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480B1 - 신축성 생지 - Google Patents

신축성 생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480B1
KR101259480B1 KR1020077021001A KR20077021001A KR101259480B1 KR 101259480 B1 KR101259480 B1 KR 101259480B1 KR 1020077021001 A KR1020077021001 A KR 1020077021001A KR 20077021001 A KR20077021001 A KR 20077021001A KR 101259480 B1 KR101259480 B1 KR 10125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resin
elastic
tightening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485A (ko
Inventor
케이 오야
에리나 카와이
히로유키 후쿠시마
카츠히코 야나기
세이타로우 시오다
Original Assignee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filed Critical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6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는 생지의 표면 상에 조임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신축성 생지로서, 조임부가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를 갖고,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이며, 탄성 수지는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인 것이다.
Figure R1020077021001
신축성 생지

Description

신축성 생지{STRETCH FABRIC}
본 발명은 신축성 생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 또는 정형하거나, 자세를 교정하거나, 운동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능을 갖는 의류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거들, 브래지어, 수영복에 대해서 폴리우레탄 또는 나일론 수지의 패턴을 의류표면에 부여함으로써 필요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를 발생시켜 상기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평07-048644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의류에서는 생지에 부여된 수지부분(이하 「수지부」라고 함)의 신도(伸度)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의류는 수지부를 신체에 밀착시켜서 신축시킨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수지부를 추종시키는 것이 불충분하게 되어 충분한 조임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 수지부의 구속력이나 파워에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의류에서는 수지 부여 전후의 통기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고, 통기성이 불충분하면 특히 보텀 의류에 있어서는 피부가 물러지거나 해서 착용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짐과 아울러 우수한 착용감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신축성 생지, 의류, 의료,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 및 의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성능을 만족시키는 의류이면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를 발생시켜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1)의류가 조임부(緊締部)를 갖고, 조임부가 착용자의 자세교정 등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조임력(신체 구속력 내지 파워)을 갖는 것.
(2)의류는 신체에 밀착되어 신축되므로, 그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정도의 신도를 갖고, 또한 신축을 반복해도 조임력이 상실되지 않는 것.
(3)의류는 신체에 밀착되어 사용되므로, 생지가 양호한 통기성을 갖고, 또한 조임부의 통기성이 상실되지 않는 것.
즉, 본 발명은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조임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신축성 생지로서, 조임부가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를 갖고,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이며, 탄성 수지는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modulus)가 5N/㎟이하인 것인 신축성 생지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조임부란 직접 신체에 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자극을 주는 것이 가능한 부위를 말한다.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란 착용시에 상정되는 하중시의 신도를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폭 2.5cm의 시료에 대해서 22.1N의 하중을 가해서 측정했을 때의 신장율(%)로 나타내어진다. 또, 생지의 날실방향이란 생지의 편립(編立) 방향을 말한다. 파단 신도란 수지 필름에 하중을 가해서 파단했을 때의 신도를 말하고, 수지의 신장 용이성 및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00% 모듈러스란 200% 신장시의 수지응력을 말하고, 수지의 유연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신축성 생지를 이용하여 의류로 하면, 조임부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되므로, 착용자가 예를 들면 보행 등을 하는 것만으로 밀착되는 부위의 움직임에 상기 조임부가 추종하여 착용자의 신체(특히 근육)에 직접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를 생지 조직의 적소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수지부와 생지를 구비하는 조임부는 충분한 통기성을 가짐과 아울러 충분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부를 갖는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는 피부가 물러지는 등의 사태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자세교정 등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조임력(신체 구속력 내지 파워)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 생지의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 및 수지부의 파단 신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신축성 생지를 사용한 의류에 있어서 조임부는 의류의 신체의 움직임에 확실하게 추종할 수 있고, 또한 신축을 반복해도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의하면,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 또는 정형하거나, 자세를 교정하거나, 운동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의 두께는 7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의 두께란 수지부를 갖는 생지의 두께로부터 생지의 두께를 나눈 값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신축성 생지(10)는 생지(12)와 수지부(15)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고, 수지부(15)의 일부 즉 탄성 수지의 일부는 생지(12)에 침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신축성 생지(10)에 있어서는 수지부의 두께는 a를 의미한다.
