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397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397A
KR20210100397A KR1020200014322A KR20200014322A KR20210100397A KR 20210100397 A KR20210100397 A KR 20210100397A KR 1020200014322 A KR1020200014322 A KR 1020200014322A KR 20200014322 A KR20200014322 A KR 20200014322A KR 20210100397 A KR20210100397 A KR 2021010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servoir
washing
line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397A/ko
Priority to EP20917341.8A priority patent/EP4101969A4/en
Priority to CN202080093979.5A priority patent/CN114981497A/zh
Priority to US17/789,630 priority patent/US20230035979A1/en
Priority to PCT/KR2020/018604 priority patent/WO2021157853A1/ko
Publication of KR2021010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Abstract

사물 인터넷을 위해 연결된 5G 환경에서 사용되는 건조기 및 그 작동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가열장치, 입구가 가열장치와 연결되는 텀블, 텀블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팬(fan), 팬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라인 상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입구는 팬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출구는 열교환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열교환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제1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DRYER}
실시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물 등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기가 사용된다. 건조기는 건조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얻는 방식에 따라, 가스 방식, 전열기 방식, 열펌프 방식 등이 있다.
가스 방식은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건조 대상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다. 가스 방식 건조기는 외부로부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장치가 대형화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전열기 방식은 전열기를 사용하여 얻은 열로 건조 대상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다. 전열기 방식 건조기는 건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열기 방식 건조기는 값비싼 에너지원인 전기를 사용하므로, 비용 및 에너지효율의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열펌프 방식 건조기는 압축기를 사용하여 저온의 열저장조(thermal reservoir)에서 고온의 열저장조로 열을 이동시켜 얻은 열로 건조 대상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다.
열펌프 방식은 압축기를 사용하여 열을 얻을 수 있고, 압축기의 작동에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를 열로 변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기 방식과는 달리, 열펌프 방식은 저온의 열저장조에 있던 열을 고온의 열저장조로 모아서 열을 얻는 것이므로, 전열기 방식에 비해 소비전력이 적은 장점이 있다.
소비전력이 적은 장점을 가지는 열펌프 방식의 건조기에 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실시예에서는 건조기의 각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향상된 성능과 수명을 구현한 건조기를 제안한다.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의 순환라인 및 순환라인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기를 제안한다.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기를 제안한다.
실시예에서는 압축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기를 제안한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가열장치, 입구가 가열장치와 연결되는 텀블, 텀블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팬(fan), 팬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라인 상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입구는 팬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출구는 열교환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열교환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제1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척부는, 입구가 열교환기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1레저버, 및 출구가 열교환기 입구와 연결되는 제1펌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세척부는, 제1레저버와 제1펌프를 연결하는 제1세척라인을 더 포함하고, 제1세척라인은, 일단이 제1레저버와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비순환라인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1세척라인과 비순환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삼방향 밸브(3way valve)로 구비되는 제1밸브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레저버는, 제1세척라인이 연결되는 출구에 제1필터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비순환라인은 열교환기와 제1레저버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열교환기와 제1레저버를 연결하는 비순환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출라인, 및 배출라인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2레저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비순환라인과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삼방향 밸브로 구비되는 제2밸브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열교환기 세척모드에서, 제1레저버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작동유체는 제1필터, 펌프, 제1밸브, 열교환기 및 제2밸브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비순환라인의 말단에 배치되고,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제2레저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열교환기 세척모드에서, 제1레저버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세척액은 제1레저버로부터 배출되고, 제1펌프, 제1밸브, 열교환기 및 제2레저버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것일 수 있다.
