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916B1 -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916B1
KR101286916B1 KR1020117024869A KR20117024869A KR101286916B1 KR 101286916 B1 KR101286916 B1 KR 101286916B1 KR 1020117024869 A KR1020117024869 A KR 1020117024869A KR 20117024869 A KR20117024869 A KR 20117024869A KR 101286916 B1 KR101286916 B1 KR 10128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control
setting
control paramet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507A (ko
Inventor
신스께 히사쯔구
야스히꼬 야마자끼
마사하루 기노시따
히로아끼 이찌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2000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100)는 차량 탑재 장치(2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A) 및 설정 변경 족작 장치(111B)를 구비한다.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는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한다. 설정 변경 조작 장치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내용을 변경시킨다. 차량 탑재 장치(200)의 제어 모드가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변경되면, 제어 회로(101)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인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자동으로 대체함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자동으로 강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VEHICULAR INPUT MANIPULATION APPARATUS}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09-106807호에 기초하며 본원 명세서에서 참조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1] JP-2005-302653A
자동차 등의 차량은, 공조 장치, 카 오디오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차량 탑재 전자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 유닛 또는 장치를 구비하며, 입력 조작 장치는 예를 들어 차실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배치된다. 이러한 입력 조작 장치는 최근 다기능화되고 있어 다양한 지령 입력이 적은 수의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입력 조작 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은 2가지 유형의 조작 장치를 구비한다. 제1 조작 장치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작동 종(즉, 후보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선택 또는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제2 조작 장치는 지정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상세한 설정의 실행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지령 입력의 수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조작 장치의 후보 제어 파라미터의 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지령 입력의 수는 적은 수의 조작 장치보다 작을 수 없다.
그러나, 입력 조작 장치의 상기 구성은 이하의 문제를 갖는다. 즉, 의도한 제어 파라미터를 위한 임의의 지령 입력은 의도한 제어 파라미터가 제1 조작 장치를 사용하여 후보 제어 파라미터 중에서 선택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없다. 즉, 임의의 제어 파라미터의 지령 입력을 실행하기 위해서, 2단계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이는 조작 성능 또는 조작성면에서 단점이다.
특허 문헌1은 상기 2단계 조작 동작을 필요로 하는 입력 조작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다이얼 조작 장치는 조작 패널의 중앙 바닥에 배치되도록 제공되고, 차량 탑재 공조 장치용 다이얼 노브(즉, 다이얼 핸들)를 가지므로, 회전 조작(즉, 회전 조작 동작)뿐만 아니라 요동 조작(즉, 요동 조작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요동 조작 동작은 분출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 분출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 및 분출 공기 출구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공조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 조작 동작은 요동 조작 동작을 통해 선택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조정하는(또는 설정 내용의 설정 세부사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세부사항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입력 조작 장치는 2단계 조작 동작으로 인한 불편한 점을 갖는다. 예컨대, 이하에는 현재 OFF 상태에 있는 차량 탑재 공조 장치가 ON 상태(즉, 구동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차량 탑재 공조 장치의 일반적인 입력 조작 장치에서는, 분출 공기량을 지정할 뿐만 아니라 OFF 모드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한 설정 버튼이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공조 장치가 구동 상태로 복귀되는데 단지 한 번의 조작 동작 또는 지령 입력만이 필요하다. 이와 달리, 특허 문헌 1의 입력 조작 장치에서는, 구동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다이얼 조작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분출 공기량의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요동 조작 동작이 먼저 필요하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입력 조작 장치는 작동 실수를 유발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일반적인 차량 탑재 공조 장치는, 미리 결정된 자동 계산이 분출 공기 온도의 설정 값 또는 공조 장치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분출 공기량의 조정 또는 분출 공기 출구의 설정하는, 자동 모드를 갖는다. 이러한 자동 모드에서는, 자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 분출 공기량의 변경 또는 분출 공기 출구의 설정을 위한 지령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선택된 자동 모드는 해제되고 따라서 모드는 수동 모드로 복귀된다. 특허 문헌 1의 입력 조작 장치에서는, 분출 공기 온도 설정 외의 제어 파라미터가 이전의 요동 조작 동작의 결과로서 선택 유지되고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실수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어떤 약간 돌아간 회전 조작 동작에 의해 분출 공기량 또는 분출 공기 출구의 설정을 바람직하지 않게 변경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수반하여, 자동 모드는 의도하지 않게 해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적은 조작 동작을 통해 다양한 지령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적절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조작 동작에서 실수를 방지하는 것을 돕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차량 탑재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가 차량에 제공된다. 입력 조작 장치는 이하와 같이 제공된다. 차량 탑재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가 구비된다.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구비된다. 복수의 제어 모드에 포함된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를 차량 탑재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 전환 조작 장치가 구비된다.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부는,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될 때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자동 대체함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이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에는, (ⅰ) 제어 파라미터(즉, 제어 정보 항목) 중 하나를 차량 탑재 장치의 복수의 후보 제어 파라미터 중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 또는 선택하는 변경 대상 전환 조작 장치 및 (ⅱ) 지정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설정 변경 조작 장치의, 2개의 조작 장치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입력 조작 장치에서는, 차량 탑재 장치의 제어 모드가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된 제어 파라미터는 그대로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상기 예의 구성에 따르면, 차량 탑재 장치의 제어 모드가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변경되면, 변경 대상으로서 현재 지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강제 변경 또는 대체된다.
따라서,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지정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내용이 고도로 빈번하게 변경되는 경향이 있는 제어 파라미터에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변경된 후에, 고도로 빈번하게 조작되는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은 설정 변경 조작 장치를 사용하여 즉시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반복 횟수(즉, 높은 조작 빈도)를 갖는 조작 또는 지령 입력에 대해 파라미터 지정 및 설정 변경의 2단계 조작 동작은 불필요하다.
또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높은 조작 빈도를 갖는 제어 파라미터에 강제로 할당된다. 이러한 구성은 낮은 조작 빈도를 갖는 제어 파라미터로의 변경 또는 현재 지정되어 있는 제어 모드의 의도치 않는 해제와 같은 사용자의 오조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에서 사용된 방법은 차량 탑재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ⅰ) 차량 탑재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기 위한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와, (ⅱ) 차량 탑재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와, (ⅲ) 지정된 대상 제어 모드가 차량 탑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ⅳ)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된 제어 모드가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인 것으로 판정될 때,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인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자동 대체함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조작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력 조작 장치의 다기능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다기능 조작 장치의 회전 조작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다기능 조작 장치의 요동 조작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다기능 조작 장치의 압박 조작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차량 탑재 공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 전환 처리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선택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실시예에 따른 OFF 모드를 선택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3의 다기능 조작 장치의 슬라이드 조작 동작으로 대체된 조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다기능 조작 장치를 대체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다른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종래기술에서 자동 모드를 선택할 때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종래기술에서 자동 모드를 선택할 때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종래기술에서 OFF 모드를 선택할 때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종래기술에서 OFF 모드를 선택할 때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조작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차량용 공조 시스템(1)은 공조 장치(200)(차량 탑재 장치라고도 함) 및 입력 조작 장치(100)를 포함하고, 이들 두 장치는 서로 통신한다.
