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739B1 -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739B1
KR100476739B1 KR10-2001-0087625A KR20010087625A KR100476739B1 KR 100476739 B1 KR100476739 B1 KR 100476739B1 KR 20010087625 A KR20010087625 A KR 20010087625A KR 100476739 B1 KR100476739 B1 KR 10047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management
current
voltage
remo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236A (ko
Inventor
고윤석
Original Assignee
고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석 filed Critical 고윤석
Priority to KR10-2001-008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7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는 적산전력모드와 부하관리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통신망을 통해 원격부하관리시스템과 원격으로 접속된다.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는 적산전력모드에서는 일반 전기 수용가의 적산전력을 기록하며, 통신망을 통해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접수되면 부하관리모드로 전환하여 부하관리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부하관리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는 시작시부터 적산전력, 전압관리, 부하관리 데이터를 통합으로 기록하는 통합부하관리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는 일반 전기 수용가의 인입구 또는 변압기 직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은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로부터 원격으로 수집되는 각종 부하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 사용 전력량 검침을 자동화하며 특히 일정 시간대별 부하 전류/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하관리 및 전압관리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기존의 원격검침시스템에 대한 경제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일반 수용가에 대한 공급전압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MULTI-FUNCTION METER FOR LOAD MANAGEMENT BASED ON REMOTE METER READ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산전력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원격부하관리스템과 통신망으로 원격 접속되어 사용 전력량 검침업무, 부하관리 업무, 전압관리 업무등 일반 수용가에 대한 부하관리 업무를 통합 자동화시키는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일반 수용가들의 사용제품이나 제조업체 장비가 점차로 고성능화 되고 있으며 핵가족화 및 맞벌이, 외출 횟수 증가 등으로 일반 수용가들은 자동검침 및 고신뢰도,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요구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검침 업무는 검침원이 일반 수용가들을 방문하여 기계식 적산전력계의 기록 값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일반 수용가들을 불편하게 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되어 왔다. 일 예로, 기존의 기계식 적산전력계에 광원, 회전 디스크, 수광소자를 이용, 회전수 카운트 회로만을 디지털화하는 간이 디지털 방식이 있었다.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계기용 변류기와 계기용 변압기로부터의 전압, 전류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디지털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은 사실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비추어 기술적으로 충분히 실현이 가능하나 기존 수용가의 모든 기계식 적산 전력계를 변경하거나 디지털 적산전력계로 대체 및 신설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의 문제로 실현이 지연되고 있다.
한편, 고신뢰도, 고품질 전력공급 측면에서 보면, 일반 수용가들은 2차 변전소로부터 인출되어 수지상 구조를 이용하여 면적으로 넓게 분산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배전선로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들 선로들은 일반 수용가들이 분포되는 산지나 해안, 도시 부하밀집지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짧게는 수 Km에서 길게는 수십 Km에 이르는 긍장을 가진다. 특히 이들 선로들이 다양한 수용가 지역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사고나 화재, 신규부하 신설이나 이설, 부하의 급속한 증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정전이나 저전압 문제들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일반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의 신뢰도는 물론 전력품질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전력회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따른 일반 수용가들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위한 정전관리, 손실관리, 부하관리 및, 전압관리 등의 관리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그 결과가 구체화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전관리 측면에서 보면 배전선로들은 정전구간 최소화를 위해 다분할 다연계 구조로 설계된다. 선로 인출구에 차단기가, 선로상 또는 선로간에 부하 개폐기들이 설치된다. 이들은 개폐기 조작을 통해 사고나 작업시 정전구간을 분리하고 부하융통을 시도함으로써 정전구간을 최소화한다. 그런데 개폐기 절체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전시 작업원이 도심지 및 장거리 선로상의 개폐기 조작지점에 출동하는데 시간지연이 발생하여 장시간 정전시간이 발생함으로써 상당한 민원사항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최근 전력회사들은 학계, 산업계, 연구소등과 공동으로 선로상의 개폐기들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을 적극 추진, 현재 실험적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현장에 도입함으로써 정전시간을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줄이는데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손실관리는 전력회사 측면에서 생산원가 절감을 위한 노력이다. 정상시에 일정주기별로 또는 선로 신설시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로상의 개폐기 조작지점을 결정하여 이를 새로운 부하 절분점으로 함으로서 선로손실을 최소화한다. 