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79B1 - 다편 구조를 갖는 자동차 문 힌지 - Google Patents

다편 구조를 갖는 자동차 문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679B1
KR101461679B1 KR1020087014032A KR20087014032A KR101461679B1 KR 101461679 B1 KR101461679 B1 KR 101461679B1 KR 1020087014032 A KR1020087014032 A KR 1020087014032A KR 20087014032 A KR20087014032 A KR 20087014032A KR 101461679 B1 KR101461679 B1 KR 10146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angle bracket
diameter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210A (ko
Inventor
로버트 존 무레이
루돌프 그루버
친 왕 앤지
패시쓰 밴종파니쓰
프래드 라드
스콧 월든
Original Assignee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9207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616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6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9/00Flaps or sleeve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from particular material, e.g. hoop-iron, sheet metal,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7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by forcing the pin into the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2003/025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having three knuck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06Plastic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06Plastic deformation
    • E05Y2600/508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고정 몸체 구조물에 대한 폐쇄 패널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는 프레스 성형된 2개의 앵글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차량의 폐쇄 패널에 설치되는 문 요소와 프레스 성형된 2 개의 앵글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차체 구조물에 설치되는 몸체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문 요소의 앵글 브라켓은 피봇핀을 통해 구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요소의 앵글 브라켓은 간단한 성형 특징부와 피봇핀을 통해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피봇핀은 두 힌지(hinge) 요소를 구조적으로 조립하고 이들 힌지(hinge) 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프레스 성형된 여러 앵글 브라켓들을 구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어셈블리는 종래 기술보다 재료 효율이 더 높아지고 또한 관련 비용도 상당히 줄어든다.

Description

다편 구조를 갖는 자동차 문 힌지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본 발명은 특유의 다편 구조를 사용하여 고정 몸체 구조물에 대한 폐쇄 패널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힌지(hinge) 구성요소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힌지(hinge), 특히 자동차 힌지(hing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힌지(hinge)는 폐쇄 패널에 단단히 부착되는 문 요소와 몸체 구조물에 단단히 부착되는 몸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들의 이러한 구조적 부착은 용접, 리벳체결, 볼트체결 또는 유사한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몸체 요소에 대한 문 요소의 간단한 회전 운동은 보통 피봇핀(pivot pin) 및 관련 베어링면으로 이루어진다. 피봇핀은 힌지(hinge) 요소 중 하나에 단단히 부착되고 다른 요소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면을 통해 피봇핀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동축으로 정렬된 피봇핀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이들 힌지(hinge) 어셈블리 2개를 사용하여 폐쇄 패널을 몸체 구조물에 부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힌지(hinge)의 몸체 요소와 문 요소는 스탬핑(stamping), 단조, 주조, 롤성형 또는 압출을 사용하여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각 요소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설치면과 한쌍의 피봇 아암으로 구성되며 이 피봇 아 암은 피봇축 구멍을 포함한다. 피봇 아암들은 어떤 형태의 브리지 또는 설치면에 의해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피봇 베어링면은 부싱을 문 요소의 피봇축 구멍에 조립하여 만든다. 문 요소의 피봇 부싱에는 피봇핀이 관통 삽입되며 이 피봇핀은 깔주기 처리, 억지 끼워맞춤,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을 사용하여 피봇축 구멍을 통해 몸체 요소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몸체 요소는 볼트체결, 용접, 접합, 리벳체결 또는 유사한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면을 통해 차체 구조물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문 요소는 볼트체결, 용접, 접합, 리벳체결 또는 유사한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면을 통해 차량의 폐쇄 패널에 유사하게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볼트체결된 자동차 힌지(hinge)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힌지(hinge) 요소 당 최소한 2개의 체결구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필요한 피봇축 구멍 위치, 설치면, 구조적 완전성, 체결구 위치 및 클리어런스 오프셋을 단일편 요소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가 요구된다. 필요한 이들 복잡한 형상을 제공하는데는 단조와 주조가 잘 적합하지만 프레스 성형된 금속 스탬핑물에 비해 비용면에서 상당히 불리하다. 일반적으로 금속 스탬핑은 힌지(hinge) 요소를 만드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구조 형상은 다소 제한된다. 또한,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레스 성형 과정 중에 사용되지 않은 부스러기(scrap) 재료가 다량 생성된다.
