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633B1 -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633B1
KR101444633B1 KR1020137022358A KR20137022358A KR101444633B1 KR 101444633 B1 KR101444633 B1 KR 101444633B1 KR 1020137022358 A KR1020137022358 A KR 1020137022358A KR 20137022358 A KR20137022358 A KR 20137022358A KR 101444633 B1 KR101444633 B1 KR 10144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power
value
tim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670A (ko
Inventor
와카히로 카와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021Energy management, balance and limit power to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제조 라인(10)은, 설비(A), 설비(B), 설비(C), 설비(D), 및 제어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설비(A), 설비(B), 설비(C), 설비(D)는, 이 순서로 워크에 대해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장치(20)는, 설비(A)의 전원이 온으로 된 때부터 현시점까지의 설비(A)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감시부(21)와, 상기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A)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경우에 설비(B)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전원 제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설비를 갖는 라인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예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작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라인에서는, 복수의 설비(자동화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반송되는 워크에 대해 각 설비가 가공, 조립, 검사 등의 각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최초에 설비(A)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고, 설비(a)에 의한 처리의 직후에, 설비(a)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있는 설비(b)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제조 라인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제조 라인에서는, 설비(a)로의 워크의 반입, 설비(a)로부터 설비(b)로의 워크의 반송, 설비(b)로부터의 워크의 반출은, 컨베이어로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종래, 이와 같은 제조 라인에서는, 제조 라인의 가동 시작시에 설비(a)의 전원과 설비(b)의 전원을 거의 동시에 온으로 하여 양 설비(a·b)를 대기 상태로 하여 두고, 반송되고 있는 워크를 검출하는 센서(광전 센서 또는 리밋 스위치 등)의 출력에 의거하여 설비(a·b)의 각각에서의 처리의 시작 타이밍을 검출하고, 상기 시작 타이밍에서 설비(a·b)를 대기 상태로부터 처리 실행 상태(대기 상태보다도 소비 전력이 많고, 처리를 행하고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는 제어 수법이 채용되어 있다. 이 제어 수법에 의하면, 설비(a·b)의 각각은, 라인 가동 기간에서 전원이 항상 온으로 되어 있고, 대기 상태인 동안, 가공 또는 조립 등의 처리에 직접 기여하지 않는 전력을 소비하고 있게 된다.
또한, 설비(c)에 의한 처리가 실행된 후, 설비(c)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d)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설비(c)로부터 설비(d)에의 워크의 반송을 사람 손에 의해 행하는 제조 라인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조 라인에서는, 설비(c)의 전원과 설비(d)의 전원을 동시에 온으로 하여 둘 필요성은 없지만, 설비(c)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d)가 열처리 설비(성형기, 리플로 로, 건조기 등)인 경우, 설비(d)의 승온을 위한 시간 로스를 억제하기 위해, 설비(d)에서는, 라인의 가동 시작시부터 공 운전(설비내 온도를 실온보다도 높은 대기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운전)은 행하여지는 일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60672호 공보(공개일 : 2000년 9월 22일)」 특허 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93546호 공보(공개일 : 2005년 10월 20일)」 특허 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11897호 공보(공개일 : 2006년 1월 12일)」
그러나, 근래, CO2 삭감에 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서, 공장에서의 전력 소비의 억제가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소비의 억제가 과제로 되고 있다. 또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의 한 예로서, 상기 대기 상태의 기간이나 상기 공 운전의 기간이 필요 이상으로 확보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설비를 갖는 라인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예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1 설비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2 설비의 전원을,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예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1 설비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2 설비의 전원을,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설비에서의 공정(워크에 대한 처리) 또는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제2 설비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설비의 대기 상태의 기간이나 제1 설비의 공 운전의 기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접근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대기 상태의 기간 또는 상기 공 운전의 기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도 1은 제조 라인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복수의 설비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설비(A 내지 D)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실시의 형태 2의 설비(A 내지 D)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하고, 설비(A)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의 전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실시의 형태 2의 설비(A 내지 D)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하고, 설비(B)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의 전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 예에서의 설비(A 내지 D)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
[실시의 형태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라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라인(10)(라인)은, 설비(A 내지 D)를 갖고 있고, 반송되는 워크에 대해 설비(A 내지 D)의 각각이 차예로 처리를 시행하도록 되어 있는 라인이다. 또한, 워크란 라인에서의 처리 대상물을 의미하고,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라인(10)에서의 워크는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인 것으로 한다.
제조 라인(10)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비(A), 설비(B), 설비(C), 설비(D) 중, 설비(A)가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설비(B)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 설비(A)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설비(C)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 설비(B)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설비(D)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 설비(C)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조 라인(10)의 워크는, 우선, 설비(A)에 반입되어 설비(A)에서 처리가 시행되고, 설비(A)에서의 처리 후에 설비(B)에 반입되어 설비(B)에서 처리가 시행되고, 설비(B)에서의 처리 후에 설비(C)에 반입되어 설비(C)에서 처리가 시행되고, 설비(C)에서의 처리 후에 설비(D)에 반입되어 설비(D)에서 처리가 시행되는 것이다.
설비(A)는, 워크에 대해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이고, 금속 가공 프레스(100)와, 금속 가공 프레스(100)에 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롤 피더 등의 주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설비(B)는, 설비(A)에서 가공된 워크(예를 들면 금속 단자)를 수지재와 함께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사출 성형기이다. 설비(C)는, 설비(B)에 의한 처리가 시행된 후의 워크에 대해 굽힘 가공을 시행하기 위한 금속 굽힘 프레스이다. 설비(D)는, 설비(C)에 의한 처리가 시행된 후의 워크에 접착제를 도포·건조하기 위한 도포·건조 장치이다.
또한, 제조 라인(10)에서, 설비(A)에의 워크의 반입은 사람 손(작업원)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설비(A)로부터 설비(B)에의 워크의 반송, 설비(B)에의 워크의 반입, 설비(B)로부터의 워크의 반출도 사람 손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에 대해, 설비(C)에 대한 워크의 반입, 설비(C)로부터 설비(D)에의 워크의 반송, 설비(D)로부터의 워크의 반출은 컨베이어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즉, 설비(B)로부터 반출된 워크를 작업원이 컨베이어에 재치하면, 이 워크는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비(C)에 반입되고, 그 후, 설비(D)로부터 반출되기 까지의 당해 워크에 대한 반송 처리는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 라인(10)은 설비(A) 내지 설비(D)의 전원(電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어 장치(2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20)는, 제조 라인(10)에서의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고,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외에, 표시 장치(30) 및 입력 장치(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제조 라인(10)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계(11 내지 14)에도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20)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베이스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20)에서의 제어 처리는,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에 의해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에 기록되고, 제어 장치(20)가 상기 리무버블 미디어(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사용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하드 디스크(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등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제어 장치(20)는 판독하여 사용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제어 장치(20)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 장치(30)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이고, 제어 장치(20)로부터 수신한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문자나 화상 등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것이다.