입력 조작 장치(100)는 제어 회로(101) 및 조작 패널(110)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101)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는 주지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ROM 또는 외부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1)는 조작 패널(110)에 배치된 다양한 유형의 조작 장치에 적용된 지령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지령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지령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차량 탑재 LAN(90)을 통해 공조 장치(200)에 입력한다.
조작 패널(110)은 공조 장치(200)의 작동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공조용 조작 장치로서 다기능 조작 장치(111)를 포함하여 다양한 설정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설정 스위치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조작 장치(100) 또는 조작 패널(110)의 본체의 전면(112)에 배치된다. 조작 패널(110)은 설정 스위치에 의해 지정된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120a)을 갖는 표시 장치(120)를 더 포함한다.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 및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의 2가지 기능을 포함한다.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즉, 설정 내용의 설정 세부사항 중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공조 장치(2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몇몇 제어 파라미터로부터 특정되는 제어 파라미터이다. 제어 파라미터는 제어 정보 또는 제어 정보 목록이라고도 한다.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는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선택 또는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쌍방향 조작되는 쌍방향 조작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장치(100)의 본체의 전면인 패널면(112)으로부터 돌출하고, 한편 패널면(112)과 교차(예컨대, 직교)하는 조작 축선(O)(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다이얼 조작 장치(회전 조작 장치라고도 함)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이얼 조작 장치는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로서의 역할을 한다. 다이얼 조작 장치에 적용된 회전 조작 동작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세부사항 중 하나의 지정 또는 설정 내용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회로(101)는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회전 조작 동작에 따라 공조 장치(200)에서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세부사항을 지정하거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설정 변경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복수의 (후보) 제어 파라미터 중에서 선택 또는 지정되며, 제어 파라미터 각각은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변경 순서로 변경 또는 지정되는 복수의 설정 세부사항을 갖는 설정 내용을 포함한다. 순방향 회전 조작 동작(예컨대, 시계방향 회전 조작 동작)이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지면, 설정 내용은 설정 세부사항에 관하여 순방향의 순차적인 변경 순서로 하나씩 변한다. 역방향 회전 조작 동작(예컨대, 반시계방향 회전 조작 동작)이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지면, 설정 내용은 설정 세부사항에 관하여 역방향의 순차적인 변경 순서로 하나씩 변한다. 변경 순서는 공조 장치(200)의 저장 장치(230)에 저장된다. 제어 회로(201)는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회전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입력 조작 장치(100)의 제어 회로(101)로부터 전송된 제어 지령 신호의 내용에 기초한 변경 순서로 설정 세부사항에 관련하여 설정 내용을 전환시킨다.
또한,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상기 순역방향 회전 조작 동작과 상이한 조작 동작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중립 위치(T)로부터 복수의 미리 결정된 변위 또는 이동 방향 중 하나로 조작 축선(O)을 변위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변위 조작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즉, 본 실시예의 도 5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조작 축선(O)이 중립 위치(T)로부터 미리 결정된 방향(예컨대, 우향 또는 좌향)으로 요동하게 하는 요동 조작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요동 조작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요동 조작 동작은 변위 조작 동작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변위 조작 동작은 요동 조작 동작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하는 슬라이드 조작 동작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요동 조작 장치는 상기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요동 조작 동작에 의해 공조 장치(200)의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는 입력 조작 장치(100)의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다. 제어 회로(101)는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요동 조작 동작에 기초하여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를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될 수 있는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의 전환 순서가 미리 결정되어 공조 장치(200)의 저장 장치(230)에 저장된다. 제어 회로(201)는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요동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입력 조작 장치(100)의 제어 회로(101)로부터 전송된 제어 지령 신호의 내용에 기초하는 전환 순서로 제어 파라미터들 사이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를 전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요동 조작 동작은 2개의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동 조작 동작이 순방향으로 이루어지면,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순 방향에 대해 미리결정된 상기 전환 순서로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에 하나씩 할당된다. 요동 조작 동작이 역방향으로 이루어지면,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역방향에 대해 미리 결정된 상기 전환 순서로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에 하나씩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조작 패널(110)의 패널면(112)의 중앙 바닥에 배치된다.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다이얼 조작 장치(111A)는 조작 노브(또는 핸들)(111a), 조작축 또는 축선(111b) 및 회전 조작 검출 장치(111A)로 구성된다. 조작 핸들(111a)은 회전 조작축(111b)의 상부 외주부에 부착된다. 회전 조작 검출 장치(111A)는 회전 조작 동작을 하는 조작 핸들(111a)의 위치를 검출한다.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요동 조작 장치라고 함)는 상기 조작 핸들(111a), 상기 조작축(111b), 조작축(111b)의 하부 외주부를 둘러싸는 요동 부재(111e), 요동 부재(111e)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요동 지주 부재(111i) 및 조작 핸들(111a)에 대한 미리 결정된 변위 또는 이동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 변위를 초과하는 요동 조작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요동 조작 검출 장치(111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요동 조작 동작은 패널면(112)의 2개의 좌우 방향 각각으로 조작 핸들(111a)을 요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 방향 지시기(112L, 112R)가 조작 방향(즉, 변위 조작 방향)을 지시하도록 패널면(112)의 조작 핸들(111a) 주변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다기능 조작 장치(111A)의 회전 조작 검출 장치(111A)는 조작축(111b)의 조작 축선의 후단부에 형성된 피검출 라인 부재(111c) 및 피검출 라인 부재(111c)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장치(111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 조작 검출 장치(111A)에서, 회전 변위 검출 장치(111d)는 로터리 인코더로 제공되고, 피검출 라인 부재(111c)는 원통형 조작축(111b)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조작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진폭을 갖는 패턴화된 톱니부가 제공된다. 