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039A -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039A
KR20130080039A KR1020137009272A KR20137009272A KR20130080039A KR 20130080039 A KR20130080039 A KR 20130080039A KR 1020137009272 A KR1020137009272 A KR 1020137009272A KR 20137009272 A KR20137009272 A KR 20137009272A KR 20130080039 A KR20130080039 A KR 2013008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re
connector terminal
wire conn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396B1 (ko
Inventor
케이 사토
신지 코다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연결 부분이 수지로 덮이더라도,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단자를 쉽게 삽입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뒤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1)의 전선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커넥터 단자(1)는 전방 부분에서 대응 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전기 연결 영역(2)을 구비하고, 후방 부분에서 전선(W) 종단으로 압착되고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3)을 구비하며, 전선 연결 영역(3)은 바닥면 및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 쌍(3b)으로부터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형상 구조를 띠도록 형성된다. 도체 맨끝에서부터 도체가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절연 피복(Wb)이 제거된 전선(W)의 도체(Wa)는, 크림핑 피스(3b)쌍에 의해 압착되고 연결되며, 도체(Wa) 맨끝에서부터 절연 피복(Wb)의 종단을 포함하는 위치까지 범위의 영역은 수지(8)로 덮인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ELECTRICAL WIRE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TERMINAL}
본 발명은 뒤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에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일반적인 커넥터 단자(201)는 전방 측에서 미도시된 대응 단자 및 그 유사 요소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 영역(202)을 구비한다. 게다가, 일반적인 커넥터 단자(201)는 전선(W) 종단으로 압착 되고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으로서, 후방측에서 전방측 도체 크림핑(crimping) 영역(203)과 후방측 클래딩 크림핑 영역(204)을 구비한다. 도체 크림핑 영역(203)은 바닥면(미도시)과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 쌍(203b,203b)으로부터 형성된다. 클래딩 크림핑 영역(204)은 바닥면(미도시) 및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쌍(204b, 204b)으로부터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단면에서 볼 때 U 형상을 띤다. 도체 크림핑 영역(203) 및 클래딩 크림핑 영역(204)은 공통의 연속적인 바닥면을 구비한다.
상기 형태의 커넥터 단자(201)를 전선(W)의 종단에 연결하기 위해, 전선(W)의 절연 피복(Wb)이 도체 크림핑 영역(203)으로 압착되는데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어, 절연 피복(Wb)에서 도체(Wa)가 노출되게 한다. 따라서, 노출되는 도체(Wa)는 도체 크림핑 영역(203)의 바닥면 위에 놓이고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Wa)의 부분 또한 클래딩 크림핑 영역(204)의 바닥면 위에 놓인다. 도체 크림핑 영역(203)의 크림핑 피스 쌍(203b. 203b)과 클래딩 크림핑 영역(204)의 크림핑 피스 쌍(204b, 204b)은 안으로 둥글게 말려 크림핑 피스들을 압착하여 도체 (Wa)와 절연 피복(Wb)으로 덮힌 도체(Wa)의 부분을 감싸도록 한다. 커넥터 단자(201) 및 전선(W) 또한 상기 구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도체(Wa)는 필요한 경우, 도체(Wa)의 노출된 전체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전선의 연결 부분을 수지(8)로 코팅 혹은 성형하여, 부식으로부터 보호되고 방수된다. 특히, 전선(W)의 도체(Wa)가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면, 상기 수지 밀봉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 단자가 구리 혹은 구리 합금으로부터 형성되면, 이재 금속(dissimilar metal)간의 접합은, 수분이 접합부에 부착되는 경우, 전기 부식을 겪게 될 수 있다. 접합부는 수지(8)로 덮여 전기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단자의 전선 연결 부분을 수지으로 덮는 것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잘 알려져 있다.
JP-A-2010-97704
한편, 단자의 전선 연결 부분이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수지로 덮이면, 덮힌 부분의 단면은 커진다. 따라서,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에 삽입되려고 할 때, 수지로 덮힌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과 간섭하여, 종종 단자 삽입을 어렵게 하거나 방해한다. 특히, 단면이 가장 커지는 단자의 부분은, 절연 피복으로 덮힌 전선 연결 부분의 부분이 수지로 추가 코팅되는 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부분이 너무 크다면, 단자를 단자 수용 챔버에 삽입할 때의 용이성이 종종 악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조건으로부터 착안되었고, 전선 연결 부분이 수지로 코팅되더라도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는 아래에 기재된 항목 (1) 내지 (7)을 특징으로 한다.
(1) 전선의 종단이, 뒤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의 후단으로 압착되고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커넥터 단자는, 전방 부분에서는 대응 단자와 연결되는 전기 연결 영역을 구비하고, 후방 부분에서는 전선의 종단으로 압착되고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을 구비하며, 전선 연결 영역은 바닥면 및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쌍으로부터,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 형상의 구조를 띠도록 형성되며;
전선 종단의 절연 피복은 전선의 맨 끝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돌출하는 위치까지 제거되고;
절연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전선의 도체가 전선 연결 영역의 바닥면의 상부 표면위에 놓이고,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 쌍이 안으로 구부러져 도체를 감싸고, 따라서 도체는 압착되고 연결되어 바닥면의 상부표면과 가까이 접촉하게 되고, 도체의 끝에서부터 전선 연결 영역에 연결되는 도체 부분을 거쳐, 절연 피복의 에지를 포함하는 위치까지 범위의 영역은, 수지로 덮인다.