입력 장치(40)는, 제조 라인(10)의 작업원으로부터 각종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고, 입력용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그 밖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40)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 장치(20)에 송신한다.
전력계(11 내지 14)는, 설비의 통산(通算) 전력량을 계측(출력)하는 적산전력계이다. 구체적으로, 전력계(11)는 설비(A)의 통산 전력량을 계측하고, 전력계(12)는 설비(B)의 통산 전력량을 계측하고, 전력계(13)는 설비(C)의 통산 전력량을 계측하고, 전력계(14)는 설비(D)의 통산 전력량을 계측한다. 또한, 통산 전력량이란, 설비 설치시부터 계측 시점까지의 통산의 전력량(소비되는 전력의 적산치)을 의미한다.
다음에, 제어 장치(20)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시부(21), 전원 제어부(22), 연산부(23), 표시 제어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산부(23) 및 표시 제어부(24)는,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구성이 아니라 실시의 형태 3에서 이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의 형태 3에서 설명한다.
감시부(21)는, 전력계(11 내지 14)에 액세스하여, 설비(A 내지 D)의 각각의 제1 전력량을 감시하는 블록이다. 또한, 제1 전력량이란, 설비의 전원이 온으로 된 시점과 현시점과의 사이에서 당해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다. 즉, 설비(A)의 제1 전력량이란, 설비(A)의 전원이 온으로 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사이에 설비(A)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고, 설비(B)의 제1 전력량이란, 설비(B)의 전원이 온으로 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사이에 설비(B)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고, 설비(C)의 제1 전력량이란, 설비(C)의 전원이 온으로 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사이에 설비(C)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고, 설비(D)의 제1 전력량이란, 설비(D)의 전원이 온으로 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사이에 설비(D)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다.
또한, 감시부(21)는,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 한 때의 전력계(11)의 계측치(통산 전력량)와 현시점의 전력계(11)의 계측치와의 차분(差分)의 절대치를 구하고, 이 절대치를, 설비(A)의 제1 전력량으로서 감시하고 있다. 또한, 설비(B) 내지 설비(D)의 제1 전력량의 감시 수법에 대해서도 설비(A)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단, 설비(B)의 경우, 현시점의 전력계(12)의 계측치와,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한 때의 전력계(12)의 계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분을 구하고, 설비(C)의 경우, 현시점의 전력계(13)의 계측치와, 설비(C)의 전원을 온으로 한 때의 전력계(13)의 계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분을 구하고, 설비(D)의 경우, 현시점의 전력계(14)의 계측치와, 설비(D)의 전원을 온으로 한 때의 전력계(14)의 계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분을 구하고 있는 점에서, 설비(A)의 경우와 다르다).
전원 제어부(22)는, 이용자의 커맨드 및 감시부(21)에서 감시되고 있는 제1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블록이다. 이하에서는, 전원 제어부(22)에 의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제조 라인(10)은 비가동의 상태이고, 설비(A) 내지 설비(D)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조 라인(10)의 가동 시작을 지시하는 시작 커맨드를 이용자가 입력 장치(40)를 통하여 제어 장치(20)에 입력하면, 이 시작 커맨드는 전원 제어부(22)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전원 제어부(22)는, 당해 시작 커맨드를 입력하면, 설비(A) 내지 설비(D) 중에서 워크에 대해 최초에 공정을 실행하는 설비(A)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설비(A) 내지 설비(D) 중에서 가장 워크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2)는, 이용자로부터 상기 시작 커맨드를 입력하면,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설비(A)에 송신하고, 이에 의해 설비(A)의 전원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설비(A)의 전원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 후, 전원 제어부(22)는, 감시부(21)에서 감시되고 있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A) 이상의 값으로 증가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한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A) 이상으로 증가한 것을 검출하면, 설비(A)에 의한 공정보다도 후의 공정을 실행하는 설비(B)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설비(A)보다도 워크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A) 이상으로 증가한 것을 검출하면,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설비(B)에 송신하고, 이에 의해 설비(B)의 전원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다. 또한, 임계치(A)는,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는 상태까지 설비(A)의 공정이 진척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값이고, 각 설비의 스펙, 라인(10)의 설계 내용 및 워크의 종류 등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정하여지는 값이다. 또한, 임계치(A)는 시험 운전을 행함으로써 정하여져도 상관없다.
설비(B)의 전원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 후, 전원 제어부(22)는, 감시부(21)에서 감시되고 있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B)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B) 이상의 값으로 증가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한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B)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B)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것을 검출하면, 설비(B)에 의한 공정보다도 후의 공정을 실행하는 설비(C)의 전원과 설비(D)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설비(B)보다도 워크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C, D)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B)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B)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것을 검출하면,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설비(C, D)에 송신하고, 이에 의해 설비(C, D)의 전원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임계치(B)는, 설비(C, D)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는 상태까지 설비(B)의 공정이 진척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값이고, 각 설비의 스펙, 라인(10)의 설계 내용 및 워크의 종류 등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정하여지는 값이다. 또한, 임계치(B)는 시험 운전을 행함으로써 정하여져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 라인(10)에서의 설비(A 내지 D)는 전원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설비(A 내지 D)의 전원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는 타이밍을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설비(A 내지 D)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각 그래프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각 설비의 소비 전력(순시치)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시점 t0에서, 가동 시작을 지시하는 시작 커맨드가 이용자로부터 입력되고, 설비(A)의 전원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 이상의 값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정한다. 예를 들면, 현시점이 도 3에 도시하는 t1인 경우, 전원 제어부(22)는, 시점 t0부터 t1까지의 구간의 설비(A)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가 임계치(a) 이상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설비(A)의 그래프에서의 시점 t0부터 t1까지의 구간의 적분치가 상기 적산치에 상당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시점 t0부터 시점 t1까지의 구간의 설비(A)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는 임계치(a)보다도 적은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전원 제어부(22)는, 시점 t1에서 설비(B)의 전원을 오프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의 예에서는, 현시점이 t2가 된 때, 시점 t0부터 t2까지의 구간의 설비(A)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가 임계치(a) 이상으로 된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원 제어부(22)는, 현시점이 t2가 된 때,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 이상의 값으로 되었다고 판정하고,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설비(B)는, 시점 t2부터 전원이 온으로 되어 기동한다.
시점 t2에서 설비(B)의 전원이 온으로 된 후,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의 값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정한다. 예를 들면, 현시점이 t3인 경우, 전원 제어부(22)는, 시점 t2부터 t3까지의 구간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가 임계치(B) 이상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시점 t2부터 시점 t3까지의 구간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는 임계치(B)보다도 적은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전원 제어부(22)는, 시점 t3에서 설비(C) 및 설비(D)의 전원을 오프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의 예에서는, 현시점이 t4가 된 때, 시점 t2부터 t4까지의 구간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가 임계치(B) 이상의 값으로 된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원 제어부(22)는, 현시점이 t4가 된 때, 시점 t2부터 t4까지의 구간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가 임계치(B) 이상의 값으로 되었다고 판정하고, 설비(C) 및 설비(D)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20)는, 설비(A)(제1 설비)에서의 제1 전력량을 감시하고, 설비(A)의 제1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비(B)(제2 설비)의 전원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설비(B)(제1 설비)에서의 제1 전력량을 감시하고, 설비(B)의 제1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비(C)(제2 설비)의 전원 및 설비(D)(제2 설비)의 전원을 제어하고 있다.