이 문제는 정전관리 측면에서 시도되는 다분할 다연계 구조와 이들 선로상의 개폐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전압관리 측면을 보면, 일반적으로 전압관리는 일반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압을 적정한 전압 범위 내에서 유지하려는 노력이다. 배전계통의 주 변압기는 ULTC를 통해, 주상 변압기는 탭 변경을 통해 각각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부하 변화에 따라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선로 공장이나 수용가 부하형태의 다양성, 수용가 신설이나 이설, 부하의 자연증가나 계절별 변화 등의 이유로 공급전압을 적정 범위 내로 유지하려는 노력을 상당히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주기별로 전압 측정개소를 선정하여 주어진 기간동안 전압을 측정, 그 기록전압을 검토하여 전압이 상한전압이나 하한전압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부적정 측정 개소를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전압 적정율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여기서 전압적정 유지율은 전체측정개소에 대한 적정측정개소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실제 전압관리는 1명의 담당자가 수주이내에 수십 개의 대상선로들에 대해 전압측정 개소를 선정하고 그 측정개소에 전압기록계기를 설치, 수거하는 실측업무를 담당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압관리를 위한 측정개소는 주변압기 직하나 5% 전압강하 지점 변대의 직하와 말단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배전선로는 길이가 수 Km에서 수십 Km에 이르며, 도심지를 통과할 뿐만 아니라 선로의 구성이 자주 바뀌고 있다. 그럼으로 단기간 내에 전압 측정 개소를 정확하게 선정하고 그 측정개소의 루트를 확인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다. 특히, 장거리 선로와 도심지 체증현상, 수용가의 외출 등으로 전압기록계기를 현장에 설치하고 수거하는 문제는 엄청난 시간비용과 노력을 요구하며 측정한 결과는 그 정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 문제는 일반수용가에 대한 중요한 민원사항으로서 측정개소의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측정개소를 자유롭고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측정 및 분석시간을 최소화하고 그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격관리기법에 근거한 혁신적인 관리기법을 통해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부하관리 측면을 살펴본다. 부하관리는 고압부하관리와 저압부하관리로 분류되며, 수용가 및 전력회사 모두에 밀접하게 관계된다. 부하관리는 수용가 신설이 자주 일어나며 부하의 자연증가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수용가 신설시는 물론 정상시에 일정주기별로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저압부하관리는 고압 부하관리에 비해 관리해야 할 수용가 수가 엄청나며 현실적으로 이들 수용가 부하들에 대한 부하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변대 단위로 부하를 관리하여 과부하시 부하 이설이나 변압기의 신설 또는 증설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배전선로상의 변대수가 수천 개소에 이르기 때문에 일정주기별로 또는 수용가 신설 요청 시마다 주상변압기의 부하를 실측하여 정확하게 부하를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으로 수용가 신설시나 월별로 전산작업을 통해 과부하예상 변압기를 결정한 후, 대상 변압기에 대해서 현장에 출동하여 부하를 실측 변압기 교체나 부하 이설 등을 결정하게 되는데, 변대에 속한 수용가의 정확한 관리가 어렵고 수용률이나 부등률에 근거한 최대수요전력의 산출도 부정확하기 때문에 과부하 예상 변압기를 정확하게 결정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여름 철 많은 변압기의 소손과 정전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 문제는 일반수용가 또는 변대단위별 부하패턴에 대한 측정 및 분석시간을 최소화하고 그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격관리기법에 근거한 혁신적인 관리기법을 통해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수용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수용가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격 검침에 대한 경제성을 제고하고 전압 측정개소나 부하관리 개소의 수 그리고 실시횟수에 제약을 받지 않고 부하관리 및 전압관리 데이터를 원격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집함으로써 공급전력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원격관리 기법에 근거한 새로운 부하관리기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즉, 일반 수용가의 사용전력량 측정을 기본기능으로 하고 저압부하관리 데이터, 전압관리 데이터 측정 기록기능을 확장기능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다기능의 적산전력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반 전기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을 적산함과 더불어 사용 전력량 검침, 부하관리 및, 전압관리 등이 통합적으로 가능한 원격부하관리용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는: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1차측 전압 및 전류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 및 전류를 받아들여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을 검출하는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동기 입력하기 위한 동기입력부; 동기입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디지털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해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전력량의 전력을 적산하며 원격지의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원격부하관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원격부하관리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원격으로 접속시키는 통신부; 사용전력량의 전력적산과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을 정류하여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적산전력모드와 부하관리모드를 갖고, 부하관리모드는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며 원격부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는: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1차측 전압 및 전류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실효값 검출부 및 제1 전류 실효값 검출부; 계기용 변류기의 1차측 전류를 직접 측정하기 위한 전력선 전류측정부; 상기 전력선 전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전류를 받아들여 전류실효값을 검출하는 제2 