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595B1 -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 Google Patents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595B1
KR101410595B1 KR1020097020654A KR20097020654A KR101410595B1 KR 101410595 B1 KR101410595 B1 KR 101410595B1 KR 1020097020654 A KR1020097020654 A KR 1020097020654A KR 20097020654 A KR20097020654 A KR 20097020654A KR 101410595 B1 KR101410595 B1 KR 10141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rinsing
region
component
proces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936A (ko
Inventor
클라우스 그루너르트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2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측에 배치된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를 세척하기 위해, 젖은 빨래의 건조로부터 처리 공기 회로에서 얻어져서 응축수 탱크(KW)에 수집되는 응축수가 응축기 상부에 제공된 헹굼 용기(SB)로 안내되고, 상기 헹굼 용기의 출구측에서의 갑작스런 개방에 의해 분출수로서 해당 구성 요소(EV)에 방출된다.
세탁기 겸 건조기, 텀블 건조기, 응축기, 증발기, 응축수, 헹굼 용기

Description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COMPONENT, PARTICULARLY OF A VAPORIZER OF A CONDENSER DEVICE AND A WASHER/DRYER OR TUMBLE DRYER COMPRISING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process air circuit) 내에 배열된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젖은 빨래의 건조 시 처리 공기 회로 내에서 획득되어 응축수 탱크에 수집되는 응축수로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응축수는 증발기 위에 배치된 헹굼 용기로 안내되어 상기 헹굼 용기의 출구 측으로부터 해당 증발기로 방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세탁기 겸 건조기는 빨래를 세탁하는 세탁 기능과 젖은 빨래를 건조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복합 기기를 의미한다. 한편, 텀블 건조기는 젖은 빨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기능만을 갖는다.
열교환기로 예시된 응축수 분리기로부터 보풀을 제거하기 위한 상술된 유형의 방법 및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DE 37 38 031 C2). 관련하여 공지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 장치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소량인 약 1/2리터의 응축수가, 제공된 응축기 장치의 판을 1회 헹굼(one-off rinsing)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해당 헹굼 과정은 약 30초간 지속된다. 젖은 빨래를 건조하는 동안 해당 응축기 장치 내에 부유하여 잔류하는 보풀을 응축기 장치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응축기 장치의 상대적으로 강한 헹굼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는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로부터 가용 헹굼 장치로 펌핑하는 상대적으로 강력한 펌프의 사용이 요구된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유형의 높은 소비(high outlay)를 피하는 것이 요구되며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응축수 탱크 내에 수집된 응축수로 세척하기 위해 더욱 간단한 장치로 이러한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텀블 건조기 내의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EP 0 468 573 A1).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휜으로 구성된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는 세척 장치에 의해 응축수 탱크와 반대편에서 세척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 장치는 응축수 탱크 내에 추가적으로 수용되는 응축수가 공급되는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브러쉬 또는 강모 장치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빗 형상의 세척 장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 아래의 상당히 큰 영역은 세척하지 않고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의 상부 영역만을 세척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의 세척은 상대적으로 불량하다. 증발기는 증발기의 전체 깊이에 걸쳐 연장하는 강모를 구비한 빗 형상의 세척 장치에 의해 세척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구성이 제대로 기능을 한다 해도, 빗 형상의 세척 장치의 강모와 증발기의 휜의 측벽 사이의 상당한 마찰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소비를 요구할 것이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적 소비(constructional outlay)를 요구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작동 기류 안내부의 섹션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가정용 텀블 건조기도 공지되어 있다(DE 199 43 125 A1). 이 장치에는, 건조될 빨래와 건조 구획 내에서 접촉될 수 있어 탈습이 가능한 작동 기류를 발생하기 위해 송풍기(fan)가 제공된다. 작동 기류가 송풍기에 의해 생성되고 건조될 빨래와 건조 구획 내에서 접촉되는 건조 단계 이외, 즉 송풍기가 스위치 오프되는 세척 단계에서, 처리 공기 안내부의 섹션은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에 의해 침수된다. 이 액체는 세척 단계 말미에 처리 공기 안내부의 침수된(flooded) 섹션으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이러한 액체는 특히 젖은 빨래의 건조로부터 얻어지는 응축수가 빨래 건조 도중 수집되는 응축 용기로부터의 응축액을 포함한다. 처리 공기 안내부의 상기 섹션의 상기 침수를 해결할 수 있도록, 처리 공기 안내부는 밀봉 장치에 의해 밀봉될 수 있지만, 이는 관련된 소비로 인해 현재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치된 구성 요소를 세척하는 더욱 간단한 해법이 모색되고 있다.
가정용 기기의 열교환기와 상응하는 가정용 기기로부터 보풀을 제거하는 방법은 이미 제안되었으며(청 조회 번호 10 2006 061 211.6-내부 조회 번호: 200602617), 이 방법에서는 특히 가정용 기기 내의 건조 과정 도중 생성된 응축에 의해 형성되는 헹굼 액이 공기의 스트림의 세기(strength)에 따라 편향되고, 이러한 편향에 따라 열교환기의 다양한 영역을 통해 유동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열교환기의 효율적인 세척은 충분히 큰 체적 및/또는 충분히 빨리 유동하는 헹굼액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이를 달성하느냐는 관련된 분야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구성 요소, 즉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가 세척되는데 큰 소비를 하지 않고도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응축수에 의해 특히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원에 도시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방법으로 달성되는데, 이때 응축수는 헹굼 용기의 출구 측을 갑자기 개방하여 분출수로서 헹굼 용기로부터 해당 구성 요소 상으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간단한 방법 단계, 즉 헹굼 용기로부터의 응축수를 분출수로 방출하는 단계에 의해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구성 요소, 더 구체적으로는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가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특히 젖은 빨래의 건조 과정 도중 수집된 보풀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2.5리터의 응축수 양이 헹굼 용기 내에 수집된다고 가정하면, 전술한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 또는 구성 요소의 효율적인 세척은 약 1초 내지 2초의 시간 내에 상기 응축수 양을 방출함으로써 달성된다. 2.5리터의 응축수를 1초 내에 방출하는 경우, 이는 분당 150리터의 응축수 방출량에 상응한다. 예로서 취해진 2.5리터의 응축수를 2초 내에 방출하는 경우, 이는 분당 75리터의 응축수 방출량에 상응한다. 만약 이러한 양의 물을 방출하기 위해 펌프를 사용하길 원한다면, 이러한 양의 물은 상대적으로 체적이 크고 강력한 펌프에 의해서만 방출될 수 있으며,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에서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치된 구성 요소, 더 구체적으로는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해 응축수를 펌핑하는데 이러한 펌프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구성 요소 상으로 방출되는 분출수는 방출되는 시작과 종료에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척될 구성 요소 상으로 또는 세척될 구성 요소 내로 분출수를 방출하는 시작과 종료 사이에서 헹굼 효과가 상대적으로 균일하다는 장점을 생성한다.