도 1 에는 프레스 성형된 몸체 요소 (2), 프레스 성형된 문 요소 (3), 피봇핀 (4) 및 2개의 피봇 부싱 (25, 26) 으로 구성된 자동차 문 힌지(hinge) 어셈블리에 대한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몸체 요소 (2) 는 한쌍의 피봇 아암 (6, 7) 및 넓은 설치면 (8)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면은 설치 구멍 (9, 10) 및 2개의 대응하는 나사 체결구에 의해 차체 구조물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이들 설치 구멍 (9, 10) 은 차체 구조물에 대한 충분한 하중 분산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다. 피봇 아암 (6, 7) 에는 한쌍의 피봇 구멍 (11, 12)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은 피봇핀 (4) 을 받아들여 깔주기 처리(knurling), 억지 끼워맞춤, 리벳체결, 스테이킹(staking)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upsetting) 수단에 의해 단단히 잡도록 되어 있다. 설치 구멍 (9, 10) 으로부터 피봇 구멍 (11, 12) 까지의 거리는 차량의 폐쇄 패널과 몸체 구성에 의해 결정되며 상당히 클 수 있다. 문 요소 (3) 는 한쌍의 피봇 아암 (13, 14) 과 구조적 브리지 (21) 및 한쌍의 설치면 (15, 16) 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설치면은 설치 구멍 (17, 18) 과 2개의 대응하는 나사 체결구에 의해 차량의 폐쇄 패널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이들 설치 구멍 (17, 18) 은 차량의 폐쇄 패널에 대한 충분한 하중 분산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다. 피봇 아암 (13, 14) 에는 한쌍의 피봇 구멍 (19, 20)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은 피봇핀 (4) 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피봇 부싱 (25, 26) 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설치 구멍 (17, 18) 으로부터 피봇 구멍 (19, 20) 까지의 거리는 차량의 폐쇄 패널과 몸체 구성에 의해 결정되며 상당히 클 수 있다. 몸체 요소 (2) 와 문 요소 (3) 는 편평한 강 시트로부터 프레스 성형되며 그들의 복잡한 형상 때문에 스탬핑(stamping) 공정 중에 상당한 양의 부스러기(scrap) 재료가 발생된다. 도 2 에는 스탬핑 공정과 관련한 종래 기술의 몸체 요소 (2a) 와 문 요소 (3a) 및 부스러기 재료 (22) (빗금친 부분) 의 편평한 블랭크 레이아웃이 나타나 있다. 이 구성에서 상당한 부스러기 재료 (22) 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프레스 성형 제조 기술은 여전히 주조 또는 단조 보다 비용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프레스 성형된 금속 스탬핑물을 이용하여 구성되지만 차량의 폐쇄 패널과 몸체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복잡한 형상과 관련한 부스러기를 줄이거나 피할 수 있는 힌지(hinge) 어셈블리를 만드는 것이 유익하다. 힌지(hinge) 요소의 프레스 성형시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다량의 재료는 설치 구멍과 피봇핀 지지 특징부 사이의 필요한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형상 복잡도에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징부의 상호 연결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봇핀을 기본적인 구성품으로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으로 금속 스탬핑된 힌지(hinge)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전체 재료를 줄이는 것이다. 단일편 문 요소와 단일편 몸체 요소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구성의 자동차 문 힌지(hinge)에서는, 피봇핀이 두 요소를 구조적으로 결합하고 이들 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두가지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다편으로 된 각 개별 요소를 또한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추가적인 기본 기능을 갖는 피봇핀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제작되는 단일편의 프레스 성형된 문 요소는 일반적으로 일체적인 구조적 브리지를 통해 그의 두 설치면과 두 피봇 아암을 연결한다. 본 발명은 구조적 브리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개별적인 별개의 프레스 성형된 앵글 브라켓으로서 설치면 및 관련된 피봇 아암을 포함하며, 특유의 구성을 지닌 피봇핀을 사용하여 이들 두 앵글 브라켓을 함께 구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스 성형된 2개의 간단한 앵글 브라켓으로 구성된 특유의 몸체 요소를 사용하며, 이들 앵글 브라켓은 간단한 성형 특징부와 피봇핀을 통해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피봇핀은 중앙 원통형 피봇면과 이 중앙 원통형 피봇면 보다 직경이 작으며 깔주기 처리된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 요소의 프레스 성형된 두 앵글 브라켓은 피봇 아암에 있는 간단히 성형된 특징부에 의해 구조적으로 연결되며, 단일의 피봇 부싱이 플랜지형 구조를 통해 피봇 구멍에 조립된다. 피봇핀은 피봇 부싱내에 배치되어 중앙 원통형 피봇면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문 요소의 프레스 성형된 앵글 브라켓은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에 의해 피봇핀의 깔주기 처리된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에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피봇핀의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는 깔주기 처리되지 않으며 중앙 원통형 피봇면과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사이의 단차부에는 약간의 테이퍼가 부여되며 이 테이퍼는 조립 과정 중에 몸체 요소의 두께 공차를 보상해 준다. 