특히, 제어 장치(20)는, 설비(A)(제1 설비)에서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제1 임계치)보다 낮은 값으로부터 임계치(a)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경우, 설비(B)(제2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설비(B)(제1 설비)에서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B)(제1 임계치)보다 낮은 값으로부터 임계치(B)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경우, 설비(C)(제2 설비)의 전원 및 설비(D)(제2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고 있다. 즉,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류측의 설비의 제1 전력량(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에 응하여 하류측의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타이밍을 정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류측의 설비의 제1 전력량은 상류측의 설비에서의 공정의 진척 상황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의 설비에서의 공정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하류측의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정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하류측의 설비에서 전원을 온으로 ?는 최적 타이밍(대기 상태나 공 운전의 기간을 될 수 있는 한 적어지도록 하는 타이밍)은, 상류측의 설비의 공정의 진척 상황으로부터 정하여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류측의 설비에서의 공정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하류측의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정할 수 있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류측의 설비에서의 대기 상태나 공 운전의 기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B)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C 및 D)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B)만이 아니라, 설비(C) 및 설비(D)의 전원도 온으로 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감시부(21)는, 각 설비의 제1 전력량의 산출을 이하와 같이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의 산출에 관해 예시하지만, 설비(B 내지 D)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우선, 설비(A)의 제1 전력량의 산출 대상(계측 대상)이 되는 기간을 대상(對象) 기간이라고 한다. 즉, 이 대상 기간이란, 설비(A)의 전원 온 시로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이다. 그리고, 감시부(21)는, 대상 기간을 복수가 동등한 소정 기간으로 구획하고, 소정 기간 마다의 설비(A)의 소비 전력(사용 전력)의 적산치를 기간 적산치로서 계측한다(즉, 소정 기간은 대상 기간보다 반드시 짧아진다). 또한, 감시부(21)는, 대상 구간에 속하는 각 소정 기간의 각 기간 적산치 중, 소정치 미만의 기간 적산치를 제외하고 소정치 이상의 기간 적산치만을 적산한다. 그리고, 이 적산으로 얻어지는 값을 제1 전력량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1 전력량의 산출 수법의 경우, 설비(A)에 실행되는 공정(예를 들면 가공 처리)과는 관계가 없는 미소한 소비 전력(예를 들면, 공정 비실행시의 무부하 상태의 모터의 소비 전력)을 적산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 하였지만, 어떠한 이유로 최초의 워크가 설비(A)에 투입되어 있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어 설비(A)가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하여도 되는 타이밍이 되지 않았는데도,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 이상이 되어 버린다는 것 같은 부적합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설비의 전원이 온으로 된 시점과 현시점과의 사이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를 제1 전력량으로 하는 형태였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한 제1 시간(예를 들면 10초)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를 제1 전력량으로 하여, 설비(A)의 당해 제1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설비(B)의 당해 제1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C)나 설비(D)의 전원을 온으로 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술한 대상 기간은,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한 제1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의 기간이 된다.
또한, 현시점부터 일정한 제2 시간(예를 들면 15초)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제2 시간보다도 짧은 일정한 제3 시간(예를 들면 5초)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를 제1 전력량으로 하여, 설비(A)의 당해 제1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B)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설비(B)의 당해 제1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으로 된 때에 설비(C)나 설비(D)의 전원을 온으로 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술한 대상 기간은, 현시점부터 일정한 제2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제2 시간보다도 짧은 일정한 제3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의 기간이 된다.
(변형 예)
또한, 이상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설비(예를 들면 설비(A))의 제1 전력량에 응하여, 당해 설비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예를 들면 설비(B))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구성이지만, 당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어느 설비(예를 들면 설비(B))의 제1 전력량에 응하여, 당해 설비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예를 들면 설비(A))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설비(B)가, 내부 온도를 미리 대기 온도까지 상승시켜 두지 않으면 워크에 처리를 시행할 수가 없는 장치이고, 가령 설비(A)와 설비(B)에서 운전을 동시에 시작시킨 경우, 최초에 처리되는 워크가 설비(A)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에서는 설비(B)의 내부 온도가 대기 온도에 도달하지 않아, 설비(A)의 운전 시작 전부터 설비(B)를 공 운전(워크의 처리 전에 미리 대기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운전)시켜 두어야 하는 변형 예를 상정한다. 이와 같은 변형 예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설비(B)의 공 운전의 기간을 필요한 만큼 확보하여, 불필요한 공 운전의 기간을 삭제할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설비(B)의 불필요한 공 운전의 기간을 삭제하려면, 설비(B)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응한 적절한 출력 타이밍에서 설비(A)로부터 최초의 워크를 출력할 필요가 있고, 그를 위해서는, 설비(B)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응한 적절한 시작 타이밍에서 설비(A)의 운전을 시작시킬 필요가 있다. 즉, 설비(A)의 적절한 운전 시작 타이밍은 설비(B)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의해 정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설비(B)의 제1 전력량(설비(B)의 전원 온 시로부터 현시점까지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은 설비(B)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변형 예에서, 전원 제어부(22)는, 제조 라인(10)이 비가동 상태(설비(A) 내지 설비(D)의 전원이 오프인 상태)인 때에 오퍼레이터로부터 시작 커맨드를 입력하면, 우선 설비(B)의 전원만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여 설비(B)에 공 운전을 실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후,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설비(B)의 전원 온 시로부터 현시점까지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이 임계치(X)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X) 이상의 값으로 증가하였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정한다.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X)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설비(A)의 전원을 오프로 계속 유지한다. 이에 대해,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X) 이상의 값으로 증가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설비(A)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 한 후,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Y)보다 낮은 값부터 임계치(Y) 이상의 값으로 증가하였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정한다. 또한, 임계치(Y)는, 임계치(X)보다도 높은 값인 것으로 한다.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Y)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설비(C, D)의 전원을 오프로 계속 유지한다. 이에 대해,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Y) 이상으로 증가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설비(C, D)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변형 예에서 설비(A 내지 D)의 전원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는 타이밍을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변형 예의 설비(A 내지 D)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의 각 그래프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각 설비의 소비 전력(순시치)을 나타내고 있다.