상기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출수는 증발기 내로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위치된 증발기 영역으로만 방출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보풀 형태로 증발기의 전체 입구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적층물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분출수의 방출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될 젖은 빨래의 건조 과정을 종료한 직후 처리되는데, 이는 그 시점에서 특히, 응축기 장치의 상기 구성 요소 또는 증발기에 부착되는 보풀이 여전히 젖어 있으며 분출수로 분출되는 헹굼액에 의해 비교적 쉽게 제거되기 때문이다.
상기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출수를 방출하는 단계는 증발기 내로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에 제공된 시작 영역에서부터 증발기로부터의 처리 공기 배출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시작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놓인 끝 영역까지 분출수를 기계적 또는 전기 기계적으로 편향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세척될 구성 요소와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가 한정된 영역에 대해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해당 영역은 이러한 경우 증발기 내로의 처리 공기의 진입 영역으로부터 증발기로부터의 진출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분출수는 이 경우 건조될 젖은 빨래의 건조 과정을 종료한 직후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 시점에서, 특히 응축기 장치의 상기 구성 요소 또는 증발기에 부착되는 것들이 여전히 젖어 있으며 분출수로 방출되는 헹굼액에 의해 양호하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응축수는 펌프에 의해 응축수 탱크로부터 헹굼 용기로 펌핑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 요소를 세척하기 위한 분출수로 방출되는 응축수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옵션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파워가 낮은 상대적으로 작은 펌프가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로부터 헹굼 용기로 펌핑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러한 펌프의 파워는 현저히, 특히 본 발명의 기초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한 펌프의 파워에 비해 자릿수가 바뀔 정도로 더 낮다.
헹굼 용기 출구측의 순간적인 개방은 바람직하게 쌍안정 헹굼 용기 폐쇄부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은 헹굼 용기 출구측의 특히 효과적인 순간 개방의 장점을 수반한다. 이 경우, 헹굼 용기 폐쇄부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요소의 제어측의 상대적으로 짧은 작동 스트로크로써 피제어측의 상대적으로 큰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유리하게 이용된다. 또한, 헹굼 용기 폐쇄부의 작동을 위해 쌍안정 헹굼 용기에 부가되는 소위 스텝 기능이 유리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때 헹굼 용기 폐쇄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헹굼 용기 폐쇄부의 갑작스런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헹굼 용기 폐쇄부의 상술된 작동은 열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수행된다. 이는 헹굼 용기 폐쇄부의 작동이 특히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세척될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와, 젖은 빨래의 건조 단계를 통해 처리 공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수집될 수 있는 응축수 탱크를 구비한 장치가 사용되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증발기 상부에 제공된 헹굼 용기로 안내되어, 그곳으로부터 관련 구성 요소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그 출구 측에 폐쇄부를 가지며, 이 폐쇄부의 순간적인 개방을 통해, 헹굼 용기가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를 수직 낙수 파이프를 통해 분출수로서 상기 구성 요소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구성 요소, 더 구체적으로는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획득된다. 헹굼 용기 출구 측의 순간적인 개방에 의해, 헹굼 용기에 수집된 응축수는 세척을 위해 추가의 장치를 더 필요로 하지 않고 세척될 구성 요소 상으로 분출수로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빠르게 방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 낙수 파이프는 헹굼 용기의 출구 영역의 단면적에 비해 좁은 영역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방출의 시작과 종료 사이에서 분출수의 방출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양호하고 균등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에서 분출수는 수직 낙수 파이프에 연결되며 고정 배치된 헹굼 노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증발기 내로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에만 위치하는 증발기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처리 공기가 유되며 특히 보풀과 같은 오염물이 적층되는, 주로 세척될 증발기 영역이 매우 효과적으로 세척되는 장점이 획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헹굼 노즐 및/또는 수직 낙수 파이프는 분출수의 방출 도중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편향 장치에 의해,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로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에 위치된 시작 영역에서부터 증발기로부터의 처리 공기 배출 영역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있는 끝 영역까지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가 규정된 길이에 걸쳐, 특히 처리 공기가 유동하는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분출수로 세척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헹굼 용기는 펌프에 의해 응축수 탱크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헹굼 용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응축수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헹굼 용기의 폐쇄부는 폐쇄부에 의해 폐쇄되는 헹굼 용기의 출구 영역을 개방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쌍안정 스프링 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헹굼 용기의 폐쇄부가 스프링 장치의 쌍안정 효과에 의해 특히 안정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경우에 이러한 개방은 관련 쌍안정 스프링 장치에 의해 특히 빠르게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관련 쌍안정 스프링 장치에는 각각의 쌍안정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바운스 기능이 제공된다.
쌍안정 스프링 장치의 상술된 작동을 위해, 쌍안정 스프링 장치에 의해 커플링되는 열동 계전기(thermal relay) 또는 전자 계전기(magnetic relay)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특히 큰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충분히 쌍안정 스프링 장치를 제어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헹굼 용기 내에 위치된 응축수를 분출수로서 방출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갖는, 도 1에 따른 장치에 제공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헹굼 용기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제공된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 내의 헹굼 용기로부터 갑자기 방출된 응축수가 분출수로서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의 규정된 영역에 걸쳐 분출될 수 있는 장치를 도 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에 속하며,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들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특히, 건조될 젖은 빨래를 수납하는 세탁 드럼(WT)과, 처리 공기(process air)가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유동하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고찰되는 상기 드럼에 연결된 처리 공기 유동 장치를 포함한다.
처리 공기 유동 장치는 일련의 처리 공기 도관(LU1, LU2, LU3, LU4)과, 이러한 도관에 연결된 장치, 즉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 가열 장치(HE) 및 송풍기(GB)를 포함한다. 본 경우에 증발기(EV)는 전이부 역할을 하는 깔때기형 연결부(TR1)를 거쳐 증발기의 출구 측에서 처리 공기 도관(LU1)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이 처리 공기 도관(LU1)에는 저온의 건조한 처리 공기가 공급되고 처리 공기 도관(LU1)의 타 단부는 송풍기(GB)의 입력 연결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송풍기(GB)는 처리 공기 도관(LU2)을 거쳐 출구 측에서 가열 장치(HE)의 입구 측에 연결되며, 가열 장치(HE)는 고온의 건조한 처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처리 공기 도관(LU3)에 의해 가열 장치의 출구 측에서 세탁 드럼(WT)의 입구 측에 연결된다. 출구 측에서 세탁 드럼(WT)은 내부에서 건조되는 젖은 빨래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습한 처리 공기를 취득하기 위해, 처리 공기 도관(LU4) 및 상기 처리 공기 도관에 연결되어 마찬가지로 전이부 역할을 하는 깔때기형 연결부(TR2)를 통해 증발기(EV)의 입구 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증발기(EV)에서, 세탁 드럼(WT)으로부터 처리 공기 도관(LU4)에 의해 공급되는 고온의 습한 처리 공기의 습기 응축이 실시된다. 그로 인해 증발기(EV) 내에 생성된 응축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 형태로, 증발기(EV) 하부에 배치된 응축수 탱크(KW)에 유입되며,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 수집된다.