로터리 인코더(111d)는 피검출 라인 부재(111c)의 각각의 검출부의 통과에 수반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검출 결과를 제어 회로(101)에 입력한다. 또한, 클릭 부재(111j)는, 조작 핸들(111a)의 회전을 허용하고 피검출 라인 부재(111c)의 패턴화된 톱니부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에 조작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로터리 인코더(111d) 및 클릭 부재(111j)는 제어 회로(101)와 전기접속되도록 회로 보드(111g)에 배치된다. 또한, 회전 조작 검출 장치(111A)는 다른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요동 조작 검출 장치(111B)는 요동 방향의 각각의 주변 단부에서 요동 부재(111e)에 제공되는 스위치 편향 부재(111k) 및 스위치 편향 부재(111k)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택트 스위치(111f)를 포함한다. 요동 조작 동작이 중립 각 위치(T)로부터 미리 결정된 각 변위를 초과하도록 조작 핸들(111a)에 가해지면, 대응하는 택트 스위치(111f)는 요동 방향의 요동 부재(111e) 주변 단부에 배치된 스위치 편향 부재(111k)에 의해 압박되어 편향된다. 택트 스위치(111f)는 압박 및 편향에 수반하여 작동 검출 신호를 출력하여 검출 결과를 제어 회로(101)에 입력한다. 택트 스위치(111f)도 회로 보드(111g)에 배치된다. 또한, 조작 핸들(111a)이 어떤 각 위치에 있을 때에도, 요동 부재(111e)에 가해진 어떤 요동 조작 동작도 요동 조작 검출 장치(111B)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요동 부재(111e)는 조작 축선(O)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요동 지주 부재(111i)를 통해 장치 본체(도시 생략)에 고정된다. 회전 조작 동작이 조작 핸들(111a)에 가해질 때에도, 스위치 편향 부재(111k)는 택트 스위치(111f)에 연속적으로 대향된다. 또한, 요동 조작 검출 장치(111B)는 다른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원통형 조작 핸들(111a)의 내측의 압박 조작 장치(111C)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압박 조작 장치(111C)는 조작 핸들(111a)의 조작 축선과 평행하게(즉, 조작 축선의 방향으로) 압박될 수 있다. 도 6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압박 조작 핸들(111n)은 조작 축선(O)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원통형 조작 핸들(111a)의 내측에 배치된다. 전방 단부면(111n1)이 장치 본체의 조작 동작을 수용하는 측에 있으며 압박 조작면으로서 규정된다. 후방 단부면(111n2)이 전방 단부면(111n1)의 반대쪽에 있으며 압박 조작 핸들(111n)에 가해진 압력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택트 스위치(111m)를 편향시키는 압박 편향면으로서 규정된다. 택트 스위치(111m)는 제어 회로(101)와 전기접속되도록 회로 기판(111g)에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압박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진 요동 조작 동작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변경 대상 제어 정보 항목이라고도 함)로서 공조 장치(200)와 관련되는 이하의 것들 중 하나, 즉 차실로 분출되는 공조 기류의 온도 설정 파라미터(분출 공기 온도 파라미터라고도 함),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분출 공기량 파라미터라고도 함), 및 분출된 공기 출구 설정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선택 또는 지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진 회전 조작 동작이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즉, 설정 내용의 복수의 설정 세부사항 중에서 설정 세부사항을 지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압박 조작 장치(자동 스위치)(111C)로서의 기능도 한다. 가해진 압박 조작 동작은 공조 장치(200)의 자동 모드(자동 공조)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조작 장치(111C)는 모드 전환 조작 장치 또는 자동 모드 지정 조작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10)은 다기능 조작 장치(111) 외의 다른 스위치, 즉 공조 장치(200)를 끄는 OFF 스위치(114)(모드 전환 조작 장치 또는 OFF 모드 지정 조작 장치라고도 함) 및 다른 스위치(115)를 포함한다. 다른 스위치(115)는 전방 성에 제거 스위치(115a), 후방 성에 제거 스위치(115b), 압축기 및 증발기를 작동시키는 A/C(공조) 스위치(115c), 화분 제거 스위치(115d), 및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 사이에서 흡입 공기를 변경시키기 위한 흡입 전환 스위치(115e)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위치는 압박 조작 장치(즉, 푸쉬 스위치)로서 구성된다. 압박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작동 신호가 제어 회로(101)에 출력된다. 작동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회로(101)는 제어 지령 신호를 공조 장치(200)의 제어 회로(201)에 전송한다.
표시 장치(120)의 표시 화면 또는 창(120a)이 패널면(112)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 부근에 배치된다. 예컨대, 표시창(120a)은 공조 장치(200)의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조작 패널면(112)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된다.
예컨대, 표시창(120a)에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전환 순서에 따라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의 각각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을 나타내도록 표시 영역(121, 122, 123)이 열로 배치된다. 표시창(120a) 아래에 배치된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즉,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요동 조작 동작에 의해 전환을 실행하여 배치된 열을 따라 표시 영역(121, 122, 123)을 하나씩 이동하거나 지정하도록 구성된다. 순 방향 요동 조작 동작의 이동 방향은 표시 영역(121, 122, 123)의 열의 순 방향에 일치하도록 규정된다. 따라서, 변경 대상으로 선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관련하여, 이동 조작에 의한 전환 순서는 표시 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창(120a)은 종방향이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의 요동 조작 동작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표시 영역(121, 122, 123)이 종방향으로 열로 배치된다.
공조 장치(200)는 주지의 전형적이 차량 탑재 공조 장치의 구성을 갖는다. 즉, 공조 장치(200)에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조 유닛(AU)이 제공된다. 도 7의 공조 유닛(AU)은 공기 유로의 역할을 하는 공조 케이싱(11)을 구비한다. 유로의 상류 부분에는, 차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내부 공기 흡입구(12) 및 차량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외부 공기 흡입구(13)가 제공된다. 공기 흡입구(12, 13)는 모터(19)에 의해 구동되는 내외부 전환 댐퍼(14)에 의해 택일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공조 케이싱(11)에서, 내외부 전환 댐퍼(14)의 하류 부분에는, 공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도시 생략)와 차실로 가는 공조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블로워 팬(16)을 구동시키는 공조 공기 발생 장치로서의 블로워 모터(17)가 배치된다. 블로워 모터(17)는 각각의 공기 흡입구(12, 1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각각의 공기 분출구(31, 32, 33)를 향해 송풍한다.
공조 케이싱(11)에서, 블로워 모터(17)의 하류 부분에는, 증발기(25)가 있다. 증발기(25)는 압축기(24), 캐패시터(23) 및 팽창 밸브(21)와 함께 냉매를 순환시키는 주지의 냉동 회로를 구성한다.
공조 캐이싱(11)에서, 증발기(25)의 하류 부분에는, 공기 혼합 댐퍼(37) 및 히터 코어(26)가 있다. 공조 케이싱(11)은 (ⅰ)증발기(25)를 통과한 공기를 히터 코어(26)를 통해 하류측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온기 통로(28) 및 (ⅱ)우회 채널로서의 기능을 하며 공기를 히터 코어(26)를 우회시킴으로써 하류측으로 도입시키는 냉기 통로(27)를 수용한다. 공기 혼합 댐퍼(37)는 온도 조정 구동 수단 또는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모터(29)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 구동은 히터 코어(26)를 통과하는 온기와 우회 패널(27)을 통과하는 냉기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차실로 분출되는 분출 공기(공조 기류)의 온도를 조정한다.