전류실효값검출부 및;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1차측 전압 및 전류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 및 전류의 역률각을 검출하기 위한 역률각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시 메모리의 데이터가 일정기간 동안 보존되도록 최소한의 전원을 회로의 필요부분에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은: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동작모드를 적산전력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사용전력량을 적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동작모드변경을 위한 인터럽트가 접수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동작모드변경을 위한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동작모드를 부하관리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원격부하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전압 패턴과 시간대별 부하전류 패턴을 포함하는 부하관리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부하관리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부하관리모드에서 적산전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사용전력량 데이터, 시간대별 전압패턴, 시간대별 전류패턴을 포함하는 통합부하관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측정 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에 따른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읽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방법은: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를 기준통합관리모드로 시작하고, 필요에 따라 부하관리 스케쥴러를 변경하는 단계; 사용전력량을 적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접수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 수신요구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초기화 데이터와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부하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을 초기화하는 단계;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사용전력량 전력적산 데이터, 시간대별 전압패턴, 시간대별 전류패턴을 포함하는 통합부하관리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저장된 통합부하관리 데이터를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측정 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에 따른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읽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화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30)(이하, 적산전력계로 약칭함)는 일반 전기 수용가의 인입구(또는 변압기)(10) 직하에 설치되어 계기용 변압기(16)와 계기용 변류기(14)로부터 각각 전압과 전류에 대한 입력신호를 받아 적산전력 처리를 수행하며, 원격지에 구비된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과 전력선, 전용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원격 검침 및 부하 관리가 이루어진다.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은 원격지의 적산전력계(30)로부터 원격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축, 사용 전력량 검침을 자동화하며 특히 일정 시간대별 부하전류 데이터, 일정 시간대별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하관리 및 전압관리 업무를 자동화하여 종래의 원격검침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성을 크게 개선하고 일반 수용가에 대한 공급전압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적산전력계(30)는 크게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31), 동기입력부(3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3), 멀티플렉서(34), 마이크로 컨트롤러(35), ROM(36a), RAM(36b), 통신부(37), 전원회로(38) 및 배터리(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31)는 전압실효값 검출부(31a), 제1 전류실효값 검출부(31b), 제2 전류실효값 검출부(31c), 역률각 검출부(31d) 및 전력선 전류측정부(31e)로 구성된다. 동기입력부(32)는 다수의 동기입력회로(32a, 32b, 32c, 32d)로 구성되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3)는 다수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a, 33b, 33c, 33d)로 구성된다.
전압 실효값 검출부(31a)는 제1 동기입력회로(32a)와 제1 아날로그 디지털변환기(33a)를 통해 멀티플렉서(34)에 연결된다. 제1 전류 실효값 검출부(31b)는 제2동기입력회로(32b)와 제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b)를 통해 멀티플렉서(34)에 연결된다. 전력선 전류측정부(31c)는 변류기(14)를 통하지 않은 전력선으로부터의 직접 전류 값을 얻어 제2 전류 실효값 검출부(31c)로 입력한다. 제2 전류 실효값 검출부(31c)는 제3 동기입력회로(32c)와 제3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c)를 통해 멀티플렉서(34)에 연결된다. 역률각 검출부(31d)는 제4 동기입력회로(32d)와 제 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d)를 통해 멀티플렉서(34)에 연결된다.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31)에서 전처리된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들은 동기입력부(32)를 통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3)로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멀티플렉서(34)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5)로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3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5)가 사용전력량, 시간대별 전압, 전류 패턴등의 통합 부하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35)의 계산 로드를 최소화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5)는 적산전력계(30)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와 적산 및 통합부하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ROM(36a)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5)에 의해 수행될 적산전력계의 제어 프로그램인 펌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 처리 과정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들은 RAM(36b)에 입시 저장된다. 