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00B1 - 컬러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00B1
KR101493200B1 KR20140100564A KR20140100564A KR101493200B1 KR 101493200 B1 KR101493200 B1 KR 101493200B1 KR 20140100564 A KR20140100564 A KR 20140100564A KR 20140100564 A KR20140100564 A KR 20140100564A KR 101493200 B1 KR101493200 B1 KR 10149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latent
latent image
correction
det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314A (ko
Inventor
다께히로 우찌야마
다까떼루 오오꾸보
겐지 와따나베
겐이찌 이이다
도시아끼 사꼬
히로시 하기와라
히로미쯔 구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37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electrical parameter, e.g.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03G15/5058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59Image density detection o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 G03G2215/0161Generation of registration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각 감광체 주위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하고, 광 조사 수단이, 감광체 상에 검출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의 프로세스 수단의 대향 위치에 있어서의 통과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한다. 종래의 검출용 토너상의 광학 센서에 의한 검출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소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유용성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Description

컬러 화상 형성 장치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 잠상을 형성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고속으로 인쇄하기 위해, 각 색의 화상 형성부를 독립적으로 갖는, 소위 인라인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인라인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각 색의 화상 형성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에 화상을 전사하고, 또한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 매체에 일괄하여 화상을 전사하는 구성이 취해지고 있다.
이러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각 색의 화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기계적 요인에 의해, 화상을 중첩했을 때에 색 편차(위치 어긋남)를 발생해 버린다. 특히, 레이저 스캐너(광학 주사 장치)와 감광 드럼을 각 색의 화상 형성부에 독립적으로 갖는 구성에서는, 레이저 스캐너와 감광 드럼의 위치 관계가 색마다 상이해 버려, 감광 드럼 상의 레이저의 주사 위치의 동기를 취할 수 없어, 색 편차를 발생해 버린다.
그리고, 이들 색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색 편차 보정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34612호 공보에서는, 감광 드럼으로부터 상 담지체상(중간점 전사 벨트 등)으로 각 색의 검출용 토너상을 전사하여, 검출용 토너상의 주사 방향 및 반송 방향의 상대 위치를,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하고, 이에 의해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검출용 토너상의 광학 센서에 의한 검출에는, 이하의 과제가 있었다. 즉, 감광 드럼으로부터 상 담지체(벨트)에,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검출용 토너상(100% 농도)을 사용하므로, 그 클리닝 등에 수고를 필요로 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유용성을 저하시켜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 및 다른 과제 중 적어도 1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종래의 검출용 토너상의 광학 센서에 의한 검출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소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유용성을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른 과제에 대해서는 명세서의 전체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1)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 주위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광 조사를 행하여 상기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 조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를 각 색에 대응하여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부를 동작시킴으로써 벨트 상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각 색에 대응한 상기 광 조사 수단을 제어하여,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각 색의 감광체 상에 형성하는 형성 수단과, 각 색에 대응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의 전원 수단과, 상기 각 색의 감광체 상에 형성된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원 수단의 출력을 각 색에 대하여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기준 상태로 색 편차 상태를 복귀시키도록 상기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검출용 토너상의 광학 센서에 의한 검출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소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유용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인라인 방식(4드럼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도.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실시예 1의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프린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
도 4의 (a)는 고압 전원의 회로도.
도 4의 (b)는 기능 블록도.
도 5는,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중간 전사 벨트 상에 형성된 색 편차 검출용 마크(색 편차 보정용)의 형성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색 편차 검출용(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 정보 검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는, 정전 잠상 위에 토너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9의 (b)는, 정전 잠상 위에 토너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의 감광체 드럼의 표면 전위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인라인 방식(4드럼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다른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다른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의 (a)는, 데이터 샘플링 시의 감광 드럼 위상의 분산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의 (b)는, 데이터 샘플링 시의 감광 드럼 위상의 분산 모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용지 크기 및 비화상 영역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의 (a)는, 고압 전원의 회로도.
도 16의 (b)는, 다른 고압 전원의 회로도.
도 16의 (c)는, 다른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 정보 검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의 (a)는, 다른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도.
도 17의 (b)는, 다른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도.
도 18은, 고압 전원 장치의 회로도.
도 19는,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각 색의 색 편차 검출용(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다른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다른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도.
도 23의 (a)는, 다른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의 (b)는, 다른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는, 색 편차 검출용(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 형성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25의 (a)는, 다른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의 (b)는, 다른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다른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7은, 다른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라인 방식(4드럼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도]
도 1은 인라인 방식(4드럼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도이다. 픽업 롤러(13)에 의해 풀어내어진 기록 매체(12)는, 레지스트 센서(111)에 의해 선단 위치가 검출된 후, 반송 롤러 쌍(14, 15)에 선단이 조금 통과한 위치에서 반송을 일단 정지한다.
한편, 스캐너 유닛(20a 내지 20d)은,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로서의 감광 드럼(22a 내지 22d)에 순차 레이저광(21a 내지 21d)을 조사한다. 이때,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은,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의해 미리 대전되어 있다. 각 대전 롤러로부터는 예를 들어 -1200V의 전압이 출력되어 있으며, 감광 드럼 표면은 예를 들어 -700V로 대전되어 있다. 이 대전 전위에 있어서 레이저광(21a 내지 21d)의 조사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면,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개소의 전위는 예를 들어 -100V로 된다. 현상기(25a 내지 25d) 및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는 예를 들어 -350V의 전압을 출력하고,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정전 잠상에 토너를 싣고, 감광 드럼 상에 토너상을 형성한다.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는, 예를 들어 +1000V의 플러스 전압을 출력하고,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30)(무단 형상 벨트)에 전사한다. 또한, 스캐너 유닛 및 감광 드럼을 포함한, 대전 롤러, 현상기 및 1차 전사 롤러의 토너상을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재군을 화상 형성부라고 칭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캐너 유닛(20a 내지 20d)을 포함하지 않고 화상 형성부라고 칭해도 좋다. 또한, 감광 드럼 주위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각 부재(대전 롤러, 현상기 및 1차 전사 롤러)를 프로세스 수단이라고 칭한다. 이렇게 프로세스 수단에는 복수 종류의 부재를 상당시킬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30)는, 롤러(31, 32, 33)에 의해 주회 구동되어, 토너상을 2차 전사 롤러(27)의 위치로 반송한다. 이때, 기록 매체(12)는 2차 전사 롤러(27)의 위치에서 반송된 토너상과 타이밍이 맞도록 반송이 재개되어, 2차 전사 롤러(27)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로부터 기록재 상(기록 매체(12) 상)에 토너상이 전사된다.
그 후, 정착 롤러 쌍(16, 17)에 의해 기록 매체(12)의 토너상을 가열 정착한 후, 기록 매체(12)를 기기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2차 전사 롤러(27)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로부터 기록 매체(12)에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35)에 의해 폐토너 용기(36)에 회수된다. 또한, 토너상 검출을 행하는 색 편차 검출 센서(4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각 부호의 영문자 a는 옐로우, b는 마젠타, c는 시안, d는 블랙의 구성 및 유닛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스캐너 유닛에 의해 광 조사를 행하는 계를 설명했다. 그러나,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색 편차(위치 어긋남)가 발생해 버린다는 의미에서는, 예를 들어 광 조사 수단으로서 LED 어레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이하의 각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광 조사 수단으로서 스캐너 유닛을 구비한 경우를 설명해 가는 것으로 한다.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도]
이어서,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사용하여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한 고압 전원 회로 장치는,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 내지 46d), 2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8)를 구비하고 있다.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는,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표면에 백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여,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 가능한 상태로 한다.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는,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정전 잠상에 토너를 싣고, 토너상을 형성한다.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 내지 46d)는,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30)에 전사한다. 2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8)는, 2차 전사 롤러(27)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30)의 토너상을 기록 매체(12)에 전사한다.
또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 내지 46d)는, 전류 검출 회로(47a 내지 47d)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있어서의 토너상의 전사 성능이,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전류 검출 회로(47a 내지 47d)의 검출 결과에 따라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전압(고압)을 조정하여, 장치 내의 온도나 습도가 변화해도 전사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1차 전사 중에는, 이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흐르는 전류량이 목표값이 되도록 하여 설정된 바이어스 전압을 목표로 하여 정전압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하여,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가 각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대하여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에는, 전류 검출 회로(50a 내지 50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의 (a)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프린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록도]
이어서, 도 3을 사용하여 프린터 시스템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비디오 컨트롤러(200)의 설명을 행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00)에는, 비디오 컨트롤러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204)와, CPU(204)가 실행하는 각종 제어 코드를 저장하는 ROM, EEPROM, 하드 디스크 등에 상당하는 불휘발성 기억부(205)와, CPU(204)의 주메모리, 워크에리어 등으로서 기능하는 일시 기억용의 RAM(206)과, 호스트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100)의 인쇄 데이터, 제어 데이터의 입출력부인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도면 중, 호스트 I/F라고 기재)(207)를 구비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부(207)에 의해 수신한 인자 데이터는 압축 데이터로서 RAM(206)에 저장된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200)는,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데이터 신장부(208)와,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부(209)와, 조작자에게서의 제 설정, 지시를 컬러 화상 형성 장치(10) 본체 프린터 본체(1)에 설치된 패널부에 의해 수취하는 패널 인터페이스부(도면 중, 패널 I/F라고 기재)(210)와, 프린터 엔진(300)의 신호의 입출력부인 엔진 인터페이스부(211)(도면 중, 엔진 I/F라고 기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구성 요소는,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타 버스를 갖는 시스템 버스(212)이다.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시스템 버스(212)에 접속되어, 서로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RAM(206)에 저장된 임의의 압축 데이터는, 데이터 신장부(208)에 의해 라인 단위로 화상 데이터로 신장되고, 신장된 화상 데이터는 RAM(206)에 저장된다. DMA 제어부(209)는, CPU(204)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RAM(206) 내의 화상 데이터를 엔진 인터페이스부(211)에 전송되어, 도시하지 않은 출력 버퍼 레지스터로부터 데이터 신호 송출을 행함과 함께 프린터 엔진(300)과의 통신 제어를 행한다.
이어서, 프린터 엔진(300)의 설명을 행한다. 프린터 엔진(300)은 크게 나누어, 엔진 제어부(54)(이하 간단히 제어부(54)라고 기재한다)와 엔진 기구부로 구성된다. 엔진 기구부는 제어부(54)로부터의 각종 지시에 의해 동작하는 부분이지만, 우선 이 엔진 기구부의 상세를 설명하고, 그 후에 제어부(54)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레이저/스캐너계(331)는, 레이저 발광 소자,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 스캐너 모터, 폴리곤 미러, 스캐너 드라이버 등을 포함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00)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감광 드럼(22)을 레이저광에 의해 노광 주사함으로써 감광 드럼(22) 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 레이저/스캐너계(331) 및 다음에 설명하는 상 제작계(332)가, 도 1에 설명한 화상 형성부라고 칭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 제작계(33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이며, 감광 드럼(22) 상에 형성된 잠상에 기초하는 토너 화상을 시트상(기록 매체(12) 상)에 형성시키는 부위이다. 또한 상술한 감광 드럼(22)이 작용하는 각 프로세스 수단(복수 종류의 프로세스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1), 중간 전사 벨트(30), 정착기 등의 프로세스 요소 및 상 제작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각종 바이어스(고전압)를 생성하는 고압 전원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감광 드럼(22)을 구동하는 모터 등의, 각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 포함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1)에는, 제전기, 대전기(23)(대전 롤러(23)), 현상기(25), 감광 드럼(22)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1)에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태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CPU(321) 혹은 ASIC(322)는 당해 메모리 태그에 각종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한다.