히터 코어(26)는 통과하는 공기를 차량 주행용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엔진(EG)의 내측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열원을 사용하여 가열한다. 히터 코어(26)와 엔진(EG) 사이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순환 회로(30)가 배치된다. 전동 펌프(도시 생략)의 작동에 의해 엔진(EG)에서 가열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26)로 이동하게 되고 히터 코어(26)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전동 펌프를 통해 엔진(EG)으로 복귀하게 된다.
공조 케이싱(11)의 하류 단부에는, 윈드실드(FG)의 내측을 향해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성에 제거 공기 분출구(33), 탑승자의 상반신을 향해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페이스(face) 공기 분출구(32) 및 차량 탑승자의 다리를 향해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풋(foot) 공기 분출구(31)가 배치된다. 공기 분출구(31, 32, 33)의 상류 부분에는, 모드 전환 댐퍼(34, 35, 36)가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모드 전환 댐퍼(34, 35, 36)의 개폐 구동은 모터(39)에 의해 실행된다.
공조 장치(200)의 제어 회로(201)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는 주지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작동 중에 ROM 또는 외부 저장 장치(230)에 저장된 다양한 공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조작 패널(110)에 가해진 다양한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제어 회로(201)는 차량 탑재 LAN(90) 및 통신 인터페이스(140)(통신 수단)를 통해 입력 조작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지령 신호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 회로(201)는 다양한 공조 센서(51 내지 55)의 검출 결과 정보를 취득하고 이러한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공조 구동 장치(24, 211 내지 214)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공조 구동 장치(211 내지 214)는 구동 엑추에이터 또는 모터(17, 19, 29, 39) 및 구동 회로(41 내지 44)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회로(41 내지 44)는 제어 회로(201)로부터 수신된 구동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엑추에이터[내외부 공기 전환 댐퍼용 모터(19), 블로워 모터(17), 공기 혼합 댐퍼용 모터(29), 모드 전환 댐퍼용 모터(39)]에 각각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공조 센서(51 내지 55)는 차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내부 공기 온도 센서(53), 차량의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부 공기 온도 센서(52),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 센서(51),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54) 및 상기 증발기(25)를 통과한 직후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증발기후(post-evaporator) 센서(55)를 포함한다. 각각의 검출 결과 정보는 제어 회로(201)에 출력된다.
공조 장치(200)의 제어 회로(201)는 2 이상의 제어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설정 또는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다양한 공조 구동 장치(211 내지 214, 24)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 모드(자동 공조), OFF 모드 및 수동 모드(일반적인 모드)의 3가지 유형의 제어 모드가 선택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공조 장치(200)에서 지정된 제어 모드는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201)는 각각의 제어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 지정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자동 모드는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공조 장치(200)의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가 목표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고, 목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제어 내용(즉, 설정 내용)은 목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연산 처리를 이용하여 자동 설정 또는 지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200)에 관련하는 자동 모드에서,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즉, 온도 조정 기능을 위한 제어 파라미터)가 목표 제어 파라미터로서 설정되고, 잔여 제어 파라미터는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즉, 팬 기능용 제어 파라미터) 및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즉, 모드 기능용 제어 파라미터)이다. 상기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은 온도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 및 공조 센서(51 내지 55)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에서 자동 설정 또는 지정된다.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 및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은, 공조 제어에 종종 사용되고 취득된 공기 온도를 제어하는 주지의 TAO 방법에 따른 연산 처리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계산된다.
제어 회로(101)는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진 회전 축선 방향 압박 조작 동작인 자동 모드 지정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제어 회로(201)에 자동 모드를 지정 또는 할당하는 자동 모드 지정 수단 또는 부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 회로(101)는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이하, 자동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라 함)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자동 모드를 해제시킴으로써 제어 회로(201)에 수동 모드를 지정 또는 할당하는 자동 모드 해제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OFF 모드는 공조 장치(200)가 미리 결정된 대기 상태(정지 상태 포함)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모드로서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OFF 모드는 적어도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와 같은 다른 제어 모드에 비해 공조 장치(200)에 낮은 동력 소비 상태를 제공하는 제어 모드이다. 본 실시예의 OFF 모드에 따르면, 차실을 환기시키기 위해, 블로워 구동 장치(214)는 미리 결정된 레벨에서 연속 구동되고, 다른 구동 장치(211 내지 213, 24)는 OFF 상태(비구동 상태)에서 유지된다. 공조 장치(200)의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에는, 설정 내용의 변경에 수반하여 현재 지정된 OFF 모드를 해제시켜 구동 상태로 복귀시키는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가 있다.
제어 회로(101)는 OFF 스위치(114)에 가해진 압박 조작 동작인 OFF 모드 지정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제어 회로(201)에 OFF 모드를 지정 또는 할당하는 OFF 모드 지정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어 회로(101)는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에 대한 조작 동작(OFF 모드 해제 조작 동작이라 함)에 수반하여 제어 회로(201)의 OFF 모드를 해제시키고 수동 모드로 전환 또는 수동 모드를 지정하는 OFF 모드 해제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가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차량 탑재 장치(200)의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 외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도록 조작 동작이 이루어지면, 설정 내용의 변경은 제어 회로(101)에 의해 금지되고 해제되어 변경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회로(101)는 설정 변경 억제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수동 모드는 조작 패널(110)의 다양한 설정 스위치에 의해 지정 또는 설정되는 다양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에 따라 다양한 공조 구동 장치(17, 19, 29, 39, 24)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모드이다. 수동 모드는 자동 모드 또는 OFF 모드를 해제시키는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설정 또는 지정된다. 이와 달리, 수동 모드는 자동 모드, OFF 모드 등을 설정 또는 지정하는 모드 전환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해제된다.
표시 장치(120)는 공조 장치(200)의 제어 파라미터 중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될 수 있는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을 창에 표시하는 설정 표시 수단 또는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표시 장치(120)는, 창에서의 표시에 있어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가 시각적으로 인식되거나 시각적으로 강조되는 대상 파라미터 지시 수단 또는 장치로서의 기능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창(120a)은 공조 기류의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즉, 설정 세부사항)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21), 공조 기류의 온도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즉, 설정 세부사항)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22) 및 공조 기류의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즉, 설정 세부사항)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23)을 포함한다.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선택 또는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은 강조된 상태(L)로 표시되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지 않은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은 강조되지 않은 상태(M)로 표시된다. 도 9a 내지 도 9c의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에서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될 수 있는 모든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121, 122, 123)이 표시된다. 도10a 내지 도 10c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 모드에서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또는 설정 세부사항만이 표시되고,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공조 장치(200)에 관련하여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의 구동 상태와 OFF 모드의 대기 상태를 검출 또는 인식할 수 있게 한다. OFF 모드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표시 상태(N)는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의 비강조 상태(M)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본 실시예의 111A에 상당) 및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본 실시예의 111B에 상당)의 기능 모두를 갖는 본 실시예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와 같은 입력 조작 장치를 갖는 종래의 공조 시스템이 있다. 자동 모드 및 OFF 모드와 같은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공조 장치(200)에서 지정되면, 도 13a 내지 도 13c, 도 14a 내지 도 14c, 도 15a 내지 도 15c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가 실행된다.