통신부(37)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장치로서 원격지의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전력적산 및 부하관리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전원회로(38)는 변압기(16)로부터 제공되는 변성된 전압을 정류하여 적산전력기(30)의 전반적인 동작 전원을 제공한다. 배터리(39)는 정전시 RAM(36b)의 데이터가 일정기간 동안 보존되도록 최소한의 전원을 회로의 필요부분에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다음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적산전력계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적산전력계(30)는 계기용 변압기(16)와 계기용 변류기(14)를 통해 1차측 전압(e1)과 전류(i1)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e2)과 전류(i2)를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31)를 통해 받아들인다. 적산전력계(30)는 크게 적산전력모드와 부하관리모드로동작하는데 각각의 모드에서 신호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적산전력을 위한 신호처리 과정에서,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31)의 전압 실효값 검출부(31a)와 제1 전류 실효값 검출부(31b)는 2차측 전압(e2)과 전류(i2)의 각각의 실효값 rms(e2)와 rms(i2)를 얻어 그 결과를 각기 제1 및 제2 동기입력회로(32a, 32b)를 통해 제1 및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a, 33b)로 입력한다. 역률각 검출부(31d)는 2차측 전압(e2)과 전류(i2)간의 위상차 즉, 역률각(θ)을 산출하여 제4 동기입력회로(32d)를 통해 제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d)로 입력한다. 만약, 직접전류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전류 실효값 검출부(31c)에 의해 직접전류 실효값 rms(i1)가 얻어지고 이는 제3 동기입력회로(32c)를 통해 제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c)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3)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들은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멀티플렉서(34)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5)로 선택적으로 입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전력에 대한 적산이 이루어진다.
부하관리를 위한 신호처리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산전력을 위해 전압 실효값 검출부(31a)와 제1 전류 실효값 검출부(31b)로부터 2차측 전압(e2)과 전류(i2)의 각각의 실효값 rms(e2)와 rms(i2)를 얻는 과정은 동일하나 부하관리를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35)의 처리 과정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 컨트롤러(35)의 제어 수순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적산전력계(30)의 동작이 개시되면, 단계 S10에서 사용전력량(W)을 초기치(W0)로 설정(W=W0)하고 동작 모드(MODE)를 적산전력모드(MODE=0)로 초기화한다. 이어 단계 S11에서는 통신부(37)를 통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접수되는지 검사한다.
인터럽트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단계 S12로 진행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전력량(W)을 적산한다. 적산 과정에서는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동기입력부(32)를 홀딩 시킨 후 제1 및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a, 33b)로부터 전압및 전류 실효값 rms(e2)와 rms(i2)를 얻고 제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d)를 통해 역률각(θ)을 얻는다. 적산되는 사용전력량(W)은 RAM(36b)에 적산된다. 적산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Tw는 샘플링 주기이다.
[수학식 1]
이어 단계 S13에서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MODE)가 적산전력모드(MODE=1)인 경우에 제어는 단계 S12로 반복 진행하여 사용전력량 전력적산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 S11에서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여 동작모드(MODE)를 부하관리모드(MODE=1)로 전환하고 단계 S15에서 인터럽트 종류를 판단한다. 인터럽트는 부하관리모드 전환요구 인터럽트(INT_0)와 통합부하관리 데이터송신요구 인터럽트(INT_1)가 있다.
부하관리모드 전환요구 인터럽트(INT_0)가 접수된 경우, 제어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부하관리모드에 필요한 초기값 예를 들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의 스케줄러에 따른 측정시간간격(T), 일간 측정횟수(n), 측정일(m)을 각각 초기화하고 단계 S12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2에서 사용 전력량(W)의 적산이 이루어진 후 단계 S13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MODE)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MODE)가 부하관리모드(MODE=1)이면 제어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주어진 측정시간간격(T) 동안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을 증분 한다. 즉, 마이크로 컨트롤러(35)는 측정시간간격(T) 동안 멀티플렉서(34)를 통해 제 1 및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a, 33b)로부터 실효치 전압 rms(e2)와 실효치전류 rms(i2)를 얻어 전압과 전류를 더해 RAM(36b)에 저장한다.
이어 제어는 단계 S18로 진행하여 측정시간간격(T)을 검사한다. 오류인 경우 제어는 단계 S11로 반복 진행하고, 정상인 경우에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단계 S19에서는 시간대별 전압과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RAM(36b)에 저장한다. 이 평균치는 단계 S17에서 얻어진 전압과 전류를 측정시간간격(T)동안의 샘플링 횟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단계 S20에서는 스케줄러 조건(n×m)에 맞추어 반복 횟수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미완료된 경우 제어는 다음 시간 간격에 대한 전압과 전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 단계 S11로 진행한다. 완료된 경우에는 제어는 단계 S21로 진행하여 동작 모드를 부하관리모드(MODE=1)에서 적산전력모드(MODE=0)로 전환하고 메모리 RAM(36b)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단계 S11로 진행하여 적산전력모드로 동작한다.