수지부의 두께를 75㎛이하로 함으로써, 촉감에 있어서의 요철감 및 수지감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미끄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생지의 감촉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탄성 수지의 생지로의 침투도가 생지의 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바람직하게는 50%이내가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내가 되도록 상기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탄성 수지의 생지로의 침투도는 신축성 생지를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사진에 기초해서 생지에 침투되어 있는 탄성 수지의 두께로부터 구해진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신축성 생지(10)에 있어서는 생지에 침투되어 있는 탄성 수지의 두께는 b이며, 생지의 두께는 c이다. 이 경우, 탄성 수지의 생지로의 침투도는 식[침투도(%)=b/c×100]으로 구해지는 값이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조임부의 조임력 및 추종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생지의 통기성을 충분히 유지시키는 관점에서,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생지의 실 교락부(交絡部)를 구속하도록 상기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이 0.5㎖/㎠·s이상의 통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통기성이란 JIS L 1096(프래지르(frazir)법)으로 측정되고, 의류 외내 기상이 생지를 통해서 왕래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또, 통기성의 수치가 높을수록 물러지는 느낌의 억제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충분한 신체 구속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이 생지에 대하여 4배이상의 긴박력(緊迫力)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긴박력이란 신축에 있어서의 줄어들 때의 응력을 말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 신장시의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충분한 신체 구속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이 생지에 대하여 4배이상의 신장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신장력이란 신축에 있어서의 신장시의 응력을 말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 신장시의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반복 착용된 경우의 신체 구속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히스테리시스가 0∼8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히스테리시스란 신장력과 긴박력의 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히스테리시스란 식 [히스테리시스=10% 신장력-10% 긴박력]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또, 히스테리시스는 0에 가까운 쪽이 안정된 신체 구속력이 얻어지고, 착용감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수지부의 두께가 75㎛이하이며, 탄성 수지의 생지로의 침투도가 생지의 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50%이내이며, 또한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생지의 실 교락부를 구속하도록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즉, 수지부가 상기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생지 상의 두께, 침투도를 상기 범위로 하고, 생지조직의 적소에 배치됨으로써 이러한 수지부와 생지를 구비하는 조임부는 충분한 통기성을 가짐과 아울러 충분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이 0.5㎖/㎠·s이상의 통기성을 갖고, 생지에 대하여 4배이상의 긴박력을 갖고, 또한 히스테리시스가 0∼8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발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신축성 생지에 의하면, 신체 구속력, 신체 구속력의 장기 안정성 및 착용감을 고수준으로 밸런스 좋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는 상기 생지가 폴리우레탄 탄성사(彈性絲)사를 포함하는 편지(編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상기 의류는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할 수 있고, 또한 신축을 반복해도 신축성을 보다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수지 도트가 2차원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부를 갖는 조임부는 조임부의 전체면이 수지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조임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이 큰 부분에 조임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조임부의 조임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자세교정 등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조임력을 발휘하면서 신체가 움직이기 어렵다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조임부는 방향성을 막론하고, 신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조임부를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복수의 수지 라인이 일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부를 갖는 조임부는 특히 라인의 방향에 대하여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라인의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하면, 특히 세로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고,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조임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착용감의 관점에서, 일방향으로만 조임력을 가하고 싶은 경우에는 신체의 부분에 따라 상기의 조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로 이루어지는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류는 보텀 의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류가 거들 또는 쇼츠인 의료를 제공한다. 이 경우, 착용자의 하반신의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조임부가 대퇴 사두근 등에 대하여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퇴 사두근이 자극되어 대전근(大殿筋)이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들 또는 쇼츠를 착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아름다운 힙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은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인 생지의 한쪽면 상의 소정 위치에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인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를 날염후의 두께가 75㎛이하이며, 생지의 두께에 대한 탄성 수지의 침투도가 50%이내이며, 또한 탄성 수지가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생지의 실 교락부를 구속하도록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지에 수지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을 사용함으로써, 수지부의 형상 및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은 스크린 날염판 또는 로터리 날염판에 상기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대량생산도 가능해지므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의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를 수지부가 신체에 대하여 반대측(외측)이 되도록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의료는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지며, 착용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짐과 아울러 우수한 착용감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신축성 생지, 의류, 의료,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 및 의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f)는 띠형상의 조임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신축성 생지의 수지부가 형성된 측의 상방으로부터 조임부를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며, 도 4의 (b)는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를 생지의 두께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부호의 설명)
1:거들 2:본체부
3a,3b,3c,3d:조임부 5:수지부