(2) (1)과 관련하여 기재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 연결 영역은 전방 부분에서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을 구비하고, 후방 부분에서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을 구비하며;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은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도체 크림핑 피스 쌍들을 구비하고,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은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도체 크림핑 피스 쌍들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의 바닥면까기 영역은 공통의 바닥면으로 형성된다.
(3) 전선 종단이 뒤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의 후단에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커넥터 단자는 전방 부분에서 대응 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전기 연결 영역을 구비하고, 후방 부분에서는 전선 종단으로 압착되고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을 구비하며, 그리고 전선 연결 영역은 바닥면 및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 쌍으로부터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형 구조를 띠도록 형성된다;
전선 종단의 도체와 절연 피복으로 덮힌 도체의 부분이 전선 연결 영역의 바닥면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이고,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 쌍은 안으로 구부러져 도체 및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을 감싸므로, 도체 및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은 압착 되어 바닥면의 상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절연 피복으로 덮힌 도체의 부분을 감싸도록 압착된 영역의 단면은, 전선 연결 영역으로부터 뒤로 연장되는 전선의 단면보다 더 작아진다.
(4)(3)과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도체 끝에서부터 전선 연결의 후단을 포함하는 위치까지는 수지로 덮인다.
(5) (3) 또는 (4)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면취 부분이 크림핑 피스 쌍의 상부 에지와 후방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각 코너에서 제공된다.
(6)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기술된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철층이, 절연 피복으로 덮힌 도체의 부분에 접촉하는 전선 연결 영역의 내피 영역에서 제공되고, 크림핑 피스 쌍이 도체 및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으로 압착되므로, 요철층은 절연 피복을 파고든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기술된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의 종단이 압착되고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전기 연결 영역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다.
(1)과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의 절연 피복은 전선 종단의 끝에서부터, 전선이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의 후단으로부터 뒤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제거된다. 따라서, 단자 수용 챔버에서 수용되는 전선의 부분은 절연 피복이 없는 단지 도체로서 역할을 한다. 특정적으로, 절연 피복으로 덮힌 전선의 부분이 수용되는 동안 전선이 단자 수용 챔버에 수용되고 커넥터 단자에 의해 압착되면, 전선의 압착된 부분의 단면이 절연 피복의 두께에 대응하는 양으로 더욱 커진다. 반면, 커넥터 단자가 절연 피복없이 도체에대해서만 압착되면, 전선의 압착된 부분의 단면은 따라서 제거되는 절연 피복 두께에 대응하는 양 정도로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단자 및 전선간의 연결이 추가적으로 밀봉 수지로 덮이더라도, 수지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의 단면은 작게 유지될 수 있어, 커넥터 단자는 쉽고 부드럽게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된다. 이것은 또한 커넥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커넥터 단자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전선의 부분이 오로지 도체이므로, 해당 부분은 절연 피복의 두께와 동등한 두께로 수지 코팅될 수 있다. 커넥터 단자의 바닥에 근접한 전선의 바닥측 또한 수지로 코팅될 수 있고 따라서 도체 전체 둘레가 수지로 싸이고, 도체의 노출된 부분은 실패없이 수지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 및 전선의 도체가 이재 금속으로 형성되면, 이재 금속간의 접촉에 있어서의 전기 부식이 수지의 밀봉 효과에 의해 억제된다. 게다가, 도체의 전체 노출 부분이 수지로 덮이므로, 도체의 부식이 억제되고 전선에 대한 방수(도체의 코어선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예방) 또한 가능하다.
밀봉 수지가 도체의 맨끝에서부터 제거 이후 형성된 절연 피복의 종단을 포함하는 위치까지 범위를 덮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의 후단으로부터 제거 이후 형성된 절연 피복의 종단까지 범위에서 도체만의 강도와 유연성이 수지 코팅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게다가 전선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도체는 수지에 의해 유연하게 보호될 수 있다.
(2)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 연결 영역은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과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으로 구성되어, 도체를 지지하는 힘이 증강된다.
(3)과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절연 피복으로 덮인 전선의 종단 부분이, 전선 연결 영역 수단에 의해 노출된 도체와 함께 압착되어, 절연 피복으로 덮인 압착된 부분의 단면은, 전선 연결 영역으로부터 후방 연장되는 전선의 단면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전선 연결 영역이 수지로 코팅되더라도, 수지를 포함하는 전선의 단면은 작게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커넥터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하는 것이 쉽게, 부드럽게 수행된다. 게다가,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 부분이 도체와 함께 전선 연결 영역에 의해 압착되므로, 도체의 노출 부분이 최소화되어, 연결 영역이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도체가 수지로 덮이더라도 수지 코팅 및 몰딩 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4)에서 정의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도체의 맨끝으로부터 전선 연결 영역의 후단을 포함하는 위치까지의 범위, 따라서 도체와 커넥터 단자간의 연결 영역이 전기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5)에서 정의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면취 부분이 크림핑 피스 쌍의 상부 에지 및 후방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각 코너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크림핑 피스들의 코너가 전선을 파고 드는 정도가 감소되어, 전선의 절연 피복에 쉽게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6)에서 정의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 연결 영역의 내피상의 요철층이 전선의 절연 피복을 파고 든다. 따라서, 전선 연결 영역의 내피와 절연 피복간의 점착이 증강된다. 게다가 전선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요철층이 연장된다. 물이 전선 연결 영역의 후단으로부터 도체로 깊이 들어가기 시작하는 순간에도, 물의 침수 채널이 절연 피복을 파고드는 요철부로 인해 형성된 복합 접촉 구조에 의해 폐쇄 되어, 침수는 차단되고 도체 부식이 억제된다.
