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464B1 -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464B1
KR101488464B1 KR20147022392A KR20147022392A KR101488464B1 KR 101488464 B1 KR101488464 B1 KR 101488464B1 KR 20147022392 A KR20147022392 A KR 20147022392A KR 20147022392 A KR20147022392 A KR 20147022392A KR 101488464 B1 KR101488464 B1 KR 101488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terminal
opposed
welding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705A (ko
Inventor
유키히로 카와무라
타카시 토노이케
사부로 야기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 Y10T29/4921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of fused material
    • Y10T29/49213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각각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는 뛰어난 설계 자유도를 갖춘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도체(201)을 절연 피복(200)으로 피복하고, 선단 측의 절연 피복(202)를 벗겨 도체(201)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201a)를 갖춘 피복 전선(200)의 적어도 도체 선단부(201a)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부(40)와, 접속 상대 측 단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자 접속부(20)를 갖춘 압착 단자(10)에 있어서,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별개의 개체로 구성하고,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길이 방향(X)의 선단 측(Xf)에서 후방 측(Xb)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연결하는 연결부(50)를 구성했다.

Description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CRIMPING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CONNECTOR, WIRE HARNESS, CRIMPING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이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등에 장착되는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 설치된 전장 기기는 피복 전선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다른 전장 기기나 전원 장치와 접속해 상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와이어 하니스와 전장 기기나 전원 장치는 각각 장착한 커넥터끼리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커넥터에 구비되는 압착 단자에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고 있고, 특허 문헌 1에 명시된 전선 접속 단자도 이러한 압착 단자의 하나이다.
특허 문헌 1에 명시된 전선 접속 단자는 도체 금속 파이프의 전반부를 눌러 평평하게 한 접속 편으로, 이에 이어지는 전선 삽입용 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 편에는 비스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있다.
전선 접속 단자는, 소망의 기기에 대해 비스에 의해 접속 편을 고정함과 동시에 전선 삽입용 통부의 비스 삽입 구멍에 전선의 심선을 꽂아 넣어서 전선과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특허 문헌 1에 명시된 전선 접속 단자는,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을 포함해 전체를, 도체 금속 파이프의 가공에 의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기에 접속하는 접속 편과 전선의 심선과 접속하는 전선 삽입용 통부가 같은 재질이나 판 두께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처럼 전선 접속 단자 전체를 한 부재에 의해 일체로 제조한 경우, 기기에 접속하는 접속 편과 전선의 심선과 접속하는 전선 삽입용 통부가 각각 차단 성능이나 강도 등 요구되는 기능의 내용이나 그 수준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를 예를 들면, 같은 재질, 판 두께로 형성한다는 제약이 더해 지게 된다.
그렇게 하면,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소정의 기능을 만족하도록, 예를 들어 적절한 재질, 판 두께, 형상 등으로 형성되었다고 말할 수 없고, 또,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의 각각에 요구되는 필요한 기능을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 명시된 전선 접속 단자를 제조할 때, 한 개의 도체 금속 파이프를 재료로서,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 각각에 대해 각각 요구되는 소정의 기능을 채우도록 가공하려면 고도의 가공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어 오히려 가공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비용이 많아지게 되어,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를 각각 필요한 형상으로 형성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었다.
또, 전선이 구부러지는 등의 경우에, 접속 편과 전선 삽입용 통부 사이의 경계 부분에는 특히 강한 부하가 더해지나, 이 부분의 경계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으며, 자재 비용이 많아진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렇게, 압착 단자 전체를 한번에 제조한 경우 설계 자유도가 제약되어 전선 접속부, 압착부, 이들의 경계 부분과 같은 압착 단자의 각 부분을 소망의 기능을 확보하여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 실용 신안 제3019822호 공보
이 발명은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각각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는 뛰어난 설계 자유도를 갖춘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하고,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를 갖춘 피복 전선에서 적어도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부와, 접속 상대측 단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자 접속부를 갖춘 압착 단자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를, 판재(板材)로 단면 중공(中空) 형상을 구성하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해서 구성하고,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상기 판재끼리가 면(面) 형상으로 서로 겹치도록 밀봉하는 봉지부(封止部)를 구비하면서, 상기 봉지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용접하며,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별개의 개체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후방 측을 따라 이 순서로 직렬로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용접 연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각각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는 뛰어난 설계 자유도를 갖출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앞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부로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거나 도금 처리를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는, 각각의 형상이 복잡해져도 따로따로 뚫는 가공이나 굽힘 가공을 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압착 단자 전체로서 보다 복잡한 형상이라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압착 단자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압착 단자의 형상이 복잡해져도, 압착 단자 전체로서 한번에 복잡한 형상을 형성할 필요 없이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단자 형상으로 뚫기 위한 금형 비용을 줄이는 등, 압착 단자 전체적으로 제조 비용, 인력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수단은, 예를 들면, 용접, 결합, 감합(嵌合), 나사고정(핀), 압착에 의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또, 압착부는, 전선의 도체에 따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단자 접속부는 상대측 단자의 재질 등에 따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다른 재질로 형성해도 좋고, 이 경우, 전해 부식이 생기기 어렵고, 뛰어난 전도성을 얻을 수 있으며, 밀도가 낮은 재질을 선정하여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를, 적어도 상기 도체 선단부를 기단(基端)측에서 삽입 가능한 동시에, 그 도체 선단부를 주위에서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압착부를 이른바 클로즈드 배럴 형식의 단자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압착부는, 도체 선단부를 그 둘레 방향 전체에서 외부와의 틈이 생기지 않게 압착시킬 수 있다.
삭제
따라서, 상기 압착부를 도체 선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뛰어난 전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압착부 내의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어서 열화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그 부식으로 인해 전기 저항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즉, 안정된 전기적 연결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 그 선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부(封止部)를 배치하고, 상기 압착부를, 상기 압착부에서 상기 봉지부에 걸쳐서 둘레 방향 전체에 있어서 연속하는 연속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단면(斷面) 중공 형상의 압착부의 길이 방향 일단 측을 밀봉할 수 있어,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봉지부(封止部)는, 압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 클로즈드 배럴 형식의 것에 대해 형성하는 데 한정하지 않고, 압착 전의 상태에서는 오픈 배럴 형식이지만, 압착 후에 상기 배럴 바닥면의 폭 방향의 양측의 상기 배럴 편끼리 대향하는 것으로 둘레 방향으로 닫힌 고리 모양이 되어 클로즈드 배럴 형식이 되는 것에 대해 형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를,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용접에 의해 연결한 상기 용접 연결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의 뛰어난 일체성을 가지고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삭제
더욱이,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용접 연결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 사이 부분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 각각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기재의 금속 조성이 용융되어 일체가 되기 때문에 뛰어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용접을, 예를 들어, YAG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혹은 디스크 레이저 등에 의한 레이저 빔, 또는 전자 빔 등으로 할 수 있지만, 파이버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간극이 없는 압착부를 구성하고, 압착 상태에서 압착부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다른 레이저 용접에 비해 초점을 극히 작은 점에 맞출 수 있어, 고출력 밀도에서의 레이저 용접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연속 조사(照射)가 가능하다. 따라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對向) 부분에,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양방향으로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 마주 보는 직교 방향 대향면부(對向面部)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 연결부를,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에서의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끼리를 겹치고, 겹진 그 직교 방향 대향면부끼리의 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을 서로 면(面)접촉 상태로 겹치게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를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와의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끼리 면 접촉한 상태로 겹쳐진 안정된 배치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으므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용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에, 그 압착부에 의해 압착한 상기 도체 선단부를 밖에서 알아볼 수 있게, 상기 압착부를 구성하는 기재(基材)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를 상기 도체 선단부에 대해서 압착한 상태에서 압착부의 외부에서 내부의 모습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부의 내부에서의 도체 위치 등, 압착부에 의한 압착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한눈에 불량품을 배제할 수 있어서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압착 상태의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 중 상기 단자 접속부와 대향하는 대향 부분을,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에 설정하고, 상기 관통 구멍을 상기 압착부에서의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에서 관통 구멍을 가진 직교 방향 대향면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에서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를 서로 겹치게 한 상태로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용접함으로써, 관통 구멍을 막도록 해서 용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를 연결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을 통해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지 않아서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 구멍을, 상기 압착부에서의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끼리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공정과, 관통 구멍을 막는 공정의 2개의 다른 공정을 한꺼번에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방지 성능이 뛰어난 압착 단자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대향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 연결부를,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를 서로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단부끼리의 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압착부나 단자 접속부를 구성하는 기재끼리를 서로 겹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용접 부분의 부피가 늘지 않아서 컴팩트하게 용접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의 대향 면적보다 큰 대향 면적을 가진 상기 길이 방향 대향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 연결부를,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상기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을 서로 맞대고, 맞댄 그 길이방향 대향면부끼리의 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을 맞댄 경우, 길이 방향 대향 끝끼리 맞댄 경우와 비교해 더 큰 대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을 맞댄 넓은 대향 부분을 용접하는 것으로 단단하게 용접할 수 있고,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뛰어난 일체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압착 단자는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에서 , 상술한 직교 방향 대향면부, 길이 방향 대향 단부, 및 길이 방향 대향면부 중 하나를 갖춘 구성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복수를 조합해 구성해도 좋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추어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앞에서 설명한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해당 대향 부분들을 대향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 계지부(係止部)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부로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위 구성에 의해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들을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상기 대행 부분들을 용접할 때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서로 위치 차이 없이 서로 직렬로 배치한 정확한 형상으로 부드럽게 용접할 수 있다.