이하,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면중, 동일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비율은 도시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의 (a)는 거들 앞면측, 도 1의 (b)는 거들 뒷면측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거들(1)은 힙 트레이닝용의 보텀 의류이다. 거들(1)은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일부에 형성된 조임부(3a,3b 및 3c)로 구성된다. 또, 이하에 있어서, 조임부(3a)와 조임부(3b)와 조임부(3c)와 조임부(3d)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조임부(3)라고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b)에 있어서, 조임부(3)는 착용자의 신체에 거들(1)이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조임부(3a)는 거들(1)의 허리부 상단에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리부 상단의 앞면측에서 단부끼리가 떨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조임 부(3b)는 대퇴부의 앞측이며 대퇴부 내측으로부터 대퇴부 외측을 향해 띠형상으로 2개 형성되어 있고, 대퇴부의 중앙부근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차되어 있는 부분에는 조임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부(3d)는 둔부홈을 따라 둔열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조임부(3c)는 둔열부로브터 멀어짐에 따라서 앞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거들(1)을 착용하면, 조임부(3a)는 인체의 장골릉에 접촉하므로, 이 부위에 조임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거들(1)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허리를 조여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임부(3c)는 조임부(3b)보다 강한 조임력을 발휘하고, 인체의 장극점과 슬개 중앙점의 중간점에 대응하는 부위에 접촉하므로, 이 부위에 위치하는 대퇴 사두근에 대해서 강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대퇴 사두근이 자극되므로, 착용자가 보행하는 경우 자연히 다리가 뒤까지 크게 차지게 되어 대전근이 쓰여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용이하게 아름다운 힙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 조임부(3b)는 조임부(3c)보다 약한 조임력을 갖고, 상기 중간점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부(3b)는 대퇴근에 자극을 가하면서도 근육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임부(3d)는 둔부홈에 접촉하므로, 이 부위에 위치하는 대둔근에 대하여 조임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아름다운 힙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부(3d)는 둔열측으로부터 양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앞이 가늘 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임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조정되어, 특히 서거나 앉거나 할 때의 착용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3)는 수지부를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임부(3)를 거들(1)에 형성하면, 거들(1)은 조임부(3)가 돌출된 형태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임부(3)는 거들(1)에 대해서 외측(신체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거들(1)을 착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2)는 생지로 이루어지고, 조임부(3a, 3b 및 3c)는 상기 생지에 수지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생지로서는 천연섬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합적으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이들 생지에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사를 복합시킨 것이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생지는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촉감이 좋고, 의류에 적합한 물성, 감촉, 염색 견뢰도가 얻어지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생지의 조직은 경편지, 위편지 또는 스트레치 직물 등의 신축성이 있고, 신도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경편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생지의 형상이 안정되고, 풀어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상기 의류는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할 수 있고, 또한 신축을 반복해도 신축성을 보다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지는 신축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파워 스위칭된 생지가 바람직하다. 단부가 봉제 끝처리가 불필요한 소재로 되어 있고, 탄성사의 개수나 굵기를 바꾸거나, 편성조직을 바꿈으로써 부분적으로 파워의 강약차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수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강한 파워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140∼180%이다. 생지의 인장 신도가 100%미만이면 착용자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생지의 인장 신도가 200%를 넘으면 신체에의 밀착성과 피트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는 폭 2.5cm의 시료에 대하여 22.1N의 하중을 가해서 측정했을 때의 신장율(%)로 나타내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수지의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0∼1500%이다. 탄성 수지의 파단 신도가 500%미만이면 조임부가 신장한 경우, 수지부가 손상되어 신장력, 긴박력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탄성 수지의 파단 신도가 1500%를 넘으면 신장력 및 긴박력이 충분히 얻어지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수지의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5N/㎟이하이다. 200% 모듈러스가 5N/㎟를 넘으면 조임부의 감촉이 현저히 딱딱해짐과 아울러, 조임부가 신장된 경우에 수지가 박리되기 쉬워져 신장력, 긴박력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수지의 200% 모듈러스는 0.5N/㎟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의 파단 신도, 및 생지의 인장 신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고, 또한 신축을 반복해도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거들(1)에 의하면,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 또는 정형하거나, 자세를 교정하거나, 운동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지부의 두께는 7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부의 두께가 75㎛를 넘으면 수지가 생지의 조직 사이를 채우기 쉬워져 통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지부의 두께가 75㎛를 넘으면 요철감이 발생하여 촉감도 수지감이 강해지고, 미끄럼성도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수지부의 생지에 대한 침투성은 생지의 두께에 대하여 50%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이다. 수지침투가 50%이상이 되면 감촉이 현저하게 딱딱해지고, 또한 피부면측으로의 수지 이면누설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에 견디기 어려운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조임부중, 수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3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30%미만이면 수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임력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이러한 비율이 커지면 조임력도 강해진다.