현시점이 도 6에 도시하는 t15인 때에 있어서, 가동 시작을 지시하는 시작 커맨드가 이용자로부터 입력되고,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한다. 그 후, 전원 제어부(22)는, 현시점이 t16이 된 때, 시점 t15부터 t16까지의 구간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가 임계치(X)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하고,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다. 또한, 현시점이 t16부터 t17로 이행하면, 전원 제어부(22)는, 시점 t15부터 t17까지의 구간의 설비(B)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1 전력량)가 임계치(Y)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하고, 설비(C) 및 설비(D)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변형 예에 의하면, 설비(B)(제1 설비)의 제1 전력량에 응하여, 설비(B)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A)(제2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비(B)의 공 운전의 기간을 필요한만큼 확보하고, 불필요한 공 운전의 기간을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임계치(X)(제1 임계치)는,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는 상태까지 설비(B)의 공 운전이 진척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값이고, 임계치(Y)(제1 임계치)는, 설비(C, D)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는 상태까지 설비(B)의 공 운전 또는 공정이 진척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값이다. 어느 임계치도, 각 설비의 스펙, 라인(10)의 설계 내용 및 워크의 종류 등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정하여지는 값이다. 또한, 임계치(X, Y)는 시험 운전을 행함으로써 정하여져도 상관없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제어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제어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비(A 내지 D) 중의 어느 하나의 설비에 트러블이 발생하여 당해 설비가 정상적으로 가동하지 않게 된 경우, 다른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감시부(21) 및 전원 제어부(22)의 처리 내용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를 뿐이고, 기타의 점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감시부(21) 및 전원 제어부(22)의 처리 내용을 주로 설명하고,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내용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시부(21)는, 전력계(11 내지 14)에 액세스하여,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제2 전력량을 감시하는 블록이다. 또한, 제2 전력량이란,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면 15초)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다. 즉, 설비(A)의 제2 전력량이란,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설비(A)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고, 설비(B)의 제2 전력량이란,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설비(B)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고, 설비(C)의 제2 전력량이란,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설비(C)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고, 설비(D)의 제2 전력량이란,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설비(D)에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이다.
또한, 감시부(21)는, 현시점의 전력계(11)의 계측치와, 현시점부터 상기 일정 시간전의 시점의 전력계(11)의 계측치와의 차분의 절대치를 구하고, 이 절대치를, 설비(A)의 제2 전력량으로서 감시하고 있다. 또한, 설비(B) 내지 설비(D)의 제2 전력량의 감시 수법에 대해서도 설비(A)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단, 설비(B)의 경우, 전력계(12)의 계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분을 구하고, 설비(C)의 경우, 전력계(13)의 계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분을 구하고, 설비(D)의 경우, 전력계(14)의 계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분을 구하고 있는 점에서, 설비(A)의 경우와 다르다).
전원 제어부(22)는, 감시부(21)에서 감시되고 있는 제2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블록이다. 이하에서는, 전원 제어부(22)에 의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전원 제어부(22)는, 제조 라인(10)의 가동중(설비(A) 내지 설비(D)의 전원이 온이고 설비(A) 내지 설비(D)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상태), 감시부(21)의 감시 결과를 참조하여, 설비(A 내지 D)의 각각의 제2 전력량에 관해 임계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a)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하고, 설비(B)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b)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b)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하고, 설비(C)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c)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c)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하고, 설비(D)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d)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d)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한다.
여기서, 임계치(a 내지 d)(제2 임계치)는, 각각, 설비(A 내지 D)가 완전 정지하여 버린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값이다. 어느 임계치도, 각 설비의 스펙, 라인(10)의 설계 내용 및 워크의 종류 등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정하여지는 값이다. 또한, 임계치(a 내지 d)는 시험 운전을 행함으로써 정하여져도 상관없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 내지 설비(D) 중의 어느 하나의 설비(제1 설비)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 이하의 값으로 감소한 것을 검출하면, 제2 전력량이 임계치 이하로 된 설비 이외의 각 설비(제2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a) 이하로 감소한 것을 검출하면,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설비(B 내지 D)의 각각에 송신하고, 이에 의해 설비(B) 내지 설비(D)의 전원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2의 설비(A 내지 D)의 각 각에서 사용되는 전력(소비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의 각 그래프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각 설비의 소비 전력(순시치)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시점 t5에서,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고, 반송되어 오는 워크에 대해 처리(공정)를 시행하고 있다. 전원 제어부(22)는, 제조 라인(10)에 속하는 설비(A) 내지 설비(D)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사이,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제2 전력량에 대해 임계치 처리를 계속 행한다. 즉,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a)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 내지 D)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전력량이 각각에 대응한 임계치보다도 높은 값부터 임계치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 행한다.
예를 들면, 현시점이 도 4에 도시하는 t6로 이행하고 있고, t6부터 상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이 t5인 경우, t6부터 t5까지의 구간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가 제2 전력량에 상당한다. 따라서 현시점이 t6일 때,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에 관해 시점 t6부터 t5까지의 구간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2 전력량)가 임계치(a) 이하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설비(B 내지 D)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점 t6부터 t5까지의 구간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2 전력량)가 각각에 대응하는 임계치 이하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각 그래프에서, 시점 t6부터 t5까지의 구간의 적분치가, 시점 t6부터 t5까지의 구간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에 상당한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시점 t6부터 시점 t5까지의 구간에서, 각 설비(A 내지 D)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제2 전력량)는 각각에 대응한 임계치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전원 제어부(22)는, 현시점이 t6인 경우,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온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시점 t8에서, 설비(A)에 트러블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또한, 시점 t8의 후의 시점 t9에 도달하기 까지의 사이에서, 설비(A)의 제2 전력량(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이 임계치(a)보다 높은 것이지만, 현시점이 t9가 된 때, 상기한 정지에 기인하여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 이하로 된 것으로 한다. 또한, 현시점이 t9일 때의 설비(A)의 제2 전력량은, 현시점 t9와, 현시점 t9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 t7 사이의 설비(A)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이다.