구조적 연결을 일으키는 재료 간섭이 테이퍼형 단차부와 문 요소의 프레스 성형된 앵글 브라켓 사이에 발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피봇핀은 일부 차량 조립 공장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문 요소와 몸체 요소의 간단한 분리 및 재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캔틸레버형 특징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주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는 a) 프레스 성형된 2개의 문 앵글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차량의 폐쇄 패널에 설치되는 문 요소와 b) 프레스 성형된 2개의 몸체 앵글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단일 피봇 부싱을 수용하고 차체 구조물에 설치되는 몸체 요소, 및 c) 문 요소와 몸체 요소를 구조적 조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문 요소와 몸체 요소 사이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프레스 성형된 문 앵글 브라켓과 몸체 앵글 브라켓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피봇핀을 포함하며 d) 피봇핀은 중앙 원통형 피봇면과 깔주기 처리된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 원통형 피봇면의 중앙 직경은 피봇 부싱이 이 피봇면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단부 각각의 직경은 재료 업셋에 의해 문 요소 앵글 브라켓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직경 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된 몸체 앵글 브라켓은 용접, 접합, 리벳체결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을 사용하여 반 전단(semi-shear) 특징부와 상대 정렬 구멍을 통해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에 있어서, 쌍의 힌지(hinge) 멈춤부가 몸체 앵글 브라켓에 제공되어 있고 이 멈춤부는 문 앵글 브라켓에 있는 한쌍의 힌지(hinge) 멈춤면과 상호 작용하게 되고 이리하여 힌지(hinge) 어셈블리가 그의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구조적으로 회전을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에 있어서 피봇핀은 중앙 원통형 피봇면과 깔주기 처리된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사이에 있는 단차형 접속부에서 테이퍼형 특징부를 포함하며 이 테이퍼형 특징부는 조립 과정 중에 몸체 요소 앵글 브라켓의 두께 공차를 보상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에 있어서 피봇핀은 테이퍼형 너트와 테이퍼형 피봇 구멍을 사용해 문 요소와 몸체 요소의 간단한 분리 및 재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캔틸레버형 특징부를 제공하면서 피봇 부싱, 와셔 및 재료 업셋을 통해 상기 프레스 성형된 문 앵글 브라켓을 구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에 있어서 몸체 요소에 힌지(hinge) 멈춤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스 성형된 몸체 앵글 브라켓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리벳을 포함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프레스 성형된 자동차 문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종래 기술의 자동차 문 힌지(hinge) 어셈블리의 요소의 프레스 성형 스탬핑과 관련한 전개된 편평한 블랭크 레이아웃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전형적인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 한쌍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는 피봇핀의 중심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피봇핀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문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 9 는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몸체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프레스 성형 스탬핑과 관련한 전개된 편평한 블랭크 레이아웃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피봇핀의 대안적인 테이퍼형 단차부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피봇핀의 대안적인 고정 헤드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리프트-오프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피봇핀의 중심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리프트-오프 실시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4, 5 및 6 을 참조하면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 (30) 는 실질적 으로 문 요소 (40) 와 몸체 요소 (60) 로 구성된다. 문 요소는 설치면 (41) 과 2개의 피봇 아암 (42) 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피봇 아암 (42) 은 피봇축 구멍 (43) 을 포함한다. 문 요소 (40) 는 볼트체결, 용접, 접합, 리벳체결 또는 유사한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그의 설치면 (41) 을 통해 차량의 폐쇄 패널 (27) 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몸체 요소 (60) 는 설치면 (61) 과 피봇 아암 (62) 으로 구성된다. 피봇 아암 (62) 은 피봇축 구멍 (63) 을 포함한다. 몸체 요소는 볼트체결, 용접, 접합, 리벳체결 또는 유사한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그의 설치면 (61) 을 통해 차체 구조물 (28) 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몸체 요소 (60) 의 피봇축 구멍 (63) 에는 피봇 부싱 (80) 이 끼워지며 이 부싱은 내부 원통형 베어링 면 (81) 과 2개의 상호 반대편 스러스트 플랜지 (thrust flange: 82) 를 포함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피봇핀 (90) 은 중앙 원통형 피봇 면 (91) 및 깔주기 처리된 2개의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92)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단부 (92) 각각은 중앙 원통형 피봇 면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중앙 원통형 피봇 면 (91) 은 피봇 부싱의 내부 원통형 베어링 면 (8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깔주기 처리된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92) 는 문 요소 (40) 의 피봇축 구멍 (43) 에 삽입되어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을 통해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문 요소 (40) 와 몸체 요소 (60) 는 구조적 조립상태로 유지되지만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문 요소 (40) 는 프레스 성형된 2개의 문 앵글 브라켓 (46, 47) 으로 구성되며 이들 두 브라켓은 설치면 (41) 과 피봇 아암 (42) 으로 구 성되어 있다. 