급지·반송계(333)는, 시트(기록 매체(12))의 급지, 반송을 담당하는 부분이며, 각종 반송계 모터, 급지 트레이, 배지 트레이, 각종 반송 롤러(배지 롤러 등) 등으로 구성된다.
센서계(334)는, 레이저/스캐너계(331), 상 제작계(332), 급지·반송계(333)를, 후술하는 CPU(321), ASIC(322)가 제어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군이다. 이 센서 군에는, 정착기의 온도 센서, 화상의 농도를 검지하는 농도 센서 등 적어도 이미 주지의 각종 센서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토너상 검출을 행하는 색 편차 검출 센서(40)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센서계(334)에 대해, 레이저/스캐너계(331), 상 제작계(332), 급지·반송계(333)로 나누어 기재했지만, 어느 한 기구에 포함하도록 생각해도 좋다.
이어서, 제어부(54)의 설명을 행한다. 참조 부호 321은 CPU이며, RAM(323)을 주메모리, 워크에리어로서 이용하여, EEPROM(324)에 저장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엔진 기구부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PU(321)는 비디오 컨트롤러(200)로부터 엔진 I/F(211), 엔진 I/F(325)를 통하여 입력된 프린트 제어 커맨드 및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스캐너계(331)를 구동한다. 또한, 백업 전지를 구비한 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불휘발성 메모리를 대체해도 좋다. 또한, CPU(321)는, 상 제작계(332), 급지·반송계(333)를 제어함으로써, 각종 프린트 시퀀스를 제어한다. 또한, CPU(321)는 센서계(334)를 구동함으로써, 상 제작계(332), 급지·반송계(333)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ASIC(322)는, CPU(321)의 지시 하에서, 상술한 각종 프린트 시퀀스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각 모터의 제어, 현상 바이어스 등의 고압 전원 제어를 행한다. 참조 부호 326은,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타 버스를 갖는 시스템 버스이다. 제어부(54)의 각 구성 요소는, 시스템 버스(326)에 접속되어, 서로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CPU(321)의 기능의 일부 혹은 모두 ASIC(322)에 행하게 해도 좋고, 또한 반대로 ASIC(322)의 기능의 일부 혹은 모두 CPU(321)를 대신하여 행하게 해도 좋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는, 비디오 컨트롤러(200)와 제어부(54)를 구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을 단일 제어부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더 세분화한 제어부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후술에서, 엔진 제어부(54)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디오 컨트롤러(200)의 CPU(204)가 실행하게끔 해도 좋다. 또한, 반대로, 비디오 컨트롤러(20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부(54)가 실행하게끔 해도 좋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200)나 제어부(54)의 기능의 일부를 다른 제어부가 실행하게끔 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비디오 컨트롤러(200)에 있어서, 색 편차 보정에 관한 토너 마크나 정전 잠상의 형성을 행하는 「형성부」나, 색 편차 보정에 관한 데이터 수집이나 각종 연산이나 지시를 행하는 「색 편차 보정 제어부」의 기능을 달성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후술의 도 24의 타이밍(T1)이나 타이밍(T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비디오 컨트롤러(200)에 있어서, 정전 잠상 검출 시에 있어서의 각 프로세스 수단의 동작·설정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수단 제어부」의 기능을 달성하고 있으면 좋다. 도 4의 (b)에 「형성부(F)」, 「색 편차 보정 제어부(C)」,「프로세스 수단 제어부(P)」를 도시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의 기능(F, C, P)은 여러 하드 웨어로 실현 가능하다.
[고압 전원의 회로도]
이어서, 도 4의 (a)를 사용하여, 도 2의 (a) 및 도 2의 (b)의 고압 전원 장치에 있어서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색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b 내지 46d)에 대해서는, 이것과 동일한 회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a)에서, 변압기(62)는, 구동 회로(61)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신호의 전압을 몇십배의 진폭으로 승압한다. 다이오드(64, 65) 및 콘덴서(63, 66)에 의해 구성되는 정류 회로(51)는 승압된 교류 신호를 정류·평활한다. 그리고 정류·평활화된 전압 신호는, 출력 단자(53)에 직류 전압으로서 출력된다. 비교기(60)는, 검출 저항(67, 68)에 의해 분압된 출력 단자(53)의 전압과, 제어부(54)에 의해 설정된 전압 설정값(55)이 동등해지도록, 구동 회로(61)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그리고, 출력 단자(53)의 전압에 따라, 1차 전사 롤러(26a) 및 감광 드럼(22a) 및 접지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전류 검출 회로(47a)는, 변압기(62)의 2차측 회로(500)와 접지점(57)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70)의 입력 단자는 임피던스가 높고,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으므로, 접지점(57)으로부터 변압기(62)의 2차측 회로(500)를 거쳐 출력 단자(53)에 흐르는 직류 전류는, 거의 모두 저항(71)에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70)의 반전 입력 단자는, 저항(71)을 통하여 출력 단자의 음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기준 전압(73)에 가상 접지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70)의 출력 단자에는, 출력 단자(53)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한 검출 전압(56)이 나타난다. 바꿔 말하면, 출력 단자(53)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면, 연산 증폭기(70)의 반전 입력 단자가 아니고, 연산 증폭기(70)의 출력 단자의 검출 전압(56)이 변화하는 형태로, 저항(7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는 것이 된다. 또한, 콘덴서(72)는, 연산 증폭기(70)의 반전 입력 단자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의 전류 특성은, 각종 부재의 열화 상태나 기내 온도 등의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바뀐다. 이 때문, 제어부(54)는 인쇄 개시 직후의, 토너상이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하기 전 타이밍에, 전류 검출 회로(47a)의 검출값(56)(검출 전압(56))을 A/D 입력 포트로 측정하여, 검출값(56)(검출 전압)이 미리 결정지은 값이 되도록, 전압 설정값(55)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주위의 온도나 습도 등이 변화해도 토너상의 전사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색 편차 보정 제어의 설명]
이하,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우선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색 편차 검출용의 마크를 형성하고, 색 편차량을 적어도 더 작게 한다. 그리고, 색 편차 상태를 없앤(적어도 작게 한) 후,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의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1차 전사 전류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측정하고, 이것을 색 편차 보정 제어의 기준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연속 인쇄 등에 의해 장치 내 온도가 변화했을 때에 행하는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는, 다시 1차 전사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여,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의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된 도달 시간의 변화는, 그대로 색 편차량을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인쇄 시에는 이것을 상쇄하도록 스캐너 유닛(20a)이 레이저광(21a)을 조사하는 타이밍을 조정하여, 색 편차를 보정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또한, 색 편차에 보정에 관한 화상 형성 조건의 제어에 대해서는, 광 조사 타이밍의 제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하는 감광 드럼의 속도 제어나, 혹은 스캐너 유닛(20a 내지 20d) 각각에 포함되는 반사 미러의 메카니즘적인 위치 조정이어도 좋다.
[기준값 취득 처리의 흐름도]
도 5의 흐름도는,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 5의 흐름도는, 색 편차 검출 센서(40)의 토너 마크(도 6)의 검출에 의한 색 편차 보정 제어(이하, 통상 색 편차 보정 제어라고 칭한다)가 행해지는 것에 이어서 실행된다. 또한, 감광 드럼(22) 및 현상 슬리브(24) 등의 부품이 교환되어 통상 색 편차 보정 제어가 실행될 때 등, 특정한 타이밍의 통상 색 편차 보정 제어에만 대응시켜 도 5의 흐름도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도 5의 흐름도는 각 색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색 편차 검출 센서(40)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벨트 상에 형성된 색 편차 검출용 토너상에 광을 조사하고, 그때의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토너상의 위치(검출 타이밍)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미 다수의 문헌에 의해 주지의 기술이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의 설명을 행한다. 스텝 S501에 의해 제어부(54)는, 화상 형성부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를 형성시킨다. 이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는, 색 편차 보정에 사용되는 토너상이므로, 색 편차 보정용 토너상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의 형성 모습을 도 6에 도시한다. 이 스텝 S501의 처리에 의해, 후속의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에 의한 제어에 있어서, 색 편차량을 적어도 작게 한 상태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400과 401은 용지 반송 방향(부 주사 방향)의 색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패턴을 나타낸다. 또한 402와 403은 용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주 주사 방향의 색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패턴을 나타내고, 이 예에서는 45도 기울어 있다. 또한, tsf1 내지 4, tmf1 내지 4, tsr1 내지 4, tmr1 내지 4는 각 패턴의 검출 타이밍을, 화살표는 중간 전사 벨트(30)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중간 전사 벨트(30)의 이동 속도를 vmm/s, Y를 기준색으로 하고 용지 반송 방향용 패턴(400, 401)의 각 색과 Y 패턴간의 이론 거리를 dsMmm, dsCmm, dsBkmm으로 한다. Y를 기준색으로 하고 반송 방향에 관하여, 각 색의 색 편차량 δes는, 다음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1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2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3
주 주사 방향에 관해서, 좌우 각각의 각 색의 위치 어긋남량 δemf, δemr은,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4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5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6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7
와,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8
Figure 112014074088275-pat00009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0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1
로부터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2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3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4
와,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5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6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7
로 되고, 계산 결과의 정부(正負)로부터 어긋남 방향을 판단할 수 있어, δemf로부터 기입 위치를, δemr-δemf로부터 주 주사 폭(주 주사 배율)을 보정한다. 또한, 주 주사 폭(주 주사 배율)에 오차가 있는 경우는, 기입 위치는 δemf뿐만 아니라, 주 주사 폭 보정에 수반하여 변화한 화상 주파수(화상 클록)의 변화량을 가미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연산된 색 편차량을 해소하도록, 제어부(54)는, 화상 형성 조건으로서의 스캐너 유닛(20a)에 의한 레이저광의 출사 타이밍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부 주사 방향의 색 편차량이 -4라인분의 양이면, 제어부(54)는, 비디오 컨트롤러(200)에 레이저광의 출사 타이밍을 +4라인분 빠르게 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도 6에서의 설명은,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를 형성하도록 설명을 행했지만,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를 어디에 형성하여 광학 센서(색 편차 검출 센서(40))에 의해 검출할지에 대해,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를 감광 드럼(22) 상에 형성하고, 그것을 검출 가능하게 배치된 색 편차 검출 센서(광학 센서)의 검출 결과를 사용해도 된다. 혹은,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를 지상(기록재 상)에 형성하고, 그것을 검출 가능하게 배치된 색 편차 검출 센서(광학 센서)의 검출 결과를 사용해도 된다. 색 편차 검출용의 토너 마크는 여러 피전사체 상, 혹은 토너상 담지체 상에 형성하는 것이 상정된다.
도 5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2에서, 제어부(54)는,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회전 속도(둘레면 속도)에 변동이 있는 경우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감광 드럼(22a 내지 22d)간의 회전 위상 관계(회전 위치 관계)를 소정의 상태에 맞춘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4)의 제어 하에서, 기준색의 감광 드럼의 위상에 대하여, 다른 색의 감광 드럼의 위상을 조정한다. 또한, 감광 드럼의 축에 감광 드럼 구동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는 각 감광 드럼의 구동 기어의 위상 관계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에 현상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30)에 전사될 때의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가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마찬가지의 속도 변동 경향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4)는 도시하지 않은 감광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에 대하여, 감광 드럼(22a 내지 22d)간의 회전 위상 관계를 소정의 상태에 맞추도록 속도 제어 지시를 행한다. 또한,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 변동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경우에는 스텝 S502의 처리를 생략해도 좋다.
