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447B1 -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 Google Patents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447B1
KR101502447B1 KR20130159939A KR20130159939A KR101502447B1 KR 101502447 B1 KR101502447 B1 KR 101502447B1 KR 20130159939 A KR20130159939 A KR 20130159939A KR 20130159939 A KR20130159939 A KR 20130159939A KR 101502447 B1 KR101502447 B1 KR 10150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oupling hole
needle body
embedding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Priority to KR2013015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1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를 당겨 주름이 제거되는 매선침 시술법에 사용되는 매선이 체내에 침습 된 상태로 시술자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고, 매선에 정방향 및 역방향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바늘 제거시 매선이 함께 빠져나오지 않음은 물론 매선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피부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됨에 따라 뛰어난 주름제거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는 일측에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본체와, 상기 결합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바늘본체 내부에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고정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와, 상기 매선부재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수술용 바늘키트{Needle kit for plastic surgery}
본 발명은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피부를 당겨 주름이 제거되는 매선침 시술법에 사용되는 매선이 체내에 침습 된 상태로 시술자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고, 매선에 정방향 및 역방향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바늘 제거시 매선이 함께 빠져나오지 않음은 물론 매선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피부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됨에 따라 뛰어난 주름제거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모가 능력으로까지 인정되는 시대에, 얼굴 성형은 모든 사람들에게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얼굴 주름을 펴는 성형수술은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게 큰 인기가 있는 수술로서 연예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많이 하는 수술이다. 이와 같이 주름을 펴는 성형수술로서는, 메스(mes)로 두피를 절개하여 두피의 일부분을 떼어낸 후, 절개 부위를 다시 봉합해야 하므로 얼굴 피부가 인장 되게 하는 수술 방법도 있고, 보톡스를 피하 근육에 주입하여 근육이 경직되도록 하여 주름(W)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상기 수술방법은 모두 비용이 많이 들고, 상기 메스를 사용하는 수술법은 두피에 수술 자국을 남기게 되며, 수술 직후에 피부 절개로 인한 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보톡스를 주입하는 방법의 경우 보톡스가 독극물의 일종이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 들어 많이 시술되는 방법으로서 피하 근육에 봉합사을 주입하는 매선 시술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시술법은 비용이 저렴하면서 인체에 전혀 부작용이 없는 수술로서, 매선 시술용 봉합사 삽입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매선 시술용 봉합사 삽입기는, 바늘이 구성되고 이 바늘의 뾰족한 선단으로 봉합사가 주입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이 바늘에서 선단의 반대 측에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성된다. 그리고 봉합사는 절개된 피부를 봉합할 때 사용되는 실로서, 인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인데, 예를 들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이 생체 내로 흡수 가능한 재료와 같은 것들이다.
이와 같은 매선 시술용 봉합사 삽입기로 시술하는 예를 살펴보면, 주름진 피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서 측방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피부에서 주름진 부분의 측방에 주름 방향의 바깥 방향으로 바늘을 찔러 넣는다. 이때, 상기 봉합사도 함께 피하 근육까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바늘을 뽑아내면 봉합사만이 상기 근육에 잔류하게 된다. 이때 봉합사는 주름진 피부 아래의 근육을 측방으로 당기게 되어 주름을 펴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피부 바깥으로 튀어나온 봉합사는 가위로 절단하여 마무리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봉합사를 이용한 종래의 주름제거방법은, 봉합사가 피하 근육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근육을 잡아주지 못하므로, 피부가 다시 주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술 직후에는 주름이 펴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서, 피부가 원상복귀하더라도 피하 근육을 당기지 못하므로 피부를 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봉합사와 바늘이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을 뽑아낼 때 봉합사까지 함께 딸려 나옴에 따라 봉삽사가 체내에 잔존 되지 못할 경우 바늘을 연속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21440호(2013.11.06)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를 당겨 주름이 제거되는 매선침 시술법에 사용되는 매선이 체내에 침습 된 상태로 시술자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고, 매선에 정방향 및 역방향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바늘 제거시 매선이 함께 빠져나오지 않음은 물론 매선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피부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됨에 따라 뛰어난 주름제거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본체와, 상기 결합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바늘본체 내부에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고정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와, 상기 매선부재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선부재는 그 전방 측에 걸림매듭이 형성되도록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상기 바늘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전방 측의 상기 걸림매듭은 상기 바늘본체의 선단에 걸쳐져 고정되고 후방 측은 상기 결합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결합구 및 손잡이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일측에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본체와, 상기 결합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와, 일부가 상기 바늘본체 내에 삽입되도록 폐쇄적으로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절단 여부에 따라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와, 상기 매선부재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선부재는 