(7)과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의 종단이 압착되고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전기 연결 영역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다. 따라서, 전선 연결 영역과 그 주위는,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될 때, 커넥터 하우징과 간섭하지 않고, 커넥터 단자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연결 부분이 수지로 덮이더라도 커넥터 단자는 쉽게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쉽게 삽입된다.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남아 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 단자와 전선의 도체가 이재 금속으로부터 형성되는 때 발생하는, 전선의 도체의 부식 혹은 접합의 전기 부식 가능성이 제거될 수 있고, 도체의 방수성 또한 증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간단하게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들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기술될,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실시예들을 정독함으로써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를 개시하여, 도 1(a)는 커넥터 단자가 전선의 종단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려는 순간을 개시하고, 도 1(b)는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챔버의 측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가 생산되는 것을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으로, 도 2(a)는 절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도체가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영역상에 위치하기 시작하려는 순간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체가 전선 연결 영역상에 위치한 후, 전선이 압착되고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들과 연결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전선의 연결 부분이 수지로 추가 코팅되는 것(2점 쇄선으로 표시됨)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c)에 개시된 화살표 IIIa-IIIa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고, 도 3(b)는 도 2(c)에서 보여진 화살표 IIIb-IIIb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다.
도 4는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의 부분이 수지로부터 성형되는 순간을 개시한다.
도 5는 클래딩 크림핑 영역의 부재(absence)에 대한 보상이, 커넥터 단자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체를 수지로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이 커넥터 단자에 적용되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일반적인 단자와 마찬가지로, 도체 크림핑 영역과 클래딩 크림핑 영역을 구비하고, 도 6(a)는 도체가 도체 크림핑 영역과 클래딩 크림핑 영역과 함께 압착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되는 화살표 VIb-VIb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에서 보여지는 VIc-VIc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도이며, 도 6(d)는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 부분이 수지로 추가적으로 덮이는 것(2점 쇄선으로 표시됨)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를 개시하며, 도 7(a)는 커넥터 단자가 전선 종단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려는 순간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챔버의 측단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가 생산되는 것을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으로서, 도 8(a)는 절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도체가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영역 상에 위치하기 시작하는 순간을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체가 전선 연결 영역 상에 위치한 이후, 전선이 압착 되어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와 연결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c)는 압착된 전선의 연결 부분이 수지로 추가 코팅되는 것(2점 쇄선으로 표시됨)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위로부터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영역 수단에 의해 전선이 압착되고 연결되는 영역을 개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0(a)는 도 8(c)에서 보여지는 화살표 Xa-Xa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고, 도 10(b)는 도 8(c)에서 보여지는 화살표 Xb-Xb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영역을 생산하기 위한 수지 주형 다이 어셈블리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며, 도 11(a)는 하부 주형 및 상부 주형간의 관계를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보여지는 화살표 XIb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상부 주형의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영역에 의해 전선이 압착되고 연결되는 영역의 상면도이고, 도 12(a)는 크림핑 피스의 코너가 면취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b)는 크림핑 피스의 코너가 면취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제 3 실시예에서 사용된 커넥터 단자의 전개도이며, 도 13(b)는 도 13(a)에서 보여지는 화살표 XIIIb-XIIIb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커넥터 단자의 단면이다.
도 1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 단자가 전선에 연결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 측을 전방 측으로 두고, 전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의 다른 측은 후방 측으로 둔다.
<제 1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를 개시하며, 도 1(a)는 커넥터 단자가 전선의 종단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려는 순간을 개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챔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가 생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으로서, 도 2(a)는 절연 피복이 벗겨지는 전선의 도체가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영역 상에 위치하려는 순간을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체가 전선 연결 영역 상에 위치한 이후, 전선이 압착되고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와 연결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전선의 연결 부분이 수지로 추가 코팅되는 것(2점 쇄선으로 표시됨)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c)에서 보여지는 화살표 IIIa-IIIa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고, 도 3(b)는 도 2(c)에서 보여지는 화살표 IIIb-IIIb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다.
제 1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는, 전선(W)의 종단을, 뒤쪽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1)의 후단으로 압착하여고, 성형 수지(8)로 커넥터 단자가 연결되는 단자 수용 챔버(11)의 부분을 밀봉하여, 실현된다.