제1레저버는 출구에 제1필터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제2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세척부는, 입구가 제1레저버와 연결되고 출구가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2세척라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비순환라인은 순환라인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세척라인은, 제1레저버의 출구를 지난 지점에서 제1세척라인과 연결되고, 순환라인과 압축기 사이의 지점에서 비순환라인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비순환라인과 제2세척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3밸브가 배치되고, 제1세척라인과 제2세척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4밸브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3밸브 및 제4밸브는 삼방향 밸브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제2세척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2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압축기 세척모드에서, 제1레저버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작동유체는 제1레저버로부터 배출되고, 제4밸브, 제2펌프, 제3밸브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텀블은, 팬과 연결되는 출구에 제2필터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텀블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은 제2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따라서, 순환라인과 비순환라인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유동하여 건조기의 각 구성요소 내부에 쌓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제1세척부를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내부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이물질로 인한 열교환기의 성능저하, 고장, 수명단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기는 상기 압축기를 제2세척부를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압축기의 내부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이물질로 인한 압축기의 성능저하, 고장, 수명단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예를 들어, 세탁이 완료된 후 건조되지 않은 세탁물을 건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세탁과는 관계없이 물에 젖은 의류 등을 건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건조 대상물은 건조기에 구비되는 텀블(100)(tumble)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텀블(100)은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텀블(100)의 입구에 가열된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텀블(10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은 가열된 작동유체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건조기에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10)는 하기에 설명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를 통해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인터페이스(10)는 디스플레이, 정전식 터치 방식의 버튼, 물리버튼, 다이얼, 건조기가 음성을 발화하는 스피커,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음성 등으로 건조기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손으로 버튼, 다이얼 등을 조작하여, 건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건조기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transceiver)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서버, 사용자 단말, 기타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이동통신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건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건조기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각종의 통신가능한 단말과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특히 건조기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및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로,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무선데이터 액세스 등이 제공된다.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핫스팟 (hot spot)과 광대역 커버리지 등 보다 향상된 모바일 서비스가 eMBB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핫스팟을 통해 사용자 이동성이 작고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대용량 트래픽이 수용될 수 있다. 광대역 커버리지를 통해 넓고 안정적인 무선 환경과 사용자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서비스는 데이터 송수신의 신뢰성과 전송 지연 측면에서 기존 LTE 보다 훨씬 엄격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으며, 산업 현장의 생산 프로세스 자동화, 원격 진료, 원격 수술, 운송, 안전 등을 위한 5G 서비스가 여기에 해당한다.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는 비교적 작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전송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이다. 센서 등과 같이 일반 휴대폰 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무선액세스 네트워크에 mMTC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통신모듈 가격은 저렴해야 하고, 배터리 교체나 재충전 없이 수년 동안 동작할 수 있도록 향상된 전력 효율 및 전력 절감 기술이 요구된다.
실시예의 건조기는 텀블(10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에 열을 가하기 위해 열역학적 사이클(thermodynamic cycle)을 구성할 수 있다.
건조기의 열역학적 사이클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작동유체(working fluid)는 공기와 기체상태의 물 즉, 스팀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작동유체에서 공기와 스팀의 비율은 건조기 각 구성요소를 순환하면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체에는 액체상태의 물이 일시적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건조기에는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유동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라인은 하기에 설명하는 건조기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동라인은 예를 들어, 배관, 호스, 덕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건조기에서 작동유체의 유동라인은 순환라인(21) 및 비순환라인(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순환라인(21)은 가열장치(500), 텀블(100), 팬(200)(fan), 열교환기(300)를 서로 연결하는 라인이고, 작동유체는 순환라인(21)을 따라 순환할 수 있다. 팬(200)은 작동유체를 불어서 작동유체가 순환라인(21)을 따라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비순환라인(23)은 열교환기(300) 이전의 순환라인(21)에서 분기되어 압축기(400)와 연결되고, 압축기(400), 열교환기(300) 및 레저버(reservoir)를 연결할 수 있다. 비순환라인(23)을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압축기(400)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열교환기(300)를 통과할 수 있다.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 중 일부는 상기 순환라인(21)으로부터 분기되는 비순환라인(23)에 유입될 수 있다. 비순환라인(23)에 유입된 작동유체는 압축기(400)에서 가압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여 가열될 수 있다.
압축기(400)로부터 배출되는 가열된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는, 열교환기(300)로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인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와 열교환을 하고, 열교환기(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가열장치(500), 텀블(100), 팬(200), 열교환기(300) 및 압축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텀블(100)은 입구가 상기 가열장치(500)와 연결될 수 있다. 텀블(100)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가열장치(500)는 순환라인(21) 상에 텀블(100)과 열교환기(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500)는 예를 들어, 전열기(electric heater)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열장치(500)는 예를 들어, 순환라인(21)을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초기가열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가열이 완료되면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초기가열이 완료된 후에도, 가열장치(500)는 언제든지 다시 작동하여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건조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건조작업 초기에는 건조 대상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필요가 있다. 압축기(400)가 작동하면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가 가열되어 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을 통해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가 가열될 수 있다.