상기 수지부를 구성하는 탄성 수지에는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 또는 나일론 수지가 이용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수지부가 상기 탄성 수지로 구성되고, 이러한 수지부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조임부는 자 세교정 등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조임력(신체 구속력 내지 파워)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수지부를 구성하는 탄성 수지가 우레탄이면 생지에 대한 밀착성, 유연성,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은 분자내에 에테르 결합,또는 카보네이트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지 자체가 변색이나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임부(3)는 상기 생지와 상기 수지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조임부(3)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통기성이 0.5㎖/㎠·s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s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기성이 0.5㎖/㎠·s이상이면 착용시에 피부가 물러지는 등의 사태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조임부(3)에 있어서, 「수지부를 갖는 부분」이란, 생지가 수지부로 덮여져 있는 부분을 말하고, 상기 통기성 및 신장력의 값은 생지가 전부 수지부로 덮여져 있는 부분을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여기에서, 조임력(신체 구속력 내지 파워)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임력의 강도는 긴박력 및 신장력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긴박력은 100∼15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긴박력이란, 신축에 있어서의 줄어들 때의 응력을 말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 신장시의 값을 말한다. 긴박력이 100cN미만이면 긴박력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저하되고, 원래 필요로 되는 기능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고, 긴박력이 150cN를 넘으면 긴박력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지나치게 강해서 착용시에 압박되어 착용감이 떨어 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긴박력은 생지의 긴박력에 대하여 4배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긴박력은 생지의 긴박력에 대하여 10배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부 중 수지를 갖는 부분의 긴박력이 생지의 긴박력에 대하여 4배미만이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저하되고, 원래 필요로 되는 기능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긴박력이 생지의 긴박력에 대하여 10배를 넘으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지나치게 강해서 착용시에 압박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신장력은 150∼20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신장력이란 신축에 있어서의 신장시의 응력을 말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 신장시의 값을 말한다. 신장력이 150cN미만이면 신장력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신장력이 200cN을 넘으면 신장력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지나치게 강해서 착용시에 압박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조임부 중 수지를 갖는 부분의 신장력은 생지의 신장력에 대하여 4배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임부 중 수지를 갖는 부분의 신장력은 생지의 신장력에 대하여 10배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부 중 수지를 갖는 부분의 신장력이 생지의 신장력에 대하여 4배미만이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저하되어 원래 필요로 되는 기능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신장력이 생지의 신장력에 대하여 10배를 넘으면 상기 범위에 있 는 경우에 비해 신체 구속력이 지나치게 강해서 착용시에 압박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조임부 중 수지부를 갖는 부분의 히스테리시스는 0∼8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히스테리시스란 신장력과 긴박력의 차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히스테리시스=10% 신장력-10% 긴박력
에 의해 구해진다. 히스테리시스가 80cN을 넘으면 히스테리시스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비해 착용시에 안정된 신체 구속성이 얻어지기 어렵게 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긴박력, 신장력, 히스테리시스가 모두 상기 범위이면, 조임부는 충분한 조임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조임부(3)에 있어서의 수지부(5)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임부에 있어서의 수지부(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의 (a)∼(f)에 나타내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1 조임부」라고 한다.)는 생지의 전부가 수지부로 덮여져 있다. 단, 수지부는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는 않는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 1 조임부는 특히 강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거들(1)의 조임부(3c)의 형상이 상기 제 1 조임부의 형상에 상당한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2 조임부」라고 한다.)는 도 2의 (c)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3 조임부」라고 한다.) 및 도 2의 (d)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4 조임부」라고 한다.)는 생지 상에 수지부(5)가 격자상으로 형성되어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조임부는 제 3 조임부 및 제 4 조임부와 비교해서 인접하는 격자 간격이 가장 좁게 되어 있으며, 제 4 조임부가 가장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조임부는 제 1 조임부보다 약하고, 제 3 조임부 및 제 4 조임부보다 강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고, 제 3 조임부는 제 4 조임부보다 강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거들(1)의 조임부(3c)의 형상이 상기 제 2 조임부의 형상에 상당하고, 도 1에 나타내는 거들(1)의 조임부(3d)의 형상이 상기 제 3 조임부의 형상에 상당하고, 도 1에 나타내는 거들(1)의 조임부(3a)의 형상이 상기 제 4 조임부의 형상에 상당한다.
도 2의 (e)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5 조임부」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수지부(5)는 생지 상에 상기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도트가 2차원상으로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의 제 5 조임부는 상기 제 1∼4 조임부보다 조임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이 큰 부분에 조임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조임부의 조임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신체가 움직이기 어렵다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5의 조임부는 방향성을 막론하고, 신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조임부를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f)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6 조임부」라고 한다.) 및 도 2의 (g)에 나타내는 조임부(이하 편의적으로 「제 7 조임부」라고 한다.)에 서는 수지부(5)는 생지 상에 상기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지 라인이 일정 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의 조임부는 특히 수지 라인의 방향에 대하여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수지 라인의 방향을 세로방향으로하면 특히 세로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고,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조임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착용감 등의 관점에서 일방향으로 조임력을 가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신체의 부분에 따라 조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6 조임부는 제 7 조임부보다 인접하는 수지 라인간의 간격이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6 조임부는 제 7 조임부보다 강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6 및 7 조임부는 신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조임부를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2의 (a)∼(d), (f) 및 (g)에 나타내듯이, 수지부는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조임부는 근육의 수축에 대하여 압박력 뿐만 아니라, 생지방향의 조임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조임부는 형성되는 수지부의 위치, 형상에 따라 조임력의 강도나 조임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육의 움직임이나 착용감 에 따라 원하는 조임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를 갖는 신축성 생지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지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 및, 의류 및 의료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생지를 준비한다. 상기 생지는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는 폭 2.5cm의 시료에 대해서 22.1N의 하중을 가해서 측정했을 때의 신장율(%)로 나타내어지는 값을 말한다. 