다시, 단계 S14에서 부하관리모드(MODE=1)로 전환된 후 단계 S15에서 인터럽트 종류판단 결과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INT_1)인 경우에 제어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는 다시 통합부하관리 데이터 송신요구와 측정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로 구분된다. 단계 S22에서는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되는 데이터를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합부하관리 데이터 송신요구인 경우 사용전력량 전력적산데이터, 시간대별 전압패턴 및 부적정 전압 타입과 횟수, 시간대별 전류패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측정 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읽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은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35)에 의한 제어 수순을 설명한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35)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동작 모드 구분 없이 적산전력계(30)를 제어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 S30에서 적산전력계를 기준통합관리모드로 시작하고 필요시 부하관리 스케쥴러를 외부에서 변경하며, 외부설정에 기초하여 전산전력계(30)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기준통합관리모드란 처음에 시작할 때 기 설정된 부하관리 스케쥴러에 의해 적산전력 및 부하관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기록한다는 의미이다. 단계 S31에서는 통신부(37)를 통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접수되는지 검사한다. 인터럽트는 데이터 수신요구 인터럽트(INT_R)와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INT_T)로 구분된다.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제어는 단계 S32로 진행하여 인터럽트 종류를 판단한다.
데이터 수신요구 인터럽트(INT_R)가 수신된 경우 제어는 단계 S33으로 진행하여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부터 제공된 초기화 데이터와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부하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을 초기화한다. 예를 들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의 스케줄러에 따른 측정시간간격(T), 일간 측정횟수(n), 측정일(m)을 각각 초기화한다.
이어, 단계 S34에서 연속적으로 사용전력량(W)을 적산하며 이 과정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단계 S12와 대응된다. 단계 S35에서 주어진 측정시간간격(T) 동안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을 각각 증분 한다. 여기서 증분은 현 단계에서 얻어진 전압, 또는 전류 값을 앞 단계에서 기록된 값에 각각 더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계 S36으로 진행하여 측정시간간격(T)을 검사한다. 측정시간간격 동안 측정되지 않은 경우(N) 제어는 단계 S31로 반복 진행하고, 측정된 경우(Y) 경우에는 단계 S37로 진행한다. 단계 S37에서는 시간대별 전압과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RAM(36b)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 S38에서는 스케줄러 조건(n×m)에 맞추어 반복 횟수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미완료된 경우 제어는 다음 시간 간격에 대한 전압과 전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 단계 S31로 진행한다. 완료된 다음에 제어는 단계 S39로 진행하여 메모리 RAM(36b)의 백업 메모리 영역 데이터를 초기화하여 사용 메모리 영역으로 전환하고 사용 메모리 영역을 백업 메모리 영역으로 전환한 다음 단계 S31로 진행한다. 이상의 제어 단계 S35 내지 S39는 상술한 이 실시예의 단계 S17 내지 단계 S21에 각각 대응된다.
다시, 단계 S32에서 인터럽트 종류판단 결과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INT_T)인 경우에 제어는 단계 S40으로 진행한다.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는 다시 통합부하관리 데이터 송신요구와 측정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로 구분된다. 단계 S40에서는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의 종류에 따라 백업 메모리 영역의 해당되는 데이터를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합부하관리 데이터 송신요구인 경우 사용전력량 전력적산데이터, 시간대별 전압패턴 및 부적정 전압 타입과 횟수, 시간대별 전류패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측정 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읽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적산전력계(30)에 의하면, 원격부하관리시스템(20)은 원격지에 설치된 적산전력계(30)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사용 전력량 적산데이터는 물론, 저압 부하관리 데이터, 전압관리 데이터의 등의 부하관리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의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전력량 검침, 부하관리, 전압관리등의 통합된 원격 부하관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를 수용가에 적용한 다양한 적용예를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반적인 전압관리를 위한 측정개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전압관리를 위한 측정개소는 주변압기(40)의 직하나 5% 전압강하 지점내의 변대들 중의 한 변압기(41, 44)에 대한 직하 수용가(42, 45)와 말단 수용가(43, 46)에 위치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기능 디지털 적산전력계가 기록하는 전압관리를 위한 평균전압 기록 데이터 형식의 일 예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평균전압 기록 데이터 형식
상한전압 초과와 하한전압 초과되는 경우를 각각 수식으로 표시하면 하기 수학식 2와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i는 기록일을, j는 기록순번을 나타내며, 이는 부하관리 스케줄에 근거하여 그 기간이 결정된다. 여기서 최대기록일을 n, 일별 최대 기록횟수를 m으로 나타내어 부적정 전압 타입인 상한전압(Vulimit) 초과, 하한전압(VLimit) 초과 발생 횟수를 기록한다. 단위는 볼트(V)이다.