또, 상기 계지부는 앞에서 설명한 직교 방향 대향면부, 길이 방향 대향 단부, 및 길이 방향 대향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해 구성해도 좋고,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계지부는 예를 들어 삽입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돌출 편의 접어 구부림에 의한, 혹은 열쇠 모양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한 단부들을 연결 고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 중,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구리 선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피복 전선의 도체를 형성하는 금속 표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른바 이종 금속 간 부식(이하에서는 전해 부식이라고 함)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복 전선과 압착 단자와의 접속은, 압착 단자의 압착부를 피복 전선의 도체 선단부 단자로 압착하는 압착 접합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복 전선과 압착 단자의 접속 부분에 수분 등이 부착되어 버리면, 피복 전선의 도체를 형성하는 금속 표면의 산화가 진행되어, 접속 부분의 저항이 증가한다.
또, 도체와 압착 단자에 이용되는 금속이 다른 경우, 전해 부식이 진행되고 만다. 해당 접속 부분의 금속 재료의 부식의 진행은 접속 부분의 균열이나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며 제품 수명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의 도체를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고, 압착 단자를 구리 합금으로 하는 와이어 하니스가 실용화되고 있어, 접속 부분의 부식의 과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자세히는,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기존에 이용되고 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형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을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는, 단자 재료의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고가 금속과의 접촉을 통해, 비-고가 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 부식이 문제가 된다.
또한, 전해 부식은 고가 금속과 비-고가 금속이 접촉한 부위에 수분이 부착하면, 부식 전류가 생겨 비-고가 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 등을 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의 도체 부분이 부식, 용해, 소실하고, 마침내는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전도 기능을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 가운데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경우라도, 앞에서 설명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고, 게다가,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확실하게 용접 등에 의해 연결 할 수 있으므로, 피복 전선과 압착 단자를 접속한 상태에서 만일, 피복 전선이 휘어지고 비틀어지거나 하여 압착 단자에 응력이 가해져도,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연결 부분이 분리하거나 서로 위치가 떨어지거나 하는 일 없이, 압착 단자의 뛰어난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위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들을 연결하여 압착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각각을 간결하게 조립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미리 일체로 형성한 기재를 접어 구부림 등에 의해 압착 단자를 구성하는 경우보다도, 압착 단자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도 압착 단자 전체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들을 연결하여 압착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압착 단자 전체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압착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삽착부에 제대로 적절하게 삽착된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복수개의 접속 구조체에서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와이어 하니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위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들을 연결하여 압착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 각각을 간결하게 조립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미리 일체로 형성한 기재를 접어 구부림 등에 의해 압착 단자를 구성하는 경우보다도, 압착 단자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도 압착 단자 전체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의 대향 부분들을 연결하여 압착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압착 단자 전체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삽착부에 제대로 적절하게 삽착된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하고,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한 도체 선단부를 갖춘 피복 전선에서 적어도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부와, 접속 상대 측 단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자 접속부를 갖춘 압착 단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상기 판재끼리 면(面) 형상으로 서로 겹치도록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형상 가공하고,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면서, 봉지 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봉지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용접해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하고, 각각을 다른 개체로 구성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배치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한 상태로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용접 공정에 의해,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의 대향 부분을 용접하므로, 이들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과, 상기 봉지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행하는 용접을 일괄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용접 공정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용접 공정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실시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가진 연결 용접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앞에서 설명한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길이 방향 대향부들을 맞대고, 맞댄 그 길이방향 대향 단부들을 용접하는 상기 용접 공정에서, 상기 레이저를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을 맞댄 상태에서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한쪽 편에서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가 상기 길이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조사하는 용접을, 상기 레이저가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이저와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 중 적어도 한쪽을 상대 이동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한 레이저의 초점이 어긋나지 않았고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적절히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한 레이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상기 파이버 레이저 조사부를 접촉 이동 작동시킬 필요가 없고, 원활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용접할 수 있다.
여기서, 앞에서 설명한 압착 단자 제조 방법은 레이저에 의해서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를 용접할 때에는, 예를 들면,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조사하는 레이저를 직접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조사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을 맞댄 상태에서,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한쪽 편에 배치하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에서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용접을,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압착 단자 제조 방법은,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조사하는 레이저를 직접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조사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조사하는 레이저를 간접적으로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조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한 레이저를 일단, 거울 등의 반사 수단으로 반사시켜 그 반사한 레이저를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에 조사하는 것으로 용접해도 좋다.
또, 상기 레이저가 상기 길이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에서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조사하는 용접은, 상기 레이저만을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 측 만을 이동시키고, 혹은 상기 레이저와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 쌍방을 이동시켜 행해도 좋다.
또 이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압착 단자 제조 방법에 실시하는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상기 압착부에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 공정을 실시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앞에서 설명한 압착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기 전에 도체 선단부에 대해 상기 압착부를 압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상기 단자 접속부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한 상기 압착부를, 다수 갖출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접속부가 예를 들면 볼록형 단자, 오목형 단자의 어느 경우여도, 상기 압착부와 연결할 수 있어서, 이들 어느 한쪽의 단자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볼록형 단자를 접속한 전선으로서, 혹은 오목형 단자를 접속한 전선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범용성이 뛰어난 전선을 얻을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단자 접속부가 예를 들면, 상대 측 단자와 감합에 의한 접속하는 단자 감합부인 경우에는 단자 감합부의 사이즈에 대해서도 자유자재로 변경, 조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기 전에, 도체 선단부에 대해 상기 압착부를 압착함으로써, 압착부를 도체 선단부에 압착할 때 단자 접속부가 방해가 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압착 공정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기 전에 도체 선단부에 대해 상기 압착부를 압착함으로써, 압착부를 도체 선단부에 압착할 때 압착에 따른 충격 등이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압착에 따른 충격 등에 따라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부분이 떨어지거나 변형하거나 하지 않고 확실하게 압착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압착부와 단자 접속부를 각각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는 뛰어난 설계 자유도를 갖춘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오목형 압착 단자 제조 과정의 설명도이고,
도 4는,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5는, 오목형 압착 단자의 다른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7은, 제 3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8은 제 4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9는 제 5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 이고,
도 10은, 제 5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11은, 제 6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12는, 제 7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13은, 제 8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14는, 제 9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15는, 제 10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다른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7은, 압착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다른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20은 다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구성 설명도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a)은 제 1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제 1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은 도 1(b)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전선(200)을 오목형 압착 단자(10)에 접속해 구성하고 있다. 즉,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40)에 압착 접속하고 있다.
오목형 압착 단자(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201aa)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하여 구성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가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 구성하고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선 선단부(200a)는 피복 전선(200)의 선단 부분에서, 피복 선단부(202a)와 도체 선단부(201a)을 선단 측을 향해 이 순서로 직렬로 갖춘 부분이다.
도체 선단부(201a)는 피복 전선(200)의 전방 측의 절연 피복(202)를 벗겨 알루미늄 심선(201)을 노출시킨 부분이다. 피복 선단부(202a)는 피복 전선(200)의 선단 부분인데, 도체 선단부(201a)보다 후방 측 부분이며,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한 부분이다.
이하에서, 오목형 압착 단자(10)에 대해 상술한다.
오목형 압착 단자(10)은 도 1(a),(b) 및 도 2와 같이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인 전방에서 기단 측인 후방을 향해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을 직렬로 배치하고 이들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을 하나로 연결하는 용접 연결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또, 길이 방향(X)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40)를 압착해서 접속할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X)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은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폭 방향에 해당하며, 길이 방향(X)에 대해 평면 방향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압착부(40)에 대한 박스부(21) 쪽을 전방(선단 측)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21)에 대한 압착부(40) 쪽을 후방(기단 측)으로 하고 있다.