응축수 탱크(KW)에 수집된 응축수는 이제 넘치지 않도록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방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 응축수 탱크(KW)는 연결 도관(K1)에 의해 예컨대, 베인형 펌프(vane-type pump)일 수 있는 전기 펌프(P)의 입구 측에 연결된다. 펌프(P)는 출구 측에서 연결 도관(K2)에 의해 본 예에서 제어식 2방향 밸브(controllable two-way valve)일 수 있는 분배기(VE)의 입구 측에 연결된다. 관련된 분배기 또는 2방향 밸브(VE)는 2개의 출구 연결부를 갖는데, 이중 하나의 출구 연결부는 연결 도관(K3)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출구 연결부는 연결 도관(K4)에 연결된다.
연결 도관(K3)은, 응축수 탱크(KW)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상부 영역의 수집 용기(SA)로 펌프(P)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방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수집 용기(SA)는 예컨대 전술한 장치가 포함된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수집 용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집 용기를 통해 응축수 탱크(KW)로부터 수집 용기 내로 펌핑된 응축수가 버려질 수 있다.
연결 도관(K4)은 출구 측에서, 분배기 또는 2방향 밸브(VE)에 의해 공급되는 응축수를 헹굼 용기(SB)로 방출하도록 사용된다. 도시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내에서 상부 측에 가능한 높게 배열되며 예컨대, 2.5리터의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탱크(KW) 또는 수집 용기(SA)와 동일한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는 이러한 헹굼 용기(SB)는 안전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장치를 구비하여, 이 오버플로우 장치를 통해, 헹굼 용기(SB) 외부로 넘칠 수도 있는 응축수가 오버플로우 용기(UB)에 도달하고, 이 오버플로우 용기는 복귀 도관(RK)에 의해 응축수 탱크(KW)에 직접 연결되어 그 내부에 도달한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KW)에 직접 방출하는 위치에 있다.
헹굼 용기(SB)는 그 출구 또는 배출구에 의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고 작동 또는 제어에 의해 개방되는 폐쇄부(VT)를 거쳐 수직 낙수 파이프(FR)에 연결된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이러한 수직 낙수 파이프(FR)는 응축수가 헹굼 용기(SB)로부터의 분출수로 방출되도록 약 500㎜ 내지 600㎜의 낙차를 형성하는 길이를 갖는다. 수직 낙수 파이프는 도 1에서 하부에 위치한 그의 단부에, 증발기(EV)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대체로 타원형이고 폭이 약 6㎜ 내지 10㎜인 배출 영역을 갖는, 고정 배치된 헹굼 노즐(DU)을 구비하며, 상기 헹굼 노즐은 그 출구 영역의 종방향 중심이 도 1에서 우측에 배치된, 습한 고온 처리 공기를 위한 증발기(EV)의 입구 영역으로부터 약 10㎜ 내지 50㎜에 이르는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다. 수직 낙수 파이프(FR) 및 헹굼 노즐(DU)의 이러한 배열을 통해, 폐쇄부(VT)의 개방 시 헹굼 용기(SB)로부터 분출수로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바람직하게 증발기 내로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만 위치되는 증발기 영역에 방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헹굼 노즐(DU) 및 수직 낙수 파이프(FR)의 단면과 폐쇄부(VT)의 통과 개방부의 치수는, 수집 용기(SB)에 수집되는 응축수(상기 가정된 예에 따르면 약 2.5리터의 응축수)가 분출수로서 1초 내지 2초 사이의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증발기(EV)로 방출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를 위해 세탁 드럼(WT) 내에 위치된 젖은 빨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한 직후 2초 내에 2.5리터 이상의 속도로 이러한 분출수를 방출함으로써, 증발기(EV)의 상기 처리 공기 입구 영역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영역을 지나, 깔때기 형상의 연결부(TR2) 및 처리 공기 도관(LU4)을 거쳐 공급되었던 보풀 및 다른 오염물이 세척될 수 있게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달성된다.
분출수 방출의 시작과 종료 사이에서 분출수의 분출량을 매우 균일하게 하기 위해, 수직 낙수 파이프는, 헹굼 노즐(DU)도 포함하며 헹굼 용기(SB)의 출구 영역의 단면에 비해 좁아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 미리 특정된 단위 시간당 최소량의 응축수가 증발기(EV)를 세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점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장치(ST)가 제공된다. 제어 장치(ST)는 CPU와, 운영 프로그램 및 처리 프로그램을 내장한 ROM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뿐만 아니라 작동 신호가 입력 측에서 공급되고 제어 신호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다양한 유닛으로 출력 측에서 출력 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 또는 자체 소프트웨어를 갖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ST)는 통상적으로 2개의 입력 단자(E1, E2)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 단자에는 스위치(S1 또는 S2)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예컨대 +5V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는 전력 연결부(U)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측에는 통상적으로 6개의 출력 단자(A1, A2, A3, A4, A5, A6)가 제공된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1)는 송풍기(GB)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되는데, 송풍기(GB)는 출력 단자(A1)에 의해 상기 제어 입력부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2)는 가열 장치(HE)의 대응하는 제어 입력부에 연결되는데, 가열 장치(HE)는 출력 단자(A2)에 의해 상기 제어 입력부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3)는 오직 작용 연결을 의미하는 연결을 통해 세탁 드럼(WT)에 연결되며, 세탁 드럼(WT)은 관련 연결을 통해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거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는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3)로부터의 관련 제어 신호가 세탁 드럼(WT)에 연결된 구동 모터로 송출됨을 의미한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4)는 폐쇄부(VT)의 작동 입력부에 연결되는데, 폐쇄부는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4)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완전히 개방된다. 하지만, 폐쇄부(VT)가 통상적으로는 폐쇄되며 제어 장치(ST)의 출력 연결부(A4) 상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의해서만(예컨대, 2진 신호 "1"에 따라) 완전히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5)가 분배기 또는 2방향 밸브(VE)의 제어 또는 작동 입력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를 통해 폐쇄부 또는 2방향 밸브(VE)로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의해, 관련 폐쇄부 또는 2방향 밸브(VE)는 펌프(P)에 의해 응축수 탱크(KW)로부터 공급된 응축수를 연결 도관(K3) 또는 연결 도관(K4)에 방출하거나 또는 연결 도관(K3, K4) 모두에 대한 이러한 방출을 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장치(ST)의 출력 단자(A6)는 상기 펌프(P)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되는데, 펌프는 이러한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공정을 개시하거나 또는 정지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입력 단자(E1, E2) 및 출력 단자(A1, A2, A3, A4, A5, A6)를 갖는 제어 장치(ST)와 관련하여 추가로 주목해야 할 점은, 예컨대 제어 장치의 입력 단자(E1)에 연결된 스위치(S1)를 폐쇄함으로써, 세탁 드럼(WT) 내에 위치된 젖은 빨래의 정상적인 건조 작동이 개시 및 수행된다는 점과, 제어 장치(ST)의 입력 단자(E2)에 연결된 스위치(S2)를 폐쇄함으로써 순간적으로 개방된 헹굼 용기(SB)로부터 응축수를 분출수로서 증발기(EV)로 방출하는 것이 제어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2개의 스위치(S1, S2)의 작동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스위치(S1, S2) 중 하나만 작동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관련된 스위치들(S1 및 S2)은 통상 누름단추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탱크(KW)로부터 응축수를 헹굼 용기(SB)에 제공하는 것은, 상술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건조 모드 도중에 또는 건조 모드가 종료된 이후에 자동으로 또는 상기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에 수동으로 개입하여 의도한 대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제어에 수동 개입하는 경우, 제어 장치(ST)의 추가 입력부가 추가의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전압 단자(U)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 과정이 종료된 후 헹굼 용기 내에 수용된 응축수가 분출수 형태로 증발기(EV)로 방출됨으로써, 증발기의 휜(fin)(LA)에 달라붙은 보풀) 및 그 밖의 오염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속 및 상대적으로 다량의 응축수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헹굼 과정은 필요한 경우 관련 응축수로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응축수 탱크(KW) 내에 다시 수집된 이러한 응축수는 헹굼 용기(SB) 내로 다시 펌핑되며, 그 후 응축수는 분출수로서 증발기에 다시 방출된다. 세척 또는 헹굼 과정이 종료된 후, 응축수 탱크(KW)에 수집된 응축수는 종래의 폐수 시스템으로 배수되거나, 이후 수동으로 비워지는 수집 용기(SA) 내로 펌핑된다.