각각의 피봇 아암 (42) 은 피봇축 구멍 (43) 을 포함한다. 피봇핀 (90) 의 깔주기 처리된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92) 가 피봇축 구멍 (43) 에 압입되어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에 의해 구조적으로 부착되면, 단일체의 문 요소 (40) 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단일체의 문 요소를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구조적 브리지를 피봇핀 (40) 이 대신하므로 필요한 재료와 관련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몸체 요소 (60) 는 프레스 성형된 2개의 몸체 앵글 브라켓 (66, 67) 으로 구성되며 이들 두 브라켓은 설치면 (61) 과 피봇 아암 (62)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피봇 아암 (62) 은 피봇축 구멍 (63) 을 포함한다. 두 몸체 앵글 브라켓 (66, 67) 은 두 피봇 아암 (62) 이 면 대 면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대 정렬 구멍 (69) 내에 끼워지는 반 전단(semi-shear) 특징부 (68) 를 통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 전단 특징부 (68) 가 압입 끼워맞춤, 용접, 접합,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에 의해 정렬 구멍 (69) 내에 구조적으로 연결되면, 단일체의 몸체 요소 (60) 가 형성된다. 반 전단 특징부 (68) 와 정렬 구멍 (69) 은 피봇축 구멍 (63) 이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봇축 구멍 (63) 에는 피봇 부싱 (80) 이 끼워지며, 이 부싱은 내부 원통형 베어링면 (81) 및 2개의 상호 반대편 스러스트 플랜지 (82) 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프레스 성형된 두 몸체 앵글 브라켓 (66, 67) 은 단일체의 문 요소를 형성하므로, 단일편 구성에 비해 필요한 재료의 양과 관련 비용이 크게 줄어든다.
도 10 은 스탬핑 공정과 관련한 본 발명의 프레스 성형된 몸체 앵글 브라켓 (66a, 67a) 및 프레스 성형된 문 앵글 브라켓 (46a, 47a) 과 부스러기 재료 (58) 의 편평한 블랭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2 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힌지(hinge) 어셈블리의 편평한 블랭크 레이아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구성 보다 전체적인 재료 효율이 우수하고 또한 부스러기 양도 더 적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몸체 앵글 브라켓 (66, 67) 의 피봇 아암 (66) 에는 한쌍의 힌지(hinge) 멈춤부 (70) 가 제공되는데, 이 멈춤부는 피봇 아암 (42) 에 제공된 한쌍의 힌지(hinge) 멈춤면 (50) 또는 문 앵글 브라켓 (46, 47)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문 힌지(hinge) 어셈블리 (30) 가 그의 완전 열림 위치로 회전하면, 힌지(hinge) 멈춤면 (50) 은 힌지(hinge) 멈춤부 (70) 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막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피봇핀 (100) 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피봇핀은 깔주기 처리되어 있지 않은 2개의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102) 를 포함한다. 피봇핀 (100) 에서 큰 직경의 중앙 원통형 피봇면 (101) 과 작은 직경의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102) 사이에는 테이퍼형 단차부 (105) 가 있는데, 이 단차부는 소정 범위의 몸체 앵글 브라켓 재료 두께에 대한 보상을 가능케 해준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차부는 테이퍼 없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 문 앵글 브라켓 (46, 47) 은 단차부에 의해 정해지는 고정된 거리까지 상호 반대편의 깔주기 처리된 두 단부 (92) 에 가압된다. 두 몸체 앵글 브라켓 (66, 67) 의 두께와 관련된 재료 공차 때문에 피봇 부싱 (80) 의 두 상호 반대편 스러스트 플랜지 (82) 는 과소 압축 또는 과대 압축을 받을 수 있고 이 결과 부적절한 구조적 조립 또는 불량한 상대 회전 운동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상기 테이퍼형 단차부 (105) 덕분에, 저항성 기부에 대해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이 일어나게 하면서 문 앵글 브라켓 (46, 47) 이 소정 범위의 거리까지 테이퍼에 가압될 수 있다. 두 문 앵글 브라켓 (46, 47) 과 테이퍼형 단차부 (105) 사이의 재료 간섭에 의해 이들 두 구성 요소간에 구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가압 하중이 증가함으로써 피봇 부싱 (80) 의 두 상호 반대편 스러스트 플랜지 (82) 를 적절히 압축하게 되는 거리로 두 문 앵글 브라켓 (46, 47) 이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한 구조적 조립과 정확한 회전 운동을 얻을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피봇핀 (110) 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피봇핀에는 일면 리벳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 헤드 (116) 가 형성되어 있다. 피봇핀 (110) 은 중앙 원통형 피봇면 (111) 및 깔주기 처리된 두 상호 반대편 원통형 단부 (112, 113) 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헤드 (116) 에 인접한 깔주기 처리된 원통형 단부 (112) 는 중앙 원통형 피봇면 (11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피봇핀 (110) 의 반대편 단부에 있는 깔주기 처리된 원통형 단부 (113) 는 중앙 원통형 피봇면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고정 헤드 (116) 는 깔주기 처리된 원통형 단부 (112, 113) 와 중앙 원통형 피봇면 (111)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자동차 힌지(hinge) 어셈블리 (30) 의 조립 공정은 단일 피봇핀 (110) 의 삽입과 일 단부에 대한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으로 간단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문 앵글 브라켓 (46, 47) 의 구조적 부착에 약간의 악화가 일어날 수 있다.
