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593B1 - 회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593B1
KR101322593B1 KR1020120013748A KR20120013748A KR101322593B1 KR 101322593 B1 KR101322593 B1 KR 101322593B1 KR 1020120013748 A KR1020120013748 A KR 1020120013748A KR 20120013748 A KR20120013748 A KR 20120013748A KR 101322593 B1 KR101322593 B1 KR 10132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lead block
support member
flat cable
p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931A (ko
Inventor
세이시 다카하시
히로유키 사토
야스히사 오스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저비용화가 용이한 회전 커넥터의 제공.
(해결 수단) 절연성의 지지 부재 (2) 에 필요 개수의 핀 단자 (3) 를 끼워넣어 조립한 리드 블록 (1) 을,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에 접속한 후, 회전 커넥터 (30)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에 리드 블록 (1) 을 장착한다.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는, 스냅 고정되는 외통부 (17) 와 하부 커버 (18) 의 하방 돌출부 (17a, 18a) 로 이루어지고, 하방 돌출부 (17a) 는 수납 오목 지점 (17b) 을 갖고, 하방 돌출부 (18a) 는 유지 벽부 (18b) 를 갖는다. 리드 블록 (1) 은 유지 벽부 (18b) 의 삽입 통과공 (18d) 에 핀 단자 (3) 의 선단부 (3a) 측을 삽입 통과하여 장착되고, 유지 벽부 (18b) 와 지지 부재 (2) 의 외벽 (2g) 사이에 핀 단자 (3) 의 스토퍼부 (3e) 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지지 부재 (2) 가 수납 오목 지점 (17b) 내에 위치 결정 상태로 유지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ROTARY CONNECTOR}
본 발명은, 회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형 케이블과 접속되는 복수 개의 핀 단자를 평행하게 배열시켜 유지한 리드 블록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장착되어 에어백 시스템 등의 전기적 접속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회전 커넥터에는,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과 고정측 하우징 사이에 고리상 공간이 획성 (畵成) 되어 있고, 이 고리상 공간 내에 평형 케이블 (플랫 케이블) 이 감김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 평형 케이블의 양 단부 (端部) 의 각각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 (리드 블록) 에 접속되어 있다. 평형 케이블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된 리드 블록은, 핸들 (스티어링휠)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커넥터의 가동측 하우징에 취착 (取着) 되어 있고, 이 핸들측의 에어백 시스템이나 혼 회로 등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커넥터에 접속된다. 또, 평형 케이블의 타방의 단부에 접속된 리드 블록은,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에 취착되어 있고, 차량 본체측의 전기 장치로부터 도출된 외부 커넥터와 접속된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종래의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 부재는, 복수 개의 평행한 도체가 용접용 구멍을 제외하고 절연재로 피복되어 있고, 평형 케이블은, 그 양 단부에 복수 개의 평행한 도체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평형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 부재의 도체가 교차하도록, 접속 부재를 평형 케이블의 일면에 중첩하여, 접속 부재의 용접 접속공에 노출되는 도체를 평형 케이블의 도체에 용접 접속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7088호
그런데, 종래의 회전 커넥터에 사용하는 리드 블록은, 용접용 구멍을 제외하고 절연재로 도체를 피복하는 구성이므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형상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리드 블록의 제조 비용이 높아져 버려, 회전 커넥터를 저비용화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목적은, 저비용화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커넥터는,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과, 이들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 사이에 획성된 고리상 공간과, 고리상 공간 내에 감김 상태로 수납되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띠상 도체가 접속부를 제외하고 1 쌍의 절연 필름으로 피복된 평형 케이블과, 평형 케이블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핀 단자를 갖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 블록을 구비하고, 평형 케이블 및 리드 블록이, 복수 개의 핀 단자와 복수 개의 띠상 도체가 교차하도록 중첩되어 구성된 회전 커넥터로서, 리드 블록은, 복수 개의 핀 단자가,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의 지지 부재에 끼워넣어져 유지되어 있고, 또한 평형 케이블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접합부를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드 블록을 복잡한 구조를 갖는 금형으로 인서트 성형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절연성의 지지 부재에 복수 개의 핀 단자를 끼워넣어 유지하는 것만으로 리드 블록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 블록의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핀 단자는, 지지 부재에 끼워넣어져 유지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의 외벽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고,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의 적어도 일방은, 리드 블록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짐과 