우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의 종단의 절연 피복 (Wb)이 전선(W)의 종단의 맨끝에서부터, 전선(W)이 전선 연결 구조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11)의 후단으로부터 뒤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제거된다. 커넥터 단자(1)가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에 수용될 때 획득되는, 커넥터 단자(1)의 후단에서부터 단자 수용 챔버(11)의 후단까지의 거리를 L1으로 가정하고, 커넥터 단자(1)의 후단으로부터, 전선(W)이 커넥터 단자(1)에 연결되는 동안 달성되는 절연 피복(Wb)의 에지까지 거리 L2는, L1 < L2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도체(Wa)는, L3=L2-L1의 치수로 노출된 상태로, 단자 수용 챔버(11)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된다.
한편, 커넥터 단자(1)는 종방향을 따라 전방 부분에서 대응하는 커넥터의 단자에 연결되는 전기 연결 영역(2)을 구비하고, 후방 부분에서는 전선(W)의 종단의 도체(Wa)에 압착되는 전선 연결 영역(3)을 구비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연결 영역(3)이 형성되어, 전기 연결 영역(2), 그리고 바닥면(3a)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고, 바닥면(3a)의 내피 위에 놓여지는 도체(Wa)를 감싸기 위해 압착되는, 크림핑 피스 쌍(3b, 3b)에서 이어지는 바닥면(3a)으로부터의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 형상의 구조를 띄게 된다.
제 1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는 이하와 같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피복(Wb)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전선(W)의 도체(Wa)가 커넥터 단자(1)의 전선 연결 영역(3)의 바닥면(3a)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이게 된다. 크림핑 피스 쌍(3b, 3b)들은 안으로 구부러져 도체(Wa)를 감싸고 압착되어 도체(Wa)는 바닥면(3a) 상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Wa)의 맨끝에서부터 커넥터 단자(1)에 압착되는 도체(Wa)의 부분을 거쳐, 제거 이후 형성되는 절연 피복(Wb)의 에지까지 범위의 영역은 수지(8)로 밀봉된다. 전선 연결 영역(3)에 대응하는 전선 연결 구조의 부분은 이번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단면을 띄고,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전선(W)의 부분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단면을 띈다.
다이 어셈블리 사용과 관련한 코팅 방법 또는 몰딩 방법이, 수지(8) 코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다이 어셈블리 사용과 관련한 몰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선(W)의 종단에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1)가 하부 주형(101)의 캐비티(103)에 설정되고, 상부 주형(102)은 하부 주형 위에 놓여 다이 어셈블리를 폐쇄한다. 용융된 수지는 상부 주형(102)의 주입구(104)로부터 폐쇄된 다이 어셈블리로 부어진다. 상부 주형(102)은 도면에서는 생략된 파티션 벽을 가진 것으로 가정하여, 수지가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과잉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지(8)는 따라서 부어지고 경화되어, 전선 연결 구조(3) 및 도체(Wa)가 수지로 밀봉되는 전선 연결 구조가 완성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그 유사물들이 사용되는 수지(8)의 한 형태로 명명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되는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전선(W)의 절연 피복(Wb)은, 전선(W)의 종단 맨끝에서부터, 전선이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제거된다. 단자 수용 챔버(11)에 수용되는 전선(W)의 부분은 오직 절연 피복(Wb)으로 덮이지 않은 도체(Wa)의 부분으로 제한될 수 있다. 부분의 단면은, 도체가 절연 피복(Wb)으로 덮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의 경우, 도체(Wa)가 절연 피복(Wb)으로 덮이는 위치까지 도체(Wa)가 단자 수용 챔버(11)에 수용되는 동안 전선이 커넥터 단자(1)에 압착되면, 압착된 부분의 단면은 절연 피복(Wb)의 두께에 상당한 양만큼 커진다. 커넥터 단자(1)가 절연 피복(Wb)없이 도체(Wa)만이 노출되는 영역으로 압착되면, 압착된 영역의 단면은 제거된 절연 피복의 두께에 상응하는 양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1)가 전선(W)에 연결되는 영역이 수지(8)로 밀봉되는 경우에도, 수지(8)를 포함하는 전선(W)의 단면은 작게 유지될 수 있어, 커넥터 단자는 쉽게 부드럽게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 단자(1)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전선 (W)의 부분은 도체(Wa)뿐이기 때문에, 상기 부분은 절연 피복(Wb)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수지(8) 코팅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 단자(1)의 바닥 표면 측에 근접한 전선 W의 바닥 표면 측에도 수지(8)가 제공될 수 있다. 도체(Wa)의 전체 둘레를 수지(8)가 감싸게 되어, 도체(Wa)의 노출된 부분은 실패없이 수지(8)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이유로 인해, 커넥터 단자(1) 및 전선(W)의 도체(Wa)가 이재 금속으로부터 형성되더라도(예를 들면, 커넥터 단자(1)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되고 전선의 도체(Wa)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때), 이재 금속 간의 접촉의 전기 부식이 수지(8)의 밀봉 효과로 인해 예방된다. 게다가 도체(Wa)의 전체 노출 부분이 수지(8)로 덮이기 때문에, 도체(Wa)의 부식은 억제되고, 전선(W)는 방수된다(물이 도체(Wa)의 코어선 사이의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수지(8)가 도체(Wa)의 맨끝에서부터, 제거 이후 형성된 절연 피복(Wb)의 에지를 포함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를 덮기 때문에, 코팅용 수지(8)는, 도체(Wa)만이 노출되는, 커넥터 단자(1)의 후단으로부터 제거 이후 형성된 절연 피복의 에지까지 범위의 강도 및 유연성을 보상할 수 있다. 게다가, 전선(W)이 2점 쇄선으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구부러지면, 도체(Wa)는 수지(8)에 의해 유연하게 보호된다.