전원 제어부(22)는, 현시점이 t9에 도달하기 까지의 사이,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설비(B) 내지 설비(D)의 전원의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시점이 t9가 되면,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 이하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설비(B)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비(B) 내지 설비(D)는, 시점 t9에서 일제히 가동을 정지하고, 시점 t9 이후에 있어서 소비하는 전력이 제로가 된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20)는, 설비(A)에서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a) 이하의 값으로 감소한 경우에 설비(B)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여기서, 설비가 정상적으로 계속 가동하고 있는 경우, 당해 설비의 제2 전력량(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의 전력의 적산치)은, 거의 일정치로 추이하는 것이지만, 설비에 트러블이 생긴 경우, 상기 제2 전력량은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력량이, 어느 값(임계치(a 내지 d)) 이하가 될 때 까지 감소하는 경우, 당해 설비는 상기 트러블에 의해 완전 정지하여 버린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설비(A)에서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a) 이하의 값으로 감소한 경우에 설비(B) 내지 설비(D)의 각각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비(A)가 트러블에 의해 정지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곧바로 설비(B) 내지 설비(D)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트러블에 의한 설비(A)의 정지 후, 곧바로 설비(B) 내지 설비(D)의 전원을 오프에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이 효과에 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급한 트러블에 의해 설비(A)가 정지한 경우, 설비(A)로부터 워크가 출력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설비(A)보다도 워크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B 내지 D)는, 그대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한 경우, 불필요한 대기 상태(워크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상태)를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트러블에 의해 설비(A)가 정지한 경우, 곧바로 설비(B) 내지 설비(D)의 전원을 오프로 하지않으면, 불필요한 대기 상태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생겨 버리게 된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설비(A)가 트러블에 의해 정지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곧바로 설비(B) 내지 설비(D)의 전원을 오프로 하게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대기 상태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설비(A))에 트러블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트러블이 생긴 설비의 제2 전력량에 응하여, 트러블이 생긴 설비보다도 하류측에 있는 설비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지만, 어느 설비의 하류측에 있는 설비에 트러블이 생긴 경우, 트러블이 생긴 설비의 제2 전력량에 응하여, 트러블이 생긴 설비보다도 상류측에 있는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 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t10에서, 설비(A, C, D)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한편으로, 설비(B)에 트러블이 생긴 것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현시점이 t11이 되기 까지의 사이에서 설비(B)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b)보다 높은 것이지만, 현시점이 t11이 되면, 설비(B)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b)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전원 제어부(22)는, 현시점이 t11에 도달하기 까지의 사이, 설비(B)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b)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설비(A, C, D)의 전원의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시점이 t11이 되면, 전원 제어부(22)는, 설비(B)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b) 이하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설비(B)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A)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고, 또한 설비(B)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설비(C) 및 설비(D)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어느 설비가 트러블에 의해 정지한 경우, 트러블에 의해 정지한 설비보다도 워크 반송 방향의 설비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의 전원을 곧바로 오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이 효과에 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급한 트러블에 의해 설비(B)가 정지한 경우, 설비(B)보다도 워크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A)가 처리를 계속하여도, 설비(B)는 설비(A)로부터 출력된 워크를 처리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설비(A)의 처리를 계속시켜도 헛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설비(B)가 트러블에 의해 정지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설비(B)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설비(A)의 전원을 곧바로 오프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제4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를 제2 전력량으로 하는 형태였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a)(제5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a)보다도 짧은 일정 시간(b)(제6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를 제2 전력량으로 하여, 어느 설비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보다 높은 값부터 임계치 이하의 값으로 된 때에 다른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설비에 트러블이 생긴 경우에, 당해 설비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 이하로 된 케이스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어떠한 이유로, 설비(A 내지 D) 중의 어느 하나의 설비의 전원을 작업원이 수동으로 오프로 하고, 당해 설비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 이하로 된 케이스에서도, 다른 설비의 전원이 제어 장치(20)에 의해 오프로 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임계치 처리는,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에 관해, 제2 전력량(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은 임계치 이하의 값으로 감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형태이지만, 당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임계치 처리라도 좋다.
우선, 라인(10)을 시운전함에 의해, 설비(A 내지 D)마다, 제2 전력량의 산출 대상이 되는 기간(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일정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과 동일 길이의 기간에 정상적으로 가동한 경우의 전력량의 적산치를 정상치로서 미리 산출하여 둔다. 다음에, 각 설비(A 내지 D)의 정상치를 제어 장치(20)에 구비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에 보존하여 둔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t5부터 t6의 사이의 설비(A)의 소비 전력의 적산치가 설비(A)의 정상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라인(10)의 통상 가동시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에 관해, 상기 정상치로부터 제2 전력량을 공제한 차분치를 구하고, 이 차분치가 임계치보다 적은 값부터 임계치 이상의 값으로 증가하였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정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22)는, 설비(A) 내지 설비(D) 중의 어느 하나의 설비의 차분치가 임계치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차분치가 임계치 이상으로 된 설비 이외의 각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처리 형태에 의하면, 제2 전력량이 정상치보다도 극히 낮은 값까지 감소한 설비가 있면, 이 설비 이외의 각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 하게 된다. 여기서, 어느 설비의 제2 전력량이 정상치보다도 극히 낮은 값까지 감소한다는 것은, 당해 설비가 트러블 등에 의해 정지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상의 처리 형태에 의해서도, 어느 설비가 트러블에 의해 정지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곧바로 다른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 할 수가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3]
또한, 오퍼레이터 또는 시스템 설계자에게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간(이하 「설정 기간」이라고 칭한다)의 각 설비의 전력량을 제3 전력량으로서 구하고, 각 설비의 제3 전력량의 합계치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이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시부(21) 및 전원 제어부(22) 외에, 연산부(23) 및 표시 제어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감시부(21)는, 전력계(11 내지 14)의 계측 결과를 참조하여, 설비(A) 내지 설비(D)의 각각에 관해, 상기 설정 기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인 제3 전력량을 구한 블록이다. 또한, 설정 기간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 또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간이고, 여기서는 제조 라인(10)이 공장에 설치된 때부터 현시점까지의 통산 기간인 것으로 한다.
연산부(23)은, 설비(A)의 제3 전력량과, 설비(B)의 제3 전력량과, 설비(C)의 제3 전력량과, 설비(D)의 제3 전력량과의 합계치를 구하는 블록이다. 표시 제어부(24)는, 연산부(23)에서 구하여진 상기 합계치를 표시 장치(30)에 표시시키는 블록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작업원)는 라인 전체에서 소비된 전력량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메리트를 갖는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서, 설정 기간은 상기 통산 기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제조 라인(10)의 가동 시작시로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을 설정 기간으로 하여도 좋고, 현시점이 속하는 날(日)을 상기 설정 기간으로 하여도 좋고, 현시점이 속하는 해(年)를 상기 설정 기간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에 나타낸 각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20)와 전력계와의 사이의 통신 수단, 및, 제어 장치(20)와 설비(A 내지 D)의 각 각과의 사이의 통신 수단은, 주지의 유선 방식이라도 좋고 주지의 무선 방식이라도 좋다. 단, 무선 방식의 경우, 시스템 설치시에 번잡한 배선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연산부(23)에서 구하여진 합계치를, 작업원에게 소지시키고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 장치가 상기 합계치를 표시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조 라인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제조 라인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검사 라인이나, 배송 센터에 있어서 하물의 분류(仕分) 라인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1 내지 3의 구성에 의하면, 하기한 (1) 내지 (9)에 나타내는 메리트를 갖고 있다.
(1) 제조 라인(10)을 구성하는 각 설비의 가동 상황에 응하여, 각 설비의 전원의 온과 오프와의 전환을 알맞는 타이밍에서 세밀하게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상태 또는 공 운전에 의한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전력량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또한, 표시되어 있는 전력량에 응하여 작업원이 다수의 설비의 전원을 전환하는 형태에서는, 전원의 온과 오프와의 전환을 알맞는 타이밍에서 세밀하게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비숙련자에게서는, 전력량의 변화로부터, 전원의 전환의 적절한 타이밍을 판별하는 것이 곤란하여, 작업원이 각 설비의 전원을 전환하는 형태에서는, 대기 상태 또는 공 운전에 의한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2) 전력에 의거하여 동작한 설비는, 전부, 같은 형태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 내지 3의 구성은 다종다양한 라인에 적용 가능하다.