도 13a 또는 도 13c를 참조하면, 수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팬 기능) 또는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모드 선택 기능)에 할당된다. 그 다음, 자동 모드(자동 공조)가 지정되어 공조 장치(200)의 수동 모드를 대체하는 전환을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 수동 모드가 자동 모드로 전환될 때,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즉, 도 13a의 (2) 및 도 13c의 (2)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팬 기능) 및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모드 선택 기능)에 각각 할당된다. 따라서,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되면, 의도적으로 지정된 자동 모드는 해제되고 수동 모드가 자동 모드를 대체함으로써 다시 지정된다.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가장 빈번하게 실행되는 사용자의 조작은 자동 모드에서 목표 제어 파라미터인 온도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의 변경이다. 이를 위해, 종래의 장치에 관련하여, 온도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추가의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즉, 도 14a의 (3) 및 도 14c의 (3)를 참조하면,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에 대해 추가의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즉,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를 조작한 후,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가 조작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조작성을 갖는 2단계 또는 2회의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또한, 도 15b 또는 도 15c를 참조하면,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온도 조정 기능) 또는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모드 선택 기능)에 각각 할당된다. 그 다음, OFF 모드(공조 OFF)가 지정되어 공조 장치(200)에서 전환을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 OFF 모드가 지정되면,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설정 내용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될 때, 도 15b 또는 도 15c를 참조하면,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의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온도 조정 기능) 또는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모드 선택 기능)에 각각 할당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조작이 실행될 수 없다.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가장 빈번하게 실행되는 사용자의 조작은 OFF 모드의 해제 및 공조 장치(200)의 재구동이다. 이를 위해, 종래의 장치에 관련하여, 이러한 조작(즉,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조작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추가의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즉, 도 16b의 (3) 및 도 16c의 (3)을 참조하면, 목표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에 대해 추가의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즉,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를 조작한 후,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가 조작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조작성을 갖는 2단계 또는 2회의 조작 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공조 장치(200)의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에서 최대 반복 횟수/최고 선호도를 갖는 조작 동작을 실행할 때, 2단계 조작 동작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아 조작성을 저하시킨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는 공조 장치(200)의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일단 지정되고 1단계 조작 동작으로 사용자의 최고 우선도의 조작이 실행될 수 있는 구성을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입력 조작 장치(100)의 제어 회로(101)가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전환을 수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순서도 및 순서도의 처리는 예컨대 S1로서 표현되는 섹션(단계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섹션은 복수의 하위 섹션으로 나뉠 수 있으며, 복수의 섹션은 단일 섹션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섹션의 각각은 수단 또는 유닛이라 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장치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장치로서도 달성될 수 있다.
S1에서, 입력 조작 장치(100)의 제어 회로(101)는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조작 동작의 존재 또는 부재를 판정한다. S1에서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의 전환 조작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정되면, 처리는 S2로 진행된다. S1에서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의 전환 조작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현재의 처리는 종료된다.
S2에서, 제어 회로(101)는 공조 장치(200)의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에 포함된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인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를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강제 전환을 실행한다. 그 다음 현재의 처리는 종료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1)는 처리 S2에 의해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 수단 또는 섹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현재의 처리는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도 8의 처리를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자동 모드 및 OFF 모드 각각에 할당되는 경우에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팬 기능)이 지정되어 있는 동안 수동 모드가 자동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b는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온도 조정 기능)이 지정되어 있는 동안 수동 모드가 자동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c는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모드 선택 기능)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수동 모드가 자동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3개의 경우 중 어떤 경우에도, 자동 모드로 전환된 후,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가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려고 하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즉, 본 경우에 온도 설정 파라미터)에 강제로 또는 자동으로 할당된다(즉, 강제된다). 그러므로, 자동 모드로 전환된 후, 회전 조작 동작이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지면, 온도 설정 제어 파라미터는 즉시 조정될 수 있어 종래의 2단계 조작 동작을 제거한다.
또한, 도 10a는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팬 기능)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OFF 모드가 지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b는 공기 온도 설정 제어 파라미터(온도 조정 기능)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OFF 모드가 지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c는 공기 분출구 설정 제어 파라미터(모드 선택 기능)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OFF 모드가 지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3개의 경우 중 어떤 경우에도, OFF 모드로 전환된 후,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OFF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려고 하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즉, 본 경우에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에 강제로 또는 자동으로 할당된다(즉, 강제된). 그러므로, OFF 모드로 전환된 후, 회전 조작 동작이 다기능 조작 장치(111)에 가해지는 경우, OFF 모드는 해제되고 수동 모드가 즉시 지정되어 종래의 2단계 조작 동작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예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될 필요가 없으며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다기능 조작 장치(111)는 (ⅰ)조작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 동작, (ⅱ)조작 축선을 요동시키는 요동 조작 동작, 및 (ⅲ)조작 축선 방향의 압박 조작 동작의 3개의 조작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다. 이것으로 제한될 필요없이, 다른 조작 동작이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조작 동작 대신에, 순역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 동작이 변위 조작 동작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다기능 조작 장치(111)가 반드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조작 장치(111)를 제공하는 대신에, 조작 패널(110)은 (ⅰ)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6) 및 (ⅱ)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선택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7)의 서로 독립적인 조작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전환 순서는 공조 기류의 온도 설정 파라미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 및 분출 공기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200)의 3개의 제어 파라미터에 관련하여 미리 결정된다.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7)가 조작될 때마다, 상기 제어 파라미터는 전환 순서에 따라 그들 사이에서 전환된다. 설정 전환 조작 장치(116)의 2개의 요소(116A, 116B)는 조작이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요소(116A) 및 요소(116B)는 각각 순방향 조작 요소 및 역방향 조작 요소로서 조작 패널(110)에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자동 스위치가 조작 장치(116A, 116B, 117) 외의 다른 조작 장치(113)로서 조작 패널(110)에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장치의 다양한 조작 장치(111A, 111B, 111C, 114, 115 등)가 올인원 유닛으로서 표시 장치(120)에 통합된다. 그러나, 조작 장치는 표시 장치에 통합될 필요가 없고 표시 장치와 별도의 독립적인 유닛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 및 시트 부근에 배치되는 원격 조작 장치를 포함하거나 표시 장치 및 상기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 장치를 대체하는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도록 다른 구성이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지 장치(120)는 액정 표시 유닛(도트/세그먼트), 형광 표시관, 또는 복수의 LED를 이용한 지시기일 수 있으며 한가지 방법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또한, 표시 장치(120)에서, 강조된 상태는 예컨대 선택가능한 기능 대 선택불가능한 기능, 작동가능한 상태 대 작동불가능한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점에 있어서, 차이가 인식될 수 있는 한, 어떤 방식도 채용될 수 있다. 즉,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 중에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표시(즉, 선택가능한 기능의 표시)가 잔여 제어 파라미터(선택불가능한 기능)의 표시에 비해 강조될 필요가 있고, OFF 모드 중에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표시(즉, 작동가능한 상태의 표시)가 잔여 제어 파라미터(작동불가능한 상태)의 표시에 비해 강조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강조 방식 외의 어떤 방식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차량 탑재 장치가 공조 장치(200)인 예를 제공하지만, 다른 차량 탑재 장치가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입력 조작 장치를 오디오 장치에 적용되면, 이하의 차량 탑재 오디오 시스템이 예시될 수 있다. 차량 탑재 오디오 시스템의 입력 조작 장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 및 설정 변경 조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볼륨 설정을 변경시키고 오디오 장치에서 연주될 노래를 선택하기 위해서,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는 볼륨 설정 파라미터 및 노래 선택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퍼라미터로서 선택적으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설정 변경 조작 장치는 현재 지정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오디오 장치는 노래가 현재 등록된 노래 전환 순서 및 미리 결정된 오디오 볼륨으로 재생 또는 연주되는 자동 모드를 갖는다.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볼륨 조정 조작 동작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면, 볼륨이 조정되는 한편 자동 모드는 유지된다. 이와 달리, 노래 선택 조작 동작이 이루어지면, 자동 모드는 해제되고 선택된 노래가 재생된다. 따라서, 자동 모드가 오조작으로 인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자동 모드를 지정하는 조작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볼륨 설정 파라미터에 강제로 할당된다.