스텝 S503에서, 제어부(54)는, 회전하고 있는 각 감광 드럼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 위상에서, 스캐너 유닛(20a 내지 20d)에 레이저광을 발광시켜, 감광 드럼 상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제1 색 편차 보정용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도 7은, 옐로우의 감광 드럼(22a)을 사용하여, 정전 잠상(위치 어긋남 보정용 정전 잠상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에서 도면 부호 80이 형성된 정전 잠상을 나타내고 있다. 정전 잠상(80)은, 주사 방향의 화상 영역 폭에 있어서 최대한 폭넓게 그려지며, 반송 방향으로 5라인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다. 또한, 주 주사 방향의 폭에 대해서는, 양호한 검출 결과를 얻는 의미에서, 최대폭의 절반 이상의 폭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영역(종이에의 인쇄 화상 영역)의 외측의 용지 영역을 더욱 초과한 폭의 영역이고, 또한 정전 잠상을 형성 가능한 영역에까지 정전 잠상(80)의 폭을 확장하면 더욱 적합하다. 이때, 예를 들어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드럼(22a)으로부터 이격한 상태(이격)로 함으로써, 정전 잠상(80)은, 토너가 부착되지 않고 1차 전사 롤러(26a)의 위치까지 반송된다. 또한, 제어부(54)의 지시 하에서, 현상 바이어스 고압 전원 회로(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제로로 하거나, 통상과는 역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토너를 부착시키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1차 전사 롤러(26a)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현상 슬리브(24a)를 이격하거나, 혹은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통상의 토너 화상 형성 시보다 감광 드럼에의 작용이 적어도 작아지도록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제어부(54)는, 스텝 S503의 처리와 동시 혹은 대략 동시에 YMCK 각각에 대응하여 준비된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스텝 S504). 또한, 전류 검출 회로(47a)의 검출값의 샘플링을 개시한다. 이때, 샘플링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kHz이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스텝 S505에서, 스텝 S504의 샘플링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정전 잠상(80)의 검출에 의해 1차 전사 전류의 검출값이 극소해지는 시간(타이머값)을 측정한다. 이 측정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80)의 1차 전사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의 통과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에 검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정전 잠상(80)이,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했을 때의, 전류 검출 회로(47a)로부터의, 감광체(감광 드럼(22a))의 표면 전위에 관한 출력값을 검출한 것이다. 후술하는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 도 8의 정보는, 감광 드럼(22a)의 표면 전위에 따른 것이며, 그 의미에서 감광 드럼(22a)의 표면 전위 정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종축은 검출한 전류를,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횡축의 1눈금은, 레이저 스캐너가 1라인을 주사하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전류 파형(90, 91)은, 각각 다른 타이밍에 검출한 것이다. 전류 파형(90, 91) 모두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한 것으로, 시각(92)에 있어서 극소가 되고, 그 후 복귀해 가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검출되는 전류값이 감소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정전 잠상 위에 토너 부착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22a)의 표면 전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횡축은 감광 드럼(22a)의 반송 방향의 표면 위치를 나타내고, 영역(93)은 정전 잠상(80)이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종축은 전위를 나타내고, 감광 드럼(22a)의 암전위를 VD(예를 들어 -700V), 명전위를 VL(예를 들어 -100V), 1차 전사 롤러(26a)의 전사 바이어스 전위를 VT(예를 들어 +1000V)로서 기재했다.
정전 잠상(80)의 영역(93)에서는, 1차 전사 롤러(26a)와 감광 드럼(22a)의 전위차(96)가, 그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전위차(95)에 비하여 작아진다. 이로 인해,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하면, 1차 전사 롤러(26a)에 흐르는 전류값은 감소한다. 이것이 상술한 도 8의 극소값이 검출되는 이유이다. 이렇게 검출되는 전류값은 감광 드럼(22a)의 표면 전위를 반영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감광 드럼 표면 전위와 1차 전사 롤러(26a)의 출력 전압의 차분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했지만, 전류량 변화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것이 감광 드럼 표면 전위와 대전 전압 또는 현상 전압 사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마지막으로, 제어부(54)는, 스텝 S506에서, 스텝 S505에서 측정한 시간(타이머값)을 기준값으로서 EEPROM(324)에 기억한다. 여기에서의 기억 정보가,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목표가 되는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제어부(54)는, 색 편차 보정 제어 시에는 이 기준 상태로부터의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바꿔 말하면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스텝 S506에서 구해지는 타이머값은 스텝 S503에서의 스캐너 유닛(20a 내지 20d)에 의한 정전 잠상 형성의 타이밍이 기초(기준)로 되어 있다. 정전 잠상 형성의 타이밍이 기초로 되어 있다는 것은, 정전 잠상 형성의 타이밍 그 자체가 아니어도, 예를 들어 정전 잠상 형성의 1초 전 등, 정전 잠상 형성의 타이밍에 관련된 타이밍이어도 좋은 것이다. 또한, EEPROM(324)은, 예를 들어 백업 전지를 구비한 RAM 등이어도 좋다. 또한, 기억되는 시간의 정보는 시간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수초 그 자체의 정보이어도 좋고, 클록 카운트값이어도 좋다.
[스텝 S505의 상세 설명]
여기서, 검출 파형(전류 파형)(90, 91)이 극소로 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의 적합한 이유를 설명한다. 이것은, 검출 파형(전류 파형)(90과 91)과 같이 측정한 전류의 절대값이 상이한 경우에도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또한, 검출용 패턴(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도 7의 정전 잠상(80)과 같은 형상으로 한 이유는, 주 주사 방향으로 넓은 패턴으로 함으로써 전류값의 변화를 크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감광 드럼(22)의 반송 방향(부 주사 방향)으로 수 라인분의 폭으로 함으로써 전류값의 큰 변화를 유지하면서 극소가 되는 점이 날카롭게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정전 잠상(80)의 최적 형태는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이하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반송 방향으로 5라인의 폭을 갖는 형태 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검출 결과가 적합하지만, 예를 들어 정전 잠상(80)의 반송 방향으로 5라인보다 많은 20라인으로 함으로써, 검출 결과에 플랫이 되는 영역을 만들어, 그 중점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즉, 후술하는 도 10의 흐름도를 실행했을 때에, 검출 결과로부터, 도 5의 흐름도에서 검출한 특정한 조건(특징적 위치)과 합치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그러한 형태이면, 상술한 극소 위치에 한하지 않고 여러 검출 결과의 특징적 위치를 도 5, 도 10의 스텝 S505의 판단 대상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12, 도 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 설명에서는, 도 5의 흐름도에 의한 색 편차 검출 시에,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드럼(22a)으로부터 이격하여, 정전 잠상(80)에 토너를 싣지 않고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를 실은 상태에서도 색 편차를 검출 가능하다.
도 9의 (b)는, 정전 잠상(80)에 토너를 실을 때의, 감광 드럼(22a)과 1차 전사 롤러(26a)의 전위차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의 (a)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정전 잠상(80)에 토너를 실은 경우, 정전 잠상(80)의 영역(93)에서는, 1차 전사 롤러(26a)와 감광 드럼(22a)의 전위차(97)가 토너를 싣지 않았을 때의 전위차(96)에 비하여 크다. 또한, 그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전위차(95)와의 차가 작아진다. 그러나 변화를 충분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색 편차 검출 후에 감광 드럼(22)이나 중간 전사 벨트(30) 상의 토너를 청소할 필요가 발생해 버리지만, 농도가 짙지 않으면, 간이한 클리닝으로도 충분하므로, 실질적인 문제는 없다. 적어도 중간 전사 벨트(30) 등에 100% 농도의 색 편차 보정에 있어서의 검출용 토너상을 전사하고, 그것을 클리닝하는 경우에 비하면 짧은 시간에 클리닝을 행할 수 있다.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
이어서, 도 10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색 편차 보정 제어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10의 흐름도는 각 색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0의 흐름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 인쇄 등에 의해 장치 내 온도가 변화한 경우나, 유저의 조작에 의해 도 10의 색 편차 보정 제어의 지시가 제어부(54)에 입력된 경우나, 장치 내부 환경이 대폭 변화하는 등, 소정 조건 하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 13, 도 21, 도 25, 도 2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선 스텝 S502 내지 스텝 S505에 대해서는, 도 5의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감광 드럼(22a)의 축에 치우침이 있는 경우, 상술한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도 변화해 버린다. 이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도 10의 스텝 S503에서도, 도 5의 스텝 S503과 동일 위치에서 정전 잠상(80)을 형성한다. 여기에서의 동일 위치(위상)란, 엄밀하게 동일해도 좋고, 임의의 위치에서 정전 잠상(80)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색 편차 검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이면, 대략 동일 위치, 혹은 대강 동일 위치이면 된다. 여기서, 도 5의 스텝 S503과, 도 10의 스텝 S503, 각각에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제1 색 편차 보정용 정전 잠상, 제2 색 편차 보정용 정전 잠상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스텝 S1001에서 전류 극소를 검출했을 때의 타이머값을, 도 5의 흐름도의 스텝 S506에서 보존한 기준값과 비교한다. 제어부(54)는, 스텝 S1002에서 타이머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는, 화상 형성 조건으로서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에 관하여, 인쇄 시에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빠르게 하도록 보정한다. 제어부(54)가, 어느 정도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설정을 행할지는, 측정된 시간이 기준값보다 어느 정도 큰지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한편, 제어부(54)는, 스텝 S1003에서 검출된 타이머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는 인쇄 시에 레이저 빔을 발광하는 타이밍을 느리게 한다. 제어부(54)가, 어느 정도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느리게 하는 설정을 행할지는, 측정된 시간이 기준값보다 어느 정도 작은지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이 스텝 S1002, S1003의 화상 형성 조건 보정 처리에 의해 현재의 색 편차 상태를, 기준으로 한 색 편차 상태(기준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의 흐름도의 스텝 S1001에서, 제어부(54)는 전류 극소를 검출했을 때의 타이머값과, 스텝 S506에서 보존한 기준값과 비교하도록 설명했지만,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타이밍에 있어서의 색 편차 상태를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임의의 색 편차 발생 상태에 있어서 스텝 S502 내지 스텝 S506을 실행하여, 기억된 기준값을 스텝 S1001의 비교 대상으로 해도 좋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효과의 설명]
이상과 같이, 제어부(54)에 의해 도 10의 흐름도가 실행됨으로써, 감광 드럼으로부터 상 담지체(벨트)에,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검출용 토너상(100% 농도)을 전사하지 않고도, 색 편차 보정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의 유용성을 가능한 한 유지하여 갖게 하면서,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장치 내 온도의 변화량에 대한 색 편차량의 변화 경향을 미리 측정해 두고, 측정한 장치 내 온도를 기초로 색 편차량을 예측 연산하여,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것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색 편차 보정 제어의 방법에 의하면, 검출용의 토너상을 상 담지체 상에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색 편차량을 예측 연산하는 색 편차 보정 제어 방법으로는, 토너 소비를 억제할 수 있지만,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색 편차량이 반드시 예측 연산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어, 정밀도 면에서 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도 10의 흐름도에 의하면, 토너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일정한 색 편차 보정 제어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잠상에 의한 색 편차 보정 제어로서,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전사하고, 그것을 검출하는 전위 센서를 설치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전사한 정전 잠상을, 전위 센서로 검출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발생해 버린다. 이에 반하여,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유용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전사하는 방식으로는,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있어서의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전위를 검출까지 계속해서 유지해야 한다. 이 때문에, 벨트 상의 전하가 순시(예를 들어 0.1초)에 빠지지 않도록, 벨트 재료를 고저항(e13Ωcm 이상)으로 하거나 하여, 시상수 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상수 τ가 큰 중간 전사 벨트에서는, 벨트 챠지 업에 기인한 고스트나 방전 마크 등의 화상 불량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대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전사 벨트의 시상수 τ를 작게 할 수 있어, 챠지 업에 기인한 화상 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1은, 실시예 1과는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와 상이한 점은, 도 11의 구성에서는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가, 감광 드럼(22a 내지 22d)으로부터 항상 이격되어, 감광 드럼에 작용하지 않는 점이다. 인쇄 시에는,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가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에 교류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22a 내지 22d)과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 사이에 토너를 왕복 운동시키고,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킨다. 이 구성에서는,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를 정지하는 것만으로 감광 드럼(22) 상의 정전 잠상(80)에 토너가 부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1의 구성에서는,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을 독립된 구동원(28a 내지 28d)에 의해 구동하여, 각각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회전 속도를 각각 변화시킴으로써 레이저광(21a 내지 21d)의 조사로부터,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검출한 반송 방향의 색 편차량을 상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는 감광 드럼 상의 정전 잠상의 부 주사 방향 간격이 넓어진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30)의 회전 속도 이동 속도를 변경하지 않으면, 부 주사 방향의 토너상의 전사 위치의 간격은 반대로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부 주사 방향의 신축은 실질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위상을 검출하지 않는 구성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감광 드럼(22a)의 축에 무시할 수 없는 치우침이 있는 경우, 전술한 정전 잠상(80)이 1차 전사 롤러(26a)에 도달하는 시간의 측정 결과도 변화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회의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을 기초로 색 편차를 보정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한 각 흐름도의 처리가, 도 1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2의 흐름도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2의 흐름도는 각 색에 대하여 독립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우선 스텝 S1201 내지 S1205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501 내지 S50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텝 S1206에서,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축이 치우쳐 있을 때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극소를 검출하는 타이머값 측정을 n회 반복할 때까지 제어부(54)는, 스텝 S1203 내지 S1205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n은 2 이상의 정수값으로 한다. 또한, n회분의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예를 들어 감광 드럼의 반주분인 것 등, 감광 드럼 1주분 미만의 경우에, 스텝 S1203에서의 소정의 회전 위상에서의 색 편차 보정용 정전 잠상의 형성이 특히 유효해진다.