폐쇄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늘본체 내,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결합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결합구 및 손잡이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상기 매선부재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선부재 중 상기 바늘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바늘의 체내 침습시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늘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바늘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매선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일측에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본체와, 상기 결합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와, 일부는 상기 바늘본체 내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늘본체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바늘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측의 단부는 상기 결합구 및 손잡이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고정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인체 내부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와, 상기 매선부재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선부재 중 상기 바늘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바늘의 체내 침습시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늘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바늘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매선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동일방향 및 역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는 피부를 당겨 주름이 제거되는 매선침 시술법에 사용되는 매선이 체내에 침습 된 상태로 시술자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고, 매선에 정방향 및 역방향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바늘 제거시 매선이 함께 빠져나오지 않음은 물론 매선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피부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됨에 따라 뛰어난 주름제거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는 일측에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본체와, 상기 결합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와, 상기 바늘본체 내부에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고정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와, 상기 매선부재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바늘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매선부재(30)를 체내에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결합구(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합구(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12)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늘(12)은 체내에 직접 삽입되는 것이고 결합구(11)는 추후에 설명될 손잡이부재(20)와 바늘(12)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전술한 바늘(12)과 함께 연통 되도록 그 내부가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바늘(12)의 길이와 두께 그리고 결합구(11)의 크기는 손잡이부재(20)의 크기와 시술부위 그리고 시술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에 의해 안전하게 체내에 침습 될 수 있고 높은 온도 하에서 멸균처리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강성과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결합구(11)는 손잡이부재(20)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양측 모두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손잡이부재(20)는 전술한 결합구(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역할과, 결합구(11)와의 결합을 통해 매선부재(30)가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외부에는 시술시 바늘(12)이 시술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유동 없이 침습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늘본체(10) 내부에는 매선부재(30)가 고정 위치되는데, 이 매선부재(30)는 체내의 피하조직에 삽입 및 잔존 되어 자생물질의 분비를 유도하고 해당 부위를 단단하게 당겨 고정해 줌으로써 소량의 출혈에 의한 혈액 순환 촉진, 혈관경련 완화, 경락의 허실(虛實) 조정, 시술 부위에 대한 조직 회복 작용을 촉진과 피부의 주름진 부위나 처진 부위에 개선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매선부재(30)는 바늘본체(10) 내부에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고정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되며 전술한 바늘(12)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12) 제거시 체내에 잔존 된다.
이러한 매선부재(30)는 그 전방 측에 걸림매듭(31)이 형성되도록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바늘본체(10) 내부에 위치되되, 전방 측의 걸림매듭(31)은 바늘본체(10)의 선단에 걸쳐져 고정되고 후방 측은 결합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구(11) 및 손잡이부재(20)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매선부재(30)는 바늘(12)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체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바늘(12)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바늘(12)과 함께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전술한 걸림돌기(32)는 피부를 팽팽하게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걸림매듭(31)은 바늘(12)의 선단에 걸려지고 매선부재(30)의 후방 측이 결합구(11) 및 손잡이부재(20)의 결합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지기 때문에 체내에 침습되는 과정에서 바늘(12) 측에서 이탈되지 않지만 걸림매듭(31)이 걸려질 수 있도록 바늘(12)의 선단에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정의 접착물질에 의해 바늘(12) 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매선부재(30)는 종래기술에 따른 생체분해성(biodegradable) 봉합사가 사용되며 그 제조방법 및 구성성분과 생체분해의 원리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매선부재(30)는 바늘(12)의 크기와 시술목적 그리고 시술부위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길이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매선부재(30)가 위치된 전술한 바늘본체(10) 상에는 덮개부재(40)가 끼워지는데 이 덮개부재(40)는 바늘(12) 선단에 끼워진 걸림매듭(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날카로운 바늘(12)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결합구(11) 측에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은 덮개부재(40)는 바늘(12)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변경 실시되며 결합구(11) 측에 압입 방식으로 탈부착 된다.
