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960B1 -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 - Google Patents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960B1
KR101375960B1 KR1020070101546A KR20070101546A KR101375960B1 KR 101375960 B1 KR101375960 B1 KR 101375960B1 KR 1020070101546 A KR1020070101546 A KR 1020070101546A KR 20070101546 A KR20070101546 A KR 20070101546A KR 101375960 B1 KR101375960 B1 KR 10137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load
webbing
rotating memb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858A (ko
Inventor
카즈히코 아이하라
테루히코 코이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7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웨빙 리트렉터(webbing retractor)에서, 프리텐셔너 메커니즘(pretensioner mechanism)의 작동으로 인하여, 스토퍼 와이어(stopper wire)가 움직이고, 제2로크 베이스(lock base)의 제2잠금폴(lock pawl)은 상기 로크링(lock ring)의 내부 라쳇(inner ratchet)과 맞물린다. 이처럼, 비틀림축(torsion shaft)에 의한 한계 부하는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프리텐셔너 메커니즘의 작동 바로 후, 상기 비틀림축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으며, 상기 한계 부하는 초기 단계에서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Figure R1020070101546
웨빙 리트렉터, 프리텐셔너 메커니즘, 한계부하

Description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Webbing retractor, method of controlling webbing retractor,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시, 힘 제한 기구가 웨빙으로부터 차량의 탑승자에게 적용하는 부하를 한계부하로 제한하는 웨빙 리트렉터, 상기 웨빙 리트렉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웨빙 리트렉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웨빙 리트렉터 중에는 힘 제한 장치(힘 제한 기구)가 벨트(웨빙)로부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부하를 한계 부하로 제한하는 것들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 2003-502204)
이러한 웨빙 리트렉터에 있어서, 스위칭 장치는 상기 힘 제한 장치에 의해 상기 한계 부하를 고레벨에서 저레벨로 스위치한다.
상기 웨빙 리트렉터는, 특히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이 클 경우, 상기 힘 제한 장치에 의한 상기 한계부하가 초기 단계에서 고레벨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힘 제한 장치에 의한 한계부하를 초기 단계에서 고레벨로 만들 수 있는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및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first aspect)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는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웨빙(webbing)이 감기며, 권취(take-up)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감기고, 인출(pull-out)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권취축; 차량의 비상시, 작동됨으로써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mechanism);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인출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하고,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부하를 한계 부하(limit load)로 제한하며,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할 수 있는 힘 제한(force limiter) 기구;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set) 제1스위칭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상기 저부하 및 상기 고부하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권취축이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웨빙은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권취축이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웨빙은 풀린다.
상기 차량의 비상시 작동하는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로 인해, 상기 권취축은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웨빙은 감기게 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상기 차량 탑승자를 잡고 있는 힘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힘 제한 기구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부하는 상기 한계 부하로 제한된다.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한계 부하는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로 인해,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작동된다. 이처럼,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상기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초기 단계에서 상기 고부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second aspect) 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1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2스위칭 컴 포넌트는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초기 단계에서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1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트는 상기 권취축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회전으로 상기 권취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구동 부재로 인해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권취축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프리텐셔서 기구의 회전으로 상기 권취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구동부재로 인해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초기단계에서 상기 고부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른 웨빙 리트렉트는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웨빙이 감기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감기고, 인출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권취축; 차량의 비상시, 작동됨으로써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 기구;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인출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하고,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부하를 한계 부하로 제한하며, 상기 한계부하를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할 수 있는 힘 제한 기구; 및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저부하에서 상기 고부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컴포넌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4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권취축이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웨빙은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권취축이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웨빙은 풀린다.
상기 차량의 비상시 작동하는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로 인해, 상기 권취축은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웨빙은 감기게 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상기 차량 탑승자를 잡고 있는 힘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힘 제한 기구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부하는 상기 한계 부하로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한계 부하는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저부하에서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초기 단계에서 상기 고부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4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는 상기 권취축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회전으로 상기 권취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구동부재로 인해, 상기 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저부하에서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5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권취축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프리텐셔서 기구의 회전으로 상기 권취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구동부재로 인해 상기 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저부하에서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힘 제한 기구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초기 단계에서 상기 고부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빙 리트렉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웨빙이 감기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감기고,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권취축; 차량의 비상시, 작동됨으로써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하고,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부하를 한계부하로 제한하며, 상기 한계부하를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할 수 있는 힘 제한 기구를 구비하는 웨빙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프리텐셔서 기구의 작동에 의해 제1스위칭 컴포넌트를 스위칭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를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제2스위칭 컴포넌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상기 저부하 및 상기 고부하로 스위칭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측면 혹은 제4측면에 따른 상기 웨빙리트렉터가 장착된 차량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예의 특징적인 작용 및 효과들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제1측면 및 제2측면을 비교함으로써 설명한다. 그러므로, 우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의 각각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측면의 구조)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10)의 구조의 개요는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리트렉터(10)는 프레임(12)을 구비한다. 프레임(12)은 차량 몸체에 고정되는 판상 후면판(14)을 구비한다. 다리판(16)은 실질적으로 상기 후면판(14)과 직교하며 상기 후면판(14)의 횡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다리판(18)은 상기 다리판(16)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후면판(14)의 다른 횡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프레임(12)은 평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오목형상을 갖게 된다.
권취축을 겸하는 스풀(20)은 상기 다리판들(16, 18) 사이에 개재한다. 상기 스풀(20)의 축방향은 상기 각 다리판들(16, 18)의 대향 방향으로 이어진다. 세장형(elongated) 스트립(strip) 모양으로 웨빙을 겸하는 웨빙 벨트(22)(시트 벨트)의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는 상기 스풀(20)의 축방향 중간부에 고정된다. 스풀(20)은 스풀의 축 주위의 한 방향인, 즉, 권취 방향(도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 전함으로써, 스풀(20)은 그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로부터 상기 웨빙 벨트(22)를 감아서 수용한다. 상기 스풀의 축 주위의 다른 방향인, 즉 인출방향(도 2의 화살표B 방향)으로 상기 스풀(20)이 회전함으로써 웨빙 벨트(22)는 인출된다.
상기 스풀(20)은 그 중심축을 따라서 중공(hollow)이 형성되어 있다. 힘 제한 메커니즘 및 제1에너지 흡수 부재를 겸하는 비틀림축(24)은 상기 스풀(20)내에 수용된다. 상기 비틀림축(24)은 접합부(26)를 구비한다. 상기 접합부(26)는 상기 스풀(20)의 축방향 양단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비틀림축(24)은 상기 접합부(joined portion)(26)에서 상기 스풀(20)과 일체로 연결된다.
