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434B1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434B1
KR101418434B1 KR1020080023416A KR20080023416A KR101418434B1 KR 101418434 B1 KR101418434 B1 KR 101418434B1 KR 1020080023416 A KR1020080023416 A KR 1020080023416A KR 20080023416 A KR20080023416 A KR 20080023416A KR 101418434 B1 KR101418434 B1 KR 10141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des
electrodes
internal electrodes
substrat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189A (ko
Inventor
백인규
조금석
심현준
임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434B1/ko
Priority to US12/353,553 priority patent/US7952163B2/en
Priority to TW098104742A priority patent/TWI450390B/zh
Priority to CN200910118570XA priority patent/CN101533848B/zh
Priority to JP2009059555A priority patent/JP2009224778A/ja
Publication of KR2009009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189A/ko
Priority to US13/101,263 priority patent/US8314003B2/en
Priority to US13/655,584 priority patent/US86982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7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metal oxide memory material, e.g. perovski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9RRAM elements whose operation depends upon chemical change
    • G11C13/0011RRAM elements whose operation depends upon chemical change comprising conductive bridging RAM [CBRAM] or programming metallization cells [PM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Cell ac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88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10B63/845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the switching component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vertical condu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21Formation of switching materials, e.g. deposition of layers
    • H10N70/028Formation of switching materials, e.g. deposition of layers by conversion of electrode material, e.g. oxid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4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 H10N70/245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the species being metal cations, e.g. programmable metallization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3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horizontal current flow, e.g. bridge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30Resistive cell, memory material aspects
    • G11C2213/31Material having complex metal oxide, e.g. perovskite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30Resistive cell, memory material aspects
    • G11C2213/32Material having simple binary metal oxide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8Array wherein the memory cells of a group share an access device, all the memory cells of the group having a common electrode and the access device being not part of a word line or a bit line dr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이 제공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과,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 내부 전극을 중심으로 각각 각 내부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 내부 전극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각 내부 전극 및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한다.
가변 저항체, 메모리 밀도, 셀 면적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Non-volatile memory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셀 면적이 감소되고 메모리 밀도가 향상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항체(resistance material)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는 저항 메모리 장치(RRAM: Resistive RAM), 자기 메모리 장치(MRAM: Magnetic RAM), 상변화 메모리 장치(PRAM: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동적 메모리 장치(DRAM: Dynamic RAM)나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전하(charg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면,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가변 저항체의 저항 변화(RRAM), 강자성체의 자화상태에 따른 MTJ(Magnetic Tunnel Junction) 박막의 저항 변화(MRAM), 칼코게나이드 합금(chalcogenide alloy)과 같은 상변화 물질의 상태 변화(PRAM)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항 메모리 셀은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 전극에 제공되는 전압에 따라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 레벨이 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고집적화를 위해 단위 메모리 셀의 면적 감소 및 메모리 밀도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위 메모리 셀의 면적이 감소되고 메모리 밀도가 향상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위 메모리 셀의 면적이 감소되고 메모리 밀도가 향상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과,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내부 전극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각 내부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극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상기 각 내부 전극 및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과,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내부 전극들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극들과 교차하며, 상기 내부 전극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들과, 상기 각 내부 전극 및 제3 및 제4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상기 기판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을 덮는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각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외부 전극 사이의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콘택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일측이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형성하고, 상기 콘택홀들의 잔류 공간에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여, 상기 가변 저항체들의 타측과 접촉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전극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은,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내부 전극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각 내부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 극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 및 상기 각 내부 전극 및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 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항성 메모리 장치(RRAM: Resistive RAM)를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MTJ를 사용하는 자기 메모리 장치(MRAM: Magnetic RAM), 칼코게나이드 합금(chalcogenide alloy)을 사용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PRAM: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이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당업자에게 자명하 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기판(100) 내에는 액티브 영역(110)들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 영역(105)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 갈륨 비소 기판, 실리콘 게르마늄 기판, 세라믹 기판, 석영 기판, 또는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등일 수 있다.