도 13 과 도 14 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로, 피봇핀 (190) 은 문 요소 (140) 와 몸체 요소 (160) 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분리 및 재조립은 일부 자량 조립 공장에서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리프트-오프(lift-off) 공정이라고 불린다. 문 요소 (140) 와 몸체 요소 (160) 모두는 본 발명의 주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프레스 성형된 두 문 앵글 브라켓 (146, 147) 과 프레스 성형된 두 몸체 앵글 브라켓 (166, 167) 을 사용한다. 그러나 피봇핀 (190) 은 리벳체결, 스테이킹 또는 유사한 재료 업셋팅 수단에 의해 피봇 부싱 (180) 과 와셔 (184) 를 통해 두 문 앵글 브라켓 (146, 147) 에 구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와셔와 재료 업셋부의 반대편에 있는 피봇핀 (190) 의 단부에는 테이퍼형 특징부 (195) 와 나사 단부 (196) 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몸체 앵글 브라켓 (166) 에 있는 상대 원통형 피봇축 구멍 (163) 과 접속하게 된다. 문 요소 (140) 가 몸체 요소 (160) 에 끼워지면 테이퍼형 너트 (187) 가 제공되는데 이 너트는 나사 단부 (196) 상에 나사결합되어 몸체 앵글 브라켓 (167) 에 있는 상대 원통형 피봇축 구멍 (163) 과 접속하게 되고 이로써 부싱 배치가 적절한 상대 운동을 보장하면서 문 요소 (140) 와 몸체 요소 (160) 사이에 정확한 구조적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멈춤 리벳 (170) 이 두 몸체 앵글 브라켓 (166, 167) 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문 앵글 브라켓 (146, 147) 에 제공된 힌지(hinge) 멈춤면 (150) 과 상호 작용하게 되며 이리하여 문 힌지(hinge) 어셈블리 (130) 가 그의 완전 열림 위치로 회전하면 힌지(hinge) 멈춤면 (150) 이 힌지(hinge) 멈춤부 (170) 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막게 된다.

Claims (29)

  1.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로서,
    a) 프레스 성형된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제 2 문 앵글 브라켓━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제 2 문 앵글 브라켓은 차량의 폐쇄 패널에 설치됨━을 포함하는 문 요소와,
    b) 프레스 성형된 제 1 몸체 앵글 브라켓 및 제 2 몸체 앵글 브라켓을 포함하며 피봇 부싱을 수용하는 부싱 개구를 포함하며 차체 구조물에 설치되는 몸체 요소와,
    c)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간에 위치한 원통형 피봇 면을 갖는 피봇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제각기, 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상기 제 2 문 앵글 브라켓과 영구히 구조적으로 결합되어서 단일체 문 요소(unitary door component)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제 2 문 앵글 브라켓은, 상기 피봇 핀에 의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졌을 때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피봇 면은 상기 피봇 부싱이 상기 원통형 피봇 면을 둘러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 핀은 상기 문 요소와 몸체 요소를 구조적 조립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문 요소와 몸체 요소 간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앵글 브라켓 및 제 2 몸체 앵글 브라켓은 압입 끼워맞춤, 용접, 접합, 리벳체결 또는 스테이킹을 사용하여 반 전단(semi-shear) 특징부와 상대 정렬 구멍을 통해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힌지 멈춤부 및 제 2 힌지 멈춤부가 상기 제 1 몸체 앵글 브라켓 및 제 2 몸체 앵글 브라켓에 각기 제공되고,
    제 1 힌지 멈춤면 및 제 2 힌지 멈춤면이 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제 2 문 앵글 브라켓에 각기 제공되며,
    상기 제 1 힌지 멈춤부 및 제 2 힌지 멈춤부가 상기 제 1 힌지 멈춤면 및 제 2 힌지 멈춤면에 대해서 각기 상호 작용하여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그의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구조적으로 회전을 못하게 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은 제 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기 깔주기 처리된,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기 깔주기 처리되며,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기 제 2 직경 및 제 3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3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핀은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제 2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핀의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리벳 체결 또는 스테이킹을 포함하는 재료 업셋에 의해 성형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2.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으로서,
    서로 이격된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제 2 문 앵글 브라켓을 포함하는 문 요소와,
    상기 문 요소가 설치되는 설치 면을 갖는 자동차 문과,
    제 1 몸체 앵글 브라켓 및 제 2 몸체 앵글 브라켓을 포함하며 피봇 부싱을 수용하는 부싱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 요소와,