[수학식 2]
상한전압 초과의 경우
[수학식 3]
하한전압초과의 경우
상술한 상한전압 초과의 경우와 하한전압초과의 경우를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에 그래프로 예시하였다.
도 5는 상한전압 초과의 부적정 개소의 일 예를 그리고 도 6은 하한전압 초과의 부적정 개소의 일 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는 상한전압(VUlimit)을 초과한 부적정 횟수가 3번임을 보인다. 반면 도 6에서는 하한전압(VLlimit)을 초과한 경우로서 부적정 횟수가 2번임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직하수용가에서 보여지는 전압 패턴이며,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말단 수용가에서 보여지는 전압 패턴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가 일반 수용가에 설치되면, 주변압기 직하 뿐만아니라 5% 전압강하 지점의 측정개소는 물론 넓은 범위에 분포하는 저압 수용가에 대해 그 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측정개소를 자유롭게 설정함으로써 부적정 전압개소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 보강공사를 시행함으로써 일반 수용가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압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적정 전압 횟수 기록기능은 적산전력계 또는 원격부하관리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부하관리를 위한 측정개소를 주상 변압기나 이에 속하는 모든 일반 수용가로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은 전류부하 측정개소로 변압기 직하를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시간대별 변압기의 전류부하 변화 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50은 주상변압기를 표시하며 22.9KV의 선로전압을 출력한다. 참조부호 51은 변대 직하의 전압측정 개소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52는 수용가 부하이다. 부하관리를 위한 실효값 평균전류 데이터의 형식은 상술한 표 1과 유사한 형태로서 표 2와 같이 표시된다. 여기서 단위는 암페어(A)이다.
[표 2]
평균부하전류 기록 데이터 형식
이때, 최대 부하전류를 저장하며 이는 하기 수학식 4로 표시될 수 있으며, 과부하 예상 변압기는 수학식 4가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로 한다. 여기서 TIn은 P/Vn으로 얻어지며, TIm은 허용여유전류이다. Vn은 변압기 공급전압이다.
[수학식 4]
[수학식 5]
이 경우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상변압기(50)에 과부하가 예상되는 경우 부하이설이나 변압기 용량 증설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 만약, 수용가에 대한 부하제어가 가능하다면 본 발명의 디지털 다기능 전삭전력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감시하면서 과부하 주상변압기(50)에 대해 부하제어를 실시함으로써 과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전류부하 측정개소로 변압기 직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전류부하 측정개소로 변압기 직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시간대별 일반수용가 전류부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이 경우는 측정개소로서 변압기 직하를 포함하지 않고 변압기에 속한 일반 수용가들을 측정개소로 한다. 변대 직하에 별도의 측정개소를 포함하지 않고 일반 수용가들에 설치된 본 발명의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만을 측정개소로 이용하기 때문에 관리측면에서 상당히 편리하다.
이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 6에 표기된 바와 같이 변압기에 속하는 모든 수용가들에 대한 시간대별 부하전류 패턴을 합산하여 새롭게 변압기 부하패턴을 얻어야한다.