막대 형상의 제1변형부(28)는 상기 다리판(16)으로부터 상기 접합부(26)의 측단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결합부(joining portion)(30)는 상기 제1변형부(28)의 원단측(distal end)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변형부(28)와 동축 및 일체가 된다. 상기 제1결합부(30)는 구동 부재(회전 몸체)를 겸하는 제1로크 베이스(lock base)(34)와 동축적으로(coaxially) 및 일체로(integrally)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는 본 발명의 제1측면에서 제1잠금 성분(component)을 겸하는 제1잠금 메커니즘(32)을 구성한다.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상기 다리판(16)부터 상기 스풀(20)의 측단부까지를 함께 고정하여(fit together) 상기 스풀(20)과 동축적으로 움직이고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30)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상기 스풀(20)과 동축적으로 및 일체로 연결된다.
제1잠금폴(lock pawl)(36)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고 피봇 지지되어(pivotally-supported) 상기 다리판(16)에서 자유 회전한다. 상기 제1잠금폴(36)이 소정의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잠금폴(36)에 형성된 라쳇 티스(ratchet teeth)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외주연부로 접근하여,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라쳇 티스와 맞물리게 된다.
한편, 회전 부재(38)는 상기 스풀(20)이 배치된 측과 반대인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와 동축적으로(coaxially) 움직이고 상기 제1 로크 베이스(3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38)는 압축코일(compression coil) 스프링, 비틀림(torsion)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미도시 가압 성분 (urging component)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은 없지만,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32)은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을 제한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제한 성분(restricting component)을 구비한다. 상기 차량의 급속한 감속시(비상시) 상기 차량에 큰 관성이 발생하거나 혹은 제1로크 베이스(34)가 갑자기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한 성분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제1잠금폴(36)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와 상기 회전부재(38) 사이에서 상대 회전하여 상호 락킹되도록(interlockingly)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상기 외주연부로 접근하도록 움직인다. 이때 상기 상대회전은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가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 발생한다.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mechanism)(190)는 기계적으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는 차량의 ECU(제어 장치)에 연결된다. ECU는 차량의 급속 감속(rapid deceleration)의 상태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연결된다. 상기 가속도 센서가 상기 차량의 급속 감속 상태를 감지할 때,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는 작동되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갑자기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막대기형상의 제2변형부(40)는 상기 다리판(18)로부터 상기 접합부(26)의 측단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2결합부(42)는 상기 제2변형부(40)의 말단측(distal end side)에 형성되어 제2변형부(40)와 동축적으로 및 일체로 움직인다. 상기 제2결합부(42)는 제1회전 부재를 겸하는 제2로크 베이스(46)에 동축적으로 및 일체로 연결되고, 제2스위칭 컴포넌트(제2잠금 컴포넌트)를 겸하는 제2잠금 메커니즘(44)을 구성한다.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는 상기 다리판(18)부터 상기 스풀(20)의 측단부까지를 함께 고정하여 상기 스풀(20)과 동축적으로(coaxially) 움직이고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42)는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는 상기 스풀(20)과 동축적으로 및 일체로 연결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폴수용부(48)는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수용부(48)는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의 상기 외주연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폴수용부(48)는 상기 스풀(20)의 반대측에 있는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의 일단면에서 개방된다. 제2잠금폴들(50)은 상기 폴수용부(48)에 수용된다. 상기 제2잠금폴들(50)의 각각은 피봇 지지되어 상기 폴수용부(48)내에 형성된 폴지지핀(52)에 의해 상기 스풀(20)과 평행한 축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잠금폴들(50)은 기본적으로 상기 폴수용부(48)에 각각 수용된다. 상기 제2잠금폴(50)이 상기 폴지지핀(52) 주위로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잠금폴(50)의 원단측은 상기 폴수용부(48)의 외주연부에서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projects-out).
한편, 회전 디스크(54)는 상기 스풀(20)이 위치한 측과 반대인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 디스크(54)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풀(20)에서 피봇 회전하여 상기 스풀(20)과 동축적으로 움직이고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핀들(56)은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 디스크(54)의 일측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핀들(56)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2잠금폴(50)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장공(long hole)(58)은 상기 안내핀들(56)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2잠금폴(50)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내핀들(56)은 상기 장공(58)에 배치된다. 상기 장공(58)의 폭치수는 상기 안내핀들(56)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다. 상기 안내핀들(56)이 상기 스풀(20) 주위로 한 방향으로 상기 회전 디스크(54)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안내핀들(56)은 상기 장공(58)의 내측면을 밀어서 상기 폴지지핀(52) 주위로 상기 제2잠금폴(50)을 회전시킨다.
판상 플레이트(60)는 상기 회전 디스크(54)의 일측단면에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직사각형 모양의 스프링 수용홀(62)은 상기 판상 플레이트(60)와 대응하도록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에 형성된다. 회전 디스크 가압(urging) 스프링(64)은 상기 스프링 수용홀(62)내에 수용된다.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접촉한다.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타단은 상기 스프링 수용홀(62) 내에 위치한 상기 판상 플레이트(60)를 가압하여 접촉한다. 상기 회전 디스크(54)는,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가압력을 받는 상기 판상 플레이트(60)로 인해서 상기 스풀(20) 주위로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54)가 상기 스풀(20) 주위로 한 반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내핀들(56)은 상기 폴지지지핀(52) 주위로 한 방향으로 상기 제2잠금폴(50)을 회전시킨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66)은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의 바닥부에 형성된다. 스토퍼(stopper) 수용홀(172)은 상기 관통공(66)과 대응하도록 상기 스풀(20)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은 상기 스풀(20)의 축중심과 평행하다.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일단은 제1로크 베이스(34)측으로 스풀(20)의 일단부에서 개방된다.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타단은 제2로크 베이스(46)측으로 상기 스풀(20)의 타단부에서 개방된다.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내반경 치수는 그 일단에서 그 타단까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다.
제1스위칭 컴포넌트, 제 2에너지 흡수 부재, 및 제어 컴포넌트를 겸하는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내에 수용된다. 상기 스토퍼 와이 어(174)는 상기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제1로크 베이스(34)측에 있는 상기 개방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외부로 돌출된다.