이하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방 측에 "ㅇ자" 형상의 걸림매듭(31)이 형성되도록 매선부재(30)를 꼬아준다. 그런 다음 걸림매듭(31)이 바늘(12)의 선단에 걸리도록 매선부재(30)를 바늘(12) 내부에 삽입하되 그 후방 측이 결합구(11)와 손잡이부재(20)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고정되게 하여 매선부재(30)가 바늘본체(10) 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한 손으로 손잡이부재(20)를 파지한 상태로 바늘(12)을 체내에 삽입하고 삽입이 완료되면 손잡이부재(20)를 결합구(11)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걸림매듭(31)이 고정되도록 다른 한 손으로 체내의 바늘(12) 선단부를 지그시 누른 상태로 결합구(11) 외측으로 노출된 매선부재(30)의 후방 측을 팽팽하게 당긴 다음, 상태에서 바늘(12)을 체내에서 제거한 뒤, 체외 측으로 돌출된 매선부재(30)의 후방 측을 잘라 제거한다.
체내에 잔존 된 매선부재(30)는 해당 부위를 단단하게 당겨 고정해 줌으로써 소량의 출혈에 의한 혈액 순환 촉진, 혈관경련 완화, 경락의 허실(虛實) 조정, 시술 부위에 대한 조직 회복 작용을 촉진과 피부의 주름진 부위나 처진 부위에 개선효과가 발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와 동일한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는 일측에는 결합구(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합구(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12)이 구비되는 바늘본체(10)와, 결합구(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와, 일부가 바늘본체(10) 내에 삽입되도록 폐쇄적으로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되며 바늘(12)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12) 제거시 절단 여부에 따라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30)와, 매선부재(30)가 위치된 바늘본체(10)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11)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술한 매선부재(30)는 폐쇄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늘본체(10) 내, 외부에 위치되되 결합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결합구(11) 및 손잡이부재(20)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매선부재(30)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매선부재(30) 중 바늘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바늘(12)의 체내 침습시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늘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바늘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매선부재(30)에 형성된 걸림돌기(32)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는 매선부재(30)가 바늘본체(10) 측에 폐쇄된 링 형상으로 위치되되 바늘(12) 외측에 위치된 매선부재(30)에는 침습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바늘(12) 내측에 위치된 매선부재(30) 중 그 전방에는 침습에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방향과 반대방향의 걸림돌기(32)가, 그 후방에는 그 역방향의 걸리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됨에 따라 바늘(12) 외측의 걸림돌기(32)에 의해 바늘(12) 제거시 바늘(12)과 함께 매선부재(30)가 달려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바늘(12) 내측의 걸림돌기(32)에 의해 피부가 당겨지며, 바늘(12)이 체내에 삽입된 뒤에 결합구(11)와 손잡이부재(20)를 분리하고 매선부재(30)를 절단한 다음 매선부재(3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체내의 바늘(12)을 제거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그 원리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와 동일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와 동일한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는 일측에는 결합구(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합구(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12)이 구비되는 바늘본체(10)와, 결합구(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와, 일부는 바늘본체(10) 내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바늘본체(10) 외부에 위치되되 바늘본체(10) 내부에 위치되는 측의 단부는 결합구(11) 및 손잡이부재(20)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고정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되며 바늘(12)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12) 제거시 인체 내부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30)와, 매선부재(30)가 위치된 바늘본체(10) 상에 끼워져 결합구(11)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술한 매선부재(30) 중 바늘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바늘(12)의 체내 침습시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늘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바늘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매선부재(30)에 형성된 걸림돌기(32)와 동일방향 및 역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는 바늘(12)의 내, 외부에 매선부재(30)가 위치되되 바늘(12) 외측에 위치된 매선부재(30)는 침습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바늘(12) 내측에 위치된 매선부재(30) 중 그 전방에는 침습에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방향과 반대방향의 걸림돌기(32)가, 그 후방에는 그 역방향의 걸리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됨에 따라 바늘(12) 외측의 걸림돌기(32)에 의해 바늘(12) 제거시 바늘(12)과 함께 매선부재(30)가 달려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바늘(12) 내측의 걸림돌기(32)에 의해 피부가 팽팽하게 당겨지며, 바늘(12)이 체내에 삽입된 뒤에 결합구(11)와 손잡이부재(20)를 분리하고 매선부재(3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체내의 바늘(12)을 제거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그 원리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바늘키트(1)와 동일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1" :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10 : 바늘본체
11 : 결합구
12 : 바늘
20 : 손잡이부재
21 : 미끄럼방지돌기
30 : 매선부재
31 : 걸림매듭
32 : 걸림돌기
40 : 덮개부재

Claims (7)

  1. 일측에는 결합구(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12)이 구비되는 바늘본체(10);
    상기 결합구(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
    상기 바늘본체(10) 내부에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고정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12)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12) 제거시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30); 및