하지만, 건조 대상물을 더욱 신속하게 가열하여 건조 대상물에 함유된 물을 신속하게 증발시키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가열장치(500)를 사용하여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를 더욱 가열할 수 있다.
팬(200)은 상기 텀블(100)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200)과 텀블(100)은 작동유체의 순환라인(21)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팬(200)은 텀블(100)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순환라인(21)을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상기 팬(200)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300)는 팬(200)과 텀블(100)을 연결하는 작동유체의 순환라인(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00)는 압축기(400)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비순환라인(23)이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와 압축기(400)에 의해 압축되어 상대적으로 고온인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기(300)에서 서로 열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초기가열 시, 가열장치(500)에 의해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는 더욱 가열되어, 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열교환기(300)를 거쳐 가열된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는 다시 텀블(100)로 유입되어, 텀블(100)의 건조 대상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열교환기(300)를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수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600)는 덕트로 구비되고, 상기 순환라인(2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용부(600)는 단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와 열교환기(300)의 표면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와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수용부(600)의 단면적은 건조기 전체의 크기, 수용부(600)가 구비되는 공간의 크기, 열교환기(3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600)는 상기 팬(200)의 출구와 연결되는 유동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가열장치(500)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동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400)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동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600)는 작동유체의 순환라인(21)과 비순환라인(23)이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예를 들어,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와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가 서로 혼합되는 개방형(open type), 각 작동유체가 서로 분리되는 폐쇄형(closed type)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예를 들어, 폐쇄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폐쇄형 열교환기(300)를 사용하는 경우, 작동유체의 비순환라인(23)은 상기 수용부(600)에 배치되는 열교환기(300)에 직접 연결되고, 비순환라인(23)의 작동유체는 수용부(600)에서 순환라인(21)의 작동유체와 혼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압축기(400)는 입구는 상기 팬(200)의 출구와 연결되는 유동라인과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열교환기(300)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400)는 입구는 상기 팬(200)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순환라인(21)과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열교환기(300)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400)는 작동유체의 비순환라인(23)과 연결되고, 순환라인(21)을 유동하는 작동유체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비순환라인(23)으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압축기(400)에서 가압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여 열교환기(300)로 유입될 수 있다.
압축기(400)의 종류는 예를 들어, 왕복동형(reciprocating type), 로터리형(rotary type), 스크류형(screw type), 스크롤형(scroll type), 원심형(centrifugal type), 축류형(axial type) 등 다양하다. 크기, 구체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압축기(400)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레저버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저버는 열교환기(300)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400)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는,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함유된 스팀의 적어도 일부가 응축되어 액체 상태의 물 즉, 응축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레저버는 상기 열교환기(300)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는 상기 가열장치(500), 상기 팬(200), 상기 압축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타 전기적 제어가 필요한 건조기의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건조기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동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가열장치(500)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팬(20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압축기(40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 통신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알림을 전송하거나, 서버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압축기(400)로부터 유입되는 비교적 고온의 작동유체가 폐쇄된 좁은 배관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팬(200)으로부터 유입되어 수용부(600)를 통과하는 비교적 저온의 작동유체가 상기 배관의 외부 표면을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배관 내부를 통과하는 비교적 고온의 작동유체로부터 상기 배관의 외부 표면을 접촉하고 수용부(600)를 통과하는 비교적 저온의 작동유체로의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건조기가 작동하는 경우, 텀블(10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로부터 떨어져 나온 린트(lint,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작동유체에 함유되어 순환라인(21) 및 비순환 라인을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건조기의 각 부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좁은 유로의 배관과 복잡한 구조를 가진 압축기(400) 또는 열교환기(300) 내부에 상기 이물질이 쌓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축기(400) 또는 열교환기(300) 내부의 배관이 막히거나, 이들을 구성하는 부품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로 인해 압축기(400), 열교환기(300)를 비롯한 건조기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이 방해받아 건조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건조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건조 대상물로부터 떨어져 나온 상기 이물질이 순환라인(21) 및 비순환라인(23)을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질이 내부에 쉽게 쌓이는 열교환기(300) 또는 압축기(400) 내부를 세척하여, 내부에 쌓인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텀블(100)은 상기 팬(200)과 연결되는 출구에 제2필터(1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필터(110)는 텀블(100)의 출구에 설치되고, 따라서 팬(200)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2필터(110)를 통과하여 텀블(1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필터(110)를 통과하면서 린트 등의 이물질은 걸러지고, 이물질이 없거나 매우 적게 함유된 작동유체가 텀블(100)로부터 배출되어 순환라인(21)과 비순환라인(23)을 유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텀블(100)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은 제2필터(1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따라서, 순환라인(21)과 비순환라인(23)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유동하여 건조기의 각 구성요소 내부에 쌓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건조기는 열교환기(300) 내부를 세척하여, 열교환기(300) 내부에 쌓인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제1세척부를 구비할 수 있다.