위에서 설명된 처리, 단계, 또는 수단의 각각 또는 임의의 조합이 관련된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섹션 또는 유닛(예컨대, 서브루틴) 및/또는 하드웨어 섹션 또는 유닛(예컨대, 회로 또는 집적 회로)로서 달성될 수 있고, 하드웨어 섹션 또는 유닛은 마이크로컴퓨터 내측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부분 또는 유닛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섹션 또는 유닛의 임의의 조합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다운로드되고 설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발명의 양태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가 차량 탑재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 차량에 제공된다. 입력 조작 장치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차량 탑재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기 위해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가 포함된다.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해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포함된다. 복수의 제어 모드에 포함된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를 차량 탑재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기 위해 모드 전환 조작 장치가 포함된다.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될 때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자동으로 대체함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도록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부가 구성된다. 여기서,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는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이다.
상기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로서, 차량 탑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 및 목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갖는 자동 모드일 수 있고, 자동 모드에서는,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이 목표 제어 파라미터의 지정된 설정 내용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지정될 수 있고, 목표 제어 파라미터는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목표 제어 파라미터를 강제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함으로써 자동 모드 동안 차량 탑재 장치에 의해 실행된 자동 제어의 목표 제어 파라미터(즉, 제어 목표 값)를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자동 모드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되면, 사용자의 가장 높은 조작 우선도를 갖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는 즉시 변경될 수 있다. 선택 조작 동작 및 변경 조작 동작의 2단계 조작 동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입력 조작 장치의 상기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잔여 제어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될 때 자동 모드를 해제시키도록 자동 모드 해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자동 모드의 해제의 완료는 잔여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 및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변경 조작의 2단계 조작 동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자동 모드를 실수로 해제시킬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입력 조작 장치의 상기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차량 탑재 장치는 공조 장치일 수 있고,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에 포함된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는 자동 모드에서 목표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될 수 있고, 자동 제어 모드에서 공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및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은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및 공조 장치에 포함된 공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탑재 공조 장치(즉, 자동차 공조기)에서 자동 모드가 지정되면, 설정 변경 조작 장치의 조작의 변경 대상은 분출 공기 온도 설정에 강제로 할당된다. 자동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에 의해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된 조작은 분출 공기 온도의 조정이고, 따라서 최우선도를 갖는 조작은 1단계 조작 동작만으로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온도를 조정하는 조작 동작을 실행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실수가 감소될 수 있고, 실수는 자동 모드의 해제 또는 의도하지 않은 조작일 수 있다.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로서,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는 차량 탑재 장치가 미리 결정된 대기 상태에 있게 하는 OFF 모드일 수 있고, 제어 파라미터는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이 변경될 때 OFF 모드가 해제되게 하는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될 때 OFF 모드를 해제시키고 차량 탑재 장치를 구동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OFF 모드 해제부가 설정될 수 있고,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는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변경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는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된다. OFF 모드 동안, 사용자에 의한 가장 높은 조작 우선도는 다른 제어 파라미터에 비해 OFF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에 주어져서 차량 탑재 장치를 재구동시킨다. 따라서, OFF 모드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되면, 사용자에 의한 가장 높은 조작 우선도를 갖는 OFF 모드 해제 조작/재구동 조작은 1단계의 조작 동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대기 상태는 적어도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평균 전력 소비보다 낮은 평균 전력 소비를 제공하는 제어 모드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설정 변경 조작 장치에 의한 조작 동작에 수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의 변경을 금지하도록 설정 변경 억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는 OFF 모드 해제 기능 제어 파라미터를 제외하는 제어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 탑재 장치가 OFF 모드시 상기 대기 상태에 있을 때, 기본적으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OFF 모드시의 쓸데없는 조작 및 오조작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 탑재 공조 장치일 수 있고, 공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는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규정될 수 있다.
차량 탑재 공조 장치(즉, 자동차 공조기)에서 OFF 모드가 지정되면, 설정 변경 조작 장치의 조작의 변경 대상은 분출 공기량 설정에 강제로 할당된다. OFF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에 의한 최고 우선도로 실행된 조작은 차량 탑재 공조 장치의 재구동(즉, OFF 모드의 해제)이다. 재구동 조작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최고 우선도를 갖는 공기량 설정 조작은 1단계의 조작 동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로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상이한 조작 동작으로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설정 변경 조작 장치는 추가로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조작 장치의 수는 감소될 수 있는 한편 차량 탑재 장치의 조작 패널 상의 스위치의 배치 공간은 감소될 수 있어, 입력 조작 장치의 다기능화에 기여한다.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로서, 설정 전환 조작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쌍방향 조작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순역 방향의 변경 조작 동작이 달성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전환 순서에 따라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것에 대해서 조작성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쌍방향 조작 장치는 입력 조작 장치의 조작체의 전면과 교차하는 미리 결정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얼 조작 장치일 수 있다.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로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및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다이얼 조작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이얼 조작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쌍방향 조작 장치의 기능을 갖는다. 다이얼 조작 장치는 입력 조작 장치의 조작체의 전면과 교차하는 미리 결정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허용된다. 다이얼 조작 장치는 회전 축선을 중립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방향 중 하나로 변위시키는 변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더 허용된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변위값을 초과하는 변위 조작 동작이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에 대해 이루어질 때, 다이얼 조작 장치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와 연관된 제어 파라미터로 대체시키는 변경을 실행한다.