    상기 매선부재(30)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10)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11)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40)가 포함하고,
    상기 매선부재(30)는 그 전방 측에 걸림매듭(31)이 형성되도록 연속적으로 꼬아진 상태로 상기 바늘본체(10) 내부에 위치되되, 전방 측의 상기 걸림매듭(31)은 상기 바늘본체(10)의 선단에 걸쳐져 고정되고 후방 측은 상기 결합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결합구(11) 및 손잡이부재(20)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2. 삭제
  3. 일측에는 결합구(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구(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바늘(12)이 구비되는 바늘본체(10);
    상기 결합구(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
    일부가 상기 바늘본체(10) 내에 삽입되도록 폐쇄적으로 위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늘(12)과 함께 체내에 침습 되었다가 바늘(12) 제거시 절단 여부에 따라 체내에 잔존 되는 매선부재(30); 및
    상기 매선부재(30)가 위치된 상기 바늘본체(10) 상에 끼워져 상기 결합구(11) 상에 체결되는 덮개부재(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매선부재(30)는 폐쇄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늘본체(10) 내,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결합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결합구(11) 및 손잡이부재(20)와의 결합에 의해 맞물려 상기 매선부재(3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5.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선부재(30) 중 상기 바늘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상기 바늘(12)의 체내 침습시 방해받지 않도록 침습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늘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상기 바늘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매선부재(30)에 형성된 걸림돌기(32)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6. 삭제
  7. 삭제
KR20130159939A 2013-12-20 2013-12-20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KR10150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939A KR101502447B1 (ko) 2013-12-20 2013-12-20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939A KR101502447B1 (ko) 2013-12-20 2013-12-20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447B1 true KR101502447B1 (ko) 2015-03-13

Family

ID=5302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939A KR101502447B1 (ko) 2013-12-20 2013-12-20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4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8104A1 (ko) * 2017-05-10 2018-11-15 유원석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KR20190021880A (ko) 2017-08-24 2019-03-06 (주)엠큐어 매선실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매선 시술기구
KR102120596B1 (ko) *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WO2020235872A3 (ko) * 2019-05-17 2021-01-07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88B1 (ko) *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130036465A (ko) * 2011-10-04 2013-04-12 임백빈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
KR20130130436A (ko) * 2012-05-22 2013-12-02 홍유리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88B1 (ko) *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130036465A (ko) * 2011-10-04 2013-04-12 임백빈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
KR20130130436A (ko) * 2012-05-22 2013-12-02 홍유리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8104A1 (ko) * 2017-05-10 2018-11-15 유원석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KR20190021880A (ko) 2017-08-24 2019-03-06 (주)엠큐어 매선실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매선 시술기구
WO2020235872A3 (ko) * 2019-05-17 2021-01-07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102120596B1 (ko) *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8458C2 (ru)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телесной ткани
JP5186366B2 (ja) 縫合糸に結び目を作る装置
US4981149A (en) Method for suturing with a bioabsorbable needle
US5074874A (en) Suture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endoscopic surgery
TWI605842B (zh) 用於插入醫療縫線的裝置及含有其的用於插入醫療縫線的手術套組
US9826972B2 (en) Instruments for delivering transfascial sutures, transfascial suture assemblies and methods of transfascial suturing
US81099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varicose veins
KR101502447B1 (ko)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US200601167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acking a prosthetic screen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JP2004515273A (ja) 組織修復用閉塞装置および組織修復方法
JP2010525894A (ja) 縫合糸アンカー装填装置
US20220257282A1 (en) Skin Lifting Thread Inserting Device
KR101485454B1 (ko) 자입요법용 바늘키트
JP6145580B2 (ja) 医療用管挿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医療用管挿入施術キット
US10463363B2 (en) Suture passer
KR101363069B1 (ko) 매선 시술용 봉합사 삽입기
KR20140099698A (ko) 주름제거용 실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름제거 시술방법
RU24001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201901836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KR101368481B1 (ko) 매선시술용 도구
KR101841013B1 (ko) 피부조직 거상술용 수술 도구
KR101326366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KR100771897B1 (ko) 매몰 봉합침 및 이것을 이용한 매몰 봉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