소자 분리 영역(105)들은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FOX(Field OXide) 또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일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예를 들어 기판(100)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은 액티브 영역(110)들과 오버랩되어 선택 소자로서 기능한다.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은 폴리 실리콘 또는 텅스텐(W) 외에도 탄탈륨(Ta), 티타늄(Ti), 몰리브덴(Mo), 하프늄(Hf), 지르코늄(Zr), 코발트(Co), 크롬(Cr), 니켈(Ni), 백금(Pt) 및 루테늄(Ru) 등의 금속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워드 라인(210, 220, 230)이 액티브 영역(110)과 오버랩되는 부위를 게이트 전극(220)이라고 한다.
게이트 전극(220)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110)에는 불순물이 주입되어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 영역(110)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게이트 절연막(210)은 기판(100)과 게이트 전극(220)들 사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210)들은 실리콘 산화막, SiON, GexOyNz, GexSiyOz, 고유전율 물질, 이들의 조합물 또는 이들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막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전율 물질은 HfO2, ZrO2, Al2O3, Ta2O5, 하프늄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막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이트 전극(220) 상부 및 소스/드레인 영역 상부에는 각각 게이트 실리사이드막(230) 및 실리사이드막(120)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실리사이드막(230) 및 실리사이드막(120)은 전기 저항이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내화 금속(refractory metal), 예를 들어 티타늄(Ti), 몰리브덴(Mo), 텅스텐(W), 코발트(Co), 니켈(Ni), 탄탈륨(Ta), 백금(Pt), 팔라디움(P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 전극(220)들의 양 측벽에는 스페이서(2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40)들은 제1 층간 절연막(330)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N, SiON, Si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의 상부에는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상이한 제3 방향으로 비트 라인(300)들이 형성되어 워드 라인(210, 220, 230)들과 오버랩된다. 제3 방향은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비트 라인(300)들은 비트 라인 콘택(351)에 의해 액티브 영역(110)과 연결된다. 2개의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이 하나의 액티브 영역(110)에 형성되고, 비트 라인(300)을 공유한다.
제1 층간 절연막(330)은 기판(100)의 표면으로부터 비트 라인(300)들의 상부까지 형성되어, 워드 라인(210, 220, 230)들 및 비트 라인(300)들을 절연시킨다. 제1 층간 절연막(330)은 비트 라인(300)들 하부에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을 덮도록 형성된 부위와 워드 라인(210, 220, 230)들 상부에 형성되어 비트 라인(300)들을 덮는 부위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제1 층간 절연막(330) 상부에는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외부 전극(410_1)들 및 제2 외부 전극(420_2)들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부 전극(410_1)들 및 제2 외부 전극(420_2)들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은 그 이격 공간에 내부 전극(500)을 개재하며, 내부 전극(500)을 공유한다. 즉, 한 쌍의 한 쌍의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은 내부 전극(500)의 양측에 배치되어 내부 전극(500)과 교차한다.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들은 예를 들어, 텅스텐(W), 질화 티탄(Ti/N), 알루미늄(Al), 구리(Cu), 이리듐(Ir), 백금(Pt), 루테늄(Ru), 다결정실 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및 기타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텅스텐(W), 질화 티탄(Ti/N),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은 이후에 설명하는 가변 저항체(600)의 소스 라인(source line)으로서 기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외부 전극(410_1)들은 제1 외부 전극 연결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외부 전극(420_2)들은 제2 외부 전극 연결부(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외부 전극(410_1)과 제2 외부 전극(420_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50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전극(500)들은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일 수 있으며, 기판(100)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전극(500)들은 예를 들어, 텅스텐(W), 질화 티탄(Ti/N), 알루미늄(Al), 구리(Cu), 이리듐(Ir), 백금(Pt), 루테늄(Ru), 은(Ag),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및 기타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 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리(Cu), 이리듐(Ir), 백금(Pt), 루테늄(Ru), 은(Ag),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및 기타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 저항체(600)들은 제1 외부 전극(410_1)과 내부 전극(500) 사이, 및 제2 외부 전극(420_2)과 내부 전극(50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외부 전극(410_1), 제2 외부 전극(420_2) 및 내부 전극(500)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변 저항체(600)는 내부 전극(5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내부 전극(500)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가변 저항체(600)는 원주형 또는 각주형일 수 있다.