함께,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을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공이 형성된 유지 벽부를 갖고, 또한 리드 블록을 수납한 상태에서, 유지 벽부와 지지 부재 사이에 걸림부를 사이에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핀 단자에 외부 커넥터를 착탈시킬 때에, 각 핀 단자에 작용하는 외력 (밀어넣는 힘이나 잡아당기는 힘) 을 걸림부를 통하여 지지 부재, 유지 벽부 및 수납부의 내면 등에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착탈시의 외력에 의해 각 핀 단자가 지지 부재로부터 탈리되거나, 핀 단자와 평형 케이블 (띠상 도체) 의 용접 지점이 박리되거나 하여 도통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어져, 조립 작업에 있어서 문제를 잘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어, 회전 커넥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측 하우징은, 제 1 케이스체 및 제 2 케이스체를 스냅 결합함으로써 구성되고, 수납부가 제 2 케이스체에 형성되고, 삽입 통과공이 제 1 케이스체에 형성되고, 그들 제 1 케이스체 및 제 2 케이스체에 의해 리드 블록을 유지하는 커넥터 유지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측 하우징에 리드 블록을 장착하는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핀 단자를 끼워 삽입하여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복수 개의 핀 단자의 기단부측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핀 단자를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도록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핀 단자를 지지 부재에 끼워넣는 작업이 용이해져, 지지 부재에 대한 각 핀 단자의 장착 강도 및 장착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리드 블록을 제조하는 작업을 문제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제 1 유지부와 제 2 유지부 사이에 접합부를 배치하도록 형성한 노출 구멍부와, 복수 개의 핀 단자가 제 1 유지부로부터 제 2 유지부를 향하여 삽입될 때 그들 핀 단자의 표면이 노출되는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갖고, 복수 개의 핀 단자는, 제 1 유지부의 내면에 파고들도록 형성된 끼워맞춤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각 핀 단자를 장착하는 강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 블록을 제조하는 작업을 문제없이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은,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접합부와 접속되는 접속부가, 1 쌍의 절연성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 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형 케이블의 단부의 강도가 커지므로, 평형 케이블을 취급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커넥터는, 지지 부재에 복수 개의 핀 단자를 끼워넣어 유지하는 것만으로 리드 블록을 구성할 수 있어, 리드 블록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핀 단자는, 지지 부재에 끼워넣어져 유지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의 외벽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고,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의 적어도 일방은, 리드 블록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짐과 함께,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을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공이 형성된 유지 벽부를 갖고, 또한 리드 블록을 수납한 상태에서, 유지 벽부와 지지 부재 사이에서 걸림부를 사이에 끼우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 핀 단자에 외부 커넥터를 착탈시킬 때에, 각 핀 단자에 작용하는 외력 (밀어넣는 힘이나 잡아당기는 힘) 을 걸림부를 통하여 지지 부재나 유지 벽부나 수납부의 내면에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착탈시의 외력에 의해 각 핀 단자가 지지 부재로부터 탈리되거나, 핀 단자와 평형 케이블 (띠상 도체) 의 용접 지점이 박리되거나 하여 도통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어져, 높은 신뢰성을 갖는 회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벽부는, 걸림부와 지지 부재의 외벽이 맞닿아지도록 걸림부를 수용하는 오목 단부 (段部) 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지 벽부 중 오목 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지지 부재측의 면이, 지지 부재의 외벽에 대해 안정적으로 맞닿으므로, 핀 단자 및 리드 블록이 가동측 하우징 또는 고정측 하우징에 대해 덜컥거림 없이 확실하게 장착되어 매우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의 하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II 선을 따른 단면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C 부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내는 리드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2 에 나타내는 리드 블록과 플랫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과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30) 는, 도시하지 않은 핸들 (스티어링휠)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가동측 하우징 (11) 과, 스티어링 칼럼 등에 설치된 고정측 하우징 (12) 을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연결하고, 양 하우징 (11, 12) 간에 획성된 고리상 공간 (13) 에 평형 케이블 (플랫 케이블) (20) 을 감김 상태로 수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회전 커넥터 (30) 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장착되어 에어백 시스템 등의 전기적 접속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 커넥터 (30) 의 센터공 (10a) 에는 스티어링 샤프트 (도시 생략) 가 삽입 통과된다.