와이어 안내홈(82)(도7A 참조)은 상기 스풀(20)로부터 돌출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스풀(20)의 측단부의 제1로크 베이스(34)나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측단부의 상기 스풀(20)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안내홈(82)는 상기 스풀(20)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홈(82)는 만곡되어(bent) 형성되는데, 그 만곡부의 중심은 상기 스풀(20)의 중심축이 된다.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안내홈(82)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안내홈(82)을 따라 만곡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안내홈(82) 안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쪽으로 만곡된다.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상기 일단부는, 도 8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형성된 와이어 앵커홀(84)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측 단부로부터 상기 스풀(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관통홀(66)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이 위치한 측의 반대측인 상기 판상 플레이트(60)측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수용홀(62)내에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상기 가압력으로 인해 회전하고자하는 상기 판상 플레이트(60)에 의해 간섭받는다(interference).
도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86)가 상기 다리판(18)의 외측에서 상기 다리판(18)과 일체로 연결된다. 원형홀(88)은 상기 스풀(20)과 동축으로 상기 베이스(86)에 형성된다. 상기 원형홀(88)의 내경은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보다 충분히 크다.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는 상기 원형홀(88)을 관통한다.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제2회전부재를 겸하는 로크링(90)은 상기 원형홀(88)에서 피봇(pivot) 지지되어 자유 회전한다. 상기 로크링(90)은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 라쳇(92)은 상기 로크링(9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잠금폴(50)이 폴지지핀(52) 주위로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잠금폴(50)의 말단이 상기 폴수용부(48)의 외측으로 돌출될 때, 상기 제2 잠금폴(50) 말단의 제2잠금폴-레칫들(94)은 상기 내부 라쳇(92)과 맞물려 결합한다(mesh-together).
외부 라쳇(96)은 상기 로크링(90)의 외주연부의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원형홀(88)과 연통하여 형성되는 링잠금 폴수용홈(97)은 상기 외부 라쳇(96)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86)에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스위칭 부재를 겸하는 링잠금 폴(98)은 상기 링잠금 폴수용홈(97)의 내측에 수용된다. 상기 외부 라쳇(96)과 맞물려 결합하는 링잠금 라쳇(100)은 상기 링잠금 폴(98)의 말단에 형성된다.
상기 로크링(90)이 상기 링잠금 라쳇(100)과 상기 외부 라쳇(96)이 서로 맞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잠금 폴(98)은 상기 로크링(90)과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링잠금 폴(98)이 상기 로크링(90)과 함께 상기 로크링(90)의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잠금 폴수용홈(97)의 내측벽은 상기 링잠금 폴(98)을 간섭하게 되고(interference), 상기 링잠금 폴(98)의 회전과 이에 따른 상기 로크링(90)의 회전은 제한받게 된다. 지지암 수용홈(102)은 상기 링잠금 폴(98)의 하측으로 상기 베이스(86)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암 수용홈(102)은 상기 링잠금 폴수용홈(97)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제한 부재를 겸하는 지지암(104)은 상기 지지암 수용홈(102)내에 수용된다. 상기 지지암(104)은 상기 다리판(1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암지지핀(106)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상기 스풀(20)과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암지지핀(106)에 의해 피봇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암(104)의 일단측은 지지부(108)가 된다. 상기 지지암(104)이 상기 암지지핀(106) 주위로 지지하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108)의 말단부는 상기 링잠금 폴(98)의 측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링잠금 폴(98)과 접한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108)의 말단부는, 상기 링잠금 폴(98)의 상기 링잠금 라쳇(100)이 상기 로크링(90)의 외부 라쳇(96)과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링잠금 폴(98)을 지지한다.
상기 전단핀(shear pin)(110)은 상기 지지부(108)의 일측으로 상기 다리판(18)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단핀(110)은 상기 지지부(108)와 접하면서 상기 지지부(108)를 간섭한다. 따라서, 상기 암지지핀(106) 주위의 한 방향으로의 상기 지지암(104)의 회전은 제한 받는다.
한편, 상기 암지지핀(106)에 의해 피봇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암(104)의 타단측은 눌림부(pushed portion)(112)가 된다. 상기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가스 생성기(114)는 상기 눌림부(112)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는 상기 베이스(86)에 형성된 생성기 수용홈(116) 내에 배치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는 미도시된 체결 부품(fastening component) 혹은 볼트와 같은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86)에 고정된다.
착화제(igniting agent) 및 가스 생성제 등과 같은 화학제, 및 입력되는 전기 착화 신호에 의해 상기 착화제를 발화시키는 착화장치(igniting device)는 상기 가스 생성기(114)내에 수용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착화장치는 ECU와 연결된다.
상기 ECU는 직간접적으로 가속 센서(acceleration sensor)에 연결된다. 상기 ECU는 직간접적으로 거리 측정 센서(distance measuring sensor)와 같은 위험 예보 성분(danger predicting component)과 연결되는데, 거리 측정 센서는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에 들어갔거나, 또는 상기 차량 앞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소정값보다 작아진 것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에 들어가고자 하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상기 ECU는 차량의 좌석에 인가되는 하중(load)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load sensor), 및 벨트 센서(belt sensor) 등과 같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직간접적으로 검출하는 체격 검출 성분(physique detecting component)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벨트 센서는 상기 스풀(20)로부터의 소정양보다 크거나 같은 힘에 의해 상기 웨빙 벨트가 인출된 것을 검출한다.
상기 ECU가 상기 위험 예보 성분으로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 상태에 들어갔거나, 또는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 상태로 들어가고자 하는 것을 판단할 경우, 또는 상기 ECU가 상기 체격 검출 성분으로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은 것을 판단할 경우, 상기 착화 신호는 상기 ECU로부터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착화장치로 입력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는 가스 실린더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축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암(104)의 눌림부(112)의 측면과 대향하여 형성된다. 푸싱 플런저(pushing plunger)(118)는 가스 생성기(114)에 형성된다. 상기 푸싱 플런저(118)의 축방향 일단은 상기 가스 생성기(114)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암(104)의 눌림부(112) 측면과 대향하게 된다.
상기 착화제가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착화장치에 입력되는 착화신호로 인해 착화될 때, 더 나아가 착화된 착화제가 상기 가스 생성제를 태울 때, 즉시 가스가 상기 가스 생성기(114)내에서 생성된다. 이 가스의 압력이 상기 푸싱 플런저(118)를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외부로 밀려진 푸싱 플런저(118)는 상기 지지암(104)의 눌림부(112) 누르고 상기 지지암(104)을 회전시킨다.