(3) 워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전원 제어를 행하는 종래 구성에 의하면, 각 설비에 대한 워크의 반입·반출을 상세히 감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최적 센서의 선정, 최적 센서 위치의 선정을 장치마다 엄격하게 행할 필요가 있어서, 설계 작업이 복잡해진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1 내지 3의 구성에서는, 상기 센서의 출력에 의거한 전원 제어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의 선정이나 센서 설치 위치의 선정을 종래 구성만큼 엄격하게 행할 필요가 없어서, 종래 구성보다도 설계 작업이 용이하다.
(4)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동일 라인에서 다종의 워크를 처리하는 경우, 워크의 종류의 변경에 응하여 센서를 교환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1 내지 3의 구성에 의하면, 동일 라인에서 다종의 워크를 처리하는 경우, 워크의 종류가 변하여도, 임계치를 변경할 뿐이면 되고, 전력계까지를 교환할 필요는 없다.
(5)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대기 상태의 기간이나 공 운전 기간이 필요 이상으로 확보되기 때문에, 라인의 미조정을 빈번하게 실시하기 위해 라인의 가동/비가동을 미세하게 전환하는 경우,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1 내지 3에 의하면, 대기 상태의 기간이나 공 운전 기간을 필요 최저한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인의 미조정을 빈번하게 실시하는 경우, 종래 구성보다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6) 실시의 형태 1 내지 3의 구성에 의하면, 워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출력을 전원 제어에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종래 구성에 비하여, 상기 센서의 설치 수를 삭감할 수 있고, 각 센서를 배선하는 작업도 경감되기 때문에, 비용의 저하가 가능해진다.
(7)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에 의하면, 전력계(11 내지 14)의 측정치를, 제조 라인(10)의 전원 제어뿐만 아니라, 전력 소비의 관리용 데이터(표시 장치(30)에 표시된 정보)의 작성에도 이용할 수 있다.
(8) 실시의 형태 1의 변형 예의 구성에서는, 하류측의 설비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상류측의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대해, 종래 구성에서는, 워크의 검출만으로는 설비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가 없고, 하류측의 설비의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상류측의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제어는 곤란하다.
(9) 또한, 종래 구성에서는, 설비(α)와 설비(α)의 하류측의 설비(β)를 갖는 경우, 설비(α)와 설비(β)와의 사이에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설비(β)에 트러블이 생긴 경우에 센서에 검출된 워크의 체류 수가 일정치를 넘게 되고, 상기 체류수이 일정치를 넘으면 설비(α)의 전원을 오프로 한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법에서는, 센서를 여분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센서의 종류, 설치 위치의 조정, 체류 판정의 조건 설정 등이 번잡하여, 라인 조정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어느 설비의 제2 전력량에 의거하여 다른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 하는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의하면, 전원의 제어에 상기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를 갖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1 내지 3의 제조 라인(10)에서는 제어 장치(20)는 하나뿐이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0a 내지 20d)를 제조 라인(10)에 설치하고, 제어 장치(20a)는, 설비(A)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다른 설비의 전원을 제어하고, 제어 장치(20b)는, 설비(B)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다른 설비의 전원을 제어하고, 제어 장치(20c)는, 설비(C)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다른 설비의 전원을 제어하고, 제어 장치(20d)는, 설비(D)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다른 설비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a)는, 전력계(11)의 계측치에 의거하여 설비(A)의 전력량을 감시하고, 제어 장치(20b)는, 전력계(12)의 계측치에 의거하여 설비(B)의 전력량을 감시하고, 제어 장치(20c)는, 전력계(13)의 계측치에 의거하여 설비(C)의 전력량을 감시하고, 제어 장치(20d)는, 전력계(14)의 계측치에 의거하여 설비(D)의 전력량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 장치(20a)는 설비(A)에 설치되는 제어용 집적 회로이고, 제어 장치(20b)는 설비(B)에 설치되는 제어용 집적 회로이고, 제어 장치(20c)는 설비(C)에 설치되는 제어용 집적 회로이고, 제어 장치(20d)는 설비(D)에 설치되는 제어용 집적 회로라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 나타낸 각 실시의 형태에서 임계치 처리가 시행되고 있지만, 판정 대상치가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임계치 처리는, 「판정 대상치≥임계치」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고, 「판정 대상치>임계치」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판정 대상치가 임계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임계치 처리인 경우, 당해 임계치 처리는, 「판정 대상치≤임계치」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고, 「판정 대상치<임계치」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설비(A)의 제1 전력량이 임계치(a) 이상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임계치 처리가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되지만, 이 임계치 처리는, 「제1 전력량≥임계치(a)」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고, 「제1 전력량>임계치(a)」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설비(A)의 제2 전력량이 임계치(a) 이하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임계치 처리가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되지만, 이 임계치 처리는, 「제2 전력량≤임계치」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고, 「제2 전력량<임계치」인지의 여부의 판정 형태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라인이란, 워크에 대해 가공·조립·검사 등의 처리를 행하는 계통·시스템을 의미하고, 1직선에 따라 복수의 설비가 나열하는 라인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건물의 1층에 설치되는 설비와 상기 건물의 2층에 설치되는 설비에 의해 공정 전체가 실현되는 라인이라도 좋고, 복수의 설비가 복수의 건물에 분산되어 있고 전 설비에 의해 공정 전체가 실현되는 라인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장치(20)의 각 부분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수단이,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수단,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 등의 통신 수단을 제어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수단을 갖는 컴퓨터가,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판독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생산 라인 관리 장치의 각종 기능 및 각종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리무버블한 기록 매체에 기록함에 의해, 임의의 컴퓨터상에서 상기한 각종 기능 및 각종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로서는,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처리를 행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예를 들면 ROM과 같은 것이 프로그램 미디어라도 좋고,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외부 기억 장치로서 프로그램 판독 장치가 마련되고, 그곳에 기록 매체를 삽입함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미디어라도 좋다.