그리고, 스텝 S1206에서, n회의 측정이 종료했다고 제어부(54)가 판단하면, 스텝 S1207에서, 제어부(54)는 n회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타이머값(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S1208에서, 제어부(54)는, 평균값의 데이터(대표 시간)를 대표값(기준값)으로서 EEPROM(324)에 기억한다. 여기에서의 기억 정보가,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목표가 되는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제어부(54)는, 색 편차 보정 제어 시에는 이 기준 상태로부터의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바꿔 말하면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평균의 연산 방법에 대해서는, 단순 평균이나 가중치 부여 평균 등 여러 연산 방법이 상정된다. 또한, 감광 드럼의 편심 등,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을 캔슬한다는 의미에서는, 평균값을 산출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을 캔슬하기 위한 연산이면, 예를 들어 단순 합계나 가중치 부여 합계 등이어도 좋다. 또한, 여기서의 캔슬이란, 완전한 캔슬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의 영향을 적어도 경감시킨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완전하게 캔슬할 수 있으면, 그렇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스텝 S1208에서는 복수의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준값을 산출하므로, 적어도 단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준값을 산출하는 것보다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
이어서, 도 13의 흐름도의 설명을 행한다. 도 12와 동일한 처리에는 동일한 스텝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도 13의 흐름도는 각 색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3의 스텝 S1202 내지 S1205의 처리는, 지금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의 대응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회전축이 치우쳐 있는 경우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극소를 검출하는 타이머값 측정을 n회 반복할 때까지 제어부(54)는, 스텝 S1203 내지 S1205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 S1301에서 n회의 측정이 종료되었다고 제어부(54)가 판단하면, 제어부(54)는, 스텝 S1302에서 n회 측정한 각 타이머값의 평균을 산출한다. 스텝 S1303에서, 제어부(54)는, 기억부(EEPROM(324))로부터 도 12의 스텝 S1208에서 기억 보존한 기준값을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산출한 평균값과, 판독한 대표값(기준값)을 비교한다. 또한, 감광 드럼 주기의 성분을 캔슬한다는 의미에서는, 평균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스텝 S1207, S1208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평균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54)는, 스텝 S1304에서 인쇄 시에 그 시간만큼 화상 형성 조건으로서의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는, 즉 모터를 가속시킨다. 한편, 평균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54)는, 스텝 S1305에서 인쇄 시에 그 시간만큼 화상 형성 조건으로서의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는, 즉 모터를 감속시킴으로써 색 편차를 보정한다. 이렇게 이 스텝 S1304, S1305의 처리에 의해, 현재의 색 편차 상태를, 기준으로 한 색 편차 상태(기준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도 13의 스텝 S1304, S1305에 있어서, 화상 형성 조건의 보정으로서, 도 10의 흐름도에서 설명한 스텝 S1002나 스텝 S1003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감광 드럼 위상의 분산]
도 12, 도 13의 스텝 S1203의 정전 잠상 주사의 처리를, 각 페이지 사이에 있어서의 비화상 영역에서 실행하는 경우, 도 12의 스텝 S1206, 도 13의 스텝 S1301에 있어서의 판단 횟수 n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각 부재의 치수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용지 크기와, 감광 드럼의 드럼 둘레 길이와, 화상의 이동 방향(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비화상 영역의 폭으로부터 정해진다.
예를 들어, 용지 크기가 A4(297mm)이고, 비화상 영역의 화상 이동 방향 폭이 64.0mm이고, 드럼 둘레 길이가 75.4mm인 경우에, 각 비화상 영역의 중심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해 갈지를 도 14의 (a)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또한, 용지 크기, 비화상 영역 폭, 드럼 둘레 길이가 다른 수치의 경우의 일례를 도 14의 (b)에 도시한다. 이 도 14의 (a) 및 도 14의 (b)에서 설명하는 것은 각 색에 대하여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들 도 14의 (a) 및 도 14의 (b)의 그래프는, 각 비화상 영역의 중앙에서, 도 12, 도 13의 스텝 S1203을 실행했을 때에, 정전 잠상이 어느 감광 드럼 위상에 대응하여 형성될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도 14의 (b)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복수회의 각 비화상 영역에서 도 12, 도 13의 스텝 S1203에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면, 감광 드럼의 위상 조건이 평균화/분산화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5는, 용지 크기, 비화상 영역 폭 각각이 어떤 사항을 가리키는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중간 전사 벨트 상에 가령 토너상이 전사되었을 때의 1차 전사 위치와, 그 토너상에 대응하는 노광을 행했을 때의 감광 드럼의 위상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비화상 영역이란, 화상 형성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유효 화상 영역) 이외의 감광 드럼 상의 영역이나, 페이지간 영역(지간 영역) 등, 감광 드럼 상에 있어서의 영역으로서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유닛(20)이 각 페이지의 화상 형성을 위한 레이저 조사를 행하지 않는 기간(시간)으로서도 정의할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 비화상 영역(1505(1509))의 개시 위치(1502(1506)), 중심(1504(1508)) 및 종료 위치(1503(1507)) 각각의 위상은, 1501의 위치에 대응하는 감광 드럼의 위상과, 용지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각각의 감광 드럼의 위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령 토너상이 1차 전사된다고 해도 그 토너상을 노광했을 때의 감광 드럼의 위상이다.
또한 도 15에서는, 1501의 위상이 제로로 나타나 있지만, 다른 임의의 값이어도 문제없다. 즉, 1501의 위상이 제로가 아니어도, 도 14의 (a) 및 도 14의 (b)에 도시된 위상의 변화가, 몇개째(몇매째)의 비화상 영역에서 나올지에 관하여, 출현 타이밍이 시프트할 뿐이다. 즉, 도 12, 도 13의 스텝 S1203의 정전 잠상 형성 시의 감광 드럼 위상이 분산된다는 의미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54)에 의해 도 12, 도 13의 흐름도가 실행됨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 외에,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보다 정밀도가 높은 색 편차 보정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할 때의 감광 드럼의 위상에 의존하지 않는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할 수 있어, 색 편차 보정 제어의 개시 타이밍에 대하여 보다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출력 단자(53)의 출력 전압에 따라, 1차 전사 롤러(26a) 및 감광 드럼(22a) 및 접지를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값을, 감광 드럼(22a)의 표면 전위에 관한 출력값으로서 검출하도록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광 드럼(22a 내지 22d) 주위에는,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 이외에, 대전 롤러(23a 내지 23d)나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대전 롤러(23a 내지 23d)나 현상 슬리브(현상 롤러)(24a 내지 24d)에, 상기 실시예 1 혹은 실시예 2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22a 내지 22d)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80)이,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23a 내지 23d)나 현상 슬립(현상 롤러)(24a 내지 24d)에 도달했을 때의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표면 전위에 관한 출력값을 검출해도 좋다.
이하, 일례로서, 대전 롤러(23) 및 감광 드럼(22)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값을, 감광 드럼(22)의 표면 전위에 관한 출력값으로서 검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이 경우, 대전 롤러마다 접속된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도 2의 (b))를 설치하고, 각 대전 고압 전원 회로에 대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고압 전원 회로와 마찬가지의 회로를 설치하고, 그 출력 단자(53)를 대응하는 대전 롤러(23)에 접속하면 된다.