도 2는 폐쇄부를 구비한 헹굼 용기(SB)를 상세하게 확대한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폐쇄부(VT)는 도 2에 따라, 수직 낙수 파이프(FR)가 연결된 영역의 헹굼 용기(SB)가 밀봉 영역 또는 밀봉 립(DL)을 갖도록 형성되며, 폐쇄부가 폐쇄 상태일 때 폐쇄판은 상기 밀봉 영역 또는 밀봉 립에 대해 폐쇄판의 하부 측과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폐쇄판(TE)은 폐쇄판의 하부 단부 상의 중심 영역에, 헹굼 용기(SB)의 기부 부분을 밀봉식으로 관통하고 그 하부 단부 부분이 쌍안정 스프링(bistable spring)(FE)의 상대적으로 긴 피벗 부분의 끝 영역 상에서 착좌되어 있는 지지부(TT)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에 의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바운스 기능을 구비한 이러한 쌍안정 스프링이 그의 지지점에서 고정 배치된 지지부(TL)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관련된 쌍안정 스프링(FE)은 작동 방향으로 스냅 오버(snap over)된다. 지지부(TL)로부터 상대적으로 짧은 피벗 영역의 단부에서, 쌍안정 스프링(FE)은 작동 장치(BE)의 플런저에 연결된다. 이러한 작동 장치는 [도 1에 따른 출력 단자(A4)로부터의] 제어 장치(S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열동 계전기 또는 전자 계전기와 같은 열적 또는 전자기적 구동 작동 장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부(TL)의 양측에 제공된 쌍안정 스프링(FE)의 피벗 영역들 간의 전달비(transmission ratio)에 의해, 작동 장치의 플런저의 상대적으로 짧은 스트로크가 그에 비해 훨씬 더 큰 폐쇄판(TE)의 스트로크를, 더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 스프링(FE)의 쌍안정 바운스 기능을 토대로,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헹굼 용기 내에 수용된 응축수는 분출수로서 도 1에 따라 수직 낙수 파이프(FR) 및 헹굼 노즐(DU)을 통해 증발기(EV)로 방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 내의 증발기의 상면도(overhead view)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으로부터, 증발기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휜(LA)들로 구성된다는 것이 명확하다. 이 휜들은 상기 응축기 장치 내에서 냉각되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도 3의 우측으로부터 이들에게 공급되는 습한 처리 공기로부터의 습기는 본 도면에 도시된 응축수 탱크로 응축수를 출력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휜(LA)의 냉각 표면에서 응축된다. 증발기(EV)와 관련된 헹굼 노즐(DU)의 정적 위치가 도 3에 도시된다.
헹굼 노즐(DU)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증발기를 위해 증발기(EV)와 관련된 고정된 위치에 배열되지만, 도 4는 증발기(EV)와 관련하여 헹굼 노즐(DU)이 변위될 수 있거나 또는 더욱 정확하게 편향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4에 따르면, 제어 장치(S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기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나사식 스핀들(threaded spindle)(GW)과, 나사식 스핀들에 커플링되고 헹굼 노즐(DU)에 연결되는 암형 커넥터(MU)로 구성된 구동 장치가 상기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 상부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스핀들(GW)의 모터(MO)로부터 먼 단부는 지지 베어링(SL)에 의해 지지된다.
헹굼 노즐(DU)은 도 4에 따라 예컨대, 벨로우즈 섹션 또는 주름진 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가동 연결부(BV)에 의해 수직 낙수 파이프와 연결된다. 증발기(EV)에 대한 헹굼 노즐(DU)의 이러한 변위 능력은, 분출수를 방출하는 동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 내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에 위치된 시작 영역에서부터, 증발기(EV)로부터 처리 공기 배출 영역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놓인 끝 영역까지 헹굼 노즐을 편향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에 따른 증발기의 휜(LA)이 소정의 길이, 예컨대 휜 전체 길이에 걸쳐 헹굼 노즐 및 수직 낙수 파이프(FR)로부터 분출되는 응축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 내의 처리 공기 유입 영역에 위치된 시작 영역에서부터 증발기(EV)로부터의 처리 공기 배출 영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 끝 영역까지 수직 낙수 파이프(FR) 및 헹굼 노즐(DU)을 통해 본원에 설명된 응축수의 분출을 방출하는 것은, 수직 낙수 파이프(FR)가 헹굼 노즐(DU)과 함께 상응하게 편향됨으로써 수행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술한 편향은 통상, 도 4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도, 즉 일반적으로 기계적 또는 전기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편향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면 부호 리스트
A1, A 2, A3, A4, A5, A6 : 출력 단자
BE : 작동 장치
BV : 가동 연결부
DL : 밀봉 영역 또는 립
DU : 헹굼 노즐
E1, E2 : 입력 단자
EV : 증발기
FE : 쌍안정 스프링
FR : 수직 낙수 파이프
GB : 송풍기
GW : 나사식 스핀들
HE : 가열 장치
K1, K2, K3, K4 : 연결 도관
KW : 응축수 탱크
LA : 휜
LU1, LU2, LU3, LU4 : 처리 공기 도관
MO : 모터
MU : 암형 커넥터
P : 펌프
RK : 복귀 도관
S1, S2 : 스위치
SA : 수집 용기
SB : 헹굼 용기
SL : 지지 베어링
ST : 제어 장치
TE : 폐쇄판
TL : 스프링 지지부
TR1, TR2 : 깔때기형 연결부(전위 섹션)
TT : 지지부
U : 전력 연결부
UB : 오버플로우 용기
VE : 분배기 또는 2방향 밸브
VT : 폐쇄부
WT : 세탁 드럼

Claims (17)

  1.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구성 요소를, 젖은 빨래의 건조 시 처리 공기 회로 내에서 획득되어 응축수 탱크 내에 수집되는 응축수로 세척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구성 요소 상부에 제공된 헹굼 용기로 안내되어 헹굼 용기의 출구 측으로부터 관련 구성 요소로 방출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에 있어서,
    응축수는 헹굼 용기(SB) 출구 측의 갑작스런 개방에 의해 분출수로서 헹굼 용기(SB)로부터 해당 구성 요소(EV) 상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구성 요소(EV)로 방출되는 분출수는 방출의 시작과 종료 사이에 방출되는 양이 전반적으로 균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구성 요소(EV)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EV)를 형성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에서 분출수는, 증발기(EV) 내로 처리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에만 위치하는 증발기 영역에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EV)를 형성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에서 분출수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 기계적으로 편향됨으로써, 증발기(EV) 내로 처리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으로부터 지정된 거리에 제공된 시작 영역에서 증발기(EV)로부터 처리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시작 영역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끝 영역까지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축수는 펌프(P)에 의해 응축수 탱크(KW)로부터 헹굼 용기(SB) 내로 펌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헹굼 용기(SB)의 출구 측에서의 갑작스런 개방은 쌍안정 헹굼 용기 폐쇄부(VT; BE, FE, TT, TE, DL)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헹굼 용기 폐쇄부(VT; BE, FE, TT, TE, DL)의 작동은 열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의 처리 공기 회로 내에 배열된 세척될 구성 요소와 응축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는 젖은 빨래의 건조를 통해 처리 공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수집되어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구성 요소 상부에 제공된 헹굼 용기로 안내될 수 있고 상기 헹굼 용기로부터 관련 구성 요소로 방출될 수 있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에 있어서,