가동측 하우징 (11) 은, 상부 로터 (15) 와 하부 로터 (16) 를 스냅 결합에 의해 일체화한 것으로, 도 4 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커넥터 유지부 (11a) 에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측 하우징 (12) 은, 제 2 케이스체로서의 외통부 (17) 와, 제 1 케이스체로서의 하부 커버 (18) 를 스냅 결합에 의해 일체화한 것으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에 리드 블록 (1) 이 장착되어 있다. 양 하우징 (11, 12) 간에는 고리상 공간 (13) 이 획성되어 있고, 이 고리상 공간 (13) 내에 평형 케이블 (20) 이 조임 및 풀림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 고리상 공간 (13) 내에는, 평형 케이블 (20) 의 조임 동작이나 풀림 동작을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 (14) 와, 롤러 (14) 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유지하는 롤러 홀더 (19) 가 장착되어 있다.
평형 케이블 (20) 의 일방의 단부 (외단부) 는 리드 블록 (1) 에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 블록 (1) 은 고정측 하우징 (12) 의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에 유지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는, 외통부 (17) (제 2 케이스체) 의 하방 돌출부 (17a) (제 2 케이스체) 와 하부 커버 (18) (제 1 케이스체) 의 하방 돌출부 (18a) (제 1 케이스체) 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드 블록 (1) 은, 차량 본체측의 전기 장치로부터 도출된 외부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평형 케이블 (20) 의 타방의 단부 (내단부) 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에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 블록은 가동측 하우징 (11) 의 상부 커넥터 유지부 (11a) 에 유지되어 있다. 이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에는, 핸들측의 에어백 시스템이나 혼 회로 등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평형 케이블 (20) 은,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띠상 도체 (21) 를 1 쌍의 절연 필름 (22) 으로 피복한 띠상체이다.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에 있어서, 절연 필름 (22) 에는, 각 띠상 도체 (21) 의 일부 (접속부 (21a)) 를 노출시키는 도체 노출공 (23) 이 개설 (開設) 되어 있음과 함께, 리드 블록 (1) 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 (8) 를 삽입시키기 위한 투공 (透孔) (24) 이 개설되어 있다. 이 평형 케이블 (20) 의 양 단부 간을 이루는 장척 부분 (22a) 이, 회전 커넥터 (30) 의 고리상 공간 (13) 내에 수납되어 있고 (도 4), 가동측 하우징 (11) 의 회전에 수반하여, 조임 동작이나 풀림 동작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 은, 도 2 의 지면 안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 블록 (1) 은, 절연성의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 (2) 와, 지지 부재 (2) 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끼워넣어져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 개의 핀 단자 (3) 에 의해 구성된다. 이 지지 부재 (2) 는, 직사각형상의 저판부 (4) 의 3 변, 즉 평형 케이블 (20) 을 바깥쪽으로 연출 (延出) 시키는 부분인 1 변을 제외한 3 변을 따라, 돌제부 (突堤部) (5) (5a, 5b, 5c) 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돌제부 (5) 의 내측의 영역을 이루는 저판부 (4) 의 내면부 (4a) 에는, 평형 케이블 (20) 이, 평형 케이블 (20) 의 각 띠상 도체 (21) 와 지지 부재 (2) 의 각 핀 단자 (3) 가 직교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교차하는, 평형 케이블 (20) 의 도체 노출공 (구멍부) (23) 내에 노출되는 띠상 도체 (21) 의 접속부 (21a) 와, 도체 노출공 (23) 상을 횡단하는 핀 단자 (3) 의 접합부 (3d) 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접 접속된다. 또한, 돌제부 (5) 가 존재하지 않는 지지 부재 (2) 의 한 변은, 평형 케이블 (20) 의 장척 부분 (22a) 을 상기 고리상 공간 (13) 으로 유도하는 개구 단부 (2f) (도 2 참조) 로 되어 있다. 이 개구 단부 (2f) 는, 리드 블록 (1) 이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측 하우징 (12) 의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에 형성된 개구부 (12b) 와 인접하게 된다 (도 2 참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2) 는, 돌제부 (5)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 중 일방, 즉, 도 2 에 나타내는 핀 단자 (3) 의 선단부 (3a) 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따른 돌제부 (5a) 에는, 복수의 장착 구멍부 (9) (제 1 유지부) 가 등간격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들 장착 구멍부 (9) 는, 각 핀 단자 (3) 가 선단부 (3a) 로부터 밀어넣어져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각 핀 단자 (3) 를 고정 상태로 유지한다. 