(제2 측면의 구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측면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2측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들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적용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150)의 구조의 개요는 도6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 리트렉터(150)는 상기 프레임(12) 대신 또 다른 프레임(152)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52)은 상기 다리판(16) 대신 또 다른 다리판(154)을 구비한다. 상기 다리판(154)은 라쳇홀(162)을 포함하는데, 라쳇홀(162)의 내주연부에는 라쳇 티스(ratchet teeth)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웨빙 리트렉터(150)는 상기 제1잠금 성분(first locking component)을 겸하는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32)을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라서,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32) 대신에 상기 웨빙 리트렉터(150)는 상기 제1잠금 성분을 겸하는 제1잠금 메커니즘(16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156)은 구동 부재(회전체)를 겸하는 제1로크 베이스(first lock base)(158)를 구비한다.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의 구조는 하기와 같은 3가지 점에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구조와 동일한데, 첫째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는 상기 다리판(154)부터 상기 스풀(20)의 측단부까지를 함께 고정하여(fit together) 상기 스풀(20)과 동축적으로 움직이고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하는 점, 둘째는 상기 제1 결합부(30)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과 동축적으로 또한 일체로 연결되는 점, 셋째로는 상기 와이어 앵커홀(84)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에 형성되는 점이다. 그러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쳇 티스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지 않는다.
제1잠금폴(160)은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에 장착된다. 상기 제1잠금 폴(160)은 상기 회전 부재(38)와 결합한다. 상기 제1잠금폴(160)은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와 상기 회전 부재(38) 사이의 상대회전하여 상호 락킹되도록(interlockingly) 상기 라쳇홀(162)의 내주연부로 접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대회전은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가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 발생한다. 이처럼, 상기 제1잠금폴(160)의 말단에 형성된 라쳇 티스는 상기 라쳇홀(162)의 라쳇 티스와 맞물리게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 웨빙 리트렉터10)의 제1잠금 메커니즘(32), 상기 또 다른 웨빙 리트렉터(150)의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156), 그리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각각의 작동들을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1잠금 메커니즘(32)와 프리텐셔서 메커니즘(190)의 작용)
상기 스풀(20)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웨빙 벨트(22)가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적용된 상태에서의 상기 웨빙 리트렉터(10)에서,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로 들어가고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32)이 작동할 때, 우선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이 제한 받는다.
그 후, 상기 차량의 급속 감속으로 인한 관성 때문에 앞쪽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갑자기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기며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스풀(2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상기 비틀림축(24)을 통해 상기 스풀(20)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한되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와 상기 회전 부재(38)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하고, 상기 제1잠금폴(36)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접근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잠금폴(36)의 라쳇 티스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라쳇 티스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1 로크 베이스(34)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은 제한되며, 상기 스풀(20)로부터 상기 웨빙 벨트(22)의 인출 또한 제한된다. 이처럼, 앞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는 상기 웨빙 벨트(22)에 의해서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잠금폴(36)의 라쳇 티스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라쳇 티스와 맞물리더라도,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은 제한 받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로 들어가고, 상기 차량에 큰 관성이 발생할 때,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는 작동하고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갑자기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풀(20)은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스풀(20)로 권취된다. 이처럼, 상기 웨빙 벨트(22)가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제한하는 힘은 향상된다.
(제1잠금 메커니즘(156) 및 프레텐셔서 기구(190)의 작동)
한편, 상기 웨빙 리트렉터(150)에서,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로 들어 가고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156)이 작동할 때, 우선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은 제한 받는다. 그 후, 상기 차량의 급속 감속으로 인한 관성 때문에 앞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갑자기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기고,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스풀(2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상기 비틀림축(24)을 통해서 상기 스풀(20)과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한되면,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와 상기 회전 부재(38)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하고, 상기 제1잠금폴(160)은 상기 라쳇홀(162)의 내부 주연부로 접근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잠금폴(60)의 라쳇 티스는 상기 라쳇홀(162)의 라쳇 티스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은 제한 받으며, 상기 스풀(20)로부터의 상기 웨빙 벨트(22)의 인출 또한 제한 받는다. 이처럼, 앞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는 상기 웨빙 벨트(22)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잠금폴(160)의 상기 라쳇 티스가 상기 라쳇홀(162)의 라쳇 티스와 맞물리더라도,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은 제한 받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로 들어가고, 상기 차량에서 큰 관성이 발생할 때,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는 작동되고, 상기 제1로크 베이스(158) 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갑자기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스풀(20)은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스풀(20)로 권취된다. 이처럼, 상기 웨빙 벨트(22)가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제한 하는 힘은 향상된다.
(비틀림축(24)의 작용)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스풀(20)에 대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에 인가되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력은 상기 비틀림축(24)의 상기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와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기계적 강도(특히, 하기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와이어(174)가 강하게 마찰될 때의 기계적 강도)의 총합과 비교하여 크다. 따라서, 상기 제1변형부(28)는 상기 제1결합부(30) 자체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작동에 의해 비틀리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는 상기 제1변형부(28)의 비틀림 정도에 의해서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스토퍼 와이어(174)의 작동)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일단 그대로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 앵커홀(84)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의 상기 와이어 안내홈(82)에 의해 안내되면서 당겨진다. 따라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에 수용된 부분이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개구 단측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의 엣지(edge)에서 강하게 마찰되는 동안 상기 와이어 안내홈(82)를 따른다. 이처럼,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길이방향이 상기 와이어 안내홈(82)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스풀(20)의 회전의 외주연 방향이 되도록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변형된다.
(제2잠금 메커니즘(44)의 작용)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내측에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158)쪽으로 움직일 때,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에 배치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타단측은 상기 관통홀(66)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의 바깥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의 측단부의 로크 베이스(46)로부터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 내로 당겨진다.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가 이처럼(스위칭 상태) 상기 스프링 수용홀(62)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판상 플레이트(60)에 대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간섭은 취소된다.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로부터의 간섭이 취소된 상기 판상 플레이트(60)는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가압력을 받고, 상기 스프링 수용홀(62) 내에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가압력으로 인해 회전하는 상기 판상 플레이트(60)는 회전 디스크(54)와 일체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 디스크(54)는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에 대해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 디스크(54)가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에 대해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내핀들(56)은 상기 장공(58)의 내측벽을 밀게 되고, 이는 상기 제2잠금 폴들(50) 이 상기 폴지지핀(52) 주위의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만든다.
상기 제2잠금폴(50)이 이처럼 회전할 때, 상기 제2잠금 폴(50)의 단말은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은 작동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링(90)의 내부 라쳇(92)과 맞물리게 된다. (도3참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링 잠금폴(98)의 상기 링잠금 라쳇(100)이 상기 로크링(90)의 외부 라쳇(96)과 맞물린 상태에서, 설령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링(90)의 상기 내부 라쳇(92)와 맞물려 있더라도,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제2잠금폴들(50)의 회전은 인가되고,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 또한 인가된다.