    헹굼 용기(SB)는 출구 측에 폐쇄부(VT)를 포함하고, 이러한 폐쇄부의 갑작스런 개방으로 인해 헹굼 용기(SB) 내에 수용된 응축수가 수직 낙수 파이프(FR)를 통해 분출수로서 상기 구성 요소(EV)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수직 낙수 파이프(FR)는 헹굼 용기(SB)의 출구 영역의 횡단면에 비해 좁아진 영역(D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구성 요소(EV)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EV)를 형성하는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EV)에서 분출수는,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수직 낙수 파이프(FR)에 연결된 헹굼 노즐(DU)에 의해, 증발기(EV) 내로 처리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증발기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분출수가 방출되는 동안 헹굼 노즐(DU) 또는 수직 낙수 파이프는 기계적 또는 전기 기계적 작동식 편향 장치(MO, MU, GE)에 의해, 응축기의 증발기(EV) 내로 처리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시작 영역에서부터, 증발기(EV)로부터 처리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시작 영역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끝 영역까지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헹굼 용기(SB)는 펌프(P)에 의해 응축수 탱크(KW)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헹굼 용기(SB)의 폐쇄부(VT)는 쌍안정 스프링 장치(FE)에 연결되고, 상기 쌍안정 스프링 장치는 폐쇄부(VT)에 의해 폐쇄된 헹굼 용기(SB)의 출구 영역을 개방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쌍안정 스프링 장치(FE)의 작동을 위해, 상기 스프링 장치와 커플링되는 열동 계전기(thermal relay) 또는 전자 계전기(magnetic relay)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요소 세척 장치.
  17. 제9항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KR1020097020654A 2007-04-03 2008-03-05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KR101410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6074.9 2007-04-03
DE102007016074A DE102007016074A1 (de) 2007-04-03 2007-04-0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PCT/EP2008/052661 WO2008119611A1 (de) 2007-04-03 2008-03-0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936A KR20090123936A (ko) 2009-12-02
KR101410595B1 true KR101410595B1 (ko) 2014-06-20

Family

ID=3948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654A KR101410595B1 (ko) 2007-04-03 2008-03-05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45056B2 (ko)
EP (1) EP2134896B1 (ko)
KR (1) KR101410595B1 (ko)
CN (1) CN101652514B (ko)
AT (1) ATE495298T1 (ko)
DE (2) DE102007016074A1 (ko)
EA (1) EA015220B1 (ko)
WO (1) WO200811961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18A1 (ko) * 2019-10-21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125771A1 (en) 2019-12-17 2021-06-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1182767A1 (ko) 2020-03-09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789471C1 (ru) * 2019-10-21 2023-02-03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тирально-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управления
KR102584870B1 (ko) 2022-12-14 2023-10-05 심혜옥 건조 대상물 건조를 위한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051A1 (de) * 2005-03-18 2006-09-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DE102007016074A1 (de) 2007-04-03 2008-10-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7049060A1 (de) * 2007-10-12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pülflüssigkeitseinrichtung in einem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und Spülflüssigkeitseinrichtung
DE102007049061A1 (de) 2007-10-12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7052835A1 (de)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7061984A1 (de) 2007-12-21 2009-06-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Hubmagneten
DE102008032800A1 (de) * 2008-07-11 2010-01-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DE102008043920A1 (de) * 2008-11-20 2010-05-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DE102008044323A1 (de) * 2008-12-03 2010-06-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m Gehäuse
DE102008054548A1 (de) * 2008-12-11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Umluftanteil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DE102008054693A1 (de) 2008-12-16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DE102008054832A1 (de) 2008-12-17 2010-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in einem Prozess-luftkreislauf eines Wasch- oder Wäschetrockners angeordneten Bauteils
DE102009001548A1 (de) 2009-03-13 2010-09-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ungsgerät mit einem innerhalb eines Prozessluftkreislaufs angeordneten Flusensieb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Wäschetrocknungsgeräts
DE102009001610A1 (de) 2009-03-17 2010-09-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Verflusungszustands in einem Hausgerät zum Trocknen von Wäsche und entsprechendes Hausgerät
US20100236574A1 (en) * 2009-03-20 2010-09-23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air-cooled condenser bundles
DE102009002076A1 (de) * 2009-04-01 2010-10-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pülbehälter, Vorrichtung zum Spülen eines Bauteils eines Wäschetrocknungsgeräts und Wäschetrocknungsgerät
DE102009002389A1 (de) * 2009-04-15 2010-10-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Filt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DE102009002540A1 (de) 2009-04-21 2010-10-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ilterbehältnis, Filtervorrichtung,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Filtern
CN102021806A (zh) * 2009-09-15 2011-04-2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烘干设备
IT1396209B1 (it) * 2009-10-20 2012-11-16 Candy Spa Macchina asciuga-biancheria dotata di un sistema di lavaggio del filtro dell'aria di asciugatura
DE102009046453A1 (de) 2009-11-06 2011-05-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lusenfilter für ein Wäschetrocknungsgerät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Flusenfilters
DE102009046683A1 (de) 2009-11-13 2011-05-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s eines Trockners, Trockner mit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Bauteils eines Trockners
DE102009047029A1 (de) 2009-11-24 2011-05-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gerät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Wasser in einem wasserführenden Hausgerät
ES2373135B1 (es) 2009-12-14 2012-12-13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doméstico que comprende un sistema de expansión.