또, 돌제부 (5) 중, 지지 부재 (2) 의 타방의 장변을 따른 돌제부 (5b) 에는, 각 핀 단자 (3) 의 기단부 (3b) 를 끼워넣는 끼워넣음부 (10) (제 2 유지부) 가 등간격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들 끼워넣음부 (10) 에, 각 핀 단자 (3) 의 기단부 (3b) 가 끼워넣어지면, 각 핀 단자 (3) 가 평행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각 장착 구멍부 (9) 와 각 끼워넣음부 (10) 는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 지지 부재 (2) 의 저판부 (4) 에는,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핀 단자 (3) 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 (20) 의 도체 노출공 (23) 을 횡단하는 부분, 즉 접합부 (3d) 의 이면측을 노출시키는 노출 구멍부 (6) 와,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에 형성된 투공 (24) 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 돌기 (2e) 가, 각각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핀 단자 (3) 의 접합부 (3d) 와 평형 케이블 (20) 의 띠상 도체 (21) 의 접속부 (21a) 를, 예를 들어 스포트 용접할 때에, 노출 구멍부 (6) 내에는 스포트 용접기의 전극이 삽입된다. 또, 위치 결정 돌기 (2e) 를 투공 (24) 에 삽입하여 코킹함으로써,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가, 지지 부재 (2) 의 저판부 (4) 상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지지 부재 (2) 의 내저면 (4a) 에는, 각 장착 구멍부 (9) 로부터 끼워 삽입된 각 핀 단자 (3) 를 평행하게 배열시키고, 또한 각 핀 단자 (3) 의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 (7)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 (7) 을 형성함으로써, 각 핀 단자 (3) 를 서로 평행하게 배열시킨 상태에서 지지 부재 (2) 에 순조롭게 끼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리드 블록 (1) 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 (7) 은, 각 핀 단자 (3) 를 압입 가능한 치수로 형성하면, 각 핀 단자 (3) 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도 기능하므로, 끼워넣음부 (10) 대신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핀 단자 (3) 는, 선단부 (3a) 와 기단부 (3b) 간에 스토퍼부 (3e) (걸림부) 를 갖는다. 스토퍼부 (3e) 는, 장착 구멍부 (9) 보다 대폭으로 형성된다. 각 핀 단자 (3) 가 장착 구멍부 (9) 에 끼워 삽입되고, 기단부 (3b) 가 끼워넣음부 (10) 에 끼워넣어지면, 스토퍼부 (3e) 는, 장착 구멍부 (9) 의 둘레 가장자리부, 즉, 돌제부 (5a) 의 외벽 (2g) 에 맞닿아 걸린다. 따라서 스토퍼부 (3e) 는, 각 핀 단자 (3) 가 지지 부재 (2) 에 끼워 삽입되는 길이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각 핀 단자 (3) 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장착 구멍부 (9) 에 대응하는 위치, 즉, 스토퍼부 (3e) 의 기단측의 근방에 쐐기 형상부 (3c) (끼워맞춤부)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쐐기 형상부 (3c) 는, 스토퍼부 (3e) 가 지지 부재 (2) 의 외벽 (2g) (돌제부 (5)) 에 맞닿는 상태가 되도록, 장착 구멍부 (9) 에 각 핀 단자 (3) 를 끼워 삽입하면, 장착 구멍부 (9) 의 내면에 파고든다. 따라서, 쐐기 형상부 (3c) 는, 지지 부재 (2) 에 각 핀 단자 (3) 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지지 부재 (2) 에 대한 각 핀 단자 (3) 의 장착 강도 및 장착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리드 블록 (1) 을 제조하는 작업을 문제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 (3e) 는, 장착 구멍부 (2b)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려 맞닿아지도록 폭넓은 플랜지상이어도 되지만, 돌기상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의 수납 오목 지점 (17b) (수납부) 내에 리드 블록 (1) 이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스토퍼부 (3e) 는, 하방 돌출부 (18a) (하부 커버 (18)) 의 유지 벽부 (18b) 와 지지 부재 (2) 의 외벽 (2g) 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각 핀 단자 (3) 의 회전 커넥터 (30) 에 대한 장착 강도가 더욱 커진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또한, 가동측 하우징 (11) 에 유지되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도,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리드 블록 (1) 과 동일하고, 필요 개수의 핀 단자가 지지 부재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평형 케이블 (20) 과 리드 블록 (1) 의 접속 순서를 설명한다. 평형 케이블 (20) 의 일방의 단부를 리드 블록 (1) 에 접속할 때에는, 먼저,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를 지지 부재 (2) 의 내면부 (4a) (저판부 (4)) 상에 배치하여, 상기 투공 (24) 에 위치 결정 돌기 (2e) 를 삽입한다. 이로써,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는, 지지 부재 (2) 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되어, 각 도체 노출공 (23) 이 각 노출 구멍부 (6) 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위치 결정 돌기 (2e) 를 열 코킹함으로써, 평형 케이블 (20) 이 지지 부재 (2) 의 저판부 (4) 상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 후, 노출 구멍부 (6) 내와 도체 노출공 (23) 내에 각각 스포트 용접기의 도시하지 않은 전극을 삽입하고, 이들 1 쌍의 전극에 의해, 핀 단자 (3) 의 접합부 (3d) 와 띠상 도체 (21) 의 접속부 (21a) 를 압접시켜 통전하여 스포트 용접을 실시하여 용접 접합한다. 또한, 평형 케이블 (20) 의 타방의 단부와 도시하지 않은 블록의 접속 순서도, 상기 접속 순서와 동일하다.