한편,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작동 후에,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서 당겨지며, 상기 스풀(20)은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잠금폴들(50)은 상기 제2 로크 베이스(46)과 함께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링(90)의 내부 라쳇(92)과 맞물리는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로 인해,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제2 로크 베이스(46)의 회전력은 상기 로크링(90)에 전해진다. 따라서, 상기 로크링(90)은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기 링잠금 폴(98)의 링잠금 라쳇(100)은 상기 로크링(90)의 내부 라쳇(96)과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링장금 폴(98)은 상기 링잠금 폴수용홈(97)의 내측벽에 의해 간섭받게 되고, 상기 인출 방향으로 의 상기 링잠금 폴(98)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상기 로크링(90)의 회전은 제한 받는다.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로크링(90)의 회전이 제한 받을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의 회전 또한 제한 받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길 때의 인장력(tensile force)에 기초한 상기 스풀(20)의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 및 상기 제2변형부(40)의 기계적 강도의 합을 초과할 때, 상기 제2결합부(42) 그대로가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변형부(40) 및 상기 제1변형부(28)는 비틀린다. 이처럼, 상기 스풀(20)은 상기 제2변형부(40)의 비틀림 정도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스풀(20)의 회전량에 의해 상기 스풀(20)로부터 인출된다. 이처럼, 상기 웨빙 벨트(22)가 상기 차량 탑승자를 제한하는 힘은 약간 약해지고,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김으로써 공급되는 에너지는 상기 제1변형부(28)와 상기 제2변형부(40)의 비틀림 변형의 정도만큼 흡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변형부(28)와 제2변형부(40)의 상기 비틀림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 지며,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부하는 고부하로 스위치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32, 156)이 작동하기 전, 상기 차량이 급속 감속의 상태로 들어가거나 혹은 급속 감속 바로 전 상태로 들어갈 때, 및 상기 ECU가, 상기 체격 검출 성분으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이 상기 소정 기준 값보다 작아서 상기 착화 신호가 상기 ECU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판단할 때, 상기 가스 생성기(114)는 작동한다. 상기 가스 생성기(114)가 작동할 때, 상기 푸싱 플런저(118)는 돌출되며, 상기 지지암(104)의 눌림부(112)는 상기 푸싱 플런저(118)에 의해 눌려진다.
상기 지지암(104)에 접하는 상기 전단핀(110)으로 인해, 상기 암지지핀(106) 주위의 한 방향으로의 상기 지지암(104)의 회전은 제한된다. 하지만, 상기 푸싱 플런저(118)로부터의 상기 미는 힘(pushing force)을 받는(receiving) 상기 지지암(104)으로 인해, 상기 지지암(104)은 상기 암지지핀(106) 주위의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며, 이러한 회전력으로 인해서 상기 전단핀(110)을 파괴한다(break).
상기 전단핀(110)에 의해 상기 회전 제어를 강제로 취소하는 상기 지지암(104)은 상기 푸싱 플런저(118)로부터의 상기 미는 힘으로 인해 상기 암지지핀(106) 주위의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지지암(104)으로 인해, 상기 링잠금 폴(98)은 상기 지지부(108)의 지지를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링잠금 폴(98)의 링잠금-라쳇(100)이 자체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내려가고자 할 때, 상기 링잠금-라쳇(100)에 대향하는 상기 링잠금 폴(98)측은 상기 링잠금폴 수용홈(97)에 의해 안내되어 움직인다. 이처럼, 상기 외부 라쳇(96)과 상기 링잠금 라쳇(100)의 맞물림은 취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력이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 및 상기 제2잠금 폴(50)을 통해 상기 로크링(90)에 전달될 때, 상기 로크링(90)은 상기 스풀(20)과 함께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변형부(28)에서는 비틀림이 일어나지만, 상기 제2변형부(40)에서는 그러한 비틀림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2변형부(40)의 비틀림 변형(torsional deformation)에 의한 에너지 흡수는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비틀림축(24)의 상기 한계 부하는 저부하로 스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 발생기(114)를 제어함으로써, 저부하 모드 및 고부하 모드로 선택적으로 스위치 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상기 저부하 모드는,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가 상기 제1변형부(28)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으로 인해 저부하로 스위치 되는 것이며, 상기 고부하 모드는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가 상기 제1변형부(28) 및 상기 제2변형부(40)에서 발생되는 변형으로 인해 고부하로 스위치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웨빙 벨트(22)가 적용되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 등에 대응하는 적절한 에너지 흡수가 가능해 진다.
상기 스풀(20)에 대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 158)의 상대 회전으로 인해,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판상형 플레이트(60)에 대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타단부의 간섭은 취소된다. 또한, 상기 로크링(90)의 내부 라쳇(92)과 맞물리는 상기 제2잠금 폴(50)의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로 인하여,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상기 가스 생성기(114)의 제어에 의해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158)는 상기 스풀(20)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판상형 플레이트(60)에 대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타단부의 간섭은 취소된다. 이처럼, 상기 제2잠금폴(50)의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은 상기 로크링(90)의 내부 라쳇(92)과 맞물린다. 그러므로, 도10의 화살표Q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 바로 후,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고부하로 스위치 된다.
이처럼,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 후,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한계 부하가 저부하에서 고부하로 스위치 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움직이는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와 상기 베이스(86)의 내부 라쳇(92)와 맞물리는 상기 제2잠금폴(50)의 제2잠금폴-라쳇들(94)로 인하여,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한계 부하는 초기 단계에서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은 상기 스풀(20)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에 수용된다. 하지만, 도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측면 또는 제2측면에 해당하는 웨빙 리트렉터(170)에 있어서, 스토퍼 수용홀(68)은 상기 스풀(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스위칭 성분을 구성하는 스토퍼(74), 스토퍼 가압 스프링(78), 및 와이어(80)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68)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토퍼 수용홀(68)은 소직경부(small diameter portion(70), 및 상기 소직경부(7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대직경부(large diameter portin)(72)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직경부(72)는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스풀(20)의 측단부의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비해, 상기 소직경부(70)의 일단은 상기 스풀(20)의 측단부의 제2로크 베이스(46)에 서 개구되고, 상기 소직경부(70)의 타단은 상기 대직경부(72)의 바닥부에서 개구된다.
상기 스토퍼(74)는 상기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74)의 일단은 상기 소직경부(70)를 관통하고, 상기 대직경부(72)에 배치된다. 디스크형상의 플랜지(76)는 상기 대직경부(72)에 배치되는 상기 스토퍼(74) 일부의 외주연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스토퍼 가압 스프링(78)(스토퍼 가압 성분)은 상기 플랜지(76)와 상기 대직경부(72)의 바닥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 가압 스프링(78)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 가압 스프링(78)은 상기 플랜지(76)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74)도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를 향하여 가압한다.