DE102009055208A1 (de) 2009-12-22 2011-06-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81739 Filtervorrichtung, Hausgerät und Verfahren zum Filtern
DE102010002661A1 (de) * 2010-03-08 2011-09-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pülwasser, Haus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Spülwasser
DE102010028619A1 (de) 2010-05-05 2011-11-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ntil, Hau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ntils
DE102010029892A1 (de) 2010-06-09 2011-12-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integrierter Wärmetauscherreinigung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S20120005912A1 (en) * 2010-07-08 2012-01-12 Lee Yongju Clothes dryer
EP2418023A1 (de) * 2010-08-13 2012-02-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bschluss einer chemischen Kraftwerksreinigung
DE102010042513A1 (de) 2010-10-15 2012-04-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Pumpe für ein Hausgerät, Hausgerät mit einer Pump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geräts
CN103547728B (zh) 2011-03-29 2016-03-23 Lg电子株式会社 具有热交换器清洗装置的衣物处理装置
DE102012201186A1 (de) 2011-03-31 2012-10-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m Trocknen eines Gutes, umfassend eine Filteranordnung
SE537671C2 (sv) * 2011-08-15 2015-09-29 Asko Cylinda Ab Klädestorktumlare med mekanism för luddfilterrengöring
DE102011087202B3 (de) * 2011-11-28 2013-03-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ilter und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US8840996B2 (en) 2011-12-19 2014-09-2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es for making polyolefin nanocomposites
JP5942098B2 (ja) * 2011-12-20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および衣類乾燥機の蒸発器の洗浄方法
DE102011089112A1 (de) * 2011-12-20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Kondensatpump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ondensationstrockners
US20130255095A1 (en) 2012-03-27 2013-10-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lothes treatment appliance with condenser and cleaning device
US20130255094A1 (en) 2012-03-27 2013-10-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lothes treatment appliance with water container and a transfer pipe
EP2662486A1 (en) * 2012-05-08 2013-11-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US20130340797A1 (en) 2012-06-26 2013-1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Clothes treatment appliance with transfer pipe
EP2708639A1 (en) * 2012-09-14 2014-03-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appliance with a liquid guiding device
DE102012223433A1 (de) 2012-12-17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entnehmbarem Flüssigkeitsbehälter
US9562707B2 (en) 2013-03-14 2017-02-0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oling system having a secondary cooling loop
DE102013212338A1 (de) 2013-06-26 2014-12-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sammelbehälter-Anordnung für ein Trocknungsgerät
DE102013217468A1 (de) 2013-09-02 2015-03-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teilen einer Flüssigkeit in einem Haushaltsgerät
DE102013222926A1 (de) 2013-11-11 2015-05-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rmetauscheranordnung und Wäschetrockner
CN104674532B (zh) * 2013-11-26 2018-01-0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烘干设备和用于控制衣物烘干设备中冷凝器的方法
DE102014209733A1 (de) 2014-05-22 2015-11-26 BSH Hausgeräte GmbH Leitungs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DE102014223569A1 (de) 2014-11-19 2016-05-19 BSH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ung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äschetrocknungsgeräts
CN105625007B (zh) * 2014-12-01 2019-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蒸发器线屑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105714539B (zh) * 2014-12-05 2020-03-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衣物除皱方法及干衣机
CN110241586B (zh) * 2014-12-05 2020-12-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冷凝水收集、利用装置及收集、利用方法
DE102015200331A1 (de) * 2015-01-13 2016-07-14 BSH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m Wärmetauscher und einer Spüleinrichtung für diesen,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N104862936B (zh) * 2015-05-21 2017-12-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
DE102015216433A1 (de) * 2015-08-27 2017-03-0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Abreinigungseinrichtung für Wärmetauscher
DE102015223192A1 (de) 2015-11-24 2017-05-24 BSH Hausgeräte GmbH Betreiben eines Wäschetrocknungsgeräts mit einem Flusensieb und einer Flusenfalle
CN106884292A (zh) * 2015-12-15 2017-06-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高效洗干衣机及控制方法
DE102016200845A1 (de) 2016-01-21 2017-07-27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rockners mit einer Wärmepumpe und Spülung eines Wärmetauschers und hierfür geeigneter Trockner
CN107641947A (zh) * 2016-07-20 2018-01-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热泵换热系统、热泵洗干一体机或干衣机、自动清洗方法
US10087569B2 (en) 2016-08-10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aintenance free dryer having multiple self-cleaning lint filters
DE102016216695A1 (de) 2016-09-05 2018-03-08 BSH Hausgeräte GmbH Kondensatbehälter für eine Spül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püleinrichtung für eine Komponente eines Wäschetrockners
US10519591B2 (en) 2016-10-14 2019-12-31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washing/drying laundry appliance having a heat pump system with reversible condensing and evaporating heat exchangers
US10738411B2 (en) 2016-10-14 2020-08-11 Whirlpool Corporation Filterless air-handling system for a heat pump laundry appliance
CN106480683B (zh) * 2016-10-28 2019-03-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蒸发器组件和具有其的干衣机
US10502478B2 (en) 2016-12-20 2019-12-10 Whirlpool Corporation Heat rejection system for a condenser of a refrigerant loop within an appliance
US10544539B2 (en) 2017-02-27 2020-01-28 Whirlpool Corporation Heat exchanger filter for self lint cleaning system in dryer appliance
CN108801041B (zh) 2017-04-28 2020-07-1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蒸发器冲洗装置与方法及干衣机
US10514194B2 (en) 2017-06-01 2019-12-24 Whirlpool Corporation Multi-evaporator appliance having a multi-directional valve for delivering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s
US10718082B2 (en) 2017-08-11 2020-07-21 Whirlpool Corporation Acoustic heat exchanger treatment for a laundry appliance having a heat pump system
DE102017214719A1 (de) 2017-08-23 2019-02-28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in einem Hausgerät angeordneten Bauteils
CN109420633A (zh) * 2017-09-01 2019-03-05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干衣机冷凝器的清洁系统及干衣机
US11015281B2 (en) 2017-09-26 2021-05-2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having a maintenance free lint removal system
CN109663784A (zh) * 2017-10-13 2019-04-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上的冷凝器的清洗方法及洗干一体机
DE102018202385B4 (de) * 2018-02-16 2023-03-02 BSH Hausgeräte GmbH Gerät zum Trocknen von Wäsch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Geräts
CN108570837B (zh) * 2018-04-16 2021-04-23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可水洗换热器的热泵式干衣机
CN108755051B (zh) * 2018-06-15 2021-08-3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干衣机用冷凝水收集组件及热泵式干衣机
DE102018219364A1 (de) 2018-11-13 2020-05-14 BSH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verbesserter Spülung durch ein Fallrohr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N110592908A (zh) * 2019-10-08 2019-12-20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干衣机
KR20210100397A (ko) * 2020-02-06 2021-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8573A1 (en) * 1990-07-24 1992-01-29 Whirlpool Europe B.V. Device for cleaning an evaporator, in particular of lint in a clothes dryer
FR2711153A1 (fr) 1993-10-13 1995-04-21 Esswein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nettoyage du circuit de séchage d'une machine lavante-séchante ou séchante.
