 근접한 브릿지가 상기 절곡 부위에서 먼 브릿지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1020230046987A 2023-04-10 2023-04-10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KR10261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987A KR102610210B1 (ko) 2023-04-10 2023-04-10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987A KR102610210B1 (ko) 2023-04-10 2023-04-10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210B1 true KR102610210B1 (ko) 2023-12-05

Family

ID=8915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987A KR102610210B1 (ko) 2023-04-10 2023-04-10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2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641A (ko) * 2014-01-12 2015-07-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60074933A (ko) * 2014-12-19 2016-06-29 조현찬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17003836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봉합사 삽입을 위한 피부 시술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811208B1 (ko)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101898188B1 (ko) * 2017-08-29 2018-09-12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멀티 필라멘트 폴리디옥사논 봉합사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20200016077A (ko) * 2018-08-06 2020-02-14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위치 수정이 가능한 멀티 필라멘트 폴리디옥사논 봉합사의 침관 결합구조
KR102223778B1 (ko) 2020-10-28 2021-03-05 주식회사 엠베이스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641A (ko) * 2014-01-12 2015-07-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60074933A (ko) * 2014-12-19 2016-06-29 조현찬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17003836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봉합사 삽입을 위한 피부 시술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811208B1 (ko)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101898188B1 (ko) * 2017-08-29 2018-09-12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멀티 필라멘트 폴리디옥사논 봉합사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20200016077A (ko) * 2018-08-06 2020-02-14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위치 수정이 가능한 멀티 필라멘트 폴리디옥사논 봉합사의 침관 결합구조
KR102223778B1 (ko) 2020-10-28 2021-03-05 주식회사 엠베이스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299B2 (en) Implant for tissue lifting
JP6705951B2 (ja) 縫合糸
ES2552224T3 (es) Dispositivos para el tratamiento de la apnea del sueño obstructiva
JP6747644B2 (ja) 尿道前立腺部のための切開用埋込具
RU2139734C1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нить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EP2229893B1 (en) Knotless wound closure device
KR101241955B1 (ko) 상처봉합, 조직밀착, 조직지지, 부유 및/또는 고정을 위한 봉합사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10139667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2223778B1 (ko)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JP2014529412A (ja) 結合組織の治療
JP2016514609A (ja) 特には腹壁を補強するための植え込み型補強用補綴
US10357349B2 (en)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KR102610210B1 (ko)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KR102161345B1 (ko) 위치 수정이 가능한 멀티 필라멘트 폴리디옥사논 봉합사의 침관 결합구조
ES2899849T3 (es) Conexión indirecta de una aguja a una sutura de malla
KR20180134483A (ko) 성형수술용 실 구조체
CN212879439U (zh) 一种具有仿生微刺依附结构的左心耳封堵器
CN210582750U (zh) 一种缝合线以及缝合装置
KR200491562Y1 (ko) 리프팅 실
CN115038410A (zh) 用于向身体器官施加压力的系统和方法
DE102004062444B4 (de) Inkontinenzband zur Verwendung in der Chirurgie bei der Behandlung von Harninkontinenz
US20190183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WO20201762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JP2020025852A (ja) 脱毛治療用の金糸挿入用縫合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