와이어(80)(제2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대직경부(72)에 수용된다. 상기 와이어(80)의 일단부는 상기 대직경부(72)의 개구단(open end)으로부터 상기 스풀(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와이어(80)의 일단부는 와이어 안내홈(82) 내에서 상기 제1 로크 베이스(34)를 향하여 만곡된다. 상기 와이어(80)의 일단부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형성된 와이어 앵커홀(84)내에 배치된다.
상기 대직경부(72)에서의 상기 와이어(80)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74)와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74)의 일단부와 접한다. 상기 와이어(80)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 가압 스프링(78)의 가압력으로 인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로 향하는 상기 스토퍼(74)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와이어(80)에 의해 상기 스토퍼(74)의 움직임이 제한 받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74)의 타단측부는 상기 소직경부(70)을 관통하여 상기 스풀(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74)의 타단측부는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의 스프링 수용홀(62)의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66)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에 배치된 상기 스토퍼(74)의 타단은,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이 위치한 측과 반대측인 상기 판상형 플레이트(60) 측에 위치한다. 이처럼, 상기 스토퍼(74)는 상기 회전 디스크 가압 스프링(64)의 가압력으로 인해 회전하고자 하는 판상 플레이트(60)를 간섭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인가되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상대 회전력이, 상기 비틀림축(24)의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와 상기 와이어(80)의 기계적 강도(특히, 상기 와이어(80)가 강하게 마찰될 때의 기계적 강도)의 합과 비교했을 때 더 크다. 그러므로, 상기 제1변형부(28)는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에 의해 비틀린다. 이처럼,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상기 제1변형부(28)의 비틀림의 정도에 의해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스풀(20)에 대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80)의 전체 혹은 일부가,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회전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스토퍼 수용홀(68)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와이어(80)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74)의 일단부로부터 멀리 움직인다. 상기 와이어(80)의 타단부가 이처럼 상기 스토퍼(74)의 일단부로부터 멀리 움직일 때, 상기 스토퍼(74)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를 향하여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 가압 스프링(78)의 가압력으로 인 해 상기 와이어(80)를 따른다.
상기 스토퍼(74)가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를 향하여 움직일 때, 상기 스프링 수용홀(62)에 배치된 상기 스토퍼(74)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홀(66)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홀(62) 밖으로 나온다. 상기 스토퍼(74)가 상기 스프링 수용홀(62)로부터 밖으로 나올 때, 상기 판상 플레이트(60)에 대한 상기 스토퍼(74)의 간섭은 취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잠금폴(50)의 제2잠금폴-라쳇들(94)은 상기 로크링(90)의 내부 라쳇(92)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12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200)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제1측면(또는 제2측면)과 실제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지만, 하기의 점에서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200)에서, 상기 제1실시예의 상기 원형홀(88) 및 상기 로크링(90)(상기 외부 라쳇(96) 포함)은 상기 베이스(86)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베이스 수용홀(188)은 상기 스풀(200)과 동축적으로 상기 베이스(86)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수용홀(188)의 내경은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보다 충분히 더 크다.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는 동축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용홀(188)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 라쳇(92)은 상기 베이스 수용홀(188)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잠금폴(50)이 상기 폴지지핀(52) 주위의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잠금폴(50)이 상기 폴수용부(48)의 외측으로 돌출될 때,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은 상기 내부 라쳇(92)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링잠금 폴수용홈(97), 상기 링잠금폴(98)(상기 링잠금-라쳇(100)포함), 상기 지지암 수용홀(102), 상기 지지암(104)(상기 지지부(108) 및 상기 눌림부(112) 포함), 상기 암지지핀(106), 상기 전단핀(110), 상기 가스 생성기(114)(상기 푸싱 플런저(118) 포함), 그리고 상기 가스 생성기 수용홀(116)은 상기 베이스(86)에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스위칭 성분으로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웨빙 리터텍터(200)에서, 상기 차량이 급속하게 감속하고, 상기 제1잠금 메커니즘(32)이 작동할 때,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38)의 회전은 제한 받는다. 또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가 작동할 때, 상기 제1잠금 베이스(34)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갑자기 회전된다.
상기 제1 로크 베이스(34)가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갑자기 회전될 때,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력이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인가된다.
만약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 등이 작을 경우,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기 는 상기 차량 탑승자로 인해, 스풀(20)의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력도 작다. 그러므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인가되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상대 회전력은 작다.
한편, 만약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 등이 클 경우,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기는 상기 차량 탑승자로 인해, 상기 스풀(20)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크다. 그러므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인가되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상대 회전력은 크다.
여기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 등이 작을 경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인가되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상대 회전력은, 상기 비틀림축(24)의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특히,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가 강하게 마찰될 때의 기계적 강도)와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기계적 강도의 합과 비교하여 작다.
그러므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가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갑자기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변형부(28)는 뒤틀리지 않고,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도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대적 회전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 후,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길 때의 인장력에 기초하는 상기 스풀(20)의 인출 방향으 로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를 초과할 때, 상기 제1변형부(28)는 뒤틀리고, 상기 스풀(20)은 상기 제1변형부(28)의 뒤틀림 정도에 의해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량에 의해 상기 스풀(20)로부터 인출된다. 이처럼, 상기 웨빙 벨트(22)가 상기 차량 탑승자를 제한하는 힘은 약해지고, 상기 웨빙 벨트(22)의 당김으로 인해 공급되는 에너지는 상기 제1변형부(28)의 뒤틀림 변형의 정도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변형부(40)의 뒤틀림 변형으로 인한 에너지 흡수는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뒤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이때, 한계 부하는 상기 웨빙 벨트(22)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로 인가되며, 상기 뒤틀림축이 상기 한계 부하를 제한한다)는 저부하로 스위치 된다.
한편,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이 클 경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인가되는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상대 회전력은 상기 비틀림축(24)의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와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기계적 강도의 합과 비교하여 더 크다.
그러므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가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권취 방향으로 갑자기 회전되면, 상기 제1변형부(28)는 뒤틀리고,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는 상기 제1변형부(28)의 뒤틀림의 정도에 의해 상기 스풀(20)에 대해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일단이 그대로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 앵커 홀(84)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일단부는 상기 제1로크 베이스(34)의 상기 와이어 안내홈(82)에 의해 안내되면서 당겨지고,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홀(66)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홀(62) 밖으로 나온다. 그러므로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은 상기 베이스(86)의 상기 내부 라쳇(92)과 맞물린다.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이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86)의 내부 라쳇(92)와 맞물리더라도,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제2잠금폴(50)의 회전은 인가되고, 상기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도 인가된다.