리드 블록 (1) 은,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 (외단부) 와 접속된 후, 고정측 하우징 (12) 의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에 장착된다. 이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를 구성하는 하방 돌출부 (17a) 에는,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2) 를 위치 결정 상태에서 배치 가능한 수납 오목 지점 (17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커버 (18) 의 하방 돌출부 (18a) 에는, 지지 부재 (2) 의 하면, 즉, 핀 단자 (3) 의 선단부 (3a) 측에 위치하는 돌제부 (5a) 의 외벽 (2g) 을 따라 연장되는 유지 벽부 (18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벽부 (18b) 에는, 각 핀 단자 (3) 의 스토퍼부 (3e) 를 배치시키기 위한 오목 단부 (18c) 와, 각 핀 단자 (3) 의 스토퍼부 (3e) 보다 선단측을 개별적으로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삽입 통과공 (18d)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방 돌출부 (18a) 의 유지 벽부 (18b) 와 지지 부재 (2) 의 외벽 (2g) 사이에 각 핀 단자 (3) 의 스토퍼부 (3e) 가 사이에 끼워지게 되기 때문에, 유지 벽부 (18b) 의 삽입 통과공 (18d) 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각 핀 단자 (3) 에 외부 커넥터를 착탈시킬 때에, 큰 외력 (밀어넣는 힘이나 잡아당기는 힘) 이 핀 단자 (3) 에 작용해도, 이 핀 단자 (3) 가 지지 부재 (2) 로부터 탈리될 우려가 없고, 핀 단자 (3) 의 접합부 (3d) 와 평형 케이블 (20) 의 띠상 도체 (21) 의 접속부 (21a) 의 용접 지점이 박리되어 도통 불량을 일으킬 우려도 없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30) 에 대해 외부 커넥터의 착탈 작업을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벽부 (18b) 는, 오목 단부 (18c) 가, 스토퍼부 (3e) 와 돌제부 (5a) 의 외벽 (2g) 이 맞닿아지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지 벽부 (18b) 중, 오목 단부 (18c)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지지 부재 (2) 측의 면이, 돌제부 (5a) 의 외벽 (2g) 에 대해 안정적으로 맞닿는다. 이러한 구성은, 각 핀 단자 (3) 및 리드 블록 (1) 을 고정측 하우징 (12) 에 덜컥거림 없이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 단부 (18c) 는, 돌제부 (5a) 의 외벽 (2g) 에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평형 케이블 (20) 의 단부 (외단부) 와 접속된 리드 블록 (1) 을, 고정측 하우징 (12) 의 하방 커넥터 유지부 (12a) 에 장착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평형 케이블 (20) 에 접속된 리드 블록 (1) 은, 먼저, 외통부 (17) 의 하방 돌출부 (17a) 의 수납 오목 지점 (17b) (수납부) 내에 지지 부재 (2) 를 배치시켜 위치 결정하고, 그 후, 하방 돌출부 (18a) (하부 커버 (18)) 의 유지 벽부 (18b) 의 각 삽입 통과공 (18d) 에 각 핀 단자 (3) 의 선단부 (3a) 측을 삽입 통과시키도록, 외통부 (17) 에 하부 커버 (18) 를 장착한다. 이러한 리드 블록 (1) 의 장착 작업은, 고정측 하우징 (12) 의 외통부 (17) 와 하부 커버 (18) 를 스냅 결합에 의해 일체화할 때에 실시된다. 즉, 수납 오목 지점 (17b) 내에 지지 부재 (2) 를 위치 결정 상태에서 배치시키고, 그 후 하방 돌출부 (18a) 의 유지 벽부 (18b) 의 각 삽입 통과공 (18d) 에 각 핀 단자 (3) 의 선단측을 삽입 통과시키도록, 외통부 (17) 에 하부 커버 (18) 를 장착하고, 하방 돌출부 (17a) 와 하방 돌출부 (18a) 에 의해 하방 커넥터 유지부 (12a) 가 조립된 단계에서, 이 하방 커넥터 유지부 (12a) 에 리드 블록 (1) 이 장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리드 블록 (1) 은, 간단한 금형으로 성형한 절연성의 지지 부재 (2) 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갖는 금형으로 인서트 성형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이러한 지지 부재 (2) 에 복수 개의 핀 단자 (3) 를 끼워넣어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회전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들 