<제 2 실시예>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이 커넥터 단자에 적용되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일반적인 단자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체 크림핑 영역 및 클래딩 크림핑 영역을 구비하고, 도 6(a)는 도체가 도체 크림핑 영역과 클래딩 크림핑 영역으로 압착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나는 화살표 VIb-VIb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고, 도 6(c)는 도 6(a)에서 나타나는 화살표 VIc-VIc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며, 도 6(d)는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의 부분이 추가적으로 수지로 덮이는 것(2점 쇄선으로 표시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1)는 전선 연결 영역으로서 오로지 도체 크림핑 영역만을 구비한다. 반면, 제 2 실시예에서 채택된 커넥터 단자(1B)의 전선 연결 영역(3B)은 앞발로서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31)과 뒷발로서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31)뒤에 위치한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을 구비한다.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은 종래 단자에서 클래딩 크림핑 영역에 상당한다.
종래 기술에서 클래딩 크림핑 영역으로 제공되는 뒷발은 제 2 실시예에서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으로 사용된다. 절연 피복(Wb)이 종래 기술에서보다 길게 절단된 결과로 노출되는 도체(Wa)는, 바닥면(32a) 및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의 도체 크림핑 피스(32b) 쌍에 의해 압착 된다.
어떤 경우에는, 도 6(c)에 도시된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의 단면이, 도 6(b)에 나타난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31)의 단면에 상당하거나 그보다 작도록, 압착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31)의 높이를 CH1으로;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31)의 폭은 CW1;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의 높이는 CH2;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의 폭은 CW2로 가정하면,
CH1≥CH2
CW1≥CW2 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는, 절연 피복(Wb)을 제거한 결과 노출되는 전선(W)의 도체(Wa)를, 커넥터 단자(1)의,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31)의 바닥면(31a)의 상부 표면과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의 바닥면(32a)의 상부 표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도체 크림핑 피스 쌍(31b, 32b)을 안으로 구부려서 도체(Wa)를 감싸게 하고; 도체 (Wa)를 압착하여 도체(Wa)가 바닥면(31a)의 상부 표면 및 바닥면(32a)의 상부 표면과 밀접한 접촉 상태로 남게 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Wa)의 맨끝에서부터, 도체(Wa)가 커넥터 단자(1)에 압착 되는 영역을 거쳐, 제거 이후 형성된 절연 피복(Wb)의 에지를 포함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를 수지(8)로 덮는다.
제 1 실시예에서 수확되는 것과 유사한 작업 효과는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도 수확될 수 있다. 특히, 제 2 실시예에서, 도체(Wa)를 지지하기 위한 힘을 증강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32)을 제공한 결과로서 획득된다.
<제 3 실시예>
도 7(a) 및 도 7(b) 는 제 3 실시예의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를 개시하며, 도 7(a) 는 커넥터 단자가 전선 종단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막 삽입되려는 순간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챔버의 측 단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가 생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며, 도 8(a)는 절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도체가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영역 상에 위치하려는 순간을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체가 전선 연결 영역 상에 위치한 이후, 전선이 압착되고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들과 연결되는 것을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c)는 전선의 연결 부분이 수지로 추가적으로 코팅되는 것(2점 쇄선으로 표시됨)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영역에 의해 전선이 압착 되고 연결되는 영역을 개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0(a)는 도 8(c)에서 나타나는 화살표 Xa-Xa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고, 도 10(b)는 도 8(c)에서 보았을 때 화살표 Xb-Xb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단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영역을 생산하는 수지 주형 다이 어셈블리의 구조적 다이어그램으로, 도 11(a)는 하부 주형 및 상부 주형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1(b)는 도 11(b)에서 나타나는 화살표 XIb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획득되는 상부 주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는 전선(W)의 종단이 압착되고 커넥터 단자(1C)의 후단에 연결되어,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로 뒤에서부터 삽입되며, 그리고 전선(W)의 종단이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1C)의 부분이 성형 수지(8)로 밀봉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서 채택되는 커넥터 단자(1C)는 전방 부분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전기 연결 영역(2)을 구비하고, 후방 부분에서는 전선(W)의 종단의 도체(Wa)로 압착되는 긴 전선 연결 영역(5)을 구비한다. 전선 연결 영역(5)은, 바닥면(5a)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어 바닥면(5a)의 내피위에 놓이는 전선(W)의 종단을 감싸도록 압착되는 크림핑 피스 쌍(5b,5b)과 전기 연결 영역(2)으로부터 이어지는 바닥면(5a)에서부터 단면을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U 형상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전선 연결 구조는, 절연 피복(Wb)를 제거한 결과 노출되는 전선(W)의 도체(Wa)와,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 부분을 둘 다, 커넥터 단자(1C)의 전선 연결 영역(5)의 바닥면(5a) 상부 표면상에 두는 것으로 실시되고, 상기 상태에서 크림핑 피스 쌍(5b,5b)을 안으로 구부려서 도체(Wa)와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Wa)의 부분을 함께 감싸고, 도체(Wa)와 절연 피복(Wb)을 압착하여 바닥면(5a)의 상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도 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체(Wa)의 맨끝에서부터 전선 연결 영역(5)의 후단을 포함하는 부분까지의 범위를 수지(8)로 덮는다. 