또,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한 상태에서, 도 2 중의 위쪽을 윗 방향(Zu)으로 설정하고, 아래쪽을 아래 방향(Zd)으로 설정한다.
단자 접속부(20)는, 도시 생략하는 볼록형 단자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21)와 트랜지션부(30)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부(21)는 뒤집어진 중공 사각기둥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길이 방향(X)의 후방을 향해 절곡되어 삽입되는 볼록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 편(21a)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로 구성되는 오목형 압착 단자(10)로 구성했지만, 압착부(40)를 가진 압착 단자이면, 상술한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단자 접속부(20)의 박스부(21)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압착부(40)로 구성되는 볼록형 압착 단자라도, 압착부(40) 만으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트랜지션부(30)는 박스부(21)의 뒷부분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돌출하고, 트랜지션 바닥부(31)와 그 트랜지션 바닥부(31)의 폭 방향(Y)의 양쪽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측벽부(32)로 형성되어 있다. 트랜지션부(30)는 단자 접속부(20)에 갖추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착부(40)의 선단 측에 단자 접속부(20)를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갖추어져도 좋고,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 쌍방에 갖추어져도 좋고,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을 연결하는 후술하는 용접 연결부(50)의 일부로서 갖춰져도 좋다.
또, 중공 사각기둥체인 박스부(21)는 바닥부(22)의 길이 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쪽에 연설된 측면부(23)를 구부려,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에서 보았을 때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착부(40)는 전선 압착부(41)과 봉지부(42)를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이 순서로 배설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 전체에서 연속하는 연속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42)는 전선 압착부(41)보다 전방 단부를 거의 평면 모양으로 눌러 변형시켜,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구성하는 판 모양의 단자 기재(100)의 내면들이 밀착하도록 서로 겹쳐, 길이 방향(X)에 대해 직교하는 직교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전선 압착부(41)는 피복 압착부(41a) 및 도체 압착부(41b)를, 후방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연속하여 직렬로 배치하고 있다.
전선 압착부(41)는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 가능하게 후방 측만이 열려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X)에서 선단 측 및 주면부 전체가 열려 있지는 않은 중공 형상(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복 압착부(41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41)의 길이 방향(X)의 피복 선단부(202a)의 배치 장소에 상당하는 부분이고, 피복 선단부(202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체 압착부(41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41)의 길이 방향(X)의 도체 선단부(201a)의 배치 장소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도체 선단부(201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피복 압착부(41a) 및 도체 압착부(41b)는 압착 전의 상태에서는 서로 거의 같은 지름을 한 통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용접 연결부(50)는, 길이 방향(X)의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일체로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자세하게는,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는 각각 길이 방향(X)으로 서로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61a, 61b))를 형성하고 있다.
압착부(4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a)는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봤을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b)는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봤을 때 폭 방향(Y)으로 긴 대략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3은 오목형 압착 단자 제조 과정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3(a)은 별도의 부재로 구성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기 오목형 압착 단자(10)는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단자 접속부(20)에 상당하는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와 압착부(40)에 상당하는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별개의 개체로 이루어진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는, 단자 접속부(20)를 전개한 전개 형상으로 형성한 도시하지 않는 판 모양의 단자 접속부 구성 기재로 구성되며, 해당 단자 접속부 구성 기재를,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21)를 갖춘 입체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여 구성하고 있다.
압착부 구성 부재(40A)는, 압착부(40)의 전개 형상으로 형성한 도시하지 않는 판 모양의 압착부 구성 기재로 구성되며, 해당 압착부 구성 기재를, 통 모양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동시에, 레이저(L)에 의해 통 모양으로 구부린 압착부 구성 기 재의 대향 단부를 용접하여 후방에서 봤을 때 대략 O형으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에 있는 봉지부(42)에 상당하는 부분을 금형으로 밀어 길이 방향(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대략 통 모양의 클로즈드 배럴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단자 접속부 구성 기재 및 압착부 구성 기재는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구성하기 위한 판 모양의 기재이며,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황동 등의 구리 합금조(미도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을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와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길이 방향(X)의 선단 측(Xf)으로부터 후방 측(Xb)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연결한 상태로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 공정을 한다.
자세하게는, 도 3(b)에 나타냈듯이, 각각을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와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배치하는 동시에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댄다. 그리고,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에 대해 예를 들면, 윗 쪽(Zu)에 배치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의 레이저 조사부(Fb)에서 레이저(L)를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이 맞대어진 맞대기 부분 전체에 대해서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를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따라 움직이면서 조사해 가면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용접하다.
이상에 의해,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으며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 상기에서 설명한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 접속함으로써 제조하는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수순에 대해 도 4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4는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40)에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4와 같이 압착부(40)의 전선 압착부(41)에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한다. 이때, 피복 압착부(41a)의 내부에 전선 선단부(200a)의 피복 선단부(202a)가 삽입되는 동시에, 도체 압착부(41b)의 내부에 전선 선단부(200a)의 도체 선단부(201a)가 삽입된다.
이때, 전선 선단부(200a)를 도체 압착부(41b)의 안쪽까지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크린 파 등의 도시하지 않은 압착 공구에 의해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 전선 압착부(41)을 압착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오목형 압착 단자(10)을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을 제조할 수 있다.
위 오목형 압착 단자(10), 압착 단자 부착 전선(1)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제조 방법이 나타내는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에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는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의 각각을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와 압착부 구성 부재(40A)로 별개로 구성하고,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을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연결하는 용접 연결부(50)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별개로 구성한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용접 연결부(50)로 연결했기 때문에,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거나 각각 다른 도금 처리를 하고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는 따로 타공이나, 굽힘 가공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형 압착 단자(10) 전체로서 일괄적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쉽게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형상이 더욱 복잡하여도 정확하고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압착부(40)와 접속부(20)를 구리 합금으로 형성했으나, 압착부(40)와 접속부(20)를 별개의 부재로 만들었기 때문에,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착부(40)는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재질에 따라 예컨대, 알루미늄계 금속으로 형성하고, 단자 접속부(20)는 볼록형 압착 단자의 재질 등에 따라 구리 계통 금속으로 형성하는 등에 의해, 예를 들면, 전해 부식이 생기기 어렵고, 뛰어난 전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형상이 복잡화하여도, 오목형 압착 단자(10) 전체적으로 복잡한 형상인 채로 일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단자 형상에 타공을 위한 금형의 비용을 줄이는 등 오목형 압착 단자(10) 전체의 제조 비용, 인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용접 연결부(50)를,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 연결부로 형성했기 때문에,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가 뛰어난 일체성을 가지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용접 연결부(50)를,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의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피복 전선(200)과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압착 접속한 상태에서 만일, 피복 전선(200)이 구부러지거나 꼬여서 오목형 압착 단자(10)에 응력이 가해져도,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의 용접 연결부(50)가 분리하거나 서로 위치가 떨어지거나 하지 않고, 연결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연결 부분이 변형되는 것이 없는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뛰어난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앞에서 설명한 용접 공정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실시함으로써 다른 레이저 용접에 비해 초점을 극히 작은 점에 맞출 수 있고, 고출력인 레이저 용접을 실현할 수 있으며, 연속 조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용접 연결부(50)에 간극 등의 용접 얼룩이 생기지 않고 용접 연결부(50)에 틈이 생겨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용접 연결부(50)의 뛰어난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다.
또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길이 방향(X)으로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61a, 61b))를 형성하고, 용접 연결부(50)를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의 용접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의 대향 부분(60)에서 압착부(40)나 단자 접속부(20)를 구성하는 각 기재들을 포개지 않아 용접 부분이 늘지 않고 간결하게 용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도시하지 않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용접 연결부(50)의 특히, 두께가 용접에 의해 팽창하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의 삽착부에 부드럽게 삽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맞댄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용접함으로써 맞댄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의 쌍방에 대해서 레이저(L)를 균등하게 조사하기 쉽게 되고, 이들 쌍방의 단부들(61a, 61b)을 균형 있게 용해하여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다.
또,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자 접속부(20)와 압착부(40)의 레이저(L)를 통한 용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길이 방향(X)의 한쪽에서부터 레이저(L)를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해 조사해도 좋다.
도 5는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다른 용접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단자 접속부(20)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b)는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단면으로 나타낸 상태의 다른 용접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 공정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길이 방향(X)으로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용접하다.
이때,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댄 상태에서 레이저 조사부(Fb)를,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해서 길이 방향(X)의 예를 들면, 압착부(40) 측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레이저 조사부(Fb)에서 길이 방향(X)와 거의 일치하는 방향에서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해 레이저(L)을 조사하다.