리드 블록 (1) 은, 공통의 지지 부재 (2) 를 사용할 수 있어, 핀 단자의 개수가 상이한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부품 비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어, 저비용화에 매우 유리한 회전 커넥터 (30) 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 (20) 과 접속된 리드 블록 (1) 을, 고정측 하우징 (12) 의 하부 커넥터 유지부 (12a) 에 끼워넣으면, 하방 돌출부 (17a) 의 수납 오목 지점 (17b) 내에 지지 부재 (2) 가 위치 결정 상태에서 유지됨과 함께, 하방 돌출부 (18a) 의 유지 벽부 (18b) 와 지지 부재 (2) 의 외벽 (2g) 사이에 각 핀 단자 (3) 의 스토퍼부 (3e) 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유지 벽부 (18b) 의 삽입 통과공 (18d) 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각 핀 단자 (3) 에 외부 커넥터를 착탈시킬 때에, 큰 외력 (밀어넣는 힘이나 잡아당기는 힘) 이 핀 단자 (3) 에 작용해도, 이 핀 단자 (3) 가 지지 부재 (2) 로부터 탈리될 우려가 없고, 핀 단자 (3) 의 접합부 (3d) 와 평형 케이블 (20) 의 띠상 도체 (21) 의 접속부 (21a) 의 용접 지점이 박리되어 도통 불량을 일으킬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회전 커넥터 (30) 는 안심하고 외부 커넥터의 착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 (20) 의 타방의 접속 단부와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 요컨대 가동측 하우징 (11) 의 상부 커넥터 유지부 (11a) 에 장착되는 리드 블록은, 예를 들어, 핀 단자가 대략 L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리드 블록은, 가동측 하우징 (11) 의 일부에서 각 핀 단자의 스토퍼부를 사이에 끼우지 않아도, 외부 커넥터의 착탈시에 핀 단자가 지지 부재에 대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는 없다. 단, 이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의 핀 단자가 스트레이트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리드 블록 (1) 과 마찬가지로, 가동측 하우징 (11) 의 일부 (예를 들어, 상부 로터 (15)) 를 이용하여 각 핀 단자의 스토퍼부를 사이에 끼워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 (20) 의 일방의 단부와 접속되는 리드 블록 (1) 은, 그 지지 부재 (2) 에, 복수의 핀 단자 (3) 의 쐐기 형상부 (3c) 가 강하게 끼워맞추어진 장착 구멍부 (9) 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핀 단자 (3) 의 기단부 (3b) 가 압입되어, 각 핀 단자 (3) 를 각각 평행하게 배열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끼워넣음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 부재 (2) 에 대한 핀 단자 (3) 의 장착 강도 및 장착 위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유지부로서 장착 구멍부 (9) 및 끼워넣음부 (2c) 가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 홈 (7) 이나 유지부로서 적용할 수도 있고, 끼워넣음부 (2c) 및 가이드 홈 (7) 의 양방을 유지부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 가이드 홈 (7) 만으로 유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하부 커버 (18) (제 1 케이스체) 및 외통부 (17) (제 2 케이스체) 가, 지지 부재 (2) 를 위치 결정 상태에서 스냅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 이들 하부 커버 (18) 및 외통부 (17) 에 대한 리드 블록 (1) 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평형 케이블 (20) 의 타방의 단부와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도,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리드 블록 (1) 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도시하지 않은 리드 블록에 있어서도, 지지 부재에 대한 핀 단자의 장착 강도 및 장착 위치 정밀도를 높이기 쉽고, 또한 평형 케이블 (20) 을 접속시킬 때의 작업 효율이 양호하여 접속 후의 도통 신뢰성도 높다.