가변 저항체(600)는 내부 전극(500), 및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1 외부 전극(410_1)과 내부 전극(500) 사이에 개재된 저항 물질 또는, 제2 외부 전극(420_1)과 내부 전극(500) 사이에 개재된 저항 물질의 저항 상태가 변화한다. 가변 저항체(600) 중 제1 외부 전극(410_1)과 접촉하는 부위를 가변 저항체 제1 부위(도 4의 610 참조), 제2 외부 전극(420_2)과 접촉하는 부위를 가변 저항체 제2 부위(도 4의 620 참조)라고 하며,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저항체로 기능할 수 있다.
가변 저항체(600)들은 칼코게나이드,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및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고체 전해질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액티브 영역(110)은 예를 들어 비트 라 인(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영역(110_1) 및 제1 영역(110_1)으로부터 워드 라인(210, 220, 230)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제1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영역(110_2)을 포함한다. 제1 방향과 제3 방향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우, 액티브 영역(110)의 형상은 "T"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부 전극(500)들은 각 액티브 영역(110)마다 2개씩 연결되어 있고,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은 액티브 영역(110) 당 2개씩 액티브 영역(110)에 연결되어 교차한다. 비트 라인(300)들은 액티브 영역(110)의 1개의 부위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전극(500) 및 가변 저항체(600)는 액티브 영역(110)의 제1 영역(110_1)과 연결되어 있고, 비트 라인(300)은 액티브 영역(110)의 제2 영역(110_2)과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액티브 영역(110)에 연결된 한 쌍의 워드 라인(210, 220, 230)들이 비트 라인(300)을 공유하므로 메모리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410_1), 내부 전극(50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가변 저항체(600), 및 제2 외부 전극(420_2), 내부 전극(50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가변 저항체(600)는 각각 저항 메모리 셀을 구성하며, 하나의 기판(100) 상에 이러한 저항 메모리 셀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로 배치된 본 실시예의 저항 메모리 셀은 8F2 레이아웃으로 형성되더라도, 단위 저항 메모리 셀 당 2개씩의 저항 메모리 셀을 포함하므로 단위 저항 메모리셀이 차지하는 면적이 4F2 레이아웃으로 줄어들게 된다.
액티브 영역(110)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 전극(220)은 저항 메모리 셀의 내부 전극(500)과 셀을 선택하는 선택 소자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선택 소자로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선택 소자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쌍극자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선택 소자는 다이오드(diode)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하나의 선택 소자(Tr)에 적어도 2개의 가변 저항체(Rv1, Rv2)가 연결되어 있어, 복수의 가변 저항체(Rv1, Rv2)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선택 소자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경우 프로그램 전압은 양 또는 음 전압 양방향 모두 인가될 수 있으므로, 양방향 전압을 인가하여야 스위칭 특성을 보이는 양방향 저항 메모리 장치(bipolar RRAM)도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내부 전극(500)들의 상부에는 제2 층간 절연막(미도시) 및 상부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워드 라인(210, 220, 230)에 신호를 제공하여 트랜지스터를 온, 오프 시키는 주변 회로(미도시) 및 비트 라인(300)과 연결된 센스 앰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저항 메모리 셀의 면적이 감소하고, 다수의 저항 메모리 셀을 하나의 내부 전극에 형성시켜 메모리 밀도가 향상된 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도 5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들 상부에 추가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1410_1, 1420_2)들이 더 형성되어 있다. 즉, 내부 전극(500)들을 중심으로 복수층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 1410_1, 1420_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항 메모리 셀의 밀도는 이전 실시예에 비해 더욱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 1410_1, 1420_2)들을 n개의 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저항 메모리 셀을 8F2 레이아웃으로 형성하더라도 8/(2n)F2의 레이아웃과 같은 메모리 면적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추가 제1 및 제2 외부 전극(1410_1, 1420_2)들은 이전 실시예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들과 오버랩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내부 전극(500)에는 층수의 2배만큼의 메모리 셀이 형성되므로 저항 메모리 밀도가 증가한다. 