또한, 어느 경우에도,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액세스하여 실행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기억 에어리어에 다운로드되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다운로드용의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미디어로서는,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매체이고,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렉시블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MO/MD/DVD 등의 디스크의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 등의 카드계, 또는 마스크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ROM 등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기록 매체 등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접속 가능한 시스템 구성이라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기록 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는, 그 다운로드용의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격납하여 두든지, 또는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의 총괄]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예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1 설비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2 설비의 전원을,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설비에서의 공정(워크에 대한 처리) 또는 공 운전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제2 설비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설비의 대기 상태의 기간이나 제1 설비의 공 운전의 기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접근할 수가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이 제1 임계치보다 낮은 값부터 제1 임계치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경우, 상기 제2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구성에서, 상기 전력량은, (a) 상기 제1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한 시점과 현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b)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제1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c) 현시점부터 제2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제2 시간보다도 짧은 제3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이 제2 임계치보다 높은 값부터 제2 임계치 이하의 값으로 감소한 경우, 상기 제2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구성에서, 상기 전력량이란, (a)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제4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b) 현시점부터 제5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제5 시간보다도 짧은 제6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전력량의 계측 대상이 되는 기간을 대상 기간으로 하고, 이 대상 기간을 서로 동응한 복수의 소정 기간으로 구획하고, 소정 기간마다의 제1 설비의 사용 전력의 적산치를 기간 적산치로 하고, 대상 구간에 속하는 각 소정 기간의 각 기간 적산치 중, 소정치 미만의 기간 적산치를 제외하고 소정치 이상의 기간 적산치만을 적산하고, 이 적산에서 얻어지는 값을 상기 전력량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의 전부에 관한 전력량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설비의 모든 전력량의 합계치를 구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구라여진 상기 합계치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원의 각 실시 형태는,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예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1 설비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2 설비의 전원을,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제어 장치의 각 부분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실시 형태의 범주에 들어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복수의 설비를 구비한 라인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당해 라인으로서는, 제조 라인, 검사 라인, 분류 라인 등이 있다.
10 : 제조 라인 11 내지 14 : 전력계
20 : 제어 장치 21 : 감시부
22 : 전원 제어부 23 : 연산부
24 : 표시 제어부 30 : 표시 장치
40 : 입력 장치 100 : 금속 가공 프레스
A 내지 D : 설비

Claims (10)

  1.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례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1 설비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2 설비의 전원을,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이 제1 임계치보다 낮은 값부터 제1 임계치 이상의 값으로 증가한 경우, 상기 제2 설비의 전원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이란, (a) 상기 제1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 한 시점과 현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b)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제1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c) 현시점부터 제2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제2 시간보다도 짧은 제3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이 제2 임계치보다 높은 값부터 제2 임계치 이하의 값으로 감소한 경우, 상기 제2 설비의 전원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이란, (a) 현시점과 현시점부터 제4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b) 현시점부터 제5 시간만큼 소급한 시점과, 현시점부터 제5 시간보다도 짧은 제6 시간 소급한 시점과의 사이에서 제1 설비에서 사용된 전력의 적산치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전력량의 계측 대상이 되는 기간을 대상 기간으로 하여, 이 대상 기간을 서로 동등한 복수의 소정 기간으로 구획하고, 소정 기간 마다의 제1 설비의 사용 전력의 적산치를 기간 적산치로 하고, 대상 구간에 속하는 각 소정 기간의 각 기간 적산치 중, 소정치 미만의 기간 적산치를 제외하고 소정치 이상의 기간 적산치만을 적산하고, 이 적산에서 얻어지는 값을 상기 전력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의 전부에 관한 전력량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설비의 모든 전력량의 합계치를 구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구하여진 상기 합계치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워크에 대해 복수의 설비의 각각이 차례로 처리를 실행하는 라인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1 설비의 전력량을 감시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설비 중의 적어도 제2 설비의 전원을, 상기 제1 설비의 전력량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컴퓨터를, 제 1항 내지 제 5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장치의 각 부분으로서 기능 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삭제
KR1020137022358A 2011-03-14 2011-03-17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44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5977A JP4775516B1 (ja) 2011-03-14 2011-03-14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JP-P-2011-055977 2011-03-14
PCT/JP2011/056451 WO2012124114A1 (ja) 2011-03-14 2011-03-17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670A KR20130108670A (ko) 2013-10-04
KR101444633B1 true KR101444633B1 (ko) 2014-10-30

Family

ID=4479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358A KR101444633B1 (ko) 2011-03-14 2011-03-17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48656B2 (ko)
EP (1) EP2688180B1 (ko)
JP (1) JP4775516B1 (ko)
KR (1) KR101444633B1 (ko)
CN (1) CN103392284B (ko)
MY (1) MY159000A (ko)
TW (1) TWI464552B (ko)
WO (1) WO2012124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516B1 (ja) 2011-03-14 2011-09-21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888019B2 (ja) * 2011-12-12 2016-03-16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024326B2 (ja) * 2012-09-13 2016-11-16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5910428B2 (ja) 2012-09-13 2016-04-27 オムロン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717802B2 (ja) * 2013-07-03 2015-05-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機械の制御装置
JP6413262B2 (ja) 2014-03-05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力デマンド制御装置、電力デマンド制御方法、電力デマンド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TWI498698B (zh) * 2014-03-27 2015-09-01 Genesis Technology Inc 使用者介面以及電腦程式產品
US9701018B2 (en) 2014-04-01 2017-07-11 Bot & Dolly, Llc Software interface for authoring robotic manufacturing process
US9841749B2 (en) 2014-04-01 2017-12-12 Bot & Dolly, Llc Runtime controller for robotic manufacturing system
US9278449B1 (en) 2014-05-21 2016-03-08 Bot & Dolly, Llc Closed-loop control system for robotic operation
US9555545B2 (en) 2014-05-21 2017-01-31 Bot & Doll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ime-based parallel robotic operation
US9308647B2 (en) 2014-06-03 2016-04-12 Bot & Doll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structing robotic operation
GB2535456A (en) 2015-02-12 2016-08-24 Edwards Ltd Processing tool monitoring
JP6467631B2 (ja) * 2015-04-15 2019-0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管理装置および実装基板製造方法
DE102015211941A1 (de) * 2015-06-26 2016-12-2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zierung eines Energiebedarfs einer Werkzeugmaschine und Werkzeugmaschinensystem
JP6714016B2 (ja) * 2015-11-30 2020-06-24 株式会社Fuji 部品供給装置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6926703B2 (ja) * 2017-06-13 2021-08-2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力量管理システム、電力量モニタ認識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R3070510B1 (fr) * 2017-08-30 2020-11-06 C E R M E X Constructions Etudes Et Rech De Materiels Pour Lemballage Dexpedi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de la temperature d'un module d'une ligne de pro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906A (ja) * 1997-03-17 1998-12-0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JP2003143762A (ja) 2001-10-30 2003-05-16 Canon Inc 加工装置および装置制御方法