이러한 구성하에, 다이얼 조작 장치는 변위 조작 동작뿐만 아니라 회전 조작 동작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 대상으로서 선택 또는 지정하는 선택 조작은 변위 조작에 할당될 수 있고, 변경 대상으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변경 조작이 회전 조작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향상된 조작성을 제공하고 배치 공간을 감소시키는 조작 장치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다이얼 조작 장치에 의한 변위 조작 동작은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동작 또는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요동시키는 요동 조작 동작일 수 있다.
다이얼 노브 또는 핸들과 관련하여, 변위 조작 동작은 회전 조작 동작과 매우 상이하여, 이들 사이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로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및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는 조작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조작 장치는, 조작체의 전면의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부근에서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 장치, 및 조작체의 전면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 부근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된 대상 파라미터 지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의 각각의 지정 상태를 더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설정 내용이 변경되는 것이 허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오조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입력 조작 장치의 선택가능한 양태에서, 대상 파라미터 지시 장치는 설정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중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에 비해 강조된 상태로 지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의 각각의 지정 상태를 표시하는 하나의 표시창에서 현재 설정 내용이 변경되는 것이 허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8)

  1. 차량 탑재 공조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차량의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1)로서,
    상기 공조 장치가 미리 결정된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는 OFF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모드 중 하나를 공조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하기 위한 전환을 실행하는 모드 전환 조작 장치(111C, 114)와,
    상기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공조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기 위한 전환을 실행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와,
    상기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를 구비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1)이며,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상기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될 때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대체시킴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도록 구성된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부(101, S2)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부(101, S2)는, OFF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가 조작될 때, 공조 장치가 대기 상태로부터 구동 상태로 복귀되고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는 다른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OFF 모드를 대체시키는 공조 장치의 강제 대상 제어 파라미터인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를 강제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는 제1 제어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이전의 제어 모드를 대체한 OFF 모드 하에 조작될 때, 상기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는, 제1 제어 파라미터가 제어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인지에 관계없이,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 섹션(101, S2)에 의해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강제로 지정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와, 목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2개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 및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 2개를 구비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갖는 자동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모드에서, 잔여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이 목표 제어 파라미터의 지정된 설정 내용 및 공조 장치에 포함된 공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를 이용하여 자동 지정되고,
    상기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 섹션(101, S2)은 자동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될 때 강제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강제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잔여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는 상태에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되면 자동 모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자동 모드 해제 섹션(101)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설정 변경 조작 장치에 의한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공조 공기량 제어 파라미터를 제외한 제어 파라미터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의 변경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된 설정 변경 억제 섹션(101)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조작 동작과는 상이한 조작 동작으로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전환 조작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조작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쌍방향 조작 장치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 조작 장치는 입력 조작 장치의 조작체의 전면과 교차하는 미리 결정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는 다이얼 조작 장치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회전 축선을 중립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방향 중 하나로 변위시키는 변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더 허용되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에 의한 변위 조작 동작은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동작 또는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요동시키는 요동 조작 동작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및 목표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는 다이얼 조작 장치(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쌍방향 조작 장치의 기능을 더 갖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입력 조작 장치의 조작체의 전면과 교차하는 미리 결정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회전 축선을 중립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방향 중 하나로 변위시키는 변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더 허용되고,
    미리 결정된 변위 값을 초과하는 변위 조작 동작이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에 대해 이루어질 때,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지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와 연관되는 제어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에 의한 변위 조작 동작은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동작 또는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요동시키는 요동 조작 동작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및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는 조작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 조작 장치는, 조작체의 전면의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부근에서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 장치(120)와,
    조작체의 전면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 부근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대상 파라미터 지시 장치(12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파라미터 지시 장치는, 설정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중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에 비해 강조된 상태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나타내도록 더 구성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4. 차량 탑재 공조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조 장치가 미리 결정된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는 OFF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모드 중 하나를 공조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공조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를 사용하여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며,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에 가해진 조작에 기초하여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되어 있는 OFF 모드가 해제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실행하는 단계(S1)와,
    상기 판정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조 장치가 구동 상태로 복귀되고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는 다른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OFF 모드를 대체시키기 위해 공조 장치의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지정함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차량 탑재 공조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차량의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1)로서,
    제어 모드 중 하나를 공조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모드 전환 조작 장치(111C, 114)와,
    상기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공조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111B)와,
    상기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드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와, 목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2개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 및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 2개를 구비한 제어 파라미터를 갖는 자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모드에서, 상기 잔여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이 목표 제어 파라미터의 지정된 설정 내용 및 공조 장치에 포함된 공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를 이용하여 자동 지정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1)이며,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될 때,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이전의 제어 파라미터를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자동 대체함으로써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도록 구성된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 섹션(101, S2)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부(101, S2)는, 자동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될 때, 강제 대상 제어 파라미터인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강제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제어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지정된 이전의 제어 모드와 대체되어 자동 모드가 지정되면,