다이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코팅 방법 또는 몰딩 방법 중 하나가, 도체 및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을 수지(8)로 덮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전선 연결 영역(5)에서, 전선(W)의 종단의 도체(Wa)와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이 압착되어 전선 연결 영역(5)으로부터 후방 연장하는 전선(W)의 단면보다 작아진다. 즉, 하기한 바와 같은 관계가 있다: 전선(W)의 단면 크기>전선 연결 영역(5)의 단면 크기. 도체(Wa)로 압착되는 전선 연결 영역(5)의 부분은 이번에는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면 양상을 보여준다. 게다가, 절연 피복(Wb)에 압착된 전선 연결 영역(5) 부분은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면 양상을 보여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연결 영역(5)로 삽입되는 절연 피복(Wb)의 길이(S2)는 최대로는 전선 연결 영역(5)의 전체 길이(S1)의 약 1/2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다이 어셈블리가 상기 경우에 사용되는 크림핑 다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난 크림핑 다이 어셈블리에서, 전선 연결 영역(5)의 바닥면(5a)을 수용하는 움푹 들어간 그루브(111)가 하부 주형(110)에서 형성되고, 크림핑 피스 쌍(5b, 5b)을 안쪽으로 구부리기 위한 크림핑 그루브(121)는 상부 주형(120)에 형성된다.
크림핑 그루브(121)은 2개의 우묵한 곡선의 그루브(122, 122)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크림핑 피스 쌍(5b,5b)만을 도체 Wa에 압착 하는 크림핑 그루브(121)의 전방 부분에서, 우묵한 곡선 그루브(122,122)는 깊고, 곡선 그루브 간의 경계 역할을 하는 피크는 높게 형성된다. 크림핑 피스(5b,5b) 쌍을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Wa)의 부분으로 압착하는 후방 부분에서, 우묵한 곡선 그루브(122,122)는 대조적으로, 경계 역할을 하는 피크가 낮아지도록, 얕게 형성된다.
크림핑 다이 어셈블리(하부 주형(110) 및 상부 주형(120))를 사용한 결과, 도체(Wa)가 압착 되는 영역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피스 쌍(5b,5b)의 맨끝이 도체(Wa)를 파고드는 단면 구조 양상을 보여주고, 절연 피복(Wb)이 압착 되는 영역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피스 쌍(5b,5b)의 맨끝이 단지 서로 맞닿아 있고 절연 피복(Wb)을 파고들지 않는 단면 구조의 양상을 보여준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단자(1C)의 전선 연결 구조에서,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전선(W)의 종단 영역은 노출된 도체(Wa)와 함께 전선 연결 영역(5)에 압착된다. 코팅이 압착되는 영역의 단면은 전선 연결 영역(5)으로부터 후방 연장되는 전선(W)의 단면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전선 연결 영역이 수지(8)로 코팅되더라도, 수지(8)를 포함하는 단면은 작게 유지될 수 있어서, 커넥터 단자(1C)는 쉽고 부드럽게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챔버(11)로 삽입될 수 있다.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이 도체의 노출된 부분과 함께 전선 연결 영역(5)에 의해 또한 압착되므로, 도체(Wa)의 노출된 부분의 영역은 최소화되고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가 수지(8)로 덮이더라도, 쉽게 수지 성형 및 수지 코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도체(Wa)의 맨끝에서부터 전선 연결 영역(5)의 후단을 포함하는 위치까지 커넥터 단자 영역이 수지(8)로 덮이기 때문에, 도체(Wa)와 커넥터 단자(1C)간의 접촉에 있어서 전기 부식이 예방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절단된 면취 영역(5c)이,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형상 구조를 띠고 있는 전선 연결 영역(5)을 구성하는, 크림핑 피스 쌍(5b,5b)의 상부 및 후방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각 코너에 형성되면, 크림핑 피스(5b,5b)의 코너가 전선(W)을 파고드는 정도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된 부분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되어, 전선(W)의 절연 피복(Wb)에 흠집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층(5f)이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의 부분을 접촉하게 되는 전선 연결 영역(5)의 내피 영역에서 형성된다. 크림핑 피스(5b)는 도체(Wa)와 절연 피복(Wb)으로 덮인 도체 부분에 압착되어, 요철층(5f)이 절연 피복(Wb)을 파고들도록 유발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전선 연결 영역(5)의 내피와 절연 피복(Wb)의 점착이 더욱 증강될 수 있다. 게다가 요철층(5f)은 전선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물이 전선 연결 영역(5)의 후단으로부터 도체(Wa)로 깊숙히 침투하려는 순간에도, 침수 채널이 요철층(5f)이 절연 피복(Wb)을 파고드는 영역의 복합 접촉 구조에 의해 폐쇄될 수 있어, 따라서 침수가 저지되고 도체(Wa) 부식이 억제된다. 게다가, 도체(Wa)에 접촉하는 전선 연결 영역(5)의 내피 영역(5e)에 세레이션(serration)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하다면 변경, 개선 및 그와 유사하게 변화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임의적이며, 본 발명을 이행한다면 재료, 형상, 치수, 양, 위치등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개선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겐 자명한 사항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0년 10월 12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JP-2010-229959)에 기초하였으며, 그 주제는 전체적으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1, 1B, 1C : 커넥터 단자
2 : 전기 연결 영역
3, 3B : 전선 연결 영역
3a : 바닥면
3b : 크림핑 피스
31 :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
32 :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
31a, 32a : 바닥면
31b, 32b : 도체 크림핑 피스
5 ; 전선 연결 영역
5a : 바닥면
5b : 크림핑 피스
8 : 수지
10 : 커넥터 하우징
W : 전선
Wa : 도체
Wb : 절연 피복

Claims (8)

  1.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전선의 종단이, 뒤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의 후단으로 압착되고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전방 부분에서 대응 단자와 연결되는 전기 연결 영역, 그리고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 부분에서 압착되고 상기 전선의 후단에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 에지에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 쌍으로부터 형성되어,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형상 구조를 띠며;