그리고 이런 레이저(L)의 조사는 레이저 조사부(Fb)을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따라 이동하면서 실시함으로써,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61a, 61b))의 길이에 걸쳐 용접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Fb)을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한 레이저(L)의 초점이 어긋나지 않고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적절히 용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압착부(4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a)는 U자 형상을 한 손톱모양의 단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도 3(a)및 도 5(a)참조),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오목형 압착 단자(10)에 대해 레이저 조사부(Fb)를 상부에 배치해 폭 방향(Y)을 따라 형성한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를 따라 레이저 조사부(Fb)을 이동하면서 레이저(L)를 조사하는 경우, 레이저 조사부(Fb)의 이동에 따라 레이저 조사부(Fb)와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 사이의 조사 거리가 변동하기 때문에 레이저(L)의 초점이 어긋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a),(b)에 나타낸 용접 방법에 따르면 레이저 조사부(Fb)에서 레이저(L)를 길이 방향(X)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 즉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댄 맞대기 부분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압착부(4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a)가 U자 형상을 한 손톱 모양의 단부 형상임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조사부(Fb)를 압착부(4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a)를 따라 움직이고 있는 동안(도 5(a)중의 화살표 참조), 레이저(L)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의 맞대기 부분에 대한 초점 거리가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이저 조사부(Fb)를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를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해당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한 레이저(L)의 초점이 어긋나지 않고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적절히 용접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Fb)를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를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한 레이저(L)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에 대해 레이저 조사부(Fb)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원활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용접 연결부(50)를 용접할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b)는 상술한 것처럼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착부(4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a)와 같이 대략 U자 형태의 단부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a, 1Pb, 1Pc, 1Pd, 1Pe, 1Pf, 1Pg, 1Ph, 1Pi)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a, 1Pb, 1Pc, 1Pd, 1Pe, 1Pf, 1Pg, 1Ph, 1Ph)의 구성 중, 앞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 형태)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a)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a)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6(a)은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제 2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a)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2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a)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a)은,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a)를 갖추고 있다.
오목형 압착 단자(10Pa)는, 도 6(a)와 같이, 압착부(40Pa)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2)를 상술한 것처럼 U자 형태의 단부 형상이 아니고, 단자 접속부(20)와 마찬가지로 폭 방향(Y)으로 거의 직선 모양의 편평한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2(62a, 62b))을 맞댄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폭 방향(Y)으로 선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맞댈 수 있다. 즉, 폭 방향(Y)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 중, 얇은 쪽의 판 두께에 해당하는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댄 맞대기 부분에 대해 레이저(L)을 조사함으로써 점 접촉 상태에서 맞댄 경우보다도 더 큰 용접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용접 연결부(50)에서의 뛰어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길이 방향 대향 단부(62)가 폭 방향(Y)에 따른 평판 형상인 경우 U자형을 한 손톱 모양 형상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과 같이, 폭 방향(Y)을 따라 상하 방향(직교 방향(Z))의 위치가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부 (Fb)를 오목형 압착 단자(10Pa)에 대해서 상부에 배치해도, 레이저(L)의 초점을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을 맞댄 맞대기 부분에 대해 정확하고 쉽게 맞춘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도 7은 제 3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b),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b)의 설명도이고, 도 7(a)은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은 제 3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b)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3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b)는, 도 7(a)과 같이,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b)를 갖추고 있다.
제 3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b)는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의 대향 면적보다 큰 대향 면적을 가진 길이 방향 대향면부(63(63a, 63b))를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용접 연결부(50)를,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63a, 63b)을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면부(63a, 63b)들의 용접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압착부(40Pb)의 봉지부(42)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Xb)의 선단 부분을 위쪽으로 거의 직각으로 꺾어 형성하고, 그 꺾은 부분의 단면을 압착부(40Pb)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63a)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단자 접속부(20Pb)에서의 트랜지션부(30)의 길이 방향(X)의 후방 측(Xb)의 선단 부분을 위쪽으로 거의 직각으로 꺾어 형성하고, 그 꺾은 부분의 단면을 단자 접속부(20Pb)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63b)로 형성하고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 각각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63a, 63b)는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 각각의 기판의 두께보다 큰 두께(상하 방향 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63a, 63b)을 맞댄 경우 서로 면상으로 접촉시킬 수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실시 형태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1a, 61b, 또는 62a, 62b)을 맞댄 경우와 비교해 더 큰 대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63a, 63b)을 맞댄 넓은 대향 부분(60)을 용접함으로써 큰 용접 면적을 챙길 수 있고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어 압착부(40Pb)와 단자 접속부(20Pb)가 뛰어난 일체성을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도 8은 제 4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c)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c)의 설명도이고, 자세하게는 도 8(a)는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는 제 4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c)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4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c)은, 도 8(a)와 같이, 압착부(40Pa)과 단자 접속부(20)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c)를 갖추고 있다.
제 4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c)는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길이 방향(X)과 폭 방향(Y)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Z)(상하 방향 Z)에서 마주 보는 직교 방향 대향면부(64(64a, 64b))를 형성하고 있다.
제 4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c)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c)는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의 대향 부분(60)에서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4a, 64b)을 포개 겹쳐지게 하고, 그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4a, 64b)의 용접에 의한 용접 연결부(50)를 형성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압착부(40Pa)의 봉지부(42)는, 그 길이 방향(X)의 전단부를 비롯해 거의 편평한 판 모양으로 형성하고, 단자 접속부(20)에서의 트랜지션 바닥부(31)는 그 길이 방향(X)의 후단부를 포함해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압착부(40Pa)의 봉지부(42)의 거의 평탄한 바닥면(아랫면)을 압착부(40Pa)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4a)로 형성하고, 단자 접속부(20)에서의 트랜지션 바닥부(31)의 평탄한 윗면을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4b)로 형성하고 있다.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4b)에, 압착부(40Pa)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4a)를 놓아 서로 면 접촉 상태로 합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해당 직교 방향 대향면부(64a, 64b)들을 겹친 중첩 부분을 용접해, 용접 연결부(50)를 형성하고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의 대향 부분(60)을 서로 면 접촉 상태로 합칠 수 있다.
또한,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의 대향 부분(60)을 합친 상태에서 봉지부(42)는 트랜지션 바닥부(31)의 양쪽에서 돌출하는 트랜지션 측벽부(32)에 의해 폭 방향(Y)의 양쪽으로부터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4a, 64b)의 면 접촉 상태에서 겹쳐진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봉지부(42)는 트랜지션 측벽부(32)에 의해 폭 방향(Y)으로 고정된 상태로 되므로 서로 위치가 어긋남 없이 정밀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를 강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40Pa)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하기 위한 용접 공정에서, 이 용접 공정에 더해, 봉지부(42)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를 압축해 겹친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하고 봉지부(42)를 형성하는 용접 공정을 일괄하여 행해도 좋다.
(제 5 실시 형태)
도 9는 제 5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d)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9(a)는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d)와 단자 접속부(20Pd)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제 5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의 제조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5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5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은, 도 9(a)와 같이, 압착부(40Pd)와 단자 접속부(20Pd)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d)를 갖추고 있다.
또한, 단자 접속부(20Pd)의 트랜지션부(30)는 봉지부(42)와 도체 압착부(41b)를 놓을 수 있는 길이로 돌출하고 있다.
제 5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d)는, 압착부(40Pd)의 도체 압착부(40Pd)의 예를 들면 하부에, 해당 압착부(40Pd)에 의해 압착한 도체 선단부(201a)를 도체 압착부(41b)의 바깥에서부터 알아볼 수 있게, 압착부 구성 기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1)을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도체 압착부(41b)에 관통 구멍(81)을 형성함으로써 압착부(40Pd)를 도체 선단부(201a)에 대해서 압착한 상태에서 압착부(40Pd)의 밖에서 내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압착부(40Pd)의 내부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이 폭 방향(Y)의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거나, 혹은 부주의하게 꼬이거나 구부러져 있는 등의 압착부(40Pd)의 내부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위치를 비롯한 압착부(40Pd)에 의한 압착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부(40Pd)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할 때에 도체 선단부(201a)가 도체 압착부(41b)의 안쪽까지 삽입되고 있는지에 대해 관통 구멍(81)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압착 상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을 얻을 수 있고, 만일 압착 후에 불량품이 발생해도 한눈에 불량품을 배제할 수 있어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은 압착부(40Pd)와 단자 접속부(20Pd)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기 전에 압착부(40Pd)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 접속한다.
이에 따라, 압착 상태의 압착부(40Pd)는 특히 도체 압착부(41b)를 압착 전과 비교해 얇은 두께의 편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압착 상태의 압착부(40Pd)에서 봉지부(42)와 도체 압착부(41b)의 부분이며, 관통 구멍(81)을 가진 측의 면을 압착부(40Pd)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 (65a)로 설정한다.