다음에 상기 생지의 한쪽면 상의 소정 위치에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인 탄성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액을 생지 상에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의 두께로 잔존시키고, 또한 생지의 두께에 대한 침투도가 50%이내이며, 또한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실 교락부를 구속한 상태가 되도록 도포한다. 상기 수지액은 탄성 수지를 형성하는 성분, 예를 들면 주제(主劑)로서의 수지, 가교제 및 촉매 등을 물이나 용제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것이 이용된다. 수지로서는 특히 수계 분산형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우수하다. 수지액을 도포한 후에는 고온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150℃이상의 고온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지의 피막성이 향상되어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액에는 수지부의 두께나 탄성 수지의 생지로의 침투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적당히 증점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 수지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 전사,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날염, 로터리 날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으로 날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에서는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전사에서는 의류의 통기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생지에 수지액을 도포하는 방법을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으로 함으로써, 수지부의 형상 및 두께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스크린 날 염 또는 로터리 날염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스크린 날염판 또는 로터리 날염판에 소정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면, 라인, 도트 등의 패턴을 갖는 수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속해서 도포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도 가능해지고, 생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에 의해 조임부가 형성되는 의류는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지고, 착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인 생지의 한쪽면 상의 소정 위치에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인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를 날염후의 두께가 75㎛이하이며, 생지로의 침투도가 생지의 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50%이내이며, 또한 탄성 수지가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생지의 실 교락부를 구속하도록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임부가 형성된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신체에 대하여 반대측)이 되도록 봉제함으로써 의류를 제작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의류가 가랑이를 갖는 의류인 경우, 가랑이를 갖는 의류의 가랑이천(클로치)부분에는, 고신축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류를 착용해서 보행하면, 보폭이 넓어지게 되므로 보폭을 벌리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들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는 보텀 의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텀 의류로서는 거들 이외에도, 브래지어, 거들, 쇼츠, 스패츠, 맨즈용 스패츠, 수영복, 타이즈, 서포터, 스타킹, 스포츠용 타이즈, 레오타드, 보디슈트, 남성용 팬츠, 웨이스트 니퍼 등의 의료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임부의 형상은 띠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지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조임부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띠형상, 다이아몬드형상, 타원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의 (e)에 나타내는 조임부의 수지 도트는 사각형이지만, 원형이나 타원형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생지의 준비]
나일론(44dtex, 34필라멘트) 67%와, 폴리우레탄(78dtex) 33%를 32G 트리콧 덴비조직으로 짜서 생지를 얻었다. 이 생지를 상법에 의해 정련하고, 190℃에서 2분간 열처리했다. 그 후에 다시 상법으로 염색하고, 건조시켰다.
[수지액의 제작]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슈퍼 플렉스 E4000」(다이이치 고교세이야쿠 가부시 키가이샤 제, 상품명) 100질량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라스트론 BN11(다이이치 고교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5질량부와, 유기금속계 경화 촉매 「에라스트론 CAT21」(다이이치 고교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0.25질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이 혼합액에 액의 점도가 20000cps/20℃가 되도록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 「슈퍼 플렉스 VF」(다이이치 고교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를 첨가하여 수지액으로 했다.
[도포공정]
수지를 도포하기 위해서 스크린 날염판을 준비했다. 이 스크린 날염판으로서는 700메시의 사(紗, 얇고 성기게 짠 견직물의 일종)를 준비했다. 이 사에는 사진 제판법에 의해 소정 위치에 솔리드 무늬(도 2의 (a)에 나타내어지는 무늬)를 제작했다.
상기 수지액을 상기 스크린 날염판을 이용하여 자동 날염기에 의해 고무 스퀴지로 생지 상에 솔리드 무늬(도 2의 (a)에 나타내어지는 무늬)로 날염했다. 날염후의 생지는 120℃에서 열풍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킴으로써 수지부를 형성하여 조임부로 했다. 또, 수지부는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형성되어 있었다. 계속해서, 후처리로서 실리콘계 유연제 3질량%와 물 97질량%로 이루어지는 처리액으로 수축율 40%로 패딩처리하고, 120℃에서 2분간, 다시 170℃에서 1분간 열처리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1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이 신축성 생지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의 (a)에 나타내어지는 사진은 신축성 생지의 수지부가 형성된 측의 상방으로부터 조임부를 촬영한 것이며, 도 4의 (b)에 나타내 어지는 사진은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를 생지의 두께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촬영한 것이다.
[봉제공정]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해서 얻어진 조임부가 형성된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1의 의류를 얻었다.
(실시예2)
실시예1에 있어서의 생지를 나일론(33dtex, 26필라멘트) 70%와, 폴리우레탄(44dtex) 30%를 36G 트리콧 덴비 조직으로 짜여진 생지로 변경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예2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2의 의류를 얻었다.
(실시예3)
수지액의 제작시, 수지액의 점도가 30000cps/20℃가 되도록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예3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3의 의류를 얻었다.
(실시예4)
수지액의 제작시,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슈퍼 플렉스 E4000」대신에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슈퍼 플렉스 E4800」(다이이치 고교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100질량부를 사용하여, 수지액의 점도가 20000cps/20℃가 되도록 폴리 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첨가량을 조정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4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4의 의류를 얻었다.
(참고예1)
수지액의 제작시, 수지액의 점도가 5000cps/20℃가 되도록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첨가량을 조정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참고예1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참고예1의 의류를 얻었다.
(참고예2)
수지액의 제작시, 수지액의 점도가 50000cps/20℃가 되도록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첨가량을 조정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참고예2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참고예2의 의류를 얻었다.