즉,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 1410_1, 1420_2)이 n개의 층으로 형성된 경우, 하나의 내부 전극(500)에는 2n개의 저항 메모리 셀이 형성되므로 저항 메모리 밀도가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내부 전극(500)의 일측에만 내부 전극(5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410_1, 141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외부 전극(420_2, 1420_2)은 내부 전극(500)의 타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410_1, 420_2, 1410_1, 1420_2)들은 그 명칭을 불문하고, 기판(100)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 전극(500)을 공유하는 단층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이거나, 기판(100)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 즉 내부 전극(500)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내부 전극(500)의 일측과 교차하는 제3 및 제4 외부 전극(410_1, 1410_1)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외부 전극(410_1, 420_2, 1410_1, 1420_2)들이 내부 전극(500)을 중심으로 내부 전극(500) 양측에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도 5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변 저항체(611, 621)들은 내부 전극(501)들과 오버랩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들 상의 각 부위에 형 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가변 저항체(611, 621)들은 내부 전극(501)과 오버랩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을 열산화, 플라즈마 산화시켜 형성된 것으로, 제1 외부 전극(410_1)을 산화시켜 형성된 가변 저항체 제1 부위(61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을 산화시켜 형성된 가변 저항체 제2 부위(6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변 저항체(611, 621)들은 이전 실시예들과 달리 내부 전극(501)들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 및 내부 전극(501)이 오버랩되는 부위에만 형성되므로, 가변 저항체(611, 621)의 재료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본 실시예의 내부 전극(501)은 산화되기 이전의 제1 외부 전극(410_1)과 제2 외부 전극(420_2)의 이격 공간을 완전히 메우므로 이전 실시예보다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액티브 영역(111)의 형상 및 배치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액티브 영역(111)은 워드 라인(210, 220, 230)이 형성된 제1 방향 및 비트 라인(300)이 형성된 제3 방향과 상이한 제4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단위 액티브 영역(111)이 형성된 제4 방향은 제1 방향과 예각을 이루고, 제4 방향은 다시 제3 방향과 예각을 이룬다. 제4 방향은 제1 방향과 제3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향과 다른 특정 방향이 소정 각도를 이룬다"고 할 경우의 각도는, 2개의 방향들이 교차됨으로써 생기는 2개의 각도들 중 작은 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개의 방향들이 교차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각이 120°와, 60°일 경우, 60°를 의미한다. 따라서, 액티브 영역(111)들이 연장된 제4 방향은 워드 라인(210, 220, 23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방향과 예를 들어 45°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제4 방향은 다시 비트 라인(300)과 예를 들어 45°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일 액티브 영역(111)에 연결된 내부 전극(500)들은 일 액티브 영역(111)에 연결된 비트 라인(3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티브 영역(111)을 형성할 경우, 본 발명의 저항 메모리 셀은 8F2 레이아웃보다 작은 면적인 6F2 레이아웃을 가지게 되며, 본 실시예도 단위 저항 메모리 셀 당 2개씩의 저항 메모리 셀을 포함하여 단위 저항 메모리셀이 차지하는 면적이 3F2 레이아웃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들을 n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저항 메모리 셀은 6/(2n)F2의 레이아웃과 같은 메모리 면적을 가지게 된다.
이하, 도 7 및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 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LOCOS방법을 이용하여 소자 분리 영역(105)을 형성한다. 이어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HDP CVD(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을 이용하여 실리콘 산화막 등을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층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용 도전 물질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절연막(210) 및 게이트 전극(220)을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210) 양측에 스페이서(240)를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100)에 n형 또는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은 고, 저농도로 2회 이상으로 나누어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급속 열처리(RTP: Rapid Thermal Process) 장치, 퍼니스(furnace) 등을 이용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기판(100)에 실리사이드막(120) 및 게이트 실리사이드막(230)을 형성한다. 이후, 비트 라인(300)들 및 제1 층간 절연막(330)을 증착한다.