    상기 전선 종단의 절연 피복이, 전선의 맨끝에서부터 전선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단자 수용 챔버의 후단에서 후방 돌출하는 위치까지 제거되며;
    절연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된 전선의 도체가,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바닥면의 상부 표면위에 놓이고,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 쌍들은 안으로 구부러져 상기 도체를 감싸게 되어, 상기 도체가 압착되고 연결되어 상기 바닥면의 상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전선 연결 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도체 부분에 의한, 상기 도체의 맨끝에서부터 절연 피복의 에지를 포함하는 위치까지 범위의 영역은, 수지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은 상기 전선 연결의 전방 부분에서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을, 그리고 상기 전선 연결의 후방 부분에서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도체 크림핑 피스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에지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도체 크림핑 피스 쌍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도체 크림핑 영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도체 크림핑 영역의 바닥면까지 범위의 영역은 공통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3.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전선의 종단이, 뒤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되는 커넥터 단자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전방 부분에서 대응 단자와 연결되는 전기 연결 영역과,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 부분에서 압착되고 상기 전선의 후단에 연결되는 전선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 에지에서부터 상방 연장되는 크림핑 피스 쌍으로부터 형성되어,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 형상의 구조를 띠며;
    전선 종단의 도체와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 부분은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바닥면의 상부 표면위에 놓이고;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크림핑 피스 쌍은 안으로 구부러져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으로 덮인 상기 도체 부분을 감싸게 되어,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으로 덮인 상기 도체 부분은 압착되어 상기 바닥면의 상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고, 절연 피복으로 덮인 도체 부분을 감싸기 위해 압착되는 영역의 단면은 상기 전선 연결 영역으로부터 후방 연장되는 전선의 단면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맨끝에서부터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후단을 포함하는 위치까지의 범위가 수지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크림핑 피스 쌍의 상부 에지와 후방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각 코너에서 면취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크림핑 피스 쌍의 상부 에지와 후방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각 코너에서 면취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층이, 절연 피복으로 덮인 상기 도체 부분을 접촉하는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내피 영역상에 제공되고, 상기 요철층은, 상기 크림핑 피스 쌍이 상기 도체 그리고 절연 피복으로 덮인 상기 도체 부분에 압착되는 결과, 상기 절연 피복을 파고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종단이 압착되고 연결되는 상기 전선 연결 영역의 단면은, 상기 전기 연결 영역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KR1020137009272A 2010-10-12 2011-09-16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KR101447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9959A JP5622314B2 (ja) 2010-10-12 2010-10-12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JP-P-2010-229959 2010-10-12
PCT/JP2011/071270 WO2012049948A1 (ja) 2010-10-12 2011-09-16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039A true KR20130080039A (ko) 2013-07-11
KR101447396B1 KR101447396B1 (ko) 2014-10-06

Family

ID=4593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272A KR101447396B1 (ko) 2010-10-12 2011-09-16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90743B2 (ko)
JP (1) JP5622314B2 (ko)
KR (1) KR101447396B1 (ko)
CN (1) CN103155287B (ko)
BR (1) BR112013008862A2 (ko)
DE (1) DE112011103439T5 (ko)
WO (1) WO20120499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464B1 (ko) * 2012-08-07 2015-01-3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US9325085B2 (en) 2010-11-26 2016-04-26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2900A (ja) * 2011-06-03 2012-12-20 Yazaki Corp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製造方法
JP5795510B2 (ja) * 2011-08-30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方法
JP5739923B2 (ja) * 2013-02-21 2015-06-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端子および、端子と被覆導線の接続方法
JP5369249B1 (ja) 2013-08-06 2013-12-18 日新製鋼株式会社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電線
WO2015037705A1 (ja) * 2013-09-12 2015-03-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体及び端子の製造方法
JP6636719B2 (ja) * 2015-05-14 2020-01-29 田淵電機株式会社 電線接続用端子および電線接続用端子と電線の接合方法
HUE048033T2 (hu) 2015-09-15 2020-05-28 Md Elektronik Gmbh Használatra kész villamos kábel
JP6547571B2 (ja) * 2015-10-12 2019-07-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端子付き電線