건조기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작업모드, 제1세척부를 사용하여 열교환기(300)를 세척하는 열교환기(300) 세척모드 및 제2세척부를 사용하여 압축기(400)를 세척하는 압축기(400) 세척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다만,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건조기는 실시예에 따라 건조작업모드와 열교환기(300) 세척모드 만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건조작업모드, 열교환기(300) 세척모드 및 압축기(400) 세척모드를 모두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열교환기(300) 세척모드 또는 압축기(400) 세척모드는 건조작업모드가 완료된 후 진행될 수 있다. 만약, 건조기에서 복수의 건조작업모드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열교환기(300) 세척모드 또는 압축기(400) 세척모드는 하나의 건조작업모드가 완료된 후 진행될 수 있고, 상기 열교환기(300) 세척모드 또는 압축기(400) 세척모드가 완료된 후 다시 다른 건조작업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와 압축기(400) 세척모드를 모두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기의 경우,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와 압축기(400) 세척모드는 서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와 압축기(400) 세척모드는 순서와 상관없이 어느 것을 먼저 진행하고, 다음에 나머지를 진행하면 된다.
제1세척부는 상기 열교환기(300)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제1레저버(710), 제1펌프(720) 및 제1세척라인(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척라인(22)은 일단이 상기 제1레저버(7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300)와 연결되므로, 제1세척라인(22)을 통해 세척액이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30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1레저버(7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세척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레저버(710)는 입구가 상기 열교환기(300)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레저버(710)의 입구는 열교환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00)로부터 제1레저버(710)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응축수로 상기 제1레저버(710)에 저장될 수 있고, 제1레저버(7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제1세척라인(22)을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열교환기(300)를 세척할 수 있다.
제1펌프(720)는 출구가 상기 열교환기(300) 입구와 연결되고, 입구는 상기 제1레저버(7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펌프(720)는 제1세척라인(22) 상에 배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1세척라인(22)은 상기 제1레저버(710)와 상기 제1펌프(72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세척라인(22)은 일단이 상기 제1레저버(7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축기(400)와 상기 열교환기(300)를 연결하는 비순환라인(2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세척라인(22)은 일단이 제1레저버(7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비순환라인(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720)는 제1세척라인(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세척라인(22)과 상기 비순환라인(23)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삼방향 밸브(3way valve)로 구비되는 제1밸브(8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밸브(81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1밸브(810)는 건조작업모드에서는 작업유체가 압축기(400)로부터 열교환기(300)로 유동하도록 하고,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에서는 세척액이 제1레저버(710)로부터 제1펌프(720)를 통과하여 열교환기(300)로 유동하도록 작업유체와 세척액의 유로(flow path)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순환라인(23)은 상기 열교환기(300)와 상기 제1레저버(71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배출라인(24) 및 제2레저버(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라인(24)은 상기 열교환기(300)와 상기 제1레저버(710)를 연결하는 상기 비순환라인(23)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제2레저버(730)는 상기 배출라인(24)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순환라인(23)과 상기 배출라인(24)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삼방향 밸브로 구비되는 제2밸브(8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밸브(820)는 열교환기(300)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유로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유체를 필요에 따라 제1레저버(710)로 보내거나, 또는 제2레저버(730)로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저버(710)에 세척액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밸브(820)는 제2레저버(730)측 출구를 폐쇄하여 작동유체가 열교환기(300)로부터 제1레저버(710)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레저버(710)에 세척액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어서 세척액의 공급이 필요없는 경우, 제2밸브(820)는 제1레저버(710)측 출구를 폐쇄하여 작동유체가 열교환기(300)로부터 제2레저버(73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기는 상기 열교환기(300)를 제1세척부를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열교환기(300)의 내부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이물질로 인한 열교환기(300)의 성능저하, 고장, 수명단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레저버(710)는 상기 제1세척라인(22)이 연결되는 출구에 제1필터(7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300)로부터 배출되어 제1레저버(710)에 수용된 응축수를 세척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레저버(710)의 응축수에는 린트 등의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제1필터(711)를 구비하여 제1세척라인(22)으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711)는 응축수를 통과시키고 린트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3에 은선(hidden line)으로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면,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에서, 