이 경우의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를 도 16의 (a)에 도시한다. 도 4의 (a)와의 차이는, 1개에 출력 단자(53)가 대전 롤러(23a)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다이오드(64, 65)에 대하여, 캐소드·애노드의 방향이 반대인 다이오드(1601, 1602)가 고압 전원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점도 상이하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플러스 전압인 것에 대해,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부전압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색의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b 내지 43d)에 대해서는, 도 16의 (a)에 도시된 회로 구성과 동일하므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 시와 마찬가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10, 도 12 및 도 13의 흐름도를,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 내지 46d) 대신에,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켜 실행하면 된다. 또한, 이때, 검출 전압(56)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전류 목표값은, 대전 롤러(23)의 특성 및 다른 부재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의 전류 검출 회로(50a 내지 50d)를 동작시켜, 각 감광 드럼에 형성된 잠상 마크(정전 잠상(80))가, 감광 드럼과 중간 전사 벨트(30)의 닙부를 통과할 때에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를 벨트로부터 이격시키면 된다. 또한 이격하지 않고,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의 고압 출력을 오프(제로)로 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은, 감광 드럼 상의 암전위 VD(예를 들어 -700V)의 부분 쪽이, 명전위 VL(예를 들어 -100V)의 부분보다 1차 전사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하에 의해, 보다 많이 플러스화되기 때문이다. 즉, 암전위 VD와 명전위 VL의 컨트러스의 폭이, 지금 설명한 플러스화에 의해 작아져 버린다. 반대로, 이것을 피하면, 암전위 VD와 명전위 VL의 컨트러스 폭을 유지할 수 있어, 검출 전류의 변화 레인지를 넓힌 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b)는, 다른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를 나타낸다. 도 16의 (a)와의 차이는, 검출 전류량을 나타내는 검출 전압(56)이, 비교기(74)의 부극의 입력 단자(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다. 비교기(74)의 정극 입력 단자에는 임계값인 Vref75가 입력되어 있고, 반전 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이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 출력이 Hi(플러스)로 되고, 2치화 전압값(561)(Hi가 된 전압)이 제어부(54)에 입력된다. 임계값 Vref75는,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검출 전압(561)의 극소값과, 통과하기 전의 검출 전압(561)의 값 사이의 값으로 설정되어, 1회의 정전 잠상의 검출에 의해 검출 전압(561)의 상승과 하강이 검출된다. 제어부(54)는, 예를 들어 검출 전압(561)의 상승과 하강의 중점을 검출 위치로 한다. 또한 제어부(54)가 검출 전압(561)의 상승 및 하강 중 어느 한쪽만을 검출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이나 2에서는, 고압 전원 회로의 출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그 소정 조건으로서 검출 전압(56)이 어떤 일정값을 하회하는 극소를 취한 것을 설명해 왔다. 그러나, 이 소정 조건은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80)의 프로세스 수단의 대향 위치의 통과를 나타내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6의 (b)에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 전압(561)이 임계값을 하회하는 것을 소정 조건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것은 도 8을 사용한, 실시예 1의 스텝 S505의 상세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을 행했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흐름도나 후술하는 흐름도에 있어서 정전 잠상(80)을 검출하는 조건으로서는 여러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대전, 전사 이외에도 현상도 있지만, 그 현상에 대해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를 동작시켜, 도 5 및 도 10, 도 12 및 도 13의 흐름도를 실행해도 좋다. 이때의 목표 전류값에 대해서는,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현상 슬리브(24)의 특성 및 다른 부재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토너가 감광 드럼에 부착되지 않도록, 그 출력 전압을 VL보다 전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VL이 부전압이고 -100V인 경우에는,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의 출력을, 부전압이고 절대값이 VL보다 작은 -50V의 전압으로 설정하면 된다. 혹은, 도 4의 (a)에서 설명한 고압 전원 회로와 마찬가지의 회로를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에 추가하여, VL이 부전압이고 -100V인 경우에 역극성의 전압(역바이어스)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3에 의하면, 대전 롤러(23)나 현상 슬리브(24)를 사용하여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의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1차 전사 롤러(2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차 전사 롤러(26)와 감광 드럼(22) 사이에 벨트가 개재하고 있는 것에 대해, 대전 롤러(23)나 현상 슬리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개재가 없는 상황 하에서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에 관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의 고압 전원 회로에서는, 각 프로세스 수단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류 검출 회로(47)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다른 고압 전원 장치예를 나타낸다. 도 17의 (a)에 도시한 구성은, 각 색의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대하여 독립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146a 내지 146d)와, 각 색의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14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대하여, 또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가, 복수의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로 공통화되어 있다. 또한, 도 17의 (a) 및 도 17의 (b) 양쪽에 있어서 도 2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고압 전원의 회로도]
도 18을 사용하여, 도 17의 (a)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146a 내지 146d) 및 전류 검출 회로(147)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a)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있어서는, 비교기(60a 내지 60d)에 대하여 설정하는 설정값(55a 내지 55d)에 기초하여, 제어부(54)가 구동 회로(61a 내지 61d)를 제어하여, 출력(53a 내지 53d)에 원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146a 내지 146d)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 감광 드럼(22a 내지 22d) 및 접지점(57)을 경유하여, 전류 검출 회로(147)를 흐르는 점도 도 4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검출 전압(56)에는, 출력 단자(53a 내지 53d)의 전류를 중첩한 값에 비례한 전압이 나타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도, 도 4의 (a)와 마찬가지로 연산 증폭기(70)의 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압(73)에 가상 접지되어 일정 전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색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의 동작에 의해 70의 반전 입력 단자의 전압이 변동되어 버려, 그것이 다른 색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거의 없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146a 내지 146d)는 서로 영향을 받지 않아, 도 4의 (a)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한다.
한편, 도 17의 (b)에 도시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나 전류 검출 회로(47)의 상세한 것은, 도 2에서 설명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나 전류 검출 회로(47a)와 마찬가지이며, 그 상세에 대해서도 도 2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도 17의 (a)와 도 17의 (b)에서는, 전류 발생원이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상이할 뿐이며, 전류 검출에 관해서는 마찬가지의 구조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이하의 전류 검지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도 17의 (a)의 고압 전원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여 가기로 한다.
[색 편차 보정 제어의 설명]
이어서, 도 17의 (a), 도 17의 (b) 및 도 18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1차 전사 고압 전원(프로세스 수단)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정전 잠상(80a 내지 80d)을 검출하여,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준값 취득 처리의 흐름도]
도 19는,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기준값 취득 처리의 흐름도이다. 최초의 스텝 S501, S502의 처리는 도 5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이어서, 스텝 S1901 내지 스텝 S1904에서, n=1 내지 4의 루프 처리를 행하여,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제1 색 편차 보정 제어용 정전 잠상으로 하면, 후술하는 도 21의 흐름도에서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제2 색 편차 보정용 정전 잠상으로서 구별할 수 있다. 도 20은, 이 루프 처리를 종료한 직후의 감광 드럼(22a 내지 22d) 상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80a 내지 80d)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n=1의 루프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1902에서, 제어부(54)는, 옐로우색의 스캐너 유닛(20a)에 레이저광을 발광시켜, 감광 드럼(22a) 상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80a)을 형성한다. 이때, 제어부(54)는,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드럼(22a)으로부터 이격한 상태(이격)로 동작시킨다. 또한 스텝 S50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압 전원 회로(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제로로 하거나, 통상과는 역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해도 좋다. 또한, 스텝 S1902에서도 1차 전사 롤러(26a)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현상 슬리브(24a)를 이격시키거나, 혹은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통상의 토너 화상 형성 시보다 감광 드럼에의 작용이 적어도 작아지도록 동작시키고 있다. 또한, 이 대응은 흐름도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 후 스텝 S1903에서, 제어부(54)는, 일정 시간의 대기 처리를 행한다. 이것은, 각 색에 의해 형성하는 정전 잠상의 검출 결과가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정되는 최대의 색 편차가 발생했다고 해도, 정전 잠상끼리 겹치지 않도록 대기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대기 처리의 시간은, 감광 드럼이 1회전하는 시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이하 마찬가지로, n=2의 루프 처리에 있어서 정전 잠상(80b)을, n=3의 루프 처리에 있어서 정전 잠상(80c)을, n=4의 루프 처리에 있어서 정전 잠상(80d)을 n=1일 때와 마찬가지로 각각 감광 드럼 상에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n=1에서 옐로우, n=2에서 마젠타, n=3에서 시안, n=4에서 블랙의 순으로 감광 드럼(22a 내지 22d)에 정전 잠상(80a 내지 80d)을 형성하기는 했지만, 이 순서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물론 이것과 순서가 상이해도 실시 가능하다.
도 19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다음 스텝 S1905에서, 제어부(54)는 전류 검출 회로(47)의 검출값의 샘플링을 개시한다. 이때의 샘플링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kHz 정도이다.
이어서, 스텝 S1906에서, 제어부(54)는, 샘플링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정전 잠상(80)의 검출에 의해 1차 전사 전류의 검출값이 극소를 취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검출값이 극소값을 나타냈다고 하는 것은, 최초로 형성한 정전 잠상(80a)이 1차 전사 롤러(26a)의 위치에 도달했다고 하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이 스텝 S1906의 검출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80)의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의 통과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전류 검출 회로(47)의 검출 전류는, 저항(71)을 경유하여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흐르는 전류를 중첩한 값이다. 그리고, 스텝 S1906에서, 극소한 전류값을 검출하면, 스텝 S1907에서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 후, 제어부(54)는, 스텝 S1908 내지 S1911에서, n=1 내지 3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이 루프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54)는, 기준색의 검출값이 극소가 된 타이밍과, 측정색(Y, M, C)의 검출값이 극소가 된 타이밍의 시간적 차분을 측정한다. 스텝 S1909에서, 2색째(n=1) 내지 4색째(n=3)의 정전 잠상(80b 내지 80d)에 의해 검출값이 극소가 된 시간(타이머값)을 측정하여, 스텝 S1910에서 n번째의 기준값으로서 EEPROM(324)에 기억한다. 여기에서의 기억 정보가,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목표가 되는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제어부(54)는, 색 편차 보정 제어 시에는, 이 기준 상태로부터의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바꿔 말하면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여기서 기억되는 기준값은, n=1에서 옐로우의 정전 잠상의 도달 타이밍으로부터 마젠타의 도달 타이밍의 차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n=2에서 옐로우의 정전 잠상의 도달 타이밍으로부터 시안의 도달 타이밍의 차분을 나타내고, n=3에서 옐로우의 정전 잠상의 도달 타이밍으로부터 블랙의 도달 타이밍의 차분을 나타내고 있다.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
도 2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색 편차 보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 S502 내지 스텝 S1907에 대해서는, 도 19의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스텝 S2101 내지 S2106에서 제어부(54)는, n=1 내지 3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54)는 스텝 S2102에 있어서, 우선 n=1로 하고, 도 19의 스텝 S1909와 마찬가지로, 기준색의 검출 결과가 극소해지고 나서 검출값이 극소가 될 때까지의 시간(타이머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스텝 S2103에서, 제어부(54)는, 스텝 S2102에서 측정한 시간과, 도 19의 스텝 S1910에서 기억한 n값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비교한다.
제어부(54)는, 측정한 시간이 기억하고 있던 기준값보다 큰 경우는, 스텝 S2104에서 인쇄 시의 마젠타 색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빠르게 하도록 보정한다. 제어부(54)가, 어느 정도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설정을 행할지는, 측정된 시간이 기준값보다 어느 정도 큰지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한편, 제어부(54)는, 검출된 타이머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는 스텝 S2105에서 인쇄 시의 마젠타색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느리게 하도록 보정한다. 제어부(54)가, 어느 정도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느리게 하는 설정을 행할지는, 측정된 시간이 기준값보다 어느 정도 작은지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이렇게 스텝 S2104, S2105의 처리에 의해, 현재의 색 편차 상태를, 기준으로 한 색 편차 상태(기준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n=2로 하고, 시안색에 대하여 스텝 S2101 내지 S2106의 처리를 행하고, 또한 n=3으로 하여 블랙색에 대하여 스텝 S2101 내지 S2106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류 검출을 행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했지만, 전류 검출을 행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대전 롤러나, 현상 슬리브를 적용할 수도 있다.