DE19943125A1 (de) * 1999-04-30 2000-11-02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Reinigen der Prozeßluftführung eines Haushaltwäschetrockners sowie ei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eingerichteter Haushaltwäschetrockner

Family Cites Families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92A (en) 1889-05-28 Sirup-faucet
US1526101A (en) 1923-03-26 1925-02-10 Archie M Sund Fluid dispenser
US1626969A (en) * 1926-02-06 1927-05-03 George G Reeves Outlet valve
US2578994A (en) 1948-11-19 1951-12-18 Thomas J Dunaway Metering device
US2742708A (en) 1952-07-12 1956-04-24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843943A (en) 1953-11-02 1958-07-22 Whirlpool Co Combined washer and drier
US2771228A (en) 1954-02-12 1956-11-20 Union Oil Co Constant rate liquid dispenser
US3083557A (en) 1961-04-19 1963-04-02 Maytag Co Fill and lint removal system in a combination washer-drier
US3103112A (en) 1961-10-04 1963-09-10 Borg Warner Fabric cleaning and drying machine
US3072129A (en) 1961-12-26 1963-01-08 Gen Electric Dishwashing apparatus
US3572553A (en) 1968-08-08 1971-03-30 Stanley D Ogden Conversion drinking water system
US3650281A (en) 1968-12-24 1972-03-21 Malsbary Mfg Co Automatic carwash apparatus
CH513633A (de) 1970-08-18 1971-10-15 Thomen Max Verfahren zum Reinig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Geschirr, mittels Ultraschall und Ultraschall-Geschirrspülmaschin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DE2256404C2 (de) 1972-11-17 1974-01-3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Wäschetrockner mit im Trockenluftstrom angeordneter Kondensationseinrichtung
FR2250503B2 (ko) 1973-03-15 1976-10-08 Calor Sa
US4069521A (en) 1975-12-29 1978-01-24 Augusto Cuevas Aleman System and means for using white waters in buildings
DE2702639A1 (de) 1977-01-22 1978-07-27 Alois Schneider Toilettenspuelkasten
DE2827811C3 (de) 1978-06-24 1981-11-19 Prontor-Werk Alfred Gauthier Gmbh, 7547 Wildbad Verfahren und photographische Kamera zur Durchführung von Blitzlichtaufnahmen unter Verwendung eines Elektronen-Blitzgeräts
DE2933513C2 (de) 1979-08-18 1985-08-08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Wäschetrockner mit Kondensationseinrichtung
US4345343A (en) 1980-09-02 1982-08-24 Shipman Matthew W Apparatus for the cleaning and sanitation of a restroom or lavoratory
DE3204396C2 (de) 1982-02-09 1983-12-08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Haushalt-Wäschetrockner mit einem oben angeordneten Kondensat-Sammelbehälter
DE3321245A1 (de) 1983-06-11 1984-12-13 Wilh. Cordes GmbH & Co Maschinenfabrik, 4740 Oelde Waeschetrockner mit einem evakuierbaren waeschebehaelter
US4891892A (en) 1983-12-15 1990-01-09 Narang Rajendra K Clothes dryer and laundry system
US4635824A (en) 1985-09-13 1987-01-13 The Coca-Cola Company Low-cost post-mix beverage dispenser and syrup supply system therefor
US4678892A (en) 1985-10-07 1987-07-07 Sioux Steam Cleaner Corporation Combination cleaner safety circuit
US4700492A (en) 1986-02-05 1987-10-20 Whirlpool Corporation Air actuated automatic lint screen cleaning system for dryer
US4653200A (en) 1986-03-05 1987-03-31 Whirlpool Corporation Lint screen shield assembly for a dryer
DE3738031C2 (de) 1987-11-09 1995-10-12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lusen aus einem als Wärmetauscher ausgebildeten Kondenswasser-Abscheider
EP0548063B1 (en) 1988-02-23 1997-06-18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Drum type washing apparatus
GB2238600B (en) 1989-11-30 1993-11-17 Fort Vale Eng Ltd Flow control valve
JPH03284295A (ja) 1990-03-30 1991-12-13 Toshiba Corp 洗濯機
FR2664625B1 (fr) 1990-07-10 1993-12-24 Ciapem Seche-linge a turbine.
DE4035225C2 (de) 1990-11-06 1994-07-07 Zanker Gmbh Kondensatsammelbehälter für einen Wäschetrockner
IT1250376B (it) * 1991-02-06 1995-04-07 Zanussi Elettrodomestici Procedimento per la pulizia del condensatore di asciugatura in una asciugabiancheria
FR2678960B1 (fr) * 1991-07-10 1993-10-29 Ardam Procede et dispositif d'elimination des depots de bourre dans le circuit de production d'air chaud des machines a laver et a secher le linge.
US5104165A (en) 1991-09-09 1992-04-14 The Hartwell Corporation Water tight cover for latch
US5148768A (en) 1991-10-18 1992-09-22 Hinton Michele D Pet house apparatus
ATE150812T1 (de) 1991-12-20 1997-04-15 Zank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aus der wäschetrommel eines wäschetrockners abgeführten luft
DE4212965A1 (de) * 1992-04-18 1993-10-21 Bauknecht Hausgeraete Kondenswäschetrockner
DE4303655A1 (de) 1993-02-09 1994-08-11 Miele & Cie Programmgesteuerter Waschtrockner
US5345947A (en) 1993-07-26 1994-09-13 Fisher David P Wrist and ankle secured restraining device
DE4333901C2 (de) 1993-10-05 1999-04-08 Bauknecht Hausgeraete Wäschetrockner
US5505593A (en) 1993-10-13 1996-04-09 Shurflo Pump Manufacturing Co. Reciprocable device with switching mechanism
DE19600489C2 (de) 1995-01-13 2003-04-03 Miele & Cie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IT1275910B1 (it) 1995-03-09 1997-10-24 Candy Spa Asciugabiancheria a condensazione con recupero di condensa in contenitore
IT1275877B1 (it) 1995-03-09 1997-10-24 Candy Spa Asciugabiancheria a condensazione con recupero di condensa in contenitore
IT1275878B1 (it) 1995-03-09 1997-10-24 Candy Spa Asciugabiancheria a condensazione con recupero di condensa in contenitore
DE19511344C2 (de) 1995-03-28 2003-04-17 Miele & Cie Programmgesteuerter Waschtrockner
DE19639331A1 (de) 1995-03-28 1998-03-26 Miele & Cie Programmgesteuerter Waschtrockner
US5719553A (en) 1996-05-29 1998-02-17 Transpec Inc. Sealed electrical actuator assembly for hinged vehicle safety devices
IT1284443B1 (it) 1996-06-26 1998-05-21 Candy Spa Macchina lavatrice di tipo domestico con circuito chiuso di asciugatura, condensazione ad aria del vapore e filtro autopulente
US5706588A (en) 1996-08-13 1998-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lint particles in a clothes dryer
DE19701225B4 (de) 1997-01-16 2004-04-22 AEG Hausgeräte GmbH Elektrischer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mit Mikroprozessorsteuerung sowie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Kondensatüberlaufes
EP0997377B1 (de) 1998-10-29 2003-09-17 Orgapack GmbH Umreifungsgerät
US6042028A (en) 1999-02-18 2000-03-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rect injection fuel injector spray nozzle and method
ATE247735T1 (de) 1999-04-30 2003-09-1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reinigen der prozessluftführung eines haushaltwäschetrockners sowie ei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eingerichteter haushaltwäschetrockner
DE19952751B4 (de) 1999-11-02 2009-0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er mit einem selbstreinigenden Flusenfilter
DE10002743B4 (de) 2000-01-22 2006-01-12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Wärmepumpen-Wäschetrockner mit Reinigungseinrichtung für den Wärmetauscher
DE10002742C1 (de) 2000-01-22 2001-06-28 Whirlpool Co Wärmepumpen-Wäschetrockner