즉, 압착부(40Pd)의 봉지부(42) 및 도체 압착부(41)의 바닥 측을 압착부(40Pd)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5a)로 설정한다.
한편, 단자 접속부(20Pd)의 트랜지션 바닥부의 윗면에서 봉지부(42)와 도체 압착부(41b)를 놓을 수 있는 부분을 단자 접속부(20Pd)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5b)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상술한 압착부(40Pd)의 관통 구멍(81)이 형성된 직교 방향 대향면부(65a)를 단자 접속부(20Pd)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5b)에 대향시켜 서로 겹친 상태에서 겹쳐진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압착부(40Pd)와 단자 접속부(20Pd)를 연결한다.
위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40Pd)의 관통 구멍(81)을 가진 직교 방향 대향면부(65a)와 단자 접속부(20Pd)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5b)를 서로 합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다.
따라, 앞에서 설명한 형태로 용접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81)을 막도록 하여 용접할 수 있어 압착부(40Pd)와 단자 접속부(20Pd)를 연결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81)을 통해 압착부(40Pd)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아니고,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부(40Pd)와 단자 접속부(20Pd)의 대향 부분(60)들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공정과 관통 구멍(81)을 막는 공정의 2개의 다른 공정을 한꺼번에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방지 성능이 뛰어난 오목형 압착 단자(10Pd)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관통 구멍(81)은 정면에 볼 때 원형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타원형, 긴 구멍 형상,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크기, 형성하는 수, 형성 부분도 한정하지 않는다.
(제 6 실시 형태)
도 11은 제 6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e)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e)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11(a)는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b)는 제 6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e)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6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e)은, 도 11(a)와 같이,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e)을 갖추고 있다. 제 6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e)는, 도 11(a),(b)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제 6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e)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e)은 압착부(40Pe)의 봉지부(42)에서 2장을 합친 압착부 구성 기재 중 한쪽의 기재(83S)를 다른 한쪽의 기자재(83L)보다 길이 방향(X) 전방 측의 돌출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봉지부(42)의 한편의 기재를, 짧은 돌출 편(83S)으로 설정하는 한편, 다른 쪽 기재를 긴 돌출 편(83L)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봉지부(42)의 전방 측은, 두께 방향(상하 방향 Z)으로 단이 다른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긴 돌출 편(83L)의 양면에 짧은 돌출 편(83S)을 배치한 쪽 면의 단면부를, 압착부(40Pe)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6a)로 설정하고, 짧은 돌출 편(83S)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의 단부를, 압착부(40Pe)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7a)로 설정한다.
한편, 단자 접속부(20)의 트랜지션 바닥부의 상면에서 압착부(40Pe)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를 놓을 수 있는 부분을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 (66b)로 설정한다.
또한, 단자 접속부(20)의 트랜지션 바닥부의 길이 방향(X)의 후방 단부를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7b)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 11(b)와 같이,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를,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6(66a, 66b))을 대향시켜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7(67a, 67b))이 마주 놓이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6a, 66b)의 면 접촉 상태로 겹쳐지게 되고,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67a, 67b)이 선 접촉 상태에서 맞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6a, 66b)의 겹쳐진 부분을 용접하는 동시에,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7a, 67b)들의 맞댄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해 압착부(40Pe)와 단자 접속부(20)를 공고히 연결할 수 있다.
(제 7 실시 형태)
도 12는 제 7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f)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f)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12(a)는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제 7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f)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7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f)은, 도 12(a)와 같이,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f)를 갖추고 있다.
제 7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f)는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해당 대향 부분(60)들을 대향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 누름 계지부(85)를 형성하고 있다.
누름 계지부(85)는 단자 접속부(20Pf)의 길이 방향(X)의 후방 측단부(Xb)에서 트랜지션 측벽부(3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폭 방향(Y)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20Pf)의 길이 방향(X)의 후방 측단부를, 트랜지션부(30) 및 누름 계지부(85)에 의해, 압착부(40Pf)의 봉지부(42)를 삽입 가능한 고리 모양으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압착부(40Pf)의 봉지부(42)의 바닥면을 압착부(40Pf)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8a)로 설정하고, 단자 접속부(20Pf)의 트랜지션 바닥부(31)의 윗면을 단자 접속부(20Pf)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8b)로 설정한다.
그리고,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8(68a, 68b))을 겹친 상태에서 압착부(40Pf)의 봉지부(42)는 누름 계지부(85)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압착부(40Pf)의 봉지부(42)는 누름 계지부(85)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8a, 68b)의 겹치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의 대향 부분(60)들을 고정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대향 부분(60)들을 용접할 때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가 서로 위치 차이 없이 서로 직렬로 배치한 정확한 형상에서, 자연스럽게 용접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부(40Pf)와 단자 접속부(20Pf)를 연결한 후에도 누름 계지부(85)에 의해 봉지부(42)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8a, 68b)을 강한 연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8 실시 형태)
도 13은 제 8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g)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g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13(a)은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b)은 제 8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g)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8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g)은, 도 13(a)과 같이,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g)을 갖추고 있다.
제 8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g)는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해당 대향 부분(60)들을 대향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 계지 돌출편부(86)을 형성하고 있다.
계지 돌출편부(86)는 단자 접속부(20Pg)의 길이 방향(X)의 후방 측단부(Xb)에서 트랜지션 측벽부(32)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착부(40)의 봉지부(42)는 직교 단면이 단면으로 봤을 때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부(40)의 봉지부(42)의 바닥면을 압착부(4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9a)로 설정한다. 한편, 단자 접속부(20Pg)의 트랜지션 바닥부(31)의 윗면을 단자 접속부(20Pg)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69b)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 13(b)와 같이,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9(69a, 69b))을 겹친 상태에서 계지 돌출편부(86)를 압착부(40)의 봉지부(42) 측으로 구부려 접는 것에 의해, 압착부(40)의 봉지부(42)는 단면 U자 형상을 한 폭 방향(Y)의 각 단부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압착부(40)의 봉지부(42)는 계지 돌출편부(86)에 따라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9a, 69b)의 겹쳐진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의 대향 부분(60)들을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대향 부분(60)끼리 용접할 때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가 서로 위치 차이 없이 서로 직렬로 배치한 정확한 형상에서 자연스럽게 용접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Pg)를 연결한 후에도 계지 돌출편부(86)에 의해 봉지부(42)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직교 방향 대향면부들(69a, 69b)을 강고한 연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9 실시 형태)
도 14는 제 9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h)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h)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14(a)는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b)는 제 9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h)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c)는 제 9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h)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제 9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h)은, 도 14(a)와 같이,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h)를 갖추고 있다.
제 9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h)는 제 6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e)와 제 8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g)를 조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9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h)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h)는 압착부(40Ph)의 봉지부(42)를 직교 단면을 보았을 때 U자 형태로 형성하고 있는데, 제 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2장의 기재를 밀착 상태로 겹쳐서 구성한 봉지부(42) 중 한쪽의 기재(83S)를 다른 한쪽의 기재(83L)보다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의 돌출 길이가 짧게 형성하고 있다(도 14(b)).
또, 긴 돌출 편(83L)의 양면에 짧은 돌출 편(83S)을 배치한 쪽 면의 단면부를, 압착부(40Ph)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71a)로 설정하고, 짧은 돌출 편(83S)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의 단부를, 압착부(40Ph)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72a)로 설정한다.
한편, 단자 접속부(20Pg)의 트랜지션 바닥부의 윗면에서, 압착부(40Ph)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61)를 놓을 수 있는 부분을 단자 접속부(20Pg)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71b)로 설정한다.
또한, 단자 접속부(20Pg)의 트랜지션 바닥부의 길이 방향(X)의 후방 단부를, 단자 접속부(20Pg)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72b)로 설정한다.