[수학식 6]
여기서 Iij는 i번째 시간대에 대한 j번째 수용가의 부하전류값을 표시하며, k는 변압기에 속한 수용가 최대번호를 의미한다. 이 과정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60은 변압기 부하전류패턴을 표시하며, 참조번호 61 내지 63은 3개의 수용가의 각각의 전류부하패턴을 표시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주상변압기(50)에 3개의 수용가가 포함되는 경우 변압기(50)의 시간대별 부하패턴은 시간대별로 3개의 수용가의 부하전류를 더한 값으로 구해진다. 또한 주상변압기(50)에 걸리는 합성 피크전력은 수학식 7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수학식 4에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5를 통해서 과부하 및 과부하 예상 변압기를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7]
또한, 수용가에 대한 부하제어가 가능한 경우 본 발명의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를 이용하여 실시간 부하전류 데이터를 수집, 상기 수학식 7을 통해 과부하여부를 확인, 과부하 주상변압기(50)에 대해 부하제어를 실시함으로써 과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It는 시간 t에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구성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부하관리시스템과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사용전력량 전력적산 데이터는 물론, 저압부하관리 데이터, 전압관리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여 사용전력량 검침, 부하관리, 전압관리등의 통합된 원격부하관리가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사용 전력량에 근거한 원격검침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측정개소나 실시횟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격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압관리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므로 전압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고 일반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압의 품질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저압부하관리의 경우 수용률이나 부등률등 간이계산방식 대신에 수천 개소의 변대부하를 정확하게 측정, 정확한 최대수요전력의 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름 철 많은 변압기의 소손과 정전문제를 최소화함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품질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에 의해 통합된 원격부하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격검침에 대한 경제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력의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검침의 실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력관련산업에 경제적, 기술적으로도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IT기술의 검침산업 적용기술의 확보로 통합 검침(전기, 가스, 수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수순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 4는 일반적인 전압관리를 위한 측정개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한전압 초과의 부적정 개소의 일 예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하한전압 초과의 부적정 개소의 일 예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전류부하 측정개소로 변압기 직하를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시간대별 변압기의 전류부하 변화 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전류부하 측정개소로 변압기 직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9에서 시간대별 일반수용가 전류부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용가 인입구 12: 수용가 부하
14: 계기용 변류기 16: 계기용 변압기
20: 원격부하관리시스템 30: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

Claims (8)

  1.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1차측 전압 및 전류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 및 전류를 받아들여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을 검출하는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동기 입력하기 위한 동기입력부;
    동기입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디지털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해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각의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전력량을 적산하는 적산전력모드에 의한 전력적산기능과 입력받은 신호와 원격지의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원격부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부하관리모드에 의한 원격부하관리 기능 및 원격전압관리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거나, 상기 적산전력모드와 부하관리모드를 통합한 통합관리모드에 의하여 전력적산기능, 원격부하관리 및 원격전압관리 기능이 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원격부하관리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원격으로 접속시키는 통신부;
    사용전력량의 전력적산 데이터와 원격부하관리 및 원격전압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을 정류하여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회로를 를 포함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2. (삭 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신호 전처리부는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1차측 전압 및 전류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실효값 검출부 및 제1 전류 실효값 검출부;
    계기용 변류기의 1차측 전류를 직접 측정하기 위한 전력선 전류측정부;
    상기 전력선 전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전류를 받아들여 전류실효값을 검출하는 제2 전류실효값 검출부 및;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1차측 전압 및 전류로부터 변성된 2차측 전압 및 전류의 역률각을 검출하기 위한 역률각 검출부를 포함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
  4. 제1항에 있어서,
    정전시 메모리의 데이터가 일정기간 동안 보존되도록 최소한의 전원을 회로의 필요부분에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
  5. 사용전력량의 적산기능을 수행하는 적산전력모드와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며 설정치 변경이 가능한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부하관리모드로 동작되는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동작모드를 적산전력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사용전력량을 적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동작모드변경을 위한 인터럽트가 접수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동작모드변경을 위한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동작모드를 부하관리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원격부하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전압 패턴과 시간대별 부하전류 패턴을 포함하는 부하관리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부하관리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부하관리모드에서 적산전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사용전력량 적산 데이터, 시간대별 전압패턴, 시간대별 전류패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측정 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에 따른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읽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
  7. 사용전력량의 적산기능을 수행하는 적산전력모드와 원격부하관리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며 설정치 변경이 가능한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부하관리모드를 통합하여 일괄적인 기본기능으로 수행하는 통합관리모드로 동작되는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를 기준통합관리모드로 시작하고, 필요에 따라 부하관리 스케쥴러를 변경하는 단계;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접수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 수신요구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초기화 데이터와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부하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을 초기화하는 단계;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사용전력량을 적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사용전력량 전력적산 데이터, 시간대별 전압패턴, 시간대별 전류패턴을 포함하는 통합부하관리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 송신요구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저장된 통합부하관리 데이터를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부터 측정 개소별 부하전류 송신요구에 따른 인터럽트가 접수된 경우 실시간으로 부하전류 데이터를 읽어 원격부하관리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전력계의 제어 방법.