상기 제1레저버(710)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작동유체 즉, 세척액은 상기 제1필터(711), 상기 제1펌프(720), 상기 제1밸브(810), 상기 열교환기(300) 및 상기 제2밸브(82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300)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820)로 유입된 세척액은 제2밸브(820)의 작동에 따라 제1레저버(710) 또는 제2레저버(730)로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1펌프(720)의 작동이 중단되고, 제1밸브(810)는 제1세척라인(22)측 출구를 폐쇄하고 비순환라인(23)을 개방함으로써, 건조기는 다시 건조작업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조기는 상기 비순환라인(23)의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300)와 연결되는 제2레저버(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건조기의 제1세척부는 도 3에 도시된 제1세척부와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건조기는, 도 3에 도시된 건조기와 비교하여, 제2밸브(820)가 없으며, 제1레저버(710)와 제2레저버(730)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제1레저버(710)에는 필터가 구비되지 않는다.
세척액은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제1레저버(710)로 유입되고, 제1레저버(710)로부터 배출되어 제1세척라인(22)을 통과한 세척액은 제2레저버(730)로 배출되고 다시 제1세척라인(22)을 순환하지는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제1세척부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제1세척부로 별도의 깨끗한 세척액을 넣어줄 수 있다.
도 4에 은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면,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에서, 상기 제1레저버(710)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세척액은 상기 제1레저버(710)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1펌프(720), 상기 제1밸브(810), 상기 열교환기(300) 및 상기 제2레저버(73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300)를 세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세척부는 열교환기(300)를 통과하여 제1레저버(710)로 유입된 응축수를 세척액으로 사용하므로, 제1레저버(710)에 제1필터(711)가 구비되더라도, 이러한 세척액에는 린트 등의 이물질이 함유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제1세척부는 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별도의 깨끗한 세척액을 사용하여 열교환기(300)를 세척하므로, 도 3에 도시된 제1세척부와 비교하여, 열교환기(300) 내부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제1세척부는 비순환라인(23)을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세척액으로 사용하지 않고, 한번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세척액은 다시 제1세척라인(22)을 반복하여 순환하지 않으므로 비용의 측면에서, 도 3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소 불리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건조기는 열교환기(300)를 세척하는 제1세척부와 압축기(400)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400) 세척모드에서는 제1레저버(710)에 수용된 응축수를 압축기(400)로 유입하여 상기 압축기(400) 내부에 존재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건조기는 도 3에 도시된 건조기에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레저버(710)는 출구에 제1필터(7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711)의 구조와 역할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건조기는 상기 압축기(400)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제2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세척부는 입구가 상기 제1레저버(710)와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압축기(400)와 연결되는 제2세척라인(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세척라인(25)은 상기 제1레저버(710)의 출구를 지난 지점에서 상기 제1세척라인(2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순환라인(23)은 상기 순환라인(21)과 상기 압축기(400)를 연결하는데, 제2세척라인(25)은 상기 순환라인(21)과 상기 압축기(400) 사이의 지점에서 상기 비순환라인(2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순환라인(23)과 상기 제2세척라인(25)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3밸브(8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세척라인(22)과 상기 제2세척라인(25)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4밸브(8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밸브(830) 및 상기 제4밸브(840)는 삼방향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제3밸브(830) 및 제4밸브(840)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건조작업모드에서, 제3밸브(830)는 제2세척라인(25) 쪽을 폐쇄하고, 제1밸브(810)는 제1세척라인(22) 쪽을 폐쇄하여, 압축기(400)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비순환라인(23)을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300) 세척모드에서, 제4밸브(840)는 제2세척라인(25) 쪽을 폐쇄하고, 제1밸브(810)는 압축기(400) 쪽을 폐쇄하여, 제1레저버(710)로부터 배출된 세척액은 제1세척라인(22)을 유동하여 열교환기(300)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400) 세척모드에서, 제4밸브(840)는 제1세척라인(22) 쪽을 폐쇄하고, 제3밸브(830)는 수용부(600) 쪽을 폐쇄하고, 제1밸브(810)는 제1세척라인(22) 쪽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레저버(710)로부터 배출된 세척액은 제1세척라인(22) 및 비순환라인(23)을 유동하여, 압축기(40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건조기는 상기 제2세척라인(25) 상에 배치되는 제2펌프(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펌프(74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2펌프(740)는 압축기(400) 세척모드에서 작동하여, 제1레저버(710)에 수용된 세척액을 제2세척라인(25) 및 비순환라인(23)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다만, 압축기(400) 세척모드에서 압축기(4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압축기(400)의 작동에 의해 세척액을 유동시킬 수 있는 경우라면, 제2펌프(74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압축기(400) 세척모드에서, 상기 제1레저버(710)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작동유체 즉, 세척액은 상기 제1레저버(710)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4밸브(840), 상기 제2펌프(740), 상기 제3밸브(83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압축기(40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압축기(400) 세척모드에서, 세척액은 도 5에 은선 화살표로 도시된 제2세척라인(25)을 유동할 수 있다.