이어서, 제1 층간 절연막(330) 상부에 예를 들어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외부 전극물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은 제1 외부 전극(410_1)과 제2 외부 전극(420_2)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을 절연시키 도록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의 상부까지 제2 층간 절연막(43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층간 절연막(430) 상부에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과 오버랩되는 추가 제1 및 제2 외부 전극(1410_1, 1420_2)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외부 전극(410_1, 420_2)을 단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본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층을 달리하여 제3 및 제4 외부 전극(410_1, 1410_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추가 제1 및 제2 외부 전극(1410_1, 1420_2)을 절연시키도록 제3 층간 절연막(1430)을 형성한다. 도 14 및 도 15의 공정은 복수회 반복 수행하여 n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추가 제1 및 제2 외부 전극(1410_1, 1420_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식각액을 이용하여 제1 층간 절연막(330), 제2 층간 절연막(430), 및 제3 층간 절연막(1430)을 식각하여, 액티브 영역(110)의 제1 영역(110_1)과 연결되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의 콘택홀(1500)을 형성한다. 콘택홀(1500)은 워드 라인(210, 220, 230)이 형성된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형성하며, 제2 방향은 예를 들어 기판(100)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층간 절연막(330)의 하부에는 식각 정지막(미도시)가 형성되어 실리사이드막(230)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제3 층간 절연막(1430) 및 콘택홀(1500)에, 칼코게나이드,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및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고체 전해질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가변 저항 물질을 증착하고, 스페이서 형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1500)의 측벽에 형성된 원주형 또는 각주형의 가변 저항체(610, 620)를 형성한다. 가변 저항체(610, 620)는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과 일측이 접촉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콘택홀(1500)의 잔류 공간에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여 가변 저항체(610, 620)의 타측과 접촉하고,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내부 전극(500)들을 형성한다. 내부 전극(500)은 콘택홀(1500)의 잔류 공간에 예를 들어 CVD, ALD, PVD, 및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고, 예를 들어 CMP(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와 같은 평탄화 공정을 거쳐 내부 전극(500) 및 가변 저항체(610, 620)의 상부를 평탄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부 배선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 중 구동 회로 및 센스 엠프 등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하, 도 9, 도 12 내지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먼저,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도 16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중간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면, 콘택홀(1500)과 오버랩되는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을 예를 들어 열산화 또는 플라즈마 산화시켜 가변 저항체 제1 부위(611) 및 가변 저항체 제2 부위(621)를 형성한다.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을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경우, 모든 층의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을 모두 산화 시켜 가변 저항체 제1 부위(611, 1611) 및 가변 저항체 제2 부위(621, 1621)들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콘택홀(1500)에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고 평탄화 하여 내부 전극(501)들을 형성한다. 내부 전극(501)들의 형성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도 9에서는 단층의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18의 공정에서 복수층의 제1 외부 전극(410_1) 및 제2 외부 전극(420_2)을 형성한 경우에도 유추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휴대전화(mobile phone),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항법 시스템(navigation system) 또는 가전제품(household appliance) 등 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로세싱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10), 반도체 메모리 장치(860) 및 입출력 장치(850)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86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저항메모리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810)의 실행을 위한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850)는 로컬 버스(820)를 통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86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860)는 메모리 버스(840)와 연결될 수 있고, 메모리 버스(840)는 메모리 콘트롤러(830)를 매개로 로컬 버스(8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도 5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도 5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05: 소자 분리 영역
110, 111: 액티브 영역 120: 실리사이드막
210: 게이트 절연막 220: 워드 라인
230: 게이트 실리사이드막 240: 게이트 스페이서
300: 비트 라인 350, 351: 비트 라인 콘택
410, 1410: 제1 외부 전극 연결부
410_1, 1410_1: 제1 외부 전극
420, 1420: 제2 외부 전극 연결부
420_2, 1420_2: 제2 외부 전극
330: 제1 층간 절연막 430: 제2 층간 절연막
500, 501: 내부 전극 600, 601: 가변 저항체
610, 611, 1611: 가변 저항체 제1 부위
620, 621, 1621: 가변 저항체 제2 부위
810: 프로세서 820: 로컬 버스
830: 메모리 콘트롤러 840: 메모리 버스
850: 입출력 장치 860: 메모리 장치
1500: 콘택홀

Claims (20)

  1.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내부 전극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각 내부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극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 및