한편,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작동 후,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스풀(20)은 상기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86)의 상기 내부 라쳇(92)와 맞물리는 상기 제2잠금폴-라쳇들(94)로 인하여, 상기 제1잠금폴(50)과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는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길 때의 상기 인장력에 기초하는 상기 스풀(20)의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1변형부(28)의 기계적 강도 및 제2변형부(40)의 기계적 강도의 합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2변형부(40) 및 상기 제1변형부(28)는, 상기 제2결합부(42)가 그대로 상기 제2로크 베이스(46)에 연결된 상태에서 뒤틀린다. 이처럼, 상기 스풀(20)은 상기 제1변형부(28) 및 상기 제2변형부(40)의 뒤틀림 정도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으 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웨빙 벨트(22)는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회전량에 의해 상기 스풀(20)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웨빙 벨트(22)가 상기 차량 탑승자를 제한 하는 상기 힘은 약간 약해지며, 상기 웨빙 벨트(22)의 당김으로 인해 공급되는 상기 에너지는 상기 제1변형부(28) 및 제2변형부(40)의 뒤틀림 변형의 정도에 의해 흡수된다. 이처럼, 상기 제1변형부(28) 및 제2변형부(40)의 뒤틀림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고, 상기 비틀림축(24)의 한계 부하는 고부하로 스위치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상기 제2 변형부(40)에서 발생하는 뒤틀림이 아닌, 상기 제1변형부(28)에서 발생하는 뒤틀림으로 인해 저부하로 스위치되는 저부하 모드 및, 상기 제1변형부(28) 및 상기 제2변형부(40)에서 발생하는 뒤틀림으로 인해 고부하로 스위치되는 고부하 모드로 스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웨빙 벨트(22)가 적용되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체격 등에 대응하는 적절한 에너지 흡수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가 고부하로 스위치 될 때,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움직여지고, 상기 제2잠금폴(50)의 제2잠금폴-라쳇들(94)은 상기 베이스(86)의 내부 라쳇(92)와 맞물리게 된다. 이처럼,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저부하에서 고부하로 스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상기 프리텐셔너 기 구(190)의 동작 바로 후, 고부하로 스위치된다.
이처럼,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가,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190)의 동작 후, 저부하에서 고부하로 스위치 되는 경우와 비교 했을 때, 움직여지는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 및, 상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상기 웨빙 벨트(22)를 당길 때의 인장력에 기초한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20)의 상기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86)의 내부 라쳇(92)와 맞물리는 상기 제2잠금폴(50)의 상기 잠금폴-라쳇들(94)로 인하여, 상기 비틀림축(24)에 의한 상기 한계 부하는 초기 단계에서 고부하로 스위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은 상기 스풀(20)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172)에 수용된다. 하지만, 상기 웨빙 리트렉터(170)(도11참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실시예의 제1측면(또는 제2측면)에 대응하는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스토퍼 수용홀(68)은 상기 스풀(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 성분을 구성하는 상기 스토퍼(74), 상기 스토퍼 가압 스프링(78) 및 상기 와이어(80)는 상기 스토퍼 수용홀(68)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와이어(80)의 기계적 강도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토퍼 와이어(174)의 기계적 강도와 똑같아 진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을 적용 또는 사용하는데 있어서 의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나 비교예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후술하는 청구범위는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하여 독해되었을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첨부된 도면들에서 특징들은 관련된 특징들을 비교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의 제2잠금 메카니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2잠금 메커니즘의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2잠금 메커니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상기 제2잠금 메커니즘의 잠금 링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의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의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a는 스풀과 스토퍼 와이어 사이의 위치관계 및 상기 스토퍼 와이어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b는 상기 스풀과 상기 스토퍼 와이어 사이의 위치관계 및 상기 스토퍼 와이어가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제1측면에 따른 제1잠금 베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1측면에 따른 제1잠금 베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first exemplary embodiment)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에서 차량 충돌시 웨빙 벨트로부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시간과 부하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modified example)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의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빙 리트렉터의 제2잠금 메커니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의 상기 제2잠금 메카니즘의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의 상기 제2잠금 메커니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2에 해당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빙 리트렉터의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Claims (18)

  1.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웨빙(webbing)이 감기며, 권취(take-up)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감기고, 인출(pull-out)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권취축;
    차량의 비상시, 작동됨으로써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mechanism);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인출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하고,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부하를 한계 부하(limit load)로 제한하며,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할 수 있는 힘 제한(force limiter) 기구;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set) 제1스위칭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상기 저부하 및 상기 고부하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제1회전 부재; 및
    스위칭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로 인해 상기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되는 상기 한계 부하는,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회전으로 상기 권취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구동 부재로 인해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2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제2회전 부재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 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2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칭하는 상기 스위칭 기구로 인해, 상기 스위칭 기구는 상기 제2스위치 컴포넌트가 작동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기구에 장착되는 스위칭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할 때 상기 제2회전 부재와 체결 및 해제되도록 스위칭하는 상기 스위칭 부재로 인해,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2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웨빙이 감기며, 권취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감기고,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권취축;
    차량의 비상시, 작동됨으로써 상기 권취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상기 차량의 비상시,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인가하고, 상기 웨빙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적용되는 부하를 한계부하로 제한하며, 상기 한계부하를 적어도 저부하 및 고부하로 스위치할 수 있는 힘 제한 기구를 구비하는 웨빙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프리텐셔서 기구의 작동에 의해 제1스위칭 컴포넌트를 스위칭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를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제2스위칭 컴포넌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계 부하를 적어도 상기 저부하 및 상기 고부하로 스위칭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제1회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칭하는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의 스위칭 기구로 인해, 상기 한계 부하는 상기 저부하 및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한계 부하를 상기 고부하로 스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리트렉터는 상기 권취축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회전으로 상기 권취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칭 컴포넌트는 상기 스위칭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리트렉터는 상기 스위칭 기구에 장착되어 제1회전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2회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2회전 부재는 상기 제1회전 부재와 일체로 상기 인출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2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칭하는 상기 스위칭 기구로 인해, 상기 스위칭 기구는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하도록 스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리트렉터는 상기 스위칭 기구에 장착되는 스위칭 부재를 구비하 며,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될 때, 상기 제2회전 부재와 체결 및 해제되도록 스위칭 하는 상기 스위칭 부재로 인해, 상기 스위칭 부재는 상기 제2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될 때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상기 제2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가 및 제한 하도록 스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리트렉터 제어방법.