(실시예7)
도포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린 날염판의 무늬로서 솔리드 무늬(도 2의 (a)에 나타내어지는 무늬) 대신에 격자무늬(도 2의 (b)에 나타내어지는 무늬:선폭 1mm, 세로 및 가로방향의 선간격이 각각 2mm)를 제작하고, 이 스크린 날염판을 이용하여 수지액을 생지 상에 격자무늬(도 2의 (b)에 나타내어지는 무늬)로 날염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7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7의 의 류를 얻었다.
(실시예8)
도포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린 날염판의 무늬로서 솔리드 무늬(도 2의 (a)에 나타내어지는 무늬) 대신에 격자무늬(도 2의 (b)에 나타내어지는 무늬:선폭 1mm, 세로 및 가로방향의 선간격이 각각 6mm)를 제작하고, 이 스크린 날염판을 이용하여 수지액을 생지 상에 격자무늬(도 2의 (b)에 나타내어지는 무늬)로 날염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8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8의 의류를 얻었다.
(실시예9)
수지액의 제작시, 수지액의 점도가 40000cps/20℃가 되도록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첨가량을 조정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9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실시예9의 의류를 얻었다.
(비교예1)
실시예1에 있어서의 생지를 양이온화 폴리에스테르(33dtex, 26필라멘트) 62%와, 폴리우레탄(44dtex) 38%를 36G 트리콧 하프 조직으로 짜여진 생지로 변경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1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비교예1의 의류를 얻었다.
(비교예2)
실시예1에 있어서의 생지를 폴리에스테르(56dtex, 34필라멘트) 82%와, 폴리우레탄(44dtex) 18%를 32G 트리콧 하프 조직으로 짜여진 생지로 변경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2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비교예2의 의류를 얻었다.
(비교예3)
수지액의 제작시,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슈퍼 플렉스 E4000」대신에 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슈퍼 플렉스 700」(다이이치 고교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100질량부를 사용하여 수지액의 점도가 20000cps/20℃가 되도록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첨가량을 조정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3의 신축성 생지를 얻었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얻은 신축성 생지를 조임부의 수지부가 외측이 되도록 봉제하여 비교예3의 의류를 얻었다.
(평가방법)
[조임부의 인장 신도]
인스트론형 만능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제, 오토그래프 AG-1)를 이용하여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 2.5cm×15cm(길이방향이 생지의 날실방향)를 잘라낸 시료를 측정 간격 10cm로 셋트하고, 생지의 날실방향으로 22.1N의 하중을 가했다. 이 하중시의 신장율(%)을 조임부의 인장 신도로 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생지의 인장 신도]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사용된 생지를 2.5cm×15cm(길이방향이 생지의 날실방향)로 잘라내어 측정 시료로 했다. 이들을 상기 인스트론형 만능 인장 시험기에 측정 간격 10cm로 셋트하고, 생지의 날실방향으로 22.1N의 하중을 가했다. 이 하중시의 신장율(%)을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로 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신장력, 긴박력의 측정]
신장력, 긴박력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 인스트론형 만능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제, 오토그래프 AG-1)의 신도측정으로부터 구했다.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를 2.5cm×15cm 잘라낸 것, 및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사용된 생지를 2.5cm×15cm 잘라낸 것을 시료로 했다. 우선, 이들 시료에 대해서 파지 간격 10cm로 14.7N의 하중을 가했다. 다음에 하중시의 신도가 60%미만일 때에는 인장 속도 300±20mm/min로 시료길이(파지 간격)의 40%까지의 신도회복을 하고, 상기 신도가 60∼80%일 때에는 마찬가지로 시료길이 60%까지의 신도회복을 하고, 상기 신도가 80%이상일 때에는 마찬가지로 시료길이 80%까지의 신장 회복을 했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하고, 3회째의 신장 회복시의 10% 신장시의 값을 신장력, 회복시의 값을 긴박력으로 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통기도]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 20cm×20cm를 실제 착용시에 가까운 신장율인 가로세로 10% 신장상태로 측정기에 셋트하고, JIS L 1096(프래지르형법)에 기초하여 통기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두께]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를 5매 겹쳐서 두께 측정기(형식 SM-1201, 테크록사 제)에 의해 압박력을 가볍게 가한 상태에서 두께를 측정했다. 그리고, 또한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의 각각에서 사용한 생지의 수지부가 없는 부분 5매분의 두께를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하고, 이들 값의 차에 기초해서 신축성 생지 1매당에 있어서의 수지부의 두께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수지의 파단 신도]
수지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바람으로 건조시킨 후, 170℃에서 5분간 열처리해서 두께가 500㎛인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을 2.5cm×10cm로 잘라내어, JIS L 1096 A(시료폭 2.5cm, 파지 간격 5cm, 인장 속도 15cm/min)법에 의해 인스트론형 만능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제, 오토그래프 AG-1)를 이용하여 필름을 파단시켰다. 그 파단시켰을 때의 신도(신장율%)를 측정하고, 이 값을 수지의 파단 신도로 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수지의 모듈러스]
수지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바람으로 건조시킨 후, 170℃에서 5분간 열처리해서 두께가 500㎛인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을 2.5cm×10cm로 잘라내어 JIS L 1096 A(시료폭 2.5cm, 파지 간격 5cm, 인장 속도 15cm/min)법에 의해 인스트론형 만능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제, 오토그래프 AG-1)를 이용하여 필름을 신장시켰다. 이 필름을 200% 신장시켰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이 값을 수지의 200% 모듈러스로 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수지 침투성]
조임부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수지의 생지로의 침투도를 도 3에 나타내듯이 생지에 침투되어 있는 탄성 수지의 두께(b) 및 생지의 두께(c)의 값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생지의 두께에 대한 비율로서 구했다.