또 제 9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h)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h)은,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자 접속부(20Pg)에서 압착부(40Ph)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해당 대향 부분(60)들을 대향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 제 1 계지 돌출편부(8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착부(40Ph)의 단자 접속부(20Pg)와 마주 보는 대향 부분(60)에, 제 1 계지 돌출편부(86a)와 길이 방향(X)에서 연결 가능한 제 2 계지 돌출편부(8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를,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의 직각 방향 대향면부(71(71a, 71b))끼리 대향하고, 길이 방향 대향 단부(72(72a, 72b))끼리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14(b),(c)와 같이 계지 돌출편부(86)를 압착부(40Ph)의 봉지부(42) 측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압착부(40Ph)의 봉지부(42)는 단면 U자 형상을 한 폭 방향(Y)의 각 단부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제 1 계지 돌출편부(86a)와 제 2 계지 돌출편부(86b)는 길이 방향(X)에서 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압착부(40Ph)의 봉지부(42)는 계지 돌출편부(86)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의 직각 방향 대향면부(71a, 71b)들의 겹쳐진 부분을 용접하는 동시에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72a, 72b)의 맞춰진 부분을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쪽만을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해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를 공고히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의 대향 부분(60)들을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대향 부분(60)들을 용접할 때 압착부(40Ph)와 단자 접속부(20Pg)가 서로 위치 차이 없이 서로 직렬로 배치한 정확한 형상에서 자연스럽게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제 9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h)의 구성에서, 상술한 것처럼, 계지 돌출편부(86a, 86b)를 갖춘 구성뿐만 아니라 누름 계지부(85)를 갖추어 구성해도 좋다.
(제 10 실시 형태)
도 15는 제 10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i)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i)의 설명도인데, 도 15는 제 10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i)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10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i)은, 도 15와 같이,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로 구성된 오목형 압착 단자(10Pi)를 갖추고 있다.
제 10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i)는 단자 접속부(20Pi)의 트랜지션 바닥부(31)의 기반을 윗쪽(Zu)으로 돌출시킨 돌출 편(88)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돌출된 돌출 편(88)의 후방 측(Xf)의 단면을, 단자 접속부(20)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74b)로 설정하는 동시에, 단자 접속부(20)의 트랜지션 바닥부(31)의 윗면을 단자 접속부(20)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75b)로 설정해 형성한다.
한편, 압착부(40)의 봉지부(42)의 전방 측(Xf)의 단부를, 압착부(40)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74a)로 형성하고, 압착부(40)의 봉지부(42)의 거의 평탄한 바닥면(아랫면)을 압착부(40Pa)의 직교 방향 대향면부(75a)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를,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74(74a, 74b))끼리 대향함과 동시에, 직교 방향 대향면부(75(75a, 75b))끼리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의 직각 방향 대향면부( (75(75a, 75b)) 끼리 면 접촉 상태로 겹쳐지게 되고,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74(74a, 74b)) 끼리 면 접촉 상태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의 직각 방향 대향면부들(75a, 75b)의 면 접촉 상태의 서로 포개지는 부분을 용접하는 동시에,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의 길이 방향 대향면부들(74a, 74b)의 면 접촉 상태로 결합된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해 압착부(40Pi)와 단자 접속부(20Pi)를 강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발명의 구성과 실시 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이 발명의 압착 접속 구조체는,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1Pa, 1Pb, 1Pc, 1Pd, 1Pe, 1Pf, 1Pg, 1Ph, 1Pi)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압착 단자는 오목형 압착 단자(10, 10Pa, 10Pb, 10Pc, 10Pd, 10Pe, 10Pf, 10Pg, 10Ph, 10Pi)에 대응하고,
계지부는 누름 계지부(85), 계지 돌출편부(86), 또는 제 1 계지 돌출편부(86a)와 제 2 계지 돌출편부(86b)에 대응하고,
도체는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하고,
접속 상대측 단자는 볼록형 압착 단자에 대응하고,
판재는 단자 기재(100)(기재)에 대응하지만,
이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나는 기술 사상에 따라 응용할 수 있어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은 단자 접속부와 압착부의 대향 부분(60)을 앞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의 형성뿐만 아니라 기타의 실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a, 1Pb, 1Pc, 1Pd, 1Pe, 1Pf, 1Pg, 1Ph, 1Pi)의 제조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은 도 1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다른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16(a)은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하기 전에 전선 선단부에 접속한 상태의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b)은 별개의 개체로 구성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은,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한 후에 압착부(40)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할 뿐만 아니라, 제 5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d)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d)과 같이,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40)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한 뒤,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해도 좋다.
제 1 실시 형태 및 제 5 실시 형태 이외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 및 압착 단자 부착 전선(1)과 마찬가지로,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의 연결과 압착부(40)의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한 압착을 실시하는 공정의 전후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 압착부 구성 부재(40A)는 앞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봉지부(42)에 상당하는 부분을 금형으로 찌그린 상태에서 레이저(L)에 의해 폭 방향(Y)의 용접 부분을 따라 용접하고 밀봉해 형성해도 좋다.
또, 압착부 구성 부재(40A)는 해당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다른 용접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17과 같이,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형상을 형성하고 직교 방향(Z)(두께 방향)으로 변동 용접 부분(Wa)을 용접하여 형성해도 좋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7(a)과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압착부 구성 기재(구리 합금조)를 말아 단부들(40t)을 맞추고,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을 찌그려서 봉지부(42)를 포함한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말아 합친 단부들(40t)을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a)을 따라 레이저(L)을 통해 용접하는 것으로 용접부(W1)을 형성함과 동시에, 봉지부(42)에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b)을 따라 용접하는 것에 의해 용접부(W2)를 형성하고 밀봉함으로써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완성한다.
또, 압착부 구성 부재(40A)는 도 17(a),(b)와 같이, 압착부 구성 부재(40A) 윗면 측에서 단부들(40t)을 맞물려 용접해도 좋지만, 이것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지만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바닥 측에서 단부들(40t)을 맞물려 용접해도 좋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압착부 구성 기재(구리 합금조)를 말아 단부들(40t)을 포개는 것은, 단부들(40t)이 맞춰지도록 단부들(40t)을 둘레 방향으로 포개는 것뿐만 아니라 단부들(40t)을, 통모양으로 감아 압착부 구성 기재의 지름 방향으로 포개는 것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것처럼,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을 제조하는 다양한 공정에서 레이저 용접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제조할 때에, 압착부 구성 기재(구리 합금조)을 말아 맞대는 단부들(40t)을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a)을 따라 레이저 용접하거나 봉지부(42)에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b)을 따라 레이저 용접하고 있다. 혹은, 상술한 것처럼, 단자 접속부(20, 20Pb, 20Pd, 20Pf, 20Pg, 20Pg)와 압착부(40, 40Pa, 40Pb, 40Pd, 40Pe, 40Pf, 40Ph, 40Pi, 40')을 일체로 연결할 때에도, 레이저 용접하고 있다.
이처럼 레이저 용접을 하는 것으로, 단자 재료의 변형이 적은 연결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비접촉에서의 용접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착부에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초음파 용접이나 저항 용접 등의 접촉 용접의 경우 압흔이 남을 만한 기계적 압접이 필요하며, 응력 집중이 생기고 재료 강도가 저하해,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 압착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비접촉 용접인 고출력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기계적 압접에 비해 재료 강도의 저하가 없고, 도체 부분의 압착 때 압착부가 손상되지 않고,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용접을 접촉 용접으로 납 땜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비용이 높아지고, 초음파 접합이면 안빌과 폰이 필요하고, 저항 용접이면, 전극을 삽입할 공간이 필요하고 설비도 어마어마하게 되는 동시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접 가공에 의한 재료의 박막화에 의한 단자 압착시의 용접 기계적 강도 저하가 걱정되지만, 비접촉 용접인 레이저 용접에서는 대기 속에서 용접할 수 있어 설비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특히, 레이저 용접으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함으로써 쉽게 깊게 녹아 들어가는 용접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빔 품질이 뛰어난 집광성이 높기 때문에 고출력 밀도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어스펙트비의 깊이 녹아 들어가는 용접에 의해 재료에 여분의 열 영향을 주지 않고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파이버 레이저에는 연속 발진, 펄스 발진, QCW발진, 혹은 펄스 제어된 연속 발진되는 파이버 레이저 빔을 포함한다.
또, 압착부 구성 부재(40A)는,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구성하고, 그 후, 해당 압착부 구성 부재(40A)와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를 직렬로 일체에 연결하여 오목형 압착 단자(10)를 구성하는 때에, 해당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길이 방향(X)의 후단 측(Xb)이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한 상태로 중 어느 상태라도 좋다.
또, 압착부 구성 부재(40A)는, 해당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전선 압착부(41)에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하여 압착 접속하는 것은,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구성 한 후에,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길이 방향(X)의 후단 측(Xb)이 캐리어 K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한 상태로 중 어느 상태라도 좋고, 또,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에 대해 일체로 연결하기 전의 상태와 후의 상태 어떤 상태라도 좋다.
또, 압착부(40)는 앞에서 설명한 클로즈드 배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8(a)과 같이 오픈 배럴로 형성해도 좋다. 또, 오픈 배럴형 압착부(40')에 대해서도, 도 18(b)와 같이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한 후에 압착부(40')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해도 좋고, 또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한 상태의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해도 좋다.