1 : 리드 블록 (접속 부재) 2 : 지지 부재
2e : 위치 결정 돌기 2g : 외벽
3 : 핀 단자 3a : 선단부
3b : 기단부 3c : 쐐기 형상부 (끼워맞춤부)
3d : 접합부 3e : 스토퍼부 (걸림부)
4 : 저판부 5 : 돌제부
6 : 노출 구멍부 7 : 가이드 홈
8 : 위치 결정 돌기 9 : 장착 구멍부 (제 1 유지부)
10 : 끼워넣음부 (제 2 유지부) 11 : 가동측 하우징
11a : 상부 커넥터 유지부 12 : 고정측 하우징
12a : 하부 커넥터 유지부 13 : 고리상 공간
17 : 외통부 (제 2 케이스체) 17a : 하방 돌출부 (제 2 케이스체)
17b : 수납 오목 지점 (수납부) 18 : 하부 커버 (제 1 케이스체)
18a : 하방 돌출부 (제 1 케이스체) 18b : 유지 벽부
18d : 삽입 통과공 20 : 평형 케이블 (플랫 케이블)
21 : 띠상 도체 21a :접속부
22 : 절연 필름 23 : 도체 노출공 (구멍부)
30 : 회전 커넥터

Claims (6)

  1.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과,
    이들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 사이에 획성 (畵成) 된 고리상 공간과,
    상기 고리상 공간 내에 감김 상태로 수납되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띠상 도체가 접속부를 제외하고 1 쌍의 절연 필름으로 피복된 평형 케이블과,
    상기 평형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핀 단자를 갖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평형 케이블 및 상기 리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와 상기 복수 개의 띠상 도체가 교차하도록 중첩되어 구성된 회전 커넥터로서,
    상기 리드 블록은,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가,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의 지지 부재에 끼워넣어져 유지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는, 상기 지지 부재에 끼워넣어져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외벽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평형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는 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하우징 및 고정측 하우징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리드 블록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을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공이 형성된 유지 벽부를 갖고, 또한 상기 리드 블록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벽부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걸림부를 사이에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하우징은, 제 1 케이스체 및 제 2 케이스체를 스냅 결합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수납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통과공이 상기 제 1 케이스체에 형성되고, 그들 제 1 케이스체 및 제 2 케이스체에 의해 상기 리드 블록을 유지하는 커넥터 유지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를 끼워 삽입하여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의 기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를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도록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 사이에 상기 접합부를 배치하도록 형성한 노출 구멍부와,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가 상기 제 1 유지부로부터 제 2 유지부를 향하여 삽입될 때 그들 핀 단자의 표면이 노출되는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는, 상기 제 1 유지부의 내면에 파고들도록 형성된 끼워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케이블은, 상기 복수 개의 핀 단자의 접합부와 접속되는 접속부가, 상기 1 쌍의 절연성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 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KR1020120013748A 2011-03-14 2012-02-10 회전 커넥터 KR101322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5335 2011-03-14
JPJP-P-2011-055335 2011-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931A KR20120104931A (ko) 2012-09-24
KR101322593B1 true KR101322593B1 (ko) 2013-10-28

Family

ID=4575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48A KR101322593B1 (ko) 2011-03-14 2012-02-10 회전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678835B2 (ko)
EP (1) EP2500994B1 (ko)
JP (1) JP5802153B2 (ko)
KR (1) KR101322593B1 (ko)
CN (2) CN1026840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593B1 (ko) * 2011-03-14 2013-10-2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WO2012151368A2 (en) * 2011-05-03 2012-11-08 Cardioinsight Technologies, Inc. High-voltage resistance cable termination
EP2637264B1 (en) * 2012-03-09 2018-09-19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WO2014017649A1 (ja) * 2012-07-26 2014-01-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490465B2 (ja) * 2015-03-23 2019-03-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3453B2 (ja) * 2015-03-31 2019-05-15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ロック装置及びドアロック装置の製造方法
JP6293088B2 (ja) * 2015-05-11 2018-03-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599241B2 (ja) * 2016-01-13 2019-10-3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696791B2 (ja) * 2016-02-17 2020-05-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接続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7208521A1 (ja) * 2016-05-31 2017-12-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EP3467967B1 (en) * 2016-05-31 2021-11-24 Alps Alpine Co., Ltd. Rotary connector
JP6928851B2 (ja) * 2016-09-12 2021-09-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7084186B2 (ja) * 2018-03-30 2022-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立方法
CN109955843B (zh) * 2019-04-15 2023-09-15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epb卡钳线束的abs传感器
WO2021045047A1 (ja) * 2019-09-05 2021-03-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用フラットケーブル組立体