  18. 상기 1항의 상기 웨빙 리트렉터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070101546A 2006-10-12 2007-10-09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 KR101375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9153A JP4819645B2 (ja) 2006-10-12 2006-10-12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06-00279153 2006-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58A KR20080033858A (ko) 2008-04-17
KR101375960B1 true KR101375960B1 (ko) 2014-03-18

Family

ID=3886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546A KR101375960B1 (ko) 2006-10-12 2007-10-09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40591B2 (ko)
EP (1) EP1911638B1 (ko)
JP (1) JP4819645B2 (ko)
KR (1) KR101375960B1 (ko)
CN (1) CN100577479C (ko)
AU (1) AU2007221950B2 (ko)
TW (1) TW2008211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2669B1 (en) * 2008-03-31 2012-02-08 Ashimori Industry Co., Ltd. Seatbelt retractor
JP5203881B2 (ja) * 2008-10-08 2013-06-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210115B2 (ja) * 2008-10-23 2013-06-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7946519B2 (en) * 2008-11-12 2011-05-24 Tk Holdings Inc. Pretensioned retractor
US8636239B2 (en) * 2009-05-28 2014-01-28 Takata AG Belt retractor
JP5456423B2 (ja) * 2009-09-16 2014-03-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N102666215B (zh) * 2009-11-04 2014-05-28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带卷收器
JP5587142B2 (ja) * 2010-01-15 2014-09-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510647B2 (ja) * 2010-03-30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5384438B2 (ja) * 2010-06-18 2014-01-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449081B2 (ja) * 2010-08-03 2014-03-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2019004B4 (de) * 2012-09-27 2022-06-02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JP5961570B2 (ja) * 2013-02-22 2016-08-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990481B2 (ja) * 2013-03-18 2016-09-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3208947A1 (de) * 2013-05-15 2013-07-18 Takata AG Gurtaufroller
CN104890611B (zh) * 2014-03-03 2018-09-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卷绕装置
JP6240575B2 (ja) * 2014-08-07 2017-11-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9775410B2 (en) 2014-12-16 2017-10-03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s for use with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6498478B2 (ja) * 2015-03-06 2019-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6222015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449100B2 (ja) * 2015-05-27 2019-0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10086794B2 (en) 2015-06-23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 limiting retractor with hall effect switch
US9751495B2 (en) 2015-08-21 2017-09-05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Reel lock having multiple tooth dog
CN108289531A (zh) 2015-10-02 2018-07-17 谢尔德约束系统公司 用于个人约束系统的负载指示器以及相关联的系统和方法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814282B2 (en) 2016-02-02 2017-11-14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Harsh environment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6121609A1 (de) * 2016-11-11 2018-05-17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WO2018148221A1 (en) 2017-02-07 2018-08-16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
US10399540B2 (en) * 2017-03-28 2019-09-03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retractor with energy absorbing mechanism
JP2019107922A (ja) * 2017-12-15 2019-07-04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CN109353305B (zh) * 2018-12-06 2023-12-19 湖北科技学院 一种具有防抱死功能的安全带卷收器
CN112977326B (zh) * 2021-04-06 2021-12-28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一种有效降低车辆乘员碰撞伤害的限力终止式卷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893A (en) * 1996-03-11 2000-08-22 Autoliv Development Ab Belt winding and tightening combination with a force limiter
US20010050474A1 (en) * 2000-04-24 2001-12-13 Tomonori Nagata Webbing take-up device an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4883A1 (de) * 1993-05-05 1994-11-10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aufroller
DE4345457C2 (de) * 1993-09-13 2002-07-04 Autoliv Dev Gurtaufroller-Gurtstrammer-Kombination mit Kraftbegrenzer
DE19522777C2 (de) * 1994-06-30 2000-03-23 Autoliv Dev Warnvorrichtung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DE4438097A1 (de) * 1994-10-25 1996-05-02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integriertem Gurtstraffer und Energiewandler
DE29605200U1 (de) * 1996-03-20 1996-07-18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an der Gurtspule angreifendem Gurtstraffer
JP3674800B2 (ja) * 1996-10-17 2005-07-20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H10278741A (ja) * 1997-04-08 1998-10-2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29718663U1 (de) * 1997-10-21 1998-02-19 Trw Repa Gmbh Kraftbegrenzter in einem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US6012667A (en) * 1998-02-19 2000-01-1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ulti-level load limiting torsion bar retractor
DE19927427C2 (de) * 1999-06-16 2002-11-14 Autoliv Dev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Kraftbegrenzer
JP4662214B2 (ja) * 1999-08-18 2011-03-30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1301563A (ja) * 2000-04-24 2001-10-31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57477B2 (ja) * 2000-09-19 2010-04-2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6916045B2 (en) * 2003-08-20 2005-07-12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torsion rod activity sensor
ATE359199T1 (de) * 2003-12-30 2007-05-15 Key Safety Systems Inc Gurtaufroller
JP4528536B2 (ja) * 2004-02-17 2010-08-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050284978A1 (en) * 2004-06-29 2005-12-29 Zolkower Jeffry N Dual level load limiting belt retractor with mechanical load switching
DE102005012526B4 (de) * 2005-03-16 2016-05-25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JP2006256513A (ja) * 2005-03-17 2006-09-2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528655B2 (ja) * 2005-03-17 2010-08-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060273210A1 (en) * 2005-06-06 2006-12-07 Autoliv Asp, Inc. Electrical retractor with pretensio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893A (en) * 1996-03-11 2000-08-22 Autoliv Development Ab Belt winding and tightening combination with a force limiter
US20010050474A1 (en) * 2000-04-24 2001-12-13 Tomonori Nagata Webbing take-up devic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58A (ko) 2008-04-17
TW200821199A (en) 2008-05-16
AU2007221950B2 (en) 2010-06-10
JP2008094280A (ja) 2008-04-24
US20080087754A1 (en) 2008-04-17
CN101161512A (zh) 2008-04-16
AU2007221950A1 (en) 2008-05-01
EP1911638B1 (en) 2011-08-10
JP4819645B2 (ja) 2011-11-24
EP1911638A1 (en) 2008-04-16
CN100577479C (zh) 2010-01-06
US8240591B2 (en)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960B1 (ko)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
JP4138652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装置
JP490892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1902911B1 (en) Webbing retractor device
US20040227030A1 (en) Webbing retractor
JP553598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5607185A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
US6648260B2 (en) Selectable load limiting seat restraint retractor
US8439291B2 (en) Webbing winding device
US20060243843A1 (en) Pretensioner device for a seatbelt retractor
JP2006306148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99048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20388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3184605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WO2017069095A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21011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256514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52853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077733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44910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369195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8052166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525439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8133012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引出し阻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