    상기 몸체 요소가 설치되는 설치 면을 갖는 차체와,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간에 위치한 원통형 피봇 면을 갖는 피봇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의 피봇 구멍에 끼어지며,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문 앵글 브라켓의 피봇 구멍에 끼어지며,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제각기, 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상기 제 2 문 앵글 브라켓과 영구히 구조적으로 결합되어서 단일체 문 요소(unitary door component)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원통형 피봇 면은 상기 피봇 부싱이 상기 원통형 피봇 면을 둘러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 핀은 상기 문 요소와 몸체 요소를 구조적 조립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문 요소와 몸체 요소 간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문 요소 및 몸체 요소는 볼트 체결, 리벳 체결, 용접 또는 접합에 의해서 상기 자동차 문과 차체에 각기 설치되는,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은 제 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기 깔주기 처리된,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기 깔주기 처리되며,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기 제 2 직경 및 제 3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3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핀은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제 2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핀의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리벳 체결 또는 스테이킹을 포함하는 재료 업셋에 의해 성형되는,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힌지 멈춤부 및 제 2 힌지 멈춤부가 상기 제 1 몸체 앵글 브라켓 및 제 2 몸체 앵글 브라켓에 각기 제공되고,
    제 1 힌지 멈춤면 및 제 2 힌지 멈춤면이 상기 제 1 문 앵글 브라켓 및 제 2 문 앵글 브라켓에 각기 제공되며,
    상기 제 1 힌지 멈춤부 및 제 2 힌지 멈춤부가 상기 제 1 힌지 멈춤면 및 제 2 힌지 멈춤면에 대해서 각기 상호 작용하는,
    자동차 문 힌지 시스템.
KR1020087014032A 2006-07-10 2007-02-12 다편 구조를 갖는 자동차 문 힌지 KR101461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551642A CA2551642A1 (en) 2006-07-10 2006-07-10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CA2,551,642 2006-07-10
PCT/CA2007/000199 WO2008006191A1 (en) 2006-07-10 2007-02-12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210A KR20090060210A (ko) 2009-06-11
KR101461679B1 true KR101461679B1 (ko) 2014-11-13

Family

ID=3892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032A KR101461679B1 (ko) 2006-07-10 2007-02-12 다편 구조를 갖는 자동차 문 힌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9863175B2 (ko)
EP (3) EP2038496B1 (ko)
JP (2) JP5286260B2 (ko)
KR (1) KR101461679B1 (ko)
CN (2) CN101356333A (ko)
AU (1) AU2007272240B2 (ko)
BR (1) BRPI0702925A2 (ko)
CA (2) CA2551642A1 (ko)
ES (2) ES2469618T3 (ko)
WO (1) WO2008006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1642A1 (en) * 2006-07-10 2008-01-10 Multimatic Inc.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DE102006050662B3 (de) * 2006-10-24 2008-01-31 Automotive Group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Kraftfahrzeugtürscharnier
US20150023387A1 (en) * 2008-03-31 2015-01-22 Jfe Steel Corporation Steel plate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equipment thereof
US8156611B2 (en) 2008-08-01 2012-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ft-off door hinge
EP2476566A4 (en) * 2009-09-10 2014-01-29 Toyota Auto Body Co Ltd HINGE FOR VEHICLE DOOR
EP2567051A4 (en) * 2010-05-03 2017-10-25 Techform Products Limited Adjustable pivot deck lid
CN101967924A (zh) * 2010-11-17 2011-02-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罩铰链
DE102012208024B4 (de) * 2012-05-14 2020-03-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rnierlager, insbesondere für eine Tür od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JP6160039B2 (ja) 2012-08-10 2017-07-12 スズ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6330235B2 (ja) * 2013-07-26 2018-05-3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ヒンジ
CN105089263A (zh) * 2014-05-22 2015-11-25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多孔合页组件及施工平台
US10604991B2 (en) * 2014-06-26 2020-03-31 Sorrel Quarters, Llc Overhead door and frame assembly
CN105133978A (zh) * 2015-09-23 2015-12-09 无锡市中捷减震器有限公司 连接车门与车身的铰链
US10184280B2 (en) * 2016-06-02 2019-01-22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Automotive door hinge
US10315707B2 (en) * 2017-07-27 2019-06-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Engine hood mounting system
JP6656220B2 (ja) 2017-12-22 2020-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機構
JP7106858B2 (ja) * 2017-12-26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ヒンジ構造