JP6468156B2 (ja) * 2015-10-12 2019-0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508527B2 (ja) 2015-10-12 2019-05-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JP2017084482A (ja) * 2015-10-23 2017-05-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
JP6326035B2 (ja) * 2015-12-16 2018-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6978294B2 (ja) * 2017-11-30 2021-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方法及び端子
JP6713009B2 (ja) * 2018-02-15 2020-06-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及びコネクタ
JP7185417B2 (ja) * 2018-04-05 2022-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7145696B2 (ja) * 2018-08-27 2022-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29860A (ja) * 2020-08-05 2022-02-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絶縁電線、ワイヤーハーネス、絶縁電線の製造方法
JP7328201B2 (ja) * 2020-12-23 2023-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512Y1 (ko) * 1969-09-16 1976-02-28
JPS517512B2 (ko) * 1972-06-20 1976-03-08
JPH01241768A (ja) * 1988-03-24 1989-09-26 Yazaki Corp 電線圧着端子
JP2824497B2 (ja) * 1990-09-13 1998-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と電線との圧着方法および圧着構造
US5123864A (en) * 1991-04-05 1992-06-23 Amp Incorporated Coaxial contact with sleeve
JPH07135031A (ja) * 1993-11-08 1995-05-23 Yazaki Corp 圧着端子
JPH10255864A (ja) * 1997-03-07 1998-09-25 Yazaki Corp 圧着端子
DE19727314B4 (de) * 1997-06-27 2012-0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rimpverbindung
JP3718394B2 (ja) * 1999-12-09 200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の端末接続部およびその防水処理方法と装置
JP2001345143A (ja) * 2000-05-31 2001-12-14 Yazaki Corp 防水栓の固定構造
WO2004015822A1 (ja) * 2002-08-08 2004-02-19 Fujikura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ケ−ブル
EP2472675B1 (en) 2003-07-30 2020-09-3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nto aluminum electric-wire
JP2005050736A (ja) * 2003-07-30 2005-02-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電線への端子圧着構造及び端子付アルミ電線の製造方法
JP2006040624A (ja) * 2004-07-23 2006-02-09 Sumitomo Wiring Syst Ltd 異種電線間の接続構造
JPWO2006106971A1 (ja) * 2005-04-01 2008-09-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導電体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WO2007043345A1 (ja) * 2005-09-30 2007-04-1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付き電線並びに端子圧着装置
JP5196535B2 (ja) * 2007-12-20 2013-05-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線に対する端子圧着方法
JP5329100B2 (ja) * 2008-01-23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が挿入されたコネクタ
WO2009115860A1 (en) * 2008-03-20 2009-09-24 Fci Electric terminal crimping method and assembly obtained
JP2010097704A (ja) * 2008-10-14 2010-04-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モールドコネクタ付きの電線
JP2010108828A (ja) * 2008-10-31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体と端子の接続部および接続方法
JP2010229959A (ja) 2009-03-30 2010-10-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5308935B2 (ja) * 2009-06-30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一体成形方法
JP5495203B2 (ja) * 2009-09-24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部の防水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5085B2 (en) 2010-11-26 2016-04-26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640879B2 (en) 2010-11-26 2017-05-02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88464B1 (ko) * 2012-08-07 2015-01-3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5014A1 (en) 2013-08-29
DE112011103439T5 (de) 2013-08-14
WO2012049948A1 (ja) 2012-04-19
KR101447396B1 (ko) 2014-10-06
JP2012084407A (ja) 2012-04-26
CN103155287B (zh) 2016-02-17
JP5622314B2 (ja) 2014-11-12
BR112013008862A2 (pt) 2017-10-10
US9190743B2 (en) 2015-11-17
CN103155287A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0039A (ko)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KR101533900B1 (ko)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9543689B2 (en) Terminal crimped wire
KR101481003B1 (ko)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JP5375687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KR101516097B1 (ko)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KR101455485B1 (ko) 압착 접촉을 위한 전기 케이블용 연결 구조물
JP5882643B2 (ja) コネクタ端子
JP5789136B2 (ja) 電気接続端子
JP6000202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JP6709818B2 (ja) 端子付き電線
KR20140133941A (ko) 접속 단자
KR20130052647A (ko) 방수 압접 단자 및 방수 압접 단자를 형성하는 방법
JPWO2010029803A1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2013045576A (ja) コネクタ端子
JP5387477B2 (ja) 電線付き端子金具
JP2010067478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2014164865A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JP2018073768A (ja) 接続端子
JP2023163349A (ja) 端子付き電線
JP2016096017A (ja)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4333A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