KR20070024429A (ko) * 2005-08-26 2007-03-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력 공급 시스템, 전력 공급 방법 및 로트 처리 방법
JP2007280994A (ja) 2006-04-03 2007-10-25 Seiko Epson Corp 半導体製造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7749B2 (ja) 1991-10-07 1998-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H09212261A (ja) 1996-01-31 1997-08-15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の電源制御システム
DE19637574A1 (de) 1996-09-14 1998-03-26 Braun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bschaltung von Verbrauchern
JPH11237933A (ja) 1998-02-20 1999-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生産管理システム
US6392318B1 (en) * 1998-10-28 2002-05-21 Eigenpoint Company Programmable emergency-stop circuit
JP2000260672A (ja) 1999-03-04 2000-09-22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半導体製造装置及び複数ユニットの電源開閉方法
JP4341106B2 (ja) 1999-05-31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の使用状況監視方法および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US6303395B1 (en) * 1999-06-01 2001-10-16 Applied Materials, Inc.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iques
JP3851060B2 (ja) 2000-05-08 2006-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生産装置、生産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62917A (ja) * 2000-08-21 2002-02-28 Konica Corp 機器の製造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6583386B1 (en) 2000-12-14 2003-06-24 Impact Engineer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weld monitoring and tracking
KR100476739B1 (ko) 2001-12-28 2005-03-16 고윤석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TW591372B (en) 2003-05-15 2004-06-11 High Tech Comp Corp Power control method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JP4369189B2 (ja) 2003-09-22 2009-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5293546A (ja) 2004-03-10 2005-10-20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
US7208697B2 (en) * 2004-05-20 2007-04-24 Lincoln Glob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nergy usage
JP2006011897A (ja) 2004-06-28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械加工機電力監視装置
KR20060011060A (ko) 2004-07-29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US7212876B2 (en) 2004-09-09 2007-05-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intenance opportunity planning system and method
JP4178279B2 (ja) 2005-01-11 2008-11-12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信号検出方法、消費電力制御方法、信号検出装置及び消費電力制御装置
WO2006080366A2 (en) 2005-01-27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apparatus, and mounter
JP4475586B2 (ja) * 2005-03-28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監視方法
EP1849342B1 (en) 2005-02-17 2009-08-19 Panasonic Corporation Mounting condition determining method, mounting condition determining device, and mounting apparatus
JP2006310750A (ja) 2005-03-31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方法および監視装置
US7979293B2 (en) 2005-09-29 2011-07-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system operations timing
DE102005057270A1 (de) 2005-11-25 2007-06-28 Silvio Esser Produktionsdatenerfassungs- und -analysesystem
US7873441B2 (en) * 2006-09-25 2011-01-18 Andreas Joanni Synesiou System for execution of a load operating plan for load control
US7831843B2 (en) 2006-09-26 2010-11-09 Dell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GB2436979B (en) 2007-05-09 2008-04-02 Andrew James Stanford-Clark Standby power consumption limiting device
JP2008306835A (ja) 2007-06-07 2008-12-18 Sharp Corp 電力制御装置
JP4831061B2 (ja) * 2007-12-26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の非常停止方法
DE102008001777A1 (de) * 2008-05-14 2009-11-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euerung einer Fertigungslinie
CA2729846A1 (en) 2008-06-10 2009-12-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057396B (zh) * 2008-06-12 2014-09-17 地铁电力有限公司 用于节能减排的方法
KR101683657B1 (ko) 2008-10-08 2016-12-0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처리 장비의 유휴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231974B2 (ja) 2008-12-22 2013-07-10 Sky株式会社 機器電源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電源管理プログラム
US8447541B2 (en) 2009-01-26 2013-05-21 Geneva Cleantech Inc. Energy usage monitoring with remote display and automatic detection of appliance inclu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JP5218453B2 (ja) * 2009-04-10 2013-06-26 オムロン株式会社 設備運転状態計測装置、設備運転状態計測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099066B2 (ja) 2009-04-10 2012-12-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エネルギー監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エネルギー監視プログラム
US8416074B2 (en) 2009-05-07 2013-04-09 Laurence P. Sadwick Solar powered portable control panel
US20110119515A1 (en) 2009-05-07 2011-05-19 Innosys, Inc.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N102227740B (zh) 2009-06-25 2014-06-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功率控制支持装置及功率控制支持方法
TWI443925B (zh) 2009-07-14 2014-07-01 Univ Southern Taiwan Tech 家庭用電力監測系統
JP2011036003A (ja) 2009-07-30 2011-02-17 Fujitsu Component Ltd 電源監視制御装置、電源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電源監視制御方法
ZA201006024B (en) * 2009-08-24 2011-02-23 Klaprops 299 (Proprietary) Ltd Electric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1090542A (ja) 2009-10-23 2011-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使用電力量算出システム
US9075408B2 (en) 2009-11-16 2015-07-07 Applied Materials, Inc. Energy savings and global gas emissions monitoring and display
US9170576B2 (en) 2009-12-21 2015-10-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nergy conservation diagnosis system
US8738190B2 (en) 2010-01-08 2014-05-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dustrial control energy object
US20130211844A1 (en) 2010-05-06 2013-08-15 Laurence P. Sadwick Solar Powered Portable Control Panel
JP4775516B1 (ja) 2011-03-14 2011-09-21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906A (ja) * 1997-03-17 1998-12-0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JP2003143762A (ja) 2001-10-30 2003-05-16 Canon Inc 加工装置および装置制御方法
KR20070024429A (ko) * 2005-08-26 2007-03-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력 공급 시스템, 전력 공급 방법 및 로트 처리 방법
JP2007280994A (ja) 2006-04-03 2007-10-25 Seiko Epson Corp 半導体製造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94607A (ja) 2012-10-11
KR20130108670A (ko) 2013-10-04
EP2688180A1 (en) 2014-01-22
WO2012124114A1 (ja) 2012-09-20
TWI464552B (zh) 2014-12-11
US10048656B2 (en) 2018-08-14
TW201239563A (en) 2012-10-01
CN103392284B (zh) 2016-01-06
JP4775516B1 (ja) 2011-09-21
US20130331959A1 (en) 2013-12-12
EP2688180A4 (en) 2014-01-22
MY159000A (en) 2016-11-30
CN103392284A (zh) 2013-11-13
EP2688180B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633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09961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62919B1 (ko) 시뮬레이션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9002166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WO2012124411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118708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4212993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ing electronic devices with low voltage batteries
JP2007122657A (ja) 消費電流制御システム
JP5233500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電源制御回路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5360182B2 (ja) 樹脂封止装置と樹脂封止装置の制御方法
US20170075374A1 (en) Numerical control system which displays voltage value of backup battery
CN115667943A (zh) 状态判定装置、状态判定系统、生产系统、工序管理装置、以及状态判定方法
KR20130003086A (ko) 듀얼프로세서를 통해 효과적인 역할 분담이 가능한 지능로봇 메인 시스템
US9891141B2 (en) Measuring device of process automation technology
JP2012008869A (ja) 情報処理装置
WO2016135850A1 (ja) サーボシステムおよびバッテリの寿命推定方法
KR20150012084A (ko) 기판 처리장비용 전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12152004A (ja) 待機電力削減装置
JP2023025336A (ja) 走行管理システム、走行管理方法、及び走行管理プログラム
JP4108698B2 (ja) 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充電方法
JP2014236619A (ja) 給電制御装置、給電制御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
JP2007333710A (ja) 検査装置
JP2009112146A (ja) 無停電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