침투도(%)=b/c×100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수지 피복 면적 비율]
조임부중의 수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으로서,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에 대해서 조임부의 단위면적당 차지되는 수지부의 면적 비율(%)을 구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미끄럼성]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의류의 조임부를 시료로 하고, 그 수지면을 손바닥, 손등으로 만져 그 때의 촉감을 이하의 지표로 3단계 평가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수지감 없음
△:수지감 약함
×:수지감 강함
[감촉]
실시예1∼4, 7∼9, 참고예1, 2 및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의류의 조임부를 시료로 하고, 그 감촉을 이하의 지표로 3단계 평가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심이 없고 부드럽다
△:딱딱하다
×:심이 있고 딱딱하다
(표1)
Figure 112012086822306-pct00007
(표2)
Figure 112007066491782-pct00002
표1 및 2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1∼4, 7∼9, 참고예1, 2의 신축성 생지의 조임부는 비교예1∼3의 것과 비교해서 신장력, 긴박력이 우수한 것이며, 특히 실시예1∼3, 및 실시예7∼8의 신축성 생지는 미끄럼성이나 감촉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축성 생지에 의하면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지며,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신체 구속력이나 파워가 얻어짐과 아울러 우수한 착용감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신축성 생지, 의류, 의료,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 및 의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조임부(緊締部)를 갖고 이루어지는 신축성 생지로서:
    상기 조임부가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를 갖고,
    상기 생지의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이며,
    상기 탄성 수지는,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인 것이고,
    상기 수지부의 두께가 75㎛이하이며, 상기 탄성 수지의 상기 생지로의 침투도가 상기 생지의 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50%이내이며, 또한 상기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상기 생지의 실 교락부(交絡部)를 구속하도록 상기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지부의 형상이 격자상, 면, 라인 또는 도트의 패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생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 중 상기 수지부를 갖는 부분이 0.5㎖/㎠·s이상의 통기성을 갖고, 생지에 대해서 4배이상의 긴박력(緊迫力)을 갖고, 또한 히스테리시스가 0∼80c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생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지가 폴리우레탄 탄성사(彈性絲)사를 포함하는 편지(編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생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복수의 수지 라인이 일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생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수지 도트가 2차원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생지.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축성 생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8. 삭제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으로서,
    날실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200%인 상기 생지의 한쪽면 위의 소정 위치에, 파단 신도가 500%이상이며, 또한 200% 모듈러스가 5N/㎟이하인 상기 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지부를, 날염 후의 두께가 75㎛이하이며, 상기 생지로의 침투도가 상기 생지의 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50%이내이며, 또한 상기 탄성 수지가 상기 생지의 조직 사이를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상기 생지의 실 교락부를 구속하도록 스크린 날염 또는 로터리 날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생지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신축성 생지를 상기 수지부가 신체에 대해서 반대측이 되도록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의 제조방법.