CN114050462B (zh) * 2021-11-01 2023-11-14 苏州瀚川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线缆头自动热铆焊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1129A (ja) * 1991-12-27 1993-09-2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接触子固定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2334763A (ja) * 2001-05-08 2002-11-22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2005310570A (ja) * 2004-04-22 2005-11-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用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007A (en) * 1982-05-25 1984-08-07 Amp Incorporated Pin terminal mounting system
US5674082A (en) * 1995-02-21 1997-10-07 Niles Parts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3253541B2 (ja) * 1996-10-25 2002-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と端子の接続構造
JPH10247541A (ja) * 1997-03-05 1998-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圧入端子
JP3378175B2 (ja) * 1997-07-08 2003-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線接続構造
JPH1197088A (ja) * 1997-09-18 1999-04-09 Harness Syst Tech Res Ltd 平形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3519008B2 (ja) * 1999-02-05 2004-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522148B2 (ja) * 1999-04-23 2004-04-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520220B2 (ja) * 1999-05-11 2004-04-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633413B2 (ja) * 2000-01-06 2005-03-30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US6232556B1 (en) 2000-02-23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Flat wire to round wire connection system
JP4716541B2 (ja) * 2000-04-14 2011-07-0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1297845A (ja) 2000-04-14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01341945A (ja) * 2000-05-30 2001-12-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EP1235313B1 (en) * 2001-02-21 2010-08-25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using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US6733300B2 (en) * 2001-07-05 2004-05-11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equipped with versatile lead block
US6547606B1 (en) * 2001-10-10 2003-04-15 Methode Development Company Termination assembly formed by diverse angularly disposed conductors and termination method
JP4024025B2 (ja) * 2001-10-11 2007-12-19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4001788B2 (ja) * 2002-07-03 2007-10-31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体アセンブリ及び電気接続箱
US6854977B2 (en) 2002-09-13 2005-02-15 Trw Inc. Steering wheel rotary connector
JP2006120512A (ja) * 2004-10-22 2006-05-11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2007213945A (ja) * 2006-02-09 2007-08-2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5097364B2 (ja) * 2006-06-30 2012-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JP4448882B2 (ja) * 2008-01-08 2010-04-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5123070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CN201323275Y (zh) 2008-11-14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403801B2 (ja) * 2009-07-02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11055335A (ja) 2009-09-03 2011-03-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22593B1 (ko) * 2011-03-14 2013-10-2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1129A (ja) * 1991-12-27 1993-09-2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接触子固定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2334763A (ja) * 2001-05-08 2002-11-22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2005310570A (ja) * 2004-04-22 2005-11-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用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38112A1 (en) 2012-09-20
EP2500994A1 (en) 2012-09-19
KR20120104931A (ko) 2012-09-24
JP2012209254A (ja) 2012-10-25
US20130237099A1 (en) 2013-09-12
CN103311770A (zh) 2013-09-18
US8678835B2 (en) 2014-03-25
US8888518B2 (en) 2014-11-18
CN103311770B (zh) 2015-06-03
CN102684029A (zh) 2012-09-19
CN102684029B (zh) 2015-03-11
JP5802153B2 (ja) 2015-10-28
EP2500994B1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593B1 (ko) 회전 커넥터
EP1737074B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EP1598901B1 (en) Joint box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WO2018047581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7250362A (ja) コネクタ構造およびコネクタ式端子台構造
JP2006127803A (ja) コネクタ
KR100526309B1 (ko) 하우징 및 그것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US9105998B2 (en) Connector
JP2006127989A (ja) フラット状のケーブルの挿通構造及び挿通方法
JP2015082406A (ja) 電池集合体と導電路付き端子との接続構造
JP2020187896A (ja) コネクタ
JP4861291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支持構造
JP2014060073A (ja) コネクタ
JP2012182072A (ja) リード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
JP3787055B2 (ja) 可撓性ケーブルとリードブロックとの接続方法
JP3716113B2 (ja) 導電性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4364480B2 (ja) 同軸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KR101450998B1 (ko) 회전 커넥터
JPH09283193A (ja) ケーブル分岐コネクタ
US20060154512A1 (en) Pressure-weldin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875096B (zh) 连接器
JP3975827B2 (ja) 配線ダクト
JP6937350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0513574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417915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