압축기(400)를 통과한 세척액은 비순환라인(23)을 유동하고, 열교환기(300)를 통과하여 제1레저버(710) 또는 제2레저버(7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밸브(820)는 열교환기(30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액의 유로를 제어하여, 상기 세척액을 필요에 따라 제1레저버(710)로 보내거나, 또는 제2레저버(730)로 보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300)의 세척과 압축기(400)의 세척은 순서에 상관없이 진행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300)를 먼저 세척하고 압축기(400)를 나중에 세척하거나, 그 반대의 순서로 진행하거나 모두 가능하다.
다만, 압축기(400)로부터 제거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다시 열교환기(300) 내부에 쌓일 우려가 있으므로, 압축기(400)를 먼저 세척하고 다음으로 열교환기(300)를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기는 상기 압축기(400)를 제2세척부를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압축기(400)의 내부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이물질로 인한 압축기(400)의 성능저하, 고장, 수명단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사용자인터페이스 21: 순환라인
22: 제1세척라인 23: 비순환라인
24: 배출라인 25: 제2세척라인
100: 텀블 110: 제2필터
200: 팬 300: 열교환기
400: 압축기 500: 가열장치
600: 수용부 710: 제1레저버
711: 제1필터 720: 제1펌프
730: 제2레저버 740: 제2펌프
810: 제1밸브 820: 제2밸브
830: 제3밸브 840: 제4밸브

Claims (17)

  1. 가열장치;
    입구가 상기 가열장치와 연결되는 텀블;
    상기 텀블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팬(fan);
    상기 팬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라인 상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입구는 상기 팬의 출구와 연결되는 작동유체의 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제1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부는,
    입구가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1레저버; 및
    출구가 상기 열교환기 입구와 연결되는 제1펌프
    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제1레저버와 상기 제1펌프를 연결하는 제1세척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1레저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비순환라인에 연결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라인과 상기 비순환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삼방향 밸브(3way valve)로 구비되는 제1밸브가 배치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저버는,
    상기 제1세척라인이 연결되는 출구에 제1필터가 구비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순환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제1레저버를 연결하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제1레저버를 연결하는 상기 비순환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출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2레저버
    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순환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삼방향 밸브로 구비되는 제2밸브가 배치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열교환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제1레저버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필터, 상기 펌프, 상기 제1밸브,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제2밸브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건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순환라인의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제2레저버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열교환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제1레저버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세척액은 상기 제1레저버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1펌프, 상기 제1밸브,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제2레저버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건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저버는 출구에 제1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제2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입구가 상기 제1레저버와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2세척라인을 포함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순환라인은 상기 순환라인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세척라인은,
    상기 제1레저버의 출구를 지난 지점에서 상기 제1세척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라인과 상기 압축기 사이의 지점에서 상기 비순환라인과 연결되는,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순환라인과 상기 제2세척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3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제1세척라인과 상기 제2세척라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4밸브가 배치되는,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는 삼방향 밸브로 구비되는, 건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2펌프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압축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제1레저버에 액체상태로 저장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레저버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4밸브, 상기 제2펌프, 상기 제3밸브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건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은,
    상기 팬과 연결되는 출구에 제2필터가 구비되는, 건조기.