도 18(a)은 오픈 배럴 형식의 압착부(40')과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하기 전에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b)은 오픈 배럴 형식의 압착부(40')와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한 상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와 전선 선단부(200a)를 접속하기 직전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도 18(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 접속한 상태의 압착부(40')과 단자 접속부(20)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40)를, 저가 금속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전선 도체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사례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이나 알루미늄 등의 저가 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고가 금속으로 된 전선 도체에 압착 접속해도 좋고, 앞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의 압착부(40)는 압착 상태에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그동안 선 사이에 물을 막기 위해 압착 후에 밀봉 등이 필요한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심선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200)을 접속해도 좋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의 다른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j)를 나타내는 도 19(a),(b)처럼, 전선 압착부(41j)는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에서 기단 측으로 이 순서로 도체 선단부(201a)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41bj)와 절연 피복(202)의 선단 측의 피복 선단부(202a)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41aj)를 정해진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도 19(a)는 다른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j)의 외관도이며, 도 19(b)는 전선 압착부(41)를 압착 전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j) 및 전선 선단부(200a)에 삽입한 상태의 전선 선단부(200a)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전선 압착부(41j)는, 피복 압착부(41aj)를 피복 선단부(202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체 압착부(41bj)를 피복 압착부(41aj)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도체 선단부(201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체 압착부(41bj)와 피복 압착부(41aj)를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속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 단자(10)에 압착한 상태에서 전선 선단부(200a)와 오목형 압착 단자(10Pj)의 전선 압착부(41j)를 단단히 밀착시킬 수 있어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j)는, 상술한 것처럼, 전선 압착부(41j)를 피복 압착부(41aj)와 피복 압착부(41aj)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 도체 압착부(41bj)로 구성했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41j)에 넣으면 도체 선단부(201a)를 도체 압착부(41bj)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피복 선단부(202a)를 감싼 압착부(41aj)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 압착부(41j)의 내부에서 도체 선단부(201a)가 꼬이거나 기울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삽입이 모자라서 전선 압착부(41j)의 내부에서 도체 선단부(201a)보다 선단 측에게 불필요한 공극이 남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오목형 압착 단자(10Pj)는, 도체 압착부(41bj)를, 피복 압착부(41aj)보다 작은 직경이고, 도체 선단부(201a)의 외경보다 살짝 큰 직경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전선 압착부(41j)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할 때, 도체 압착부(41bj)의 압착에 따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41j)에 압착한 상태에서 도체 선단부(201a)와 도체 압착부(41bj)를 단단히 밀착시킬 수 있어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체 압착부(41bj)를 피복 압착부(41aj)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전선 압착부(41j)를 압착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41j)의 내부에 빈틈이 생기지 않고, 또 압착에 따라 전선 압착부(41j)가 크게 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전선 압착부(41j)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해 침입한 수분이 전선 압착부(41j)의 내부에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인해, 전선 압착부(41j)를 압착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41j)의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오목형 압착단자(10Pk)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 연결부(50)를 박스부(21)의 바닥부, 및 압착부(40Pa)의 바닥면에 대해 들어올려 형성하고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 부착 전선(1Pk)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용접 연결부(50)을, 예를 들면 제 2 오목형 압착 단자(1Pa)에서의 용접 연결부(50)와 같이, 박스부(21)의 바닥부 및 압착부(40Pa)의 바닥면에 대해 같은 면으로 형성한(도 6(b) 참조)것이 아니라 박스부(21) 및 압착부(40)의 직교 방향(Z)(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의 높이가 되게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처럼 용접 연결부(50)를 박스부(21)의 직교 방향(Z)(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의 높이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두께 방향에서 용접 연결부(50)가 박스부(21)의 바닥면 측, 혹은 윗면 측의 어느 한쪽 측에 편재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와 비교해 필요한 형상으로 확실히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를 상형과 하형으로 되는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성형 틀에 의해 프레스 성형할 때에, 단자 접속부 구성 부재(20A)의 대향 부분(길이 방향 대향 단부(62b))과 박스부(21)의 경계 부분에, 큰 형상의 변화에 따른 국소적인 인장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그 경계 부분이 파열하지 않고 필요한 형상으로 확실히 성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압착부 구성 부재(40A)를 상형과 하형으로 되는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성형 틀에 의해 프레스 성형할 때에, 압착부 구성 부재(40A)의 대향 부분(길이 방향 대향 단부(62b))와 압착부(40)의 경계 부분에 큰 형상의 변화에 따른 국소적인 인장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그 경계 부분이 파열하지 않고 필요한 형상으로 확실히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피복 전선(200)은, 예컨대 알루미늄 심선(201)이 상술한 것처럼 0.75㎟의 단면인 경우, 즉 1.0mm의 표준 외경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1.4mm의 표준 외경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위 크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압착부(40)는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 선단부(200a)의 외경과 전선 압착부(41)의 내주면의 빈틈 사이가 남지 않게, 피복 전선(200)의 외경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내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1,1Pa, 1Pb, 1Pc, 1Pd, 1Pe, 1Pf, 1Pg, 1Ph, 1Pi, 1Pj, 1Pk: 압착 단자 부착 전선
10,10Pa, 10Pb, 10Pc, 10Pd, 10Pe, 10Pf, 10Pg, 10Ph, 10Pi, 10Pj, 10Pk: 오목형 압착 단자
20,20Pb, 20Pd, 20Pf, 20Pg, 20Pg: 단자 접속부
40,40Pa, 40Pb, 40Pd, 40Pe, 40Pf, 40Ph, 40Pi, 40': 압착부
42: 봉지부(封止部)
50: 용접 연결부
60: 대향 부분
61(61a, 61b), 62(62a, 62b), 67(67a, 67b), 72(72a, 72b): 길이 방향 대향 단부
64(64a, 64b), 65(65a, 65b), 66(66a, 66b), 68(68a, 68b), 69(69a, 69b), 71(71a, 71b), 75(75a, 75b): 직교 방향 대향면부
63(63a, 63b), 74(74a, 74b): 길이 방향 대향면부
81: 관통 구멍
85: 누름 계지부
86: 계지 돌출편부
86a: 제 1 계지 돌출편부
86b: 제 2 계지 돌출편부
201a: 도체 선단부
200: 피복 전선
201: 알루미늄 심선
202: 절연 피복
Fb: 레이저 조사부
X: 길이 방향
Xf: 길이 방향(X)의 선단 측
Xb: 길이 방향(X)의 후단 측
Y: 폭 방향
Z: 직교 방향

Claims (19)

  1.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하고,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先端部)를 갖춘 피복 전선에서 적어도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부와,
    접속 상대측 단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자 접속부를 갖춘 압착 단자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를,
    판재(板材)로 단면 중공(中空) 형상을 구성하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해서 구성하고,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판재를 면(面) 형상으로 서로 겹치도록 밀봉하는 봉지부(封止部)를 구비하면서,
    상기 봉지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용접하며,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별개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용접 연결부를 구성한 압착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한 압착 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對向)부분에,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는 직교 방향 대향면부(對向面部)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 연결부를,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에서의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끼리 겹치고, 겹친 그 직교 방향 대향면부끼리의 용접에 의해 형성한 압착 단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 그 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상기 도체 선단부를 밖에서 볼 수 있게, 상기 압착부를 구성하는 기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압착 단자.
  5. 제 4항에 있어서,
    압착 상태의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 중 상기 단자 접속부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을,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에 설정하고,
    상기 관통 구멍을, 상기 압착부에서의 상기 직교 방향 대향면부에 배치한 압착 단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길이 방향에서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대향 단부(端部)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 연결부를,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의 용접으로 형성한 압착 단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의 대향 면적보다 큰 대향 면적을 가진 상기 길이 방향 대향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 연결부를,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 대향면부끼리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면부끼리의 용접으로 형성한 압착 단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그 대향 부분끼리를 대향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 계지부(係止部)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부로 연결 고정한 계지 상태에서 상기 용접 연결부를 형성한 압착 단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 중,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압착 단자.
  10. 제 1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
  11. 제 1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12. 제 10항에 기재된 복수 개의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와이어 하니스.