CN108160834A (zh) * 2018-02-09 2018-06-15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高硬度不锈钢铰链的多段铆压方法
WO2019176777A1 (ja) * 2018-03-15 2019-09-1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ヒンジ装置
JP6957798B2 (ja) * 2018-03-15 2021-11-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ヒンジ装置
CN111801479B (zh) * 2018-03-15 2022-07-29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汽车用门铰链装置
WO2019176069A1 (ja) * 2018-03-15 2019-09-1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ヒンジ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
KR102115335B1 (ko) * 2018-05-31 2020-05-26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CN109083527B (zh) * 2018-09-18 2021-05-0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自限位车门铰链及汽车
WO2020146954A1 (en) * 2019-01-18 2020-07-23 Warren Industries Ltd. Vehicular door hinge with folded sheet metal component
US10626646B1 (en) 2019-05-21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contained door hinge release
DE102019115563B3 (de) * 2019-06-07 2020-04-23 Edscha Engineering Gmbh Fahrzeugscharni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arnierhälfte für ein Fahrzeugscharnier
EP3771791B1 (en) * 2019-07-29 2022-01-19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Hinge of motor-vehicle mobile part
US20210145213A1 (en) * 2019-11-20 2021-05-20 The Big Green Egg, Inc. Universal Bracket Assembly for Grill Apparatuses
CN113137147A (zh) * 2020-01-16 2021-07-20 尼特固有限公司 车辆用的车门铰链结构
AT523753B1 (de) 2020-05-07 2023-06-15 Blum Gmbh Julius Möbelbeschlag
CN111661174A (zh) * 2020-06-08 2020-09-15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载货汽车车厢铰链减震降噪结构及其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7359U (ko) * 1974-09-11 1976-03-19
JPS571259U (ko) * 1980-06-04 1982-01-06
JPH11101048A (ja) * 1997-06-09 1999-04-13 Ed Scharwaechter Gmbh & Co Kg 取り外し可能な自動車のドアヒンジ
KR20010086238A (ko) * 1998-12-21 2001-09-10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857A (en) * 1914-07-23 1915-12-21 Stanlly Works Hinge for vehicle-doors.
US1582701A (en) * 1925-04-16 1926-04-27 Soss Joseph Hinge
US1941348A (en) * 1931-11-07 1933-12-26 Curtiss Aeroplane & Motor Co Joint fitting
US2200317A (en) * 1937-08-02 1940-05-14 Atwood Vacuum Machine Co Hinge
US2585836A (en) * 1946-12-09 1952-02-12 Nat Brass Co Hinge
US3141662A (en) * 1957-10-02 1964-07-21 Anderson Co Motion-transmitting device
JPS5137359A (ja) 1974-09-25 1976-03-29 Katayama Kogyo Kk Beroozunoseizohoho
JPS5519813Y2 (ko) * 1975-10-07 1980-05-12
JPS5249432A (en) 1975-10-17 1977-04-20 Sanyo Electric Co Charging device for storage battery
JPS571259A (en) 1980-06-03 1982-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GB2077348B (en) * 1980-06-07 1984-06-13 Ihw Eng Ltd Method of forming a hinge bracket
GB2099070B (en) * 1981-05-14 1985-07-03 Ihw Eng Ltd Vehicle door hinge
SE453846B (sv) * 1983-09-19 1988-03-07 Scharwaechter Gmbh Co Kg Dorrgangjern for motorfordon
JPS6153976A (ja) * 1984-08-22 1986-03-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ヒンジ
JPS63156183A (ja) * 1986-12-17 1988-06-2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建付け再現ヒンジ構造およびこれによる建付け再現方法
DE8703236U1 (ko) * 1987-03-03 1987-05-27 Ed. Scharwaechter Gmbh & Co Kg, 5630 Remscheid, De
JPS6471981A (en) * 1987-09-09 1989-03-16 Daihatsu Motor Co Ltd Door hinge for automobile
JPH0171981U (ko) 1987-11-02 1989-05-15
US5092017A (en) * 1989-02-07 1992-03-03 Ohi Seisakusho Co., Ltd. Automotive door hinge assembly, bush employed therein and method for installing bush in door hinge assembly
JPH0633178Y2 (ja) * 1989-02-07 1994-08-3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ヒンジ
JPH0735076Y2 (ja) * 1989-11-10 1995-08-09 株式会社ニイテック 自動車用ドアヒンジ
JPH0439266A (ja) 1990-06-01 1992-02-10 Takatori Haitetsuku:Kk 靴下の折り畳み方法と装置
JPH0747580Y2 (ja) * 1990-08-01 1995-11-01 日本発条株式会社 摩擦ロック装置
JP2614678B2 (ja) * 1991-10-23 1997-05-2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ヒンジ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19867B1 (fr) * 1994-05-16 1996-08-02 Coutier Moulage Gen Ind Ensemble articulé notamment pour arrêt de porte de véhicule automobile.