KR1020200014322A 2020-02-06 2020-02-06 건조기 KR20210100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22A KR20210100397A (ko) 2020-02-06 2020-02-06 건조기
EP20917341.8A EP4101969A4 (en) 2020-02-06 2020-12-17 DRYER
CN202080093979.5A CN114981497A (zh) 2020-02-06 2020-12-17 烘干机
US17/789,630 US20230035979A1 (en) 2020-02-06 2020-12-17 Dryer
PCT/KR2020/018604 WO2021157853A1 (ko) 2020-02-06 2020-12-17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22A KR20210100397A (ko) 2020-02-06 2020-02-06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97A true KR20210100397A (ko) 2021-08-17

Family

ID=7720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322A KR20210100397A (ko) 2020-02-06 2020-02-06 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35979A1 (ko)
EP (1) EP4101969A4 (ko)
KR (1) KR20210100397A (ko)
CN (1) CN114981497A (ko)
WO (1) WO20211578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6074A1 (de) * 2007-04-03 2008-10-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1199394B1 (ko) * 2010-05-07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120005266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120110495A (ko) * 2011-03-29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CN202390689U (zh) * 2011-12-14 2012-08-2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低温节能衣物烘干装置
JP5994453B2 (ja) * 2012-07-24 2016-09-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乾燥装置
US10151060B2 (en) * 2015-11-24 2018-12-11 Water-Gen Ltd Steam compression dryer
DE102016200845A1 (de) * 2016-01-21 2017-07-27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rockners mit einer Wärmepumpe und Spülung eines Wärmetauschers und hierfür geeigneter Trockner
KR20190127037A (ko) * 2018-05-03 2019-11-13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 방식의 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5979A1 (en) 2023-02-02
EP4101969A1 (en) 2022-12-14
EP4101969A4 (en) 2024-01-24
CN114981497A (zh) 2022-08-30
WO2021157853A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6611B (zh) 一种具有室内温度调节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02386430B (zh) 能够低温保存和低温启动的质子交换膜燃料电池系统
CN102587074A (zh) 一种热泵复用式洗衣干衣机
KR20210100397A (ko) 건조기
CN108252784B (zh) 燃气热电联产系统
CN107676858B (zh) 供热系统
CN107523960B (zh) 一种洗衣干衣一体机及其控制方法
US20230026828A1 (en) Dry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30340716A1 (en) Dry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10100386A (ko) 건조기
KR20210100394A (ko) 건조기
KR20210081670A (ko) 건조기 작동방법
KR10186223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냉난방 제습기
CN210241988U (zh) 一种低温空气源热泵的热水加热装置
CN216090379U (zh) 洗涤电器
EP4083304A1 (en) Dryer operating method
CN110306330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板冷却方法
CN202390690U (zh) 一种低温节能衣物烘干装置
EP4145062A1 (en) Heat pump system with improved compressor cooling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heat pump system
CN211582994U (zh) 一种洗碗机
CN218820624U (zh) 用于提供生活热水与烘干的二氧化碳热泵系统
CN117652968A (zh) 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
CN215289384U (zh) 衣物处理设备
JP2012130478A (ja) 衣類乾燥機
JP5427631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