  13.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하고,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를 갖춘 피복 전선에서 적어도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부와,
    접속 상대측 단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자 접속부를 갖춘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상기 판재끼리 면(面) 형상으로 서로 겹치도록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형상 가공하고,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면서,
    봉지 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봉지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용접해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하고,
    각각을 별개로 구성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서 후방측으로 이 순서로 직렬로 배치하면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한 상태로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 공정을 수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과, 상기 봉지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행하는 용접을 일괄해서 수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가 마주 보는 대향 부분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 맞대고, 맞댄 그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를 용접하는 상기 용접 공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끼리 맞댄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 편에서 조사(照射)하고,
    상기 레이저가 상기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서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에 대해서 조사하는 용접을,
    상기 레이저가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이저와, 상기 길이 방향 대향 단부들 중 적어도 한쪽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수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7. 제 13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에서 실시하는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상기 압착부에,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 공정을 행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20147022392A 2012-08-07 2013-08-07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488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4543 2012-08-07
JPJP-P-2012-174543 2012-08-07
PCT/JP2013/071419 WO2014024938A1 (ja) 2012-08-07 2013-08-07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ワイヤハーネス、並びに圧着端子の製造方法、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05A KR20140111705A (ko) 2014-09-19
KR101488464B1 true KR101488464B1 (ko) 2015-01-30

Family

ID=5006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2392A KR101488464B1 (ko) 2012-08-07 2013-08-07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1574B2 (ko)
JP (2) JP5521124B1 (ko)
KR (1) KR101488464B1 (ko)
CN (1) CN104094470B (ko)
WO (1) WO2014024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1583B (zh) * 2012-07-09 2016-04-20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连接构造体和连接器
JP5598888B1 (ja) 2013-02-22 2014-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598889B1 (ja) * 2013-02-22 2014-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製造方法、圧着端子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4129606A1 (ja) * 2013-02-23 2014-08-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電線接続構造体、及び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5607858B1 (ja) * 2013-02-24 2014-10-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接続構造体
JP2014241680A (ja) * 2013-06-11 2014-12-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端子接合構造及び抵抗溶接用電極
DE102014204358A1 (de) * 2014-03-10 2015-09-1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anordnung mit Frontschutz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4105686B3 (de) * 2014-04-23 2015-10-08 "Konfektion E" Elektronik Gmbh Elektrisches Kontaktteil und Verfahren zum Verbinden des Kontaktteils
WO2015199078A1 (ja) 2014-06-23 2015-12-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電線接続構造体
DE102014109604B4 (de) * 2014-07-09 2023-12-07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ierung eines Litzenleiters
US9859627B2 (en) * 2016-04-26 2018-01-02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terminal fitting and connection method of terminal fitting
JP2016046176A (ja) * 2014-08-25 2016-04-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溶接継手、該溶接継手を備える端子、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端子の製造方法
US10038292B2 (en) 2014-09-03 2018-07-31 Yazaki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insulated wires
AT516232B1 (de) * 2014-09-10 2016-08-15 Gebauer & Griller Kabelwerke Ges M B H Verfahren zur Verbindung eines Kabelendes mit einem Verbindungselement
JP6439388B2 (ja) * 2014-11-05 2018-12-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DE102015210458A1 (de) * 2015-06-08 2016-12-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ein unedles Metall aufweisenden Leiters mit einem Kupfer aufweisenden Anschlusselement mittels Verschweißen sowie eine dadurch hergestellte Anschlussanordnung
FR3039007B1 (fr) * 2015-07-13 2019-10-11 VM Industries Organ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elements de cablage electrique
US9941615B2 (en) * 2015-08-05 2018-04-10 Yazaki Corporation Terminal and connector
JP6610392B2 (ja) 2016-04-07 2019-11-27 住友電装株式会社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17117367A1 (de) * 2017-08-01 2019-02-07 Yazaki Systems Technologies Gmbh Kontakt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 einer Kontakteinrichtung
DE112018005377T5 (de) * 2017-09-21 2020-06-18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Mit einem Anschluss ausgerüsteter Draht
DE102017123864B3 (de) * 2017-10-13 2019-04-04 Lisa Dräxlmaier GmbH Elektrische Leitungsanordnung mit Direktkontaktier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8616017B (zh) * 2018-03-26 2020-07-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转接连接器
JP2020017407A (ja) * 2018-07-25 2020-01-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線圧着端子、圧着装置、および圧着方法
JP7110261B2 (ja) * 2020-03-18 2022-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539A (ko) * 2001-09-13 2003-03-19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피복 전선용 압착 단자
KR20060124564A (ko) * 2005-05-30 2006-12-0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KR20130080039A (ko) * 2010-10-12 2013-07-11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KR20130122668A (ko) * 2011-03-31 2013-11-07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044A (en) * 1970-12-03 1976-05-04 Amp Incorporated Corrosion proof terminal for aluminum wire
DE2713894C3 (de) * 1977-03-29 1981-04-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ehrpoliger Steckverbinder
JPS5475091A (en) * 1977-11-28 1979-06-15 Sumitomo Electric Ind Ltd Production of compression type terminal
SU813573A1 (ru) * 1978-09-19 1981-03-15 Московские Отделы Специальног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бюро Tpecta "Электросетьизоляц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контактногозАжиМА
JPS5591578A (en) * 1978-12-30 1980-07-1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Method of connecting split conductor cables in same diameter
JP3644071B2 (ja) * 1995-02-24 2005-04-27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磁機器
JP3019822U (ja) 1995-04-06 1996-01-12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電線接続端子
JP3325221B2 (ja) * 1998-03-02 2002-09-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のレーザ溶接構造
JP2000299140A (ja) * 1999-04-15 2000-10-24 Yazaki Corp 電線と接続端子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3994822B2 (ja) * 2002-08-08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JP2004111058A (ja) * 2002-09-13 2004-04-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電線用端子及びコネクタ
JP4413491B2 (ja) 2002-12-11 2010-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接続端子との接続方法
JP4374187B2 (ja) * 2002-12-20 2009-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と被覆電線との接続方法
JP4224020B2 (ja) * 2004-12-24 2009-02-12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の接続方法
JP4592460B2 (ja) * 2005-03-23 2010-12-0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06009035A1 (de) * 2005-02-28 2006-09-07 Yazaki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klemme und durch das Verfahren hergestellte Metallklemme
US7947904B2 (en) 2005-04-01 2011-05-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Conductor and wire harness
JP5024948B2 (ja) * 2007-11-16 2012-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と端子との圧着構造
US7905755B1 (en) * 2009-09-18 2011-03-15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terminal connection with sealed core crimp
US20110177727A1 (en) * 2010-01-18 2011-07-21 Weiping Zhao Aluminum conductor and conductive terminal connection
JP4977768B2 (ja) * 2010-03-12 2012-07-18 矢崎総業株式会社 複数種の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5557378B2 (ja) * 2010-03-23 2014-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圧着構造
WO2011122622A1 (ja) * 2010-03-30 2011-10-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接続構造体及びコネクタ
JP2011210593A (ja) * 2010-03-30 2011-10-2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9335A (ja) * 2010-06-25 2012-01-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5679551B2 (ja) * 2010-10-07 2015-03-0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US8826533B2 (en) * 2011-06-24 2014-09-09 Delphi Technologies, Inc. Crimp connection to aluminum cable
US8485853B2 (en) * 2011-11-03 2013-07-1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knurl pattern with recessed rhombic elements that each have an axial minor distance
US8622774B2 (en) * 2011-11-07 2014-01-0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channel with angled sidewalls and romboid knurl pattern
JP5909345B2 (ja) * 2011-11-11 2016-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539A (ko) * 2001-09-13 2003-03-19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피복 전선용 압착 단자
KR20060124564A (ko) * 2005-05-30 2006-12-0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KR20130080039A (ko) * 2010-10-12 2013-07-11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KR20130122668A (ko) * 2011-03-31 2013-11-07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4991A1 (en) 2015-03-05
CN104094470B (zh) 2015-10-21
KR20140111705A (ko) 2014-09-19
JP6284393B2 (ja) 2018-02-28
JP2014143205A (ja) 2014-08-07
CN104094470A (zh) 2014-10-08
JPWO2014024938A1 (ja) 2016-07-25
JP5521124B1 (ja) 2014-06-11
WO2014024938A1 (ja) 2014-02-13
US9281574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64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488468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EP2871718B1 (en) Pressure-fixing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N105580202B (zh) 用于在电线路与导电构件之间建立导电连接的方法
KR101487368B1 (ko) 압착 단자, 압착 접속 구조체 및 압착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477727B1 (ko) 압착 단자, 압착 접속 구조체 및 압착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07453182B (zh) 具有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US1161633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horn chip used in the method and cable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method
US1148930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attached electric wire and terminal-attached electric wire
JP6200366B2 (ja) 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CN113437607B (zh) 带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以及带端子的电线
JP6133080B2 (ja)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電線接続構造体、並びに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655468B2 (ja) 雄型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JP6310303B2 (ja) 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522872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182426B2 (ja)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22040491A (ja) 圧接構造、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77946A (ja) 圧着端子の電線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