    상기 각 내부 전극 및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은 상기 내부 전극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층으로 형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체들을 선택하는 선택 소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선택 소자는 복수의 상기 가변 저항체들을 선택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들,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액티브 영역 당 2개씩 연결된 워드 라인들, 및 상기 내부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워드 라인들 사이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과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은 상기 비트 라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워드 라인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들은 상기 각 액티브 영역 당 2개씩 연결되되, 하나의 액티브 영역에 연결된 워드 라인들의 일측의 상기 제1 영역의 최외곽에 각각 1개씩 연결되고, 상기 비트 라인들은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항에 있어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들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체들은 상기 내부 전극들 각각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체들은 상기 내부 전극들과 오버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 상의 각 부위에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체들은 칼코게나이드, 전이금속 산화물,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및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고체 전해질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3.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내부 전극들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극들과 교차하며, 상기 내부 전극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들; 및
    상기 각 내부 전극 및 제3 및 제4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들은 상기 각 내부 전극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각 내부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극과 교차하고,
    상기 기판 내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들,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액티브 영역 당 2개씩 연결된 워드 라인들, 및 상기 내부 전극 및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들과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워드 라인들 사이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과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5.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상기 기판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을 덮는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각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외부 전극 사이의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콘택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일측이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형성하고,
    상기 콘택홀들의 잔류 공간에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여, 상기 가변 저항체들의 타측과 접촉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전극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체들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콘택홀과 오버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을 산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체들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콘택홀들 및 상기 절연층 상에 가변 저항성 물질을 증착하여 가변 저항성 물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 저항성 물질층을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의 측벽에만 상기 가변 저항성 물질을 잔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들은 도전성 물질을 CVD, ALD, PVD, 및 전기도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식으로 형성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과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을 각각 복수회씩 수행하는 것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20.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전극들,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내부 전극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각 내부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내부 전극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들, 및 상기 각 내부 전극 및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접촉하는 가변 저항체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외부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
KR1020080023416A 2008-03-13 2008-03-13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KR10141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16A KR101418434B1 (ko) 2008-03-13 2008-03-13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US12/353,553 US7952163B2 (en) 2008-03-13 2009-01-14 Nonvolatile memory devices that use resistance materials and internal electrodes, and related methods and processing systems
TW098104742A TWI450390B (zh) 2008-03-13 2009-02-13 使用電阻材料及內電極之非揮發性記憶體裝置及其相關之方法及處理系統
CN200910118570XA CN101533848B (zh) 2008-03-13 2009-03-04 非易失性存储器器件及相关的方法和处理系统
JP2009059555A JP2009224778A (ja) 2008-03-13 2009-03-12 抵抗物質および内部電極を使用する不揮発性メモリ装置、これ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プロセシングシステム
US13/101,263 US8314003B2 (en) 2008-03-13 2011-05-05 Nonvolatile memory devices that use resistance materials and internal electrodes, and related methods and processing systems
US13/655,584 US8698281B2 (en) 2008-03-13 2012-10-19 Nonvolatile memory devices that use resistance materials and internal electr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16A KR101418434B1 (ko) 2008-03-13 2008-03-13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89A KR20090098189A (ko) 2009-09-17
KR101418434B1 true KR101418434B1 (ko) 2014-08-14

Family

ID=4106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416A KR101418434B1 (ko) 2008-03-13 2008-03-13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952163B2 (ko)
JP (1) JP2009224778A (ko)
KR (1) KR101418434B1 (ko)