US5577295A (en) * 1994-09-27 1996-11-26 Chrysler Corporation Three diameter hinge pin
US5590441A (en) * 1995-02-27 1997-01-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Lift-off door hinge
US5682646A (en) * 1996-05-13 1997-11-04 Chrysler Corporation Threaded removable vehicle door hinge pin
JP3411804B2 (ja) * 1997-12-05 2003-06-03 水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ヒンジ構造
AU3247299A (en) * 1998-04-09 1999-11-01 Ed. Scharwachter Gmbh. Door stop which is integrated with a door hinge
DE19835572A1 (de) * 1998-08-06 2000-02-10 Scharwaechter Ed Gmbh Anschluß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Türfeststellers mit einem Kraftwagentürscharnier
US6332243B1 (en) 1998-12-21 2001-12-25 Multimatic Inc. Vehicle door prop button
JP3966633B2 (ja) * 1998-12-24 2007-08-29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ヒン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6199448B1 (en) * 1999-11-09 2001-03-13 Trw Inc. Steering attachment with tapered pin and fastener
US6453510B1 (en) * 2000-09-21 2002-09-24 Mansfield Assemblies Co. Single link dual-contact point hinge assembly
CA2348323C (en) * 2001-05-24 2006-02-14 Multimatic Inc. Automotive door hinge with removable component adapted for structural reassembly
KR100798293B1 (ko) * 2001-08-02 2008-01-28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
US6718596B2 (en) * 2002-06-25 2004-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versible door hinge
DE20214356U1 (de) * 2002-09-16 2004-02-26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Verbindung zwischen einer Scheibe und einer Stange
JP3861827B2 (ja) * 2003-02-25 2006-12-27 松下電工株式会社 蝶番の台座高さ調整スペーサ
DE102004012006B3 (de) * 2004-03-10 2005-06-30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Türscharnier für Kraftfahrzeuge
CZ14639U1 (cs) * 2004-05-28 2004-08-24 Edschaábohemiaás@Ár@Áo Závěsné zařízení dveří automobilu
WO2006081417A1 (en) * 2005-01-27 2006-08-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ool-free installation of folding seat back
CA2551642A1 (en) * 2006-07-10 2008-01-10 Multimatic Inc.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7359U (ko) * 1974-09-11 1976-03-19
JPS571259U (ko) * 1980-06-04 1982-01-06
JPH11101048A (ja) * 1997-06-09 1999-04-13 Ed Scharwaechter Gmbh & Co Kg 取り外し可能な自動車のドアヒンジ
KR20010086238A (ko) * 1998-12-21 2001-09-10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8496A1 (en) 2009-03-25
WO2008006191A1 (en) 2008-01-17
ES2895363T3 (es) 2022-02-21
EP2743434B1 (en) 2021-08-11
US9863175B2 (en) 2018-01-09
JP5286260B2 (ja) 2013-09-11
AU2007272240B2 (en) 2013-06-13
KR20090060210A (ko) 2009-06-11
EP2038496B1 (en) 2014-04-02
AU2007272240A1 (en) 2008-01-17
US20180100337A1 (en) 2018-04-12
BRPI0702925A2 (pt) 2011-03-22
CA2623959A1 (en) 2008-01-17
ES2469618T3 (es) 2014-06-18
CA2551642A1 (en) 2008-01-10
AU2007272240A2 (en) 2010-04-01
EP2743434A3 (en) 2016-05-25
CN104727675A (zh) 2015-06-24
EP2743434A2 (en) 2014-06-18
US20080295290A1 (en) 2008-12-04
US10100563B2 (en) 2018-10-16
CA2623959C (en) 2013-10-22
JP2013144924A (ja) 2013-07-25
CN101356333A (zh) 2009-01-28
JP2009542942A (ja) 2009-12-03
US20190048635A1 (en) 2019-02-14
EP3705671A1 (en) 2020-09-09
US20200362610A1 (en) 2020-11-19
EP2038496A4 (en) 2012-10-17
JP5479619B2 (ja)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679B1 (ko) 다편 구조를 갖는 자동차 문 힌지
US8156611B2 (en) Lift-off door hinge
US10927576B2 (en) Automotive door hinge
US20110002565A1 (en) Bearing bush
US20050210630A1 (en) Door hinge for motor vehicles
JP3602073B2 (ja) 結合システムによってシートバック又はシートパン上のフランジに取り付けられた、ヒンジ機構を特徴とする自動車シート
CN201165815Y (zh) 一种新型安装结构的车门铰链
KR20040012506A (ko) 미러 베이스
CN215475390U (zh) 一种用于车辆的铰链加强板结构及车辆
CN115698456B (zh) 具有集成式门限位件的汽车提离式铰链
CN219953025U (zh) 一种前机舱盖铰链结构
CN218029686U (zh) 合页
JPS6137735Y2 (ko)
JPH0686602U (ja) 車両用座席のヒンジ構造
JP2001341557A (ja) ヒンジを備えた座席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46541U (ko) 상용차의 도어용 홀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