KR10-2001-0087625A 2001-12-28 2001-12-28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KR10047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625A KR100476739B1 (ko) 2001-12-28 2001-12-28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625A KR100476739B1 (ko) 2001-12-28 2001-12-28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236A KR20030057236A (ko) 2003-07-04
KR100476739B1 true KR100476739B1 (ko) 2005-03-16

Family

ID=3221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625A KR100476739B1 (ko) 2001-12-28 2001-12-28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7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27B1 (ko) 2005-07-26 2006-10-23 김재천 변압기 부하관리와 검침을 통합 수행하는 원격관리시스템
KR100914607B1 (ko) * 2009-05-18 2009-08-31 금호이엔지 (주) 차등제어 최대전력관리시스템
KR20190066241A (ko) 2017-12-05 2019-06-13 유대식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20210017398A (ko) 2019-08-08 2021-02-17 방건웅 갱폼 안전인양 장치
KR20210032181A (ko) 2019-09-16 2021-03-24 (주)케이에스산업 갱폼 안전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57A (ko) * 2002-07-02 2004-01-13 주식회사 동일전력 최대수요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KR100797192B1 (ko) * 2006-08-16 2008-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압기를 고려한 수용가 전기부하 구성의 예측 방법 및장치
KR100797191B1 (ko) * 2006-08-16 2008-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용가 전기부하 구성의 실시간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119865B1 (ko) * 2009-06-02 2012-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052685B1 (ko) * 2009-06-05 2011-07-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수요전력 제어방법
JP4775516B1 (ja) 2011-03-14 2011-09-21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888019B2 (ja) 2011-12-12 2016-03-16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3238094A (zh) 2014-12-25 2021-08-10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双向电能表
CN110441570A (zh) * 2019-07-19 2019-11-12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备负荷感知功能的电能监测装置及方法
KR102327764B1 (ko) * 2021-03-26 2021-11-18 가이아스 주식회사 보안 강화형 스마트 미터링 전력량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27B1 (ko) 2005-07-26 2006-10-23 김재천 변압기 부하관리와 검침을 통합 수행하는 원격관리시스템
KR100914607B1 (ko) * 2009-05-18 2009-08-31 금호이엔지 (주) 차등제어 최대전력관리시스템
KR20190066241A (ko) 2017-12-05 2019-06-13 유대식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20210017398A (ko) 2019-08-08 2021-02-17 방건웅 갱폼 안전인양 장치
KR20210032181A (ko) 2019-09-16 2021-03-24 (주)케이에스산업 갱폼 안전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236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739B1 (ko) 원격부하관리를 위한 디지털 다기능 적산 전력계 및 그제어 방법
US20210033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ower transmission
EP0829125B1 (en) Revenue accuracy meter having power quality measurement and method of measuring power quality
RU2430457C2 (ru) Оценка параметров тепловой модели лини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JP4266011B2 (ja) 配電系統負荷想定方法、配電系統負荷想定装置
CA2353929C (en) Utility metering system having waveform capture for power quality monitoring
EP3410554B1 (en)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using meter data
US7089125B2 (en) Distributed asset optimization (DAO) system and method
US8386200B2 (en)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using meter data
CN101958544B (zh) 电力配电线路线损率计算系统及方法
US7801647B2 (en) Method of tracking power outages
CA2358606A1 (en) Revenue meter having precision time clock
Lo et al. Transformational benefits of AMI data in transformer load modeling and management
Music et al. Integrated powe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smart distribution grids
JP2017221040A (ja) 配電系統監視装置
CN113791374A (zh) 一种分元件比对的电能表运行状态远程评估方法
KR101174254B1 (ko) 지능형 전력망 기반의 계량기 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028795B1 (ko) 역률 보상 시스템
KR101295850B1 (ko) 저압수용가 전력정보를 이용한 배전용 변압기 관리 방법
US20200072887A1 (en) Phase group estimation device, phase group estim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U27173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ежимного ограничения электропотребления объектов инфраструктурного типа
Keränen Usefulness of AMR data in the network operation
Pylvanainen et al. Studies to utilise calculational condition information and AMR measurements for transformer condition assessment
JP5121116B2 (ja) 電力計量システム
Rendroyoko et al. Development of Large Scale, End-to-End Online Monitoring Losses (OM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