CN (1) CN101533848B (ko)
TW (1) TWI4503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2590B2 (en) * 2007-03-05 2010-08-10 Systems On Silicon Manufacturing Co. Pte. Ltd. Metal comb structures,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and failure analysis
KR20100001260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10101340A1 (ko) * 2009-03-05 2010-09-10 광주과학기술원 3차원 구조를 갖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어레이, 전자제품 및 상기 소자 제조방법
CN102054526B (zh) * 2009-11-10 2012-10-3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dram存储器
US8710484B2 (en) 2010-02-23 2014-04-29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non-volatile memory elemen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20130094273A1 (en) * 2010-04-06 2013-04-18 Wei-Chih Chien 3d memory and decoding technologies
JP5636212B2 (ja) * 2010-06-02 2014-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1308B1 (ko) 2010-11-10 201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변화 체를 갖는 비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297640B2 (en) * 2010-11-29 2019-05-21 Micron Technology, Inc. Cross-point memory with self-defined memory elements
US8618614B2 (en) 2010-12-14 2013-12-31 Sandisk 3D Llc Continuous mesh three dimensional non-volatile storage with vertical select devices
US9227456B2 (en) * 2010-12-14 2016-01-05 Sandisk 3D Llc Memories with cylindrical read/write stacks
US8933491B2 (en) 2011-03-29 2015-01-13 Micron Technology, Inc. Arrays of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an array of vertically stacked tiers of memory cells
US9343672B2 (en) * 2011-06-07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s, nonvolatile memory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20130019644A (ko) 2011-08-17 201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12397B1 (ko) * 2011-11-25 2018-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적으로 배열된 저항성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891277B2 (en) 2011-12-07 2014-11-18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device
KR102010335B1 (ko) 2012-04-30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9171584B2 (en) 2012-05-15 2015-10-27 Sandisk 3D Llc Three dimensional non-volatile storage with interleaved vertical select devices above and below vertical bit lines
CN103474570B (zh) * 2012-06-06 2016-03-30 复旦大学 集成于集成电路的后端结构的电阻型存储器及其制备方法
KR102021808B1 (ko) * 2012-12-04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구조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US9023699B2 (en) 2012-12-20 2015-05-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RRAM structure
WO2014138124A1 (en) 2013-03-04 2014-09-12 Sandisk 3D Llc Vertical bit line non-volatile memory system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9165933B2 (en) 2013-03-07 2015-10-20 Sandisk 3D Llc Vertical bit line TFT decoder for high voltage operation
JP2014216647A (ja) * 2013-04-29 2014-11-17 エーエスエム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金属ドープされた抵抗切り替え層を有する抵抗変化型メモリを製造する方法
US8956939B2 (en) * 2013-04-29 2015-02-17 Asm Ip Holding B.V. Method of making a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TWI514551B (zh) * 2013-05-15 2015-12-21 Toshiba Kk Nonvolatile memory device
US9362338B2 (en) 2014-03-03 2016-06-07 Sandisk Technologies Inc. Vertical thin film transistors in non-volatile storage systems
US9379246B2 (en) 2014-03-05 2016-06-28 Sandisk Technologies Inc. Vertical thin film transistor sel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9627009B2 (en) 2014-07-25 2017-04-18 Sandisk Technologies Llc Interleaved grouped word lines for three dimensional non-volatile storage
US9484094B2 (en) * 2015-01-21 2016-11-01 Ememory Technology Inc. Control method of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US9419058B1 (en) 2015-02-05 2016-08-16 Sandisk Technologies Llc Memory device with comb-shaped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finger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450023B1 (en) 2015-04-08 2016-09-20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bit line non-volatile memory with recessed word lines
US9831290B2 (en) * 2016-03-10 2017-11-28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local bit line with insulation layer formed therein
CN106654002B (zh) * 2016-11-03 2018-12-0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低功耗磁性多阻态存储单元
JP6829733B2 (ja) 2019-01-16 2021-02-10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抵抗変化型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TWI691035B (zh) * 2019-03-12 2020-04-1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電阻式隨機存取記憶體結構
CN111769132B (zh) * 2019-04-02 2023-06-02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电阻式随机存取存储器结构
US10950789B2 (en) * 2019-05-31 2021-03-16 Winbond Electronics Corp. Resisitive random access memory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10610943A (zh) * 2019-08-07 2019-12-24 成都皮兆永存科技有限公司 高密度三维结构半导体存储器及制备方法
JP2021048224A (ja) * 2019-09-18 2021-03-2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装置
CN114823675A (zh) * 2021-01-29 2022-07-29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器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917A (ja) * 2002-04-02 2004-01-29 Hewlett Packard Co <Hp> メモリ構造