대전 롤러의 경우에는, 1개 또는 복수의 대전 고압 전원 회로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를 설치하고, 그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도 19 및 도 21의 흐름도를 실행하면 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하는 대전 고압 전원 회로에 상당하고, 또한 대전 고압 전원 회로의 전류 검출 회로를 사용할 때의 각 현상 슬리브나 각 전사 롤러의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예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현상 슬리브의 경우에는, 1개 또는 복수의 현상 고압 전원 회로에 공통되어 전류 검출 회로를 설치하고,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도 19 및 도 21의 흐름도를 실행하면 된다. 또한, 1개 또는 복수의 현상 고압 전원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어떻게 제어할지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4)가, 각 정전 잠상끼리의 검출 타이밍이 겹치지 않도록 S1903의 대기 처리를 행하므로, 정전 잠상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 내지 46d)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147)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류 검출 회로에 이러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으로 한 옐로우색의 위치 어긋남을 측정 및 보정은 할 수 없지만, 옐로우색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다른 색(측정색/검출색)의 상대적인 색 편차량을 보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 색의 절대적인 위치 어긋남은 거의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인쇄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옐로우색을 기준색으로 했지만, 다른 색을 기준색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편, 실시예 4에서 설명한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147)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서 설명한, 도 5 및 도 10의 흐름도나, 도 12 및 도 13의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9의 스텝 S1906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1908 내지 S1911의 루프 처리를 n=1 내지 4에 대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그 후에 도 21의 흐름도에 있어서, S1906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2101 내지 S2106의 처리를 n=1 내지 4에 대하여 실행하면 된다. 또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 대신에, 대전 고압 전원 회로나 현상 고압 전원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실시예 5)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를 이용하고, 또한 감광 드럼(22a 내지 22d)의 특정한 위치(위상)에 보정용의 정전 잠상(80a 내지 80d)을 형성하도록 설명해 왔다. 또한, 복수색의 프로세스 수단에 의해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의 위치(위상)에 상관없이 형성하고, 색 편차 보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그 형태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여 간다.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도]
도 22에 실시예 5에 있어서의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의 (a), 도 2의 (b)나 도 17의 (a), 도 17의 (b)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이한 점은,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에,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50)를 설치한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23) 및 감광 드럼(22)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 전류 검출 회로(50)의 회로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6의 (a), 도 16의 (b)(43a, 50a)에서 설명한 대로이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2에서는, 대전 고압 전원 회로가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공통되어 있는 경우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형태로서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의 (a)에서 설명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146a 내지 146d)와 마찬가지로, 대전 롤러(23a 내지 23d) 각각에 개별의 대전 고압 전원 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적용해도 좋다. 전류 발생원이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상이할 뿐이며, 전류 검출에 관해서는 마찬가지의 구조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기준값 취득 처리의 흐름도]
우선, 도 23의 (a), 도 23의 (b)와 도 24를 병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기준값 취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설명한다. 우선 도 23의 (a)의 흐름도에 있어서 최초로 실행되는 스텝 S501의 처리는 도 5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그리고, 도 23의 (a), 도 23의 (b)의 스텝 S1907의 처리 전에, 도 24 중의 타이밍 T1 내지 T3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 상에 형성하는 준비가 행해진다. 또한, 도 24의 타이밍 T1 앞의 상태는, 스텝 S501의 색 편차 보정 제어가 행해진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의 직후란, 스텝 S501의 색 편차 보정 제어가 대략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우선, 제어부(54)는, 타이밍 T1에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를 이격시키기 위한 캠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타이밍 T2에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가 감광 드럼(22a 내지 22d)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54)는, 타이밍 T3에 1차 전사 고압을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 1차 전사 고압의 오프에 관해,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4)가, 도 4의 (a)의 회로에 있어서, 설정값(55)을 제로로 설정한다. 또한, 도 18의 회로에 있어서는, 제어부(54)가 설정값(55a 내지 55d)을 제로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밍 T1에 현상 슬리브(24)를 이격시키는 것이 아니고,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제로로 하거나, 혹은 통상과는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에 대해, 1차 전사 고압을 오프로 하는 것이 아니고, 이격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23의 (a)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제어부(54)는, 타이밍 T3 후에 스텝 S1907에서 타이머 스타트시키고, 스텝 S1905에서 샘플링 스타트시킨다. 이들 처리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이어서, 제어부(54)는, 스텝 S2301 내지 2304에서, n=1 내지 12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루프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2302에서, 제어부(54)는, 레이저 신호(90a 내지 90d, 91a 내지 91d, 92a 내지 92d)의 합계 12개의 신호를 순차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된 정전 잠상의 신호에 의해 스캐너 유닛(20a 내지 20d)이 광 조사를 행한다. 정전 잠상의 검출이 행해지는 각 대전 롤러(23a 내지 23d)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가, 이격 혹은 통상의 토너 화상 형성 시보다 감광 드럼에의 작용이 적어도 작아지도록 동작하고 있는 점은 상기 각자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 대응이 도 23의 흐름도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되는 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스텝 S2303의 대기 처리의 대기 시간은, 도 19의 S1903과 마찬가지의 기술적 이유로 설정된다.
도 24의 T1 내지 T6의 타이밍이, n=1 내지 12의 루프 처리에 대응하고 있으며, 색 편차 보정용의 각 정전 잠상이 순차 형성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서는, 타이밍 T4 내지 T6의 기간에서, 각 색의 감광 드럼에 관하여 감광 드럼의 약 3분의 1의 주기마다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레이저 신호(90a, 90b, 90c, 90d, 91a, 91b, 91c, 91d, 92a, 92b, 92c, 92d)의 순으로 각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8의 전류 검출 회로(147)에서 설명했을 때에 마찬가지로, 검출되는 전류값은,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흐르는 전류를 중첩한 값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된 전류 검출 신호(95a 내지 95d, 96a 내지 96d, 97a 내지 97d)는 모두 겹치고 않고, 이와 같이 되도록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류 검출 신호란 상술한 검출 전압(56)이나, 검출 전압(561)에 상당한다.
이어서, 도 23의 (b)의 설명을 행한다. 도 23의 (b)는 도 23의 (a)의 흐름도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 색 편차 보정용의 각 정전 잠상을 검출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24의 타이밍 T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형성이 종료되기 전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검출이 개시된다. 따라서, 도 23의 (b)에 도시된 일부의 처리는 도 23의 (a)의 처리와 병행하여 제어부(54)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제어부(54)는, 스텝 S2311 내지 S2314에서, i=1 내지 12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54)는, 스텝 S2312에서, 도 23의 (a)의 처리에서 형성된 12개의 정전 잠상의 기준 타이밍으로부터의 도달 시간 ts(i)(i=1 내지(12))를 측정한다. 이 스텝 S2312의 검출 처리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각 정전 잠상의 대전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의 통과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2313에 있어서 실측 결과를 RAM(323)에 일시 기억한다. 이 스텝 S2313의 처리에 의해, 복수개의 검출 결과가 기억되고, 그 복수의 검출 결과가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을 적어도 경감시킨 실측 결과(제1 실측 결과)로 된다.
도 24 중의 타이밍 T5 내지 T7 사이에서, 전류 검출에 변화가 있었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95a 내지 95d는 레이저 신호(90a 내지 90d)로 형성한 정전 잠상에 의한 전류 검출 신호의 변화를 검출한 결과이다. 마찬가지로 96a 내지 96d는 레이저 신호(91a 내지 91d)의 검출 결과이며, 97a 내지 97d는 레이저 신호(92a 내지 92d)의 검출 결과이다. 검출 타이밍이 중복되어 있지 않고, 이에 의해 복수의 검출 대상의 프로세스 수단(대전 롤러)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54)는, 스텝 S2315 내지 S2318에서, k=1 내지 3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S2316에서 제어부(54)는 각 k값에 대하여, 이하의 논리 연산을 행한다. 또한, 연산 방법에 대해서는, CPU(321)가 프로그램 코드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해도 좋고, 하드웨어 회로나 테이블을 사용하여 행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8
Figure 112014074088275-pat00019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0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54)는, 스텝 S2316에서, 상기 수학식 18 내지 수학식 20에 기초하여, 우선 k=1이고, ts(1) 내지 ts(4)의 측정값으로부터 1회째의 옐로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각 색의 부 주사 색 편차량 δesYM(1), δesYC(1), δesYBk(1)을 연산한다. 도 2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ts(1) 내지 ts(4)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각각에 대응한 실측 결과이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스텝 S2317에서 연산된 δesYM(1), δesYC(1), δesYBk(1)을 RAM(323)에 기억한다. 이 스텝 S2317에서 기억되는 정보도,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이 적어도 경감된 실측 결과(제1 실측 결과)로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4)는, k=2의 루프에서 ts(5) 내지 ts(8)의 검출 결과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또한 k=3의 루프에서 ts(9) 내지 ts(12)의 검출 결과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스텝 S2319에서 제어부(54)는, 스텝 S2315 내지 S2318의 루프 처리로 연산된, 옐로우를 기준으로 한 각 색의 부 주사 방향의 색 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며,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을 캔슬한 데이터를 수학식 21 내지 23에 의해 연산한다. 또한, 색 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란, 색 편차 상태에 상관된 데이터이면, 색 편차량 그 자체가 아니어도 좋다.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1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2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3
그리고, 제어부(54)는, 스텝 S2320에서 연산한 δes'YM, δes'YC(1), δes'YBk를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을 캔슬한 색 편차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EEPROM(324)에 기준값으로서 기억한다. 이렇게 스텝 S2320에서 기억되는 정보는,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의 성분이 적어도 경감된 실측 결과(제1 실측 결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의 기억 정보가,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목표가 되는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제어부(54)는, 색 편차 보정 제어 시에는, 이 기준 상태로부터의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바꿔 말하면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스텝 S2320에서 기억되는 정보의 바탕이 되는 스텝 S2313이나 스텝 S2317에서 기억되는 정보도, 색 편차 보정 시의 기준 상태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색 편차 보정 제어의 흐름도]
이어서, 도 25의 (a), 도 25의 (b)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색 편차 보정 제어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25의 (a)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처리를, 도 25의 (b)는 정전 잠상을 검출하고, 또한 화상 형성 조건으로서의 레이저 빔의 출사 타이밍을 보정하는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5의 (a)의 각 스텝의 처리는, 도 23의 (a)의 스텝 S1907 내지 S2304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5의 (b)의 스텝 S2311 내지 S2318의 처리도, 도 23의 (b)의 스텝 S2311 내지 S2318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3의 (a), 도 23의 (b)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을 행하여 간다.
제어부(54)는, 스텝 S2501에서, 도 25의 (b)의, 스텝 S2317에서 기억된 실측 결과에 기초하여, (dδes'YM), (dδes'YC) 및 (dδes'YBk)를 연산한다. 이니셜의 「d」는, 실제로 검출된 값이라는 의미로 첨부하고 있다. 구체적인 연산의 상세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상기의 수학식 21 내지 23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그리고, 제어부(54)는, 그 연산 결과(제2 실측 결과)를 스텝 S2502에서 RAM(323)에 일단 기억해 둔다.