    상기 강제 대상 제어 파라미터인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는, 이전의 제어 파라미터가 제어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인지에 관계없이,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 섹션(101, S2)에 의해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강제 지정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 잔여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는 상태에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가 조작되면 자동 모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자동 모드 해제 섹션(101)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는 공조 장치가 미리 결정된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는 OFF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상 파라미터 강제 전환부(101, S2)는, OFF 모드가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 변경 조작 장치(111A)가 조작될 때, 공조 장치가 대기 상태로부터 구동 상태로 복귀되고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는 다른 미리 결정된 제어 모드로 OFF 모드를 대체시키는 공조 장치의 강제 대상 제어 파라미터인 공조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를 강제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OFF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설정 변경 조작 장치에 의한 조작 동작에 수반하여 공조 공기량 제어 파라미터를 제외하는 제어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의 변경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된 설정 변경 억제 섹션(101)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는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상이한 조작 동작으로서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전환 조작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조작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쌍방향 조작 장치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 조작 장치는 입력 조작 장치의 조작체의 전면과 교차하는 미리 결정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는 다이얼 조작 장치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회전 축선을 중립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방향 중 하나로 변위시키는 변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더 허용되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에 의한 변위 조작 동작은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동작 또는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요동시키는 요동 조작 동작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및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는 다이얼 조작 장치(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순역 방향으로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쌍방향 조작 장치의 기능을 더 갖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입력 조작 장치의 조작체의 전면과 교차하는 미리 결정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는 회전 축선을 중립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방향 중 하나로 변위시키는 변위 조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더 허용되고,
    미리 결정된 변위 값을 초과하는 변위 조작 동작이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에 대해 이루어질 때,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의 기능은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와 연관된 제어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 장치에 의한 변위 조작 동작은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동작 또는 회전 축선을 미리 결정된 방향 중 하나로 요동시키는 요동 조작 동작인,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및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는 조작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 조작 장치는, 조작체의 전면의 설정 변경 조작 장치 부근에서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 장치(120)와,
    조작체의 전면의 대상 파라미터 전환 조작 장치 부근에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대상 파라미터 지시 장치(12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파라미터 지시 장치는, 설정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 중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하나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에 비해 강조된 상태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 지정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나타내도록 더 구성되는,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28. 차량 탑재 공조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의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제어 모드 중 하나를 공조 장치의 대상 제어 모드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모드 중 하나 하에 공조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설정 내용이 변경될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하는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드는 목표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와, 목표 제어 파라미터 외의 적어도 2개의 잔여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량 설정 파라미터 및 분출구 설정 파라미터 2개를 구비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갖는 자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모드에서, 잔여 제어 파라미터 각각의 설정 내용이 목표 제어 파라미터의 지정된 설정 내용 및 공조 장치에 포함된 공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를 이용하여 자동 지정되는, 방법이며,
    상기 지정된 대상 제어 모드가 공조 장치의 자동 모드인지에 대한 판정을 실행하는 단계(S1)와,
    상기 판정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이전 제어 파라미터를 자동 모드와 연관된 강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조 공기 온도 설정 파라미터로 자동 대체함으로서 변경 대상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전환을 강제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24869A 2009-04-24 2010-04-15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KR101286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6807A JP5279597B2 (ja) 2009-04-24 2009-04-24 車両用操作装置
JPJP-P-2009-106807 2009-04-24
PCT/JP2010/057189 WO2010123084A1 (en) 2009-04-24 2010-04-15 Vehicular input manipu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07A KR20120008507A (ko) 2012-01-30
KR101286916B1 true KR101286916B1 (ko) 2013-07-16

Family

ID=4232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869A KR101286916B1 (ko) 2009-04-24 2010-04-15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2190B2 (ko)
JP (1) JP5279597B2 (ko)
KR (1) KR101286916B1 (ko)
CN (1) CN102405146B (ko)
DE (1) DE112010001722B4 (ko)
WO (1) WO2010123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8059B2 (en) * 2007-08-24 2015-12-22 Denso Corporation Input apparatus for vehicle
JP5831474B2 (ja) * 2013-02-28 2015-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探索制御装置および探索操作システム
USD752630S1 (en) * 2013-12-0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103487B2 (ja) * 2015-03-25 2017-03-29 ヤマハ株式会社 パラメータセットの設定方法および設定装置
US9894836B2 (en) * 2016-01-14 2018-02-20 Deere & Company Machine operation enhancement
US10144288B2 (en) 2016-03-31 2018-12-0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LCD display with highlighting
JP2020175816A (ja) * 2019-04-19 2020-10-29 マツダ株式会社 車載空調用入力装置および該方法
KR20210016718A (ko) * 2019-08-05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DE102020214882A1 (de) * 2020-11-26 2022-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ehste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570A (ja) 2000-06-08 2001-12-21 Yazaki Corp 多機能スイッチ装置
JP2005302653A (ja) 2004-04-15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表示装置
JP2006264636A (ja) 2005-03-25 2006-10-05 Denso Corp 空調装置用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105A (ja) * 1986-08-20 1988-03-07 Diesel Kiki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JP3031951B2 (ja) 1990-05-09 2000-04-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空気調和装置
DE4041193A1 (de) * 1990-12-21 1992-07-02 Daimler Benz Ag Bedienungsgeraet fuer eine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es
JPH0591920U (ja) * 1992-05-19 1993-12-14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07172145A (ja) 1993-12-21 1995-07-11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
FR2760213B1 (fr) 1997-03-03 1999-05-14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une installation, notamment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a organe de commande unique
JP2003327059A (ja) 2002-03-08 2003-11-19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入力装置
JP3838170B2 (ja) * 2002-07-08 2006-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構造
US20050021190A1 (en) * 2003-07-24 2005-01-27 Worrell Barry 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vehicle systems
JP2006079407A (ja) 2004-09-10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ユニット
JP2006205753A (ja) * 2005-01-25 2006-08-1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コントロールパネル
JP4636546B2 (ja) * 2005-08-02 2011-02-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の空調スイッチ装置
JP2007320521A (ja) 2006-06-05 2007-12-13 Calsonic Kansei Corp エアコン操作部の表示構造
US20080088577A1 (en) * 2006-10-11 2008-04-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multifunction control system
GB2441340A (en) * 2006-12-22 2008-03-05 Automotive Electronics Ltd Ab Operator interface sensing a touch position on a movable portion
JP2008299242A (ja) 2007-06-04 2008-12-11 Denso Corp 自動車用液晶表示装置
JP2009106807A (ja) 2007-10-26 2009-05-2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Vocガス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2009255831A (ja) * 2008-04-18 2009-11-05 Kojima Press Co Ltd 自動車用手動入力装置
KR100946460B1 (ko) * 2008-09-30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570A (ja) 2000-06-08 2001-12-21 Yazaki Corp 多機能スイッチ装置
JP2005302653A (ja) 2004-04-15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表示装置
JP2006264636A (ja) 2005-03-25 2006-10-05 Denso Corp 空調装置用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01810A1 (en) 2011-12-08
JP2010254144A (ja) 2010-11-11
CN102405146B (zh) 2015-03-25
WO2010123084A1 (en) 2010-10-28
KR20120008507A (ko) 2012-01-30
JP5279597B2 (ja) 2013-09-04
DE112010001722B4 (de) 2016-10-20
CN102405146A (zh) 2012-04-04
US8812190B2 (en) 2014-08-19
DE112010001722T5 (de)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916B1 (ko)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US6304803B1 (en) HVAC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EP1569073B1 (en) Single knob multifunction controller and display unit
US8555660B2 (en) Operation unit for vehicle air conditioner and vehicle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JP4617930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7156167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998091B2 (ja) 車両にある空調装置又は自動空調装置の操作用回路装置
CN110001354A (zh) 一种车载控制系统
JPH09286228A (ja) 車両用空調機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94744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구조 및 작동 방법
JP48481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234743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711730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JP4005893B2 (ja) モード切換スイッチ
JPH0848134A (ja) 空調装置の作動表示方法
JPS6061327A (ja) 自動制御空調装置
JP405902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4000160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311251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59100008A (ja) エアコン用コントロ−ルパネル制御装置
JP2020117188A (ja) 車載制御装置
KR20070038343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JPS58140545A (ja) 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H10147193A (ja) 車載用モニタ装置
JPS6363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