JP2004349504A (ja) 2003-05-22 2004-12-09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4362753A (ja) * 2003-06-03 2004-12-2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超低コストの固体メモリ
JP2007511895A (ja) * 2003-05-15 2007-05-10 マイクロン・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1T‐nメモリセル積層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2883A1 (de) * 1998-09-18 2000-03-30 Siemens Ag Elektrisch programmierbare, nichtflüchtige Speicherzellenanordnung
US6798359B1 (en) 2000-10-17 2004-09-28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JP2002133885A (ja) * 2000-10-30 2002-05-10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118500B2 (ja) * 2000-11-01 2008-07-1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ポイントコンタクト・アレー
JP2004022575A (ja) * 2002-06-12 2004-01-2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JP2004095889A (ja) * 2002-08-30 2004-03-25 Fasl Japan Ltd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03356B2 (ja) * 2002-10-29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9467B2 (ja) 2002-11-08 2010-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可変抵抗素子、及び記憶装置
JP4355136B2 (ja) * 2002-12-05 2009-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
DE60334153D1 (de) * 2003-04-03 2010-10-2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Kubische speichermatrix und herstellungsverfahren
JP4356542B2 (ja) * 2003-08-27 2009-11-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509569B1 (ko) 2004-01-05 2005-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JP2005244145A (ja) * 2004-01-28 2005-09-08 Sharp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7468A (ja) * 2004-06-02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揮発性メモリ
KR100668823B1 (ko) 2004-06-30 2007-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환 기억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6344876A (ja) * 2005-06-10 2006-12-21 Sharp Corp 不揮発性記憶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7184419A (ja) * 2006-01-06 2007-07-19 Sharp Corp 不揮発性メモリ装置
JP2007201244A (ja) * 2006-01-27 2007-08-0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KR101213702B1 (ko) * 2006-04-21 2012-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그 동작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US7575984B2 (en) * 2006-05-31 2009-08-18 Sandisk 3D Llc Conductive hard mask to protect patterned features during trench etch
JP2009081251A (ja) * 2007-09-26 2009-04-16 Panasonic Corp 抵抗変化素子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抵抗変化型メモリ
JP5172269B2 (ja) * 2007-10-17 2013-03-27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20090055874A (ko) * 2007-11-29 200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917A (ja) * 2002-04-02 2004-01-29 Hewlett Packard Co <Hp> メモリ構造
JP2007511895A (ja) * 2003-05-15 2007-05-10 マイクロン・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1T‐nメモリセル積層構造体
JP2004349504A (ja) 2003-05-22 2004-12-09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4362753A (ja) * 2003-06-03 2004-12-2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超低コストの固体メモ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3848B (zh) 2013-04-10
US8314003B2 (en) 2012-11-20
JP2009224778A (ja) 2009-10-01
CN101533848A (zh) 2009-09-16
US20130043453A1 (en) 2013-02-21
US20090230512A1 (en) 2009-09-17
KR20090098189A (ko) 2009-09-17
US20110204315A1 (en) 2011-08-25
TWI450390B (zh) 2014-08-21
US7952163B2 (en) 2011-05-31
US8698281B2 (en) 2014-04-15
TW201001694A (en) 201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434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프로세싱 시스템
US9373665B2 (en) Resistance change nonvolatile memory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stance change nonvolatile memory device
US7696508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s having dual lower electrodes
TW201826268A (zh) 個別地包含一電容器及一垂直延伸電晶體之記憶體單元陣列,形成記憶體單元陣列之一層之方法及形成個別地包含一電容器及一垂直延伸電晶體之記憶體單元陣列之方法
US989328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14202B1 (ko)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JP2014036034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130170281A1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847189B2 (en) Memor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099071B1 (en) Resistance change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929246B1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WO2017044166A1 (en) Three-dimensional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containing self-aligned memory elements
US9859493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06701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bit lines and source lines arranged in parall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177260B2 (ja) 水素障壁材料を有する垂直トランジスタを含むデバイス及び関連する方法
US2014006157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58323A (ko) 이중층 채널 트랜지스터 및 이의 형성 방법
KR20140064454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6963507A (zh) 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JP201211949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