그리고, 스텝 S2503에서, 스텝 S2502에서 연산한 dδes'YM과, 도 23의 (a), 도 23의 (b)의 스텝 S2320에서 기억한 δes'YM의 차분을 취한다. 그리고, 차분이 0 이상, 즉 옐로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마젠타의 검출 타이밍이 기준보다 느린 경우에 도 5의 S100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54)는, 마젠타색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차분값에 따른 것만 빠르게 한다. 한편, 차분이 0 미만, 즉 옐로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마젠타의 검출 타이밍이 기준보다 빠른 경우에 제어부(54)는, 마젠타색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차분값에 따른 것만 느리게 한다. 이에 의해 옐로우와 마젠타의 색 편차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506 내지 2511에 있어서도 제어부(54)는, 마젠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안 및 블랙에 대해, 화상 형성 조건으로서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5의 (b)의 흐름도에 있어서도, 현재의 색 편차 상태를, 기준으로 한 색 편차 상태(기준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우선 복수의 감광 드럼 위상에서 정전 잠상(80)을 형성하고, 그 검출 결과에 의해 미리 감광 드럼 회전 주기의 성분을 캔슬한 기준값을 스텝 S2319에서 기억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후에 도 25의 (a), 25의 (b)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 드럼 위상에서 다시 정전 잠상(80)을 형성하고, 그 검출 결과로부터 취득되는 감광 드럼 회전 주기 성분을 캔슬한 실측 결과를 취득하고, 미리 연산하고 기억시킨 기준값과 비교를 행하도록 설명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평균값으로서 미리 구해진 기준값과의 비교를 행하지 않는 다른 연산 방법도 상정된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의 스텝 S2301과 도 25의 (a)의 스텝 S2301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각각 기억해 두고, 제어부(54)가, 기억해 둔 복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마지막으로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 성분을 캔슬한 색 편차량 상당의 데이터를 연산해도 좋다.
옐로우와 마젠타의 상대적 색 편차량의 연산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우선 도 23의 (b)의 스텝 S2311 내지 S2314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ts(i)(i=1 내지 12), 도 25의 (b)의 스텝 S2311 내지 S2314에서 취득된 데이터를ts'(i)(i=1 내지 12)로 한다. 그리고, 우선 기준색의 옐로우와 측정색의 마젠타의 차분은, 제어부(54)에 의해, 하기의 수학식 24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4
수학식 24의 (ts'(2)+ts'(6)+ts'(10))이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 성분을 캔슬한 마젠타의 제2 실측 결과에 상당하고, (ts'(1)+ts'(5)+ts'(9))가 옐로우의 그것에 상당한다. 또한, (ts(2)+ts(6)+ts(10))이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 성분을 캔슬한 마젠타의 제1 실측 결과에 상당하고, (ts(1)+ts(5)+ts(9))가 옐로우의 그것에 상당한다. 또한, 다른 색의 차분에 대해서도, 제어부(54)에 의해 마찬가지로 산출하면 된다.
그리고, 제어부(54)의 수학식 24에 의한 연산 결과에 있어서, 예를 들어 마젠타와 옐로우의 초기의 차에 대하여, 경시 후의 차가 더 작을 때에는 제어부(54)는 측정색인 마젠타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광 조사 타이밍)을 늦춘다. 이것은, 도 25의 b의 스텝 S2505, S2508, S2511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대응이다. 또한 연산 결과가 양인 경우는 음인 경우일 때와 역의 제어가 제어부(54)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다른 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화상 형성 조건 제어(광 조사 타이밍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평균값으로서 미리 구해진 기준값과의 비교를 행하지 않는 다른 연산 방법에 의해서도, 감광 드럼의 회전 주기 성분을 캔슬한 다음의 색 편차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도 23의 (a), 도 23의 (b),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흐름도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의 흐름도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전류 검출을 행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대전 롤러(23a 내지 23d)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했지만, 전류 검출을 행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1차 전사 롤러나, 현상 슬리브를 적용할 수도 있다.
1차 전사 롤러의 경우에는, 1개 또는 복수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를 설치하고, 그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도 23의 (a) 및 도 23의 (b)와,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흐름도를 실행하면 된다. 이것은 실시예 4의 도 17에서 설명한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에 상당한다. 단, 전류 검출을 행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1차 전사 롤러로 하므로, 도 24에 있어서의 T3의 타이밍 이후에도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의 온을 계속한다.
또한, 현상 슬리브의 경우에는, 1개 또는 복수의 현상 고압 전원 회로에 공통되어 전류 검출 회로를 설치하고,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도 23의 (a) 및 도 23의 (b)와,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흐름도를 실행하면 된다. 또한, 1개 또는 복수의 현상 고압 전원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어떻게 제어할지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4)가, 각 정전 잠상끼리의 검출 타이밍이 겹치지 않도록 S1903의 대기 처리를 행하므로, 정전 잠상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46a 내지 46d)에 대하여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147)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류 검출 회로에 이러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공통된 전류 검출 회로(50)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서 설명한, 도 5 및 도 10의 흐름도나, 도 12 및 도 13의 흐름도와 같은 방식으로 색 편차 보정 제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그것을, 도 26 및 도 27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제어부(54)가, 상술한 도 24의 타이밍 차트를 실행한다. 이때에 도 23의 (a)와 도 26의 흐름도가 병행하여 실행되고 있다. 도 26의 흐름도의 설명을 행하면, 스텝 S2311 내지 S2314의 처리는, 도 23의 (b)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스텝 S2601 내지 S2604에서, 제어부(54)는 k=1 내지 4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k=1의 루프 처리에서, 스텝 S2602에서 제어부(54)는 도 26의 스텝 S2313에서 기억한 12개의 측정값으로부터, 1번째, 1+4번째, 1+4+4번째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스텝 S2603에서 1번째의 기준값으로서 기억한다. 또한, 각 데이터의 감광 드럼 편심의 영향이 상이한 경우 등에는 가중치 부여에 의한 평균값의 연산을 제어부(54)에 행하게 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54)는, n=2 내지 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균값의 산출을 행한다. 그리고, 이 루프 처리에서의 기억 정보가, 색 편차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목표가 되는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색 편차 보정 제어 시에는 이 기준 상태로부터의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바꿔 말하면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 후, 소정 조건이 성립되면, 그 소정 조건 하에서, 다시 도 24의 타이밍 차트가 실행되고, 이어서 도 25의 (b)와 도 27의 흐름도가 병행하여 실행된다. 도 2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311 내지 S2314의 처리는 도 25의 (b)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스텝 S2701 내지 S2706에서는 제어부(54)는 k=1 내지 4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k=1의 루프 처리에서, 스텝 S2702에서, 제어부(54)는, 도 27의 스텝 S2313에서 기억한 12개의 측정값으로부터, 다시 1번째, 1+4번째, 1+4+4번째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54)는, 스텝 S2703에서 k=1에 대하여 스텝 S2702에서 산출한 평균값과, 스텝 S2603에서 기억된 1번째의 기준값과 대소를 비교한다.
스텝 S2703의 비교 결과에 의해, k=1에 대하여 스텝 S2702에서 산출한 평균값이, 스텝 S2603에서 기억된 1번째의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S2704에서 1번째의 색(옐로우)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을 빠르게 한다. 한편,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텝 S2705에서 1번째의 색의 출사를 늦춘다. 그리고, 이후 n=2 내지 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루프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현재의 색 편차 상태를, 기준으로 한 색 편차 상태(기준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5의 설명에서는, 대전 고압 전원 회로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해 왔지만, 대전 고압 전원 회로 대신에,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나 현상 고압 전원 회로를 사용하여 도 26, 도 27의 흐름도를 실행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도 23의 (a)와 도 23의 (b) 및 도 25의 (a)와 도 25의 (b)의 흐름도의 처리를, 각 색의 자기 기준에 기초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의 색 편차량의 산출에 관해서도, 예를 들어 평균값으로서 미리 구해진 기준값과의 비교를 행하지 않는 연산 형태가 상정된다. 예를 들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에 대해, 제어부(54)는, 하기 수학식 25 내지 28에 의해, 기준값과의 비교를 행하지 않는 연산 방식으로 색 편차량을 구한다.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5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6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7
Figure 112014074088275-pat00028
그리고, 예를 들어 수학식 26을 설명하면 제어부(54)의 수학식 26에 의한 연산 결과가 음인 경우는, 제어부(54)는, 측정색인 마젠타의 레이저 빔 발광 타이밍(광 조사 타이밍)을 늦춘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10의 스텝 S1001에서 기준값보다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도 12의 스텝 S1303에서 기준보다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도 21의 스텝 S2103에서 기준값보다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도 27의 스텝 S2703에서 기준값보다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연산 결과가 양인 경우는 음인 경우일 때와 역의 제어가 제어부(54)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다른 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화상 형성 조건 제어(광 조사 타이밍 제어)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 수단이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검출하는 검출 타이밍은 중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의 위치(위상)에 의존하지 않고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감광 드럼 1주에 대해 합계 3개소(1회전에 대해 3회)에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개소는 각 감광 드럼의 둘레 길이에 대해 3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광 드럼의 둘레 길이에 대한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개소를 많게 하면 할수록,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검출 회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색 편차 보정의 정밀도는 향상된다. 따라서,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의 복수의 위치에서 형성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색 편차 보정을 실행하면 좋다.
(실시예 6)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 도 12, 도 19,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있어서, 색 편차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값 취득 처리를, 도 10, 도 13, 도 21,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색 편차 보정 제어 처리를 행하기 전에 행하도록 설명했다. 그러나, 기내 승온으로부터 통상 기내 온도로 복귀하는 경우에, 대강 고정적인 기계적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면, 반드시 기준값 취득 처리를 행할 필요는 없다.
설계 단계 또는 제조 단계에서 알고 있는 미리 정해진 기준값(기준 상태)을 대신 사용해도 된다. 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이란, 도 5의 스텝 S506, 도 12의 스텝 S1208, 도 19의 스텝 S1910, 도 23의 (b)의 스텝 S2313 또는 S2317 또는 S2320, 도 26의 스텝 S2603에서 기억되는 값으로 바뀐다. 색 편차 상태를 보정할 때의 목표가 되지만 미리 정해진 기준 상태는, 예를 들어 도 3의 EEPROM(324)에 기억되어 있으며, 제어부(54)에 의해 적절히 참조된다. 그리고, 그 참조에 의해 상술한 각 흐름도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각 실시예의 실시는, 색 편차 보정 제어에 있어서의 기준 상태를 그 때마다 검출하여 기억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506, 스텝 S1208에서 기억되는 값으로 바뀌는 기준값을 미리 EEPROM(324)에 기억하는 경우에, 그 기억되는 기준값에는 소정의 회전 위상을 대응시킬 수 있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4)는, 기억된 소정의 회전 위상의 정보를 참조하고, 참조된 소정의 회전 위상에서, 스텝 S503이나 스텝 S1203 등의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 형성을 행한다. 단, 스텝 S1203 내지 S1205에서 형성되는 n회분의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예를 들어 감광 드럼의 1주분 이상이거나 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소정의 회전 위상을 관련시켜 기억해 둘 필요는 없다.
[변형예]
또한,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 밖의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재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각 감광 드럼(22)에 현상된 토너상을 기록재 반송 벨트(무단 형상 벨트)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전사재(기록재)에 직접 전사하는 방식을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전용할 수 있다. 또한, 이때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토너 색 편차 검출용 마크는 이 기록재 반송 벨트(무단 형상 벨트) 상에 형성되는 것이 된다.