KR1020077021001A 2005-05-09 2006-05-08 신축성 생지 KR101259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6756 2005-05-09
JP2005136756 2005-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485A KR20080005485A (ko) 2008-01-14
KR101259480B1 true KR101259480B1 (ko) 2013-05-06

Family

ID=3739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001A KR101259480B1 (ko) 2005-05-09 2006-05-08 신축성 생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97983A1 (ko)
JP (1) JP4058458B2 (ko)
KR (1) KR101259480B1 (ko)
CN (1) CN101171378B (ko)
TW (1) TWI440434B (ko)
WO (1) WO2006121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5324B2 (en) 2004-05-20 2012-08-21 Wacoal Corp. Bottom garment
US8336118B2 (en) * 2007-05-31 2012-12-25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JP2009057660A (ja) * 2007-08-31 2009-03-19 Gunze Ltd 下半身用衣類
DE202008006392U1 (de) * 2008-05-09 2008-09-04 Medi Gmbh & Co. Kg Bekleidungsstück, insbesondere Rad- oder Laufhose
JP5638954B2 (ja) * 2008-09-10 2014-12-10 セーレン株式会社 樹脂加工布
EP2174561A1 (fr) * 2008-10-07 2010-04-14 Alain Behar Gaine vestimentaire moulante pour bras ou jambe, bas, collant, caleçon, vêtement de haut du corps comportant une telle gaine
JP2010095818A (ja) * 2008-10-16 2010-04-30 Sea Shell:Kk 筋収縮促進用インナーウェア
JP2010111954A (ja) * 2008-11-04 2010-05-20 Seiren Co Ltd 樹脂加工布
PL2250913T3 (pl) * 2009-05-11 2012-05-31 Colibri1 S L Ochronny strój sportowy
FR2961065B1 (fr) * 2010-06-14 2013-04-26 Salomon Sas Vetement de sport ajuste
JP2012097361A (ja) * 2010-10-29 2012-05-24 Pip Co Ltd 衣料用生地及び圧迫衣料
KR101230191B1 (ko) 2010-12-14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656515B2 (en) * 2011-01-11 2014-02-25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erformance apparel with flexible portion
JP5890101B2 (ja) * 2011-03-04 2016-03-22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繊維製品
JP5931433B2 (ja) * 2011-12-27 2016-06-08 東レ株式会社 弾性経編地
DE102012101837B4 (de) * 2012-03-05 2014-01-16 Delta-Sport Handelskontor Gmbh Elastischer Textilartikel
FR2987847B1 (fr) * 2012-03-07 2015-01-30 Dbapparel Operations Vetement tricote elastique de bas du corps gainant
TWM439356U (en) * 2012-04-17 2012-10-21 Ming-Yao Luo Pants for function training
JP6055244B2 (ja) * 2012-09-04 2016-12-27 グンゼ株式会社 体形補整機能を備えた上半身用衣類
MX363363B (es) * 2013-12-02 2019-03-21 Invista Tech Sarl Prendas de vestir con mejora de la forma con composición de polímero elástico discontinua.
WO2016152920A1 (ja) * 2015-03-26 2016-09-29 日本シグマックス株式会社 サポーター用生地
JP6414643B2 (ja) * 2016-04-28 2018-10-31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CN109688996B (zh) * 2016-09-07 2023-01-31 莱卡英国有限公司 拉伸非织造物和膜
JP7049772B2 (ja) * 2017-03-15 2022-04-07 セーレン株式会社 布帛、衣料製品、及び布帛の製造方法
JP2020090754A (ja) * 2018-12-07 2020-06-11 朝日ゴルフ株式会社 姿勢矯正アンダーウエア
CN112571896A (zh) * 2019-09-30 2021-03-30 百安健康复医疗(深圳)有限公司 调节分区压力的层状结构及制备方法和护身用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037A (ja) * 2003-04-03 2004-11-04 Seiren Co Ltd 接着布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406U (ja) * 1983-12-27 1985-07-26 株式会社 扇港ナイロン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を利用した被服
JP2530328Y2 (ja) * 1992-10-02 1997-03-26 株式会社ワコール 衣 服
JPH0718579A (ja) * 1993-06-30 1995-01-20 Sanei Chem Kk 伸縮性を有した生地の伸縮性補正方法
JP3019851U (ja) * 1995-06-23 1996-01-12 尾張整染株式会社 通気性の改善されたモケット織物
JPH1150305A (ja) * 1997-07-28 1999-02-23 Mizuno Corp 整形性を有する衣料
JP3870232B2 (ja) * 1999-04-21 2007-01-17 株式会社ワコール 衣料
JP2005264394A (ja) * 2004-03-19 2005-09-29 Goldwin Technical Center:Kk 衣類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037A (ja) * 2003-04-03 2004-11-04 Seiren Co Ltd 接着布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21010A1 (ja) 2006-11-16
TWI440434B (zh) 2014-06-11
CN101171378A (zh) 2008-04-30
CN101171378B (zh) 2012-01-11
JP4058458B2 (ja) 2008-03-12
KR20080005485A (ko) 2008-01-14
TW200714213A (en) 2007-04-16
EP1897983A1 (en) 2008-03-12
JPWO2006121010A1 (ja)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480B1 (ko) 신축성 생지
EP2980290B1 (en) Elastic knitted fabric and clothing item
KR100344350B1 (ko) 체형보정기능 또는 근육서포트기능을 갖는 의류
JP5504430B2 (ja) サポート用被服
US20130305425A1 (en) Supportive garments
JP2009007720A (ja) 衣料
JP6256007B2 (ja) 衣類
KR100585982B1 (ko)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JP5688240B2 (ja) 小寸丸編地
JP6004781B2 (ja) 上肢用編地
JP2015067912A (ja) 編み地及び衣服
JP5473380B2 (ja) 凹凸模様を有する伸縮性経編地
JP2013253351A (ja) 運動用衣服
JP2020165003A (ja) ボトム製品
JP2017203232A (ja) 伸縮性経編地
JP2021116500A (ja) ボトム衣料
KR20220042426A (ko) 하의용 의료
JP2021155860A (ja) ボトム衣料
JP2021179021A (ja) 胸部を覆う衣類
JP2016065331A (ja) レッグウェア
JP3008001U (ja) ガードル
WO2003013291A2 (en) Control girdle with shaping action
JP2009120993A (ja) 伸縮性生地
JP2016065330A (ja) レッグ衣料
TH32416B (th) ชุดชั้นในรัดรู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