KR20020031581A (ko) 2000-10-21 2002-05-02 이계안 에어컨 증발기의 자동 세척장치
WO2002058089A1 (en) 2001-01-19 2002-07-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stable actuation techniques, mechanisms, and applications
WO2002074684A1 (en) 2001-03-19 2002-09-26 Pepsico, Inc. Brewed iced tea or non-carbonated drink dispense with quiet operation
DE10118562A1 (de) 2001-04-14 2002-10-17 Wittenstein Ag 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Bauteile
DE10243898B4 (de) 2002-09-21 2006-03-16 Daimlerchrysler Ag Türanordnung bei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CN100451231C (zh) * 2003-04-11 2009-0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冷凝式衣类烘干机用冷凝器的结构
AU2004277943A1 (en) 2003-09-29 2005-04-14 Self Propell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ists, Llc Heat pump clothes dryer
US7597125B2 (en) 2003-09-30 2009-10-06 Levi Deaton Fresh dispense cleaning product
JP3898687B2 (ja) 2003-10-23 2007-03-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602004029438D1 (de) 2003-12-22 2010-11-18 Lg Electronics Inc Kondenswassersammelbehälter eines Trockners
DE102005014842B8 (de) 2004-10-19 2012-03-22 Lare Luft- und Kältetechnik Apparate und Regelsysteme GmbH Temperatur- und Druckausgleich von Wärmetauschern in Wäschetrocknern und ähnlichen Wärmepumpensystemen
KR100700793B1 (ko) 2004-12-1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US7312678B2 (en) 2005-01-05 2007-12-25 Norcada Inc. Micro-electromechanical relay
US7186058B2 (en) 2005-01-14 2007-03-06 Contech Stormwater Solutions Inc. Stormwater detention system and method
AU2005326238A1 (en) 2005-01-31 2006-08-03 Sumitomo(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Working machine of lifting magnet specifications
KR20060124982A (ko)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투입 구조
US20070113327A1 (en) 2005-11-23 2007-05-24 Denkewicz Raymond P Jr Toilet bowl odor eliminator
DE102005057155A1 (de) 2005-11-30 2007-05-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Umluftkühlung
DE102006006080B4 (de) 2006-02-09 2018-03-29 BSH Hausgeräte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Bauteil eines Haushaltswäschetrockners
DE102006018469A1 (de) 2006-04-19 2007-10-25 Lare Luft- und Kältetechnik Apparate und Regelsysteme GmbH Temperatur- und Druckausgleich von Wärmetauschern in Wäschetrocknern und ähnlichen Wärmepumpensystemen
US7213349B1 (en) 2006-08-01 2007-05-08 Brunner Richard A Heat recovery system for clothes dryer
US8252121B2 (en) 2006-11-30 2012-08-28 Premark Feg L.L.C. Drain system for a warewasher
DE102006061211A1 (de)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lusen aus einem Wärmetauscher eines Hausgeräts, sowie entsprechendes Hausgerät
EP1936022A1 (en) 2006-12-22 2008-06-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tumble dryer
DE102007016074A1 (de) 2007-04-03 2008-10-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7049060A1 (de) 2007-10-12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pülflüssigkeitseinrichtung in einem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und Spülflüssigkeitseinrichtung
DE102007049061A1 (de) 2007-10-12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7052835A1 (de)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8006347A1 (de) 2008-01-28 2009-07-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101481520B1 (ko) 2008-03-24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138627B1 (en) 2008-06-27 2016-08-10 BSH Hausgeräte GmbH Dryer comprising a heat sink and a condensate container
DE102008032800A1 (de) 2008-07-11 2010-01-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DE102009001548A1 (de) 2009-03-13 2010-09-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ungsgerät mit einem innerhalb eines Prozessluftkreislaufs angeordneten Flusensieb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Wäschetrocknungsgeräts
US8505123B2 (en) 2009-04-10 2013-08-13 Havilah Holdings (Thunder Bay) Corp. Ventilated toil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8573A1 (en) * 1990-07-24 1992-01-29 Whirlpool Europe B.V. Device for cleaning an evaporator, in particular of lint in a clothes dryer
FR2711153A1 (fr) 1993-10-13 1995-04-21 Esswein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nettoyage du circuit de séchage d'une machine lavante-séchante ou séchante.
DE19943125A1 (de) * 1999-04-30 2000-11-02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Reinigen der Prozeßluftführung eines Haushaltwäschetrockners sowie ei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eingerichteter Haushaltwäschetrock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18A1 (ko) * 2019-10-21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RU2789471C1 (ru) * 2019-10-21 2023-02-03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тирально-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управления
WO2021125771A1 (en) 2019-12-17 2021-06-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1182767A1 (ko) 2020-03-09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4870B1 (ko) 2022-12-14 2023-10-05 심혜옥 건조 대상물 건조를 위한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16074A1 (de) 2008-10-09
CN101652514A (zh) 2010-02-17
US20100101606A1 (en) 2010-04-29
WO2008119611A1 (de) 2008-10-09
EP2134896A1 (de) 2009-12-23
EA015220B1 (ru) 2011-06-30
ATE495298T1 (de) 2011-01-15
US10145056B2 (en) 2018-12-04
CN101652514B (zh) 2011-08-10
DE502008002293D1 (de) 2011-02-24
EA200970899A1 (ru) 2010-04-30
EP2134896B1 (de) 2011-01-12
KR20090123936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595B1 (ko)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또는 텀블 건조기
US201002430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component, particularly an evaporator of a condensing device, and washing or laundry dryer having such a device
CN101821443B (zh) 用于清洁构件、特别是冷凝装置的蒸发器的方法和装置以及具有这种装置的洗涤/烘干机或烘干机
US9885143B2 (en) Laundry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filter
CN101563495B (zh) 用于将棉绒从家用器具的热交换器去除的方法及相应的家用器具
US9512554B2 (en) Device for cleaning a component, in particular an evaporator of a condenser device
EP0816549B1 (en) Domestic washing machine having a closed drying circuit, air condensation of vapour and self cleaning filter
ITMI990304A1 (it) Macchina di lavaggio combinata
EP2935684B1 (en) Washer-dryer machine
KR20140109119A (ko) 세탁물 처리장치
US20150135446A1 (en) Washing machine
WO2009064144A2 (en) Fabric treating machine
CN103154587A (zh) 阀、家用器具和用于操作阀的方法
SI25814A (sl) Kondenzacijski sušilni stroj
JP2014014476A (ja) 衣類乾燥機
JP7403113B2 (ja) 洗濯乾燥機
JP2003117283A (ja) 洗濯乾燥機
CN102057099A (zh) 用于清洁烘干机的热交换器的方法
EP0463576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he condensation of humidity in laundry washers
JP2020018714A (ja) 洗濯乾燥機
WO2005054563A1 (en) A washer/dryer with a condenser and a lint collection propeller
JPH11347281A (ja) 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572776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0662567B1 (ko) 세탁기
JP2021177865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