또한, 1차 전사 수단으로서 1차 전사 롤러(26a)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했지만, 예를 들어 전사 블레이드에 의한 접촉식의 1차 전사 수단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56455호 공보에 개시되는 면 가압에 의해 1차 전사 닙부를 형성하는 1차 전사 수단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에서는,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를 반영한 표면 전위 정보로서, 전류 검출 회로(47a)에 의해 전류 정보를 검출하도록 설명했다. 이것은 제어부(54)가 화상 형성 시의 1차 전사 중에 정전압 제어를 행하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1차 전사 방식으로서, 정전류 인가 방식으로 1차 전사 수단에 대하여 전사 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즉, 화상 형성 시의 1차 전사 방식으로서 정전류 제어를 채용하는 것도 상정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를 반영한 표면 전위 정보로서 전압의 변동이 검출된다. 그리고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압 변화의 특징적 형상이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에 대해서, 상술한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면 된다. 또한, 이것은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대전 고압 전원 회로(43a 내지 43d),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나, 실시예 4, 5에서 설명한 고압 전원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실시예 5에 있어서는, 전류 검출 회로가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에 대하여 공통화되어 있는 고압 전원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의 (a) 및 도 2의 (b)에서 설명한 고압 전원 회로나, 실시예 3의 도 16의 (a)와 도 16의 (b)에서 설명한 현상 고압 전원 회로(44a 내지 44d)를 사용해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여 왔지만, 상기한 색 편차 보정용의 정전 잠상은, 다른 용도의 검출용의 정전 잠상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백 프린터에 있어서, 기록재 상에 있어서의 토너 화상의 형성 위치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검출용의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 상에 형성하고 나서, 현상 닙부나, 전사 닙부나, 대전 닙부에 있어서 검출용의 정전 잠상의 통과가 검출될 때까지의 이상적인 시간을 EEPROM(324)에 미리 기억해 둔다. 그리고, 제어부(54)는, 도 10의 스텝 S505에서 측정한 결과나 도 13의 스텝 S1302에서 연산한 결과와, 미리 기억된 이상적인 시간을 비교한다. 이 이상적인 시간이 도 10이나 도 13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기준값에 상당하게 된다. 그리고, 그 대소에 따라, 도 10의 스텝 S1001 내지 S1003이나, 도 13 스텝 S1303 내지 S1305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면 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위치를 적정한 위치로 보정할 수 있고, 기록재 상에 있어서의 토너상의 형성 위치를 양호한 상태로 보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프리프린트지에 장부나 전표 인쇄 등을 행하는 케이스로 레이아웃이 정돈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20a 내지 20d: 스캐너 유닛
22a 내지 22d: 감광 드럼
24a 내지 24d: 현상 슬리브
26a 내지 26d: 1차 전사 롤러
30: 중간 전사 벨트
46a 내지 46d: 1차 전사 고압 전원 회로
47a 내지 47d: 전류 검출 회로
80: 정전 잠상

Claims (33)

  1.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와,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감광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 조사 수단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이 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통한 출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검출된 상태가 적어도 기준 상태에 가까와지도록,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검출된 상태가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정용의 토너상을 검출하는 토너상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토너상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원 수단의 출력을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통한 출력을, 복수의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에 따라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에 따른 출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미리 정해진 조건하에서, 제2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에 따른 출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제2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복수의 종류의 프로세스 수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종류의 프로세스 수단 중,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대상이 되는 제1의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상기 정전 잠상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제2의 프로세스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제2의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제2의 프로세스 수단을 토너상의 형성 위치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제2의 프로세스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통상의 화상 형성시보다도 상기 제2의 프로세스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감광체로의 작용을 적어도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상기 검출 수단은, 복수의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공통으로 검출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검출하는 검출 타이밍은 중복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복수의 상기 감광체에 각각에 대응한 상기 검출 수단을 복수개 갖고,
    복수의 상기 검출 수단은, 각각 대응한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독립하여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감광체 간의 색 편차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의 보정으로서, 상기 광 조사 수단에 의한 광의 조사 타이밍을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광 조사 수단에 의한 광의 조사를 행할 때의 상기 감광체의 속도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현상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를 갖고, 상기 감광체에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감광체 상에 형성된 현상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상에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감광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 조사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상을 피전사체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감광체에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 가능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대전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대전 수단을 통한 출력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현상 수단을 통한 출력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전사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사 수단을 통한 출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검출된 상태가 적어도 기준 상태에 가까와지도록,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검출된 상태가 기준 상태로 복귀되도록,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보정용의 토너상을 검출하는 토너상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토너상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대전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원 수단의 출력을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원 수단의 출력을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전사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원 수단의 출력을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대전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대전 수단을 통한 출력,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현상 수단을 통한 출력,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전사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전사 수단을 통한 출력을, 복수의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에 따라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에 따른 출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미리 정해진 조건하에서, 제2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에 따른 출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기억된 상기 제1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제2의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대상이 되는 상기 대전 수단보다도 상기 정전 잠상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상기 현상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현상 수단을 토너상의 형성 위치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통상의 화상 형성시보다도 상기 현상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감광체로의 작용이 적어도 작게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대상이 되는 상기 전사 수단보다도 상기 정전 잠상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상기 현상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현상 수단을 토너상의 형성 위치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이 상기 현상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통상의 화상 형성시보다도 상기 현상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감광체로의 작용을 적어도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상기 검출 수단은 복수의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공통으로 검출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검출하는 타이밍은 중복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복수의 상기 감광체에 각각 대응한 상기 검출 수단을 복수개 갖고,
    복수의 상기 검출 수단은, 각각 대응한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독립하여 검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1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감광체 간의 색 편차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의 보정으로서, 상기 광 조사 수단에 의한 광의 조사 타이밍을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광 조사 수단에 의한 광의 조사를 행할 때의 상기 감광체의 속도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보정용의 정전 잠상 또는 보정용의 토너상을 형성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검출하는 제1의 검출 수단과,
    상기 보정용의 토너상을 검출하는 제2의 검출 수단과,
    상기 제1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 상기 제2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제1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제2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 상기 제2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제1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제2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위치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을 복수의 위치에 형성시키고,
    상기 제1의 검출 수단은, 복수의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각각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복수의 상기 보정용의 정전 잠상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광체를 복수개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화상 형성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보정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감광체 간의 색 편차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140100564A 2010-06-30 2014-08-05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1493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9479 2010-06-30
JPJP-P-2010-149479 2010-06-30
JP2011095104A JP5653283B2 (ja) 2010-06-30 2011-04-21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1-095104 2011-04-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0731A Division KR101493189B1 (ko) 2010-06-30 2014-02-21 컬러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314A KR20140114314A (ko) 2014-09-26
KR101493200B1 true KR101493200B1 (ko) 2015-02-13

Family

ID=446449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476A KR101438258B1 (ko) 2010-06-30 2011-06-30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20140020731A KR101493189B1 (ko) 2010-06-30 2014-02-21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20140100564A KR101493200B1 (ko) 2010-06-30 2014-08-05 컬러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476A KR101438258B1 (ko) 2010-06-30 2011-06-30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20140020731A KR101493189B1 (ko) 2010-06-30 2014-02-21 컬러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600274B2 (ko)
EP (1) EP2402825B1 (ko)
JP (1) JP5653283B2 (ko)
KR (3) KR101438258B1 (ko)
CN (2) CN102314114B (ko)
BR (1) BRPI1103048B1 (ko)
RU (2) RU247691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3283B2 (ja) 2010-06-30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1461B2 (ja) 2010-12-15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EP2541892B1 (en) * 2011-06-30 2016-12-28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5863314B2 (ja) * 2011-07-29 2016-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000783B2 (ja) * 2011-10-05 2016-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39904B2 (ja) 2012-01-31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156547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3156548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967957B2 (ja) * 2012-01-31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25453B2 (ja) 2012-08-27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119494A (ja) * 2012-12-13 2014-06-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134135B2 (ja) * 2012-12-14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28871B2 (ja) * 2013-02-05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5435B2 (ja) 2013-04-24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46140B2 (ja) * 2013-05-30 2017-06-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91173B2 (ja) 2013-06-06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8910B2 (ja) * 2013-08-19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04189B2 (ja) 2014-01-30 2017-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装置、プリント基板及び画像形成装置
JP6335013B2 (ja) * 2014-04-30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65095B2 (ja) * 2014-08-07 2018-08-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418875B2 (ja) * 2014-10-01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43028B2 (ja) * 2014-10-22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400447B2 (en) 2014-10-22 2016-07-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48180B1 (ko) * 2015-04-30 2019-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EP3125047A3 (en) * 2015-07-30 2017-04-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6451687B2 (ja) * 2016-04-28 2019-01-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89804B2 (ja) 2016-12-27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1144182A (ja) * 2020-03-13 2021-09-24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定着装置用の捕集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571A (ja) * 1996-07-19 1998-02-13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色ずれ調整方法
JPH10123791A (ja) * 1996-10-23 1998-05-15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色ずれ調整方法
JP2008046552A (ja) * 2006-08-21 2008-02-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719B2 (ja) * 1983-03-08 199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画像記録装置
US4734788A (en) * 1986-09-05 1988-03-29 Benson, Inc. Single pass electrostatic color printer/plotter having straight paper path
US5619308A (en) 1992-05-19 1997-04-0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justing image forming means based on surface voltage of photoconductor
JPH05323744A (ja) 1992-05-19 1993-12-07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50402B2 (ja) 1994-02-23 2003-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07077B2 (ja) * 1994-05-13 2002-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タンデムタイプの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164002B2 (ja) * 1996-12-27 2001-05-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251079A (ja) 2001-02-26 2002-09-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回転体速度検出装置
JP2004078062A (ja) * 2002-08-22 2004-03-11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653549B2 (ja) 2005-04-22 2011-03-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7033770A (ja) * 2005-07-26 2007-02-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865283B2 (ja) 2005-09-13 2012-02-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複数の像担持体の位相合わせ方法
JP4208915B2 (ja) 2005-11-11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70196115A1 (en) * 2006-01-31 2007-08-23 Canon Finetech Inc. Image forming device
JP4948925B2 (ja) * 2006-07-11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位置ずれ補正装置、位置ずれ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896262B1 (ko) * 2007-07-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099499B1 (ko) * 2008-02-21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JP5151550B2 (ja) * 2008-02-27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653283B2 (ja) * 2010-06-30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20013827A (ko) *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색 정합 오차 보상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칩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방법들
JP5653314B2 (ja) 2011-07-28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571A (ja) * 1996-07-19 1998-02-13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色ずれ調整方法
JPH10123791A (ja) * 1996-10-23 1998-05-15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色ずれ調整方法
JP2008046552A (ja) * 2006-08-21 2008-02-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103048A2 (pt) 2013-09-24
RU2012150864A (ru) 2014-06-10
RU2535634C2 (ru) 2014-12-20
EP2402825A3 (en) 2014-09-24
CN102314114A (zh) 2012-01-11
US20120003016A1 (en) 2012-01-05
EP2402825A2 (en) 2012-01-04
US20150030341A1 (en) 2015-01-29
CN104090472B (zh) 2017-08-29
CN102314114B (zh) 2014-09-03
US9091989B2 (en) 2015-07-28
RU2011126885A (ru) 2013-01-20
JP5653283B2 (ja) 2015-01-14
RU2476918C1 (ru) 2013-02-27
JP2012032777A (ja) 2012-02-16
KR20140045467A (ko) 2014-04-16
US8891984B2 (en) 2014-11-18
KR101438258B1 (ko) 2014-09-04
US8600274B2 (en) 2013-12-03
KR20120002486A (ko) 2012-01-05
KR20140114314A (ko) 2014-09-26
KR101493189B1 (ko) 2015-02-13
EP2402825B1 (en) 2019-01-23
US20140016955A1 (en) 2014-01-16
CN104090472A (zh) 2014-10-08
BRPI1103048B1 (pt)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200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JP565331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06146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26171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EP262406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uses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 color misregistration correction
JP5859099B2 (ja) 画像形成装置
JP586331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23110986A (ja) 画像濃度測定方法、画像形成装置
JP201601804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